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9522B1 -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힌지부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힌지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9522B1
KR100369522B1 KR10-1999-0052263A KR19990052263A KR100369522B1 KR 100369522 B1 KR100369522 B1 KR 100369522B1 KR 19990052263 A KR19990052263 A KR 19990052263A KR 100369522 B1 KR100369522 B1 KR 100369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steering column
tilting
bolt
mount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2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7872A (ko
Inventor
이병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1999-0052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9522B1/ko
Publication of KR20010047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7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9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95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힌지부 구조에 대한 것으로서, 발명의 주된 목적은 마운팅 브라켓트와 스티어링 칼럼의 사이에 형성되는 틸팅 힌지부에서 틸팅 보울트의 모양을 원통형이 아닌 구형으로 개선하므로써 마운팅 브라켓의 통공이 기울어져도 유격을 흡수하면서 유격이나 마모 없이 힌지로써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특징적인 실시 수단은 이너 튜브와, 상기 이너 튜브를 속으로 끼울 수 있는 아우터 튜브로 이루어진 스티어링 칼럼과, 상기 스티어링 칼럼을 차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마운팅 브라켓트로 구성하되, 상기한 아우터 튜브의 양측으로 원통형의 힌지 체결부를 형성하고, 상기한 마운팅 브라켓트의 사각관부 양측으로 통공을 형성한 후, 힌지 체결부로부터 통공으로 나오는 힌지 보울트를 체결하여 틸팅 힌지부를 구성한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원통형의 힌지 체결부속에는 내면이 구형으로 이루어진 합성수지재 시트를 내재시키고, 상기한 힌지 보울트는 그 머리부를 구형으로 형성하여, 양측 통공의 수평상태가 불일치 하더라도 상기한 힌지 보울트가 수평방향으로 약간의 기울어짐이 발생하여 회동에 무리가 없도록 보상할 수 있게 하는데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힌지부 구조{Hinge body ASS'Y of steering column for car}
본 발명은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힌지부 구조에 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뒤틀림을 방지하면서 작동이 원활하도록 힌지보울트의 모양과 이를 받치는 시트의 형상 모양을 개량한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스티어링 칼럼(1)에는 조향핸들의 각도를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으며, 이는 스티어링 칼럼의 중단에 설치된 틸팅장치(T)로써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틸팅작동을 위해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은 틸팅 힌지부(10)가 구성된다.
즉, 틸팅 힌지부(10)는 이너 튜브(1a)와 아우터 튜브(1b)로 이루어진 스티어링 칼럼(1)과, 상기 스티어링 칼럼(1)을 차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마운팅 브라켓트(2)로 이루어 진다.
그리고 상기한 아우터 튜브(1b)의 양측에는 힌지 체결부(11)가 원통 모양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한 마운팅 브라켓트(2)의 양측에는 통공(22)이 있어, 이들 힌지 체결부(11)와 통공(22)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힌지 보울트(3)를 체결하면 틸팅용 힌지부(10)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힌지 체결부(11)의 안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끼우는 힌지 보울트(3)는 원통형 머리부(31)와, 통공(22)에 끼워지는 몸체부(32)와, 몸체부의 끝단에 형성된 나사부(33)로 이루어져 있는 바, 머리부(31)는 힌지 체결부(11)의 내경에 꼭 맞게 끼워지고, 몸체부(32)는 통공(22)에 꼭 맞게 끼워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에 있어서, 마운팅 브라켓트(2)는 프레스 가공방법에 의해 가공되기 때문에 사각관부(21)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천공되는 상기 통공(22)들이 정밀하게 가공되지 못하고, 기울어지는 예가 있으며, 이와 같은 기울어짐이 발생하였을 때, 통공(22)의 허용 공차가 작아지면 뻑뻑하여 작동이 잘 되지 않고, 반대로 통공(22)의 허용 공차가 커지면 유격이 커서 마찰이 커지고, 내마모성이 약해지며, 소음이 발생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 보완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발명의 주된 목적은 마운팅 브라켓트와 스티어링 칼럼의 사이에 형성되는 틸팅 힌지부에서 틸팅 보울트의 모양을 원통형이 아닌 구형으로 개선하므로써 마운팅 브라켓의 통공이 기울어져도 유격을 흡수하면서 유격이나 마모 없이 힌지로써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특징적인 실시 수단은 이너 튜브와, 상기 이너 튜브를 속으로 끼울 수 있는 아우터 튜브로 이루어진 스티어링 칼럼과, 상기 스티어링 칼럼을 차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마운팅 브라켓트로 구성하되, 상기한 아우터 튜브의 양측으로 원통형의 힌지 체결부를 형성하고, 상기한 마운팅 브라켓트의 사각관부 양측으로 통공을 형성한 후, 힌지 체결부로부터 통공으로 나오는 힌지 보울트를 체결하여 틸팅 힌지부를 구성한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원통형의 힌지 체결부속에는 내면이 구형으로 이루어진 합성수지재 시트를 내재시키고, 상기한 힌지 보울트는 그 머리부를 구형으로 형성하여, 양측 통공의 수평상태가 불일치 하더라도 상기한 힌지 보울트가 수평방향으로 약간의 기울어짐이 발생하여 회동에 무리가 없도록 보상할 수 있게 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틸팅 힌지부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틸팅 힌지부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티어링 칼럼 2 : 마운팅 브라켓트
3 : 힌지 보울트 4 : 시트
1a : 이너 튜브 1b : 아우터 튜브
11 : 힌지 체결부 21 : 사각관부
22 : 통공 31 : 머리부
32 : 몸체부 33 : 나사부
34 : 너트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스티어링 칼럼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너 튜브(1a)와, 상기 이너 튜브를 속으로 끼울 수 있는 아우터 튜브(1b)로 이루어 지고, 상기 스티어링 칼럼(1)을 차체에 고정시키기 위해 마운팅 브라켓트(2)가 구비된다.
틸팅장치는 상기한 아우터 튜브(1b)의 양측으로 원통형의 힌지 체결부(11)를 형성하고, 상기한 마운팅 브라켓트(2)의 사각관부(21) 양측으로 통공(22)을 형성한 후, 힌지 체결부(11)로부터 통공(22)으로 나오는 힌지 보울트(3)를 체결하여 이 힌지 보울트(3)를 지점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원통형의 힌지 체결부(11)속에 내면이 구형으로 이루어진 합성수지재 시트(4)를 내재시키고, 상기한 힌지 보울트(3)는 그 머리부(31)를 구형으로 형성하여, 양측 통공(22)의 수평상태가 불일치 하더라도 상기한 힌지 보울트(3)가 수평방향으로 약간씩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조립한다.
즉, 마운팅 브라켓트(2)의 사각관부(21) 속으로 아우터 튜브(1b)를 끼우되, 양측힌지 체결부(11)와 사각관부(21)의 통공(22)이 서로 일치하도록 하고, 이어서 아우터 튜브(1b)의 안쪽으로부터 힌지 체결부(11) 속에 힌지 보울트(3)를 끼우되, 머리부(31)에 시트(4)를 감합한 후, 나사부(33)가 바깥쪽을 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면 힌지 보울트(3)의 머리부(31)가 시트(4)에 감합된 채 힌지 체결부(11)의 속에 위치하고, 나사부(33)는 사각관부(21)의 통공(22) 밖으로 나와 너트(34)를 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힌지 보울트(3)는 머리부(31)가 시트(4)에 감합된 채, 구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몸체부(32)가 통공(22)의 허용공차 내에서 상, 하 방향으로 약간의 회동이 가능하고, 이와 같이 양측 힌지 보울트(3)의 회동이 가능하게 되면 사각관부(21)의 양측 통공(22)이 같은 수평선상에 있지 않아도 유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장치에 있어서, 틸팅 힌지부(10)의 힌지 보울트(3) 머리부(31)를 구형으로 하여 어느 정도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마운팅 브라켓의 양측 통공이 수평이 맞지 않고 기울어져 있어도 유격을 흡수할 수 있고, 또 유격을 흡수하여 마모 없이 힌지로써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이너 튜브(1a)와, 상기 이너 튜브를 속으로 끼울 수 있는 아우터 튜브(1b)로 이루어진 스티어링 칼럼(1)과, 상기 스티어링 칼럼(1)을 차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마운팅 브라켓트(2)로 구성하되, 상기한 아우터 튜브(1b)의 양측으로 원통형의 힌지 체결부(11)를 형성하고, 상기한 마운팅 브라켓트(2)의 사각관부(21) 양측으로 통공(22)을 형성한 후, 힌지 체결부(11)로부터 통공(22)으로 나오는 힌지 보울트(3)를 체결하여 틸팅 힌지부(10)를 구성한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원통형의 힌지 체결부(11)속에는 내면이 구형으로 이루어진 합성수지재 시트(4)를 내재시키고, 상기한 힌지 보울트(3)는 그 머리부(31)를 구형으로 형성하여, 양측 통공(22)의 수평상태가 불일치 하더라도 상기한 힌지 보울트(3)가 수평방향으로 약간의 기울어짐이 발생하여 회동에 무리가 없도록 보상할 수 있게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힌지부 구조.
KR10-1999-0052263A 1999-11-23 1999-11-23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힌지부 구조 KR100369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2263A KR100369522B1 (ko) 1999-11-23 1999-11-23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힌지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2263A KR100369522B1 (ko) 1999-11-23 1999-11-23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힌지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7872A KR20010047872A (ko) 2001-06-15
KR100369522B1 true KR100369522B1 (ko) 2003-01-29

Family

ID=19621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2263A KR100369522B1 (ko) 1999-11-23 1999-11-23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힌지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95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436B1 (ko) 2003-09-09 2007-07-11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틸팅장치의 스윙 토크 개선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14611A (zh) * 2016-08-24 2016-11-16 苏州优浦精密铸造有限公司 一种汽车转向器支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436B1 (ko) 2003-09-09 2007-07-11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틸팅장치의 스윙 토크 개선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7872A (ko) 200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95073A (en) Toe and camber adjusting system
US6176501B1 (en) Independent front suspension eccentric alignment device
KR100369522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힌지부 구조
JP2001055035A (ja) プラグイン型直動スタビライザバーリンク
JP6841537B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用ナックルブラケット
JP3800869B2 (ja) 電動テレスコ式ステアリング装置
KR200153164Y1 (ko) 자동차의 맥퍼슨형 현가장치용 너클브라켓
JPH0717229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0280628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100192332B1 (ko) 어퍼암 부쉬
JPH09254623A (ja) リアサスペンション構造
KR100280913B1 (ko) 자동차 서스펜션의 캐스터각 조정구조
JP2001280397A (ja) ストラット型ショックアブソーバ
KR200146030Y1 (ko) 자동차 스태빌라이저의 취부구조
KR19980048729U (ko) 캠버각 조정장치
KR100535109B1 (ko) 차고 조절 장치
JPH04129825A (ja) 車両のエアコン用コンデンサ取付構造
KR0125797Y1 (ko) 자동차용 서스펜션장치의 너클암 장착구조
JPH03140646A (ja) ナックルブラケット
JPH07108872A (ja) 車両用灯具の車体取付装置
KR0128684Y1 (ko) 캠버조절이 가능한 편심 볼조인트
JPS6114882Y2 (ko)
KR200376841Y1 (ko) 차량의 바디업 용 스페이서
JP2019131181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用ナックルブラケット
KR100394621B1 (ko) 어퍼 암 샤프트 장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