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1372B1 - 피부 탄력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탄력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1372B1
KR100471372B1 KR10-2001-0076158A KR20010076158A KR100471372B1 KR 100471372 B1 KR100471372 B1 KR 100471372B1 KR 20010076158 A KR20010076158 A KR 20010076158A KR 100471372 B1 KR100471372 B1 KR 100471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malt
yeast extract
soybe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6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5437A (ko
Inventor
김연준
김진웅
김진한
김한곤
강학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평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to KR10-2001-0076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1372B1/ko
Publication of KR20030045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5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1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13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33Lich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흡수능이 증진된 피부 탄력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피부의 탄력을 향상시키는 수용성 활성성분인 대두추출물, 맥아추출물 및 효모추출물 0.02 내지 15.00중량%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친(Hydrogenated Lecithine) 0.01% 내지 5.0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본 발명을 이용하면, 엘라스틴의 분해를 막는 효과가 있는 대두추출물, 콜라젠의 분해를 막는 효과가 있는 맥아추출물, 콜라젠의 합성을 증대시키고, 인테그린의 합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는 효모추출물을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친에 포집시킨 후, 그 포집물을 화장료 조성물에 첨가하여 리포좀을 형성함으로써, 친수성 활성성분들인 대두추출물, 맥아추출물, 효모추출물의 피부각질층과의 친화도를 증진시켜, 대두추출물, 맥아추출물, 효모추출물의 피부 흡수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이와 같이 대두추출물, 맥아추출물, 효모추출물의 피부 흡수도를 향상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피부 탄력성을 증대 시키고 보습력을 강화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그 피부흡수증진 기작에 있어, 각질층의 구조를 파괴하지 않으므로, 피부자극 등의 문제가 거의 없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피부 탄력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lifting}
본 발명은 피부의 탄력을 증진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수용성 활성성분인 대두추출물, 맥아추출물 및 효모추출물을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친에 포집시켜 피부 흡수도를 증진시키는 방법을 통하여 활성성분의 피부흡수도가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 말하자면, 본 발명은 대두추출물, 맥아추출물, 효모추출물, 혹은 기타 수용성 활성성분을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친에 포집시키는 단계에서 얻어진 것을 화장료 조성물에 첨가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크게 각질층, 표피층, 진피층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질층이 피부 최외각에 존재하게 된다. 약물의 피부흡수에 있어 제1의 장벽은 각질층임이 알려져 있다. 각질층은 케라틴 단백질을 주성분으로 하는 각질세포와 각질세포간을 구성하는 지질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물질의 피부흡수에 있어 각질세포를 통과하여 흡수되는 것은 사실상 매우 어려우며, 각질세포간의 지질층을 통과하는 경로가 일반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지용성(oil-soluble) 물질의 피부흡수는 비교적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반면 지질층에 분배되기 어려운 수용성(water-soluble) 물질은 일반적으로 그 흡수정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피부흡수에 있어 또 다른 경로는 땀샘이나 모공과 같은 외부를 향해 열려 있는 피부 공극을 통한 경로인데, 전체 피부 면적 중 모공 혹은 땀샘이 차지하는 비율은 매우 미미하여 일반적으로 약물의 피부 흡수에 크게 기여하지는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두추출물, 맥아추출물, 효모추출물의 경우 대표적인 피부 탄력을 주는 성분으로 물에 대한 용해도가 높다. 따라서, 상술한 원인에 의해 피부흡수가 어려워, 잠재적으로 여러 가지 피부효능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화장품용 제제로서 효과적으로 이용되기 어려웠다. 대두추출물, 맥아추출물, 효모추출물과 같은 고분자 물질을 피부에 고농도로 처리하거나 장시간 도포할 경우에도 피부흡수가 적게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저농도에서도 단시간 내에 피부흡수가 가능한 피부 흡수 증진 기술에 대한 요구가 절실하였다. 여기에서 대두추출물, 맥아추출물, 효모추출물을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친에 포집한 것을 파워 리프팅 이엑스(POWER LIFTING EX)로 명칭한다.
종래에, 상기 대두추출물, 맥아추출물 및 효모추출물과 같은 수용성 활성성분의 피부흡수 증진을 위해, 초음파(sonophoresis) 혹은 미세한 전기자극 (iontophoresis)을 피부에 부여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으나[Sloan JB, Slotani K. Iontophoresis in dermatology:a review, J. Am. Acad. Dermatol. 1986, 4:671; Langer R. Ultrasound-mediated transdermal protein delivery Science 1995; 269:850], 이러한 방법은 고가의 장비가 필요한 문제점 등으로 인해 현실적으로 화장료에 적용하기 어려웠다. 또한, 피부흡수 촉진 효과가 있는 유기용매, 계면활성제, 혹은 저급지방산등을 첨가하는 방법도 공지되어 있으나[Chen LH, Chien YW, Enhancement of skin penetration In Novel cosmetic delivery systems 1999, 60; Rhein LD, Robbins CR, Fernee K, Cantore R. Surfactant structure effects on swelling of isolated human stratum corneum, J. Soc Cosmet Chem 1986; 37:125; Cooper ER, Merritt EW, Smith RL. Effect of fatty acids and alcohols on the penetration of acyclovir across human skin in vitro J. Pharm Sci 1985; 74:688], 피부에 사용하는 화장료 제제에 있어 적용할 수 있는 유기용매의 종류와 함량이 규제되어 있고, 또 경피 흡수 촉진 효과가 있는 대부분의 유기용매, 계면활성제, 저급지방산등은 각질층의 구조를 파괴함으로써 피부자극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었다. 한편,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친에 활성성분을 포집시켜 서방화 하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레티놀등과 같은 지용성 물질의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친으로부터의 방출속도를 감소시켜 자극을 줄이거나(미국특허 제 5,145,675), 혹은 불안정한 지용성 성분을 외부기제로부터 격리시켜 안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미국특허 5,703,041), 이들 공지된 기술은 피부 흡수가 어려운 수용성 성분의 피부 흡수 증진은 언급하고 있지 않다.
피부탄력은 진피층에 존재하는 엘라스틴(elastin)으로 구성된 탄력섬유에 의해 나타나는데, 이러한 탄력섬유는 고무와 같이 매우 낮은 탄성계수를 가지고 있어서, 작은 힘에 의해서도 쉽게 변형되고, 또 그 힘이 제거되었을 때는 쉽게 원형으로 되돌아 온다. 또한, 탄력섬유는 엘라스틴이라는 무정형의 기질에 미원섬유(microfibrils)들이 박혀 있는 형태를 띠고 있으며, 엘라스틴은 라이신에서 유래한 데스모신(desmosine)과 아이소데스모신(isodesmosine)이라는 탄력섬유에서만 발견되는 아주 톡특한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단백질이다. 이러한 데스모신과 아이소데스모신 등은 긴 펩타이드 사슬안에서 가교(cross-links)를 형성하고 있는데, 이러한 구조가 엘라스틴으로 하여금 고무와 같은 성질을 갖게 한다.
또한, 엘라스틴으로 구성된 탄력섬유는 콜라젠(collagen)이라고 하는 교원섬유와 함께 존재하는데, 엘라스틴과 콜라젠이 충분히 존재하는 상태에서 피부 탄력유지가 가능하다.
한편, 피부 탄력저하는 노화와 자외선등에 의한 피부세포(섬유아세포)의 약화로 엘라스틴의 생성저하 및 파괴에 의해 유발된다. 자외선 등에 의해 피부내에 엘라스틴 분해효소가 발현되며 이 효소는 피부내의 정상적인 엘라스틴을 분해하여 피부 탄력저하를 가져온다. 또한, 피부 탄력저하는, 피부 진피의 70%이상을 구성하는 콜라젠이라는 단백질의 손상 및 생성저하에 의해서도 발생된다. 콜라젠 역시 자외선등에 의해 유발되는 콜라게나제(collagenase)라는 분해효소에 의해 분해된다.
피부탄력을 증대시키는 것과 관련된 특허들을 살펴보면, 레구미노사 종자(Leguminosae Seeds)에서 얻어진 단백질분획은 탄력증대효과를 나타내며(미국특허 제5,322,839호), 맥아추출물(malt extract)등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콜라게나제(collagenase)를 억제하는데 응용되고 있으며(일본특제 제5,105,693호), 콜라게나제 또는 엘라스타제의 억제제로 카르바민산 펩티드(peptidyl carbamates), 티오카르바민산 펩티드(peptidyl thiocarbamates), 하이드록사메이트(hydroxamates), 세팔로스포린(cephalosporins), 설포산염(sulphonate salts)등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미국특허 제5,614,489호)등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피부탄력증대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단순히 콜라게나제의 활성을 억제시키거나 또는 엘라스타제의 활성을 억제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진피층에 한정되게 작용하여 그 기능의 극대화를 가져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친수성 활성성분들인 대두추출물, 맥아추출물, 효모추출물의 피부각질층과의 친화도를 증진시켜, 대두추출물, 맥아추출물, 효모추출물의 피부 흡수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이 대두추출물, 맥아추출물, 효모추출물의 피부 흡수도를 향상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피부 탄력성을 증대 시키고 보습력을 강화시키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특히, 그 피부흡수증진 기작에 있어, 각질층의 구조를 파괴하지 않으므로, 피부자극 등의 문제가 거의 없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의 탄력을 향상시키는 수용성 활성성분인 대두추출물, 맥아추출물 및 효모추출물 0.02 내지 15.00중량%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친(Hydrogenated Lecithine) 0.01% 내지 5.0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대두추출물, 맥아추출물 및 효모추출물이 각각 0.01 내지 5.00중량%의 농도로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피부 탄력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대두추출물을 0.01∼5.0중량%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대두추출물은, 콩과인 레구미노사 종자(Leguminosae Seeds) 또는 파세올러스 오레어스(Phaseolus aureus), 콩 글라이신 맥스(Soybeans Glycine max), 글라이신 히스피다(Glycine hispida)와 동속식물의 열매를,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아세트알데히드를 사용하여 추출함으로서 페놀성 물질이 거의 제거된 대두추출물을 말한다.
대두추출물은 엘라스틴을 분해하는 효소인 엘라스타제의 억제제로 작용한다.
대두추출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준비될 수 있다.
말린 콩(dried soybeans)을 간 후 콩펄프(soybean pulp)를 만들고 나서, 탄화수소와 함께 지방을 추출한 후, 여과시킨다. 이로부터 지방질이 제거된 콩펄프(defatted soybean pulp)를 얻을 수 있는데, 이것을 다시 건조시키고 산성 추출(acid extraction)시킨 후 원심침전(centrifugation)시켜 콩 추출물(soybean extract)을 얻는다. 이것을 감압증류(vacuum distillation)에 의해 농축시키고 이때 설포산 암모늄으로 분별(ammonium sulfate fractionation )시킨다. 그러면, 활성이 있는 분획(active fraction)을 얻게 되는데, 이것을 용해(dissolution), 투석(dialysis), 여과(filtration) 과정을 거치도록 하여 대두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맥아추출물을 0.01∼5.0중량% 함유한다.
삭제
맥아추출물은 맥아(malt)를 친수성 용매인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아세트알데히드로 여과하여, 낮은 분자량의 분획을 제거하고 분자량이 10,000정도가 되는, 표면 위로 떠오르는 것을 제거한 것이다.
맥아추출물은, 콜라젠을 분해하는 효소인 콜라게나제의 억제제로서 작용한다.
맥아추출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준비될 수 있다.
맥아(malt)를 물과 알칼리성 조건 하의 친수성 용매로 당화(saccharifying), 여과(filtering), 추출(extracting)하여, 낮은 분자량의 분획들이 제거된 추출물을 얻는다. 얻어진 추출물을 알칼리성 조건에서 중화시키고 분자량이 10,000정도가 되는, 표면위로 떠오르는 것을 제거하여, 맥아추출물(malt extract)을 얻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효모추출물을 0.01∼5.0중량%를 함유한다. 효모추출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준비될 수 있다.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를 물에 용해시킨 후, 여과에 의해 용해된 부분과 용해되지 않는 부분을 분리한 후, 용해된 부분을 별도로 취해 농축시킨 후, 여과하여 효모추출물(yeast extract)를 얻는다.
대두추출물, 맥아추출물 및 효모추출물을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친에 포집시키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친과 활성성분 용액을 물리적 접촉시켜,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친 내에 활성성분을 포집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친에 활성성분을 포집시키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친은 시중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고, 대두추출물, 맥아추출물, 효모추출물 역시 시중에서 용이하게 구입이 가능하며,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화학적으로 혼합할 수 있다.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친에의 흡착은 통상적으로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친과 활성성분의 용액간의 물리적 접촉에 의해 이루어진다. 흡착을 원활히 하기 위해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친 분산액을 교반, 가온하거나 또는 계면활성제를 첨가하는 등의 방법을 동원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의 효능을 입증하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들을 제시함으로써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대두추출물, 맥아추출물 및 효모추출물이 피부의 탄력성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실험 1: 대두추출물의 엘라스틴 생성 촉진 효과>
사람으로부터 직접 채취하거나 상업적으로 구입한 사람의 섬유아세포에, 대두추출물을 처리하여 엘라스타제(elastase) 활성의 억제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실험에 사용할 대두추출물은 상품명이 엘라스리프트(ELASLIFT, PENTAPHARM Co.에서 제조)인 대두추출물을 이용하였다.
사람의 섬유아세포를 배양용 플라스크에 넣고 약 70∼80% 정도 자랄 때까지 배양하였다. 그 후 대두추출물을 1일간 처리한 후 세포배양액을 채취하여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엘라스틴 측정기구를 이용하여 엘라스틴 생성정도를 측정하였다(Biochemical Medicine 11:350-357, 1974 "The synthesis and analytical use of a highly sensitive and convenient substrate of elastase" 와 J.Invest Dermatol 86:63-68, 1986 "Elastase and neutral cathepsin production by human fibroblasts effect of culture conditions on synthesis and secretion" 참조). 즉, 엘라스타제의 기질인 Suc-(Ala) 3NA를 이용하여, NA가 분해되면서 생기는 색의 변화를 흡광도를 이용하여, 엘라스타제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대두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군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실험결과는 표 1에 나타나 있다.
물 질 활성 억제율(%)
대두추출물 0.1% 30
대두추출물 0.01% 10
대조군 0
<실험 2: 맥아추출물의 콜라젠 생성 촉진 효과>
삭제
사람으로부터 직접 채취하거나 상업적으로 구입한 사람의 섬유아세포에 맥아추출물을 처리하여 콜라게나제 활성 억제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실험에 사용할 맥아추출물은 상품명이 콜라리프트(COLLALIFT, COLETICA Co.에서 제조)인 맥아추출물을 이용하였다.
사람의 섬유아세포를 배양용 플라스크에 넣고 약 70∼80% 정도 자랄 때까지 배양하였다. 이후 맥아추출물을 1일간 처리한 후 세포배양액을 채취하여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콜라게나제 활성측정기구를 이용하여 콜라젠 생성 정도를 측정하였다(Anal Biochem 116(1):172-7, 1987 "An assay of collagenase activity using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for mammalian collagenase" 참조). 즉, 콜라게나제에 대한 항체를 이용하여, 사람(Human)에서 유래한 MMP-1(Matrix Metalloproteinase-1)을 정량하였다.
이때, 맥아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군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실험결과는 표 2에 나타나 있다.
물 질 활성 억제율(%)
맥아추출물 0.1% 28
맥아추출물 0.01% 10
대조군 0
<실험 3: 효모추출물의 엘라스틴 생성 촉진 효과>
사람으로부터 직접 채취하거나 상업적으로 구입한 사람의 섬유아세포에 효모추출물을 처리하여 엘라스틴 생성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실험에 사용할 효모추출물은 상품명이 이스트 익스트렉트 또는 토니스킨(YEAST EXTRACT 또는 TONISKIN, Silab Co.에서 제조)인 효모추출물을 이용하였다.
사람의 섬유아세포를 배양용 플라스크에 넣고 약 70∼80% 정도 자랄 때까지 배양하였다. 그 후 효모추출물을 1일간 처리한 후 세포배양액을 채취하여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엘라스틴 측정기구를 이용하여 엘라스틴 생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효모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군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실험결과는 표 3에 나타나 있다.
물 질 엘라스틴 생성율(%)
효모추출물 0.1% 12
효모추출물 0.01% 3
대조군 0
또한, 본 발명자들은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친이 대두추출물의 피부 흡수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실험4: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친이 대두추출물의 피부 투과능에 미치는 영향>
대두추출물 0.5중량% 및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3.0중량%를 포함한 화장수(비교예1)와, 대두추출물 0.5중량%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친 3.0중량%을 포함한 화장수(비교예2)의 피부 투과능 차이를 비교 실험하였다. 비교예1 및 비교예2에 따른 화장수의 구체적인 조성은 하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다.
성 분 비교예1 비교예2
1.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3.0 -
2.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친 - 3.0
3.세틸옥타노에이트 3.0 3.0
4.메칠파라벤 0.15 0.15
5.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디나트륨 0.02 0.02
6.대두추출물 0.5 0.5
7.정제수 To 100 To 100
상기 화장수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1) A(1 - 4) 와 B(5 - 7)을 각각 75℃까지 가열한다.
2) B에 A를 조금씩 첨가하며 7000rpm 속도로 유화 교반한다. A를 전량 첨가한 후 2분간 유화교반 한다.
3) 1분간 2500rpm으로 교반하여 조성물로부터 공기를 탈기한다.
4) 조성물이 담긴 비이커를 얼음물에 담그어 28 - 30℃까지 냉각시킨다.
5) 제조된 조성물을 상온에 24시간 방치하여 안정화시킨다.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비교예1 및 비교예2의 화장수가 피부 투과능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기네아피그 피부를 대상으로 프란츠 투과 셀을 이용하였다. 실험 직전 기네아피그의 복부부분 피부를 채취하여 평방 1cm2의 면적으로 절단한 후, 이를 투과경의 직경이 0.9cm의 투과셀에 정치한 후 클램프로 고정하였다. 피부의 한 쪽 면(a)에 측정하고자 하는 상기 비교예1 및 비교예2의 화장수를 0.5 ml 도포하고 반대쪽(b)은 정제수와 글리세린이 1:1 중량비로 혼합된 용매와 접촉하도록 하였다. 실험시 온도는 실제 피부온도인 32℃를 유지하였다. 실험 시작 후 일정시간 간격으로 화장수 처리면의 반대쪽(b)의 일부를 채취하여 HPLC를 이용하여 피부를 투과한 대두추출물의 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간(hour) 비교예1 비교예2
도포 농도(중량%) 당 대두추출물의 피부투과 (mg/cm2/중량%)
0 0 0
6 0 15.0
12 0 30.3
24 0 52.1
일반적으로 화장의 지속시간이 4시간에서 8시간 사이임을 감안할 때, 상기 표로부터 대두추출물의 피부 흡수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친을 이용하여 포집시킨 경우(비교예2)가 대두추출물을 바로 조성물에 첨가한 경우(비교예1)에 비해 상당히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비교예2의 결과 상태를 광학현미경 사진으로 촬영하였다. 그 사진은 하기 도1에 나타내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친에 대두추출물, 맥아추출물, 효모추출물과 같은 수용성 활성성분을 포집시킨 후 화장품 조성물에 첨가하는 경우, 피부 흡수의 증진은 다음의 수식을 통해 예측할 수 있다.
조성물의 피부 흡수는 일반적으로 수동확산(Passive diffusion) 기작을 통해 일어나며, 이를 기술하는 수식은 다음과 같다.
J = - D * dC / dX ..............................(1)
J : 전달될 물질 전달 플럭스
D : 전달될 물질의 확산계수
C : 전달될 물질의 농도
X : 전달될 물질의 이동거리
피부흡수에 있어 (1) 식은 다음과 같은 변형이 가능하다
J = K * Dsc * ΔC/ h .........................(2)
K : 전달될 물질과 각질층간 분배계수
Dsc : 각질층내 전달될 물질의 확산계수
h : 각질층의 두께
상기 (2)의 식에 의거하면 피부흡수를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은 크게, 전달될 물질의 각질층에 대한 분배를 증진시키는 방법, 각질층 구조 변형을 통한 전달될 물질의 확산계수 증진, 각질층 제거, 도포농도의 증가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각질층의 구조 변형 혹은 각질층 제거를 통한 방법은 일반적으로 피부자극을 동반할 우려가 크다. 또한, 전달될 물질 자체가 피부에 대한 자극을 유발하는 경우라면 도포농도를 증가하는 것도 피부자극을 유발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가장 효과적인 피부흡수 증진 방법은 전달될 물질과 각질층간의 분배계수를 증진하는 방법으로 추측된다. 특히 대두추출물, 맥아추출물, 효모추출물과 같은 수용성 물질의 경우 피부흡수도가 낮은 주요 원인 중 하나가 전달될 물질의 각질층에 대한 낮은 분배도로 알려져 있으므로, 분배계수의 증진은 피부흡수 촉진에 있어 매우 효과적일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피부흡수 증진 효과는 대두추출물, 맥아추출물, 효모추출물에 국한되지 않고, 극성이 높아 피부각질층으로의 분배가 어려운 여타의 수용성 물질에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이 예측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3 내지 6: 각각 대두추출물, 맥아추출물, 효모추출물을 함유한 포집체의 제조>
대두추출물, 맥아추출물, 효모추출물이 각각 0.5중량%,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친 3.0중량%와 물을 혼합하여 다음과 같은 화장수들을 제조하였다.
성 분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1.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친 3.0 3.0 3.0 3.0
2.세틸옥타노에이트 3.0 3.0 3.0 3.0
3.메칠파라벤 0.15 0.15 0.15 0.15
4.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디나트륨 0.02 0.02 0.02 0.02
5.대두추출물 - 0.5 - -
6.맥아추출물 - - 0.5 -
7.효모추출물 - - - 0.5
8.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상기 화장수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1) A (1 - 3) 와 B (4 - 8) 을 각각 75℃까지 가열하였다.
2) B 에 A를 조금씩 첨가하며 7000rpm의 속도로 유화교반 한다. A를 전량 첨가한 후 2분간 유화교반하였다.
3) 1 분간 2500rpm 으로 교반하여 조성물로부터 공기를 탈기하였다.
4) 조성물이 담긴 비이커를 얼음물에 담그어 28 - 30℃까지 냉각시켰다.
5) 제조된 조성물을 상온에 24시간 방치하여 안정화시켰다.
<실시예 1 내지 4: 대두추출물, 맥아추출물 및 효모추출물 중 적어도 둘 이상을 함유한 포집체의 제조>
다음과 같은 조성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 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1.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친 3.0 3.0 3.0 3.0
2.세틸옥타노에이트 3.0 3.0 3.0 3.0
3.메칠파라벤 0.15 0.15 0.15 0.15
4.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디나트륨 0.02 0.02 0.02 0.02
5.대두추출물 0.5 0.5 - 0.5
6.맥아추출물 0.5 - 0.5 0.5
7.효모추출물 - 0.5 0.5 0.5
8.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본 발명자들은 실제 동물 실험을 통해 상기 제조된 비교예3 내지 비교예6, 및 실시예1 내지 실시예4의 화장수 조성물이 엘라스틴 증가 및 콜라겐 증가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 지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실험 5: 동물 실험, 엘라스틴 및 콜라겐 증가율 측정>
털없는 쥐(Hairless mouse)에 자외선을 8주간 매일 1회(UVB 70mJ/㎠) 조사한 후 2개의 군으로 나누어(각 군당 20마리), 상기 비교예 3 내지 6 및 실시예 1 내지 4를 각각 1달간 매일 100mℓ씩 등부위에 도포한 후 생검하여 조직학적으로 엘라스틴 및 콜라젠의 형성을 측정하였다. 이 때 측정 방법은 엘라스틴의 염색 정도를 화상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여 엘라스틴 형성을 측정하였으며, 새로이 생성되는 콜라젠은 면역 염색한 후 이를 화상분석을 통하여 분석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 표에 나타나 있다.
결 과 엘라스틴 증가율(%) 콜라젠 증가율(%)
비교예 3 0 0
비교예 4 34.5 0
비교예 5 0 32.9
비교예 6 21.0 22.0
실시예 1 42.5 39.2
실시예 2 62.2 28.7
실시예 3 27.3 61.9
실시예 4 92.2 88.7
상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두추출물만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있는 비교예 4와 대두추출물 및 효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있는 실시예 2를 비교하면, 실시예 2에서 효모추출물에 의한 엘라스틴 증가율의 상승효과를 볼 수 있으며, 콜라젠도 증가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맥아추출물만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있는 비교예 5와 맥아추출물 및 효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있는 실시예 3를 비교하면, 실시예 3에서 효모추출물에 의한 콜라젠 증가율의 상승효과를 볼 수 있으며, 엘라스틴도 증가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두 비교 결과를 종합해 보면, 효모추출물의 첨가로 인해 대두추출물 본래의 기능인 엘라스틴 증가 및 맥아추출물 본래의 기능인 콜라젠 증가를 더욱 현저하게 상승시킬 뿐만 아니라, 대두추출물 또는 맥아추출물만을 첨가하였을 경우에는 엘라스틴 또는 콜라젠의 둘 중 하나만을 증가시켰던 것에 비해 효모추출물을 더 첨가함으로써 본래 없었던 엘라스틴 증가 또는 콜라젠 증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엘라스틴 증가율 및/또는 콜라젠 증가율의 상승효과는 효모추출물, 대두추출물 및 맥아추출물 모두가 포함된 화장수를 도포하였을 경우에 최대였다(실시예 4).
<실험 6: 임상 시험, 피부 탄력 측정>
상기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에서 제조된 화장수에 대하여 피부탄력 회복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30∼40대 여성 280명을 대상으로 20명을 1개군으로 하여 14개군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실험 대상인 여성들 피부의 탄력성과 보습력을 각각 큐토미터(cutometer; SEM474, 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와 코네오미터(coneometer; CM820 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후 각 조에 비교예 3 내지 6 및 실시예 1 내지 4에 따른 조성물을 주고 매일 1회 1개월간 도포하게 한 후, 1개월 후 다시 큐토미터(cutometer; SEM474, 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얼굴 부위의 탄력을 측정하여 도포하기 전과 비교하였고, 코네오미터(coneometer; CM820 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보습력을 측정하여 도포하기 전과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는 다음 표에 나타나 있으며, 표의 수치는 각 군의 평균치이다.
사용1개월 후 임상결과 1. 보습력증가(%) 2. 피부탄력개선도(%)
비교예 3 8 2
비교예 4 24 37
비교예 5 26 34
비교예 6 22 28
실시예 1 31 41
실시예 2 52 51
실시예 3 53 49
실시예 4 72 88
상기 결과를 살펴보면, 대두추출물만을 유효성분으로 한 경우(비교예 4)나 맥아추출물만을 유효성분으로 한 경우(비교예 5)보다, 이들 성분에 효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하고 있는 조성물의 경우(실시예 2, 3, 4)가 보습력 및 피부탄력개선도 둘 다에 있어서 현저한 상승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가장 효과가 좋은 경우는 대두추출물, 맥아추출물 및 효모추출물을 모두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한 경우(실시예4)였다.
제형예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이 피부 탄력과 보습에 우수한 상기 성분들이 실제 상업화할 수 있는 제형들, 예컨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등에 첨가시의 바람직한 조성비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유연화장수의 경우에는 대두추출물은 0.01∼5.0%, 맥아추출물은 0.01-5.0%, 효모추출물은 0.01∼5.0%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양화장수의 경우에는 대두추출물은 0.01∼5.0%, 맥아추출물은 0.01-5.0%, 효모추출물은 0.01∼5.0%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양크림의 경우에는 대두추출물은 0.01∼5.0%, 맥아추출물은 0.01-5.0%, 효모추출물은 0.01∼5.0%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사지크림의 경우에는 대두추출물은 0.01∼5.0%, 맥아추출물은 0.01-5.0%, 효모추출물은 0.01∼5.0%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센스의 경우에는 대두추출물은 0.01∼5.0%, 맥아추출물은 0.01-5.0%, 효모추출물은 0.01∼5.0%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비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을 화장료에 적용하려면, 정제수를,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등의 화장료를 각각 제조하는데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성분 및 성분비로 대체하면 된다. 구체적으로 다음 제형예들에 기재되어 있다.
[제형예 1: 현탁유액 화장수]
다음 표는 본 발명에 따른 현탁유액 화장수의 구성성분 및 성분비를 나타낸 것이다.
구성성분 성분비(중량%)
메칠파라벤향료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친세틸옥타노에이트폴리옥시에칠렌경화피마자유폴리실록산초산토코페롤에탄올글리세린프로필렌글리콜카르복시비닐폴리머대두추출물맥아추출물효모추출물정제수 적량적량2.01.00.60.40.112.06.02.00.120.50.50.5TO 100
[제형예 2: 에센스]
다음 표는 본 발명에 따른 에센스의 구성성분 및 성분비를 나타낸 것이다.
구성성분 성분비(중량%)
메칠파라벤향료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친세틸옥타노에이트옥틸도데스-16콜레스-24/세테스-24폴리실록산초산토코페롤에탄올글리세린산탄검프로필렌글리콜카르복시비닐폴리머효모추출물대두추출물맥아추출물정제수 적량적량2.01.00.50.20.40.16.015.00.074.00.121.02.02.0TO 100
[제형예 3: 영양크림]
다음 표는 본 발명에 따른 영양크림의 구성성분 및 성분비를 나타낸 것이다.
구성성분 성분비(중량%)
유동파라핀세토스테아릴알코올밀납폴리실록산친유형모노스테아린산스테아레이트스테아린산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모노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칠렌소르비탄(20 E.O)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친세틸옥타노에이트메칠파라벤프로필파라벤향료에칠렌다아민테트라초산나트륨글리세린카르복시비닐폴리머프로필렌글리콜효모추출물대두추출물맥아추출물정제수 15.02.03.00.52.02.00.71.32.01.00.20.1적량0.025.00.102.01.04.04.0TO 100
[제형예 4: 젤]
다음 표는 본 발명에 따른 젤의 구성성분 및 성분비를 나타낸 것이다.
구성성분 성분비(중량%)
방부제향료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친세틸옥타노에이트글리세린호호바왁스디엘판텐놀에탄올카르복시비닐폴리머프로필렌글리콜효모추출물대두추출물맥아추출물정제수 적량적량2.01.05.03.01.07.00.63.01.01.01.0TO 100
[제형예 5: 팩]
다음 표는 본 발명에 따른 팩의 구성성분 및 성분비를 나타낸 것이다.
구성성분 성분비(중량%)
메칠파라벤향료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친세틸옥타노에이트폴리옥시에칠렌경화피마자유폴리실록산셀룰로오스검에탄올글리세린프로필렌글리콜폴리비닐알코올효모추출물대두추출물맥아추출물정제수 적량적량2.01.00.60.20.26.05.03.015.01.00.50.5TO 100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엘라스틴의 분해를 막는 효과가 있는 대두추출물, 콜라젠의 분해를 막는 효과가 있는 맥아추출물, 콜라젠의 합성을 증대시키고, 인테그린의 합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는 효모추출물을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친에 포집시킨 후, 그 포집물을 화장료 조성물에 첨가하여 리포좀을 형성함으로써, 친수성 활성성분들인 대두추출물, 맥아추출물, 효모추출물의 피부각질층과의 친화도를 증진시켜, 대두추출물, 맥아추출물, 효모추출물의 피부 흡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대두추출물, 맥아추출물, 효모추출물의 피부 흡수도를 향상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피부 탄력성을 증대 시키고 보습력을 강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그 피부흡수증진 기작에 있어, 각질층의 구조를 파괴하지 않으므로, 피부자극 등의 문제가 거의 없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대두추출물 0.5중량%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친 3.0중량%를 포함하는 화장수(비교예2)를 도포 처리한 피부를 광학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Claims (3)

  1. 피부의 탄력을 향상시키는 수용성 활성성분인 대두추출물, 맥아추출물 및 효모추출물 0.02 내지 15.00중량%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친(Hydrogenated Lecithine) 0.01 내지 5.0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대두추출물, 맥아추출물 및 효모추출물이 각각 0.01 내지 5.00중량%의 농도로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1-0076158A 2001-12-04 2001-12-04 피부 탄력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71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158A KR100471372B1 (ko) 2001-12-04 2001-12-04 피부 탄력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158A KR100471372B1 (ko) 2001-12-04 2001-12-04 피부 탄력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5437A KR20030045437A (ko) 2003-06-11
KR100471372B1 true KR100471372B1 (ko) 2005-03-08

Family

ID=29572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6158A KR100471372B1 (ko) 2001-12-04 2001-12-04 피부 탄력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13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597104T3 (es) 2007-04-19 2017-01-13 Mary Kay, Inc. Composiciones que contienen extracto de magnolia
KR101454067B1 (ko) * 2011-09-09 2014-10-2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효소-처리 홍삼 추출물 및 맥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주름개선용 조성물
FR2987998B1 (fr) 2012-03-19 2014-04-25 Isp Investments Inc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un systeme activateur de la proteine trf2 a action synergique constitue d'une association d'un extrait peptidique de soja et de levure et ses utilisations
KR101961649B1 (ko) * 2017-05-11 2019-03-25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경피흡수 촉진용 리포좀 조성물
JP6555674B1 (ja) 2018-07-24 2019-08-07 ジェネティックバイオラボ株式会社 皮膚の抗老化用剤及び抗老化関連遺伝子発現調節用剤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07499A2 (en) * 1985-07-02 1987-01-07 Sansho Seiyaku Co., Ltd. Use of Kojic acid or its beta-cyclodextrin inclusion complex for the prevention of elastosis
JPH0532522A (ja) * 1991-07-29 1993-02-09 Q P Corp 化粧料の製造方法および化粧料用添加材
KR950031014A (ko) * 1994-05-17 1995-12-18 성재갑 대두배아로부터 수용성 물질의 추출방법 및 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WO1999049832A1 (fr) * 1998-03-31 1999-10-07 Shiseido Company, Ltd. Agents favorisant la production de laminine dans les cellules de la peau
WO2000059462A1 (de) * 1999-03-31 2000-10-12 Pentapharm Ag Zusammensetzung für die kosmetische und dermatologische pflege der haut
KR20010011006A (ko) * 1999-07-24 2001-02-15 서경배 피부탄력 효과를 향상시키는 화장료 조성물
KR20010057585A (ko) * 1999-12-24 2001-07-04 고바야시 레이지로 피부외용제
KR20010105124A (ko) * 2000-05-19 2001-11-28 황상민 아토피 피부염의 피부건조증과 손상된 피부장벽의회복력을 개선시키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07499A2 (en) * 1985-07-02 1987-01-07 Sansho Seiyaku Co., Ltd. Use of Kojic acid or its beta-cyclodextrin inclusion complex for the prevention of elastosis
JPH0532522A (ja) * 1991-07-29 1993-02-09 Q P Corp 化粧料の製造方法および化粧料用添加材
KR950031014A (ko) * 1994-05-17 1995-12-18 성재갑 대두배아로부터 수용성 물질의 추출방법 및 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WO1999049832A1 (fr) * 1998-03-31 1999-10-07 Shiseido Company, Ltd. Agents favorisant la production de laminine dans les cellules de la peau
WO2000059462A1 (de) * 1999-03-31 2000-10-12 Pentapharm Ag Zusammensetzung für die kosmetische und dermatologische pflege der haut
KR20010011006A (ko) * 1999-07-24 2001-02-15 서경배 피부탄력 효과를 향상시키는 화장료 조성물
KR20010057585A (ko) * 1999-12-24 2001-07-04 고바야시 레이지로 피부외용제
KR20010105124A (ko) * 2000-05-19 2001-11-28 황상민 아토피 피부염의 피부건조증과 손상된 피부장벽의회복력을 개선시키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5437A (ko) 2003-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09084B1 (fr) Utilisation d&#39;une huile riche en acide pétrosélinique comme agent hydratant
RU2394555C2 (ru) Косме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с активностью против старения, содержащая экстракт растений aframomum angustifolium или longoza
KR20030022138A (ko) 신규한 n-아실아미노-아미드 계열 화합물, 및 이들을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FR2714596A1 (fr) Composition cosmétique pour le traitement simultané des couches superficielles et profondes de la peau, son utilisation.
EP0946138B1 (fr) Utilisation d&#39;un extrait de potentilla erecta dans le domaine de la cosmetique et de la pharmacie
KR101917645B1 (ko) 사카로미세스 효모발효여과물, 아스파라거스줄기 추출물 및 관동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471372B1 (ko) 피부 탄력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US7262224B2 (en) Cosmetic rejuvenating and healing product, method of its manufacture and uses thereof
EP1811953B1 (fr) Nouvelle utilisation d&#39;huile de chaulmoogra et de guggulipides en therapeutique et en cosmetique.
CA2271263C (fr) Utilisation de l&#39;acide cinnamique ou d&#39;au moins l&#39;un de ses derives dans une composition destinee a favoriser la desquamation de la peau, et composition le comprenant
KR20050109815A (ko) 피부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CH664490A5 (fr) Procede de preparation de compositions cosmetiques renfermant des extraits lyses d&#39;hafnia.
KR100337113B1 (ko) 피부탄력 효과를 향상시키는 화장료 조성물
EP2046356B1 (fr) Utilisation d&#39;un extrait de gleditsia en cosmétique et en dermatologie
EP1174120B1 (fr) Utilisation d&#39;un extrait d&#39;une Iridacée dans une composition destinée à stimuler les défenses immunitaires
FR2820973A1 (fr) Composition comportant de la vitamine c preparee durant l&#39;application, utilisation d&#39;enzymes pour la formation de vitamine c a usage topique et procede de traitement cosmetique
KR20050097578A (ko) 대추 추출물 및 호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화장료 조성물
WO2005044241A1 (en) Transdermal firming serum
JP2003201212A (ja) マトリックスメタロプロテアーゼ活性阻害剤および皮膚外用剤
JPH1171292A (ja) 皮膚外用剤
JP2001172157A (ja) ゼラチナーゼ活性阻害剤および抗老化用皮膚外用剤
FR2876909A1 (fr) Composition a base d&#39;huile de chaulmoogra et de bases xanthiques pour le traitement des surchages adipeuses.
KR100787312B1 (ko) 쟈스민 추출물, 아르니카 추출물, 야로우 추출물을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A2278226A1 (fr) Produits cosmetiques ou dermo-pharmaceutiques respectant l&#39;ecologie cutanee
FR2761264A1 (fr) Utilisation d&#39;extrait(s) de graines de pois bambara dans une composition cosmetique et composition cosmetique correspondan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