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2106B1 - 자동차용I-암(Arm) - Google Patents

자동차용I-암(Ar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2106B1
KR100362106B1 KR1019970015300A KR19970015300A KR100362106B1 KR 100362106 B1 KR100362106 B1 KR 100362106B1 KR 1019970015300 A KR1019970015300 A KR 1019970015300A KR 19970015300 A KR19970015300 A KR 19970015300A KR 100362106 B1 KR100362106 B1 KR 100362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groove
rotating part
assembl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5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7952A (ko
Inventor
함형승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70015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2106B1/ko
Publication of KR19980077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7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2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2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5Bal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8Attaching arms to unsprung par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10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90Maintenance
    • B60G2206/91Assembly proced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I-암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텐션로드(10)의 선단부에 형성된 끼움홈(11)과 중심과 내경이 동일한 체결홈(21)이 일측부에 형성되고, 타측부에는 축하중을 지지해서 축방향의 자유도를 구속하는 볼조인트구(22)가 형성된 I-암 회전부(20)와,
상기 I-암 회전부(20)의 체결홈(21)과 중심 및 내경이 동일한 고정홈(41)이 일측 하부에 형성된 I-암 몸체부(40)와,
상기 I-암 몸체부(40)의 고정홈(41)과 I-암 회전부(20)의 체결홈(21)을 관통하며 삽입되어 I-암 몸체부(40)와 I-암 회전부(20)가 결합되도록 하는 체결수단(30)으로 구성하여, 작업자는 자동차 차축의 좌,우방향에 상관없이 I-암 회전부(20)와 I-암 몸체부(40)의 조립순서만 변경하면 좌,우 모두 조립이 가능하므로 I-암(50)의 단조금형개발비 및 물류비를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A/S시 단품교환이 용이하고 A/S의 능률도 향상 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I-암(Arm)
본 발명은 자동차용 I-암(I-Arm)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I-암의 형상을 2개로 분리되게 각각 형성하여 텐션로드와 I-암의 조립시 조립순서만 변경하여 자동차의 차축 좌,우 방향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암은 서스펜션 지오메리트를 결정함과 동시에 횡력이나 전후력을 받치는 기능이 있는 써스펜션 부재이다.
보디쪽 및 액슬쪽으로의 결합은 볼조인트, 러버부쉬, 필로볼등으로 구성되는데 일부에서는 액슬쪽으로 강결하는 경우도 있다.
또, 재질은 강판 프레스폼이 많지만 단조, 강관 용접구조가 쓰이는 일도 있다.
최근에는 스프링 아래의 중량을 경감하기 위하여 알루미늄재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한편, 자동차의 앞쪽 현가장치에 있어서 텐션로드와 I-암의 조립방법은 텐션로드의 중심축의 일단을 압축성형한 후 2개의 끼움홈을 형성하고 일체로 성형된 I-암도 몸체 중심부에 2개의 체결홈을 형성하여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한다.
이때, I-암은 차체조립의 작업방향을 조립이 보다 용이한 전방을 향하게되고 이런 연유로 I-암의 목부가 소정의 각도를 갖게되어 좌,우 각각 다른 대칭의 I-암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자동차의 앞쪽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텐션로드와 I-암의 조립방법은 I-암의 목부가 소정의 각도를 갖게되어 좌, 우 각각의 다른 대칭의 I-암이 필요하여 단조금형의 개발비가 상승되고 물류비도 상승되는 등이 폐단이 있었던것이다.
또, A/S시 단품교환이 불리하고 A/S의 능률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텐션로드와 체결되어 자동차의 앞쪽 현가장치에 적용되는 I-암의 형상을 2개로 분리하여 텐션로드와 I-암의 조립시 조립순서만 변경하여 자동차의 차축 좌, 우방향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한 자동차용 I-암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목적은 단조금형의 개발비가 저감되고 물류비도 절약할 수 있도록한 자동차용 I-암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에 적용되는 I-암의 형상 및 설치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한 I-암의 형상 및 설치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은 적용한 I-암의 결합설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결합설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텐션로드 11 - 끼움홈
20 - I-암회전부 21 - 체결홈
22 - 볼조인트구 30 - 체결수단
40 - I-암 몸체부 41 - 고정홈
50 - I-암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텐션로드(10)의 선단부에 형성된 끼움홈(11)과 중심과 내경이 동일한 체결홈(21)이 일측부에 형성되고, 타측부에는 축하중을 지지해서 축방향의 자유도를 구속하는 볼조인트구(22)가 형성된 I-암 회전부(20)와,
상기 I-암 회전부(20)의 체결홈(21)과 중심 및 내경이 동일한 고정홈(41)이 일측 하부에 형성된 I-암 몸체부(40)와,
상기 I-암 몸체부(40)의 고정홈(41)과 I-암 회전부(20)의 체결홈(21)을 관통하며 삽입되어 I-암 몸체부(40)와 I-암 회전부(20)가 결합되도록 하는 체결수단(30)으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자동차 차축의 좌,우방향에 상관없이 I-암 회전부(20)와 I-암 몸체부(40)의 조립순서만 변경하면 좌,우 모두 조립이 가능하므로 I-암(50)의단조금형개발비 및 물류비를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A/S시 단품교환이 용이하고 A/S의 능률도 향상 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에 적용되는 I-암(50)의 형상 및 설치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한 I-암(50)의 형상 및 설치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즉,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차축 오른쪽에 I-암(50)을 장착할 경우 I-암 몸체부(40)가 상부에 위치한다.
상기 I-암 몸체부(40)는 선단부에 고정홈(41)이 형성되고 고정홈(41)의 하측부로 절곡되게 몸체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에 위치한 I-암 몸체부(40)의 중간부에는 I-암 회전부(20)가 위치한다.
상기 I-암 회전부(20)는 I-암 몸체부(40)의 고정홈(41)에 체결수단(30)에 의해 체결될 수 있도록 일측부에 체결홈(21)이 형성된다.
상기 I-암 회전부(20)의 체결홈(21)의 몸체 일측부 중심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I-암 회전부(20)의 하측에는 텐션로드(10)가 위치한다. 그리고텐션로드(10)의 선단부에는 끼움홈(11)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I-암 몸체부(40)의 고정홈(41)하측으로 I-암 회전부(20)의 체결홈(21)이 위치하고 마지막으로 텐션로드(10)의 끼움홈(11)이 위치된후 체결수단(30)을 이용하여 조립하는 것이다.
또, 자동차의 차축 왼쪽방향에 I-암(50)을 설치할 경우에는 상기 I-암 몸체부(40)와 텐션로드(10)의 위치만 전환시키고 각각 회전하여 체결수단(30)을 체결하면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자동차 차축의 좌,우방향에 상관없이 I-암 회전부(20)와 I-암 몸체부(40)의 조립순서만 변경하면 좌,우 모두 조립이 가능하므로 I-암(50)의 단조금형개발비 및 물류비를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A/S시 단품교환이 용이하고 A/S의 능률도 향상 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 차축의 좌,우방향에 상관없이 I-암 회전부(20)와 I-암 몸체부(40)의 조립순서만 변경하면 좌,우 모두 조립이 가능하므로 I-암(50)의 단조금형개발비 및 물류비를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A/S시 단품교환이 용이하고 A/S의 능률도 향상 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텐션로드(10)의 선단부에 형성된 끼움홈(11)과 중심과 내경이 동일한 체결홈(21)이 일측부에 형성되고, 타측부에는 축하중을 지지해서 축방향의 자유도를 구속하는 볼조인트구(22)가 형성된 I-암 회전부(20)와,
    상기 I-암 회전부(20)의 체결홈(21)과 중심 및 내경이 동일한 고정홈(41)이 일측 하부에 형성된 I-암 몸체부(40)와,
    상기 I-암 몸체부(40)의 고정홈(41)과 I-암 회전부(20)의 체결홈(21)을 관통하며 삽입되어 I-암 몸체부(40)와 I-암 회전부(20)가 결합되도록 하는 체결수단(3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I-암.
KR1019970015300A 1997-04-24 1997-04-24 자동차용I-암(Arm) KR100362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5300A KR100362106B1 (ko) 1997-04-24 1997-04-24 자동차용I-암(Ar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5300A KR100362106B1 (ko) 1997-04-24 1997-04-24 자동차용I-암(Ar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7952A KR19980077952A (ko) 1998-11-16
KR100362106B1 true KR100362106B1 (ko) 2003-10-04

Family

ID=37490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5300A KR100362106B1 (ko) 1997-04-24 1997-04-24 자동차용I-암(Ar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210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7952A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3289B2 (en) Axle locating rod
US6959935B2 (en) Steering triangle
KR910003763B1 (ko) 스티어링 너클 조립체
US6783136B2 (en) Modular ball-joint assembly
US8240687B2 (en) Wheel suspension system for a steerable wheel
CZ298752B6 (cs) Sestava matice a podložky kola
KR0184925B1 (ko) 자동차용 완충기 장착 구조물
JP2960005B2 (ja) 車輛ホイール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用制御アーム
JPH08169205A (ja) 前輪駆動車軸アセンブリ及び車両の車軸アセンブリ用の一体の車軸管及びヨーク・アセンブリ
KR100362106B1 (ko) 자동차용I-암(Arm)
JP2564444Y2 (ja) トーションバの取付け構造
JP3085124B2 (ja) 操舵車輪用サスペンションのアッパジョイント機構
JPH08295116A (ja) 車両用スタビライザの連結装置
KR20030029287A (ko)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져 링크
CN215513127U (zh) 一种汽车悬架的下摆臂组件及汽车悬架
KR0141596B1 (ko) 예비하중 킹핀 인장 키이를 갖는 조향 가능한 차축 조립체
JPH10258622A (ja) サスペンションボールジョイントの取付構造
JP3549056B2 (ja) スタビライザ用ボールジョイント
KR100423309B1 (ko) 전방현가장치의 로어암
JPH07137523A (ja) 自動車のスタビライザバー取付構造
AU620516B2 (en) Apparatus to adjust wheel alignment geometry
KR19980046375U (ko) 차량의 파워 스티어링 기어박스 대체용 지그
KR20060070011A (ko) 자동차용 로어암 어셈블리와 볼 조인트 어셈블리의 결합구조
KR100434661B1 (ko) 자동차용 볼 조인트 구조
JPH0989036A (ja) 液圧緩衝器の取付ブラ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