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9783B1 - 알루미늄 증착 전사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제조된 바닥재 - Google Patents

알루미늄 증착 전사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제조된 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9783B1
KR100369783B1 KR10-2000-0038942A KR20000038942A KR100369783B1 KR 100369783 B1 KR100369783 B1 KR 100369783B1 KR 20000038942 A KR20000038942 A KR 20000038942A KR 100369783 B1 KR100369783 B1 KR 100369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deposition
parts
primer
alumin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8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4745A (ko
Inventor
구자호
도우성
조인석
Original Assignee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38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9783B1/ko
Publication of KR20020004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4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9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97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B41M5/426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characterised by inorganic compounds, e.g. metals, metal salts, metal comple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B41M5/44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characterised by the macromolecular compoun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Decoration By Transfer Picture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알루미늄 증착 전사지의 제조방법은 PET 필름 상에 일반 잉크로 문양을 인쇄하고 증착 프라이머를 도포하거나, 또는 증착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증착 잉크로 문양을 인쇄하는 전사 인쇄 단계; 상기 전사 인쇄된 필름에 알루미늄을 진공 하에서 가열, 증발시켜 부착하는 알루미늄 진공증착 단계; 및 상기 알루미늄 증착막 상에 가열 접착성(heat sealing) 유성 또는 수성 접착 프라이머 도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알루미늄 증착 전사지를 바닥재의 상지층 하부에 전사함으로써 은은하고 세련된 금속성 질감을 나타내는 바닥재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알루미늄 증착 전사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바닥재 {Aluminum-evaporated Transfer Paper,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and Floor Plate Prepared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알루미늄 증착 전사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금속성 질감 또는 디자인을 표현하기 위하여 알루미늄을 진공 증착시켜 제조된 알루미늄 증착 전사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바닥재의 층 내에 전사하여 제조한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을 통한 정보화 사회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정보혁명, 최첨단 디지털 산업의 발전에 따라 사이버 문화가 사회 전반에 걸쳐 대세로 인정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또한, 금속색(metallic color) 계통의 색채가 각종 이동통신 단말기, 가전 제품 등에 사용되어 수용자에게 세련되고 깔끔한 인상을 부여함으로써 전자화 사회의 제품 외관에 적합한 것으로 광범위하게 인식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수요자의 색채 선호도 변화에 따라, 전자 제품 이외의 물품에서도 금속색으로 그 외관의 고급스러움을 표현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어왔다. 특히, 플라스틱, 수지 계통의 생활물품 대부분에 금속색, 특히 은빛계통의 색채를 용이하게 부여함으로써 제품경쟁력을 제고하고자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전사지 또는 전사필름을 이용하여 대상물에 금속색을 도입하는 방안이 연구되었다. 전사지 또는 전사필름은 일반적으로 종이 또는 필름 쉬트(sheet)에 인쇄한 그림을 도자기, 유리, 금속, 플라스틱 등의 표면에 전사방식으로 인쇄하기 위하여, 인쇄잉크나 안료를 사용하여 백상지와 같은 대지에 풀칠을 한 다음, 그 위에 문양을 인쇄한 것으로 이해되고 있으며, 전사된 후에 니스 등을 칠하여 마무르는 과정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피전사체에 고정시킨다. 국내 특허공고 제88-2269호는 대지상에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 또는 천연수지 용액을 그라비아 인쇄하고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알루미늄을 진공 증착한 후 열가소성 합성수지 액을 도포한 다음 컷팅하여 제조한 메탈릭 파우더를 대지의 인쇄면에 살포하는 메탈릭 전사지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는 메탈릭 파우더의 상면에 합성수지 액이 피복되어 있기 때문에 메탈릭 파우더의 변색이나 퇴색이 방지되는 효과를 갖고 있으나, 별도의 컷팅과정을 필요로하고, 특히 바닥재와 같은 다층구조 내에서 미세한 두께로 도입되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전사지는 전사 과정에서 전사지로부터 의도하는 문양이 피전사체에 견고하게 밀착할 수 있어야 함은 물론 이러한 문양이 전사지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일본 특허공개 평7-47798호는 시이트에 박리성 도료의 이형층, 인쇄층, 은폐층 및 접착제 층이 차례로 적층되어 형성된 전사필름을 개시하고 있고 국내특허공고 제96-2721호는 수지층, 이형층, 보호프라이머층 및 인쇄층이 차례로 적층된 전사필름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은 도막밀착성, 도막두께 및 내알칼리성 등 전사필름으로서의 물성이 열악한 단점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바닥재는 생활공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에, 이에 금속성 질감을 표현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안들이 연구되었다. 그 중 한가지 방법으로, 펄 잉크(pearlescent ink)가 사용되고 있다. 펄 잉크는 고굴절률을 갖는 투명 크리스탈을 함유하고 있고, 각각의 박편(flake)의 양면으로부터 부분반사가 일어나 평행한 박편에서의 반사를 강화시킴으로써 전체적으로 은빛계통의 광택(silvery lustre)을 나타낸다. 종래에는 제품 인쇄 공정(전사 또는 직접 인쇄) 중에 전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펄 인쇄를 수행하여 제품을 출시하였다. 보다 개량된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제품 디자인이 5도로 이루어진 경우에 제품 인쇄 중 1도에 펄 잉크를 전면적으로 도포하고 펄 인쇄층 자체에 엠보스(emboss)를 부여하여 제품을만들고, 필요에 따라 2차 PVC 졸(sol) 또는 필름 쉬트를 적층하고 표면에 내오염성을 위하여 UV를 코팅하여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그러나, 펄 잉크는 자체 은폐력이 떨어지고, 금속성 질감 효과도 만족스럽지 않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전사지 및 이를 이용하여 바닥재에 우수한 금속성 광택을 부여하는 방안이 요구되어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들은 PET 필름 상에 문양을 인쇄한 후에 알루미늄을 진공 하에서 가열, 증발시켜 증착시켜 피전사체에 전사하는 경우 우수한 금속성 질감을 나타낼 수 있는 전사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바닥재를 개발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전사체에 우수한 금속성 질감을 부여할 수 있는 전사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전사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닥재의 층에 알루미늄 증착 전사지를 전사하여 금속성 질감을 부여할 수 있는 바닥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닥재의 PVC 상지층과 알루미늄 증착막 사이의 접착 성능이 우수한 바닥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사지 제조방법은 PET 필름 상에 일반 잉크로 문양을 인쇄하고 증착 프라이머를 도포하거나, 또는 증착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증착 잉크로 문양을 인쇄하는 전사 인쇄 단계; 상기 전사 인쇄된 필름에 알루미늄을 진공 하에서 가열, 증발시켜 부착하는 알루미늄 진공증착 단계; 및 상기 알루미늄 증착막 상에 가열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 프라이머 도포 단계를 포함한다. 특히, 바닥재의 층사이에 알루미늄 증착막을 형성시키는 경우, 알루미늄 증착막과 PVC 상지층 사이의 접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증착 프라이머 또는 증착 잉크는 접착 프라이머와 블렌딩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접촉 프라이머 역시 상기 증착 프라이머와 블렌딩한 형태로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바닥재는 알루미늄 증착 전사지를 열전사 방식으로 PVC 층에 전사하여 제조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알루미늄 증착 전사지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금속성 질감 바닥재의 일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알루미늄 증착 전사지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금속성 질감 바닥재의 다른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상지층이 복수로 구성된, 본 발명의 알루미늄 증착 전사지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바닥재의 또 다른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졸 스크린 인쇄층을 더 포함하는, 본 발명의 알루미늄 증착 전사지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바닥재의 또 다른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알루미늄 증착 전사지의 일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전사지 제조방법에 있어서, 전사 인쇄 단계는 먼저 PET 필름 상에 일반 잉크로 문양을 인쇄한 후에 증착 프라이머를 도포하거나 증착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증착 잉크로 문양을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일반 잉크는 통상 안료 6∼17 중량부, 메틸에틸케톤(MEK) 용제 50∼110 중량부 및 안료를 피인쇄체에 고정시키는 매개체(medium) 50∼70 중량부로 구성되는데, 상기 조성비의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안료가 필름 상에 적절하게 고정되기 어렵거나 흘러 내려 문양이 번질 위험성이 있다. 또한, 상기 매개체는 아크릴 수지, PVC 공중합체 및 톨루엔이나 메틸에틸케톤과 같은 용제로 이루어지며, 이의 고형분은 PVC 공중합체 및 아크릴 수지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그 다음, 증착 프라이머가 잉크 인쇄층 상에 도포되는데, 상기 증착 프라이머는 PVC 바닥재에 본 발명의 전사지를 적용하는 경우 바닥재의 층과 층 사이에 알루미늄 증착막이 형성되어 층 사이의 결합력이 저하되는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PVC 상지층과 알루미늄 전사막을 접착하는 기능을 하며, 이외에도 알루미늄이 인쇄층으로 용이하게 증착되도록 한다. 다만, 바닥재의 PVC 상지층과 알루미늄 전사막 사이의 접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상기 증착 프라이머와 상기 접착 프라이머 중에서 유기성 접착 프라이머를 블렌딩한 형태의 블렌딩 증착 프라이머를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사 인쇄 단계에서 사용되는 일반잉크의 대부분은 아크릴계 매개체로 구성되므로 인쇄층과의 상용성이 향상될 때 그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PVC 바닥재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PVC 층과 폴리우레탄 계열의 화합물의 상용성이 나쁘기 때문에 아크릴계 증착 프라이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증착 프라이머는 용제로서 이소프로필 알코올(IPA) 25∼30 중량부; 및 톨루엔 및/또는 자일렌 20∼40 중량부를 사용하고,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MA) 20∼25 중량부, 이소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IBM) 10∼15 중량부, 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PM) 5∼10 중량부 및 이소헥사프로필 아크릴레이트(IHPA) 10∼1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모노머, 개시제인 벤조일 퍼옥사이드(BPO) 4∼5 중량부를 용액중합시켜 제조된다. 또한, 증착 프라이머를 유성 접착 프라이머와 블렌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폴리우레탄 1∼20 중량부, PVC 공중합체 10∼50 중량부, 분산제 0∼3 중량부, 소포제 0∼2 중량부, 및 메틸에틸케톤 10∼80 중량부로 구성되는 접착 프라이머를 사용하되, 증착 및 도포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적당한 비율로 블렌딩한다.
증착 프라이머를 잉크 인쇄층 상에 도포하는 방법은 통상적인그라비어(gravure) 인쇄에 의한다. 그라비어 인쇄는 인쇄 실린더 내로 기계적 또는 화학적 방식에 의하여 새겨진 특정 깊이, 패턴 및 공간을 갖는 요부(depression)로부터 플라스틱 필름, 쉬트, 또는 제품상에 도포하는 방식으로서 연속적인 필름 또는 쉬트 롤 상에 정밀하게 도포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상업적 응용에 적합하도록 그라비어 롤을 사용하여 약 133∼200 메쉬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사 인쇄 단계는 일반 잉크 인쇄 및 증착 프라이머 도포 단계 대신에 증착프라이머를 함유하는 증착 잉크를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경우에는, 일반 잉크 내의 매개체가 전술한 증착 프라이머로 대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증착 잉크의 조성은 안료 6∼17 중량부, 증착 프라이머 50∼70 중량부, 및 메틸에틸케톤(MEK) 50∼110 중량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바닥재에 적용하는 경우, 바닥재의 PVC 상지층과 알루미늄 전사막의 접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증착 잉크 내에 사용되는 증착 프라이머를 유성 접착 프라이머와 블렌딩한 블렌딩 증착 프라이머로 대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사 인쇄단계에 앞서 PET 필름 상에 이형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형 프라이머는 피전사체에 전사하는 과정에서 PET 필름으로부터 문양이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도록 도입되는 것으로 특히, 습기가 많은 경우 또는 열전사 단계 중 열전달 과정이 나쁜 경우에 발생되는 박리 곤란성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이형 프라이머는 아크릴 폴리머 2∼5 중량부, PVC 공중합체 8∼20 중량부, 니트로셀룰로오스(NC) 0∼2 중량부,메틸에틸케톤(MEK) 30∼70 중량부, 및 실리카 0∼2 중량부, 및 분산제 0∼2 중량부로 구성된다. 이형 프라이머의 도포 과정 역시 전술한 그라비어 인쇄 방식에 의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사 인쇄 단계 후에, 알루미늄을 진공상태에서 약 1200∼1400℃의 온도까지 가열, 증발시켜 원자 또는 분자 상태로 필름에 부착시킨다. 진공 증착하는 경우에는 불순물의 영향이 없는 깨끗한 증착막을 형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얇은 두께의 알루미늄 막을 형성시키는 것은 일반적인 도포방법으로 달성되기 어렵기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진공증착 방식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늄 진공증착 단계를 통하여 필름에 알루미늄 증착막이 형성된 후에는 피전사체에 견고하게 접착할 수 있도록 접착 프라이머가 도포된다. 접착 프라이머는 가열 시에만 접착력을 발휘하는 가열접착제이며, 유성 형태 또는 수성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유성 형태의 가열접착제는 폴리우레탄 1∼20 중량부, PVC 공중합체 10∼50 중량부, 분산제 0∼3 중량부, 소포제 0∼2 중량부, 및 메틸에틸케톤 10∼80 중량부로 구성되며, 수성 형태의 가열접착제는 아크릴 수지 10∼50 중량부, 물 3∼20 중량부, 알코올 30∼60 중량부 및 니트로셀룰로오스 0∼2 중량부로 구성된다. 접착 프라이머 역시 바닥재의 PVC 상지층과 알루미늄 증착막과 접착력을 증대시키고, 접착 프라이머와 PVC 상지층간의 상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증착 프라이머를 함께 블렌딩한 블렌딩 접착 프라이머로 대치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라 제조된 전사지의 일 구체예의 단면 구조는 도 5와 같이 도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되는 알루미늄 전사지를 바닥재의 층과 층 사이에 전사하여 전체적으로 금속성 질감을 나타내는 바닥재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되는 전사지를 바닥재를 구성하는 다수의 층 내에 적용한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바닥재는 통상적으로 하부로부터 하지층, 중간층, 상지층 등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구체예인 바닥재는 하지층에 발포층이 적층되어 있으며, 상기 발포층의 상부에는 치수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유리섬유와 같은 매트가 함침되어 있는 유리섬유 함침층이 형성되고, 전술한 방법으로 제조된 알루미늄 전사지는 열전사 방식으로 상기 유리섬유 함침층과 PVC 상지층 사이에서 전사되어 금속 인쇄층을 형성한다. 이때, PVC 상지층은 금속성 질감을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도록 투명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바닥재의 오염방지를 위하여 상지층의 상면에 UV 코팅층을 도포하거나 폴리 우레탄 처리를 하여 내오염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PVC 복합재료층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금속성 질감의 표현 이외의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천연소재 등을 더 첨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추가적인 층구조 또는 기능성 재료를 포함하는 기술은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의 구성을 다양하게 변형시킨 구체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상지층은 바닥재에 요구되는 성질에 따라 2층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금속성 질감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전사층 하부에 졸 스크린(sol screen)을 1∼3도 도포한 졸 스크린 인쇄층을 더 포함시킬 수 있다. 졸 스크린 공정에 의하여 돌출된 인쇄층은 돌출부의 패턴에 따른 입체감을 가지고 있으며, 그 위에 접촉하고 있는 알루미늄 전사층 역시 입체감이 부여되기 때문에 난반사 효과에 의하여 금속성 질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된 바닥재의 구체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닥재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졸 스크린 인쇄공정 이외에도, 전사층에 상지층을 도포한 후에 기계적으로 엠보스를 형성시킨 다음, 다시 상지층을 적층하여 난반사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또한, 이러한 기계적인 방법 이외에도 화학적 방법에 의하여 엠보스 부여 방법으로서 발포촉진제 또는 발포억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전사층 하부에 위치하는 층에 발포가 형성되거나 억제되는 경우에는 엠보스가 형성되어 금속성 질감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발포억제제를 사용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증착 프라이머의 제조
이소프로필 알코올 25 중량부, 톨루엔과 자일렌의 혼합물 26 중량부, 벤조일 퍼옥사이드 4.5 중량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20 중량부, 이소부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10 중량부, 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5 중량부 및 이소헥사프로필아크릴레이트 10 중량부를 20분 동안 고속 믹서로 분산시킨 후에 100℃에서 13시간 동안 용액중합시킨 후에, 40℃로 냉각시켜 증착 프라이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증착 잉크의 제조
이소프로필 알코올 25 중량부, 톨루엔 5 중량부, 자일렌 21 중량부, 벤조일 퍼옥사이드 4.5 중량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20 중량부, 이소부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10 중량부, 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5 중량부 및 이소헥사프로필아크릴레이트 10 중량부를 용액 중합시켜 증착 매개체(medium)를 제조한 후에 안료 12 중량부를 상기 증착 매개체에 2시간 동안 분산시킨 다음 이를 3본 롤로 2시간 동안 밀링시켰다. 상기 밀링된 잉크의 점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메틸에틸케톤을 중량 기준으로 1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증착 잉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접착 프라이머의 제조
폴리우레탄 5 중량부, PVC 공중합체 35 중량부, 분산제 2 중량부, 소포제로 디옥틸프탈레이트(DOP) 2 중량부, 메틸에틸케톤 55 중량부 및 기타 촉매 1 중량부를 분산시킨 후에 30분 동안 믹싱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8시간 동안 80℃로 중합반응시켰고, 냉각하여 접착 프라이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이형 프라이머의 제조
PVC 공중합체 11 중량부, 아크릴 수지 3.5 중량부, 실리카 0.5 중량부, 셀룰로오스 1.5 중량부, 안정제 2.5 중량부, 톨루엔 13.5 중량부, 메틸에틸케톤 67 중량부 및 기타 성분 0.5 중량부를 고속 믹서를 이용하여 분산시켜 이형 프라이머를제조하였다.
실시예 5
블렌딩 증착 프라이머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증착 프라이머와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접착 프라이머를 중량 기준으로 6 : 4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6
블렌딩 접착 프라이머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증착 프라이머와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접착 프라이머를 중량 기준으로 2: 8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전사지의 제조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이형 프라이머를 PET 필름 상에 1도 도포한 다음,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증착잉크를 5도 도포하였다. 상기 도포된 인쇄층 상에 실시예 5에서 제조된 블렌딩 증착 프라이머를 도포한 후에 1300℃에서 알루미늄을 진공증착하였다. 상기 알루미늄 증착막에 실시예 6에서 제조된 블렌딩 접착 프라이머를 2도 도포하여 알루미늄 증착 전사지를 제조하였다. 이때, 각각의 도포과정은 그라비어 인쇄 방식에 따라 실시하였다.
실시예 8
바닥재의 제조
하부로부터 하지층, 발포층 및 유리섬유 함침층을 적층시키고, 200℃로 가열된 롤러로 전사지를 접착시키고, PVC 상지층 및 UV 코팅층을 적층시켜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바닥재는 은은한 금속감을 나타내었으며, 장시간 경과 후에도 알루미늄 전사층과 PVC 상지층의 접착력이 유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되는 알루미늄 증착 전사지는 종래의 금속성 질감을 표현하기 위하여 사용된 전사지 또는 펄 잉크와는 달리 금속 광택이 우수하고, 피전사체에 용이하게 전사될 수 있으며, 도막밀착성, 도막두께, 내알칼리성 등 전사필름으로서의 물성이 우수하다. 그 제조방법 역시 알루미늄을 진공상태에서 가열하여 원자 또는 분자상태로 증착하여 알루미늄 전사층 내에 불순물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으며, 얇은 막을 형성할 수 있고, 그리고 연속적인 롤 공정이 가능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사지를 적용한 바닥재는 은은하고 세련된 금속성 질감을 표현하기 때문에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최대한 자극하여 경제적 수익을 제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Claims (12)

  1. PET 필름 상에 일반 잉크로 문양을 인쇄하고 증착 프라이머를 도포하거나, 또는 증착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증착 잉크로 문양을 인쇄하는 전사 인쇄 단계;
    상기 전사 인쇄된 필름 상에 알루미늄을 가열, 증발시켜 부착하는 알루미늄 진공증착 단계; 및
    상기 알루미늄 증착막 상에 가열접착성(heat sealing) 유성 또는 수성 접착 프라이머 도포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증착 프라이머 및 증착잉크용 증착 프라이머가 용제로 이소프로필알코올(IPA) 25∼30 중량부; 및 톨루엔 및/또는 자일렌 20∼40 중량부를 사용하고, 개시제로 벤조일 퍼옥사이드(BPO) 4∼5 중량부를 사용하여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MA) 20∼25 중량부, 이소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IBM) 10∼15 중량부, 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PM) 5∼10 중량부 및 이소헥사프로필 아크릴레이트(IHPA) 10∼15 중량부인 모노머를 용액중합시켜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증착 전사지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인쇄 단계에 앞서 이형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형 프라이머가 아크릴 폴리머 2∼5 중량부, PVC 공중합체 8∼20 중량부 및 메틸에틸케톤(MEK) 30∼7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증착 전사지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프라이머가 폴리우레탄 1∼20 중량부, PVC 공중합체 10∼50 중량부, 및 메틸에틸케톤 10∼80 중량부를 포함하는 유성 형태의 가열접착제; 또는 아크릴 10∼50 중량부, 물 3∼20 중량부 및 알코올 30∼60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성 형태의 가열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증착 전사지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착 프라이머 또는 증착 잉크 내에 포함된 증착 프라이머가 상기 유성 접착 프라이머를 더 포함하여 블렌딩한 블렌딩 증착 프라이머이고, 상기 접착 프라이머가 상기 증착 프라이머를 더 포함하여 블렌딩한 블렌딩 접착 프라이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증착 전사지의 제조방법.
  6.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착 프라이머, 접착 프라이머 및/또는 이형 프라이머가 그라비어 인쇄 방식에 의하여 133∼200 메쉬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증착 전사지의 제조방법.
  7. 제1항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알루미늄 증착 전사지.
  8. 하부로부터 하지층, 중간층, 및 상지층으로 이루어진 바닥재에 있어서, 제7항의 알루미늄 증착 전사지를 상기 중간층과 상지층 사이에 전사시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성 질감 바닥재.
  9. 제8항에 있어서, 금속성 질감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상기 알루미늄 증착 전사층 하부에 졸 스크린(sol screen)으로 도포한 졸 스크린 인쇄층; 상기 알루미늄 증착 전사층 상에 적층되며, 기계적 엠보스가 형성된 상지층; 또는 상기 알루미늄 증착 전사층 하부에 형성되는 발포층 또는 발포억제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성 질감 바닥재.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 프라이머가 니트로셀룰로오스(NC), 실리카 및 분산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는 성분을 더 포함하며, 상기 니트로셀룰로오스, 실리카 및 분산제 각각이 2중량부까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증착 전사지의 제조방법.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 형태의 가열접착제가 분산제 및 소포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는 성분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분산제가 3 중량부까지, 그리고 상기 소포제가 2 중량부까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증착 전사지의 제조방법.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형태의 가열접착제가 니트로셀룰로오스를 2 중량부까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증착 전사지의 제조방법.
KR10-2000-0038942A 2000-07-07 2000-07-07 알루미늄 증착 전사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제조된 바닥재 KR100369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942A KR100369783B1 (ko) 2000-07-07 2000-07-07 알루미늄 증착 전사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제조된 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942A KR100369783B1 (ko) 2000-07-07 2000-07-07 알루미늄 증착 전사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제조된 바닥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4745A KR20020004745A (ko) 2002-01-16
KR100369783B1 true KR100369783B1 (ko) 2003-01-30

Family

ID=19676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8942A KR100369783B1 (ko) 2000-07-07 2000-07-07 알루미늄 증착 전사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제조된 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97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0690A (ko) * 2001-04-17 2002-10-26 코리아케미칼 주식회사 다색효과를 갖는 부분증착 열전사필름과 그 제조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52089A (en) * 1979-05-15 1980-11-27 Dainippon Printing Co Ltd Production of partially evaporated transfer sheet
JPS60100775U (ja) * 1983-12-16 1985-07-09 凸版印刷株式会社 アルミ蒸着ラベル
JPH01210383A (ja) * 1988-02-19 1989-08-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感熱転写フイ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920001902A (ko) * 1990-06-22 1992-01-30 경상현 전전자 교환기의 고장감내형 마그네틱 테이프 유니트(mtu)상태 제어방법
KR19990065594A (ko) * 1998-01-15 1999-08-05 구광시 인쇄용 전사·스탬핑 호일의 제조방법
KR20000032353A (ko) * 1998-11-13 2000-06-15 이규원 단열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264811B1 (ko) * 1997-06-11 2000-09-01 이철우 증착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52089A (en) * 1979-05-15 1980-11-27 Dainippon Printing Co Ltd Production of partially evaporated transfer sheet
JPS60100775U (ja) * 1983-12-16 1985-07-09 凸版印刷株式会社 アルミ蒸着ラベル
JPH01210383A (ja) * 1988-02-19 1989-08-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感熱転写フイ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920001902A (ko) * 1990-06-22 1992-01-30 경상현 전전자 교환기의 고장감내형 마그네틱 테이프 유니트(mtu)상태 제어방법
KR100264811B1 (ko) * 1997-06-11 2000-09-01 이철우 증착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KR19990065594A (ko) * 1998-01-15 1999-08-05 구광시 인쇄용 전사·스탬핑 호일의 제조방법
KR20000032353A (ko) * 1998-11-13 2000-06-15 이규원 단열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0690A (ko) * 2001-04-17 2002-10-26 코리아케미칼 주식회사 다색효과를 갖는 부분증착 열전사필름과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4745A (ko) 2002-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33367B2 (ja) 化粧シート
KR100369783B1 (ko) 알루미늄 증착 전사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제조된 바닥재
JP2003266610A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材
JPH08103982A (ja) 光輝性化粧シート
CN110527447A (zh) 渐变色装饰膜
JP7406822B2 (ja) 金属調加飾フィルム、金属調製品
JP2000094596A (ja) 化粧シート
KR101439590B1 (ko) 금속외관 효과를 구현하는 인테리어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JP4670119B2 (ja) 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KR100481627B1 (ko) 금속질감을갖는합성수지재시트의제조방법
JP3933259B2 (ja) 非晶質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系化粧シート
EP3683334B1 (en) Vapor deposition film and black metallic product
JP2004249526A (ja) 化粧シート
CN110527448A (zh) 装饰膜
JP6997491B2 (ja) 積層フィルム、金属調製品、金属調看板
KR102655195B1 (ko) 고휘도 인테리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2001293839A (ja) 化粧材
JPH02122998A (ja) 転写箔
JP4826418B2 (ja) 射出成形同時加飾用加飾シート
JPH0976448A (ja) 化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S6391243A (ja) 化粧材
JPS6132756Y2 (ko)
JP2024066410A (ja) 積層体及び加飾物品
JP3140804B2 (ja) 装飾ガラス製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194408B2 (ja) 転写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