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8684Y1 - 캠버조절이 가능한 편심 볼조인트 - Google Patents

캠버조절이 가능한 편심 볼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8684Y1
KR0128684Y1 KR2019950034957U KR19950034957U KR0128684Y1 KR 0128684 Y1 KR0128684 Y1 KR 0128684Y1 KR 2019950034957 U KR2019950034957 U KR 2019950034957U KR 19950034957 U KR19950034957 U KR 19950034957U KR 0128684 Y1 KR0128684 Y1 KR 01286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ball joint
arm
camber
knuc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49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4290U (ko
Inventor
박용규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349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8684Y1/ko
Publication of KR9700242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42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86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86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04Construction of the male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95Mounting of ball-joints, e.g. fixing them to a connecting r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85Manufacture of ball-joints and parts thereof, e.g. assembly of ball-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01Parts of vehicle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너클과 콘트롤아암을 연결하는 볼조인트를 편심으로 구성하여 캠버를 조절하도록 된 편심 볼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휠장착용 너클의 상하부에 구비된 볼조인트가 차체 프레임에 장착된 어퍼아암과 로워아암 단부의 체결공에 볼트체결되어 휠을 차체에 지지하며, 상기 볼조인트는 구형상의 볼과, 상기 볼에서 돌출연장되며 상기 어퍼아암 또는 로워아암의 체결공에 끼워지도록 외주면에 숫나사부가 형성된 볼스터드를 포함하는 독립현가식 서스펜션구조에 있어서, 상기 볼조인트의 볼스터드는 볼의 중심에 대하여 편심이 되도록 형성하여, 볼조인트의 상기 로워아암 또는 어퍼아암과의 체결위치를 조절하여 너클과 로워아암 또는 어퍼아암과의 상대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캠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버조절이 가능한 편심볼 조인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캠버조절이 가능한 편심 볼조인트
제1도는 차륜의 캠버의 개념을 보여주는 도면.
제2도는 너클과 콘트롤아암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제3도는 종래의 볼조인트의 단면구성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볼조인트의 구성도.
제5도는 제4도의 선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타이어 2 : 로워아암
3 : 어퍼아암 4 : 너클
5 : 볼조인트 6 : 볼조인트
7 : 볼 8 : 볼스터드
9 : 숫나사부
본 고안은 자동차의 캠버조절이 가능한 편심 볼조인트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히는 너클과 콘트롤아암을 연결하는 볼조인트를 편심으로 제작하여 너클과 콘트롤아암과의 상대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캠버를 조절하도록 된 편심 볼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자동차의 캠버의 개념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자동차를 앞에서 보았을때 휠의 중심선이 지면에 수직인 선과 이루는 각도(θ)를 말한다. 이 캠버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휠장착용 너클(4)과 이 너클을 차체에 지지하는 어퍼아암(3) 및 로워아암(2)의 상대적인 위치에 의해 정해지는데, 이 캠버가 적절한 경우에는 핸들조작이 쉬우며 노면의 요철이난 수직방향의 하중에 의핸 발생되는 -캠버를 상쇄시킴으로써 타이어의 편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자동차에 있어서는 휠얼라인먼트의 정비시에 토우는 조정이 가능하였으나 캠버는 자동차의 부품치구에 의해 정해지므로 캠버가 규정치를 벗어나는 경우 관련부품을 교체하지 않은 한 캠버의 조정은 불가능하였다. 이와같이 캠버의 조절을 위해 부품을 교체하는 것은 번거롭고 비경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자동차의 캠버조절에 따른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휠장착용 너클과 이 너클을 차체에 연결하는 콘트롤아암의 결합부인 볼조인트의 볼스터드를 편심으로 제작함으로써 볼조인트의 각도조절을 통해 용이하게 자동차의 캠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구조의 볼조인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휠장착용 너클의 상하부에 구비된 볼조인트가 차체 프레임에 장착된 어퍼아암과 로워아암 단부의 체결공에 볼트체결되어 휠을 차체에 지지하며, 상기 볼조인트는 구형상의 볼과, 상기 볼에서 돌출연장되며 상기 어퍼아암 또는 로워아암의 체결공에 끼워지도록 외주면에 숫나사부가 형성된 볼스터드를 포함하는 독립현가식 서스펜션구조에 있어서, 상기 볼조인트의 볼스터드는 볼의 중심에 대하여 편심이 되도록 형성하여, 볼조인트의 상기 로워아암 또는 어퍼아암과의 체결위치를 조절하여 너클과 로워아암 또는 어퍼아암과의 상대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캠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버조절이 가능한 편심볼 조인트가 제공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종래의 볼조인트와 비교하여 설명한다. 제3도는 종래의 볼조인트의 구조의 일예를 보여주는 단면구성도로서, 너클(4)의 상하부에 결합되는 볼조인트(5)는 대체로 구형상의 볼(7)과 이볼(7)에서 방사상으로 돌출연장되며 숫나사부(9)가 형성된 볼스터드(8)를 포함하며, 볼(7)은 하우징(11)내의 볼시트(10)에 안착되거 더스트커버(12)가 세트링(15)에 의해 하우징(11)에 부착된다. 그리고 볼스터드(8)의 숫나사부(9)에는 콘트롤아암(2,3)의 체결공(17)이 나사체결된 후에 고정너트(13)와 핀(14)이 결합되게 된다.
이와 대비되는 본 고안에 따른 볼조인트(5)는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볼(7)에서 돌출연장되는 볼스터드(8)가 볼(7)의 중심선에 대하여 길이 a만큼 편심되도록 구성된다. 이와같이 편심된 볼스터드(8)는 로워아암(2) 또는 어퍼아암(3)의 체결공(17)과 볼트체결되므로 볼스터드(8)를 약간 돌리면 너클(4)과 로워아암(2) 또는 너클(4)과 어퍼아암(3)간의 상대위치가 미세하게 변경된다. 제1도에서와 같은 자동차의 캠버가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편심 볼조인트는 어퍼아암이나 로워아암의 어느 한쪽에만 적용하거나 양쪽에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볼조인트의 구조는 차종에 따라 다소 변경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르면, 너클과 콘트롤아암을 연결하는 볼조인트의 볼스터드를 볼의 중심에 대하여 편심되게 구성함으로써 볼조인트의 콘트롤아암과의 결합위치를미세조정함에 의해 자동차의 캠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규정치를 벗어나더라도 관련부품을 교체하지 않고 간단히 캠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휠얼라인먼트 정비가 간단해지고 부품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휠장착용 너클의 상하부에 구비된 볼조인트가 차체 프레임에 장착된 어퍼아암과 로워아암 단부의 체결공에 볼트체결되어 휠을 차체에 지지하며, 상기 볼조인트는 구형상의 볼과, 상기 볼에서 돌출연장되며 상기 어퍼아암 또는 로워아암의 체결공에 끼워지도록 외주면에 숫나사부가 형성된 볼스터드를 포함하는 독립현가식 서스펜션구조에 있어서, 상기 볼조인트의 볼스터드는 볼의 중심에 대하여 편심이 되도록 형성하여, 볼조인트의 상기 로워아암 또는 어퍼아암과의 체결위치를 조절하여 너클과 로워아암 또는 어퍼암과의 상대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캠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버조절이 가능한 편심 볼조인트.
KR2019950034957U 1995-11-23 1995-11-23 캠버조절이 가능한 편심 볼조인트 KR01286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4957U KR0128684Y1 (ko) 1995-11-23 1995-11-23 캠버조절이 가능한 편심 볼조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4957U KR0128684Y1 (ko) 1995-11-23 1995-11-23 캠버조절이 가능한 편심 볼조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4290U KR970024290U (ko) 1997-06-20
KR0128684Y1 true KR0128684Y1 (ko) 1998-12-01

Family

ID=19429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4957U KR0128684Y1 (ko) 1995-11-23 1995-11-23 캠버조절이 가능한 편심 볼조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868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4290U (ko) 199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5491B1 (ko) 스티어링 너클 및 조정 보스
US6783136B2 (en) Modular ball-joint assembly
US4836574A (en) Asssembly for adjusting wheel alignment, and method
WO1996000662A1 (en) Front wheel suspension arrangement of the mcpherson type for motor vehicles
US4324416A (en) Wheel suspension for motor vehicles
US5697632A (en) Wheel alignment apparatus for use on a beam axle
KR0128684Y1 (ko) 캠버조절이 가능한 편심 볼조인트
US5372373A (en) Axle pivot assembly
US6508481B2 (en) Outer tie rod assembly connector body
US20090016809A1 (en) Joint arrangement
JP6841537B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用ナックルブラケット
US4231588A (en) Adjusting sleeve assembly
EP1110847B1 (en) Off-set adjusting nut
KR100290034B1 (ko) 캐스터각의 조절을 위한 컨트롤암의 결합구조
KR19990014929U (ko) 캐스터 각 조정장치
JPH08295116A (ja) 車両用スタビライザの連結装置
JPH0717229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0280913B1 (ko) 자동차 서스펜션의 캐스터각 조정구조
AU620516B2 (en) Apparatus to adjust wheel alignment geometry
JP2501885Y2 (ja) 車輪のアライメント調整装置
KR20040000174A (ko) 현가 장치용 볼 조인트의 장착 구조
KR19980031517U (ko) 캠버 및 캐스터 조절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현가장치
KR19980061237A (ko) 캠버 및 캐스터 조절장치
KR200174728Y1 (ko) 로우 암 고정용 샤프트 조립체
KR100452285B1 (ko) 차량 현가장치용 콘트롤아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