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6126B1 - 시이트의 양방향 접지장치 - Google Patents

시이트의 양방향 접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6126B1
KR100366126B1 KR1019950005019A KR19950005019A KR100366126B1 KR 100366126 B1 KR100366126 B1 KR 100366126B1 KR 1019950005019 A KR1019950005019 A KR 1019950005019A KR 19950005019 A KR19950005019 A KR 19950005019A KR 100366126 B1 KR100366126 B1 KR 100366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detector
ground
dimension
grou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5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1843A (ko
Inventor
안그레아스페트루스허버투스마리아팀머만스
알버트세오드데커스
마티너스빌헬무스헨즈리쿠스반크리펜버그
루돌프오하네스후버투스레이어데커스
Original Assignee
오세-테크놀로지스 베파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테크놀로지스 베파우 filed Critical 오세-테크놀로지스 베파우
Publication of KR950031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1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6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61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5/00Folding thin material
    • B65H45/12Folding articles or webs with application of pressure to define or form creas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5/00Folding thin material
    • B65H45/12Folding articles or webs with application of pressure to define or form crease lines
    • B65H45/20Zig-zag folders

Landscapes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 접지장치는 시이트가 서로 직각을 이루는 양방향으로 연속하여 지그재그형태로 접지될 수 있는 하나의 접지단(1)으로 구성된다. 제어장치는 접지장치를 접히지 않은 시이트를 접지하기 위한 제 1 접지프로그램 또는 이미 일측방향으로 접지된 시이트를 접지하기 위한 제 2 접지프로그램으로 자동설정한다. 이를 위하여 제어장치는 접지단(1)을 향하는 공급통로(2,14)내에 배치된 시이트 검출기(32)로 구성되고 이 검출기(32)는 접지될 시이트가 고정된 측부정지구(15)를 따라 공급될 때에 제 1 접지프로그램에 따라 접지될 시이트의 최대폭보다는 크고 제 2 접지프로그램에 따라 접지될 시이트의 최소폭보다는 작은 측부정지구(15)로부터의 거리(G)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시이트의 양방향 접지장치
본 발명은 일측방향으로 시이트를 접는 전지단과 접지되지 않은 시이트나 일측방향으로 접지된 시이트를 접지단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통로로 구성되는 서로 직각을 이루는 두 방향으로 연속하여 시이트를 접는 시이트의 양방향 접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장치가 독일 특허출원 21 52 078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러한특허문헌에 기술된 장치에 있어서, 시이트는 이를 일측방향으로 접기 위하여 접지되지 않은 시이트를 공급통로를 통하여 접지단으로 먼저 공급하고, 시이트를 타측방향으로 접기 위하여 다시 공급통로를 통하여 상기 접지된 시이트를 동일한 접지단으로 공급하므로서 시이트가 양방향으로 접지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대형의 도면시이트를 접을 때에는 통상적으로 A4규격의 표준 시이트인 경우와 같이 길이와 폭이 상이한 규격으로 접지된 도면 묶음을 만드는 것이 상례이다. 하나의 접지단으로 구성되는 종래의 장치로서 이러한 시이트접지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접지단은 일측방향으로 접지중 접지거리가 타측방향으로 접지되는 경우와는 상이하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만약, 이러한 장치의 조작자가 즉시 정확한 조절을 하는 것을 잊는 경우, 예를 들어 시이트를 먼저 제1방향으로 접지한 후 작업자가 제2방향으로 접지하도록 접지단을 변경조절하는 것을 잊는 경우와, 시이트를 제2방향으로 접지 후 접지단을 리셋트시키는 것을 잊는 경우 에러가 발생되기 쉽다. 이러한 주의결여의 결점은 접지된 시이트 묶음, 즉 시이트 패킷이 부정확하게 되도록 한다. 접지시 나타나는 절곡선은 영구히 남으므로 잘못 접지된 패킷으로부터 정확히 접지된 패킷을 얻는 것은 쉽지 않다.
본 발명은 시이트가 접지되지 않았을 때에는 평행한 제1변부 사이의 제1치수와 제1변부에 수직인 평행한 제2변부 사이의 제2치수를 가지고, 제1변부에 평행한 적어도 두 접지선을 갖는 제1접지상태에서는 제1변부 사이에서 감소된 제1치수를 갖는 시이트를 접지하기 위한 시이트의 양방향 접지장치를 기초로 하여, 종래기술의 결점이 없는 서두에 언급된 내용에 따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서, 공급통로에는 공급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일측방항으로 접지된 시이트의 공급을 위하여 공급통로의 일부분 외측에 배치된 시이트검출수단이 착설되고, 시이트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접지되지 않는 시이트를 접지토록하는 제1접지프로그램으로 접지단을 조절하고 시이트 검출수단으로부터 검출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일측방향으로 접지된 시이트를 상기 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접지토록 하는 제2접지 프로그램으로 상기 접지단을 조절하는 제어수단이 구비된다.
따라서, 도면시이트는 자동으로 정확히 접지될 수 있고 공급될 도면시이트의 형식, 즉 접지되지 않았거나 일측방향으로 접지되지 않은 도면시이트의 형식에 따른 조절이 이루어져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유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공급통로의 일측부에 위치하는 시이트검출수단은 상기 일측부로부터 시이트가 제1접지프로그램에 따라 접지될 수 있는 최대폭 보다는 크고 공급통로를 따라 공급되어 제1접지프로그램에 따라 접지될 수 있는 비접지 시이트의 최소폭 보다는 작은 거리 상에 위치하는 시이트검출기로 구성된다. 따라서 단 하나의 시이트검출기만으로도 충분하며 검출신호를 처리하는 제어수단이 단순화될 수 있다.
만약, 시이트검출기가 상기 최대폭보다는 상기 최소폭에 가깝게 위치하는 공급통로의 측부로부터 거리를 둔 위치에 있다면 제2접지프로그램에 대한 자동조절은 일측방향으로 접지된 시이트의 정확한 공급에 대하여 감응치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이러한 시이트가 공급통로의 측부를 따라서 정확히 이동되지 않는다면 일측방향으로 접지된 시이트가 시이트검출기를 작동시켜 접지단은 제1접지프로그램으로 잘못 설정되는 원인이 될 것이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와 제2도에서 보인 장치는 지입테이블(2)을 통하여 공급된 시이트의 지그재그접지방식으로 접지하는 접지단(1)으로 구성된다. 이 접지단은 영국특허 1 394 480에 기술된 형태이고, 한쌍의 접지로울러(3)(4)와 한쌍의 다른 접지로울러(5)(6)로 구성되며 상기 로울러쌍들은 접지면(7)에서 서로 어느 정도의 거리를 두고 접지니프(8)(9)를 구성한다.
연동하는 접지로울러(3-6)의 회전방향은 역전가능하다. 이후 구조가 상세히 설명되는 이송로울러(11)(12)는 접지면(7)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된 통로부분(14)에 이송니프(13)를 구성한다. 펀넬형의 시이트안내부재(16)가 이송니프(13)와 접지니프(8)(9)사이의 영역에 배치되고 이송니프(13)를 통하여 공급된 시이트가 접지니프(8)의 방향으로 이송되는 위치와, 이송니프(13)를 통하여 공급된 시이트가 접지니프(9)의 방향으로 이송되는 위치사이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서로 간섭치 아니하나 시이트이송방향으로 구동되는 접지로울러(3)(4)사이로 그 선단변부가 이송니프(13)에 의하여 공급되는 시이트를 접지하기 위하여 모든 접지로울러(3-6)의 회전방향은 역전되고 시이트안내부재(16)는 시이트가 접지니프(9)로 공급되는 위치로 이동된다. 따라서 시이트안내부재(16)의 하측공간부에서 시이트에 루우프가 형성된다. 이러한 루우프가 접지니프(9)에 물릴 때에 여기에서 시이트가 접지되어 접지선이 형성된다. 시이트가 이송니프(13)를 통하여 계속 공급되는중에 시이트안내부재(16)를 다시 뒤로 이동시키고 접지로울러(3-6)의 회전방향을 역전시키므로서 제1접지선에 반대방향으로 시이트에 제2접지선이 형성된다. 접지로울러(3-6)와 시이트안내부재(16)의 운동을 반복하여 역전시키므로서 시이트가 지그재그로 접힐 수 있다.
시이트안내부재(16)의 왕복운동과 접지로울러(3-6)의 회전방향의 역전은 상기 영국특허 1 394 480에 설명된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접지단(1)에 접지할 시이트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통로는 그 측부가장자리인 측부안내부(15)에 대하여 접지할 시이트를 손으로 배치할 수 있고 접지단의 방향으로 상기 측부안내부(15)를 따라 밀어 넣을 수 있는 짧은 수평지입테이블(2)과, 이송니프(13)가 배치되는 수직의 통로부분(14)으로 형성되는 제2 공급통로부분으로 구성된다. 이들 두 부분, 즉 지입테이블(2)과 수직의 통로부분(14)사이에서 공급통로에 만곡형 통로부분(19)이 형성되어 있다.
이송니프(20)가 지입테이블(2)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 이송니프는 디스크로울러(21)로 구성되며 볼(22)이 이들 디스크를 누르고 있다. 볼의 압력은 가벼워서 손으로 공급된 시이트가 이송니프(20)에 측방향으로 옮겨져서 시이트가 측부안내부(15)를 따라 직선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송니프(13)를 형성하는 이송로울러(11)는 공급통로의 폭이상으로 연장된 로울러의 형태로 구성되며 양단이 중앙보다 약간 굵다. 이러한 요입형 이송로울러(11)는 느슨하게 탄지된 다수의 탄지로울러(12)와 협동하며 이들 로울러는 공급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된 이송니프(13)를 형성토록 판스프링으로요입형 로울러(11)에 대하여 가압된다. 시이트 공급통로를 그 공급방향의 중심선을 따라 양측으로 나누어 보았을 때, 측부안내부(15)가 배치된 공급통로의 반부분에서, 인접한 탄지로울러(12)사이의 거리는 측부안내부측에 접하여공급되는 공급시이트부분에 보다 큰 이송력을 가하기 위하여 공급통로의 다른 반부분보다 작다. 측부안내부측에서 요입형 로울러(11)의 대경부는 공급된 시이트에 토오크를 가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토오크로 측부안내부(15)에 대하여 시이트를 밀고 당길 수 있다. 볼(22)로 구성되는 이송니프(20)는 이 니프(20)에서 시이트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시이트가 측부안내부(15)의 방향으로 치우쳐 삐뚤게 공급되어도 시이트는 바르게 공급될 수 있다. 만곡형 통로부분(19)에서 공급통로의 폭은 이송니프(13)에 의한 시이트의 회전이 허용될 정도이며, 이러한 회전은 측부안내부에 대하여 경사진 시이트를 당기는데 요구된다. 또한 만곡형 통로부분(19)은 공급방향으로 주름이 잡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이트공급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시이트의 적절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만곡형 통로부분(19)이 없는 경우에는 이러한 주름이 측부안내부(15)로부터 원격한 공급통로의 반부분에 위치하는 시이트의 일부분에 가하여지는 반대방향토오크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공급 통로의 양측 반부분에 놓인 광폭시이트상에 요입형 로울러에 의하여 가하여진 반대방향 토오크는 접지단(1)에 일직선상으로 시이트가 놓이도록 하기 위하여 이송니프(13)를 지난 영역에서도 시이트가 바르게 놓이도록 하고 마찬가지로 이송니프(13)의 전방에서도 시이트가 바르게 놓이도록 한다. 이송니프는 이 이송니프직전에서 만곡형 통로부분(19)과 상호작용한다. 데스모판(Desmophan:상표명)으로 만들어진로울러(11)의 요입형 구조대신에 프리스트레스처리하여 어느 정도 만곡되므로서 시이트의 요구된 직선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탄화텅스텐표면을 갖는 직선형 로울러(11)를 사용하여도 양호한 결과를 가져왔다.
피구동형 이송로울러(11)에는 이 로울러(11)의 주면이 1㎜이상의 변위시에 펄스감지기(24)를 통하여 펄스를 공급하는 펄스디스크(23)가 결합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로울러(11)의 직경은 일정한 것으로 간주된다. 접지단에서 시이트의 선단변부가 곧 바로 접지로울러(3)(4)에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접지로울러는 선단변부의 통과가 이루어지도록 서로 떨어지며 상기 변부의 통과후에는 상대측으로 다시 가압되어 이송 및 접지니프(8)를 형성한다. 니프(8)가 벌어지도록 측부안내부측에 위치하는 접지로울러(3)의 일측단부는 리프팅 마그네트에 의하여 들어올려지는 반면에 접지로울러(3)의 타측단부는 접지로울러(4)에 그대로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서 니프(8)가 벌어져 있는 동안에 접지로울러(4)와 함께 계속 회전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시이트가 요구된 수만큼 접힌 후에 접지단(1)으로부터 시이트를 배출하기 위하여 배출편향판(25)이 최종 접지위치 이후의 접지통로내에 배치되어 접지된 시이트가 접지로울러(3)(4)의 방향으로 추가 이동시 하측으로 편향되어 수집트레이(26)내에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측부안내부측에서, 트레이(26)에는 배출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양방항으로 접힌 시이트를 수집하기 위한 트레이(26)보다 긴 부분(27)이 구비되어 있으며, 양방향으로 접힌 이러한 시이트는 일측방향으로 접힌 시이트보다 배출방향으로 보다 길게되어 있다.
1m 폭의 시이트를 지그재그형으로 접기 위하여 이송로울러(11)(12), 접지로울러(3-6)와 시이트안내부재(16)는 적어도 길이가 동일하여야 한다. 이러한 길이에서 적합한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로울러와 시이트안내부재는 접지니프(8)(9)사이의 거리 A가 약 최소 90㎜ 정도인 크기를 가져야 한다. 이송니프(13)와 각 접지니프(8)(9)사이의 거리(B)는 시이트가 이들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최단진로임을 감안하여 약 최소 90㎜는 되어야 한다. 접지장치의 구조를 최대한으로 치밀하게 하기 위하여 제1도-제2도에서 보인 접지장치는 A=B=90㎜가 되게 구성된다.
지금까지의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접지장치의 기계적인 작용을 충분히 이해토록 한 것이다.
이후의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접지장치의 제어에 요구되는 요소에 관한 것이다. 제1도-제2도에서 보인 접지장치의 제어시스템은 접지될 시이트가 공급되는 공급통로에 배치된 3개의 검출기(30)(31)(32)로 구성되고, 상기 검출기는 공급된 각 시이트의 선단변부와 후단변부의 검출에 응답하여 제어장치(33)에 검출신호를 공급하며, 이러한 검출신호는 예를들어 공급통로에서 이송로울러(11)(12)를 구동시키고, 시이트선단변부의 진입중에 접지로울러(3)를 상승시키며 두 대향된 방향중에서 한 방향으로 접지로울러(4)(6)를 구동시키고, 접지된 시이트를 배출토록 배출편향판(25)을 작동시키는 것과 같이 접지장치의 작동부분이 요구된 시간에 작동될 수 있도록 공급된다.
검출기(30)는 측부안내부(15)로부터 짧은 거리 C에 놓이고 시이트공급방향에서 보았을때에 이송니프(13)의 직후에 배치된 검출기(31)로부터는 거리 D에 놓여있는 지입테이블(2)에 형성된 다이아프램통공(36)의 하측에 배치되는 감광소자(35)로 구성된다. 접지장치의 대기상태에서 감광소자(35)는 다이아프램통공(36)과 감광소자(35)의 직상부에 배치된 예를 들어 LED와 같은 점광원인 광원(37)에 의하여 조명되고, 상기 광원(37)은 측부안내부(15)에 고정된 캡(38)내에 배치된다. 캡(38)과 지입테이블(2)사이의 거리는 이미 일측방향으로 접지된 시이트가 이들 사이로 장애없이 충분히 공급될 수 있을 정도이다. 캡(38), 다이아프램통공(36)과 이들 사이의 거리는 주위의 빛이 감광소자(35)의 응답에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통과하는 시이트에 의하여 광선이 차단되는 것에 작용하는 검출기(30)를 이용하므로서 검출기(30)가 투명시이트에는 반응치 아니하는 잇점을 갖는다. 투명시이트는 본래 원도용 시이트이므로 잘못하여 접히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측부정기구(15)측으로 밀착되어 지입테이블(2)에 공급되는 시이트는 LED로 구성되는 광원(37)과 감광소자(35)사이의 광선을 차단하고 이에 응답하여 소자(35)는 시이트의 선단변부가 광선을 차단할 때에 제1신호(40)를 공급하고 시이트의 후단변부가 통과하여 다시 광선이 감광소자(35)에 도달할 때에 제2신호(41)를 공급한다. 이들 신호(40)(41)는 제어장치(33)에 공급되며 이는 신호(40)에 응답하여 이송로울러(21)(11)의 결합구동장치를 스위치-온시키는 스타트신호(42)를 공급하며, 신호(41)에 응답하여서는 공급시이트의 검출된 길이에 따라 접지단(1)을 작동시키는 제어신호(43)를 공급한다. 상기 검출에 대하여서는 이후 상세히 설명된다.
거리 C는 약 20㎜로서 이 거리는 측부안내부(15)를 따라 공급된 시이트만이LED 광원(37)과 감광소자(35)사이의 광선을 차단하여 접지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는 정도로 충분히 작은 반면에 시이트의 측변부가 다이아프램통공(36) 위를 지나므로서 측부안내부(15)를 따라 경사지게 시이트가 공급되어 예를 들어 시이트길이를 너무 짧게 검출하게 되므로서 부정확한 시간에 검출신호를 발생하는 것은 충분히 방지할 수 있을 정도로 크다. 이러한 크기의 선택은 지입테이블(2)의 길이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서 이후에 상세히 설명된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검출기(31)는 예를 들어 이송니프(13)로부터 20㎜인 거리 E에서 이송니프의 직후에 배치된다. 검출기(31)는 베인형 검출기형태로 구성되며 통과하는 시이트변부가 베인을 회전시켜 검출신호(46)를 발생토록 한다. 검출기(31)로부터 측부안내부(15)의 연장선까지의 거리 F는 일측방향으로 접지된 시이트가 가질 수 있는 최소폭보다 작으며, 예를 들어 190㎜의 접지패킷의 통상적인 최소접지폭의 경우에 있어서 거리 F는 150㎜이어서 검출기(31)는 이송니프(13)를 통한 슬립없이 이송되는 시이트의 선단변부에 의하여 항시 작동되며, 제어장치(33)는 시이트 선단변부가 간단히 벌어진 접지니프(8)사이에서 시이트안내부재(16)에 의하여 공급되는 방향으로 시이트 선단변부 또는 그 연장부를 위하여 검출기(32)(이후 상세히 설명됨)로부터의 신호를 처리하고 제어반(49)에 설정된 접지프로그램이 수행되는 사전에 결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에 제어장치(33)가 검출신호(46)의 수신에 응답하여 로울러(3-6)를 구동시키기 시작하는 제어신호(47)를 공급한다.
검출신호(46)의 수신과 동시에 제어장치(33)는 펄스감지기(24)에 의하여 공급된 펄스를 카운트하기 시작한다. 제어장치(33)는 공급된 시이트의 후단변부가 감광소자(35)를 통과하였을 때에 이 감광소자(35)에 의하여 공급된 검출신호(41)의 수신시 펄스카운트를 중지한다. 검출기(30)(31)사이의 고정거리 D를 고려하여 제어장치는 공급된 시이트의 정확한 길이를 펄스카운트로부터 계산하는바, 이러한 특정은 표준형 시이트의 설정접지프로그램에서 여러 접지길이의 크기를 결정하는데 필요하다. 예를 들어 A3, A2, A1, A0 DIN형식 또는 이들과 크게 다르지 않으며 상기 DIN형식과 같은 동일한 접지패턴에 따라 접지될 수 있는 형식인 경우에는 상기 패턴내에서 여러 접지길이의 크기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이다.
제어반(49)에 의하여 제어장치(33)는 표준형 크기의 패킷을 형성토록 상이한 형식의 아직 접지되지 않은 시이트의 지그재그접지를 위한 다수의 접지프로그램, 예를 들어 190㎜ 폭을 갖는 패킷을 위한 접지프로그램(50), 바인딩변부없는 210㎜ 폭의 패킷을 위한 접지프로그램(51), 그리고 바인딩변부를 갖는 210㎜ 폭의 패킷을 위한 접지프로그램(52)과 같은 프로그램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들 프로그램은 시이트형식 A3, A2, A1 및 A0에 대하여 제3도에서 보인 접지패턴을 제공한다.
접지프로그램(50)(51)(52)에 대하여 제3도에서 보인 접지패턴은 도면의 범례가 표기되는 도면시이트상부의 5㎜ 돌출부를 가지며 이러한 시이트상부는 도면에서 보인 패킷의 저면에 위치한다. 이 돌출부는 0-5㎜ 사이로 조절가능하다. 접지프로그램(52)의 경우에 있어서 20㎜ 폭인 바인딩변부 역시 25-30㎜로 조절가능하다.
제3도에서 보인 접지패턴은 선단변부(범례가 표기되는 변부)로부터 계산하여 접지선이 ㎜단위의 다음 거리에 있게 되는 정확한 DIN형식의 지그재그접지형 패킷 을 제공한다.
접지프로그램(50);
A3 : 185 115
A2 : 182 95 90 107
A1 : 190 185 185 140.5 140.5
A0 : 190 185 180 180 134 134
접지프로그램(51) ;
A3 : 195 105
A2 : 210 192
A1 : 210 205 110.5 110.5
A0 : 210 205 100 100 184 184
접지프로그램(52) ;
A3 : 190 105
A2 : 190 95 90 97
A1 : 190 185 130.5 130.5
A0 : 190 185 180 180 124 124
각각 A3, A2, A1 및 A0 형식에 대하여 420, 594, 841 및 1188㎜인 시이트 길이로부터 작은 차이의 경우, 최종접지선의 위치가 적용되는 A3 및 A2의 접지패턴의 경우와 최종 두개의 접지선 위치가 적용되는 A1 및 A0의 접지패턴의 경우에 있어서, 다시 시이트의 후단변부는 패킷의 요구된 위치를 갖는다. 최종접지선 또는 하나의 최종접지선이 위치변화는 접지패턴에 각각 "≪"와"≫"으로 접지패턴에 표시되었다.
검출기(30)(31)사이의 거리D는 접지를 위한 최소 표준시이트 형식의 길이보다 작아야 하며, 이로써 접지를 위한 최소형식으로 A3의 경우에 있어서는 펄스카운트에 의하여 정확한 시이트길이를 결정할 수 있도록 420㎜이하이어야 한다. 그러나, 거리 D는 설정된 접지프로그램(50)(51)(52)의 적당한 접지패턴이 정시간에 설정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커야 한다. 이를 위하여 최대 표준형식보다 작은 표준형식에 대하여 정시간에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다. 소형의 표준형식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제어장치는 최대 표준형식 또는 이보다 약간 다른 시이트형식이 존재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제3도에서 보인 접지패턴으로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접지프로그램(51)의 A1 및 A0에 대한 접지패턴은 다분히 한정적인 것이다. 그 최초 520㎜의 처리는 동일하다. 이는 검출기(31)를 통과한 A1 형식의 520㎜ 공급후에 검출기(30)가 시이트의 후단변부를 놓아주어야 하므로 검출기(30(31)사이의 거리는 정시에 요구된 표준접지패턴이 설정될 수 있도록 841-520=321㎜보다는 커야 한다. 그러나, 이후 설명되는 상기 기준에 따라서 거리 D는 최소 389㎜이어야 한다. 제1도-제2도에서 보인 접지장치에서 이러한 다른 기준은 D=410㎜로 고려된다.
공급된 시이트의 선단변부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는 베인으로 구성되는 검출기(31)와 같은 검출기(32)가 시이트공급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검출기(31)와 거의 같은 높이이나 종방향으로 공급된 접히지 않는 시이트의 최소폭보다 작은 측부안내부(15)로부터의 거리 G에 위치하여 배치된다. 예를 들어 이 폭은 A3 시이트=297㎜의 폭이거나 미국B형식=279㎜의 폭이다. 그러나 거리 G는 일측방향으로 접지된 패킷의 최대폭보다 크다.
이 폭은 예를 들어 A4형식=210㎜의 폭이거나 미국의 7"× 9" 형식=230㎜의 폭이다. 최대가능거리G는 일측방향으로 이미 접히고 경사지게 공급된 패킷의 측부가 검출기(32)를 작동시켜 접지장치가 제1접지선을 형성하는 접지프로그램으로 무단전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리하다. 시이트의 선단변부가 측부안내부(15)로부터 후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접지되지 않은 시이트의 경우에 예를 들어 검출기(32)의 위치에서 선단변부에 접지선이 형성되는 경우에 패킷이 이미 일측방향으로 한번 접지된 것으로 잘못 검출되어 제어장치(33)는 시이트의 선단변부가 검출기(31)를 사전에 결정된 펄스카운트수에 이를 때까지 검출기(32)에 의하여 공급된 검출신호(48)를 처리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이 펄스카운트수는 10㎜ 시이트 이동거리에 일치한다. 이때에만 접지로울러(3-6)의 구동장치가 작동을 시작하여 접지프로그램이 이미 일측방향으로 접지된 패킷을 접지토록 설정된 경우 접지로울러는 오세-네델란드 비브이(Oce-Nederland B.V.)의 명의로 출원된 네델란드 측허출원 9301483에 따라서 접지프로그램이 제1방향으로 접지토록 설정된 경우보다 빠르게 구동될 수 있다.
양측 검출기(31)(32)에 의한 시이트 선단변부의 검출시에 제어반(49)에 설정된 접지프로그램은 검출기(30(31)에 의하여 검출된 길이영역에 관련된 접지패턴으로 작동되며 이후 검출기(30)에 의한 시이트 후단변부의 검출 후 최종 및 최종 두개의 접지선의 위치가 검출된 정확한 시이트 길이에 따라 검출되고 이에 따라서 수행된다. 검출기(31)와 각 접지니프(8)(9)사이의 거리가 90-2=88㎜로 주어지고 접지명령이 주어지는 시간과 접지선이 실제로 형성되는 시간사이의 일치하는 시이트운동이 주어지는 길우 A0시이트에서 최종 접지선이 하나만 형성되도록 하는 접지명령은 추가 접지선이 검출기(31)에 의하여 그 위치가 선정되는 시간보다 느리게 주어져야 한다. 이때에 후단변부는 검출기(30)의 위치에 놓여 있을 것이므로 접지프로그램(51)의 경우에 있어서 거리 D는 205+184=389㎜보다는 커야 한다. 표준규격의 길이보다 크게 다른 길이를 갖는 시이트의 경우에 있어서, 여러 중간 접지선으로 접지되는 표준접지의 패턴은 정확한 시이트길이가 알려질 때가까지는 결정될 수 없다. 이를 위하여 검출기(30)는 접지단(1)으로부터 먼 거리에 있어야 하며 이는 기다란 지입테이블을 요구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시이트가 기다란 지입테이블을 필요로 하지 아니하고 표준형 패킷크기로 접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접지프로그램은 시이트가 표준길이 정도의 사전에 결정된 길이영역내의 길이를 갖는지의 여부를 알지 못하는 경우 이러한 시이트에 대하여 제어반(49)에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접지프로그램에 따라서, 최종 하나의 접지선 대신에 최종접지선이 큰 시이트 길이(A1및 A0)를 위한 여러 위치에 배치된다. 이에 대하여 정확한 길이가 추후에 알려져야 하므로 짧은 지입테이블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다.
만약, 시이트가 10㎜ 이동하는 시간에 검출기(31)의 작동후 짧은 시간이 경과후에도 검출기(32)가 작동치 아니하는 경우 제어장치(33)는 사전에 결정된 정규거래에서 공급된 시이트를 접지하기 위한 접지프로그램으로 접지단(1)을 설정한다. 이와 같이 일측방향으로 이미 접지된 시이트는 패킷의 길이에 따라 한번 또는 두번 접지될 것이다. 최초 접지선은 최초 297㎜의 위치에 형성된다. 만약 시이트가297+297+110㎜보다 짧다면, 제2접지선은 제2접지선과 후단변부사이의 거리가 110㎜가 되게 제1접지선으로부터 거리를 둔 위치에 형성된다. 만약 시이트가 297+297+110㎜보다 길다면 제2접지선은 제1접지선으로부터 297㎜의 거리에 형성된다.상기 언급된 접지장치의 작동은 제4A도, 제4B도 및 제4C도의 흐름도에서 설명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개략구성도.
제2도는 제1도의 II-II선 방향에서 본 부분 평면도.
제3도는 다수의 표준시이트 양식의 접지패턴을 보인 설명도.
제4A도, 제4B도 및 제4C도는 제1도와 제2도에서 보인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는 흐름도.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접지단 2, 14 : 공급통로
15 : 측부안내부 32 : 검출기

Claims (12)

  1. 시이트가 접지되지 않았을 때에는 평행한 제1변부 사이의 제1치수와 제1변부에 수직인 평행한 제2변부 사이의 제2치수를 가지고, 제1변부에 평행한 적어도 두 접지선을 갖는 제1접지상태에서는 제1변부 사이에서 감소된 제1치수를 갖는 시이트를 접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이 장치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공급통로(2, 14)를 따라서 시이트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수단, 시이트가 공급통로(2, 14)를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에 시이트의 변부가 공급통로의 측부가장자리에 정렬되게 유지하기 위한 안내수단(15), 시이트의 감소된 제1치수 보다 큰 제1거리를 두고 공급통로의 측부가장자리로부터 횡방향으로 거리를 둔 위치에 배치되어 공급통로(2, 14)를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접지되지 않은 시이트를 검출하기 위한 제1검출기(32)와, 제1검출기(32)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그 제1변부가 공급통로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공급되는 접지되지 않은 시이트에서 제1변부에 평행한 둘 이상의 접지선을 형성토록 접지되어 시이트의 제1접지상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접지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제1검출기로부터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때 그 제2변부가 공급통로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공급되는 접지된 시이트에서 제2변부에 평행한 하나 이상의 접지선을 형성토록 접지되도록 하는 제2접지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접지단(1)을 작동시키는 제어수단(33)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의 양방향 접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거리가 시이트의 제2치수 보다 작음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의 양방향 접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제1거리가 시이트의 감소된 제1치수 보다 시이트의 제2치수의 크기에 근접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의 양방향 접지장치.
  4. 제1항-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급수단이 공급통로(2, 14)를 따라서 시이트의 슬립없는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공급통로에 배치되는 이송수단(11, 12, 13)을 포함하고, 제1검출기(32)가 공급방향에서 보았을 때 이송수단의 후측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의 양방향 접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공급통로를 따라서 이동하는 시이트의 후단부를 검출하기 위한 제2검출기(30)가 구성되어 있으며, 이 제2검출기(30)가 공급방향에서 보았을 때 이송수단의 전방에 제1검출기(32)로부터 시이트의 제1치수 보다 작은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의 양방향 접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공급통로를 따라서 이동하는 시이트의 선단부를 검출하기 위한 제3검출기(31)가 구성되어 있으며, 이 제3검출기(31)가 공급방향에서 보았을 때 이송수단의 후방에 공급통로의 측부가장자리로부터 시이트의 감소된 제1치수 보다 작은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의 양방향 접지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제어수단(33)이 제3검출기(31)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한 후 일정한 시간이 경과된 후에 제1검출기(32)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의 양방향 접지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제3검출기(31)가 제2검출기(30)로부터 시이트의 감소된 제1치수와 최종접지선 및 그 이전의 접지선 사이의 크기를 합한 것보다 큰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의 양방향 접지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제3검출기(31)가 제2검출기(30)로부터 시이트의 감소된 제1치수와 최종접지선 및 그 이전의 접지선 사이의 크기를 합한 것보다 큰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의 양방향 접지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제3검출기(31)가 제2검출기(30)로부터 시이트의 제1치수 보다 작은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의 양방향 접지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제3검출기(31)가 제2검출기(30)로부터 시이트의 제1치수 보다 작은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의 양방향접지장치.
  12. 제5항에 있어서, 제2검출기(30)가 공급통로의 양측에 대향되게 배치된 감광소자(35)와 광원(37)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의 양방향 접지장치.
KR1019950005019A 1994-03-11 1995-03-10 시이트의 양방향 접지장치 KR1003661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9400381 1994-03-11
NL9400381A NL9400381A (nl) 1994-03-11 1994-03-11 Inrichting voor het vouwen van een vel in twee richting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1843A KR950031843A (ko) 1995-12-20
KR100366126B1 true KR100366126B1 (ko) 2003-04-08

Family

ID=19863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5019A KR100366126B1 (ko) 1994-03-11 1995-03-10 시이트의 양방향 접지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709640A (ko)
EP (1) EP0672605B1 (ko)
JP (1) JP2784897B2 (ko)
KR (1) KR100366126B1 (ko)
AU (1) AU691555B2 (ko)
DE (1) DE69503816T2 (ko)
ES (1) ES2122434T3 (ko)
NL (1) NL9400381A (ko)
TW (1) TW2401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8483A (ja) * 1997-02-05 1998-08-18 Canon Inc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GB2359310A (en) * 2000-02-17 2001-08-22 Leeds Dyers Ltd Cloth folding apparatus
US7532357B2 (en) * 2000-12-26 2009-05-12 Xerox Corporation Job submiss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ple job renderings with a single master or “super” ticket
JP5018933B2 (ja) * 2010-06-28 2012-09-05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用紙折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17157A (en) * 1967-06-17 1970-12-31 Broadbent & Sons Ltd Thomas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control apparatus for the measurement and folding of flat workpieces
US3961781A (en) * 1969-11-03 1976-06-08 R. Funk & Co., Inc. Foldable-sheet processing systems
DE2152078C3 (de) * 1970-10-22 1973-11-08 Vittorio S. Mauro Torinese Turin Garrone (Italien) Automatische Faltmaschine
NL7204777A (ko) * 1972-04-10 1973-10-12
US4073486A (en) * 1975-04-21 1978-02-14 Chicago Dryer Company Folder construction
CH605374A5 (en) * 1976-04-23 1978-09-29 Otto Bay Paper folding machine for producing set pattern
JPS5964450A (ja) * 1982-10-05 1984-04-12 Canon Inc シ−ト斜行等の検知装置
DE3419146C2 (de) * 1983-06-06 1986-11-13 Herbert Kannegiesser Gmbh + Co, 4973 Vlotho Vorrichtung zum mehrfachen Quer- und Längsfalten von Wäschestücken
US4944505A (en) * 1989-01-30 1990-07-31 Brandt, Inc. Sheet length detector with skew compensation
DE4013401A1 (de) * 1990-04-26 1991-10-31 Binder & Co Masch Oppenweiler Verfahren zum einrichten und steuern einer falzmaschine
NL9001798A (nl) * 1990-08-10 1992-03-02 Oce Nederland Bv Inrichting voor het vouwen en verzamelen van vellen van verschillende formaten.
NL9200239A (nl) * 1992-02-10 1993-09-01 Oce Nederland Bv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vouwen van vellen van verschillende format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72605A1 (en) 1995-09-20
US5709640A (en) 1998-01-20
TW240181B (en) 1995-02-11
DE69503816T2 (de) 1999-03-11
EP0672605B1 (en) 1998-08-05
ES2122434T3 (es) 1998-12-16
NL9400381A (nl) 1995-10-02
JP2784897B2 (ja) 1998-08-06
AU691555B2 (en) 1998-05-21
KR950031843A (ko) 1995-12-20
AU1476195A (en) 1995-09-21
JPH0880400A (ja) 1996-03-26
DE69503816D1 (de) 1998-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00574C (en) Paper handling apparatus
EP0421547B1 (en) Method and device for folding sheets
CN102756943B (zh) 片材折叠装置和具有该片材折叠装置的图像形成系统
EP0375146B1 (en) High speed sheet feeder singulator
CN101186257A (zh) 在前面具有栅栏式折页装置的刀式折页机及折页方法
JPH05246617A (ja) バックルフォールディングマシン
JPS6341377A (ja) 材料シ−トの折りたたみ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6886824B2 (en) Binding member removing apparatus, automatic document feeder,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366126B1 (ko) 시이트의 양방향 접지장치
EP1180488B1 (en) Paper discharge apparatus connectable to a printer with simplified guide structure
US5026035A (en) Paper handling apparatus
US6186497B1 (en) Low cost multiple output sheet inverter
US4944136A (en) Paper handling apparatus
JP2665305B2 (ja) 異なるフォーマットのシートを折り畳む装置
EP0846639B1 (en) Apparatus for rotating an advancing sheet
JP2000219349A (ja) フィ―ドテ―ブル
JP2900515B2 (ja) 自動改札機
JPS6186324A (ja) 紙幣類繰出し装置
JPH09138877A (ja) 紙葉類識別機の磁気ヘッド装置
GB2227234A (en) Paper handling device
US556693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skewing sheets
JP2514338Y2 (ja) 媒体搬送機構
US4539752A (en) Automatic sheet transport mechanism
US5075723A (en) Diazo photocopy machine with automatic sheet separator
JPS614638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