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1443B1 - 유독액상물질용 안전처리설비 - Google Patents

유독액상물질용 안전처리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1443B1
KR100361443B1 KR1020000046942A KR20000046942A KR100361443B1 KR 100361443 B1 KR100361443 B1 KR 100361443B1 KR 1020000046942 A KR1020000046942 A KR 1020000046942A KR 20000046942 A KR20000046942 A KR 20000046942A KR 100361443 B1 KR100361443 B1 KR 100361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ister
chamber
turntable
liquid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6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3653A (ko
Inventor
곽상록
전종대
이종철
김광수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000046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1443B1/ko
Publication of KR20020013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3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1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14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9/00Devices for emptying bott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7/00Concurrent cleaning, filling, and closing of bottles; Processes or devices for at least two of these operations
    • B67C7/0006Conveying; Synchronising
    • B67C7/004Conveying; Synchronising the containers travelling along a circular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7/00Concurrent cleaning, filling, and closing of bottles; Processes or devices for at least two of these operations
    • B67C7/0073Sterilising, aseptic filling and closing

Landscapes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독액상물질용 안전처리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밀폐공간을 형성하며 캐니스터의 인입구 및 인출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체임버와; 상기 체임버의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을 소정 각도 구간씩 회전시키는 테이블구동수단과; 상기 체임버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캐니스터를 상기 턴테이블상의 로딩위치로 인입시키는 캐니스터인입수단과;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기 로딩위치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캐니스터의 상면에 복수의 관통공을 형성시키는 천공수단과; 상기 천공수단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캐니스터의 내부에 수용된 유독액상물질을 흡입하는 액흡입수단과; 상기 캐니스터의 내부에 세척액을 주입하여 세척하는 적어도 하나의 액세척수단과; 액세척이 완료된 상기 캐니스터의 내부에 공기를 분사하여 내부를 세척하는 에어세척수단과; 상기 체임버의 외부에 배치되어 세척완료된 상기 캐니스터를 상기 체임버의 외부로 인출하는 캐니스터인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캐니스터의 내부에 수용된 유독액상물질을 안전하게 흡입회수하고 캐니스터의 독성이 대기에 노출될 수 있는 안전수준까지 제거된 상태에서 캐니스터를 안전하게 회수할 수 있는 유독액상물질용 안전처리설비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유독액상물질용 안전처리설비{SAFETY TREATMENT EQUIPMENT FOR NOXIOUS LIQUID MATTER}
본 발명은, 유독액상물질용 안전처리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캐니스터의 내부에 수용된 유독액상물질을 안전하게 흡입회수하고 상기 캐니스터의 독성이 대기에 노출될 수 있는 안전수준까지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캐니스터를 안전하게 회수할 수 있도록 한 유독액상물질용 안전처리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독물질은 안전을 위해 내화학성이 강한 철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된 용기내에 저장된다. 이러한 유독성 화학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후드(Hood)가 연결된 단순 형태의 글로브박스(Glove Box)에서 소량의 물질을 취급하거나 또는 작업자가 방독면을 착용한 상태에서 고무장갑과 투시창이 부착되어 있는 체임버내의 콘베이어 벨트상에서 유독물질이 수용된 용기의 상면에 관통공을 형성하여 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유독물질을 수동으로 흡입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유독물질 처리방법에 있어서는, 캐니스터를 이송하는 콘베이어 벨트가 직선상으로 배치형성되어 있어, 상기 콘베이어 벨트상에 상기 캐니스터를 고정시킬 수 있는 클램핑수단의 부착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콘베이어 벨트의 신장에 기인하여 정확한 위치제어가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정확한 위치제어가 곤란하여 무인자동화를 실현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위치제어가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유독액상물질 또는 유독액상물질로부터 발생된 유해가스 등이 누출될 경우 용액 및 유해가스의 회수 또는 처리자체가 불가능하게 되어 인체에 치명적인 손상을 줄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캐니스터의 내부에 수용된 유독액상물질을 안전하게 흡입회수하고 캐니스터의 독성이 대기에 노출될 수 있는 안전수준까지 제거된 상태에서 캐니스터를 안전하게 회수할 수 있는 유독액상물질용 안전처리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독액상물질용 안전처리설비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유독액상물질용 안전처리설비의 부분종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각각 캐니스터의 클램핑 전후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의 캐니스터인입부의 확대도,
도 5는 도 4의 캐니스터인입부의 평면도,
도 6은 도 2의 캐니스터인출부영역의 부분확대단면도,
도 7은 도 6의 캐니스터인출부의 평면도,
도 8은 도 1의 천공부의 정면도,
도 9는 도 8의 천공부의 측면도,
도 10은 도 1의 액흡입부의 확대측면도,
도 11은 도 1의 제1액세척부의 확대종단면도,
도 12는 도 1의 에어세척부의 확대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캐니스터 11 : 관통공
20 : 체임버 21 : 인입구
22 : 지지축 24 : 배기덕트
31 : 인출구 37 : 투시창
38 : 글러브공 39 : 상판부
40 : 턴테이블 50 : 실링부
60 : 클램핑장치 71 : 롤러
73 : 롤러가이드 80 : 캐니스터인입부
81 : 인입콘베이어 91 : 픽업헤드
100 : 캐니스터저장부 110 : 캐니스터인출부
120 : 천공부 140 : 액흡입부
150a~150c : 제1 내지 제3액세척부 160 : 에어세척부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에 밀폐공간을 형성하며 일측에 유독액상물질이 수용되어 있는 캐니스터의 인입을 위한 인입구 및 처리된 캐니스터의 인출을 위한 인출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체임버와; 상기 체임버의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턴테이블을 소정 각도 구간씩 회전시키는 테이블구동수단과; 상기 체임버의 외부에 상기 인입구에 인접되도록 배치되어 내부에 유독액상물질이 수용된 상기 캐니스터를 상기 턴테이블상의 로딩위치로 인입시키는 캐니스터인입수단과;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기 로딩위치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캐니스터인입수단에 의해 인입된 캐니스터의 상면에 복수의 관통공을 형성시키는 천공수단과;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기 천공수단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캐니스터의 내부에 수용된 유독액상물질을 흡입하는 액흡입수단과; 상기 액흡입수단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캐니스터의 내부에 세척액을 주입하여 세척하는 적어도 하나의 액세척수단과; 상기 액세척수단의 일측에 배치되어 액세척이 완료된 상기 캐니스터의 내부를 세척하는 에어세척수단과; 상기 체임버의 외부에 상기 인출구영역에 배치되어 세척완료된 상기 캐니스터를 상기 턴테이블상의 언로딩위치로부터 상기 체임버의 외부로 인출하는 캐니스터인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독액상물질용 안전처리설비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체임버에는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투시창과, 상기 체임버의 외부로부터 상기 체임버의 내부로 조작접근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글로브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글로브공에는 조작용 장갑이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체임버는 내부의 압력이 외부의 압력에 비해 낮은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캐니스터인출수단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캐니스터인출수단에 의해 인출된 상기 캐니스터를 저장하는 캐니스터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턴테이블의 상면에 상기 캐니스터를 상기 턴테이블에 일체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클램핑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로딩위치 및 상기 언로딩위치에 상기 클램핑수단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클램핑해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독액상물질용 안전처리설비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유독액상물질용 안전처리설비의 부분종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유독액상물질용 안전처리설비는, 내부에 밀폐공간을 형성하도록 원통형상을 가지며 일측에 캐니스터(10)의 인입 및 인출을 위한 인입구(21) 및 인출구(31)가 형성되어 있는 체임버(20)와, 체임버(2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턴테이블(40)과, 체임버(20)의 일측에 인입구(21)에 인접배치되어 캐니스터(10)를 체임버(20)의 내부에 인입시키는 캐니스터인입부(80)와, 체임버(20)의 외부에 인출구(31)에 인접배치되어 체임버(20)의 내부로부터 캐니스터(10)를 인출시키는 캐니스터인출부(110)와, 턴테이블(40)의 회전방향을 따라 인입구(21)의 일측에 배치되어 캐니스터(10)에 관통공(11)을 형성하는 천공부(120)와, 천공부(120)의 일측에 배치되어 캐니스터(10)의 내부에 수용된 유독액상물질을 흡입하는 액흡입부(140)와, 액흡입부(140)의 일측에 배치되어 캐니스터(10)의 내부에 세척액을 주입하여 세척하는 제1 내지 제3액세척부(150a~150c)와, 제3액세척부(150c)의 일측에 배치되어 캐니스터(10)의 내부를 에어로 세척하는 에어세척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체임버(20)는 내식성이 우수한 금속부재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강으로 원통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둘레면에는 내부를 관찰 할 수 있도록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등과 같은 내화학성이 우수하며 투명강성을 가지는 합성수지부재로 복수의 투시창(37)이 형성되어 있다. 투시창(37)의 하측에는 체임버(20)의 외부에서 체임버(20)의 내부로의 조작접근을 위한 복수의 글로브공(38)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글로브공(38)에는 도시 않은 조작용 글로브(Glove)가 체임버(20)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의 기밀이 유지될 수 있는 상태로 결합되어 있다.
체임버(20)의 일측에는 외부로부터 처리될 유독액상물질이 저장된 캐니스터(10)가 인입될 수 있도록 인입구(21)가 설치되어 있으며, 인입구(21)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승강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인입구(21)를 개폐하는 인입구도어(23)가 설치되어 있다. 인입구도어(23)의 일측에는 인입구도어(23)를 승강구동시키는 실린더기구(25)가 설치되어 있다.
체임버(20)의 둘레방향을 따라 인입구(21)의 일측에는 인출구(31)가 설치되어 있으며, 인출구(31)에는 실린더기구(35)에 의해 승강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인출구(31)를 개폐하는 인출구도어(33)가 설치되어 있다.
체임버(20)의 중앙영역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지지축(22)이 설치되어 있으며, 지지축(22)의 하부영역에는 턴테이블(4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턴테이블(40)의 하부 일측영역에는 턴테이블(40)을 회전구동시킬 수 있도록 테이블구동모터(41)가 설치되어 있으며, 테이블구동모터(41)와 턴테이블(40)사이에는 소정의 감속비를 가지고 테이블구동모터(41)의 회전력을 턴테이블(40)에 전달하는 감속기(43)가 개재되어 있다.
체임버(20)의 상단에는 체임버(20)의 내부에 발생된 유해가스 등을 흡입/배출함과 동시에 강제배기를 통해 체임버(20)의 내부압력이 외부압력에 비해 낮은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유해가스가 체임버(20)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배기덕트(24)가 형성되어 있다.
체임버(20)의 내경면과 턴테이블(40)사이에는 작업시 발생되는 유독액상물질또는 유독액상물질에 의해 발생된 유해가스 등이 턴테이블(40)의 하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실링부(50)가 형성되어 있다. 실링부(50)는, 거의 “U”단면형상을 가지고 일측이 체임버(20)의 내부면에 기밀적으로 접촉되고 타측은 턴테이블(40)의 원주면의 하측에 배치되어 턴테이블(40)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액수용부재(51)와, 원형고리형상을 가지고 턴테이블(40)의 저면에 하향연장되도록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림부재(53)와, 액수용부재(51)의 내측 연부의 상단에 결합되고 내부에 점성유체(57)를 수용하여 림부재(53)가 점성유체(57)에 수용된 상태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는 점성유체수용부재(5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한편, 턴테이블(40)의 상면에는 인입구(21)를 통해 체임버(20)의 내부로 인입된 캐니스터(10)를 클래핑하는 복수의 클램핑장치(60)가 둘레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턴테이블(40)의 상판부(39)에는 턴테이블(40)의 둘레방향을 따라 캐니스터(10)의 상면에 관통공(11)을 형성하는 천공부(120)가 배치되어 있다. 체임버(20)의 둘레방향을 따라 천공부(120)의 일측에 는 캐니스터(10)의 내부의 유독액상물질을 흡입저장하는 액흡입부(140)와, 액흡입부(140)의 일측에 차례로 배치되어 캐니스터(10)의 내부를 액세척하는 제1 내지 제3액세척부(150a~150c)와, 제3액세척부(150c)의 일측에 배치되어 캐니스터(10)의 내부를 에어세척하는 에어세척부(160)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캐니스터의 클램핑 전후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장치(60)는, 턴테이블(40)의 상면에 접촉되는베이스부재(61)와, 일단이 캐니스터(10)의 둘레면에 접근 및 이반가능하게 베이스부재(61)의 상면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클램핑아암(63)과, 클램핑아암(63)의 중앙영역에 유동가능하게 배치됨과 동시에 각 클램핑아암(63)의 타단에 상대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작용로드부(65)와, 일단이 베이스부재(61)에 접촉되고 타단이 작용로드부(65)에 접촉되도록 결합되어 작용로드부(65)를 탄성가압함으로써 각 클램핑아암(63)의 일단이 캐니스터(10)의 외경면에 클램핑되도록 하는 작용스프링(67)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작용로드부(65)에는 각 클램핑아암(63)의 단부에 형성된 작용핀(66)이 유동할 수 있도록 장공상의 핀수용공(68)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클램핑아암(63)의 물림단부영역에는 캐니스터(10)의 외경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호형상을 가지는 가동편(64)이 상대회동가능하게 각각 결합되어 있다.
한편, 턴테이블(40)의 상면에는 인입구(21)를 통해 인입된 캐니스터(10)가 로딩되는 로딩위치와, 인출구(31)를 통해 인출될 수 있도록 언로딩 되는 언로딩위치가 형성되어 있으며, 로딩위치 및 언로딩위치에는 각각 클램핑장치(60)의 클램핑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클램핑해제장치(70)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클램핑해제장치(70)는, 클램핑장치(60)의 작용스프링(67)의 대향측에 턴테이블(40)의 지지축(22)과 평행하게 배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롤러(71)와, 로딩위치 및 언로딩위치에 롤러(71)와 구름접촉가능하도록 배치되어 롤러(71)와의 접촉시 작용스프링(67)이 압축되도록 함으로써 각 클램핑아암(63)의 물림단부가 해당 캐니스터(10)의 외경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롤러가이드(7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롤러가이드(73)는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턴테이블(40)의 회전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구간에 걸쳐 배치되며, 양 단부영역에는 롤러(71)와의 접촉이 원활하게 됨과 동시에 작용스프링(67)의 신축이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반경방향을 점진적으로 폭이 감소되는 경사면(7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도 2의 캐니스터인입부의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니스터인입부(80)는, 체임버(20)의 외부에 인입구(21)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인입콘베이어(81)와, 복수의 핑거(92)를 가지고 인입콘베이어(81)의 상측에 배치되어 인입콘베이어(81)에 의해 이송된 캐니스터(10)의 상단을 픽업하는 픽업헤드(91)와, 픽업헤드(91)의 상단에 배치되어 픽업헤드(91)를 승강구동시키는 승강구동실린더기구(93)와, 인입콘베이어(81)의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승강구동실린더기구(93) 및 픽업헤드(91)를 인입구(21)를 통해 턴테이블(40)상의 로딩위치로 이송시키는 수평이송실린더기구(9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수평이송실린더기구(95)의 양 측에는 수평이송실린더기구(95)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어 수평이송실린더기구(95)의 수평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로드(97)가 설치되어 있다.
인입콘베이어(81)는 인입구(21)에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도록 복수의 지지다리(83)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캐니스터(10)가 일정한 위치에 안착될 수 있도록 복수의 안착부(85)가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인입콘베이어(81)의 하측에는 인입콘베이어(81)의 구동을 위한 구동모터(87)가 설치되어 있다.
도 6은 도 2의 캐니스터인출부영역의 부분확대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캐니스터인출부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임버(20)의 인출구(31)의 일측에는 인출구도어(33)가 승강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인출구도어(33)의 일측에는 인출구도어(33)를 승강구동시키는 실린더기구(35)가 설치되어 있다. 인출구도어(33)의 외측에는 캐니스터(10)를 수용저장할 수 있도록 캐니스터저장부(100)가 마련되어 있다. 이 캐니스터저장부(100)에는 인출구(31)에 대응하여 캐니스터(10)가 캐니스터저장부(10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슈트(10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잔류가스의 배출을 위한 배기구(103)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캐니스터저장부(100)와 인출구(31)사이에는 턴테이블(40)상의 언로딩위치로부터 캐니스터(10)를 픽업하여 캐니스터저장부(100)의 슈트(101)로 이송시키는 캐니스터인출부(110)가 구비되어 있다. 캐니스터인출부(110)는, 복수의 핑거(112)를 가지고 턴테이블(40)상의 캐니스터(10)의 상단을 픽업하는 픽업헤드(111)와, 픽업헤드(111)를 상하방향을 따라 승강구동시키는 승강구동실린더기구(113)와, 승강구동실린더기구(113)의 일측에 일체로 결합되어 승강구동실린더기구(113) 및 픽업헤드(111)를 수평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수평이송실린더기구(11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수평이송실린더기구(115)의 양측에는 수평이송실린더기구(115)의 수평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로드(117)이 나란하게 이격배치되어 있다.
도 8은 도 1의 천공부의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천공부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부(120)는, 체임버(20)의 상판부(39)를 관통하여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승강가능함과 동시에 회전가능한 한 쌍의 주축(121)과, 주축(121)의 하단에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캐니스터(10)의 상면에 관통공(11)을 형성하는 드릴(123)과, 체임버(20)의 상측에 주축(121)의 일측에 배치되어 주축(121)을 회전시키는 주축구동모터(125)와, 주축(121)의 상단에 주축(121)과 일체로 승강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리드스크류(127)와, 리드스크류(127)에 상대운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회전함으로써 리드스크류(127)를 승강시키는 암나사부(129)와, 암나사부(129)의 일측에 배치되어 암나사부(129)를 회전구동시킴으로써 주축(121)을 승강구동시키는 서보모터(13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암나사부(129)의 외주면에는 풀리(130)가 형성되어 있어 서보모터(131)의 회전축에 형성된 풀리(133)와 벨트(135)에 의해 상호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체임버(20)의 상판부(39)에는 주축(121)을 승강가능함과 동시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쉬(136)가 결합되어 있다. 주축(121)의 상부영역에는 스플라인부(1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스플라인부(124)에는 주축구동모터(125)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주축(121)과 일체로 회전함과 동시에 주축(121)이 축심을 따라 승강구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전동기어(137)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도 10은 도 1의 액흡입부의 확대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액흡입부(140)는, 체임버(20)의 상판부(39)를 관통하여 승강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액흡입관(141)과, 체임버(20)의 상판부(39)에 결합되어 액흡입관(141)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쉬(143)와, 체임버(20)의 상판부(39)에 상향돌출되도록 설치된 지지프레임(145)과, 지지프레임(145)의 내부에 액흡입관(141)과 나란하게 배치되어액흡입관(141)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로드(147)와, 안내로드(147)에 승강가능하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액흡입관(141)의 상부영역에 일체로 승강가능하도록 결합된 슬라이더(148)와, 지지프레임(145)에 고정설치되어 슬라이더(148)를 승강구동시킴으로써 액흡입관(141)이 상하방향을 따라 캐니스터(10)에 접근 및 이반되도록 하는 승강구동실린더기구(149)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11은 도 1의 제1액세척부의 확대종단면도이다. 제1 내지 제3액세척부(150a~150c)는 그 구성이 거의 동일하므로 제1액세척부(150a)에 국한하여 설명한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액세척부(150a)는, 체임버(20) 상판부(39)를 관통하여 승강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캐니스터(10)에 형성된 관통공(11)을 통해 캐니스터(10)의 내부에 세척액을 주입하는 주입관(151)과, 주입관(151)의 일측에 나란하게 승강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캐니스터(10)의 내부의 세척액을 흡입하는 흡입관(153)과, 체임버(20)의 상판부(39)에 각각 배치되어 주입관(151) 및 흡입관(153)의 승강을 각각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쉬(155)와, 상판부(39)의 상측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156)과, 지지프레임(156)의 내부에 주입관(151) 및 흡입관(153)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로드(157)와, 양 단이 각 가이드로드(157)에 승강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주입관(151) 및 흡입관(153)과 일체로 승강가능하도록 결합된 슬라이더(158)와, 지지프레임(156)에 고정설치되어 슬라이더(158)를 승강구동시키는 승강구동실린더기구(159)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12는 도 1의 에어세척부의 확대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세척부(160)는, 체임버(20) 상판부(39)를 관통하여 승강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캐니스터(10)의 내부에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관(161)과, 공기분사관(161)의 일측에 나란하게 승강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캐니스터(10)의 내부의 기체를 흡입하는 흡입관(162)과, 공기분사관(161) 및 흡입관(162)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체임버(20)의 상판부(39)에 결합된 한 쌍의 가이드부쉬(165)와, 체임버(20)의 상판부(39)의 상단에 고정설치되는 지지프레임(167)과, 지지프레임(167)의 내부에 기립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로드(168)와, 가이드로드(168)에 대해 승강가능하도록 결합되고 공기분사관(161) 및 흡입관(162)과 일체로 승강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더(169)와, 슬라이더(169)를 승강구동시키는 승강구동실린더기구(17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공기분사관(161) 및 흡입관(162)에는 캐니스터(10)의 관통공(11)을 통해 공기분사관(161) 및 흡입관(162)이 캐니스터(10)의 내부로 삽입될 경우 관통공(11)과의 틈새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진공헤드(163,164)가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흡입관(162)은 캐니스터(10)의 저면부에 근접되어 캐니스터(10)의 내부의 기상 및 액상의 물질을 흡입할 수 있도록 공기분사관(161)에 비해 하향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인입콘베이어(81)를 구동시키고 내부에 유독액상물질이 수용저장된 캐니스터(10)를 인입콘베이어(81)상의 안착부(85)에 적치시키면 캐니스터(10)는 픽업헤드(91)의 하측으로 이송된다. 이 때, 도시 않은 캐니스터감지센서에 의해 캐니스터(10)가 감지되면 인입콘베이어(81)의 구동이 중지되고, 픽업헤드(91)는 승강구동실린더기구(93)에 의해 하강하여 핑거(92)로 캐니스터(10)의 상단을 물림고정하여 소정 위치로 픽업하게 된다.
캐니스터(10)의 픽업이 완료되면 수평이송실린더기구(95)는 신장되어 캐니스터(10)를 인입구(21)측으로 이송하게 되며 인입구(21)영역에 구비된 도시 않은 캐니스터감지센서에 의해 캐니스터(10)가 감지되면 실린더기구(25)가 동작하여 인입구도어(23)를 개방하게 된다. 수평이송실린더기구(95)는 픽업헤드(91)가 로딩위치상에 위치되면 신장완료되고, 이 때 승강구동실린더기구(93)는 하강하여 캐니스터(10)를 턴테이블(40)상의 로딩위치에 위치되도록 한다. 캐니스터(10)가 로딩되면 수평이송실린더기구(95)는 픽업헤드(91)가 초기위치로 복귀되도록 철회하게 된다. 이와 거의 동시에 체임버(20)의 공간은 외부에 대해 밀폐되고 상단에 형성된 배기덕트(24)를 통해 강제배기되어 체임버(20)의 내부는 음압(또는 부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턴테이블(40)이 도면상의 시계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 회전함에 따라 클램핑해제장치(70)의 롤러(71)가 롤러가이드(73)를 이탈하게 되면 작용스프링(67)의 탄성력에 의해 클램핑아암(63)의 가동편(64)이 캐니스터(10)의 외경면에 접촉됨으로써 클램핑된다. 턴테이블(40)이 천공부(120)의 위치에 도달하여 정지하게 되면 체임버(20)의 상판부(39)를 관통하여 설치된 한 쌍의 주축(121)이 하강하고, 주축(121)의 각 하단에 결합된 드릴(123)은 캐니스터(10)의 상면에 한 쌍의 관통공(11)을 형성하게 된다. 천공부(120)에 의해 최초의 캐니스터(10)에 천공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 제2캐니스터(10)가 전술한 최초의 캐니스터(10)와 같은 과정을 거쳐 로딩위치로 로딩된다.
천공작업이 완료되면 턴테이블(40)은 최초의 캐니스터(10)가 액흡입부(140)에 도달함과 동시에 제2캐니스터(10)가 천공부(120)에 도달되도록 회전하게 된다. 액흡입부(140)에 최초의 캐니스터(10)가 도달하게 되면 체임버(20)의 상부영역으로부터 액흡입관이 하강하여 캐니스터(10)에 형성된 관통공(11)을 통해 캐니스터(10)의 내부로 삽입되고, 도시 않은 액흡입펌프에 의해 캐니스터(10)의 내부의 유독액상물질을 흡입하여 별도의 저장탱크(미도시)에 저장하게 된다. 최초의 캐니스터(10)의 액흡입이 이루어지는 동안 천공부(120)에서는 제2캐니스터(10)의 천공작업이 이루어지고, 제3캐니스터(10)는 캐니스터인입부(80)에 의해 턴테이블(40)상의 로딩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턴테이블(40)이 회전하여 최초의 캐니스터(10)가 제1액세척부(150a)에 위치하게 되면, 체임버(20)의 상부영역으로부터 주입관(151) 및 흡입관(153)이 하강하여 관통공(11)을 통해 캐니스터(10)의 내부로 삽입된다. 주입관(151)을 통해 물 등의 세척액이 주입됨과 동시에 흡입관(153)은 캐니스터(10)의 내부의 물질을 흡입하게 된다. 최초의 캐니스터(10)는 제2액세척부(150b) 및 제3액세척부(150c)를 거쳐 에어세척부(160)에 도달하게 되고, 턴테이블(40)이 단위각도회전할 때마다 턴테이블(40)상에는 새로운 캐니스터(10)가 계속해서 로딩된다.
액세척이 완료된 최초의 캐니스터(10)가 에어세척부(160)에 도달하면, 승강구동실린더기구(171)에 의해 공기분사관(161) 및 흡입관(162)이 하강하여 캐니스터(10)의 관통공(11)내에 삽입된다. 이 때, 공기분사관(161) 및흡입관(162)에 결합된 진공헤드(163,164)는 관통공(11)과 공기분사관(161) 및 흡입관(162)사이의 틈새를 기밀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공기분사관(161)을 통해 캐니스터(10)의 내부로 공기가 분사되면 흡입관(162)은 캐니스터(10)의 저부에 근접배치되어 캐니스터(10)의 내부에 잔존하고 있는 액상물질 및 기상물질을 흡입하게 된다.
에어세척이 완료되고 턴테이블(40)이 소정 단위각도 회전하게 되면 클램핑장치(60)의 일측에 결합된 롤러(71)가 턴테이블(40)의 지지축(22)에 고정된 롤러가이드(73)에 구름접촉하여 회전하게 된다. 롤러(71)가 롤러가이드(73)의 일측 경사면(74)에 접촉되어 회전함에 따라 작용스프링(67)은 압축되고 롤러(71)가 경사면(74)을 지나 중앙영역에 위치하게 되면 클램핑아암(63)의 각 단부는 캐니스터(10)의 외경면으로부터 완전히 이격되어 클램핑 해제상태가 된다.
최초의 캐니스터(10)가 언로딩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인출구도어(33)가 개방되고, 캐니스터인출부(110)의 픽업헤드(111)가 인출구(31)를 통해 체임버(20)의 내부로 진입되어 에어세척이 완료된 캐니스터(10)의 상단을 픽업하여 인출구(31)를 통해 체임버(20)의 외부로 인출하게 된다. 캐니스터(10)가 체임버(20)의 외부로 인출되어 캐니스터저장부(100)의 슈트(101)상에 위치하게 되면 픽업헤드(111)는 캐니스터(10)를 방기하고 캐니스터(10)는 낙하하여 슈트(101)를 따라 캐니스터저장부(100)내로 수용/저장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체임버와, 체임버의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턴테이블을 마련하고, 체임버의 상부영역에 턴테이블의 회전방향을 따라 천공부와, 액흡입부와, 액세척부 및 에어세척부를 설치하여 캐니스터의 내부에 수용된 유독액상물질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캐니스터의 내부에 수용된 유독액상물질을 안전하게 흡입회수하고 캐니스터의 독성이 대기에 노출될 수 있는 안전수준까지 제거된 상태에서 캐니스터를 안전하게 회수할 수 있는 유독액상물질용 안전처리설비가 제공된다.

Claims (6)

  1. 내부에 밀폐공간을 형성하며 일측에 유독액상물질이 수용되어 있는 캐니스터의 인입을 위한 인입구 및 처리된 캐니스터의 인출을 위한 인출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체임버와; 상기 체임버의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턴테이블을 소정 각도 구간씩 회전시키는 테이블구동수단과; 상기 체임버의 외부에 상기 인입구에 인접되도록 배치되어 내부에 유독액상물질이 수용된 상기 캐니스터를 상기 턴테이블상의 로딩위치로 인입시키는 캐니스터인입수단과;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기 로딩위치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캐니스터인입수단에 의해 인입된 캐니스터의 상면에 복수의 관통공을 형성시키는 천공수단과;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기 천공수단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캐니스터의 내부에 수용된 유독액상물질을 흡입하는 액흡입수단과; 상기 액흡입수단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캐니스터의 내부에 세척액을 주입하여 세척하는 적어도 하나의 액세척수단과; 상기 액세척수단의 일측에 배치되어 액세척이 완료된 상기 캐니스터의 내부를 세척하는 에어세척수단과; 상기 체임버의 외부에 상기 인출구영역에 배치되어 세척완료된 상기 캐니스터를 상기 턴테이블상의 언로딩위치로부터 상기 체임버의 외부로 인출하는 캐니스터인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독액상물질용 안전처리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임버에는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투시창과, 상기 체임버의 외부로부터 상기 체임버의 내부로 조작접근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글로브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글로브공에는 조작용 장갑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독액상물질용 안전처리설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임버는 내부의 압력이 외부의 압력에 비해 낮은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독액상물질용 안전처리설비.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니스터인출수단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캐니스터인출수단에 의해 인출된 상기 캐니스터를 저장하는 캐니스터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독액상물질용 안전처리설비.
  5.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의 상면에 상기 캐니스터를 상기 턴테이블에 일체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클램핑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독액상물질용 안전처리설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위치 및 상기 언로딩위치에 상기 클램핑수단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클램핑해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독액상물질용 안전처리설비.
KR1020000046942A 2000-08-14 2000-08-14 유독액상물질용 안전처리설비 KR100361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6942A KR100361443B1 (ko) 2000-08-14 2000-08-14 유독액상물질용 안전처리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6942A KR100361443B1 (ko) 2000-08-14 2000-08-14 유독액상물질용 안전처리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3653A KR20020013653A (ko) 2002-02-21
KR100361443B1 true KR100361443B1 (ko) 2002-11-18

Family

ID=19683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6942A KR100361443B1 (ko) 2000-08-14 2000-08-14 유독액상물질용 안전처리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14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007B1 (ko) * 2010-04-27 2012-04-20 주식회사 엠엘씨 내압시험용 충수노즐의 가이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4598A (ja) * 1989-10-11 1991-05-28 Sapporo Breweries Ltd 自動開缶・液抜装置
KR920004273A (ko) * 1990-08-20 1992-03-27 지.꾸띠르 독성물을 함유하고 있으며 재사용할수 없는 플라스크들을 비우고 세척하는 장치
JPH04114897A (ja) * 1990-08-27 1992-04-15 Kirin Brewery Co Ltd 缶内液体回収装置
JPH0796996A (ja) * 1993-09-20 1995-04-11 Sumitomo Chem Co Ltd ドラム缶の充填物取出し装置並びにドラム缶の充填物取出し洗浄方法並びにその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4598A (ja) * 1989-10-11 1991-05-28 Sapporo Breweries Ltd 自動開缶・液抜装置
KR920004273A (ko) * 1990-08-20 1992-03-27 지.꾸띠르 독성물을 함유하고 있으며 재사용할수 없는 플라스크들을 비우고 세척하는 장치
JPH04114897A (ja) * 1990-08-27 1992-04-15 Kirin Brewery Co Ltd 缶内液体回収装置
JPH0796996A (ja) * 1993-09-20 1995-04-11 Sumitomo Chem Co Ltd ドラム缶の充填物取出し装置並びにドラム缶の充填物取出し洗浄方法並びにそ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3653A (ko) 2002-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2674B1 (ko) 자동 샘플링 장치 및 방법
TWI485792B (zh) 基板處理裝置
KR100889649B1 (ko) 기판처리장치 및 기판취급방법
CN106377425B (zh) 一种智能配药设备
KR101701517B1 (ko) 캡슐형 세정기
CN207267680U (zh) 转盘装置及分选机
CN113134765B (zh) 全自动镜片生产加工设备
CN113245299A (zh) 一种电机铁芯除尘设备及除尘方法
KR100361443B1 (ko) 유독액상물질용 안전처리설비
CN113199227A (zh) 一种柱塞泵自动压装设备
JP5031684B2 (ja) 基板処理装置
CN107052764B (zh) 翻转吸放式入垫装置及方法
CN112758600A (zh) 酸化解堵液加工用灌装设备、酸化解堵液、石油开采方法
JP2007159464A (ja) 液体採取装置
KR102529674B1 (ko) 샘플용기 자동 비움 및 세정 건조 장치
CN1035804C (zh) 清洗机构的溶剂回收装置
JPH1187204A (ja) 半導体ウエハ処理装置用クリーンルームシステム
CN114042715A (zh) 油桶的全自动清洗装置的清洗方法
CN108573905B (zh) 一种半导体元件清洗设备及其使用方法
JP3697631B2 (ja) 試料吸引・吐出方法及び装置
KR102485609B1 (ko) 오토 샘플링 장치
JP3653023B2 (ja) 化学弾切断処理装置および化学弾切断処理方法
US5311891A (en) Solvent recovering system for a cleaning machine
CN217560840U (zh) 一种扭矩检测机箱
CN220460273U (zh) 一种化学车间气体隔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