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0210B1 - 인쇄기의 용지 중송 감지장치 및 그를 이용한 급지방법 - Google Patents

인쇄기의 용지 중송 감지장치 및 그를 이용한 급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0210B1
KR100370210B1 KR10-2000-0009096A KR20000009096A KR100370210B1 KR 100370210 B1 KR100370210 B1 KR 100370210B1 KR 20000009096 A KR20000009096 A KR 20000009096A KR 100370210 B1 KR100370210 B1 KR 100370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roller
sensor
reference value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9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4232A (ko
Inventor
박문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09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0210B1/ko
Publication of KR20010084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4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0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02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B66D1/58Safety gear responsive to excess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8Power-operated hoists
    • B66D3/26Other details, e.g.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2Hoists or accessories for hoists
    • B66D2700/023Hoi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개시된 인쇄기의 용지 중송 감지장치는, 급지경로에 설치된 고정롤러 및 승강롤러와, 승강롤러를 고정롤러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스프링과, 승강롤러의 승강위치를 감지하는 센서 및,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데이터로 저장하고 처리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용지 중송 감지장치를 이용하면 인쇄유닛으로 이송되는 용지의 중송 여부를 사전에 감지함으로써 인쇄 에러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쇄기의 용지 중송 감지장치 및 그를 이용한 급지방법{A sensing apparatus for paper double feeding and paper feeding method using that apparatus for printer}
본 발명은 인쇄기의 급지 과정에서 용지가 두 장 이상 겹쳐서 공급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된 인쇄기의 용지 중송 감지장치 및 그를 이용한 급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린터나 복사기와 같은 인쇄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S)를 수납하여 인쇄기 본체(10)에 결합되는 카세트(20)와, 상기 본체(10)에 설치되어 상기 카세트(20)에 수납된 용지(S)를 한 장씩 픽업하여 본체(10) 내부의 급지경로(13)로 진입시키기 위한 픽업롤러(11)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인쇄가 시작되면 상기 픽업롤러(11)가 카세트(20)에 적재된 용지(S)를 급지경로(13)를 통해 인쇄유닛(12) 측으로 한 장씩 진입시키며 인쇄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인쇄가 진행되다 보면, 카세트(20)에 적재된 용지(S)들 끼리 너무 붙어있어서 급지경로(13)에 한 장씩 진입되지 못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장 이상이 한꺼번에 진입되는 중송(重送)이 일어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용지(S) 여러 장이 조금씩 서로 어긋난 상태로 동시에 인쇄유닛(12)에 들어가게 되므로, 정확한 위치에 화상이 인쇄되지도 못할 뿐 아니라, 함께 들어갔던 용지 중 화상이 인쇄되지 않은 용지도 이미 인쇄유닛(12)을 통과하는 동안 가열되기 때문에 용지가 평탄도를 잃고 말리게 되어 다시 사용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급지되는 용지의 중송 여부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인쇄 에러를 방지하고 불필요한 용지의 낭비를 막을 수 있도록 된 인쇄기의 용지 중송 감지장치 및 그를 이용한 급지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인쇄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급지경로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용지 중송 감지장치가 채용된 급지경로를 도시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에 도시된 용지 중송 감지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용지 중송 감지장치를 이용한 급지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고정롤러 120...승강롤러
121...베어링 130...스프링
140...센서 150...콘트롤러
160...급지경로 200...인쇄유닛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쇄기의 용지 중송 감지장치는, 용지의 급지경로에 설치된 고정롤러와; 소정 탄성수단에 의해 상기 급지롤러에 탄력적으로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며, 그 사이로 통과되는 용지에 의해 상기 급지롤러와의 갭이 벌어짐에 따라 상기 탄성수단의 탄력범위 내에서 승강되는 승강롤러와; 상기 승강롤러의 승강위치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데이터로 저장하고 처리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인쇄기의 급지방법은, 용지의 급지경로에 설치된 고정롤러와, 소정 탄성수단에 의해 상기 급지롤러에 탄력적으로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며 그 사이로 통과되는 용지에 의해 상기 급지롤러와의 갭이 벌어짐에 따라 상기 탄성수단의 탄력범위 내에서 승강되는 승강롤러와, 상기 승강롤러의 승강위치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데이터로 저장하고 처리하는 콘트롤러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고정롤러와 승강롤러 사이로 용지를 한 장 통과시켜 그때 센서에 감지되는 승강롤러의 위치정보를 상기 콘트롤러에 기준값으로서 저장하는 기준값저장단계와; 실제 인쇄 시 용지를 상기 고정롤러와 승강롤러 사이로 통과시키면서 상기 센서에 감지되는 승강롤러의 위치정보를 측정값으로서 읽어들이는 단계와; 상기 콘트롤러에서 상기 측정값과 상기 기준값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값과 상기 기준값의 차이가 설정된 오차범위 이상일 때에는 급지를중지시키고 용지의 중송을 알리는 에러메시지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값과 상기 기준값의 차이가 설정된 오차범위 이내일 때에는 정상적으로 급지를 완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지 중송 감지장치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용지(S)가 인쇄유닛(200)을 향해 이송되는 급지경로(160)에 고정롤러(110)와 승강롤러(120)가 상호 밀착되어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용지(S)는 이 두 롤러(110)(120) 사이를 통과하여 지나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롤러(110)는 제자리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하지만, 상기 승강롤러(120)는 탄성수단인 스프링(130)에 의해 고정롤러(110)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력을 받고 있으며, 그 탄력범위 내에서 소정 간격 승강할 수 있다. 참조부호 121은 승강롤러(120)의 베어링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승강롤러(120)의 상방에는 그 승강롤러(12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14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센서(140)는 도 4a와 같이 용지(S)가 두 롤러(110)(120) 사이로 통과되지 않을 때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장의 용지(S)가 통과될 때 및, 도 4c와 같이 두 장 또는 그 이상의 용지(S)가 통과될 때 승강롤러(120)의 승강위치가 각각 달라지는 것을 감지하여 콘트롤러(150)에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보내게 된다.
상기 구성의 용지 중송 감지장치를 이용한 급지작업은 도 5의 플로우 챠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진행된다. 먼저 상기와 같은 고정롤러(110), 승강롤러(120), 스프링(130), 센서(140)등의 용지 중송 감지장치를 급지경로 상에 준비한 후(S1), 도 4b와 같이 상기 고정롤러(110)와 승강롤러(120) 사이로 용지(S)를 한 장 통과시킨다. 이때 상기 센서(140)는 용지(S)가 한 장 통과될 때 상기 승강롤러(120)가 승강된 위치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콘트롤러(150)에 전송하고, 이 신호에 따른 값은 콘트롤러(150)에 기준값으로서 저장된다(S2). 즉, 이 상태를 용지(S)가 한 장만 통과하는 정상상태로 인식하도록 설정해 놓는 것이다. 이후 실제 인쇄를 진행하면서 상기 고정롤러(110)와 승강롤러(120) 사이를 용지(S)가 통과할 때 승강롤러(120)가 승강되는 위치를 센서(140)로 측정하고(S3), 그 측정값을 상기 기준값과 비교하게 된다(S4). 이때 만일 승강롤러(120)의 승강위치가 상기 기준값 대비 80% 이상의 변동량을 보이면, 즉, 상기 기준값 보다 승강롤러(120)가 80% 이상 더 상승한 것으로 측정되면, 상기 콘트롤러(150)는 이를 도 4c와 같은 용지 중송 상태로 인식하여 급지를 중단시키고 에러메시지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S5). 따라서 사용자는 중송된 용지(S)를 인쇄기에서 빼내고 인쇄를 다시 진행하면 된다. 한편, 상기 S4 단계에서 기준값과 측정값의 차이가 80% 이내인 것으로 측정되면, 콘트롤러(150)는 이를 정상상태로 간주하고 급지를 정상적으로 완료시킨다(S6).
이와 같이 급지경로를 통과하는 용지가 한 장인지 또는 2장 이상인지를 감지하여 대처함으로써 중송 인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기준값과 측정값의 오차범위를 80%로 설정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반드시 80%로 설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센서(140)의 측정오차를감안하여 실제 상황에 맞도록 이를 더 민감하게 또는 더 둔하게 조절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지 중송 감지장치는, 인쇄유닛으로 이송되는 용지의 중송 여부를 감지하여 인쇄 에러를 방지해 주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급지방법에 의하면 불필요한 용지의 낭비가 방지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3)

  1. 삭제
  2. 용지의 급지경로에 설치된 고정롤러와, 소정 탄성수단에 의해 상기 고정롤러에 탄력적으로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며 그 사이로 통과되는 용지에 의해 상기 고정롤러와의 갭이 벌어짐에 따라 상기 탄성수단의 탄력범위 내에서 승강되는 승강롤러와, 상기 승강롤러의 승강위치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데이터로 저장하고 처리하는 콘트롤러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고정롤러와 승강롤러 사이로 용지를 한 장 통과시켜 그때 센서에 감지되는 승강롤러의 위치정보를 상기 콘트롤러에 기준값으로서 저장하는 기준값저장단계와;
    실제 인쇄 시 용지를 상기 고정롤러와 승강롤러 사이로 통과시키면서 상기 센서에 감지되는 승강롤러의 위치정보를 측정값으로서 읽어들이는 단계와;
    상기 콘트롤러에서 상기 측정값과 상기 기준값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값과 상기 기준값의 차이가 80% 이상일 때에는 급지를 중지시키고 용지의 중송을 알리는 에러메시지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값과 상기 기준값의 차이가 80% 이내일 때에는 정상적으로 급지를 완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의 급지방법.
  3. 삭제
KR10-2000-0009096A 2000-02-24 2000-02-24 인쇄기의 용지 중송 감지장치 및 그를 이용한 급지방법 KR100370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9096A KR100370210B1 (ko) 2000-02-24 2000-02-24 인쇄기의 용지 중송 감지장치 및 그를 이용한 급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9096A KR100370210B1 (ko) 2000-02-24 2000-02-24 인쇄기의 용지 중송 감지장치 및 그를 이용한 급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4232A KR20010084232A (ko) 2001-09-06
KR100370210B1 true KR100370210B1 (ko) 2003-01-30

Family

ID=19649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9096A KR100370210B1 (ko) 2000-02-24 2000-02-24 인쇄기의 용지 중송 감지장치 및 그를 이용한 급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021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4256A (ja) * 1983-12-31 1985-07-30 Ricoh Co Ltd 自動原稿送り装置
JPS63110447U (ko) * 1987-01-06 1988-07-15
JPH041850U (ko) * 1990-02-06 1992-01-09
JPH0441349A (ja) * 1990-06-06 1992-02-12 Eastman Kodak Japan Kk 重送検出装置
JPH07215538A (ja) * 1994-01-27 1995-08-15 Canon Inc シート材重送検知装置、シート材給送装置、及び 画像記録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4256A (ja) * 1983-12-31 1985-07-30 Ricoh Co Ltd 自動原稿送り装置
JPS63110447U (ko) * 1987-01-06 1988-07-15
JPH041850U (ko) * 1990-02-06 1992-01-09
JPH0441349A (ja) * 1990-06-06 1992-02-12 Eastman Kodak Japan Kk 重送検出装置
JPH07215538A (ja) * 1994-01-27 1995-08-15 Canon Inc シート材重送検知装置、シート材給送装置、及び 画像記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4232A (ko) 2001-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117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aper feeding method used with the same
JP2014196194A (ja) 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0370210B1 (ko) 인쇄기의 용지 중송 감지장치 및 그를 이용한 급지방법
JPH0920436A (ja) 給紙制御装置
JPH06219573A (ja) 画像形成装置の給紙装置
JPH06183605A (ja) 用紙異常搬送検知装置
JP2008012890A (ja) 画像形成装置
JP3915891B2 (ja) 用紙搬送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H0692510A (ja) 紙葉類の分離装置
KR20210061551A (ko) 매체 처리 장치
US6109606A (en) Stack quality of printed paper
JP2006225098A (ja) 給紙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3344359B2 (ja) 印刷媒体給送装置、その媒体厚さ検知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印刷装置
JP5303492B2 (ja) 給紙装置、画像形成装置
JP2008137778A (ja) 手差しシート材給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H0781801A (ja) 紙葉類搬送装置
US6099180A (en) Method for feeding paper i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1002272A (ja) 用紙搬送装置
KR100283766B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용지 감지장치
JP3669132B2 (ja) 用紙搬送装置
US77785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eet handling in an imaging device
JP2000255832A (ja) カット紙搬送状態判別装置
JPH0540242U (ja) 印刷装置
JP2745843B2 (ja) 用紙搬送制御装置
JP2009269697A (ja) シート検知装置と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