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1517U - 캠버 및 캐스터 조절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캠버 및 캐스터 조절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1517U
KR19980031517U KR2019960044680U KR19960044680U KR19980031517U KR 19980031517 U KR19980031517 U KR 19980031517U KR 2019960044680 U KR2019960044680 U KR 2019960044680U KR 19960044680 U KR19960044680 U KR 19960044680U KR 19980031517 U KR19980031517 U KR 1998003151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ber
control arm
caster
arc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46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창영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446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1517U/ko
Publication of KR199800315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1517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7/00Means on vehicles for adjusting camber, castor, or to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휠 얼라이먼트의 조정시 캠버 및 캐스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캠버 및 캐스터 조절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위시본형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위 컨트롤암(10)에 축(40)을 결합시키고 프레임(30)에 2개의 호형 장공(71)이 형성된 브라켓(70)을 결합시키되, 호형 장공(71)을 통하여 2조의 볼트(A)와 너트(B)로 축(40)과 브라켓(70)을 연결한 것이다.

Description

캠버 및 캐스터 조절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현가장치
본 고안은 휠 얼라이먼트의 조정시 캠버 및 캐스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캠버 및 캐스터 조절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위시본형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히는 위 컨트롤암과 프레임이 연결되는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캠버 및 캐스터를 간단히 조절할 수 있는 캠버 및 캐스터 조절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위시본형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퀴를 앞에서 보면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결합되어 있으며, 바퀴의 중심선과 노면이 이루는 각도를 캠버라고 한다. 이 캠버는 차종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으로 0.5°~2°정도로 되어 있다.
그리고 바퀴를 옆쪽에서 보면 뒤쪽으로 기울어져 있으며, 킹핀의 중심선과 노면의 중심선이 이루는 각도를 캐스터라 한다.
이러한 캠버나 캐스터는 자동차의 사용중 스프링의 변형, 부시의 변형, 컨트롤암을 너클과 연결하기 위한 볼 조인트의 손상, 쇽업소버의 휘어짐 등으로 변화가 일어나는데, 이러한 경우 휠 얼라이먼트(WHEEL ALIGNMENT)를 조정을 하여야만 차량에 무리를 주지 않게되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그런데, 종래에 휠 얼라이먼트 규정 챠트에 지시된 규정치를 벗어났을 경우, 현가장치에 있는 손상된 부품을 교환하거나 수리하여 주어야 하고 때에 따라서는 차체를 수리하여야 하므로 그 조정작업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위 컨트롤아과 프레임이 연결되는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캠버 및 캐스터를 간단히 조절할 수 있는 캠버 및 캐스터 조절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위시본형 현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위시본형 현가장치의 구성도
도 2 (가), (나)는 본 고안에 따른 위시본형 현가장치의 캠버 조절상태를 보인 위 컨트롤암의 평면도
도 3 (가), (나)는 본 고안에 따른 위시본형 현가장치의 캐스터 조절상태를 보인 위 컨트롤암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위 컨트롤암20:아래 컨트롤암
30:프레임40:축
50:볼 조인트60:조향 너클
70:브라켓71:호형 장공
A:볼트B:너트
본 고안은 V형으로 된 위 컨트롤암(10)과 아래 컨트롤암(20)이 축(40)에 의하여 프레임(30)에 설치되고, 각 위 컨트롤암(10)과 아래 컨트롤암(20)의 끝은 볼 조인트(50)에 의하여 조향 너클(60)에 결합된 자동차의 위시본형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 컨트롤암(10)에 축(40)을 결합시키고 상기 프레임(30)에 2개의 호형 장공(71)이 형성된 브라켓(70)을 결합시키되, 상기 호형 장공(71)을 통하여 2조의 볼트(A)와 너트(B)로 상기 축(40)과 상기 브라켓(70)을 연결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위시본형 현가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 (가), (나)는 본 고안에 따른 위시본형 현가장치의 캠버 조절상태를 보인 위 컨트롤암의 평면도이고, 도 3 (가), (나)는 본 고안에 따른 위시본형 현가장치의 캐스터 조절상태를 보인 위 컨트롤암의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V형으로 된 위 컨트롤암(10)과 아래 컨트롤암(20)이 축(40)에 의하여 프레임(30)에 설치되고, 각 위 컨트롤암(10)과 아래 컨트롤암(20)의 끝은 볼 조인트(50)에 의하여 조향 너클(60)에 결합된다. 이때 위 컨트롤암(10)에는 축(40)을 결합시키고 위 컨트롤암(10)이 설치되는 프레임(30)에는 2개의 호형 장공(71)이 형성된 브라켓(70)을 결합시킨다. 상기한 호형 장공(71)은 밋밋한 형태로 되어 있으나 볼트(A)와 너트(B)의 체결상태를 양호하기 위하여 호형 장공(71)의 일측면에 요철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위 컨트롤암(10)의 설치시에는 호형 장공(71)을 통하여 2조의 볼트(A)와 너트(B)로 축(4)과 브라켓(70)을 연결한다.
이러한 구조로 된 본 고안은 캠버의 조절시에는 도 2 (가), (나)에 도시한 바와같이 2조의 볼트(A)와 너트(B)의 체결위치를 변경시키면 된다.
즉, 도 2 (가)에 도시한 바와같이, 아래쪽 볼트(A)와 너트(B)를 호형 장공(71)의 중간에 위치되도록 체결하고 위쪽 볼트(A)와 너트(B)를 호형 장공(71)의 우측편에 위치되도록 체결하면 위 컨트롤암(10)이 후방(좌살표)으로 이동 하여 캠버가 증가하고, 도 2 (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쪽 볼트(A)와 너트(B)를 호형장공(71)의 중간에 위치되도록 체결하고 위쪽 볼트(A)와 너트(B)를 호형 장공(71)의 좌측평 위치되도록 체결하면 위 컨트롤암(10)이 전방(화살표)으로 이동 하여 캠버가 감소한다.
그리고 캐스터의 조절시에는 도 3 (가), (나)에 도시한 바와같이 2조의 볼트(A)와 너트(B)의 체결위치를 변경시키면 된다.
즉, 도 3 (가)에 도시한 바와같이, 아래쪽 볼트(A)와 너트(B), 그리고 위쪽 볼트(A)와 너트(B)를 호형 장공(71)의 우측편에 각각 위치되도록 체결하면 위 컨트롤암(10)이 우측(화살표)으로 이동 하여 캐스터가 증가하고, 도 3(나)에 도시한 바와같이 바와같이 아래쪽 아래쪽 볼트(A)와 너트(B), 그리고 위쪽 볼트(A)와 너트(B)를 호형 장공(71)의 좌측편에 각각 위치되도록 체결하면 위 컨트롤암(10)의 좌측(화살표)으로 이동 하여 캐스터가 감소한다.
이와같이, 볼트(A)와 너트(B)의 체결위치를 변경하면 캠버와 캐스터를 간단히 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위 컨트롤암(10)과 프레임(30)이 연결되는 위치를 조정하여 캠버 및 캐스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캠버 및 캐스터의 조정작업을 간단히 할 수 있으며 작업시 현가장치의 조기에 교환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1)

  1. V형으로 된 위 컨크롤암(10)과 아래 컨트롤암(20)이 축(40)에 의하여 프레임(30)에 설치되고, 각 위 컨트롤암(10)과 아래 컨트롤암(20)의 끝은 볼 조인트(50)에 의하여 조향 너클(60)에 결합된 자동차의 위시본형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 컨트롤암(10)에 축(40)을 결합시키고 상기 프레임(30)에 2개의 호형 장공(71)이 형성된 브라켓(70)을 결합시키되, 상기 호형 장공(71)을 통하여 2조의 볼트(A)와 너트(B)로 상기 축(40)과 상기 브라켓(70)을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버 및 캐스터 조절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현가장치.
KR2019960044680U 1996-11-30 1996-11-30 캠버 및 캐스터 조절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현가장치 KR1998003151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4680U KR19980031517U (ko) 1996-11-30 1996-11-30 캠버 및 캐스터 조절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현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4680U KR19980031517U (ko) 1996-11-30 1996-11-30 캠버 및 캐스터 조절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현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517U true KR19980031517U (ko) 1998-08-17

Family

ID=53986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4680U KR19980031517U (ko) 1996-11-30 1996-11-30 캠버 및 캐스터 조절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현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1517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6389A (ko) * 2001-07-12 2003-01-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현가아암 구조
KR100394621B1 (ko) * 2000-12-30 2003-08-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어퍼 암 샤프트 장착 구조
KR100501370B1 (ko) * 2002-11-01 2005-07-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캠버 조절장치
KR100576975B1 (ko) * 2005-02-02 2006-05-10 서강정보대학산학협력단 휠베이스 조절용 로우암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621B1 (ko) * 2000-12-30 2003-08-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어퍼 암 샤프트 장착 구조
KR20030006389A (ko) * 2001-07-12 2003-01-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현가아암 구조
KR100501370B1 (ko) * 2002-11-01 2005-07-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캠버 조절장치
KR100576975B1 (ko) * 2005-02-02 2006-05-10 서강정보대학산학협력단 휠베이스 조절용 로우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99708A (en) Off-road vehicle
US6457728B1 (en) Upper control arm adjustment system
EP0503371B1 (en) Suspension of steering vehicle wheel having z-type upper arm assembly
US4720121A (en) Rear suspension for vehicle
US20040262876A1 (en) Interconnected suspension
KR19980031517U (ko) 캠버 및 캐스터 조절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현가장치
US6719311B2 (en) Vehicle steering assembly
US4832364A (en) Rear suspension for vehicle
KR19980031589U (ko) 캠버 및 캐스터 조절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현가장치
KR19980031516U (ko) 캠버 및 캐스터 조절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위시본형 현가장치
KR19990014929U (ko) 캐스터 각 조정장치
KR200237453Y1 (ko) 자동차의 위시본형 조향장치
KR20050018130A (ko) 캠버 및 트레드 조절 컨트롤암 구조
KR19980041395A (ko) 캠버 및 캐스터 조절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맥퍼슨식 현가장치
KR200156275Y1 (ko) 현가장치의 캐스터 조정구조
KR0136874Y1 (ko) 볼 조인트
KR100416516B1 (ko) 편심조절축을 이용한 자동차 현가장치의 캠버와 캐스터 조절장치
KR19990086598A (ko) 캐스터각의 조절을 위한 컨트롤암의 결합구조
KR19980061237A (ko) 캠버 및 캐스터 조절장치
KR100192420B1 (ko) 자동차용 현가 장치
KR100192379B1 (ko) 세미 트레일링 아암형 현가제어장치
KR100242104B1 (ko) 더블 링크형 전륜현가장치의 로어아암 연결구조
JP2501885Y2 (ja) 車輪のアライメント調整装置
KR19980054159A (ko) 현가장치의 로어 아암 장착구조
KR20050077057A (ko) 캠버 조정이 가능한 차량의 로어암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