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5646B1 - 내식성 클래드 강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내식성 클래드 강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5646B1
KR100365646B1 KR1020000071864A KR20000071864A KR100365646B1 KR 100365646 B1 KR100365646 B1 KR 100365646B1 KR 1020000071864 A KR1020000071864 A KR 1020000071864A KR 20000071864 A KR20000071864 A KR 20000071864A KR 100365646 B1 KR100365646 B1 KR 100365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osion
steel sheet
binder
nickel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1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2108A (ko
Inventor
정주용
Original Assignee
정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주용 filed Critical 정주용
Priority to KR1020000071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5646B1/ko
Priority to TW090101853A priority patent/TW494039B/zh
Priority to CNB011188650A priority patent/CN1209241C/zh
Priority to JP2001363702A priority patent/JP2002239741A/ja
Publication of KR20020042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2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5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56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06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using roller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6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to be welded
    • B23K11/2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to be welded of different 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 B32B15/01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one layer being formed of an iron alloy or steel, another layer being formed of a metal other than iron or alumi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3/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properties or particular surface features, e.g. particular surface coatings; Layered products design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covered by another single 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식성 클래드 강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종 금속간에 기계적 접합력이 우수한 내식성 클래드 강판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탄소강판의 편면 또는 양면에 바인더로서 철 또는 니켈을 주성분으로 하는 비정질 합금의 박판 스트립을 가접합한 후 그 위에 니켈, 티타늄 등 내식성 금속판을 놓고 저항심용접하여 접합하거나, 탄소강판의 편면 또는 양면에 제1바인더로서 철 또는 니켈을 주성분으로 하는 비정질 합금의 박판스트립을 가접하고, 다시 상기 비정질 합금의 박판 스트립위에 제2바인더로서 니켈 또는 스테인리스, 구리합금의 박판스트립을 가접한 후 그 위에 니켈, 티타늄 등 내식성 금속판을 놓고 저항심용접하여 내식성 클래드 강판을 제조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방법과 동 방법으로 만들어진 내식성 클래드 강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내식성 클래드 강판 및 그 제조방법{CORROSION RESISTANCE CLAD METAL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내식성 클래드 강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종 금속간에 기계적 접합력이 우수한 내식성 클래드 강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의 금속과는 달리 티타늄(Ti), 지르코늄(Zr), 탄탈늄(Ta), 니오브(Nb) 및 니켈합금 등의 내식성소재는 용접도 잘 안될 뿐 아니라 매우 고가여서 산업일반에서 많이 사용되지 않는 것이 사실이지만 이러한 금속이 가지는 내식성, 경량성,우수한 강도등의 이유로 그 사용처는 사실 제한적이긴 하나 매우 다양한 분야에 쓰이고 있다. 특히, 화학플랜트류, 환경설비등 우수한 내식성 소재를 요구하는 분야에서는 저렴한 탄소강판에 내식성 소재가 접합된 클래드 강판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클래드 강판이 사용되는 이유는 전체적으로 경제적 일뿐만 아니라 편리한 사용은 물론 그 이용가치가 매우 크기 때문이다. 이와같은 클래드 강판은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것으로는 열간 압연에 의한 롤본드 클래드와 폭발용접에 의한 폭접 클래드 및 저항심용접방법에 의한 클래드를 들수 있다.
열간압연에 의한 롤본드 클래드 판의 제작기술은 내식성이 우수한 니켈합금이나 니켈-구리 합금 또는 티타늄 합금으로된 내식성합금 층과 모재인 탄소강을 동시에 가열하여 고온에서 롤러로 열간압연하여 제작하는 기술이며 제조비용이 고가인 문제가 있다.
폭발용접에 의한 클래드 제작은 상기 열간 압연에 의한 롤본드 클래드와는 달리 접합을 위하여 화약의 폭발력을 이용한다는 점이며 롤본드 클래드 보다는 접합력이 약간 우수한 편이나 제작비용이 롤본드 보다 더 고가이고 폭발에 의한 위험부담이 많고 제작기간, 제작크기의 한계 등의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좀더 경제적이고 간편하게 해결할 목적으로 저항심용접으로 접합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는데 저항심용접은 용접하고자 하는 금속에 큰 전류를 통과시켜 이때 발생하는 전기저항에 의한 열을 이용하여 용접하는 방법으로 제임스 주울(James Joule)에 의하여 발명된 원리를 이용한 기술이다. 이러한 저항심용접에의해 이종금속을 접합하는 기술로 여러 가지 방법이 소개되어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기술로 탄소강판과 내식성의 니켈합금강판 또는 티타늄강판 등의 사이에 구리 및 스텐레스 합금의 박 또는 망으로된 바인더를 삽입하여 저항심용접 하는 방법을 들수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 역시 접합력이 약하여 많이 사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내식성 소재와 탄소강으로된 이종금속 간의 접합력이 우수하면서도 경제적으로 저렴한 클래드 강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의한 내식성 클래드 강판이 원형 전극을 가진 저항심용접장치에서 용접되는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제 2 도는 본 발명에 의하여 완성된 클래드 강판의 단면 사시도이다.
* 도면중 중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모재 2.비정질의 박판스트립(바인더1)
3.니켈 박판스트립(바인더2) 4.내식성 금속판
5.저항심용접용 전극 6.저항심용접비드
본 발명은 탄소강판의 편면 또는 양면에 바인더로서 철 또는 니켈을 주성분으로 하는 비정질 합금의 박판 스트립을 가접한 후 그 위에 니켈, 티타늄 등 내식성 금속판을 놓고 저항심용접하여 접합하거나,
탄소강판의 편면 또는 양면에 제1바인더로서 철 또는 니켈을 주성분으로 하는 비정질 합금의 박판스트립을 가접하고, 다시 상기 비정질 합금의 박판 스트립위에 제2바인더로서 니켈 또는 스테인리스 또는 구리합금의 박판스트립을 가접한 후,
그 위에 니켈, 티타늄 등 내식성 금속판을 놓고 저항심용접하여 내식성 클래드강판을 제조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본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내식성의 소재와 모재(주로 탄소강) 사이에 철 또는 니켈을 주성분으로 하는 비정질합금의 스트립의 박판을 중간층의 바인더로 사용함으로서 비정질합금이 갖는 특성을 활용하여 이종금속간의 접합을 가능케 하면서도 접합력이 우수한 클래드 강판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에서 Fe계 비정질합금과 Ni계 비정질합금을 제1바인더로 사용한 것은 Fe계 또는 Ni계 비정질합금은 구조상 결정에서 볼 수 있는 미끄럼계가 존재 하지 않고 랜덤한 원자배치에 따라 자유체적이 존재하므로 강도가 높은 반면 연성도 풍부할뿐아니라 전기저항이 높아 저항심 용접시 높은 열을 발생하여 우수한 접합력을 갖을수 있기 때문이다.
즉, 철계 비정질 박판스트립은 일반의 재료보다 전기저항이 높고 연성 및 유동성도 좋아서 저항심용접하는 경우 재료의 형상이나 표면의 형태에 관계 없이 접합이 가능할뿐 아니라, 또한 상온에서는 불안정한 구조이지만 300∼500℃ 부근에서 결정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대략 1000℃ 이상의 열이 가해지는 저항심용접을 행하는 경우 용접부위가 안정한 구조를 이루게 되어 우수한 접합력과 기계적 강도를 갖는다.
이보다 더욱 우수한 접합력과 함께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클래드를 얻기위하여 제1바인더 위에 니켈이나 스테인레스 등의 강도가 높은 제2바인더를 동시에 적층하여 저항심용접 하므로서 강도가 높은 이종금속 간의 클래드 강판을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클래드 제조는 그림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정질로 된 스트립박판위에 니켈등 내식성 합금의 스트립박판을 적층하여 내식성금속판과 모재 사이에 넣어 저항심용접하여 제조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기존의 방법, 즉 니켈합금 스트립박판만으로 저항심용접한 것이나 니켈합금 박판 위에 철망, 구리망, 스텐레스망 등을 적층한 후 저항심용접하는 방법 등 과거의 방법보다 월등한 접합력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저항심용접의 조건은 내식성소재와 바인더 및 탄소강 소재의 재질 및 두께등에 따라서 그 가압력, 전류 및 시간 등을 적절히 조절하여 최적의 용접조건을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은 비단 티타늄(Ti), 지르코늄(Zr), 탄탈늄(Ta), 니오브(Nb) 및 니켈등의 내식성 소재를 탄소강에 접합시키는 것 뿐 아니라 내식성 소재와 스테인레스강 또는 구리, 알미늄 등과의 접합도 가능할 수 있으며 니켈합금과 탄소강, 구리합금과 탄소강 등 여타의 다른 이종소재 간의 접합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비정질의 철계박판스트립 사용시에 철(Fe)이외에 붕소(B)나 실리콘(Si)등의 원소가 추가된 스트립박판을 사용함으로서 용접시의 유동성을 향상시켜 접합강도 증가 효과를 기대 할 수 있고, 접합력과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1바인더와 제2바인더를 다수개 적층하여 저항심용접 할 수도 있으며, 바인더위에 용접시의 제반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플럭스를 도포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1)
모재로 두께 6mm의 탄소강(SS400)과 내식성소재로 두께 1.6mm의 티타늄 사이에 여러 가지 바인더를 포개놓고 저항심용접기에서 가압력 2kg/mm2, 용접전류 15000∼40000A, 통전시간 5∼10, 휴지시간 5∼10의 조건으로 접합하여 클래드 강판을 얻었다. 표 1 은 본 발명의 방법과 기존의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제조된 티타늄 클래드의 기계적 강도를 비교한 것이다. 표 1에의하면 본발명에 의한 것이 종전의 제품에 비하여 우수한 전단강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티타늄 클래드 기계적 강도 비교
구분 내식성금속 바인더1 바인더2 전단강도 (Kg/mm2) 인장강도 (Kg/mm2) 항복강도 (Kg/mm2) 비고
저항심용접(본 발명) Ti-Gr.2 Amorphous Fe-strip Ni-strip 20.5 47.5 35.6
Ti-Gr.2 Amorphous Fe-strip Stainless-strip 19 47 35
Ti-Gr.2 Amorphous Fe-strip - 17.8 46.2 33
저항심용접 (기존방법) Ti-Gr.2 Cu-net Ni-strip 15.2 45 30
Ti-Gr.2 Fe-net Ni-strip 15.2 45 30
Ti-Gr.2 Stainless-net Ni-strip 16 47 32
롤본드 Ti-Gr.2 - - 14.8 45 -
폭발용접 Ti-Gr.2 - - 15 45 -
국제규격 JIS 0601 Ti-Gr.2+SS400 - - ≥13.98 ≥39.18 -
저항심용접 (본 발명) Ti-Gr.1 Amorphous Fe-Strip Ni-strip 18.4 40.0 30.5
Ti-Gr.1 Amorphous Fe-Strip Stainless-strip 17.5 41.0 30.8
저항심용접 (기존방법) Ti-Gr.1 Cu-net Ni-strip 14 39 27.3
Ti-Gr.1 Fe-net Ni-strip 14 39 27
Ti-Gr.1 Stainless-net Ni-strip 16 40 28
롤본드 Ti-Gr.1 - - 14.5 40 -
* 모재 SS400 두께 6mm/ 티타늄 두께 1.6mm
(실시예 2)
내식성소재로 니켈 및 니켈합금을 사용하여 본발명과 기존방법등에 의하여 클래드 강판을 제조하였다. 그 결과 본발명에 의한 것이 기존의 니켈 스트립만을 사용한 것 보다 우수한 접합강도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다음 표2에 나타나 있다.
니켈 및 니켈합금 클래드 기계적 강도 비교
구분 내식성금속 바인더1 바인더2 전단강도 (Kg/mm2) 인장강도 (Kg/mm2) 항복강도 (Kg/mm2) 비고
저항심용접 (본 발명) Ni200 Amorphous Ni-strip Ni-strip 30 54 33
Ni400 Amorphous Ni-strip Stainless-strip 30 51 33
C-276 Amorphous Ni-strip Ni-strip 36 58 38.7
Ni200 Amorphous Ni-strip - 28.5 52.2 30.3
Ni400 Amorphous Ni-strip - 28.5 49.7 30.3
C-276 Amorphous Ni-strip - 33.7 57.3 36
저항심용접 (기존방법) Ni200 - Ni-strip 25.5 51 28.9
Ni400 - Stainless-strip 26 50 30
C-276 - Ni-strip 30 54 35.7
국제기준 ASTM A265 ≥14.06 ≥49.21 ≥28.12
* 모재 SS400 두께 6mm/ 내식성금속 두께 1.6mm
(실시예 3)
내식성소재로 지르코늄, 탄탈늄 및 니오브를 사용하여 본 발명 및 기존방법에 의하여 클래드 강판을 제조하였다. 표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것이 티타늄 등과 유사한 강도를 보이고 있어 본 발명이 이러한 내식성 특수 금속의 클래드화에도 우수함을 알수 있다.
지르코늄, 탄탈늄 및 니오브 클래드 기계적 강도 비교
구분 내식성금속 바인더1 바인더2 전단강도 (Kg/mm2) 인장강도 (Kg/mm2) 항복강도 (Kg/mm2) 비고
저항심용접 (본 발명) Zr702 Amorphous Fe-strip Ni-strip 20.2 47.1 31.2
Ta Amorphous Fe-strip Ni-strip 12.4 40 35
Nb Amorphous Fe-strip Ni-strip 12.4 40 35
Zr702 Amorphous Fe-strip - 18.0 45.2 27.8
Ta Amorphous Fe-strip - 10.6 38.1 31.6
Nb Amorphous Fe-strip - 10.6 38.1 31.6
저항심용접 (기존방법) Zr702 Cu-net Ni-strip 15.2 45 30
Ta Cu-net Ni-strip 10.5 35 30
Nb Cu-net Ni-strip 11 34 30
* 모재 SS400 두께 6mm/ 내식성 금속 두께 1.0mm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나타난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방법으로 용접한 클래드가 기존의 방법보다는 진일보한 것임을 알수 있으며 특히 접합력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전단강도에서는 단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대량생산 및 접합성 및 강도가 우수한 클래드 제작이 가능하므로 기존에 고가의 다른 내식성 클래드를 대체 하여 사용하거나, 내식성 장비등의 사용연한을 증가 시킬수 있을 뿐 아니라, 강도가 높으므로 설비를 제작함에 있어서는 부수적인 자재비 절감을 가져올 수 있어 종래의 내식성 소재보다 더욱 경제적이고 저변확대 적용이 기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탄소강판의 편면 또는 양면에 제1바인더로서 철 또는 니켈을 주성분으로 하는 비정질 합금의 박판스트립을 가접한후,
    그 위에 내식성 금속판을 놓고 저항심용접하여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식성 클래드 강판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인더로서 철 또는 니켈을 주성분으로 하는 비정질 합금의 박판 스트립 위에 제2바인더로서 니켈을 주성분으로 하는 박판스트립이 가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식성 클래드 강판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인더는 스테인리스 또는 구리합금의 박판스트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식성 클래드 강판의 제조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식성 금속판은 티타늄, 지르코늄, 탄탈늄, 니오브, 니켈, 구리 및 그 합금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식성 클래드 강판의 제조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인더 및 제2바인더에는 플럭스가 도포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식성 클래드 강판의 제조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인더와 제2바인더가 다수개 교대로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식성 클래드 강판의 제조방법.
  7. 탄소강판의 편면 또는 양면에 내식성 금속판이 접합되어 있는 클래드 강판에 있어서,
    탄소강판과 내식성금속판 사이에 제1바인더로서 철 또는 니켈을 주성분으로 하는 비정질 합금의 박판스트립이 용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래드 강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인더로서 철 또는 니켈을 주성분으로 하는 비정질 합금의 박판스트립 위에 제2바인더로서 니켈을 주성분으로 하는 박판스트립이 더 용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래드 강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인더는 스테인리스 또는 구리합금의 박판스트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식성 클래드 강판의 제조방법.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식성금속판은 티타늄, 지르코늄, 탄탈늄, 나오브, 니켈, 구리 및 그 합금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식성 클래드 강판의 제조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인더와 제2바인더가 다수개 교대로 적층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식성 클래드 강판의 제조방법.
KR1020000071864A 2000-11-30 2000-11-30 내식성 클래드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365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1864A KR100365646B1 (ko) 2000-11-30 2000-11-30 내식성 클래드 강판 및 그 제조방법
TW090101853A TW494039B (en) 2000-11-30 2001-01-30 Corrosion-resistant clad steel pla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NB011188650A CN1209241C (zh) 2000-11-30 2001-06-26 耐腐蚀复合钢板及其制造方法
JP2001363702A JP2002239741A (ja) 2000-11-30 2001-11-29 耐食性クラッド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1864A KR100365646B1 (ko) 2000-11-30 2000-11-30 내식성 클래드 강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2108A KR20020042108A (ko) 2002-06-05
KR100365646B1 true KR100365646B1 (ko) 2002-12-26

Family

ID=19702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1864A KR100365646B1 (ko) 2000-11-30 2000-11-30 내식성 클래드 강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2239741A (ko)
KR (1) KR100365646B1 (ko)
CN (1) CN1209241C (ko)
TW (1) TW49403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068B1 (ko) 2011-12-27 2013-10-28 주식회사 포스코 클래드 강재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1273B1 (ko) * 1999-09-28 2003-12-18 주식회사 포스코 스테인레스강/티타늄 클래드재 제조방법
KR100493887B1 (ko) * 2002-08-09 2005-06-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내환경성 클래드 판재 및 그 제조방법
TWI514949B (zh) * 2008-02-29 2015-12-21 Fih Hong Kong Ltd 金屬殼體
KR101054462B1 (ko) 2008-11-20 2011-08-05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모재의 강도를 초과하는 접합강도를 갖는, 중간층을 이용한강계열 합금과 티타늄 또는 티타늄계열 합금 간의 고강도 이종금속 접합방법
CN102344024A (zh) * 2010-08-02 2012-02-08 胜狮货柜技术研发(上海)有限公司 一种冷藏集装箱的制造方法
CN102059463A (zh) * 2010-12-06 2011-05-18 四川飞龙电子材料有限公司 层状金属连续复合缝焊方法
CN102500900A (zh) * 2011-11-22 2012-06-20 西安优耐特容器制造有限公司 异种金属板材松衬的制备方法
CN102514288A (zh) * 2011-12-07 2012-06-27 常熟市东涛金属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新型复合金属材料
CN103753043A (zh) * 2014-01-22 2014-04-30 淮南巨万实业有限责任公司 一种卷勉纵焊加装防腐层液压支架立柱方法
CN104139234B (zh) * 2014-08-04 2016-04-20 东莞帕姆蒂昊宇液态金属有限公司 一种非晶合金的电阻焊接方法
CN105033663A (zh) * 2015-06-12 2015-11-11 江苏塞维斯数控科技有限公司 一种数控雕铣机工作台
CN105033662A (zh) * 2015-06-12 2015-11-11 江苏塞维斯数控科技有限公司 一种数控雕铣机立柱
CN105033661A (zh) * 2015-06-12 2015-11-11 江苏塞维斯数控科技有限公司 一种数控雕铣机床座
CN106694600B (zh) * 2015-11-17 2018-06-26 鞍钢股份有限公司 一种不锈钢特厚复合板的生产方法
CN107538860A (zh) * 2017-09-29 2018-01-05 江苏天时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耐腐蚀金属板
CN109693075A (zh) * 2017-10-20 2019-04-30 鞍钢股份有限公司 以if钢为过渡层高性能双面钛钢复合板及其制备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068B1 (ko) 2011-12-27 2013-10-28 주식회사 포스코 클래드 강재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55098A (zh) 2002-06-26
CN1209241C (zh) 2005-07-06
JP2002239741A (ja) 2002-08-28
KR20020042108A (ko) 2002-06-05
TW494039B (en) 200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5646B1 (ko) 내식성 클래드 강판 및 그 제조방법
US20040134966A1 (en) Method of producing Ti brazing strips or foils and the resulting brazing strips or foils
KR100578511B1 (ko) 접합강도와 내식성이 우수한 내환경성 클래드 판재 및 그제조방법
KR100493887B1 (ko) 내환경성 클래드 판재 및 그 제조방법
JPH0335886A (ja) チタンクラッド材の製造方法
EP3152049B1 (en) Low nickel, multiple layer laminate composite
JPH06106357A (ja) 金属製ハニカム構造体の製造方法
JPS6350112B2 (ko)
JPS60203378A (ja) チタンクラツドステンレス鋼材の製造方法
JPH0324317B2 (ko)
JP2000071081A (ja) 複数材料の多層重ね熱間圧延接合により微細複合組織を有する金属板の製造方法
JPH01313193A (ja) クラッド鋼板の製造方法
JPS6039477B2 (ja) クラッド鋼板の製造方法
JPH0323272B2 (ko)
JP4430979B2 (ja) 異種金属接合構造物
JPS5841685A (ja) チタンクラツド鋼
JPS60135248A (ja) クラツド鋼およびその製造法
JP2006088172A (ja) プレス成形用ブランク材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によって得られるプレス成形用ブランク材
KR101279112B1 (ko) 열처리에 의한 석출 경화형 구리합금을 중간접합재로 이용한 클래드 판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클래드 판재
JP2004042085A (ja) プレス成形用ブランク材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によって得られるプレス成形用ブランク材
JP2631460B2 (ja) 銅合金クラツド材の製造方法
JPH07189417A (ja) ろう付けアルミニウムハニカムパネルの製造方法
JPH05169283A (ja) クラッド鋼板の製造方法
JPS62244526A (ja) アモルフアス合金を用いたパイプの製造方法
JPH01150489A (ja) 薄板ステンレスクラッド材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