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4074B1 -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를 위한 소재 안착장치 - Google Patents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를 위한 소재 안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4074B1
KR100364074B1 KR1020010007237A KR20010007237A KR100364074B1 KR 100364074 B1 KR100364074 B1 KR 100364074B1 KR 1020010007237 A KR1020010007237 A KR 1020010007237A KR 20010007237 A KR20010007237 A KR 20010007237A KR 100364074 B1 KR100364074 B1 KR 100364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per foil
unit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low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7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6821A (ko
Inventor
백남헌
최정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남영기계
주식회사 에이스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남영기계, 주식회사 에이스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남영기계
Priority to KR1020010007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4074B1/ko
Publication of KR20020066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6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4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40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05K3/4644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building the multilayer layer by layer, i.e. build-up multilayer circuits
    • H05K3/4652Adding a circuit layer by laminating a metal foil or a preformed metal foil patter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roduction Of Multi-Layered Print Wiring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를 위한 소재 안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를 위한 소재 안착장치는, 소정의 높이를 갖고서 적소에 세워져 설치되는 복수개의 기둥부재와, 상기 기둥부재의 상부에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소재 적층 및 대기부에 놓여진 동박 단위체를 상기 적층부의 하부 커버로 이동시키는 픽업 유닛과, 상기 픽업 유닛을 직상하 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구동수단과, 상기 적층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픽업 유닛에 의하여 이동되는 동박 단위체를 상기 하부 커버로 안정하게 안착시키는 안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부 커버에 내층 코어와 프리프레그가 소정의 단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동박 및 서스 플레이트 등의 소재를 자동적으로 보다 안정하게 안착시키도록 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고, 또한 동박 및 서스 플레이트의 사이로 각종 이물질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보다 양질의 다층 인쇄회로기판을 제조한다.

Description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를 위한 소재 안착장치{Layering system for mult-layer printed circuit board}
본 발명은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를 위한 소재 안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 커버에 내층 코어와 프리프레그가 소정의 단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동박 및 서스 플레이트 등의 소재를 자동적으로 보다 안정하게 안착시키도록 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고, 동박 및 서스 플레이트의 사이로 각종 이물질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보다 양질의 다층 인쇄회로기판을 제조할 수 있게 한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를 위한 소재 안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층 인쇄회로기판을 제조함에 있어서는, 내층 코어들과 절연체 역할을 하는 프리프레그(prepreg)들이 소정의 층수 맞도록 혼합 배열된 상태에서 동박(copper foil)과 스테인레스 재질의 플레이트(sus plate)를 추가로 배열하여 소정의 압력으로 핫 프레스(hot press) 성형을 실시할 수 있도록 적당한 층수로 준비하는 공정을 레이 업(lay up) 공정이라고 한다.
상기한 일련의 레이 업 공정을 설명하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커버(1)의 저부에 간지(2), 라미네이션(3) 및 동박(c)을 순차적으로 놓고, 그 상측에 프리프레그(p), 내층 코어(i) 및 프리프레그(p)로 이루어지는 프리프레그 단위체
(4)를 적어도 1단 이상 적층하고, 다시 그 프리프레그 단위체(4)의 상측에 동박
(c) , 서스 플레이트(s) 및 동박(c)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도록 되어 있으며, 다시 상부 커버(5)를 복개한 후, 별도의 프레스 기구를 이용하여 대략 100도 이상의 높은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양측면에 회로 구성이 가능한 다층 인쇄회로기판을 제조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일련의 레이 업 공정에서 가장 주의하여야 할 사항은 프리프레그 단위체(4), 동박(c) 및 서스 플레이트(s)의 적층 과정에서 동박(c)과 서스 플레이트
(s)의 사이로 합성수지 가루, 먼지 등의 이물질이 스며드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며, 만일 작업상의 부주의로 동박(c)과 서스 플레이트(s)의 사이에 이물질이 스며드는 경우에는 다층 인쇄회로기판에 회로 패턴을 구성하여도 회로가 단락되는 등, 다층 인쇄회로기판을 사용하지 못하여 폐기 처분하여야 하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종래 기술에 의하여 레이 업 공정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각각의 소재를 적층하여야 함으로써 많은 작업자가 필요로 하여,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원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단점이 있었으며, 특히 프리프레그 단위체(4)의 상측에 동박(c) 및 서스 플레이트(s)를 안착시키는 동작이 용이하지 못하여 작업 능률이 현저하게 저하될 뿐만 아니라, 더욱 심각한 것은 수작업에 따른 정확도의 결여로 동박(c)과 서스 플레이트(s)의 사이에 이물질이 스며드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지 못하여 양질의 다층 인쇄회로기판을 제작하지 못하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하부 커버에 내층 코어와 프리프레그가 소정의 단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동박 및 서스 플레이트 등의 소재를 자동적으로 보다 안정하게 안착시키도록 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를 위한 소재 안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박 및 서스 플레이트의 사이로 각종 이물질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보다 양질의 다층 인쇄회로기판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를 위한 소재 안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를 위한 소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통상적인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를 위한 소재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를 위한 소재 안착장치의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를 위한 소재 안착장치를 보인 것으로,
도 4는 도 3의 A 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5는 도 3의 B 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를 위한 소재 안착장치를 구성하는 픽업 유닛의 상세도로서,
도 6은 측단면도.
도 7은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를 위한 소재 안착장치를 구성하는 직선 왕복 구동수단의 일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를 위한 소재 안착장치를 구성하는 가압부재의 설치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를 위한 소재 안착장치를 구성하는 안착수단을 보인 것으로,
도 10은 평면도.
도 11은 정단면도.
도 12는 측면도.
도 13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를 위한 소재 안착장치의 작용을 순차적으로 보인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부 커버 21,22 ; 기둥부재
30 ; 픽업 유닛 31 ; 픽업 베이스
32 ; 슬라이드 안내수단 33 ; 슬라이더
34 ; 슬라이드 실린더 35 ; 클램퍼
36 ; 지지대 36a ; 안착홈
37 ; 브래키트 38 ; 가압 실린더
39 ; 패드 40 ; 직선 왕복 구동수단
50 ; 가압수단 60 ; 안착수단
70 ; 승하강 구동수단 100 ; 플레이트 공급부
200 ; 동박 공급부 300 ; 소재 적층 및 대기부
400 ; 하부 커버 공급부 500 ; 적층부
61 ; 사이드 프레임 62 ; 브래키트
64 ; 승하강 베이스 66 ; 전후진 실린더
68 ; 받침부재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스 플레이트를 공급하기 위한 플레이트 공급부와, 동박의 공급을 위한 동박 공급부와, 상기 플레이트 공급부 및 동박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서스 플레이트 및 동박을 소정의 층수로 적층시켜 동박 단위체를 구성하는 소재 적층 및 대기부와, 하부 커버를 공급하는 하부 커버 공급부와, 상기 하부 커버에 프리프레그 및 내층 코어가 소정의 층수로 적층된 프리프레그 및 상기 동박 단위체를 순차적으로 적층시키는 적층부로 구성되는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시스템에 있어서, 소정의 높이를 갖고서 적소에 세워져 설치되는 복수개의 기둥부재와, 상기 기둥부재의 상부에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소재 적층 및 대기부에 놓여진 동박 단위체를 상기 적층부의 하부 커버로 이동시키는 픽업 유닛과, 상기 픽업 유닛을 직상하 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구동수단과, 상기 적층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픽업 유닛에 의하여 이동되는 동박 단위체를 상기 하부 커버로 안정하게 안착시키는 안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를 위한 소재 안착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픽업 유닛은 픽업 베이스와, 상기 픽업 베이스의 양측에 슬라이드 안내수단을 매개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슬라이드 실린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내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개의 클램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램퍼는 내측면에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내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지지대와, 상기 슬라이더에 설치되는 가압 실린더(38)로 구성되며, 상기 가압 실린더에 상기 동박 단위체를 손상없이 잡기 위한 패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픽업 유닛은 상기 동박 단위체를 보다 안정하게 잡아주기 위한 가압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픽업 베이스의 하면 중간부에 복수개의 지지봉을 매개로 고정되는 중간 베이스와, 상기 중간 베이스의 상면 중간부에 고정되는 가압 실린더와, 상기 가압 실린더의 축부에 고정되어 동박 단위체 중간부를 소정의압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수단은 상기 적층부의 양측 사이드 프레임에 각각 고정되는 실린더 브래키트와, 상기 실린더 브래키트의 하면에 각각 고정되는 승하강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브래키트의 상측으로 관통되는 축부에 각각 고정되는 승하강 베이스와, 상기 실린더 브래키트의 하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승하강 베이스의 승하강 동작은 안내하는 가이드와, 상기 승하강 베이스의 후방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전후진 실린더와, 상기 전후진 실린더의 축부에 각각 연결 고정되는 받침부재 브래키트와, 상기 받침부재 브래키트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되어, 상기 동박 단위체의 양측변부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받침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하부 커버에 내층 코어와 프리프레그가 소정의 단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동박 및 서스 플레이트 등의 소재를 자동적으로 보다 안정하게 안착시키도록 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고, 또한 동박 및 서스 플레이트의 사이로 각종 이물질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보다 양질의 다층 인쇄회로기판을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를 위한 소재 안착장치를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를 위한 소재 안착장치의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를 위한 일련의 적층시스템은, 서스 플레이트(s)를 공급하기 위한 플레이트 공급부
(100)와, 동박(s)의 공급을 위한 동박 공급부(200)와, 상기 플레이트 공급부(100) 및 동박 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된 서스 플레이트(s) 및 동박(s) 등의 소재가 동
박 (s) + 서스 플레이트(p) + 동박(s)의 순서(이하에서는 '동박 단위치(U)'라 칭
함)로 적층되는 소재 적층 및 대기부(300)와, 하부 커버(1)를 공급하는 하부 커버 공급부(400)와, 상기 하부 커버(1)에 프리프레그(p), 내층 코어(i) 및 프리프레그
(p)로 이루어지는 프리프레그 단위체(4)와, 동박 단위치(U)를 순차적으로 적층시키는 적층부(50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적층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하부 커버 공급부(400)로부터 하부 커버
(1)가 공급되는 바, 그 하부 커버(1)에는 간지(2), 라미네이션(3) 및 동박(c)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으며, 상기한 적층부(500)에 대기하고 있다.
한편, 동박 공급부(200) 및 플레이트 공급부(100)에는 동박(s), 서스 플레이트(p), 동박(s)을 순차적으로 소재 적층 및 대기부(300)로 이동시켜 동박 단위치
(U)를 이루게 된다.
상기한 동박 단위치(U)는 본 발명에 의한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를 위한 소재 안착장치에 의해 픽업되어 상기 적층부(500)에 대기하고 있는 하부 커버(1)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 때, 동박 단위치(U)를 하부 커버(1)로 보다 안정하게 안착시키는 동시에, 동박(s)과 서스 플레이트(p)의 사이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여야 최상의 다층 인쇄회로기판을 제조할 수 있다. 그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를 위한 소재 안착장치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를 위한 소재 안착장치를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를 위한 소재 안착장치는, 소정의 높이를 갖고서 적소에 세워져 설치되는 복수개의 기둥부재(21)(22)(도면에서는 전방측의 모든 기둥부재를 (21)로 표시하고, 후방측의 모든 기둥부재를 (22)로 표시한다.)와, 상기 기둥부재(21)(22)의 상부에 지지됨과 아울러 소재 적층 및 대기부(300)의 동박 단위치(U)를 적층부(500)에 놓여진 하부 커버(1)로 이동시키는 픽업 유닛(30)과, 상기 픽업 유닛(30)을 좌우 방향으로 직선 왕복이동시키는 직선 왕복 구동수단(40)과, 상기 픽업 유닛(30)을 직상하 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구동수단(70)과, 상기 적층부(5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픽업 유닛(30)에 의하여 이동되는 동박 단위치(U)을 하부 커버(1)로 안정하게 안착시키는 안착수단(6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픽업 유닛(3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상의 픽업 베이스(31)와, 상기 픽업 베이스(31)의 하면 양측에 슬라이드 안내수단(32)을 매개로 내,외측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더(33)와, 상기 슬라이더(33)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슬라이드 실린더(34)와, 상기 슬라이더(33)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클램퍼(3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안내수단(32)은 픽업 베이스(31)의 하면에 고정되는 레일(32a)과, 상기 슬라이더(33)의 상면에 고정되어 상기 레일(32a)과 결합되는 가이드 슈(32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클램퍼(35)는 내측면에 안착홈(36a)이 형성되어 슬라이더(33)의 내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지지대(36)와, 상기 슬라이더(33)에 브래키트(37)를 매개로 고정되는 가압 실린더(38)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압 실린더(38)의 축부(38a)에는 동박 단위치(U)를 손상없이 잡기 위한 패드(3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안착홈(36a)의 저부에 상기한 패드(39)와 대향되도록 별도의 패드를 부착하여도 좋다.
상기 픽업 유닛(30)은, 이동중인 동박 단위치(U)를 보다 안정하게 잡아주기 위한 가압수단(50)을 구비하고 있는 바, 그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픽업 베이스(31)의 하면 중간부에 복수개의 지지봉(51)을 매개로 고정되는 중간 베이스(52)와, 상기 중간 베이스(52)의 상면 중간부에 고정되는 가압 실린더(53)와, 상기 가압 실린더(53)의 축부(53a)에 고정되어 동박 단위치(U)의 중간부를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54)를 포함하고 있다.
기 가압부재(54)의 양측에는 상기 중간 베이스(52)를 관통하여 가압부재
(54)의 승하강 동작을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55)(56)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픽업 유닛(30)은 직선 왕복 구동수단(40) 및 승하강 구동수단(70)에 의하여 직선 왕복 이동 및 승하강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바, 상기 직선 왕복 구동수단(40)은 도 6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둥부재(21)(22)의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상부 베이스(41)(42)와, 상기 상부 베이스(41)(42)의 상면에 픽업 안내수단(43)을 매개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드 베이스(44)와,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44)에 동력을 부여하는 구동수단(45)을 포함하고있다.
상기 픽업 안내수단(43)은 상기 상부 베이스(41)(42)에 각각 고정되는 하부 레일(43a)과,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44)의 하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하부 레일(43a)에 결합되는 상부 레일(43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수단(45)은 상기 상부 베이스(41)의 양측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풀리(46)(47)와, 상기 풀리(46)(47)를 연결함과 아울러 일측에 연결부재(48)를 매개로 고정되는 타이밍 벨트(49)와, 상기 일측 풀리(46)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 (m)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구동수단(45)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슬라이드 베이스(44)를 직선 왕복시키는 구성이라면 어떠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픽업 유닛(30)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구동수단(70)은,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44)의 상면 중간부에 고정 설치되는 승하강 실린더(71)이며, 상기 승하강 실린더(51)의 축부(71a)가 슬라이드 베이스(44)를 관통하여 픽업 유닛(30)의 픽업 베이스(31)에 연결 고정되어 있다.
상기 픽업 베이스(31)의 상면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복수개의 안내봉(72)이 고정되어 있으며, 그 안내봉(72)은 슬라이드 베이스(44)에 고정된 가이드(73)를 관통하여 상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편, 상기 안착수단(60)은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층부
(500)의 양측에 대칭을 이루며 구성되어 있는 바, 사이드 프레임(61)의 상면에 고정되는 실린더 브래키트(62)와, 상기 실린더 브래키트(62)의 중간부 하면에 고정되는 승하강 실린더(63)와, 상기 실린더 브래키트(62)의 상측으로 관통되는 축부
(62a)에 고정되는 승하강 베이스(64)와, 상기 실린더 브래키트(62)의 하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승하강 베이스(64)의 승하강 동작은 안내하는 가이드(65)와, 상기 승하강 베이스(64)의 후방 양측에 설치되는 전후진 실린더(66)와, 상기 전후진 실린더(66)의 축부(66a)에 연결 고정되는 받침부재 브래키트(67)와, 상기 받침부재 브래키트(67)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개의 받침부재(68)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받침부재(68)는 선단부에 단턱부(68a)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중 도 3의 M은 작업자, T는 작업 테이블을 보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를 위한 소재 안착장치의 직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한 동박 공급부(200) 및 플레이트 공급부(200)의 통상적인 작용에 의하여 소재 적층 및 대기부(300)에는 동박(s) + 서스 플레이트(p) + 동박(s)의 순으로 동박 단위치(U)가 놓여지게 된다. 이 때, 적층부(500)에는 하부 커버 공급부(400)로부터 하부 커버(1)가 이동된 상태이며, 상기 하부 커버(1)에는 간지(2), 라미네이션(3) 및 동박(c)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M)은 인접한 작업 테이블(T)에 놓여진 프리프레그 단위체(4)를 수작업으로 하부 커버(1)에 올려 놓게 된다.
이 후, 소재의 적층 신호가 인가되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픽업 유닛(30)이 승하강 실린더(71)의 구동에 의하여 하강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픽업유닛(30)은 픽업 베이스(31)의 소정 부위에 고정된 복수개의 안내봉(52)의 안내를 받으며 하강하게 된다.
이 후,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픽업 유닛(30)의 양측 슬라이드 실린더
(34)가 구동하여 슬라이더(33)가 각각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슬라이더(33)의 내측면에 각각 고정된 클램퍼(35)의 안착홈(36a)이 동박 단위치(U)의 양측 변부로 근접하게 된다.
상기 클램퍼(35)의 안착홈(35a)이 동박 단위치(U)의 양측 변부로 진입하게 되면, 슬라이더(33)의 이동은 정지되며, 이와 동시에 양측의 가압 실린더(38)의 구동으로 축부(38a)가 각각 하강하여, 상부의 패드(39)가 동박 단위치(U)의 양측변부를 눌러 고정하게 된다.
이 후,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하강 실린더(71)의 구동에 의하여 픽업 유닛(30)이 상승하는 동시에, 가압수단(50)의 가입 실린더(53)가 구동하여 축부(53a)가 하강함으로써 가압부재(54)가 동박 단위치(U)의 상면 중간부를 가볍게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픽업 유닛(30)의 상승 동작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직선 왕복 구동수단
(40)의 구동에 의하여 동박 단위치(U)을 픽업한 픽업 유닛(30)이 픽업 안내수단(43)의 안내를 받으며 직선 이동을 하게 되며,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적층부(500)의 직상부에서 정지하게 된다.
이 후,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픽업 유닛(30)이 승하강 실린더(71)의 구동으로 하강하게 되는 바, 상기 동박 단위치(U)의 위치가 어느 정도 하강되는 시점에서 안착수단(60)의 양측 전후진 실린더(66)의 구동으로 받침부재(68)가 각각 내측으로 이동하여 동박 단위치(U)를 받을 준비를 한다.
이 후,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픽업 유닛(30)이 조금 더 하강하여 동박 단위치(U)의 하면 중간부가 하부 커버(1)에 수납된 프리프레그 단위체(4)에 접촉되는 순간, 픽업 유닛(30)의 양측 가압 실린더(38)를 구동하여 축부(38a)를 상승시킴으로써 동박 단위치(U)의 고정 상태를 해제시키게 되며, 따라서 동박 단위치(U)는 가운데를 기점으로 양측변부를 향하여 점진적으로 하측의 프리프레그 단위체(4)로 놓여지게 된다.
이 때, 상기 하부 커버(1)의 양측에는 받침부재(68)가 위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동박 단위치(U)의 양측변부가 상기 받침부재(68)의 단턱부(68a)에 부드러운 동작으로 안착되며,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후진 실린더(66)가 각각 후진하여 동박 단위치(U)가 프리프레그 단위체(4)에 살며시 안착된다.
즉, 상기 받침부재(68)는 동박 단위치(U)의 급격한 안착을 방지하여 프리프레그(p)의 합성가루가 날리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고, 특히 그 합성가루가 동박 단위치(U)의 동박(c)과 서스 플레이트(s)의 사이로 스며드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동박 단위치(U)의 안착 동작이 완료된 후에는 픽업 유닛(30)이 상승하고 가압부재(54)도 상승하며, 다시 소재 적층 및 대기부(300)로 직선 이동하여 초기 상태로 복귀되는 한편, 작업자(M)가 수작업으로 프리프레그 단위체(4)를 하부 커버(1)에 적층시킨 후, 앞에서 설명한 동일한 순서로 동박 단위치(U)를 하부커버(1)로 이송시키는 동작을 반복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를 위한 소재 안착장치는 상세한 설명에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항 및 그 종속항의 창작적 개념의 정신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를 위한 소재 안착장치는, 소정의 높이를 갖고서 적소에 세워져 설치되는 복수개의 기둥부재와, 상기 기둥부재의 상부에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소재 적층 및 대기부에 놓여진 동박 단위체를 상기 적층부의 하부 커버로 이동시키는 픽업 유닛과, 상기 픽업 유닛을 직상하 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구동수단과, 상기 적층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픽업 유닛에 의하여 이동되는 동박 단위체를 상기 하부 커버로 안정하게 안착시키는 안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하부 커버에 내층 코어와 프리프레그가 소정의 단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동박 및 서스 플레이트 등의 소재를 자동적으로 보다 안정하게 안착시키도록 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고, 또한 동박 및 서스 플레이트의 사이로 각종 이물질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보다 양질의 다층 인쇄회로기판을 제조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서스 플레이트를 공급하기 위한 플레이트 공급부와, 동박의 공급을 위한 동박 공급부와, 상기 플레이트 공급부 및 동박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서스 플레이트 및 동박을 소정의 층수로 적층시켜 동박 단위체를 구성하는 소재 적층 및 대기부와, 하부 커버를 공급하는 하부 커버 공급부와, 상기 하부 커버에 프리프레그 및 내층 코어가 소정의 층수로 적층된 프리프레그 및 상기 동박 단위체를 순차적으로 적층시키는 적층부로 구성되는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시스템에 있어서,
    소정의 높이를 갖고서 적소에 세워져 설치되는 복수개의 기둥부재와, 상기 기둥부재의 상부에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소재 적층 및 대기부에 놓여진 동박 단위체를 상기 적층부의 하부 커버로 이동시키는 픽업 유닛과, 상기 픽업 유닛을 직상하 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구동수단과, 상기 적층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픽업 유닛에 의하여 이동되는 동박 단위체를 상기 하부 커버로 안정하게 안착시키는 안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를 위한 소재 안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유닛은 픽업 베이스와, 상기 픽업 베이스의 양측에 슬라이드 안내수단을 매개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슬라이드 실린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내측면에 각각설치되는 복수개의 클램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를 위한 소재 안착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퍼는 내측면에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내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지지대와, 상기 슬라이더에 설치되는 가압 실린더
    (38)로 구성되며, 상기 가압 실린더에 상기 동박 단위체를 손상없이 잡기 위한 패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를 위한 소재 안착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유닛은 상기 동박 단위체를 보다 안정하게 잡아주기 위한 가압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픽업 베이스의 하면 중간부에 복수개의 지지봉을 매개로 고정되는 중간 베이스와, 상기 중간 베이스의 상면 중간부에 고정되는 가압 실린더와, 상기 가압 실린더의 축부에 고정되어 동박 단위체 중간부를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를 위한 소재 안착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유닛을 좌우 방향으로 직선 왕복이동시키는 직선 왕복 구동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를 위한 소재 안착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수단은 상기 적층부의 양측 사이드 프레임에 각각 고정되는 실린더 브래키트와, 상기 실린더 브래키트의 하면에 각각 고정되는 승하강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브래키트의 상측으로 관통되는 축부에 각각 고정되는 승하강 베이스와, 상기 실린더 브래키트의 하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승하강 베이스의 승하강 동작은 안내하는 가이드와, 상기 승하강 베이스의 후방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전후진 실린더와, 상기 전후진 실린더의 축부에 각각 연결 고정되는 받침부재 브래키트와, 상기 받침부재 브래키트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되어, 상기 동박 단위체의 양측변부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받침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를 위한 소재 안착장치.
KR1020010007237A 2001-02-14 2001-02-14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를 위한 소재 안착장치 KR100364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7237A KR100364074B1 (ko) 2001-02-14 2001-02-14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를 위한 소재 안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7237A KR100364074B1 (ko) 2001-02-14 2001-02-14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를 위한 소재 안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6821A KR20020066821A (ko) 2002-08-21
KR100364074B1 true KR100364074B1 (ko) 2002-12-11

Family

ID=27694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7237A KR100364074B1 (ko) 2001-02-14 2001-02-14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를 위한 소재 안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40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0932A (ko) * 2021-04-09 2022-10-19 주식회사 다원시스 마스크 및 마스크 프레임 건조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3108B1 (ko) * 2005-07-07 2007-02-15 박광수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방법
EP3735807B1 (en) * 2018-01-02 2023-09-13 Illinois Tool Works Inc. Edge lock assembly for a stencil printer and method and system therefor
CN109677912B (zh) * 2019-01-21 2024-03-15 深圳智慧者机器人科技有限公司 一种多层板棕化在线配板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0932A (ko) * 2021-04-09 2022-10-19 주식회사 다원시스 마스크 및 마스크 프레임 건조 시스템 및 방법
KR102534617B1 (ko) * 2021-04-09 2023-06-23 주식회사 다원시스 마스크 및 마스크 프레임 건조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6821A (ko) 2002-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4074B1 (ko)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를 위한 소재 안착장치
JP2012134203A (ja) ホットプレス装置および多層プリント基板のプレス方法
KR102166503B1 (ko) 부재고정장치
CN115954314B (zh) 一种陶瓷覆铜基板的压平治具
CN211569651U (zh) 垫板转换装置及半固化片自动裁片堆叠系统
CN109807625B (zh) 手机铃铛键线圈自动组装装置及其操作方法
CN210351809U (zh) 一种在线热压机
CN110794323A (zh) 灯具组装及老化装置
CN216700486U (zh) 一种便于上下料的多腔层冷压机
CN213280277U (zh) 一种线路板热熔压合设备的双工位横移上下料机构
CN211860976U (zh) Fpc绑定机
CN212305797U (zh) 一种左右双工位线路板热熔压合设备
CN110366332B (zh) 利用相机对位的平移式热熔机
CN214828665U (zh) 双带层压机生产线的升降平台固定机构
JP5229943B2 (ja) 積層成形システムの移載装置とその移載制御方法
CN110026351A (zh) 一种自动检测的板翘压板机
CN217531163U (zh) 一种高多层板定位导向预压机
CN215420976U (zh) 一种pcb压模机
CN207596056U (zh) 钢板定位移载机
CN112867261B (zh) 一种吸板放膜纸机构
CN216291641U (zh) 一种高效pcb压合全自动回流装置
CN213920078U (zh) 双带层压机生产线的加压复合模块
CN217076472U (zh) 能够自动上料的热压辅助设备
CN220244433U (zh) 一种免拆模复合保温板的进出板设备
CN219667599U (zh) 立式压泡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