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2457B1 - 유리패널용틈새설정장치 - Google Patents

유리패널용틈새설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2457B1
KR100362457B1 KR1019950019724A KR19950019724A KR100362457B1 KR 100362457 B1 KR100362457 B1 KR 100362457B1 KR 1019950019724 A KR1019950019724 A KR 1019950019724A KR 19950019724 A KR19950019724 A KR 19950019724A KR 100362457 B1 KR100362457 B1 KR 100362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ket
glass panel
movable plate
plate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9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4256A (ko
Inventor
다까기시게유끼
Original Assignee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60004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2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24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807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 B32B17/1088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by superposing a plurality of layered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6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32B37/1054Regulating the dimensions of the laminate, e.g. by adjusting the nip or platen g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8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 B32B38/1825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r constructional features of devices for tensioning, stretching or registration
    • B32B38/1833Positioning, e.g. registration or cente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54Arrangements for aligning or assembling substrat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패널(P)을 구성하는 2개의 유리기판(13,14)의 사이로 틈새를 설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유리패널이 그 두께에 관계없이 일정한 힘으로 고정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고정판(1), 및 코일스프링(5,5)에 의해 고정판(1) 쪽으로 밀려져서 유리패널(P)을 지지하는 환형의 가동판(4)을 포함하고 있다. 고정판(1)과 가동판(4)은 각각 유리패널을 고정시키는 제1 가스켓(3)과 제2 가스켓(6)을 갖추고 있다. 제1 및 제2 가스켓(3,6)의 바깥쪽으로 고정판과 가동판의 사이에 제3 가스켓(8)이 배열되어 있는데, 유리패널이 제1 및 제2 가스켓(3,6)의 사이로 설치되기 전에 가동판(4)이 제3 가스켓(8)을 밀어줄때 제2 가스켓(6)의 하부와 제1 가스켓(3)의 상부면 사이의 거리가 유리패널의 두께 보다 작아지도록 제3 가스켓(8)의 수직방향 높이가 정해진다. 유리기판(13,14)의 사이로 소정의 틈새를 제공하기 위해서, 이들 기판 사이의 공기가 유리기판과, 제1, 제2, 및 제3 가스켓과, 고정판과, 그리고 가동판에 의해 형성되는 챔버(S)를 통하여 흡입관(10)으로 배출된다. 챔버가 위치하는 흡입관(10)의 일단부에는, 소정의 공기 유량을 제공하는 유량제어밸브(11)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유리패널용 틈새설정장치
본 발명은 유리패널에 틈새를 설정하기 위한 틈새설정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각각의 내부면상에 투명한 전극 및 열경화성 수지를 갖추고있는 유리기판들로 이루어져 있는 유리패널에 대해서 이들 유리기판의 서로 마주하는 표면들을 가압시킴으로써 유리기판들 사이로 틈새를 설정하는 틈새설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1989년 일본국 특허출원 제257,824호에는 이와같은 유리패널의 틈새 설정방법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진공에 의해서 유리패널이 직접적으로 가압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에서는 유리패널을 고정시키는 힘이 유리패널의 두께에 따라서 달라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로 인하여, 기술수준이 낮은 틈새고정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패널의 두께에 관계없이 일정한 체결력으로 패널을 고정시킬 수 있는 유리패널용 틈새설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패널용 틈새설정장치는 유리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환형의 고정판을 포함한다. 유리패널은 한판의 유리기판을 갖추고 있으며, 이들 유리기판은 각각의 내부면상에 투명한 전극 및 열경화성 수지를 갖추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틈새설정장치는 고정판의 내주부의 상부면상에 배열되어서 유리패널의 외주부의 하부를 밀봉식으로 지지하는 환형의 제1 가스켓과, 고정판의 외주부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주와, 고정판의 윗쪽으로 배열되어 지주상에서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에서 접촉하는 스프링의 작용력에 의하여 고정판 쪽으로 밀려지는 환형의 가요성 가동판과, 가동판의 내주부의 하부에 배열되어서 유리패널의 외주부의 상부면을 눌러주는 환형의 제2 가스켓과, 제1 가스켓의 바깥쪽으로 고정판과 가동판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1 가스켓, 제2 가스켓, 고정판,가동판, 및 유리패널과 연관하여 제1 가스켓과 제2 가스켓의 사이로 밀봉된 챔버를 형성시키는 제3 가스켓과, 그리고 상기 챔버와 소통하는 흡입관을 포함하고 있다. 유리패널이 제1 가스켓과 제2 가스켓의 사이로 위치되기 전에 제3 가스켓이 가동판의 하부에 의해서 눌려질때 제2 가스켓의 하부와 제1 가스켓의 상부면 사이의 거리가 유리패널의 두께 보다 작아지도록 제3 가스켓의 수직방향 높이가 정해져 있다.
따라서, 스프링의 작용력에 의해서 고정판(제1 가스켓)과 가동판(제2 가스켓)의 사이로 유리패널을 고정시키는 힘은 거의 일정하다. 유리패널의 두께가 일정하지 않을 경우에도, 그러한 두께의 변화, 즉 두께의 증가나 감소가 가요성이 있는 가동판의 굽힘에 의해서 완화되므로, 유리패널을 고정시키는 힘은 대체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이러한 힘으로 인하여 유리패널의 틈새설정이 열악해지는 일이 없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패널용 틈새설정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처리될 유리패널(P)을 각각 지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제1도에는 예시적으로 3개가 도시됨) 환형 고정판(1)이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서 수직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다수의 지주(2,2)가 이들 고정판(1,1,1)의 외주부에서 이들 고정판을 관통하고 있는데, 고정판(1,1,1)은 지주(2,2)상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환형의 제1 가스켓(3)의 외주부에 의해서 각각의 유리패널(P)의 하부가 밀봉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데, 이들 제1 가스켓(3)은 각각의 고정판(1)의 내주부의 상부면내로 삽입되어있으며, 고정판(1)의 상부로 부터 제1 가스켓(3)의 상부면이 돌출되어 있다.
고무나 합성수지등으로 제조된 환형의 가동판(4)이 각각의 고정판(1)의 윗쪽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들 가동판(4)은 지주(2)상에서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고정판(1)과 각각의 가동판(4)의 사이로 지주(2,2)의 둘레에는 코일스프링(5,5)이 배열되어 있는데(제일 윗쪽의 가동판(4)에 대해서는 각각의 지주(2,2)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부(2A,2A)와 가동판(4)의 사이로 코일스프링(5,5)이 설치되어 있음), 코일스프링(5,5)에 의해서 가동판(4)이 아랫쪽으로 밀려진다.
유리패널(P)의 외주부의 상부를 밀봉가능하게 눌러주기 위한 환형의 제2 가스켓(6)이 가동판(4)의 내주부의 하부로 삽입되어 있는데, 제2 가스켓(6)은 제1 가스켓(3)과 마주하여 있다. 또한, 고정판(1)의 상부상에는 제1 가스켓(3)의 바깥쪽으로 이격되어 있는 환형의 돌기(7)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판(4)의 하부와 접촉하는 환형의 제3 가스켓(8)이 돌기(7)내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제3 가스켓(8)은, 유리패널(P)이 제1 가스켓(3)과 제2 가스켓(6)의 사이로 위치되기 전에 가동판(4)의 하부가 제3 가스켓(8)과 접하여 눌려질때 제2 가스켓(6)의 하부와 제1 가스켓(3)의 상부면 사이의 거리가 유리패널(P)의 두께 보다 작아지도록 적절한 높이로 설치된다.
각각의 지주(2)내에는 제1 흡입관(9)이 매설되어 있다. 제1 흡입관(9)의 일단부가 내열성 호오스(도시 안됨)를 통해서 진공펌프(도시 안됨)에 연결되어 있다. 제1 흡입관(9)의 타단부(말단부)는 고정판(1)이 설치되어 있는 각각의 지점에서 제2 흡입관(10)과 각각 연결되어 있는데, 이들 제2 흡입관(10)은 각각의 고정판(1)내에 매설되어 있는 것이다. 제2 흡입관(10)의 각각의 말단부는 고정판(1)의 윗쪽으로 제1 가스켓(3)과 제3가스켓(8) 사이의 공간과 소통한다. 제2 흡입관(10)의 말단부에는 유량제어밸브(11)가 부착되어 있다. 제1 가스켓(3)의 부근에는, 처리될 유리패널(P)을 제한하기 위한 다수의 안내핀(12,12)이 고정판(1)의 내부로 삽입되어 있다.
이제, 이와같은 본 발명의 틈새설정장치를 사용하여 각각의 유리패널(P)을 구성하는 2개의 유리기판(13,14)의 사이로 틈새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유리패널(P)을 본 발명의 틈새설정장치내로 설치하기전에, 내부면상에 투명한 전극을 각각 갖추고 있는 2개의 유리기판(13,14)을 일시적으로 함께 연결시키는데, 이러한 과정은 바람직하게 이들 유리기판을 열경화성 수지(15)로 코우팅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일시적으로 연결된 2개의 유리기판에 하나의 유리패널(P)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서, 여러개의 유리패널(P)이 제공된다. 또한, 유리패널(P)을 고정시키는 본 발명의 틈새설정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오븐(도시 안됨)이 사용된다.
유리패널(P)을 설치하기 위해서, 틈새설정장치내의 하나의 가동판(4)을 코일스프링(5,5)의 작용력에 반하여 밀어올린다. 그리고나서, 하나의 유리패널(P)을 고정판(1)상의 안내핀(12,12)의 안쪽으로 설치한다. 이어서, 가동판(4)을 천천히 하강시킨다. 이에 따라서, 유리패널(P)의 외주부의 상하부가 코일스프링(5,5)의 작용력으로 인하여 제1 및 제2 가스켓(3,6)에 의해서 고정된다. 동시에, 제3 가스켓(8)이 가동판(4)의 하부에 대해서 기밀상태(air-tight) 또는 밀봉상태로 눌려진다. 그러므로, 고정판(1)과 가동판(4), 제1, 제2, 및 제3 가스켓(3,6,8), 그리고 유리패널(P)에 의해서 하나의 기밀공간 혹은 기밀챔버(S)가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다른 2개의 유리패널들도 동일한 방법으로 틈새설정장치내로 설치된다. 그리고나서, 틈새설정장치를 90°회전시켜서 유리패널(P)을 수직으로 세운다. 이는 유리패널(P)의 굽힘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제1 및 제2 흡입관(9,10)을 통하여 진공펌프(도시 안됨)에 의해서 각각의 기밀챔버(S)내의 공기를 배출시킨다. 이에 따라서, 2개의 유리기판(13,14) 사이의 공기가 배출되어서, 발생된 진공도에 비례하는 대기압이 유리패널(P)의 상하부에 가해진다. 그러므로, 2개의 유리기판(13,14)의 사이로 필요한 틈새가 제공된다. 이러한 틈새는, 대기압으로 인해 유리기판에 가해지는 힘을 조절하도록 진공도를 제어함으로써 달라질 수 있다. 2개의 유리기판(13,14) 사이의 틈새는 대략 7㎛ 정도로 매우 좁기 때문에, 공기의 배출에 대한 저항이 상당히 강하며, 따라서 공기를 완전히 배출시키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공기의 배출이 너무 급속하게 수행될 경우에는, 유리기판들 사이로 배치되어 있는 구형의 스페이서(도시 안됨)가 이동된다. 이는, 틈새를 미세하게 설정시키는데 있어서 문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피하기 위해서,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제어밸브(11)가 사용된다. 공기의 배출이 약 0.1kgf/min 정도의 유량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구형의 스페이서의 이동이 전혀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지금까지 설명한 틈새설정방법에서는 진공이 사용되기 때문에, 유리 패널(P)에 가해지는 최대압력은 1kgf/㎠ 이다. 그러므로, 1kgf/㎠ 이하의 압력으로 균일하고 정밀한 틈새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크기의 구형 스페이서 및 유리섬유스페이서를 선택해야만 한다. 필요한 틈새가 6,2㎛이고 7mm의 유리섬유 스페이서 및 6.5㎛의 구형 스페이서가 사용될 경우에, 유리패널에 가해지는 바람직한 압력은 0.2 내지 0.8 kgf/㎠ 이다. 이에 따라서, 유리패널내의 공기는 진공식 흡인에 의하여 배출되므로, 유리패널내의 압력이 소정치에 도달한다.
소정의 압력이 제공되면, 계속해서 진공흡인 상태로 유지된 유리패널 및 틈새설정장치를 오븐안으로 이동시킨 후에 150℃의 온도로 2시간 동안 가열시킨다. 이에 따라서, 열경화성 수지(15)가 반응하여서 경화된다. 그리고나서, 틈새설정장치를 오븐으로 부터 제거시킨다. 틈새고정장치와 유리패널의 온도가 열의 복사에 의해서 주위온도 까지 자연적으로 하강된 후에, 제 1 흡입관(9)과 진공펌프 사이의 소통을 중지시키고 가동판(4)을 원쪽으로 이동시켜서 틈새설정장치로 부터 유리패널을 제거시킴으로써, 완전한 유리패널이 제공된다.
이상의 설명으로 부터 명백한 이와같이, 임시적으로 결합된 유리기판들이 코일스프링의 작용력에 의해서 고정되며, 유리패널들 사이의 두께의 차이가 가요성 가동판에 의해서 완화되거나 상쇄되기 때문에, 유리패널은 항상 일정한 힘에 의해서 고정될 수가 있다. 이는, 유리패널을 고정시키는 힘으로 인하여 유리패널의 틈새설정이 열악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더욱이, 진공식 흡입관에 유량제어밸브가 부착되는 경우에는, 구형 스페이서의 바람직하지 않은 이동을 방지할 수가 있다. 유리패널이 깨져버릴 경우에도, 유량제어밸브를 사용하면 진공도의 급격한 강하를 방지할 수가 있다. 이는 처리과정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들에 의해 이러한 실시예를 얼마든지 변경 또는 개조시킬 수가 있음은 물론이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고정판 2 : 지주
2A: 결합부 3 : 제1 가스켓
4 : 가동판 5 : 코일스프링
6 : 제2 가스켓 7 : (고정판의) 돌기
6 : 제3 가스켓 9 : 제1 흡입관
10 : 제2 흡입관 11 : 유량제어밸브
12 : 안내핀 13, 14 : 유리기판
15 : (열경화성) 수지 P : 유리패널
S : (기밀) 챔버

Claims (4)

  1. 각각의 내부면상에 투명한 전극 및 열경화성 수지를 갖추고 있는 한쌍의 유리기판을 포함하고 있는 유리패널의 틈새를 설정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리패널(P)을 지지하는 환형의 고정판(1)과,
    상기 고정판(1)의 내주부의 상부면상에 배열되어서 상기 유리패널(P)의 외주부의 하부를 밀봉식으로 지지하는 환형의 제1 가스켓(3)과,
    상기 고정판(1)의 외주부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주(2,2)와,
    상기 고정판(1)의 윗쪽으로 배열되어 상기 지주(2,2)상에서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에서 접촉하는 스프링(5,5)의 작용력에 의하여 상기 고정판(1) 쪽으로 밀려지는 환형의 가요성 가동판(4)과,
    상기 가동판(4)의 내주부의 하부에 배열되어서 상기 유리패널(P)의 외주부의 상부면을 눌러주는 환형의 제2 가스켓(6)과,
    상기 제1 가스켓(3)의 바깥쪽으로 상기 고정판(1)과 상기 가동판(4)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가스켓(3), 상기 제2 가스켓(6), 상기 고정판(1), 상기 가동판(4), 및 상기 유리패널(P)과 연관하여 상기 제1 가스켓(3)과 상기 제2 가스켓(6)의 사이로 밀봉된 챔버(S)를 형성시키는 제3 가스켓(8)과, 그리고
    상기 챔버(S)와 소통하는 흡입관(10)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유리패널(P)이 상기 제1 가스켓(3)과 상기 제2 가스켓(6)의 사이로 위치되기 전에 상기 제3 가스켓(8)이 상기 가동판(4)의 하부에 의해서 눌려질때 상기제2 가스켓(6)의 하부와 상기 제1 가스켓(3)의 상부면 사이의 거리가 상기 유리패널(P)의 두께 보다 작아지도록 상기 제3 가스켓(8)의 수직방향 높이가 정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1) 및 상기 가동판(4)이 각각 한쌍씩 상기 지주(2,2)상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S)가 존재하는 지점에서 상기 흡입관(10)의 일단부에 유량제어밸브(11)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S)가 존재하는 지점에서 상기 흡입관(10)의 일단부에 유량제어밸브(11)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50019724A 1994-07-08 1995-07-06 유리패널용틈새설정장치 KR1003624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8062094A JP3329586B2 (ja) 1994-07-08 1994-07-08 ガラスパネルのギャップ出し治具
JP1994-180620 1994-07-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4256A KR960004256A (ko) 1996-02-23
KR100362457B1 true KR100362457B1 (ko) 2003-02-11

Family

ID=16086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9724A KR100362457B1 (ko) 1994-07-08 1995-07-06 유리패널용틈새설정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672221A (ko)
EP (1) EP0691200B1 (ko)
JP (1) JP3329586B2 (ko)
KR (1) KR100362457B1 (ko)
CN (1) CN1114121C (ko)
DE (1) DE69524484T2 (ko)
TW (1) TW33160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114B1 (ko) * 2020-06-17 2020-12-04 주식회사 한화 레이저를 이용한 공진기용 쉘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88748B (en) * 1996-06-28 2000-05-01 Sintokogio Ltd Apparatus for setting a gap between glass substrates
AUPP712198A0 (en) * 1998-11-13 1998-12-10 University Of Sydney, The Method of and apparatus for evacuating a glass chamber
AUPP719298A0 (en) * 1998-11-18 1998-12-17 University Of Sydney, The Method of forming evacuated glass panels
US6421012B1 (en) 2000-07-19 2002-07-16 Harris Corporation Phased array antenna having patch antenna elements with enhanced parasitic antenna element performance at millimeter wavelength radio frequency signals
US6320546B1 (en) 2000-07-19 2001-11-20 Harris Corporation Phased array antenna with interconnect member for electrically connnecting orthogonally positioned elements used at millimeter wavelength frequencies
US6266015B1 (en) 2000-07-19 2001-07-24 Harris Corporation Phased array antenna having stacked patch antenna element with single millimeter wavelength feed and microstrip quadrature-to-circular polarization circuit
AT503623B1 (de) * 2006-05-11 2008-09-15 Lisec Pete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verbundglas
CN105031674A (zh) * 2015-08-28 2015-11-11 天津市紫晖医疗电子仪器有限公司 一种消毒型医用超声耦合剂及其生产工艺
CN105289630A (zh) * 2015-11-06 2016-02-03 北京石油化工学院 一种可对烟气同时脱硫脱硝的催化剂的制备方法
JP2023127000A (ja) * 2020-08-06 2023-09-13 Agc株式会社 積層体の製造方法、積層体および半導体パッケージ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0448A (ja) * 1983-11-22 1985-06-15 キヤノン株式会社 貼り合せ装置
JP2504111B2 (ja) * 1988-04-07 1996-06-05 凸版印刷株式会社 液晶パネルの製造方法
CZ278934B6 (en) * 1990-11-09 1994-09-14 Permon Air-operated submersible drilling machine
FR2688323B1 (fr) * 1992-03-03 1994-04-29 France Telecom Machine d'assemblage pour cellules a cristaux liquides.
US5508833A (en) * 1992-07-10 1996-04-16 Kabushiki Kaisha Topcon Display apparatus sealed with a solvent-soluble fluorocarbon or fluorine-containing resin having an adhesive covalent bond-forming functional group
JPH0634983A (ja) * 1992-07-17 1994-02-10 Sharp Corp 貼合わせ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114B1 (ko) * 2020-06-17 2020-12-04 주식회사 한화 레이저를 이용한 공진기용 쉘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524484T2 (de) 2002-06-13
CN1120627A (zh) 1996-04-17
EP0691200A3 (en) 1997-04-02
JPH0826788A (ja) 1996-01-30
KR960004256A (ko) 1996-02-23
TW331600B (en) 1998-05-11
DE69524484D1 (de) 2002-01-24
US5672221A (en) 1997-09-30
JP3329586B2 (ja) 2002-09-30
CN1114121C (zh) 2003-07-09
EP0691200B1 (en) 2001-12-12
EP0691200A2 (en) 1996-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2457B1 (ko) 유리패널용틈새설정장치
KR100352919B1 (ko) 액정디스플레이 제조장치 및 방법
KR101825513B1 (ko) 곡면형 기판 합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착방법
US600565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ling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cell
US20100080680A1 (en) Substrate conveying arm
US20090114348A1 (en) Substrate bonding apparatus
WO2014021198A1 (ja) 基板貼合装置及び貼合方法
TWI711100B (zh) 基板溫度測量裝置及基板溫度測量方法
JP7024029B2 (ja) 基板処理装置
US8272556B2 (en) Metal lip seal and machine fitted with same seal
KR101027469B1 (ko) 밀폐 챔버용 실링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밀폐 챔버 조립체와 임프린트용 챔버 조립체,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임프린트 방법
TW201603182A (zh) 支撐夾具和基板處理設備
EP0816901B1 (en) Apparatus for setting a gap between glass substrates
CN217399042U (zh) 一种隔离导向环及衬底处理设备
KR101471002B1 (ko)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CN219623241U (zh) 一种密封结构及等离子体处理装置
JP2005103753A (ja) プリント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真空パックの製造装置。
KR101045247B1 (ko) 리프트 핀 승강장치
KR100516055B1 (ko) 공기압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용 가열 압착기
KR100934153B1 (ko) 유기 전기발광 소자의 캡 상의 접착제층 형성방법 및 이를적용한 유기 전기발광 소자의 제조방법
JP3446878B2 (ja) ギャップ出し治具
KR20170053940A (ko) 디스플레이 기판 제조용 경화장치
JPH1124026A (ja) ギャップ出し装置及びギャップ出し方法
KR20160087124A (ko) 박판 합착장치
KR100402964B1 (ko) 리드 프레임의 테이프 부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