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0342B1 - 외부의측면장착후사경에대한피봇장착구 - Google Patents

외부의측면장착후사경에대한피봇장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0342B1
KR100370342B1 KR1019960702938A KR19960702938A KR100370342B1 KR 100370342 B1 KR100370342 B1 KR 100370342B1 KR 1019960702938 A KR1019960702938 A KR 1019960702938A KR 19960702938 A KR19960702938 A KR 19960702938A KR 100370342 B1 KR100370342 B1 KR 100370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vot cup
rearview mirror
cup
sleeve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2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6413A (ko
Inventor
폴 지. 게른트
릭 제이. 키린
윌리엄 엠. 페리
Original Assignee
리어 코포레이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어 코포레이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filed Critical 리어 코포레이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Publication of KR960706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6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0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03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7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yieldable to excessive external force and provided with an indexed use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외부 측면 부착 후사경 조립체는 피봇 컵 상에 장착된 슬리이브를 가지는 후사경 쉘을 포함한다. 피봇 컵은 차량에 고정된 포스트의 중심축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하다. 조립체는 피봇 컵의 베이스 및 포스트의 베이스에 근접하여 위치한 보조 쇄정 구조를 가진다. 피봇 컵에 대하여 스프링을 고정시키는 스프링파 리테이너를 조합함에 있어서, 이러한 보조 구조는 피봇 컵을 포스트 둘레에서 선택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슬리이브를 피봇 컵 위로 단순히 미끄러뜨림으로써, 쉘은 미회전 방식으로 피봇 컵 위에 장착된다. 따라서 후사경 조립체이 조립 방법이 단순화된다.

Description

외부의 측면 장착 후사경에 대한 피봇 장착구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외부의 측면 장착 후사경 조립체 및 그러한 조립체를 구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조립체는 접힘 위치와 연장된 작동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인 후사경의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피봇컵(pivot cup)은 비회전 방식으로 후사경의 슬리이브를 수용한다. 피봇컵은 포스트(post)를 중심으로 접힘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후사경 조립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외부의 측면 장착 후사경은 거의 모든 현대의 차량에 이용된다.
통상적으로 전방의 탑승자측 차창의 하부 전방향 코너에 인접하여 배치된 이러한 후사경들은 차창으로부터 현저한 거리로 연장되며, 특히 상용 트럭이나 미니 밴(van)과 같은 대형 차량에 서 그러하다. 몇가지의 이유때문에, 후사경의 위치를 접힘 위치에서 차창을 향해 선택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예를 들면, 차량의 소유자는 차량을 자동화된 세차 작업에 통과시킬때 후사경에 대한 손상을 회피하기 위하여 측면 장착된 후사경을 접으려고 할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연장된 작동 위치와 접힘 위치 사이에서 축을 중심으로 후사경을 회전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전형적으로는, 장착구가 후사경을 2개 또는 3개의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선행 기술의 조립체는 후사경에 볼트 체결되며 회전용 포스트상에 수용되는 무거운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조립체는 조립이 곤란하였다. 플레이트와 후사경 사이의 연결은 일반적으로 차량에 의해 경험되는 심각한 진동을 견딜 수 있어야 하며, 특히 연장된 후사경은 더욱 그러하다. 선행 기술에서는 이러한 진동을 견디고 극복하기 위한 시도로서 볼트 체결된 무거운 플레이트를 이용하는 것이 통상적이었다. 더우기, 볼트 체결된 플레이트를 후사경에 부착시키고, 이후에 플레이트를 포스트에 부착시키는 것은 곤란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통상적으로는 플레이트가 스프링과 리테이너(retainer) 연결구를 통해서 포스트에 부착되었다. 볼트 체결된 플레이트와의 이러한 연결을 완성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플레이트는 후사경 외피내의 매우 제한된 개방부를 통해서 포스트에 부착되어야 하며, 이러한 것은 부착 및 수리를 위한 분해를 곤란하게 하였다. 더우기, 통상적으로 플레이트를 포스트에 부착하기 이전에 후사경을 완전히 예비 조립할 수가 없었다. 현대의 제조 설비에서는 가능한한 많은 예비 조립을 원한다. 차량 구성 요소의 숫자, 크기 및 중량을 감소시키고, 또한 구성 요소의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따라서, 선택적인 회전이 가능하지만, 조립이 용이하고 가벼운 중량의 향상된 측면 장착 후사경 조립체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발명의 요약
개시된 후사경 조립체는 차량에 부착된 포스트를 중심으로 선택적인 회전을 할 수 있는 피봇 컵(pivot cup)을 포함한다. 상기 조립체는 피봇컵의 베이스와 포스트에 근접하여 위치한 보조 연결 구조를 가진다. 보조 구조는 피봇 컵이 포스트를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한다.
후사경을 지지하는 쉘(shell)은 비 회전 방식으로 피봇 컵위에 장착된 슬리이브를 가진다. 쉘과 슬리이브는 슬리이브내에 위치한 피봇컵을 수용하는 비 회전 구조에 의해 장착되며, 이것은 피봇 컵의 주변부상에 위치하는 해당 비 회전 구조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피봇 컵과 후사경 셀 사이의 비회전 구조는 미끄러져서 연결된다. 따라서, 바람직스럽게는 피봇 컵이 포스트에 연결된 이후에, 작업자가 단지 후사경 쉘을 피봇 컵에 미끄러뜨리기만 하면 된다. 전체적 인 후사경 하우징은 피봇 컵에 대한 부착 이전에 예비 조립될 수 있다. 포스트에 대한 피봇 컵의 연결은 상대적으로 용이하며, 이는 연결부가 작업자에게 노출되어 있기 때문이다. 단순히 후사경 쉘을 포스트상에 미끄러뜨림으로써, 후사경의 최종 조립이 용이하게 완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피봇 컵과 후사경 쉘 사이의 비 회전 구조는 몇개의 상이한 수직 및 수평면에서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후사경쉘과 피봇 컵은 잘 연결되며, 용이하게 진동에 저항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t 자 형상의 미끄럼 연결부가 후사경 쉘에 형성되며, 피봇 컵상에서 해당 슬롯내에 수용된다. 피봇 컵은 또한 후사경 쉘의 슬롯네에 미끄러지는 부재를 포함한다. 더우기, 피봇 컵은 탄성의 핑거(finger)를 포함하며, 이것은 완전히 조립되었을때 t 형상 연결부의 수직 상방향 위치에서 후사경 쉘의 모서리에 걸쳐 스냅(snap) 방식으로 결합된다. 마지막으로,피봇 컵은 쐐기를 포함하며, 이것은 셀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된 화판(pedal) 사이에서 상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쐐기와 화판은 탄성적인 역방향의 힘을 제공하여 후사경 쉘과 피봇 컵을 동시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피봇 컵은 스플라인(spline)을 가질 수 있으며, 이들은 후사경 쉘내에의 해당 개구내에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피봇 컵은 차량에 부착된 포스트상에 바람직스럽게 장착됨으로써 후사경은 차량에 대하여 몇개의 위치에 어느 곳에라도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제한된 위치의 연결은 2 개의 실시예들중 하나에 의해서 달성된다. 제 1 실시예에서, 디텐트(detrnt)는 피봇 컵과 포스트에 근접하여 형성된다. 디텐트는 차량에 대하여 후사경의 위치를 제한한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포스트는 평탄 표면을 포함하는 원추형 하부 표면과 함께 형성된다. 피봇 컵은 짝을 이루는 평탄 표면을 가지며, 따라서 피봇 컵은 제한된 수의 각도 위치에서 상기 포스트상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후사경을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피봇 컵이 처음에 포스트상에 부착된다. 후사경은 이후에 단순히 피봇 컵에 미끄러져 들어가서 후사경의 연결이 완성된다. 이러한 조립은 매우 적은 단계를 필요로 하며, 선행 기술의 조립보다 훨씬 간단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본 발명은 측면 장착 후사경 분야에서 가치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특징들은 다음의 명세서 및 다음에 기재된 도면으로부터 가장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후사경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 조립체의 후사경 슬리브에 대한 저부 평면도.
제 3도는 화살표 3-3 방향에서의 제 2도 슬리이브에 대한 단면도.
제 4 도는 제 1 도 후사경 조립체의 피봇 컵에 대한 평면도.
제 5A 도는 제 4 도의 피봇 컵에 대한 사시도.
제 5B 도는 제 4 도의 피봇 컵에 대한 측면도.
제 6A, 6B 및 6C 도는 본 발명의 쐐기 및 화판(petal)의 배치를 도시한다.
제 7 도는 본 발명의 선택적인 실시예에 대한 분해도.
제 8 도는 제 7 도에 도시된 실시예와 연관된 스플라인 특징에 대한 부분도.
제 9 도는 본 발명의 다른 포스트와 베이스 장치에 대한 사시도.
제 10 도는 제 9 도 장치에 대한 평면도.
제 11 도는 본 발명의 제 9 도에 도시된 실시예와 관련된 피봇 컵의 사시도.
제 1 도는 셀(20), 리테이너(retainer,82), 스프링(80), 피봇 컵(50) 및 지지부(30)를 포함하는 외부의 측면 장착된 후사경 조립체를 도시한다. 조립체가 부착되는 차량(36)의 부분도 도시되어 있다.쉘(20)은 후사경 프레임(22)을 포함하며, 이것은 후사경(24)을 감싸고 또한 차량의 운전자를 위하여 후사경(24)의 위치를 조절하는 후사경 뒤에 있는 모터(도시되지 않음)를 감싼다. 후사경 셀은 또한 후사경 프레임(22)에 근접하여 위치한 슬리이브(26)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로서, 슬리이브(26)는 후사경 셀(20)을 조립체의 피봇 컵(50)에비 회전 방식으로 부착시킨다. 후사경 셀(22)은 자동차 산업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강성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다.
지지부(30)는 조립체를 차량(36)에 부착시키는 부재(32)를 포함한다. 지지부 디텐트(detent,44)를 가지는 베이스(38) 및, 상향으로 면하는 자유 단부(42)를 가진 포스트(40)도 포함한다. 디텐트(44)는 포스트(42)의 중심축에 관해서 피봇 컵(50)의 선택적인 회전에 대한 정지를 제공하도록 피봇 컵(50)의 베이스에 위치한 보조 연결 구조와 쇄정되는 구조를 포함한다.
조립체는 또한 포스트(40) 둘레에 장착된 스프링(80)과, 스프링(80)을 압축 상태로 하향 유지하는 리테이너(82)를 포함함으로써, 지지부의 베이스(38)에 대하여 피봇 컵(50)을 유지하는 압력 또는 하향의 힘을 적용한다.
선행 기술에서는 후사경과 차량 사이의 각도 위치의 수를 제한하도록 디텐트를 사용하였다. 또한 선행 기술에서는 스프링과 리테이너 연결을 사용하여 선행 기술의 플레이트를 포스트에 연결하였다. 본 출원인의 발명에서는 포스트에 대한 후사경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본 발명의 피봇 컵을 개발함으로써 이러한 구조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였다.
본 발명의 신규한 측면 장착 후사경 조립체는, 후사경이 차량의 측면에 근접하여 위치한 "접힌" 위치를 포함하는 몇개의 소정 위치와, 후사경이 차량에 대하여 연장된 작동 위치 사이에서 차량의 작업자가 후사경 프레임을 회전시킬 수 있게 하는 독특한 구성을 포함한다. 후사경 조립체는 선행의 측면 장착 후사경 조립체보다 훨씬 용이하게 조립된다. 신규한 피봇 컵은 선행 기술에 비교하여 포스트에 후사경쉘을 보다 간단하고 빠른 시간내에 부착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피봇 컵은 포스트에 용이하게 고정되며, 후사경 쉘은 단지 피봇 컵상에 미끄러져 들어간다.
제 2 도 및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사경 슬리이브(26)는 t 형상의 림 부재(84)와 핀(88)을 포함하며, 이것은 피봇 컵(50)상에서 해당 부재를 수용하는 슬롯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는 이후에 설명될 바로서 피봇 컵(50)을 비 회전 방식으로 미끄러지도록 수용한다. 후사경 슬리이브(26)는 또한 화판(petal,86,87)을 포함하며, 이것은 이후에 설명될 바로서, 피봇 컵(50)에 쉘(20)을 단단히 부착시켜서 유지하도록 피봇 컵(50)상에 위치한 쐐기에 연계하는 슬리이브(26)의 상부로부터 하향 연장된다.
슬리이브(26)는 피봇 컵(50)상에 미끄러져 들어가며, 핑거 부재(58)는 슬리이브의 내측면(83)을 따라 운동하는 단부 가지(63)를 가지고, 측면 치형(56,55)은 내측 모서리(85)를 따라 운동하며, 중간 치형(54)은 핀(88)에 의해 형성된 슬롯내에 연계되며, t 형상의 림부재(84)는 피봇 컵(50)의 홈(60)과 연계된다. t 형상의 림 부재와 홈(60) 및, 중간 치형(54)과 핀(88)에 의해 형성된 슬롯의 연계는 피봇 컵(50)에 관한 슬리이브(26)의 회전을 방지한다. 치형(55,56)은 슬리이브(26)의 내측 표면과 접촉하여, 부가적인 지지부를 제공한다.
피봇 컵(50)의 상부가 슬리이브(26)의 상부에 접근하면서, 핑거 단부 브랜취(63)는 슬리이브의 모서리 선(90)과 연계되도록 접근한다. 쐐기(51,52)는 제 6A 도 내지 6C 도를 통해서 도시된 바와 같이 화판(86,87) 사이에 연계된다. 제 6A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52)는 피봇 컵(50)의 정상이 슬리이브(26)의 상부로접근함에 따라 화판(86)에 접근한다. 제 6B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52)는 다음에 화판(86)과 연계된다. 후사경 쉘(20)의 부가적인 하향 운동으로써, 쐐기(52)는 화판(86)의 하부 자유 단부를 이격되게 강제한다. 화판은 그러한 힘에 저항하여, 슬리이브가 피봇 컵의 상부로 미끄러져 내려가는 것을 점점 더 곤란하게 한다. 하향의 부가적인 운동으로써, 핑거와 브랜취(63)는 슬리이브 모서리 선(90)위에 스냅 결합되며 쐐기(52)는 화판(86)사이에서 이를 이격되게 강제하여 피봇 컵(50)의 위치에 슬리이브(26)를 쇄정시킨다. 비록 화판(86)의 작용만이 설명되었지만, 화판(87)이 동일하게 기능할 것이라는 점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화판(86)에 대한 쐐기(52)의 연계는, 제 6C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이브(26)를 피봇 컵(50)상의 위치에 유지하여 안정된 연계를 제공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피봇 컵(50)과 후사경 쉘(22)을 연결하는 비회전 구조는 몇개의 상이한 평면에서 형성된다. t 형상의 림과 슬롯 연결(84,60) 및 핀(88)과 치형(54)들은 전체적으로 수직을 통해서 연장되는 평면에 평행하게 형성된다. 핑거와 쐐기 연결부(63,90)는 수평면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평행한 평면상에서 연장된다. 쐐기와 화판의 연결(86,87,51 및 52)은 수평에 대하여 경사진 평면에 있다. 몇개의 상이한 비 평행 평면에 연결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은 진동에 대하여 보다 강한 저항을 제공한다.
피봇 컵의 디텐트(64)는 베이스 디텐트(44)와 맞물린다. 스프링과 리테이터의 배치에 의해 제공되는 하향의 힘으로써, 디텐트들은 포스트(40)의 중심축에 관한 피봇 컵의 회전을 억제한다. 그러나, 차량의 운전자가 포스트(40)의 중심축 둘레로 후사경 셀(20)을 회전시키는 경우와 같이 충분한 회전력이 피봇 컵(50)에 적용될때, 베이스 디텐트(44)와 피봇 컵 디텐트(64)는 하나의 쇄정 위치로부터 다른 쇄정 위치로 서로 미끌어진다. 디텐트의 측면 모서리는 피봇 컵(50)과 베이스(38)를 쇄정 위치에서 유지하는 충분한 저항력을 제공하지만, 디텐트가 서로에 대하여 용이하게 미끌어질 수 있게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후사경 쉘(20)은 포스트(40)의 중심 축 둘레의 소정 위치 사이에 회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제 7 도 및 8 도에 도시되어 있다. 피봇 컵(150)은 피봇 컵의 주변에 위치한 스플라인(70)을 가지며, 이것은(개략적으로 도시된) 후사경 슬리이브(126)상의 핀(88)과 맞물림으로써 슬리이브(126)가 비 회전 방식으로 피봇 컵(50)을 수용한다. 스플라인(70)은 피봇 컵(50)의 주변에 형성되며, 두개의 부분이 각각 상단부에 수렴하는 외측 모서리를 가진다. 수렴하는 단부는 스플라인(70)이 핀(88)에 의해 형성된 슬롯과 연계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슬리이브(126)는 피봇 컵(150) 위에 위치하므로, 후사경 조립체의 조립자는 스플라인(70)을 핀(88)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이는 핀(88) 사이의 공간이 스플라인(70)의 수렴하는 상단부를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크기 때문이다. 그러나, 핀(88)은 이들이 스플라인을 안정되고 확실한 방식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이격됨으로써 슬리이브(26)는 피봇 컵(150) 주위에서 회전할 수 없다.
제 9 도, 제 10 도 및 제 11 도는 보조의 연결 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포스트(140)자체는 보조의 연결 구조를 지지한다. 베이스(138)에 부착된 포스트(140)의 단부는 포스트(140)의 중심축으로부터 이탈되게 연장된 평탄부분(144)을 가지는 그물 형상의 원추형 구조를 포함한다. 그물 구조는 포스트에서 보다 나은 강도를 제공한다. 피봇 컵(150)은 피봇 컵(150)의 베이스에 근접한 보조의 평탄 부분(164)을 가진다. 피봇 컵(150)상의 평탄 부분(164)은 그물 원추 구조의 평탄부(144)와 정합된다. 평탄 부분은 선행 기술의 디텐트보다 큰 거리에서 연장된다. 포스트(140)는 포스트(142)의 자유 단부에 걸쳐 축방향으로 연장된 피봇 컵(150)을 수용한다. 피봇 컵(150)은 스프링(140)과 리테이너(182)에 의해서 포스트(140)위의 정 위치에 고정된다. 스프링(180)은 리테이너(182)에 의해서 압축된 상태로 포스트(140)위에 축방향으로 정위치에 고정됨으로써 스프링(180)이 피봇 컵(150)을 고정하는 하향의 힘을 베이스(138)상으로 적용한다. 베이스(144)의 평탄 부분과 피봇 컵(164)이 상호 연결되었을때, 피봇 컵(150)은 해제 가능하게 쇄정된 위치에 있게 된다. 충분한 힘이 후사경 쉘(20)에 가해지는 힘을 통해서 피봇 컵(150)에 적용될때, 평탄한 부분(144,164)은 해제되어서 원추형 부분을 지나 평탄 부분이 다시 한번 연계되는 위치로 가게된다.
제 1 실시예를 조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다른 2 개 실시예의 구조가 다를지라도, 조립은 일반적으로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후사경 조립체를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피봇 컵(50)은 포스트(40)위의 축방향으로 위치된다. 스프링(80)은 이후에 포스트(40)상에 위치되며 압축된다. 리테이너(82)는 이후에 압축 스프링(80)위에 배치되어 피봇 컵(50)을 해제 가능하게 쇄정된 포스트(40)상의 위치에 두게된다. 후사경 슬리이브(26)는 이후에 피봇 컵상으로 미끌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이 개시되었으나,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정의 변형예가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가능하다는 점을 인정할 것이다. 따라서, 다음의 청구 범위는 본 발명의 범위와 내용을 결정하기 위하여 참고되어야 할것이다.

Claims (15)

  1. 후사경을 수용하는 후사경 프레임 및 상기 후사경 프레임에 근접하고 그 안에 피봇 컵을 비 회전 방식으로 수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슬리이브를 포함하는 쉘,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근접하는 제 1 단부와 상향으로 면하며 부착되어 있지 않은 제 2 단부를 가지는 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피봇 컵이 상기 포스트를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회전하도록 피봇 컵 위의 보조 구조와 쇄정되는 구조를 가지는 지지부 및,
    상기 포스트 상에 위치하고, 쇄정용 보조 구조 및, 상기 컵의 주위 둘레에 위치한 슬리이브와 상기 쉘에 비 회전 방식으로 부착되는 구조를 가지는 피봇 컵을 포함하며, 상기 피봇 컵 위의 비 회전 구조는 상기 쉘 위의 상기 구조내로 미끄러지는 후사경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 회전 구조는 상기 포스트의 중심축 둘레에 원주상으로 이격된 최소한 2 개의 위치에 형성되는 후사경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의 비 회전 구조는 상기 슬리이브의 내측 주위 둘레에 위치한 복수개의 t 형상 림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피봇 컵의 비 회전 구조는 상기 t 형상 림 부재를 수용하는 홈을 포함하는 후사경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는 상기 슬리이브의 내측 주위에 위치한 핀의 쌍들을 포함하며, 상기 핀의 쌍들은 상기 피봇 컵 위의 치형을 수용하는 슬롯을 형성하고, 상기 피봇 컵의 비 회전 구조는 상기 컵의 주위에 위치한 치형을 포함하는 후사경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컵의 비 회전 구조는 핑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슬리이브는 모서리의 선을 형성하는 가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핑거 부재는 상기 쉘을 상기 피봇 컵 위에 쇄정시키는 상기 모서리 선위에 스냅(snap) 연결되는 후사경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는 상기 슬리이브의 상부로부터 연장된 화판(petal)의 쌍들을 포함하며, 상기 피봇 컵은 상기 피봇 컵의 상부에 위치한 해당 갯수의 쐐기를 포함하며, 상가 쐐기는 상기 화판과 연계되어 상기 피봇 컵 위에서 상기 슬리이브에 대하여 단단하게 끼우게 하는 후사경 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보조 구조는 베이스를 따라서 원주상으로 이 격된 복수개의 제 1 디텐트(detent)를 포함하며, 상기 피봇 컵의 보조 쇄정 구조는 상기 복수개의 제 1 디텐트와 쇄정되며 상기 피봇 컵의 저부에 근접한 복수개의 제 2 디텐트를 포함하는 후사경 조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베이스는 상기 보조 구조를 유지하며, 상기 보조 구조는 상기 베이스상에서 이격된 3 개의 디텐트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포스트의 중심축 둘레에서의 상기 쉘의 회전이 최소한 하나의 위치와 다른 하나의 위치를 제공하며, 상기 하나의 위치는 상기 후사경의 길이 방향 축이 차량의 길이 방향 축에 대략 수직인 곳이며, 상기 다른 하나의 위치는 상기 후사경의 길이 방향 측이 차량의 길이 방향 축에 실제로 평행의 곳인 후사경 조립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는 그물형의 원추형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피봇 컵은 상기 컵의 베이스에 근접한 정합하는 원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보조 쇄정 구조는 상기 그물 형의 포스트 구조의 표면 및, 또한 상기 피봇 컵위에 있는 평탄한 표면을 포함하는 후사경 조립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쉘과 상기 피봇 컵 사이의 비 회전 구조는 그 둘을 평행하지 않은 평면에서 연결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후사경 조립체.
  11. 제 1 항에 있어서, 비 회전 구조는 상기 피봇 컵의 외측 외주면상에 있는 2 개의 이격된 부재에 의해 형성된 스플라인 및, 상기 스플라인상에 수용된 상기 쉘의 내측 주면상의 슬롯을 포함하는 후사경 조립체.
  12. 후사경을 수용하는 후사경 프레임 및, 피봇 컵을 그 안에서 쇄정시킨 비 운동 방식으로 수용하는 수단을 가지며 상기 후사경 프레임에 근접한 슬리이브를 포함하는 쉘,
    차량에 부착되는 부재와, 상기 부재에 근접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근접한 부착 단부 및 상향으로 면하는 자유 단부를 가지는 포스트를 포함하며, 상기 피봇 컵을 상기 포스트 주위에서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도록 피봇 컵 위의 보조 수단에 쇄정되는 수단을 가지는 지지부,
    상기 포스트상에 위치하여 그 주위에서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컵의 베이스에 근접한 보조 쇄정 수단과 상기 컵의 주위 둘레에 위치하여 상기 슬리이브에 대하여 쇄정된 부동(不動) 부착 수단을 가지는 피봇 컵을 포함하고,
    상기 피봇 컵과 상기 쉘 위의 쇄정된 부동(不動) 부착 수단은 슬라이드 방식으로 상호 연결 가능하고 최소한 2 개의 평행하지 않은 평면에서 상기 쉘과 상기 피봇 컵 사이에 접촉하도록 형성된 구조를 포함하는 외부 측면 부착의 후사경 조립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컵을 수용하는 상기 슬리이브는 상기 슬리이브의 내측 주위 둘레에 위치한 t 형상인 복수개의 림 부재 및, 상기 슬리이브의 상단부에 근접한 모서리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용의 피봇 컵은 상기 t 형상의 림 부재를 수용하는 홈과 상기 모서리 위에 스냅 연결되는 핑거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쉘이 상기 피봇 컵에 단단하고 쇄정된 부동 방식으로 부착되는 후사경 조립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는 상기 슬리이브의 상부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된 화판의 쌍을 포함하며, 상기 피봇 컵은 상기 화판과 연계되는 상기 피봇 컵의 정상에 위치한 해당 갯수의 쐐기를 포함하여 상기 슬리이브가 상기 피봇 컵에 단단하게 고정되는 후사경 조립체.
  15. 피봇 컵을 슬리이브내에 비 회전 방식으로 미끄러짐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단을 가지는 후사경 프레임을 제공하는 단계,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에 대한 피봇 컵의 회전을 제한하는 보조 구조를 가지며, 차량에 대한 부착용 지지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컵의 베이스에 근접하여 쇄정되는 보조 수단 및 상기 컵의 외주에 관하여 위치한 상기후사경 프레임에 대하여 비 회전 방식으로 부착되는 수단을 가지며, 상기 포스트에 관하여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한 피봇 컵을 제공하는 단계,
    컵과 쇄정 수단이 맞물리도록 상기 피봇 컵을 상기 포스트상에 축방향으로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피봇 컵을 수용하는 상기 슬리이브 수단을 비 회전 부착용의 상기 피봇 컵 수단과 정합시키고 쉘과 피봇 컵 수단이 완전히 연계될때까지 상기 슬리이브를 상기 피봇 컵 위에 미끄러뜨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부의 측면 부착 후사경 조립체 조립 방법.
KR1019960702938A 1994-11-02 1995-10-27 외부의측면장착후사경에대한피봇장착구 KR1003703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333,540 1994-11-02
US08/333,540 US5639054A (en) 1994-11-02 1994-11-02 Pivot mount for exterior side-mounted rearview mirr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6413A KR960706413A (ko) 1996-12-09
KR100370342B1 true KR100370342B1 (ko) 2003-04-11

Family

ID=23303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2938A KR100370342B1 (ko) 1994-11-02 1995-10-27 외부의측면장착후사경에대한피봇장착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639054A (ko)
EP (1) EP0737138B1 (ko)
JP (1) JPH09507810A (ko)
KR (1) KR100370342B1 (ko)
BR (1) BR9506432A (ko)
DE (1) DE69514091T2 (ko)
WO (1) WO199601422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5923A (ko) 2021-09-06 2023-03-14 주식회사 케이에스브이 상하이동이 가능한 데크를 구비한 카타마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18689C2 (nl) * 2001-08-02 2003-02-04 Iku Holding Montfoort Bv Behuizing voor een spiegelactuator.
JP3595088B2 (ja) * 1996-11-28 2004-12-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用バックミラー支持構造
US6820987B1 (en) * 1997-04-11 2004-11-23 Jimmie L. Lewis Extendable rearview mirror
US6109586A (en) * 1998-06-15 2000-08-29 Donnelly Corporation Filled polyolefin mirror support
GB9822995D0 (en) * 1998-10-22 1998-12-16 Britax Wingard Ltd Vehicle exterior mirror
IT1303573B1 (it) * 1998-12-09 2000-11-14 Magneti Marelli Spa Dispositivo di fissaggio a snodo di uno specchio retrovisore esternosu una struttura di un autoveicolo.
US6213537B1 (en) * 1999-06-18 2001-04-10 Prince Technology Corp Mirror trim panel
US6439730B1 (en) * 1999-06-24 2002-08-27 Magna Mirror Systems, Inc. Extendable mirror with improved detent
EP1187740B1 (en) * 1999-06-24 2003-08-27 Magna Mirror Systems Inc. Modular extending mirror
DE29917714U1 (de) * 1999-10-07 1999-12-16 Reitter & Schefenacker Gmbh Außenrückblickspiegel für Fahrzeuge, insbesondere Kraftfahrzeuge
DE10031330B4 (de) * 2000-07-03 2005-10-06 Donnelly Hohe Gmbh & Co. Kg Schwenkbarer Außenspiegel für ein Kraftfahrzeug
US6637715B2 (en) * 2000-08-14 2003-10-28 Donnelly Corporation Vehicular exterior break-away mirror assembly
JP3964627B2 (ja) * 2001-03-19 2007-08-2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ドアミラー装置
DE60216337T2 (de) * 2001-03-19 2007-03-15 Kabushiki Kaisha Tokai-Rika-Denki-Seisakusho Kraftfahrzeugspiegelanordnung
JP4153308B2 (ja) * 2001-03-26 2008-09-24 シェフェネイカー・ヴィジョン・システムズ・オーストラリア・プロプライアタリー・リミテッド 自己装填式ピボット及び端部ストッパを有する乗物の外部ミラー
US6851813B2 (en) * 2001-07-13 2005-02-08 Donnelly Corporation Tow mirror assembly for vehicles
FR2845052B1 (fr) * 2002-08-06 2005-06-24 Fico Mirrors Ensemble pour la liaison articulee d'un miroir retroviseur
US7419273B1 (en) * 2003-08-15 2008-09-02 Magna Donnelly Mirrors North America, Llc Mirror with base bracket having integrally-molded reinforcement
US6962420B2 (en) * 2003-09-16 2005-11-08 Lang Mekra North America, Llc Vehicle mirror assembly
US7490945B2 (en) * 2004-02-18 2009-02-17 Visiocorp Patents S.A.R.L. Wear-proof détente for folding mirrors
US7874687B1 (en) * 2004-12-15 2011-01-25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Multi-function side detent for vehicular mirror
US10912404B2 (en) * 2005-05-06 2021-02-09 Rosco, Inc. Rotary locking mechanism for vehicle outer mirror assembly
US7448762B2 (en) * 2006-09-13 2008-11-11 Fu-Chu Su Universal sideview mirror for car
US8152124B2 (en) * 2007-04-30 2012-04-10 Lang-Mekra North America, Llc Adjustable support arm for a vehicle ex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US7878477B2 (en) * 2008-01-02 2011-02-01 Lang-Mekra North America, Llc Multi-axis pivoting detent joint assembly for an exterior vehicle mirror
US7686274B2 (en) * 2008-04-17 2010-03-30 Lang-Mekra North America Llc Pivoting detent joint
DE102008026039B4 (de) * 2008-05-30 2012-12-13 Ficosa International Gmbh Rückspiegel und Verfahren zum Montieren eines Rückspiegels an einem Kraftwagen
US8517331B2 (en) * 2010-05-19 2013-08-27 Velvac Incorporated Fender mount for mirror
JP6051499B2 (ja) * 2010-12-14 2016-12-27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US10489326B2 (en) 2012-03-21 2019-11-26 Road-Iq, Llc Device and system for aggregating networks and serving data from those networks to computers
JP6371695B2 (ja) * 2014-12-05 2018-08-0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視認装置
JP2017206204A (ja) * 2016-05-20 2017-11-2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視認装置
US10953788B2 (en) 2016-05-21 2021-03-23 JST Performanc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vehicular light fixture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6905A (en) * 1975-06-09 1980-02-05 Dominion Auto Accessories Limited Retractable truck mirror
JPS60148738A (ja) * 1984-01-12 1985-08-06 Ichikoh Ind Ltd ドアミラ−構造
US4523735A (en) * 1984-01-30 1985-06-18 Delbar Products, Inc. Mirror swing lock mechanism
FR2569637B1 (fr) * 1984-09-05 1986-09-05 Cipa Articulation a rotule crantee pour retroviseur exterieur de vehicule
US4623115A (en) * 1985-11-12 1986-11-18 Velvac, Inc. Preset mirror mount
DE8533057U1 (de) * 1985-11-23 1986-01-09 Hagus C. Luchtenberg Gmbh & Co Kg, 5650 Solingen Fahrzeugaußenspiegel
US5005797A (en) * 1987-07-16 1991-04-09 Ichikoh Industries, Ltd. Door mirror for vehicles
US4789232A (en) * 1987-08-14 1988-12-06 Dominion Automotive Industries Inc. Break-away pivot system for rearview mirrors
GB8914707D0 (en) * 1989-06-27 1989-08-16 Britax Geco Sa Exterior view mirror for a motor vehicle
JPH03121946A (ja) * 1989-10-02 1991-05-23 Aisin Seiki Co Ltd 回動装置のトルクリミッタ機構
KR950002901B1 (ko) * 1990-06-04 1995-03-28 브리탁스 레인즈포즈 피리와이 리미티드 스피곳형 분리거울
US5148325A (en) * 1991-12-11 1992-09-15 Wang Min Chih Vehicular external mirror assembly
JPH05238317A (ja) * 1992-02-26 1993-09-17 Tokai Rika Co Ltd ドアミラー可倒機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5923A (ko) 2021-09-06 2023-03-14 주식회사 케이에스브이 상하이동이 가능한 데크를 구비한 카타마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6014221A1 (en) 1996-05-17
DE69514091D1 (de) 2000-01-27
EP0737138B1 (en) 1999-12-22
DE69514091T2 (de) 2000-07-06
BR9506432A (pt) 1997-09-09
EP0737138A1 (en) 1996-10-16
JPH09507810A (ja) 1997-08-12
KR960706413A (ko) 1996-12-09
US5639054A (en) 1997-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0342B1 (ko) 외부의측면장착후사경에대한피봇장착구
KR20070033963A (ko) 자동차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US20080196524A1 (en) Transmission Drive Unit With A Receiving Module, In Particular For Adjusting A Movable Part In A Motor Vehicle
MXPA04011346A (es) Brazo de suspension para vehiculo automovil.
EP3741647B1 (en) Steering wheel
EP1382488B1 (en) Regulation mechanism for exterior rear-view mirrors for motor vehicles
US5787762A (en) Method of attaching pad module on steering wheel
JP2736270B2 (ja) 自動車の前部分
US20050110246A1 (en) Gas bag module
US11110863B2 (en) Connector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rear-view mirror
EP1186474B1 (en) Device for fixing a mirror holder to an adjustment mechanism
US20050006553A1 (en) Housing for a mirror actuator
JP2001173709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のストラット上部支持用軸受組立体
JPH0585293A (ja) 助手席用エアバツグ装置
JPS6212670Y2 (ko)
GB2602233A (en) Exterior rear view mirror assembly for road vehicles, exterior rear view mirror assembly system for left hand drive and right hand drive road vehicles and
JP3602645B2 (ja) エアバッグ装置
CN109747556A (zh) 一种汽车后视支架及汽车后视显示装置
JPH0710971Y2 (ja) ガスバッグのカバー体
KR20040022559A (ko) 너트 고정 브래킷 구조
JPH08207685A (ja) エアバッグ装置
JPH0492733A (ja) 車両の前方確認ミラー装置
JPH0634177Y2 (ja) 自動車灯具用シートパッキン
JP2023550592A (ja) 自動車両の前部構造
KR0139642Y1 (ko)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