KR20230057368A - 피부의 장벽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실리붐 마리아눔 (l.) 가에어튼. 오일 - Google Patents

피부의 장벽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실리붐 마리아눔 (l.) 가에어튼. 오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7368A
KR20230057368A KR1020237006650A KR20237006650A KR20230057368A KR 20230057368 A KR20230057368 A KR 20230057368A KR 1020237006650 A KR1020237006650 A KR 1020237006650A KR 20237006650 A KR20237006650 A KR 20237006650A KR 20230057368 A KR20230057368 A KR 20230057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silybum marianum
barrier function
oil derived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6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띠오 르띠
까렝 작끄 자멩
Original Assignee
삐에르화브르데르모-코스메띠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삐에르화브르데르모-코스메띠끄 filed Critical 삐에르화브르데르모-코스메띠끄
Publication of KR20230057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736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4Antipruri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피 장벽 기능의 감소를 예방하고/거나 표피 장벽 기능을 증가시키는, 실리붐 마리아눔 (L.) 가에어튼. (Silybum marianum (L.) Gaertn.)의 속열매로부터 유래한 오일의 미용적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부의 장벽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실리붐 마리아눔 (L.) 가에어튼. 오일
본 발명은 표피 장벽 기능의 감소를 예방하고/거나 표피 장벽 기능을 증가시키기 위한, 실리붐 마리아눔 (L.) 가에어튼. (Silybum marianum (L.) Gaertn.)의 속열매로부터 유래한 오일의 용도 및/또는 이러한 오일을 포함하는 미용적 조성물, 뿐만 아니라 미용적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학명 실리붐 마리아눔 (L.) 가에어튼. (Silybum marianum (L.) Gaertn.)은 아스테라세애 (Asteraceae) 과에 속하고, 1 미터 이상의 높이로 자랄 수 있는 튼튼한 줄기를 갖는 일년생 또는 이년생 식물을 말한다. 이 식물은 크고, 광택이 있는 교대하는 잎에 탁엽이 없이 흰색 얼룩이 있으며, 가장자리에는 단단하고 날카로운 가시가 있다. 이의 꽃은 첨단 머리부에 종종 단독으로 군집한다. 이들은 말단이 매우 날카로운 큰 가시 포엽으로 감싸인다. 꽃은 관 모양으로 4개의 엽을 갖으며, 보라색을 띤 진홍색이다. 열매는 광택이 있는 속열매 (akene)이고, 검정색이거나 노란색 얼룩이 있으며, 이들의 기저에 치아 고리 모양의 강모를 갖는 관모에 올라와 있다. 이러한 식물의 주요 통속명은 밀크 시즐 (Milk Thistle)이다. 구체적으로, 이 식물은 종종 산성의 건조한 자갈 토양이 있는 볕이 강하고 건조한 장소를 좋아한다. 이의 지리학적 분포는 지중해 부근에 집중되어 있지만, 유럽, 서아시아뿐만 아니라 북아메리카 및 호주 또는 심지어 뉴질랜드에서도 산다. 이것은 정원에서 자라지만, 경작하지 않은 벌판의 길 가장자리를 따라 자갈 속이 가장 지배적으로 존재한다.
실리붐 마리아눔 (L.) 가에어튼.의 속열매 (종종 문헌 상에 종자로서 잘못 지칭됨) 및 이의 제제는 통상적으로 간으로부터 기원하는 기능적 소화 장애의 증상 치료에 경구로 사용된다.
실리붐 아켄 마리아눔 (L.) 가에어튼. (Silybum akene marianum (L.) Gaertn.)의 주요 활성 성분은 실리마린으로, 여러 플라보노리그난의 혼합물이다. 실리마린은 하기 4가지 플라보노리그난인 실리빈, 이소실리빈, 실리크리스틴 및 실리디아닌의 혼합물을 주로 (적어도 95 중량%) 포함한다 (Kuki et al., Chromatographia 2012, 75: 175-180). 속열매는 최대 3 중량%의 실리마린을 포함한다. 또한, 이들은 오일 (15 중량% 내지 30 중량%), 점액 및 단백질로 이루어진다. 실리마린은 수많은 (시험관내, 생체내 및 임상) 연구의 주제가 되어, 이의 항산화, 간 보호작용, 소화 및 심지어 항-염증 성질을 입증하여 왔다. 현재, 실리마린이 적정되어 있는 실리붐 마리아눔 (L.) 가에어튼.의 속열매 추출물은 다양한 간 및 담즙 장애의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레갈론®과 같은 다수의 약제학적 제제에 존재한다.
실리빈의 증식 억제 효과는 간암종으로부터 유래한 HepG2 세포 모델에서 연구되었다. 실리빈은 다양한 아폽토시스 과정에서 이차 메신저로서 작용할 수 있는 특정 세라마이드의 유의한 합성 증가를 유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Zappavigna et. al., Int. J. Mol. Sciences 2019, 20: 2190). 또한, 세라마이드의 합성 증가는 동일한 세포 모델에서 실리빈 A 및 B, 및 합성 유도체, 3-O-갈로일 실리빈 A 및 3-O-갈로일 실리빈 B에 의해 입증되었다 (Boojar et. al., Iranian J. Pharmaceutical Res. 2016, 15(3): 421-433).
실리붐 마리아눔 (L.) 가에어튼.의 속열매는 보통 15% 내지 30%의 오일을 포함한다. 속열매로부터의 오일 제거 (탈오일 처리)는 실리마린의 추출의 예비 단계이다. 이와 같이 실리붐 마리아눔 (L.) 가에어튼. 오일은 실리마린 생산의 보조-산물이다 (Zhu et. al., Biochemidice and Pharmacotherapy 2018, 100: 191-197). 따라서, 실리붐 마리아눔 (L.) 가에어튼. 오일은 실리마린이 없거나, 이를 검출불가능한 미량으로 포함한다. 이것은 실제로 실리마린 성분의 존재를 드러내지 않은 밀크 시즐 오일의 폴리페놀 분획의 분석에 의해 검증된다 (Meddeb et. al., Antioxidants 2018, 7: 95; Zarrouk et. al., Current Pharmaceutical Design 2019, 25: 1791-1805).
정련되지 않은 실리붐 마리아눔 (L.) 가에어튼. 오일은 불포화 지방산의 트리글리세리드로 필수적으로 구성되고, 이들 중 대부분은 리놀레산 (30% 내지 60%) 및 올레산 (15% 내지 30%)이다. 이의 불포화 지방산의 높은 함량은 이것이 항-콜레스테롤 식이에 진입하여, 심혈관 질환의 예방에 사용되도록 허용된다 (El - Mallah et. al., Grasas and Aceites 2003, 54(4): 397-402). 또한, 오일은 포화 지방산으로 팔미트산 (5% 내지 15%), 스테아르산 (3% 내지 8%), 아라키드산 (1% 내지 4%) 및 베헨산 (1% 내지 4%)을 포함한다. 또한, 냉각 압축에 의해 획득된 미정제 오일은 피토스테롤 (구체적으로, 베타-시토스테롤) 및 토코페롤 (구체적으로, α-토코페롤 및 β-토코페롤)도 역시 포함한다 (Dabbour et. al., Pakistan Journal of Nutrition 2014, 13(2): 67-78).
실리붐 마리아눔 (L.) 가에어튼. 오일은 주로 요리 분야에 사용된다.
더욱이, 경구로 투여된 실리붐 마리아눔 (L.) 가에어튼. 오일의 항산화 및 간 보호작용 성질에 관한 연구는 래트 또는 마우스로 생체내에서 수행되었다 (Hermenean et. al., Open Life Sci. 2015, 10: 225-236; Zhu et. al., Pharmacogn. Mag. 2014, 10(Sup 1): S92-S99).
다수의 튜브내 또는 시험관내 연구는 냉각 압축 또는 용매 추출에 의해 획득된 실리붐 마리아눔 (L.) 가에어튼. 오일의 항산화 및 동결보호 성질을 강조하고 있다 (Dabbour et. al., 2014; Harrabi et. al., Lipids in Health and Disease 2018, 17: 82; Meddeb et. al., Antioxidants 2018, 7: 95).
임상 연구는 1% 실리붐 마리아눔 (L.) 가에어튼. 오일을 포함하는 2가지 미용적 제형물의 반복된 국소 도포가 노화된 피부에 미치는 항-노화 효과를 주목하고 있다. 얼굴 주름, 진피 밀도, 탄력성 및 피부 톤의 개선이 2주 동안 매일 2회 도포 이후에 관찰되었다. 그러나, 이들 제형물은 팔미토일 펩티드, 비타민 E, 호호바 오일, 아보카도 오일, 글리코스핑고지질 및 소듐 히알루로네이트와 같은 다수의 활성 성분을 포함한다 (Hahn et. al., Experimental and Therapeutic Medicine 2016, 12: 1171-1176).
또한, 바이오연료로서 실리붐 마리아눔 (L.) 가에어튼. 오일의 용도도 고려된다 (Takase et. al., Ultrasonics Sonochemistry 2014, 21: 1752-1762).
피부는 외부 환경과 마주하는 신체를 위한 생체 장벽을 형성하는 다양한 조직으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장벽은 외부 공격, 구체적으로 화학적, 기계적 또는 감염성 공격에 대응하여 신체를 보호하고, 이와 같은 환경 요인 및/또는 생체이물에 대한 많은 특정 방어 반응이 피부 수준에서 일어난다.
피부는 상호작용하는 3가지 주요 부분, 표면 부분, 표피, 내부 부분, 진피, 및 심층부, 피하 조직으로 구성된다.
인간 표피는 (해부학적 부위에 따라) 3가지 또는 4가지 구분된 층, 및 4가지 유형의 세포로 구성되고, 세포로는 매우 지배적인 각질형성세포, 멜라닌세포, 랑게르한스 세포 및 메르켈 세포가 있다. 이러한 세포 유형 각각은 자신의 기능으로 유기체에서 피부가 담당하는 필수적인 역할, 구체적으로 외부 공격으로부터 유기체를 보호하는 역할에 기여한다. 이러한 성질은 장벽 기능으로 불린다.
표피 세포는 이의 가장 깊은 층, 기저층에서 증식하고, 이들이 상층으로 이동하는 동안 분화하여, 순차적으로 배아 층에 배치된 여러 층의 다면체 세포로 구성된 유극층, 구별된 세포질 봉입체인 케라토히알린 과립을 포함하는 편평한 세포로 구성된 과립층, 및 마지막으로 표피의 가장 표면 층으로 구성된 각질층 (또는 피부 각질층)을 형성한다. 각질층은 세포 분화의 최종 단계에서 각질세포 (corneocyte)로 불리는 최대 20개 내지 30개 층의 각질형성세포로 구성된다. 각질층의 성분 요소인 각질세포는 수분과 케라틴을 포함하는 죽은 편평한 세포이다. 피부 각질층의 구조는 통상적으로 벽돌 벽과 유사하다. 벽돌이 각질세포이다. 각질세포는 지질로 구성되는 친유성 "시멘트"로 감싸인다. 장벽 기능은 주로 이의 구조 및 조성이 피부 각질층에 의해 보장된다. 각질형성세포의 분화 동안, 인지질은 살아있는 표피 층의 세포막의 유동 구조를 발달시키는 역할을 하고, 점진적으로 지방산, 콜레스테롤 및 스핑고지질 (세라마이드)로 주로 구성되는 혼합물로 대체된다. 이러한 지질은 층상 이중막으로 조직화되어 피부 각질층의 세포내 시멘트를 형성한다. 각질세포간 지질의 분자 상위 체계는 피부 각질층의 물리화학적 성질을 확립하는데, 및 결론적으로 생리학적 수분 성분을 유지하는데 핵심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지질 이중막의 구조는 육방정계 (젤 상태) 또는 사방정계 (단위 셀이 직사각 평행 육면체인 결정계) 둘 중 하나인 특정한 조립체 성질을 갖으며, 후자가 대부분이다 (Bouwstra et. al., Int. J. Cosmet. Sci. 2008, 30: 388). 사방정계 상태는 가장 치밀한 입체구조이고, 이러한 2가지 상태 사이의 균형은 최적의 장벽 성질에 필요하다. 피부 각질층 지질의 3가지 패밀리의 비율 교란은 사방정계 및 육방정계 상태의 변형, 및 결론적으로 장벽 기능의 변형을 유도한다. 이러한 층상 이중막의 구조는 친수성 및 친유성 영역이 교대하여, 장벽 기능, 유기체 및 외부 환경 사이의 수분 교환, 뿐만 아니라 피부 각질층의 수분 공급을 조절한다.
후자는 오랫 동안 실질적인 기능이 없는 죽은 세포의 단순한 층으로 고려되어 왔다. 사실상, 이것은 대사적으로 활성이 있으며, 표피의 장벽 기능을 많이 제공한다.
표피는 혈관에 의해 수분이 공급되지 않고, 진피로부터의 확산에 의해서만 공급된다.
진피는 고형 지지체를 사용하여 표피를 제공한다. 진피는 섬유모세포, 림프구 및 대식구를 포함하는 다양한 세포 유형으로 구성된 연결 조직이다. 이러한 세포는 "배경 물질"로 불리는 젤에 포함된, 콜라겐 섬유 및 엘라스틴과 결합되어 있다. 콜라겐 및 엘라스틴은 섬유모세포에 의해 합성된다. 또한, 백혈구, 비만 세포 또는 기타 조직 대식구도 존재한다. 마지막으로, 진피는 혈관이 통과하고, 감각 기관과 분리되거나 연결된 신경 섬유, 구체적으로 감각 섬유가 있다.
표피 및 진피 사이의 접착은 진피-표피 연결부에 의해 보장된다. 피부 장벽 및 점막의 균형은 표피 및 진피 내의 수많은 성장인자, 호르몬, 효소 및 매개인자가 관여하는 복잡한 생물학적 메커니즘에 의존한다.
마지막으로, 피하 조직은 피부의 가장 깊고 가장 두꺼운 층이다. 이것은 진피의 연장 부분으로, 2가지 조직 사이에 실질적인 구분은 없다. 피하 조직은 기반 구조에 대한 기계적 보호작용을 하는 쿠션을 형성한다. 이러한 지방 층은 또한 온도 변화로부터 신체를 격리하도록 허용한다. 진피가 수분 저장조로서 간주될 수 있는 한편, 피하 조직의 지방세포 내에 저장된 지방은 에너지 저장조를 구성한다. 피부 장벽 및 점막의 품질이 수많은 성장인자 및 분화인자, 응집 분자, 호르몬, 및 지질 대사 효소가 관여하는 복잡한 내인성 생물학적 메커니즘에 의존하는 점은 분명하다.
따라서, 피부 장벽의 변경 및/또는 피부 표면의 연속성 파손은 자극제 (세제, 산, 염기, 산화제, 환원제, 농축 용매, 가스 또는 독성 증기), 기계적 스트레스 (마찰, 충격, 찰과상, 표면 열상, 먼지 분사, 입자, 면도 또는 모발 제거), 온도 또는 기후 불균형 (추위, 건조, 방사선), 또는 생체이물 (바람직하지 않은 미생물, 알레르기원)과 같은 외부 공격, 또는 심리적 스트레스와 같은 내부 공격의 존재 하에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공격은 지질 결핍, 구체적으로 세라마이드에 대한 결핍을 유발시킨다. 이러한 지질 비의 변화는 지질 시멘트의 구성을 변화시키고 장벽 기능의 변경을 유도하여, 경피적 수분 손실 및 천연 수분 공급인자의 변형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들 변화는 피부의 탈수 및 피부 건조를 유도할 것이며, 아토피성 피부염, 민감성 또는 반응성 피부 감각의 사례도 악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피부 장벽의 변경은 구체적으로 피부 불편감, 감각 현상, 구체적으로 불쾌한 현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피부 불편의 느낌은 구체적으로 저림, 당김, 상기, 가려움의 소견을 보일 수 있다. 이러한 피부 불편의 감각은 신체의 가장 노출된 영역, 즉 머리, 발, 얼굴 및 두피에서 더욱 빈번하다. 이들은 구체적으로 면도, 모발 제거, 화장실 용품 또는 집안 용품을 사용한 세척, 붕대 또는 패치에 있는 접착제의 도포, 보철 고정과 같은 매일 또는 빈번하게 반복되는 특정 위생 행위, 또는 스포츠 활동의 경우 전문적인 자세에서 시행되거나, 단순히 생활 방식 및 의복 사용, 국소적 마찰을 생성하는 도구 또는 장비와 관련된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이들은 또한 심리학적 스트레스에 의해 증폭될 수 있다.
또한, 피부 장벽의 변경은 구체적으로 손, 발 및 입술에서 미세 균열 또는 미세 틈의 출현을 촉진할 수 있다.
이러한 피부 불편의 감각은 모든 사람, 구체적으로 민감한 또는 심지어 내성이 없는 피부를 갖는 사람과 관련이 있다. 민감성 피부의 개념은 각 사람의 피부 민감성의 수준을 반영한다. 임의의 연령에 민감성 피부가 되는 것이 가능한 한편, 이것은 아기와 노인에서 매우 보편적이다. 아기 피부는 어른 피부의 약 1/5 두께를 갖는다. 따라서, 화학적, 물리적 및 미생물 공격, 뿐만 아니라 UV 광선에 극도로 민감하다. 한편으로, 어른 피부의 장벽 기능은 대사 과정이 느려지면서 연령에 따라 점진적으로 약화된다. 피부 노화는 점진적으로 지질의 결핍을 유도하고, 이는 비누와 같은 알칼리성 물질이 피부를 더 쉽게 자극하도록 만든다.
피부가 매우 낮은 민감성 역치를 갖을 때, 다시 말하면 가장 약한 외부 공격에 과도하게 반응할 때, 피부는 내성이 없는 피부, 또는 심지어 내성이 없는 반응성 피부로 불릴 것이다. 내성이 없는 피부는 외부 공격에 더욱 취약하고, 매일의 불편감 및 강한 과민성을 특징으로 한다. 다소 현저한 특정 징후로 이들이 인식된다. 예를 들면, 내성이 없는 얼굴 피부는 붉은기 및 저림을 보이며, 당기거나, 상기되거나, 가렵고, 화상 감각도 유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내성이 없는 피부는 알레르기 배경이 있어, 구체적으로 미용 관리의 구성성분에 민감하다.
민감성 피부는 실제로 저림, 상기, 의주감 및 가려움의 성향이 있고, 때로 붉은기가 동반되는 피부이다. 이러한 불편한 느낌은 정상 피부로 불리는 피부에서 자극을 촉발하지 않을 정도의 자극에도 과도하게 반응을 보인다. 이러한 피부의 과도 민감성은 피부 내성 역치의 감소로 인해 유도된다. 피부가 민감할수록 이의 내성 역치는 낮아지며, 내성 역치가 가장 낮을 때 내성이 없는 피부로 불릴 것이다. 과도 민감성은 다양한 요인으로 설명될 수 있지만, 표피 장벽 기능의 변경이 가장 결정적이다. 다음으로 이러한 현상은 피부의 탈수, 특히 수분 공급 제제의 침투를 촉진한다.
피부는 수지질성 필름으로 불리는 보호 필름으로 도포된다. 이것은 최외곽 필름일 뿐만 아니라 가장 여리고, 가장 쉽게 교란된다. 이것은 주로 피지샘에 의해 배출된 지방 물질, 및 각질 세포의 케라틴화 동안 세포 분해로부터 생성된 지질 (스쿠알렌, 왁스, 트리글리세리드, 유리 지방산, 콜레스테롤 에스테르), 뿐만 아니라 땀으로부터 나온 수분, 글리세롤, 우레아, 천연 피부보습인자, 염, 피부 미생물총의 대사물과 같은 친수성 화합물로 구성된다. 이러한 표면 필름은 널리 노출되어 환경 스트레스, 위생 습관 및 피부 조건, 뿐만 아니라 UV 방사선에 대한 노출에 매우 민감하다. 미생물상은 구체적으로 스트레스 또는 질병 동안 피지의 조성을 유의하게 변화시키고, 트리글리세리드를 분해하며, 유리 지방산 비를 변형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가장 민감한 피부를 위해 이러한 피부 장벽 기능을 보존하고, 심지어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피부의 장벽 기능의 감소를 예방하고/거나 장벽 기능을 증가시키는 제제에 대한 필요성이 여전히 있다.
놀랍게도 및 예기치 않게도, 본 발명자들은 실리붐 마리아눔 (L.) 가에어튼. (Silybum marianum (L.) Gaertn.)의 속열매부터 유래한 오일이 피부에 대한 영양 공급 및/또는 보습 효과와 더불어, 표피 장벽 기능을 증가시키거나 이러한 표피 장벽 기능의 감소를 예방할 뿐만 아니라 수분 손실 및/또는 외부 공격에 대응한 피부의 보호작용을 증가시키도록 허용하는 피부의 지질 합성, 구체적으로 내인성 세라마이드 합성을 유도하는 점을 입증하였다.
제 1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표피 장벽 기능의 감소를 예방하고/거나 표피 장벽 기능을 증가시키는, 실리붐 마리아눔 (L.) 가에어튼.의 속열매부터 유래한 오일의 미용적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표피 장벽 기능의 감소를 예방하고/거나 표피 장벽 기능을 증가시키는데 사용되는, 실리붐 마리아눔 (L.) 가에어튼.의 속열매부터 유래한 오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표피 장벽 기능의 감소를 예방하고/거나 표피 장벽 기능을 증가시키는 미용적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실리붐 마리아눔 (L.) 가에어튼.의 속열매부터 유래한 오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제 2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표피 장벽 기능의 감소를 예방하고/거나 표피 장벽 기능을 증가시키는, 실리붐 마리아눔 (L.) 가에어튼.의 속열매부터 유래한 적어도 하나의 오일을 적어도 하나의 미용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와 함께 포함하는 미용적 조성물의 미용적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표피 장벽 기능의 감소를 예방하고/거나 표피 장벽 기능을 증가시키는데 사용되는, 실리붐 마리아눔 (L.) 가에어튼.의 속열매부터 유래한 적어도 하나의 오일을 적어도 하나의 미용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와 함께 포함하는 미용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 3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표피 장벽 기능의 감소를 예방하고/거나 표피 장벽 기능을 증가시키는 미용적 방법으로서, 필요가 있는 사람에게 실리붐 마리아눔 (L.) 가에어튼.의 속열매부터 유래한 오일의 유효량, 또는 실리붐 마리아눔 (L.) 가에어튼.의 속열매부터 유래한 적어도 하나의 오일을 적어도 하나의 미용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와 함께 포함하는 미용적 조성물의 투여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식물 실리붐 마리아눔 (L.) 가에어튼.은 약어화된 방식으로 용어 실리붐 마리아눔 (Silybum marianum)으로 명명될 수 있다.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부터 유래한 오일과 혼화 불가능한 유기 용매"는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부터 유래한 오일과 혼합될 수 없거나 부분적으로만 혼합될 수 있어, 유기 용매 및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부터 유래한 오일의 혼합물이 적어도 2가지 구분된 상을 관찰할 수 있는 불균질한 혼합물을 제공하는 유기 용매를 의미한다.
"비극성 용매"는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예를 들면 헵탄, 헥산, 리모넨, 할로겐화된 탄화수소 (예를 들면, 클로로포름 또는 디클로로메탄과 같은 C1 내지 C3 염소 처리된 탄화수소), 초임계 CO2, 초임계 CO2 및 에탄올의 혼합물, 및 이들 용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이해된다. 또한, 예를 들면 에코엑스트랙트 리포코스 (EcoXtract LIPOCOS, 페나켐 유로파사)와 같은 100% 바이오출처의 용매가 언급될 수 있다.
"정련"은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실리붐 마리아눔 오일의 탈취 처리, 표백 처리 및/또는 탈용매 처리의 단계를 의미한다. 따라서, 미정제 오일은 풍미와 불쾌한 냄새, 및 보존성 결여를 부여하여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 다수의 특정 성분을 포함한다.
"탈취"는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식물성 오일의 냄새 또는 풍미를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처리를 의미한다. 탈취 처리는 진공 하에 수증기를 주입하여 고온에서 (예를 들면, 150℃ 내지 300℃, 구체적으로 150℃ 내지 250℃ 또는 기타 150℃ 내지 200℃) 오일을 가열하여 시행될 수 있다.
"표백"은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식물성 오일의 색상을 환원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처리를 의미한다. 색상 측정은 가드너 측정법에 따라 시행될 수 있다. 가드너 색상 척도는 맑고 투명한 액체의 색상에 대한 시각적 비교 척도이다. 표백 처리는 오일을 표백토와 접촉시키고 (색상을 부여하는 색소 (예를 들면, 카로텐, 클로로필 등)을 흡수할 것임), 가열하여 (예를 들면 60℃ 내지 100℃) 획득될 수 있으며, 이는 진공에서 시행될 수 있다. 유리하게, 후속의 여과 단계가 오일 및 사용된 표백토를 분리하도록 허용할 것이다.
"탈용매 처리"는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오일에 존재하는 용매를 제거하도록 허용하는 처리를 의미한다. 탈용매 처리는 혼합물을 진공 하에 가열하는 증류에 의해 및/또는 진공 하의 증기 증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C1 내지 C3 알코올"은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R-OH 알코올을 의미하고, 여기서 R 사슬은 1개 내지 3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포화, 직선상 또는 분지상 탄화수소 사슬이다. 이것은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또는 이소프로판올, 구체적으로 메탄올, 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판올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것은 이소프로판올일 것이다.
"상온"은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15℃ 내지 40℃, 바람직하게 20℃ 내지 30℃ 범위, 구체적으로 대략 25℃의 온도를 의미한다.
"대략"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관련 값이 명시된 값보다 10%, 구체적으로 5%, 구체적으로 2%, 더욱 구체적으로 1%가 더 낮거나 더 높을 수 있는 점을 의미한다.
"국소 도포"는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피부 (두피를 포함함) 및 점막에 대한 도포를 의미한다.
"표피 장벽"은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표피의 세포성 구조, 구체적으로 각질세포 및 세포간 지질 시멘트에 의해 형성된 조직 장벽을 의미한다.
"표피 장벽 기능"은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구체적으로 외부 공격에 대응한 표피의 보호작용 기능, 및 경피적 수분 및 이온 손실의 조절을 의미한다.
"미용적으로 허용가능한"은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미용적 조성물의 제조에 유용한 것을 의미하고, 이는 일반적으로 안전하고, 비-독성이며, 생물학적으로 또는 달리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 없고, 구체적으로 피부에 대한 국소 도포에 의한 미용적 용도에 허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표피 장벽 기능의 감소를 예방하고/거나 표피 장벽 기능을 증가시키는, 실리붐 마리아눔 (L.) 가에어튼.의 속열매부터 유래한 오일의 미용적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상세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수분 손실 및/또는 외부 공격에 대응한 피부의 보호작용을 강화하는, 실리붐 마리아눔 (L.) 가에어튼.의 속열매부터 유래한 오일의 미용적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상세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두피를 포함한 피부, 및/또는 점막에 영양 공급하고/거나 보습화하는, 실리붐 마리아눔 (L.) 가에어튼.의 속열매부터 유래한 적어도 하나의 오일의 미용적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상세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장벽 기능을 강화 또는 회복시킴으로써 피부 복구를 개선하는, 실리붐 마리아눔 (L.) 가에어튼.의 속열매부터 유래한 적어도 하나의 오일의 미용적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상세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피부의 저림, 가려움, 당김, 붉은기 또는 자극을 예방하고/거나 감소시키는, 실리붐 마리아눔 (L.) 가에어튼.의 속열매부터 유래한 적어도 하나의 오일의 미용적 용도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부터 유래한 오일은 국소적으로 사용되고, 구체적으로 피부에 대한 도포에 의해 사용될 것이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부터 유래한 오일은 과실 (속열매)로부터 획득되고, 속열매는 전체 또는 조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부터 유래한 오일은 속열매를 압축함으로써 또는 비극성 용매로 속열매를 추출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로부터 유래한 오일은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를 압축하는 것에 의해, 구체적으로 냉각 압축, 즉 가열하지 않고 상온에서의 냉각 압축 단계 및 이어진 여과 단계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구현예에서,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로부터 유래한 오일은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를 압축하는 단계, 이어진 여과 단계 및 이후의 정련 단계에 의해 획득된다.
본 발명의 상세한 구현예에서,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로부터 유래한 오일은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를 압축하는 단계 및 이어진 여과 단계에 의해 획득되고, 이어서 오일로부터 극성 화합물을 제거하도록 극성 내지 중등도 극성 추출 용매, 유화성 수성 용액, 임계하 물 또는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로부터 유래한 오일과 혼화 불가능하고, 선택적으로 물과 혼합되는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구체적으로 이들로 구성되는 극성 내지 중등도 극성 추출 용매를 사용한 추출 단계, 이후에 선택적으로 탈용매 처리 단계를 진행한다.
유리하게, 극성 내지 중등도 극성 추출 용매는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로부터 유래한 오일과 혼화 불가능하고, 선택적으로 물과 혼합되는 유기 용매를 포함하고, 구체적으로 이들로 구성된다.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로부터 유래한 오일과 혼화 불가능한 유기 용매는 구체적으로 C1 내지 C3 알코올일 수 있다.
극성 내지 중등도 극성 추출 용매는 구체적으로, 선택적으로 물과 혼합되는 C1 내지 C3 알코올일 수 있다.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로부터 유래한 오일과 혼화 불가능한 유기 용매는 구체적으로 메탄올, 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판올과 같은 C1 내지 C3 알코올이고, 물과의 혼합물로, 구체적으로 80/20 내지 100/0, 구체적으로 85/15 내지 95/5의 범위, 구체적으로 대략 90/10의 유기 용매/물 부피 비로 사용될 수 있다.
극성 내지 중등도 극성 추출 용매는 구체적으로, 메탄올, 메탄올/물 혼합물, 에탄올, 에탄올/물 혼합물, 이소프로판올 및 이소프로판올/물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극성 내지 중등도 극성 추출 용매는 메탄올, 대략 90/10 부피 비의 에탄올/물 혼합물 또는 대략 90/10 부피 비의 이소프로판올/물 혼합물, 바람직하게 대략 90/10 부피 비의 이소프로판올/물 혼합물일 것이다.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로부터 유래한 오일의 극성 내지 중등도 극성 추출 용매를 사용한 추출 단계는 구체적으로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로부터 유래한 오일을 1시간 내지 12시간 동안, 구체적으로 15℃ 내지 25℃ 범위, 구체적으로 약 20℃의 온도에서 극성 내지 중등도 극성 추출 용매와 혼합함으로써 수행될 것이다. 이러한 추출을 수행하는데 사용된 극성 내지 중등도 극성 추출 용매의 양은 유리하게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로부터 유래한 오일 1 g 당 0.5 g 내지 3 g, 구체적으로 1 g 내지 3 g일 것이다.
추출 상 및 액체 상 (극성 화합물이 없는 잔류 오일, 소모된 잔류 오일로도 불림)은 다음으로 이러한 추출 단계의 종료 시 획득될 것이다. 액체 상은 유리하게 추출 상으로부터 분리되고 회수될 것이다. 다음으로 이것은 구체적으로 진공 하에 탈용매 처리되고, 잔류 극성 내지 중등도 극성 추출 용매를 제거하여 극성 성분이 없는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로부터 유래한 오일을 획득한다 (유리 지방산, 피토스테롤, 토코페롤).
본 발명의 상세한 구현예에서,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로부터 유래한 오일은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의 압축 단계, 다음으로 상기에 상술된 바와 같이 오일로부터 극성 화합물을 제거하도록 극성 내지 중등도 극성 추출 용매를 사용한 추출 단계, 다음으로 이전에 기술된 바와 같은 탈용매 처리 단계, 이어진 탈취 처리 단계에 의해 획득된다.
본 발명의 상세한 구현예에서,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로부터 유래한 오일은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의 압축 단계, 다음으로 상기에 상술된 바와 같이 오일로부터 극성 화합물을 제거하도록 극성 내지 중등도 극성 추출 용매를 사용한 추출 단계, 다음으로 이전에 기술된 바와 같은 탈용매 처리 단계, 이어진 표백 처리 단계에 의해 획득된다.
본 발명의 상세한 구현예에서,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로부터 유래한 오일은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의 압축 단계, 다음으로 상기에 상술된 바와 같이 오일로부터 극성 화합물을 제거하도록 극성 내지 중등도 극성 추출 용매를 사용한 추출 단계, 다음으로 이전에 기술된 바와 같은 탈용매 처리 단계, 이어진 탈취 처리 단계 및/또는 표백 처리 단계에 의해 획득된다.
제 2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표피 장벽 기능의 감소를 예방하고/거나 표피 장벽 기능을 증가시키는,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로부터 유래한 적어도 하나의 오일을 적어도 하나의 미용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와 함께 포함하는 미용적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상세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수분 손실 및/또는 외부 공격에 대응한 피부의 보호작용을 강화하는,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로부터 유래한 적어도 하나의 오일을 적어도 하나의 미용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와 함께 포함하는 미용적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상세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두피를 포함한 피부, 및/또는 점막에 영양 공급하고/거나 보습화하는,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로부터 유래한 적어도 하나의 오일을 적어도 하나의 미용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와 함께 포함하는 미용적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상세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장벽 기능을 강화 또는 회복시킴으로써 피부 복구를 개선하는,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로부터 유래한 적어도 하나의 오일을 적어도 하나의 미용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와 함께 포함하는 미용적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상세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피부의 저림, 가려움, 당김, 붉은기 또는 자극을 예방하고/거나 감소시키는,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로부터 유래한 적어도 하나의 오일을 적어도 하나의 미용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와 함께 포함하는 미용적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유리하게, 미용적 조성물에 포함된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로부터 유래한 오일은 이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된다.
상세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미용적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로부터 유래한 오일을 0.01 중량% 내지 40 중량%, 구체적으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내지 20 중량%, 구체적으로 0.1 중량% 내지 10 중량%, 더욱 구체적으로 0.1 중량% 내지 5 중량%, 더욱 더 구체적으로 0.1 중량% 내지 2 중량%, 더욱 더 구체적으로 0.5 중량% 내지 1 중량%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로부터 유래한 오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대략 1 중량%의 함량으로 미용적 조성물에 존재한다.
상세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미용적 조성물은 INCI 명명법에 따라 명명된 하기 성분, 엔테로모르파 콤프레사 (Enteromorpha compressa) 추출물 및/또는 오시뭄 산크툼 (Ocimum sanctum) 잎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세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미용적 조성물은 녹조류 추출물 및/또는 홀리 바질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다.
상세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미용적 조성물은 모모르디카 그로스베노리 (Momordica grosvenori) 열매 추출물 및/또는 슈도프테로고르지아 엘리자베태 (Pseudopterogorgia elisabethae)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다.
상세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미용적 조성물은 INCI 명칭, 옥틸도데칸올, 에키움 플란타지늄 (Echium plantagineum) 종자 오일, 비누화 불가능한 헬리안투스 안누스 (Helianthus annuus) (해바라기) 종자 오일, 카디오스퍼뭄 할리카카붐 (Cardiospermum halicacabum) 꽃/잎/덩굴 추출물 및 토코페롤을 갖는 데펜실®을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세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미용적 조성물은 옥틸도데칸올, 에키움 플란타지늄 종자 오일 (플란틴 잎 블루위드 오일로도 불림), 해바라기유의 비누화 불가능한 분획, 카디오스퍼뭄 할리카카붐 (하트콩 덩굴, 인디안 하트 또는 폭폭으로 불림)의 추출물 (구체적으로, 꽃/잎/줄기의 추출물) 및 토코페롤의 혼합물을 포함하지 않는다. 상세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미용적 조성물은 에키움 플란타지늄 종자 오일, 해바라기유의 비누화 불가능한 분획 및/또는 카디오스퍼뭄 할리카카붐 (구체적으로, 꽃/잎/줄기)의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다.
상세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미용적 조성물은 녹조류 추출물, 홀리 바질 추출물, 모모르디카 그로스베노리 열매 추출물, 슈도프테로고르지아 엘리자베태 추출물, 에키움 플란타지늄 종자 오일, 해바라기유의 비누화 불가능한 분획 및/또는 카디오스퍼뭄 할리카카붐 (구체적으로, 꽃/잎/줄기)의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미용적 조성물은 피부에 영양 공급하고/거나 보습화하는데 유용한, 더욱 구체적으로 피부 장벽 기능의 감소를 예방하고/거나 피부 장벽 기능을 증가시키는데 유용한 유일한 활성 성분으로서,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로부터 유래한 오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용적 조성물은 유리하게, 구체적으로 피부에 대한 도포에 의한 국소 도포를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미용적 조성물은 보통 국소 투여를 위해 공지되어 있는 형태, 다시 말하면 구체적으로 로션, 밀크, 에멀전, 세럼, 밤, 마스크, 크림, 분산제, 젤, 폼 또는 스프레이일 수 있다.
유리하게, 이것은 밤 및/또는 밀크일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미용적 조성물로서, 국소 도포에 적합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용적 조성물은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로부터 유래한 오일 및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에 추가하여, 계면활성제, 복합화 제제, 방부제, 안정화 제제, 유화제, 증점제, 젤화 제제, 습윤제, 연화제, 미량 원소, 정유, 향료, 염료, 윤기 제거제, 화학적 또는 미네랄 필터, 보습제, 열수 등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표피 장벽 기능의 감소를 예방하고/거나 표피 장벽 기능을 증가시키는 미용적 방법으로서, 필요가 있는 사람에게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로부터 유래한 오일의 유효량, 또는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로부터 유래한 적어도 하나의 오일을 적어도 하나의 미용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와 함께 포함하는 미용적 조성물의 투여, 구체적으로 국소 투여, 예를 들면 피부에 대한 도포에 의한 투여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세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수분 손실 및/또는 외부 공격에 대응한 피부의 보호작용을 강화하는 미용적 방법으로서, 필요가 있는 사람에게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로부터 유래한 오일의 유효량, 또는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로부터 유래한 적어도 하나의 오일을 적어도 하나의 미용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와 함께 포함하는 미용적 조성물의 투여, 구체적으로 국소 투여, 예를 들면 피부에 대한 도포에 의한 투여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세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두피를 포함한 피부, 및/또는 점막에 영양 공급하고/거나 보습화하는 미용적 방법으로서, 필요가 있는 사람에게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로부터 유래한 오일의 유효량, 또는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로부터 유래한 적어도 하나의 오일을 적어도 하나의 미용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와 함께 포함하는 미용적 조성물의 투여, 구체적으로 국소 투여, 예를 들면 피부에 대한 도포에 의한 투여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세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장벽 기능을 강화 또는 회복시킴으로써 피부 복구를 개선하는 미용적 방법으로서, 필요가 있는 사람에게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로부터 유래한 오일의 유효량, 또는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로부터 유래한 적어도 하나의 오일을 적어도 하나의 미용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와 함께 포함하는 미용적 조성물의 투여, 구체적으로 국소 투여, 예를 들면 피부에 대한 도포에 의한 투여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세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피부의 저림, 가려움, 당김, 붉은기, 자극을 예방하고/거나 감소시키는 미용적 방법으로서, 필요가 있는 사람에게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로부터 유래한 오일의 유효량, 또는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로부터 유래한 적어도 하나의 오일을 적어도 하나의 미용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와 함께 포함하는 미용적 조성물의 투여, 구체적으로 국소 투여, 예를 들면 피부에 대한 도포에 의한 투여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리하게,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로부터 유래한 오일은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조되고, 미용적 조성물은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의 범주를 한정하지 않으면서 설명하고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냉각 압축에 의해 획득된 실리붐 마리아눔 의 속열매로부터 유래한 오일의 제조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의 냉각 압축은 다음으로 필터 압축기로 여과되어 실리붐 마리아눔 (L.) 가에어튼.의 속열매로부터 유래한 제 1 압축 미가공 오일을 획득한다.
실시예 2: 실리붐 마리아눔 의 속열매로부터 유래한 이의 극성 화합물이 없는 정련된 오일의 제조
본 발명의 방법은 8가지 단계로 시행한다.
-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의 냉각 압축, 다음으로 실리붐 마리아눔 (L.) 가에어튼.의 속열매로부터 유래한 제 1 압축 미가공 오일을 획득하는 필터 압축기로의 여과.
- 이소프로판올/물 혼합물 (90/10 v/v)로 1 중량의 오일에 대해 1 중량의 이소프로판올/물 혼합물을 사용하여 20℃에서 10시간 동안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로부터 유래한 제 1 압축 미가공 오일의 추출
- 지질 상 (소모된 잔류 오일)의 회수
- 소모된 잔류 오일의 탈용매 처리: 하기 조건 하에 진공 증발 (증류) 다음으로 증기 박리에 의한 용매의 제거:
단계 1 - 증류
증류 온도: 90℃
증류 지속기간: 2시간
진공: 2 mbar 진행성
단계 2 - 박리
증기: 약 7 kg/시간
박리 온도: 90℃
박리 지속기간: 1시간
진공: 2 mbar 내지 20 mbar
- 하기 조건 하에 소모된 탈용매 처리된 잔류 오일의 표백 처리:
천연 표백토: 톤실® 210 FF
표백 처리 온도: 80℃
표백 처리 지속기간: 45분
진공: 10 mbar 내지 20 mbar
- 필터 압축기로의 여과
- 하기 조건 하에 탈취 처리:
탈취 처리 온도: 180℃
탈취 처리 지속기간: 2시간
박리: 증기 (약 7 kg/시간)
진공: 2 mbar 내지 20 mbar
- 카트리지 필터로의 여과
실시예 3: 재구성된 표피 모델에서 실리붐 마리아눔 의 속열매로부터의 오일의 총 지질 및 세라마이드의 합성에 미치는 효과
표피의 주요 기능은 외부 공격 및 탈수 위험에 대응하여 생체 보호 장벽을 형성함으로써 신체를 보호하는 것이다. 피부의 각질층, 최외곽 층은 주로 장벽 기능을 부여한다. 이러한 피부 각질층은 지질 매트릭스에 포매된 각질세포로 만들어지고, 이의 매우 특이적인 체계는 지질 조성에 의존할 것이다. 후자는 유리 지방산, 콜레스테롤 및 세라마이드로 구성된다. 지질은 서로 위에 겹쳐진 다중 층을 형성한다. 시험관내 실험은 피부 각질층 단독의 특이적인 지질 조성이 층상 이중막으로 된 이러한 지질의 특정한 배열을 허용하는 점을 입증하였다 (De Jager et. al., J. Lipid Res. 2005, 46: 2649-2656). 이들 지질은 피부의 장벽 기능에서 핵심 역할을 담당한다.
세라마이드는 피부 각질층의 접착 및 결론적으로 피부 장벽의 형성을 허용하기 때문에 생물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질 패밀리를 구성한다. 생화학적으로, 이들은 지방산을 사용한 스핑고신의 아미드화로부터 생성된 스핑고지질이다. 이들은 피부 각질층에서 유리되거나 단백질에 공유 결합될 수 있다. 현재까지, 14가지 부류의 세라마이드가 확인되었으며, 이들의 화학 구조에 따라 명명된다. 세라마이드는 다양한 길이의 알킬 사슬을 갖는 ω-히드록시 (EO 또는 O), α-히드록시 (A) 또는 비-히드록시 (N) 지방산이 결합되어 있는 스핑고신 (S), 디히드로스핑고신 (dS), 피토스핑고신 (P) 또는 6-히드록시스핑고신 (H) 기반을 갖을 수 있다. EO 세라마이드는 리놀레산에 결합된, 34개 이상의 탄소 원자의 매우 긴 ω-히드록시 산 사슬이 있기 때문에 독특한 구조를 갖으며, 피부 각질층의 층상 이중막의 조직화 및 결론적으로 장벽 기능에서 지배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세라마이드의 정량화는 장벽 기능의 특성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피부-미용 산물을 증진시킨다.
매우 다양한 세라마이드가 피부 각질층의 지질 조성에 진입해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각질세포간 지질의 약 절반이 된다. 세라마이드는 층상 이중막의 조직화에서, 구체적으로 EOS, EOP, EOH 세라마이드와 같은 초장 사슬 에스테르화된 세라마이드는 핵심 역할을 담당할 것이다 (Bouwstra et. al., Biochim. Biophys. Acta. 1996, 1300(3): 177-186). 에스테르화된 세라마이드의 중요성은 이들의 매우 긴 탄소 사슬로 인해, 층상의 반복 거리 위에 사슬의 배열로 입증되었다 (Kessner et. al., Chem. Phys. Lipids 2010, 163(1): 42-50). 또한, 세라마이드, 구체적으로 CER EOS 및 CER EOP가 보유하는 극성 머리부는 기능적 지질 매트릭스에게 요구되는 이들 구조적 성질에 상당한 영향을 발휘한다.
에스테르화되지 않은 세라마이드는 대다수를 차지하고, 또한 피부의 장벽 기능뿐만 아니라 수분 공급 및 영양 공급에 중요하다. 겨울 동안 피부 건조 상태가 총 세라마이드 수준의 감소, 구체적으로 NP 및 NH 세라마이드 수준과 상관되는 점을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Ishikawa et. al., J. Cosmet. Dermatol. 2013, 12(1): 3-11). 아토피성 피부염에 걸린 환자에서, 총 세라마이드 수준의 유의한 감소도 보고되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NP, NS 및 NH 세라마이드 수준 및 경피적 수분 손실의 측정값과 역상관 관계는 장벽 기능의 변경을 시사한다 (Ishikawa et. al., J. Invest. Dermatol. 2010, 130(10): 2511-2514).
초장 사슬 에스테르화된 세라마이드의 감소, 뿐만 아니라 유리 지방산 및 세라마이드의 사슬 길이의 단축은 일반적으로 지질 체계의 덜 치밀한 상태로의 변형을 유도한다 (Kessner et. al., Skin Pharmacol. Physiol. 2008, 21(2): 58-74). 이것은 각질세포 사이의 지질 배열 간격을 만들어 피부 장벽 기능의 감소 및 피부 투과도의 증가를 유도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특이적인 지질의 증가는 피부 장벽 기능의 개선을 유도시킨다.
본 연구의 목표는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부터 유래한 오일의, 피부 지질의 합성, 구체적으로 지질의 관점으로 피부 각질층의 주요 성분 세라마이드의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장벽 기능의 치료 및 개선을 위한 이의 영양적 효과를 측정하는 것이다. 피부 각질층의 세라마이드, 유리 지방산 및 콜레스테롤은 고성능 박막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에 의해석한다. 이러한 신속한 기법은 지질과 같은 복합 혼합물을 분리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Fuchs et. al., J. Chromatography A 2011, 1218(19): 2754-2774), 사용된 방법은 과학 간행물의 주제가 되어 왔다 (Jamin et. al., Eur. J. Mass Spectrum 2019, 25(3): 278-290). 오일 효과는 실험 조건 당 및 배치 당 n = 3으로 (세 벌씩) 3개의 재구성된 표피 배치에 대해 평가한다.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부터 유래한 오일로 처리 이후에, 피부 각질층의 지질은 피부 지질의 합성에 미치는 치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HPTLC에 의해 정량화한다.
방법
본 연구에 사용된 모델은 프랑카르 등에 의해 기술된 방법에 따라 미용적 수술로부터의 피부 절제에서 생성된 재구성된 표피 모델이다 (Frankart et. al., Exp. Dermatol. 2012, 21(11), 871-875).
세포 (각질형성세포)가 피부 절제로부터 단리된 다음 배양하여 배양 배지에 담긴 배양 삽입물에 접종되고, 다음으로 배양 삽입물은 항온기에서 5% CO2가 있는 습윤화 대기에 37℃로 공기/액체 경계면에 배치하여 피부 각질층을 형성시킨다.
재구성된 표피를 0.6 cm2 면적으로 재형성하는데 14일이 걸린다. 배양 배지는 24시간마다 교체한다.
조건 (대조군, 냉각 압축에 의해 획득된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부터 유래한 오일, 및 양성 대조군) 당 3개의 재구성된 표피를 사용한다.
대조군: 포스페이트 완충액 pH 7.4 (PBS) 중 0.01% 트윈® 20;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부터 유래한 오일:
- 제 1 일련의 실험: 포스페이트 완충액 pH 7.4 (PBS) 중 0.01% 트윈® 20에서 1%로 테스트된 실시예 1에 따라 획득된 오일;
- 제 2 일련의 실험: 포스페이트 완충액 pH 7.4 (PBS) 중 0.01% 트윈® 20에서 1%로 테스트된 실시예 2에 따라 획득된 오일;
양성 대조군: 덱세릴® 크림
프로토콜의 9일째, 테스트된 화합물은 처음으로 재구성된 표피에 도포한다 ( 덱세릴® 크림의 경우 2 mg, 냉각 압축에 의해 획득된, 트윈® 20/PBS 중 1%의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부터 유래한 오일 5 μL, 또는 상피 대조군의 경우 트윈® 20/PBS 5 μL). 24시간의 배양을 수행한다.
제 2 도포 (동일한 조건)는 10일째 수행하고, 48시간의 배양을 한다.
제 3 도포 (동일한 조건)는 13일째 수행하고, 24시간의 배양을 한다.
마지막으로, 제 4 도포 (동일한 조건)는 14일째 수행하고 (완벽하게 재구성된 상피), 24시간의 배양을 한다.
15일째, 재구성된 표피는 배양 삽입물로부터 제거하고, 피부 각질층은 나머지 표피로부터 트립신을 사용하여 단리한다. 다음으로 피부 각질층은 이를 구성하는 지질을 수집하기 위하여 용기 용매 (클로로포름 및 메탄올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추출한다. 생성된 지질은 다음으로 HPLC 분석 이전에 액체 질소 하에 농축시킨다.
피부 각질층의 세라마이드, 유리 지방산 및 콜레스테롤은 HPLC에 의해 분석한다.
분석 조건은 하기에, 구체적으로 표 1에 상술한다.
플레이트: 리크로스퍼® HPTLC 실리카겔 60 F254S
침착: 질소 유동 하에 건조된 6 mm 너비
발생: 구배, 표 1 참조
후-유도체화: 구리 설페이트의 수성 용액 (10% CuSO4, 8% H3PO4, 5% MeOH)
검출: λ 스캐너, 450 nm.
Figure pct00001
결과
덱세릴® 크림은 지질 합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덱세릴® 크림은 양성 대조군으로서 선택하고, 재구성된 상피에 2 mg/상피로 도포하였다.
다수 부류의 지질, 유리 지방산, 콜레스테롤 유도체 (콜레스테롤 올레이트 및 콜레스테롤 설페이트) 및 세라마이드는 HPTLC에 의해 분석한다.
제 1 일련의 실험
본 발명의 제 1 일련의 실험에서, 양성 대조군 (덱세릴® 크림)은 예상된 바와 같이, 유리 지방산, 콜레스테롤 유도체 및 세라마이드의 증가와 관련된 지질 합성을 유도시킨다. 이러한 결과는 실험 조건을 확인한다.
실시예 1에 따른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부터 유래한 오일은 유리 지방산의 합성에 미치는 효과가 없으며, 총 콜레스테롤의 약간의 강하를 유도하지만 (-4.3%) 이러한 감소가 유의한 역치에 이르지는 못한다. 다른 한편, 실시예 1에 따른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부터 유래한 오일은 총 세라마이드의 합성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36.1%). 이러한 결과는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부터 유래한 오일이 피부를 위한 중요한 영양 공급 효과를 보여주는 결론을 유도한다.
세라마이드는 피부 각질층에서 지배적인 지질로서 존재하고, 장벽 기능 및 이에 따른 탈수 제한 및 수분 보유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세라마이드의 중요한 성질을 기초로 하여, 실리붐 마리아눔 오일의 도포에 의해 생산되는 다양한 하위부류의 세라마이드에 관하여 주목하였다. 실제로, 이들 세라마이드는 이전에 제형물에 첨가되지 않았으며, 따라서 피부 각질층에서 발현되는 세라마이드는 피부에 의해 생산된 세라마이드에만 해당한다.
하기 표 2는 실시예 1에 따른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부터 유래한 오일의 도포 이후에 생산되는 세라마이드의 유도 백분율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따라서,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부터 유래한 오일은 처리되지 않은 재구성된 표피 (대조군)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재구성된 표피 모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세라마이드 모두의 합성을 유도한다. 세라마이드 CER EOS 합성의 30% 초과 증가를 주목한 점이 흥미로우며, 이러한 세라마이드는 습진 및 아토피성 피부염의 경우에 양이 감소되고, 구체적으로 층상 이중막의 조직화인 장벽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더욱이, 피부 각질층에서 지질 층상 조직화에 관여하는 세라마이드, 즉 EOS, EOH 및 EOP 세라마이드와 같은 초장 사슬이 있는 에스테르화된 세라마이드는 최소 30% 이상 유의하게 증가된다. 또한, 피부 각질층에서 다수 세라마이드인 NP 및 NS 세라마이드와 같은 비-에스테르화된 세라마이드도 증가된다. 세라마이드 NP는 다수 세라마이드이고, 총 세라마이드의 8% 내지 13%에 기여한다 (Van Smeden et. al., J. Lipid Res. 2011, 52(6): 1211-1221). 이러한 세라마이드는 초장 사슬 에스테르화된 세라마이드, 뿐만 아니라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부터 유래한 오일의 국소 도포에 의해 역시 유도되는 AdS 세라마이드와 함께 층상 이중막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Bouwstra et. al., Biochim. Biophys. Acta. 1996, 1300(3): 177-186). 세라마이드 NH와 함께 세라마이드 NP도 이들 세라마이드의 양이 감소할 때 피부 건조에 관여한다 (Ishikawa et. al., J. Cosmet. Dermatol. 2013, 12(1): 3-11).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부터 유래한 오일을 도포하는 것에 의한, 총 세라마이드, 구체적으로 EOS, NP 및 NS 세라마이드와 같은 장벽 기능에 주요 역할을 담당하는 세라마이드의 수준 증가는 표피 장벽 기능에 미치는 강화 효과에 매우 바람직하다.
제 2 일련의 실험
본 발명의 제 2 일련의 실험에서, 양성 대조군 (덱세릴® 크림)은 예상된 바와 같이, 지질의 합성, 구체적으로 콜레스테롤 유도체 및 총 세라마이드의 합성을 유도시킨다. 지질의 합성이 제 1 일련의 실험 동안 관찰된 것보다 낮은 점을 주목해야 한다. 이러한 결과는 실험 조건을 여전히 확인시킨다.
이러한 조건 하에, 실시예 2에 따른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부터 유래한 오일은 처리되지 않은 재구성된 표피와 비교하여 총 세라마이드의 합성을 약 13.6% 증가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오일의 영양 공급 효과를 입증하고 있다.
제 1 일련의 실험에서와 같이, 연구는 세라마이드가 제형물에 없기 때문에, 반드시 피부를 통한 산물의 도포에 의해 유도되는 상이한 부류의 세라마이드에 중점을 두었다. 실시예 2에 따른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부터 유래한 오일의 도포에 의해 획득된 결과는 표 3에 요약된다.
하기 표 3은 실시예 2에 따른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부터 유래한 오일의 도포에 의해 생산되는 세라마이드의 유도 백분율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실시예 2에 따른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부터 유래한 오일은 거의 모든 세라마이드, 구체적으로 장벽 기능에서 주요 역할을 담당하는 세라마이드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생산을 유도한다.
이러한 결과 모두는 실리붐 마리아눔의 속열매부터 유래한 오일이 영양 공급 효과를 갖을 뿐만 아니라, 내인성 세라마이드 합성을 유도하고, 이에 따라 표피 장벽 기능을 개선할 수 있는 점을 보여준다.

Claims (16)

  1. 표피 장벽 기능의 감소를 예방하고/거나 표피 장벽 기능을 증가시키는, 실리붐 마리아눔 (L.) 가에어튼. (Silybum marianum (L.) Gaertn.)의 속열매부터 유래한 오일의 미용적 용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의 수분 손실 및/또는 외부 공격에 대응한 보호작용을 강화하기 위한, 용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두피를 포함한 피부 및/또는 점막에 영양 공급하고/거나 수분 공급하기 위한, 용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벽 기능을 강화 또는 회복시킴으로써 상기 피부 복구를 개선하기 위한, 용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의 저림, 가려움, 당김, 붉은기 또는 자극을 예방하고/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용도.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붐 마리아눔 (L.) 가에어튼.의 속열매로부터 유래한 오일은 실리붐 마리아눔 (L.) 가에어튼.의 속열매를 냉각 압축하는 단계 및 이어진 여과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단계는 추출 상 및 액체 상을 제공하도록 극성 내지 중등도 극성 추출 용매로의 추출 단계, 상기 추출 상 및 상기 액체 상의 분리 단계, 및 상기 액체 상의 회수 단계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 내지 중등도 극성 추출 용매는 C1 내지 C3 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된 액체 상은 다음으로 탈용매 처리하고, 다음으로 선택적으로 탈취 처리되고/거나 표백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0. 표피 장벽 기능의 감소를 예방하고/거나 표피 장벽 기능을 증가시키는, 실리붐 마리아눔 (L.) 가에어튼.의 속열매로부터 유래한 적어도 하나의 오일을 적어도 하나의 미용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와 함께 포함하는 미용적 조성물의 용도.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의 수분 소실 및/또는 외부 공격에 대응한 보호작용을 강화하기 위한, 미용적 조성물의 용도.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두피를 포함한 피부 및/또는 피부에 영양 공급하고/거나 수분 공급하기 위한, 미용적 조성물의 용도.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장벽 기능을 강화 또는 회복시킴으로써 상기 피부 복구를 개선하기 위한, 미용적 조성물의 용도.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의 저림, 가려움, 당김, 붉은기 또는 자극을 예방하고/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미용적 조성물의 용도.
  15. 제 10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용적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실리붐 마리아눔 (L.) 가에어튼.의 속열매로부터 유래한 상기 오일을 0.1 중량% 내지 2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적 조성물의 용도.
  16. 표피 장벽 기능의 감소를 예방하고/거나 표피 장벽 기능을 증가시키는 미용적 방법으로서, 필요가 있는 사람에게 실리붐 마리아눔 (L.) 가에어튼.의 속열매로부터 유래한 오일의 유효량, 또는 실리붐 마리아눔 (L.) 가에어튼.의 속열매로부터 유래한 적어도 하나의 오일을 적어도 하나의 미용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와 함께 포함하는 미용적 조성물의 투여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37006650A 2020-08-31 2021-08-31 피부의 장벽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실리붐 마리아눔 (l.) 가에어튼. 오일 KR202300573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2008818A FR3113585A1 (fr) 2020-08-31 2020-08-31 Huile de Silybum marianum (L.) Gaertn. dans le renforcement de la fonction barrière de la peau
FR2008818 2020-08-31
PCT/FR2021/051499 WO2022043641A1 (fr) 2020-08-31 2021-08-31 Huile de silybum marianum (l.) gaertn. dans le renforcement de la fonction barrière de la peau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7368A true KR20230057368A (ko) 2023-04-28

Family

ID=74859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6650A KR20230057368A (ko) 2020-08-31 2021-08-31 피부의 장벽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실리붐 마리아눔 (l.) 가에어튼. 오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30270660A1 (ko)
EP (1) EP4203985A1 (ko)
JP (1) JP2023539314A (ko)
KR (1) KR20230057368A (ko)
CN (1) CN115996702A (ko)
BR (1) BR112023003135A2 (ko)
CA (1) CA3189156A1 (ko)
FR (1) FR3113585A1 (ko)
MX (1) MX2023002303A (ko)
WO (1) WO20220436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13585A1 (fr) 2020-08-31 2022-03-04 Pierre Fabre Dermo-Cosmetique Huile de Silybum marianum (L.) Gaertn. dans le renforcement de la fonction barrière de la peau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15308B2 (en) * 2010-12-30 2014-08-26 Mary Kay, Inc. Multi-purpose cosmetic compositions
FR3053253B1 (fr) * 2016-07-01 2020-01-17 Pierre Fabre Dermo-Cosmetique Nouvel extrait d'akenes de silybum marianum et ses utilisations en dermatologie et dermo-cosmetique
FR3075037B1 (fr) * 2017-12-20 2020-07-17 Pierre Fabre Dermo-Cosmetique Association d'un retinoide et d'un extrait de silybum marianum (l.) gaertn
FR3099699A1 (fr) * 2019-08-06 2021-02-12 Pierre Fabre Dermo-Cosmetique Extrait d’akènes de Silybum marianum (L.) Gaertn. pour promouvoir la croissance capillaire
FR3113585A1 (fr) 2020-08-31 2022-03-04 Pierre Fabre Dermo-Cosmetique Huile de Silybum marianum (L.) Gaertn. dans le renforcement de la fonction barrière de la peau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39314A (ja) 2023-09-13
EP4203985A1 (fr) 2023-07-05
CN115996702A (zh) 2023-04-21
FR3113585A1 (fr) 2022-03-04
US20230270660A1 (en) 2023-08-31
BR112023003135A2 (pt) 2023-04-04
WO2022043641A1 (fr) 2022-03-03
MX2023002303A (es) 2023-03-21
CA3189156A1 (fr) 2022-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38724B (en) The pharmaceutical and cosmetic composition for increasing skin lipid with the component of vegetable oil
JP3816262B2 (ja) セラミド産生促進剤
CN106580797A (zh) 一种美白祛斑霜及其制备方法
US8906433B2 (en)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moisturisation comprising pine-resin extract, Pinus densiflora needle extract and Pinus densiflora root extract
JP2019535783A (ja) トリュフ抽出物およびネオヘスペリジンジヒドロカルコンを含む組成物
KR101985354B1 (ko) 여드름 병변 예방 및 개선효과가 있는 한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227355B1 (ko) 비자극성 약산성 각질제거 및 상피세포 영양 공급을 위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00922A (ko) 오크라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5173B1 (ko)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6622015B2 (ja) 皮膚外用剤又は化粧料
JP3991164B2 (ja) ナツメ抽出物および胡桃抽出物を含む化粧料組成物
KR100702327B1 (ko) 자극완화 효과를 갖는 동백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20230057368A (ko) 피부의 장벽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실리붐 마리아눔 (l.) 가에어튼. 오일
JP6382197B2 (ja) 皮膚の老化の徴候に対するおよび酸化防止剤としてのLaserpitiumsilerL.のエッセンシャルオイルの化粧的使用方法
KR102104214B1 (ko) 포타슘 알룸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86922A (ko) 천연발효 솔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자극의 완화 및 피부보습용 조성물
JP5175744B2 (ja) 海松子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JP2008239494A (ja) 皮膚外用剤
JP5717958B2 (ja) セラミド産生促進剤、並びに該セラミド産生促進剤を用いた医薬品組成物、皮膚外用剤、化粧料組成物、及び化粧料
KR102162377B1 (ko) 천연물 유래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00153B1 (ko) 백강잠 추출물을 함유하는 백강잠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3916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81403B1 (ko) 비자 세라마이드와 울금 및 동백유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37914B1 (ko) 감꼭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4485020B2 (ja) 毛髪化粧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