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1404B1 - 기록매체에대한기록및/또는재생방법및장치 - Google Patents

기록매체에대한기록및/또는재생방법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1404B1
KR100361404B1 KR1019950034047A KR19950034047A KR100361404B1 KR 100361404 B1 KR100361404 B1 KR 100361404B1 KR 1019950034047 A KR1019950034047 A KR 1019950034047A KR 19950034047 A KR19950034047 A KR 19950034047A KR 100361404 B1 KR100361404 B1 KR 100361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code data
character code
recording
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4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1963A (ko
Inventor
기타야마아츠시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733801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36140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960011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1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1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14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0Indicating arrangements; Warn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 G11B2220/2529Mini-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Abstract

표시부등에 있는 기록 영역에 기록되는 정보에 관련한 문자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문자 코드 데이타가 기록 가능한 코드 영역을 갖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와 같은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는 입력부, 변환부 및 기록 및/또는 재생부를 포함한다. 다른 종류의 여러가지 문자 정보가 입력부틀 동하여 입력된다. 변환부는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문자 정보의 각 문자를 문자 코드 데이타로 변환한다. 변환시 변환부는 문자 코드 데이타에 식별자를 부가한다. 식별자는 입력부가 입력한 문자 정보의 문자열이 앞선 문자열과 다른 가나 문자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낸다. 기록 및/또는 재생부는 변환 수단으로부터 문자 코드 데이타들 수신하고, 기록 매체에 대하여 문자 코드 데이타 및 정보를 기록 및/또는 재생한다.

Description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 및/또는 재생 방법 및 장치
발명의 배경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록될 정보에 관련한 문자 정보에 대한 데이타의 기록을 허용하는 기록 매체에의 기록 및/또는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관련기술
음악과 같은 정보를 기록 및 재생할 수 있는 공지된 기록 및 재생 장치는 디지탈 신호와 같은 오디오 신호를 기록하는 광자기디스크 또는 자기테이프 등을 기록 매체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를 포함한다.
기록 매체와 같은 광자기디스크를 사용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관하여, 사용자는 악곡 등의 사운드들 녹음 및 재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디스크의 타이틀(앨범 타이틀), 기록된 악곡의 곡명 및 문자 정보 등을 기억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크의 타이틀, 악곡명, 아티스트명 등이 재생시 그러한 장치에 제공되는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같은 광자기디스크를 사용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있어서, 디스크상의 보통 기록될 수 있는 문자 정보는 제 1 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ASCII 코드에 의해 표현되는 문자열이다. 달리, 단독 알파벳, 숫자 등의 소정의 기호는 문자 정보로서 같은 광자기디스크상에 기록될 수 있다.
제 1 도에 도시된 문자 이외에도 디스크상에 가다가나 문자 등을 코드화함으로써 디스크상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함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컨대, 비록 제 1 도에서 열번호 2~7 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JIS(Japanese Industrial Standard)-0201 코드 규격에서, 가다가나 문자 및 기호는 열번호 A∼D 를 갖는 코드로 정의되어 있다.
하지만, 각국의 규격은 JIS-0201 코드 규격에서 가다가나 문자 등으로 정의된 지역에 대한 여러가지 문자들을 정의한다. 결과적으로, 디스크상에 기록된 JIS-0201 코드 규격에 따른 가다가나 코드가 다른 나라의 규격에 따른 장치를 사용하여 재생될 경우, 예기치 않은 문자가 표시될 것이다.
그러한 경우에 가다가나 문자가 표시되면, 처리되는 문자수는 그 경우에 포함된 문자수의 2 배 이상이 되며, ASCII 코드만이 사용되는 것이다. 이로써 필요한 메모리 용량을 크게 하고 장치 비용의 저감에 역효과적이다.
이러한 환경 조건하에서, 기록 매체로 전술한 광자기디스크를 사용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는 제 1 도에 도시된 ASCII 코드만이 문자 정보로서 디스크상에 기록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하지만, ASCII 코드가 문자 정보를 표현하도록 사용되면, 일본어 문자 정보를 판독하기 어려운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강물의 흐름과 같이()"라는 일본 악곡을 녹음한다고 가정하면, 이 곡명은 ASCII 코드를 사용할 경우 "KAWANONAGRENOYOUNI"와 같은 알파벳으로 디스크상에 기록된다. 예를들어, 이것이 악곡의 재생시 표식될 경우, 알파벳 표시는 판독하기 어렵고 곡명 표시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기 어렵게 된다. 예컨대, "강물의 흐름과 같이 ()"라는 가다가나 문자로 표시될 경우에 판독하는 것이 더욱 용이해진다. 따라서, 가다가나 문자의 표시에 관련한 문제점은 가다가나 문자로의 표시 출력을 허용하는 것으로 해결됨은 바람직하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및/또는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기록 영역에 기록되는 정보에 관련한 문자 정보를 출력하는 문자 코드 데이타가 기록되는 코드 영역을 갖고, 입력부, 변환부 및 기록 및/또는 재생부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입력부는 문자 정보를 입력한다. 변환부는 입력부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 정보에 있는 각각의 문자를 문자 코드 데이타로 변환하고, 변환시 문자 코드 데이타에 식별자를 부가한다. 식별자는 입력부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 정보에 있는 문자열의 문자 형태가 이전의 문자열과는 다름을 나타낸다.
변환부의 문자 코드 데이타는 기록 매체상의 문자 코드 데이타 및 정보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수행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부에 공급된다.
본 발명에 따라, 기록 영역에 기록되는 정보에 관련한 문자 정보를 표시하는 문자 코드 데이타가 기록 가능한 코드 영역을 갖고, 입력부, 변환부 및 기록 및/또는 재생부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입력부는 다른 종류의 여러가지 문자 정보를 입력한다.
변환부는 입력부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 정보에 있는 각각의 문자를 문자 코드 데이타로 변환하고, 변환시 문자 코드 데이타에 식별자를 부가한다. 식별자는 입력부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 정보에 있는 문자열의 문자 형태가 이전의 문자열의 것과 다른 가다가나 문자임을 나타낸다. 변환부의 문자 코드 데이타는 기록 매체상의 문자 코드 데이타 및 정보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수행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부에 공급된다.
본 발명에 따라, 기록 영역에 기록되는 정보에 관련한 문자 정보를 출력하는 문자 코드 데이타가 기록 가능한 코드 영역을 갖는 기록 매체의 기록 및 또는 재생 방법이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기록 및/또는 재생 방법에 따르면, 문자 정보가 입력부로부터 입력되고; 입력 문자 정보의 각가의 문자는 문자 코드 데이타로 변환되며; 식별자는 입력 문자 정보에 있는 문자열의 문자 형태가 이전의 문자열의 것과 다른 형태임을 나타내도록 변환시 문자 코드 데이타에 부가되고; 식별자에 부가되는 문자 코드 데이타가 기록 매체상에 기록된다.
양호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 매체의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관하여 수반하는 도면을 참고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는 광자기디스크가 기록 매체로서 사용되고 음악 정보가 이 광자기디스크상에 기록되는 기록 매체의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를 참고하여 기술되어 있다.
이런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있어서, 악곡명과 같은 문자는 광자기디스크상에 기록될 수 있으며, 광자기디스크(이하 "디스크"라 함)상에 기록되는 타이틀과 같은 문자 정보는 판독되어 표시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차례로 나누어 설명되어 있다.
1.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구성
2. 디스크의 TOC 구조
3. 문자 정보 기록 동작
4. 문자 정보 출력 동작
1.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구성
제 2 도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외관을 예시하고 있다. 액정 표시 장치 등에 의한 표시부(31)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30)의 앞면 패널에 제공된다. 표시부(31)는 동작 모드, 트랙 번호, 기록 또는 재생 시간, 편집 동작 상태 및 디스크상에 수행되는 기록 또는 재생 동작 상태를 표시한다. 후술되는 바와같이, 문자 정보는 디스크상에 기록될 수 있고, 표시부(31)는 그러한 문자 정보의 입력시 입력되는 문자 및 디스크로부터 판독되는 문자 정보를 표시한다.
디스크는 디스크 삽입부(32)를 통하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로 삽입되고 이 장치로부터 배출된다. 장치(30)의 앞면 패널에서, 후술되는 원격 코맨더에 의해 전송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광수신부(light receiving portion, 33)가 제공되어 있다.
장치(30)의 앞면 패널에 여러가지 조작 수단(34~37)이 제공되어 있다. 전원키(34)는 총괄하여 장치(30)의 전원을 턴온/턴오프하느데 사용된다. 재생키(35)는 또한 일시 정지(pause)키로서도 사용된다. 36 은 정지키를 가리킨다. 37 은 녹음키, 38 은 FF(고속 진행)/REW(되감기)키를 가리킨다.
AMS(Automatic Music Scan, 자동 음악 탐지) 다이얼(39)은 현재 트랙보다 큰 트랙 번호를 갖는 트랙으로 건너뛰게 하도록 오른쪽으로 돌리고, 더 작은 트랙 번호를 갖는 트랙으로 건너뛰게 하도록 왼쪽으로 돌린다.
배출(eject) 키(40)는 디스크를 빼내도록 작동한다. 배출키(40)가 동작할 때, 디스크는 삽입부(32)를 통하여 장치로부터 빼내진다.
재생 모드 키(41), 프로그램 재생 모드 키(42) 및 셔플 재생 모드 키(43)는 선택용으로 통상 조작되며, 디스크에 기록된 정보의 재생용 모드를 세트한다.
편집 키(edit key, 44)는 각종 편집 모드를 호출 및 종료하는 것을 조작하는키이다. YES 키(45) 및 NO 키(4)는 편집 조작 등에 사용된다.
장치(30)에서, 문자의 입력은 편집 모드중 하나로 설정되고, 디스크명 입력 모드 또는 트랙명 입력 모드는 편집키(44)를 사용하여 호출된다. 트랙명 입력 모드로 편집 모드를 전환한 다음 문자 입력을 실행하게 된다.
조그 다이얼(jog dial, 47)은 문자의 입력에 사용된다. 조그 다이얼이 회전될 때, 제 2 도에 도시된 알파벳, 숫자 및 기호 등과 같은 ASCII 코드 문자는 표시부(31)에 순차적으로 표시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표시부(31)에 가다가나 문자들도 순차 표시된다. 예를들어, YES 키(45)를 표시된 소정의 문자와 함께 누르면, 그 문자는 입력될 문자로 결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문자들이 입력되며, 입력 문자열은 편집 키(44)의 누름 또는 어떤 시점에서 수행되는 YES 키(45)의 다른 누름과 같은 조작에 의해 설정되고 디스크내에 기입된다. 입력 조작 과정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공되는 키의 종류에 따라 여러가지 다른 과정들이 가능하다.
제 3 도에 도시된 원격 코맨더(90)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30)에 관련하여 제공된다.
원격 코맨더(90)는 눌러진 키에 따라 제공되는 ROM 또는 RAM 으로부터 코맨드 코드를 판독하고, 적외선 신호가 출력된다. 이 적외선 신호는 광수신부(33)에 의해 수신되고,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30)에 의해 얻어진 코맨드 코드 펄스로서 사용되는 전기 신호로 변환된다.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30)는 코맨더(90)에 의해 전송되는 코맨드 코드에 따라서 기록 또는 재생 동작을 수행한다.
원격 코맨더(90)는 장치(30)의 전원을 턴온 및 턴오프시키는 전원키(91)를 갖는다.
또한 원격 코맨더(90)는 수와 문자로 된 숫자/문자키 (92), 표시 모드 및 재생 모드를 지정하는 모드 키(93), 재생, 일시 정지, 정지, 녹음 FF/REW 및 AMS(자동 음악 탐색)키와 같은 조작키(94), 문자 입력 모드키(95), 대문자 모드, 소문자 모드 및 가다가나 모드와 같은 입력 모드중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키(96) 숫자 입력 모드를 선택하는 숫자 모드 키(97) 및 선택키(98)를 포함한다.
각각의 숫자/문자 키(92)는 소정의 수, 알파벳, 가다가나, 기호 등으로 되어 있다.
숫자/문자 키(92)는 숫자 키의 기능을 갖는다. 예컨대, 재생시 "3"의 키를 누르면 트랙 번호 3 으로 지정된 트랙에의 액세스 키(AMS 키)로서 "3"의 키가 작동한다.
문자 입력 모드 키를 누르면, 숫자/문자 키(92)는 문자를 입력하는 키로서 작용한다. 문자 입력은 모드 선택키(96) 또는 숫자 모드키(97)상의 조작에 따라서 설정된다.
예컨대, "1"키는 숫자 "1", 알파벳 "A" 및 가다가나 문자 "ア" 및 "イ"에 대응한다. 대문자 입력 모드가 가능할 때, "1"키를 누르면 문자 "A"를 입력시키게 된다. 소문자 입력 모드가 가능할 때, "1" 키를 누르면 문자 "A"를 입력시키게 된다. 가다가나 입력 모드에서, "1"키를 1 회 누르면 표시부(31)에 문자 "ア "를 표시하게 되고; "1" 키를 또다시 누르면 문자 "イ"가 표시되게 되며, "ア"는 세번째 누르면 다시 나타난다. 즉, 토글 조작(toggle operation)이 실행된다. 사용자는 "1" 키를 눌러서 표시되는 "イ"로 선택 키(98)를 누름으로써 "イ"를 입력시킬 수 있다.
몇몇 문자들이 상기 조작들을 통해 입력된 후 어떤 시점에서 문자 입력 모드키(95)를 누를 때, 그 시점에서 입력된 문자열의 디스크상에 기록되도록 설정된다.
제 4 도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30)의 주요부분에 대한 블록도이다.
제 4 도에 있어서, 오디오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는 광자기디스크(1)는 스핀들 모터(2)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광학헤드(3)는 기록 및 재생시 광자기디스크(1)에 레이저 빔을 조사한다. 기록시 디스크의 기록층을 큐리에(Curie) 온도까지 가열하는 고레벨에서 레이저 빔을 출력하고, 재생시 자기 커어효과(magnetic kerr effect)를 통하여 반사광으로부터 데이타 검출을 허용할 수 있도록 비교적 저 레벨에서 레이저 빔을 출력한다.
광학 헤드(3)는 광원과 같은 레이저 다이오드, 편향 빔스플리터, 대물렌즈(3a) 등으로 된 광학계 및 반사광을 검출하는 검출기를 갖는다. 대물렌즈(3a)는 액츄에이터(4)에 의하여, 디스크의 반경 방향 및 디스크에 가까웠다 멀었다하는 즉, 포커심 방향으로 변위 가능해진다.
자기 헤드(6a)는 공급된 데이타에 의해 변조된 수직 자계를 광자기디스크(1)에 인가한다. 자기 헤드(6a)는 사이에 끼워진 광자기디스크(1)에 광학 헤드(3)가 대향하여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광학 헤드(3) 전체 및 자기헤드(6a)는 피드 기구 (feed mechanism)(5)에 의해 디스크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한다.
재생시, 광자기디스크(1)에 의해 반사되는 검출된 빛을 갖는 광학 헤드(3)의검출기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RF 증폭기(7)에 공급된다. RF 증폭기(7)는 RF 신호, 트래킹 에러 신호, 포커스 에러 신호, 그루프(groov) 정보(광자기디스크)(1)상에 프리그루브(불안정(wobbling) 프리그루브)로서 기록된 절대 위치정보) 등을 발생하도록 광학 헤드(3)의 출력 신호에 있어서 연산 처리를 행한다. 발생된 RF 신호는 인코더/디코더부(8)에 공급된다. 트래킹 신호 및 포커스 에러 신호는 서보 회로(9)에 공급된다. 그루브 정보는 디코드되도록 어드레스 디코더(10)에 공급되고 절대 어드레스로서 출력된다.
서보 회로(9)는 트래킹 에러 신호 및 그에 따라 공급되는 포커스 에러 신호에 따른 여러가지 서보 구동 신호, 시스템 제어기(11)로부터의 액세스 코맨드 및 트랙 점프 코맨드, 스핀들 모터(2)의 검출된 회전 속도 정보 등을 발생한다.
발생된 여러가지 서보 구동 신호는 포커싱 및 트래킹 제어를 위해 피드 기구(5) 및 엑츄에이터(4)에 공급된다. 또한, 스핀들 모터(2)는 일정선속도(CLV)로 광자기디스크(1)를 회전시키도록 제어된다.
RF 신호는 인코더/디코더부(8)에서 EFM 복조 및 CIRC 를 포함한 디코딩 처리된 후, 메모리 제어기(12)에 의해 버퍼 메모리(13)에 일시적으로 기입된다. 광학 헤드(3)에 의해 광자기디스크(1)로부터의 데이타 판독 및 광학 헤드(3)에서 버퍼 메모리(13)계 까지의 재생 데이타의 전송은 1.41Mbit/sec 에서 간차적으로 수행된다. 버퍼 메모리(13)는 1Mbit, 4Mbit 등의 기억 용량을 갖는 RAM 에 의해 구성된다.
버퍼 메모리(13)에 기입된 데이타는 재생 데이타가 0.3Mbit/sec 타이밍으로전송되고 인코더/디코더부(14)에 공급된다. 데이타는 인코더/디코더부(14)에서 오디오 압축 처리를 포함한 재생 신호 처리를 하고, 출력 단자(16)로부터 외부 증폭 회로에 차례로 공급되는 아날로그 신호로 D-A 변환기(15)에 의해 변환된다. 예컨대, 출력 단자(16)의 아날로그 신호 출력은 L 및 R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서 출력된다.
데이타는 기입 포인터 및 판독 포인터에 대한 제어를 통하여 메모리 제어기(12)에 의해 지정된 어드레스로 버퍼 메모리(13)에 대하여 기입 및 판독된다. 기입 포인터(기입 어드레스)는 1.41Mbit/sec 타이밍에서 증가되며, 판독 포인터(판독 어드레스)는 0.3Mbit/sec 타이밍에서 증가된다. 기입 및 판독 비트 전송 속도간의 차이는 버퍼 메모리(13)내에서 데이타를 축적시킨다. 메모리의 기억 용량을 채우기 위해 버퍼 메모리(13)에 데이타가 축적될 때, 기입 포인터는 더이상 증가하지 않으며, 광학 헤드(3)에 의해 광자기디스크(1)로부터의 데이타 판독은 또한 정지된다. 하지만, 판독 포인터가 더 증가되므로, 출력 단자(16)의 아날로그 신호 출력은 개입 중단되지 않느다.
그리고나서, 버퍼 메모리(13)에 축적된 데이다량이 버퍼 메모리로부터 연속 판독된 결과로서 어떤 시점에서 소정량 이하로 감소할 때, 광학 헤드(3)에 의한 데이타 판독 및 판독 포인터의 증가는 버퍼 메모리(13)내에 데이타를 재축적하는 것으로 재개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버퍼 메모리(13)를 통하여 재생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외란 등에 기인하여 트레킹 서보가 적합하게 동작하지 않을 때에도 재생 신호의 출력의개입 중단을 막을 수 있다. 예컨대, 데이타의 판독은 올바른 트래킹 위치 즉, 트레킹 서보가 중단하기 전에 스캐닝이 행해진 위치로 액세스함으로써 재개될 수 있으며, 버퍼 메모리(13)는 여전히 데이타를 갖고 있다. 따라서, 재생 출력상의 어떠한 영향없이 동작이 계속될 수 있다. 이로서, 내진(anti-vibration) 기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어드레스 디코더(10)에 의해 출력된 어드레스 정보 및 제어 동작에 사용되는 서브 코드 데이타는 다양한 제어 동작에 사용되는 시스템 제어기(11)에 인코더/디코더부(8)를 통하여 공급된다 .
시스템 제어기(11)는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구성된다. 후술하는 바와같이, 시스템 제어기(11)는 코맨더(90) 또는 조그다이얼(47)을 사용하여 입력된 문자 정보를 특성 코드 정보로 변환하고, 가다가나 입력 모드가 원격 코맨더(90)의 선택키(96)상의 특성 입력 모드 전환 동작의 결과로 설정될 때, 식별 특성을 자동 발생한다. 시스템 제어기(11)는 디스크(1)에서 판독된 특성 코드 데이타를 디코드하고, 표시부(31)에 표시 데이타로서 공급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기(11)는 광학 헤드(3)의 레이저 다이오드의 동작을 제어하는 레이저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시스템 제어기(11)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출력의 턴온/턴오프를 제어하고, 재생시 출력되는 비교적 낮은 레벨 및 기록시 출력되는 비교적 높은 레벨 사이에 있는 레이저 파워를 전환할 수 있다.
광자기디스크(1)상에서 기록 동작이 수행될 때, 입력 단자(17)에 공급된 기록되는 신호로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압축 인코딩 처리를 행하는 인코더/디코더부(14)에 차례로 공급되는 디지탈 신호로 A-D 변환기(18)에 의해 변환된다.
인코더/디코더부(14)에 의해 압축된 데이타는 메모리 제어기(12)에 의해, 버퍼 메모리(13)에 일시적으로 기입되어, 인코더/디코더부(8)로 송신되는 소정의 시점에서 버퍼 메모리(13)로부터 판독된다. 데이타는 인코더/디코더부(8)에서 CIRC 인코딩 및 EFM 변조와 같은 인코딩 처리로 실시된다.
자기헤드 구동 회로(6)는 인크드된 데이타가 기록됨에 따라 자기 헤드(6a)에 자기 헤드 구동 신호를 공급한다. 특히, n-극 또는 s-극 수직 자계가 자기헤드(6a)에 의해 광자기디스크(1)에 인가된다. 시스템 제어기(11)는 기록 레벨의 레이저 빔을 출력하도록 하기 위해 과학 헤드(3)에 제어 신호를 공급한다.
참조 번호(91)는 상술한 참조번호(34-37)로 표시되는 조작키 및 다이얼을 포함한 사용자 조작키 등을 설치한 조작 입력부를 나타낸다. 조작 입력부(19)의 입력은 시스템 제어기(11)에 공급된다. 표시부(31)는 시스템 제어기(11)의 표시 데이타로 공급되고, 시스템 제어기(11)는 광 수신부(33)의 출력 신호를 수신한다.
기록 및/또는 재생 동작이 디스크(1)상에서 행해질 때, 디스크(1)에 기록된 관리 정보 즉, P-TOC(Pre-recorded table of contents) 및 U-TOC(user TOC)가 판독되어져야 한다. 이러한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시스템 제어기(11)는 기록을 행하는 디스크(1) 영역 및/또는 재생을 행하는 영역의 어드레스를 결정한다. 관리 정보는 버퍼 메모리(13)에 보유된다, 이 목적을 위해, 버퍼 메모리는 상술한 기록 및 재생되는 데이타를 버피링하는 영역과 관리 정보를 보유하는 영역으로 분할된다.
시스템 제어기(11)는 관리 정보를 기록하는 디스크의 최내주측의 재생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디스크(1)가 장전될 때 관리 정보를 판독하고, 버퍼 메모리(13)가 이를 저장하도록 실행하며, 이후에 실행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 동작시 그를 참조한다. 시스템 제어기(11)는 버퍼 메모리(13)에 판독된 TOC 데이타의 일부를 RAM 으로 추출해낼 수 있다.
U-TOC 데이타는 데이타가 기록되거나 소거될 때 편집 및 재기입된다. 시스템 제어기(11)는 기록 또는 소거되는 각 타임 데이타의 편집 처리를 버퍼 메모리(13)에 기억된 U-TOC 데이타에 대하여 행하고, 재기입 동작에 따라 소정의 타이밍으로 디스크(1)의 U-TOC 데이타를 재기입한다. 예컨대, 디스크(1)가 배출되거나 전원이 턴오프될 때, 그러한 조작은 디스크(1)의 U-TOC 영역내의 U-TOC 데이타가 재기입된 후 수행된다.
지금부터, 섹터 데이타 형태로 디스크(1)에 기록하는 오디오 데이타 섹터 및 오디오 데이타에 대한 기록 및/또는 재생 동작을 관리하는 P-TOC 및 U-TOC 섹터에 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2. 디스크의 TOC 구조
(1) P-TOC 섹터
먼저, 디스크(1)의 트랙에 대한 기록 및/또는 재생 동작을 관리하는 관리 정보로서 P-TOC 섹터에 간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P-TOC 데이타는 디스크의 기록 가능 영역(기록 가능 사용자 영역)과 같은 영역의 지정 및 U-TOC 영역의 관리를 포함한 기능을 행한다. 디스크(1)가 재생 전용의 광디스크인 사전 기록된 디스크일 때, P-TOC 데이타는 ROM 에 기초하여 기록된 악곡의 관리 또한 허용한다.
제 5 도는 P-TOC 에 할당된 영역(예컨대, 디스크의 최내주측의 사전 기록된 영역)에 반복 기록되는 P-TOC 데이타의 1 섹터(섹터 0)를 도시하고 있다. P-TOC 섹터(0~4)가 있으나 섹터(1∼4)는 선택적이다.
P-TOC 섹터 0 의 데이타 영역(4 바이트x588=2352 바이트)은, 선두 위치에서 전부 1 또는 전부 0 인 비트를 갖는 1 바이트 데이타로 구성되고 클러스터 어드레스 및 섹터 어드레스를 각각 갖는 동기 패턴으로 4 바이트 부가된다. 그들은 헤더를 구성한다.
해더를 따르는 소정의 어드레스 위치에서, 문자 "MINI"에 대응하는 ASCII 코드로 식별 ID 가 부가되어 P-TOC 의 영역에 있음을 나타낸다.
그에 따라서, 디스크 타입, 녹음 레벨, 기록된 최초의 악곡의 곡명 번호(First TNO), 최후의 악곡의 곡명 번호(Last TNO), 판독 시작 어드레스(LOA), 섹터의 사용 상태(Used Sectors), 파워 측정 영역(Power calibration area)(PCA), U-TOC 의 시작 어드레스(USTA), 기록 가능 영역 (기록 가능한 사용자 영역)의 시작 어드레스(RSTA) 등이 기록된다.
다음으로, 물리적 불규칙인 비트 형태로 기록되는 악곡 등을 후술되는 관리 테이블의 파트(PART) 테이블에 대응하는 테이블 포인터(P-TNO1~P-TNO255)를 갖는 대응 테이블 지시데이타부가 사용된다.
대응 테이블 지시 데이타부에 이어지는 영역에 있어서, 테이블 포인터(P-TNO1∼P-TNO255)에 대응되는 255 개의 파트 테이블(01h)∼(FFh)을 갖는 관리 테이블부가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h"에 수반되는 수치는 16 진 표기로 한다.
파트의 시작 및 종단 어드레스 및 파트의 모드(트랙모드)상의 정보가 각각의 파트 테이블에 기록될 수 있다.
각각의 파트 테이블에 있는 트랙 모드 정보에 있어서, 과기입 및 데이타 복제가 파트에 대하여 금지되는지의 여부, 파트가 오디오 정보를 갖는지의 여부 및 정보가 모노 혹은, 스테레오인지의 여부에 따라 기록된다.
관리 테이블부에 있는 파트 테이블(O1h)~(FFh)의 내용은 개개의 테이블 포인터(P-TNO1~P-TNO255)로 표시된다. 특히, 제 1 악곡에 있어서, 소정의 파트 테이블 예컨대, (O1h)가 테이블 포인터(P-TNO1)로서 기록된다. 이경우, 파트 테이블(O1h)의 시작 어드레스는 제 1 악곡이 기록되는 위치의 시작 어드레스이다. 유사하게, 파트 테이블(O1h)의 종단 어드레스는 제 1 악곡이 기록되는 위치의 종단 어드레스이다. 트랙 모드 정보는 제 1 악곡에 대한 정보이다.
실제로, 테이블 포인터는 소정의 연산 처리에 의해 P-TOC 섹터 0 내의 바이트 포지션으로서 소정의 파트 테이블을 나타낼 수 있도록 수치로 기록되어 있다.
유사하게, 제 2 악곡에 있어서, 제 2 악곡이 기록되는 위치의 시작 및 종단 어드레스는 그의 트랙 모드 정보가 테이블 포인터(P-TNO2)에 의한 파트 테이블 예컨대, (O2h)에 기록된다.
유사 테이블 포인터가 테이블 포인터 P-TNO255 까지 사용되므로, 255 개의악곡이 P-TOC 상에 관리 가능하다.
P-TOC 섹터 0 의 구조는 에컨대, 재생시 소정의 악곡을 액세스하여 재생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소위, 사전-기록된 악곡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기록 가능 및 재생가능한 광 자기 디스크의 경우, 상술한 대응 테이블 지시 데이타부 및 관리 테이블은 사용되지 않는다(이들은 후술되는 U-TOC 에 의해 관리된다). 따라서, 모든 바이트는 "ooh"이다.
모든 악곡을 물리적 불규칙의 비트 형태로 기록하는 사전-기록된 타입의 디스크 또는 악곡 등을 기록하는 영역으로서의 악곡 등을 기록할 수 있는 광학 영역 및 ROM 영역을 갖는 하이브리드 타입의 디스크의 경우에 있어서, 상기 대응 테이블 지시 데이타부 및 관리 데이블 부는 ROM 영역 내의 악곡의 관리에 사용된다.
(2) U-TOC 섹터
U-TOC 의 섹터 0 및 1 을 참고하여 U-TOC 에 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섹터 2 및 4 에 관해서는 이하 간단하게 기술하고자 한다.
섹터 3 및 섹터(5-7)는 미정의 되어있다.
<U-TOC 섹터>
제 6 도는 사용자가 악곡 및 새로운 악곡도 녹음할 수 있는 자유 영역(free area)에 대하여 관리 정보가 기록되는 데이타 영역인 U-TOC 섹터 0 의 포맷도이다.
예컨대, 악곡이 디스크(1)에 기록될때, 시스템 제어기(11)는 U-TOC 섹터 0 로부터 디스크상의 자유 영역을 발견하고 발견된 이 영역내에 오디오 데이타를 기록한다. 재생되는 악곡을 U-TOC 섹터 0 로부터 기록하는 영역을 결정하고 그 영역을 액세싱함으로써 재생 실행한다.
제 6 도에 도시된 U-TOC 섹터 0 에 있어서, -TOC 와 동일 형태로 헤더를 포함하는데, 헤더를 따르는 소정의 어드레스 위치에 있는 제조자 코드, 모델 코드, 제 1 악곡의 곡명 번호(First TNO), 마지막 악곡의 곡명 번호(Last TNO), 섹터의 사용상태, 디스크의 일련 번호 및 디스크의 ID 등의 데이타가 기록된다.
사용자가 녹음한 악곡의 영역 및 자유 영역을 후술되는 관리 테이블 부에 대응시킴으로써 식별하기 위하여, 대응 테이블 지시 데이타부로서 각종 테이블 포인터(P-DFA, P-EMPTY, P-FRA 및 P-TNO1~P-TNO255)가 기록된 영역이 사용된다.
테이블 포인터(P-DFA∼P-TNO255)에 대응하는 관리 테이블부로서 255개의 파트 테이블(01h~FFh)이 사용된다. 제 5 도에 도시된 P-TOC 섹터 0 와 같이, 소정의 파트의 시작 및 종단 어드레스 및 파트의 모드 정보(트랙 모드)가 파트 테이블의 각각에 기록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파트(part)"라는 용어는 데이타가 기록되는 디스크(1)의 기록 영역에 대한 영역을 의미한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사운드와 같은 데이타의 1 아이템은 1 파트내에 기록될 수 있으며, 여러 파트로 교대로 분할될 수 있다.
이런 U-TOC 섹터 0 의 각각의 파트 테이블로 표시되는 파트는 다른 파트에 이어서 연결되므로, 링크 정보는 연결되는 파트의 시작 및 종단 어드레스를 갖는 파트 테이블을 나타내도록 기록가능하다.
이런 유형의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있어서, 1 개 악곡의 데이타는 물리적 비연속적으로 기록된다하더라도 재생 동작에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않는데, 즉, 파트간의 데이터를 액세싱함으로써 재생이 실행되므로 복수의 파트에 기록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기록되는 악곡 등은 기록 가능 영역의 효과적인 사용등과 같은 목적용으로 복수의 파트에 기록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링크 정보가 사용되며, 예컨대, 파트 테이블에 할당된 번호(01h~FFh)를 사용하여 연결되는 파트 테이블을 지정함으로써 파트들이 연결 가능하다.
실제로, 링크 정보는 U-TOC 섹터 0 의 바이트 포지션을 나타내기 위해, 소정의 연산 처리에 사용되는 수치로 표현된다. 특히, 파트 테이블은 304+(링크 정보)x8로 지정된다.
사전-기록된 디스크의 경우, 물리적인 불규칙과 같은 비트 형태로 기록되는 악곡 등은 파트들로 통상 분할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 5 도에서와 같이, O-TOC 색터 0 의 링크 정보는 "(ooh)"로 전부 설정된다.
따라서, U-TOC 섹터 0 의 관리 테이블에 있는 1 파트 테이블은 1 파트를 표현한다. 예컨데, 상호 연결된 3개의 파트로 구성된 악곡의 경우, 파트들의 위치는 링크 정보로 연결된 3개의 파트 테이블을 사용하여 관리된다.
U-TOC 섹터 0 의 관의 테이블부에 있는 파트 테이블(01h~FFh)의 내용은 후술되는 대응 테이블 지정 데이타부에 있는 테이블 포인터(P-DFA, P-EMPTY, P-FRA 및 P-TON1~P-TONO255)로 표시된다.
테이를 포인터(P-DFA)는 스크래치 등에 의해 생성된 결함 영역인 트랙부(파트)를 나타내는 여러 파트 테이블의 제 1 테이블 또는 1 파트 테이블을 지적함으로써 디스크(1)상의 결함 영역을 지시한다. 달리, 결함 파트가 있을 경우, (O1h)~(FFh) 중 하나는 테이블 포인터(P-DFA)에 기록되고, 대응 파트 테이블은 시작 및 종단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결함 파트를 지시한다. 다른 결함 파트가 있을 경우, 파트 테이블의 링크 정보는 제 2 결함 파트를 나타내는 다른 파트 테이블을 지정한다. 더이상 결함 파트가 없으면, 링크 정보는 연결된 결함 파트가 더이상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00h)"이다.
테이블 포인터(P-EMPTY)는 관리 테이블부의 복수개의 비사용 파트 테이블중 제 1 의 테이블 또는 하나의 비사용 파트 테이블을 나타낸다. 비사용 파트 테이블이 있을 경우, (01h)~(FFh)중 하나는 테이블 포인터(P-EMPTY)로서 기록된다. 복수개의 비사용 파트 테이블이 있을 경우, 그러한 파트 테이블은 테이블 포인터(P-EMPTY)로 지정되는 파트 테이블에서 링크 정보에 까지 순차적으로 지정된다. 따라서, 모든 비사용 파트 테이블은 관리 테이블부 상에서 연결된다.
테이블 포인터(P-FRA)는 디스크(1)에 기입할 수 있는 데이타를 갖는 자유 영역(소거 영역 포함)을 나타낸다. 이는 자유 영역인 트랙부를 나타내는 복수의 파트 테이블 중 제 1 테이블 또는 하나의 파트 테이블을 지정한다. 달리, 자유영역이 있을 경우, (01h)~(FFh)중 하나가 테이블 포인터(P-EMPTY)로서 기록되고, 대응 파트 테이블은 시작 및 종단 어드레스를 사용하는 자유 영역인 파트들 나타낸다. 복수개의 그러한 파트가 있을 경우, 즉 복수개의 그러한 파트 테이블이 있을 경우, 이들은 "(ooh)"인 링크 정보를 갖는 파트 테이블까지 링크 정보로 순차 지정된다.
제 7 도는 파트 테이블을 사용하는 자유 영역인 파트의 관리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제 7 도는 파트(03h), (18h), (1Fh), (2Bh) 및 (E3h)가 자유 영역일때, 그 상태는 파트 테이블(03h), (18h), (1Fh), (2Bh) 및 (E3h) 간의 연결로 이어지는 데이타(P-FRA)를 지정하는 대응 데이블로 표현됨을 도시하고 있다. 상술한 비사용 파트 테이블 및 결함 영역의 관리는 동일한 형태로 행해진다.
음악과 같은 어떤 오디오 데이타도 기록되지 않고 결함도 없는 광 자기 디스크의 경우, 테이블 포인터(P-FRA)는 파트 테이블(O1h)을 지정하여, 디스크의 전체적인 기록 가능 사용자 영역이 자유 영역임을 나타낸다. 이 경우, 기록 가능한 사용자 영역의 시작 어드레스는 파트 테이블(01h)의 시작 어드레스로서 기록되고, 판독 시작 어드레스를 선행하는 어드레스는 동일한 파트 테이블의 종단 어드레스로서 기록된다.
테이블 포인터(P-TNO1~P-TNO255)는 사용자에 의해 광자기 디스크(1)상에 기록된 악곡을 지시한다. 예컨대, 테이블 포인터(P-TNO1)는 제 1 악곡이 기록되는 단일 파트 또는 제 1 악곡이 일시적으로 제일 먼저 오도록 기록되는 복수의 파트들중 하나를 나타낸다.
제 1 악곡이 디스크상의 분리 트랙에 기록되지 않는다고, 즉, 단일 파트에 기록되는 것이라고 가정해 둔다.
그때, 제 1 악곡의 기록 영역은 테이블 포인터(P-TNO1)로 표시되는 파트 테이블의 시작 및 종단 어드레스로서 기록된다.
제 2 악곡이 디스크상에 복수의 파트로 불연속적으로 기록될 경우, 관련 파트들은 악곡이 기록되는 위치를 지시하게 되는 일시적인 순서로 지정된다. 특히, 파트 테이블들은 제 7 도에 도시된 경우와 같이 테이블 포인터(P-TNO2)로 지정된 파트 테이블에서 시작하여 링크 정보로 일시적인 순서대로 순차 지정되며, 링크 정보 "(ooh)"를 갖는 파트 테이블까지 연결된다. 따라서, 예컨대, 제 2 악곡을 구성하는 데이타를 갖는 모든 파트들은 순차 지정되어 기록된다. 결과적으로, 제 2 악곡이 재생되거나 U-TOC 섹터 0 의 데이타를 사용하여 제 2 악곡이 영역에서 과기입이 시도될때, 광학 헤드(3) 및 자기 헤드(6a)로 하여금 액세스하여 기록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비연속 파트로부터 연속적인 음악 정보를 꺼내는 것이 가능하며, 기록 가능한 영역을 효율적으로 사용된다.
<U-TOC섹터 1>
제 8 도는 U-TOC 섹터 1 의 포맷을 도시하는데, 이는 사용자가 기록하여 디스크에 붙인 음악의 곡명을 노트하기 위해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 정보를 기록하는 데이타 영역이다.
슬롯 포인터(P-TNA1∼P-TNA255)는 기록된 악곡에 대응하는 문자 슬롯을 지정하는 데이타부로서 U-TOC 섹터 1 에 사용된다. 또한, 슬롯 포인터(P-TNA1∼P-TNA255)로 지정되는 문자 슬롯부가 사용된다. 문자 슬롯부는 255 단위의 슬롯 (01h)~(FFh)을 갖는데, 여기에서, 1 단위는 8 바이트를 포함한다. 문자 슬롯부는 상술한 U-TOC 섹터 0 의 경우와 거의 같은 방식으로 문자 데이타를 관리한다.
슬롯(01h)∼(FFh)에 있어서, 디스크의 타이틀(디스크명)과 같은 문자 정보 및 악곡명(트랙명)이 제 1 도에 도시된 ASCII 코드를 사용하여 기록된다. 8 바이트선행하는 슬롯(01h)으로 구성된 슬롯은 디스크명에 전적으로 사용되는 영역이다.
예컨대, 슬롯 포인터(P-TNA1)에 의해 지정되는 슬롯에 있어서, 제 1 악곡에 대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가 기록된다.
슬롯들은 링크 정보에 의해 서로 연결되므로, 1 악곡(트랙)에 대한 문자는 문자수가 7 바이트(7 문자)를 초과하더라도 입력될 수 있다.
이런 U-TOC 섹터 1 의 슬롯 포인터(P-EMPTY)는 비사용 슬롯을 관리하는데 사용된다. 특히, 비사용 슬롯은 상술한 바와 같이 U-TOC 섹터 0 의 테이블 포인터(P-EMPTY)를 사용하여 비사용 파트 테이블의 관리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관리된다.
상술한 U-TOC 섹터 0 및 1 에 부가하여, 사용자가 악곡을 녹음한 일시 및 데이타를 기록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U-TOC 섹터 2 로서 데이타 영역이 사용된다.
데이타 영역은, 녹음하는 악곡명을 노트하고 섹터 1 과 같은 디스크 타이틀을 붙이기 위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자 정보를 기록하는데 사용되는 U-TOC 섹터 4 로서 사용된다.
하지만, 이 섹터는 간지(kanji) 문자 및 유럽 문자와 관련한 코드 데이타를 기록하는데 사용된다. 제 13 도에 도시된 섹터 1의 데이타에 부가하여, 문자 코드 속성이 소정의 바이트로 기록된다.
섹터 1 로서, 이런 U-TOC 섹터 4 의 문자 정보의 관리는 문자 슬롯을 지정하는 테이타부로서 슬롯 포인터(P-TNA1~P-TNA255) 및 슬롯 포인터(P-TNA1∼P-TNA255)로 지정된 슬롯(01h)∼(FFh)의 255 단위를 사용하여 실행한다.
3. 문자 정보 기록 동작
상술한 바와 같이, 문과 정보는 ASCII 코드를 사용하여 디스크 1 의 U-TOC 섹터 1 의 영역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다가나 정보는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ASCII 코드에 부가하여 U-TOC 섹터 1 에 기록될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 기록되는 것이 단지 ASCII 코드인지 또한, 입력된 임의의 가다가나의 기록이 ASCII 코드로 변환함으로써 수행되는지 기록되어야 한다. 가다가나 문자가 단지 ASCII 코드만을 사용하여 기록될 수 있는 문자 정보 기록 동작에 대하여 이하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에서, 문자 입력에 의존하는 다음 규칙에 따라서 기록 실행된다.
먼저, 가다가나 입력이 실행되면, 입력 가다가나 문자의 각각은 제 9 도에 도시된 알파벳으로 변환된다. 예컨대, "マ"는 "A"로 변환되고, "マ"는 "a"로 변환된다. 마찬가지로, "カ"는 "KA"로 변환되고 "ワ"는 "WA"로 변환된다.
이러한 변환은 문자의 두 형태간의 완전한 1 대 1 관계에 기초한다. 달리, 1 가다가나 문자는 단지 1 알파벳 표현으로 변환된다.
예컨대, 입력 ""는 "SI" 및 "ya"로 각각 변환되는 가다가나 문자 "シ" 및 ""로 구성된다. "ツ" 는 "SHI"로 변환되지 않으며 "シ" 및 ""는 "SYA" 또는 "SHA"로 함께 변환되지 않는다.
가다가나 입력이 제 9도에 도시된 대응에 기초하여 변환될때, 식별 문자는 문자열 전후에 부가된다. 본 실시예에서, 식별 문자는 "^" 이다. "^"는 제 1 도의 기록가능한 ASCII 코드중 하나이다. 예컨데, 사용자가 가다가나 입력 모드에서 문자 "Ill는부"를 입력할때, 제 9 도의 규칙 및 식별 문자 "^"의 부가에 따른 변환 결과로서 문자열 "^GIRISIya^"로 변환된다. 식별 문자 "^"는 제 3 도에 도시된 코맨더(90)의 선택키(96)가 문자 입력 모드를 알파벳 입력 모드에서 가다가나 선택키(96)가 가다가나 입력 모드로 전환 가능하게 동작할때, 식별 문지 "^" 는 알파벳 입력 모드에서 입력된 문자 코드 데이타를 따라 자동 부가된다. 선택키(96)가 가다가나 입력 모드의 입력 완료후 알파벳 입력 모드를 가능케 하도록 재동작할때, 식별 문자 "^" 는 가다가나입력 모드에서 입력된 문자 코드 데이타를 따라 자동 부가된다.
제 10 도는 상술한 두 규칙에 따라, 입력 문자로부터 변환된 기록된 문자열의 예(a)∼(d)를 도시하고 있다.
제 10 도에서, 가다가나 문자의 입력이 없는 (a)에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문자열 "ABC5de" 은 그와 같은 디스크 상에 기록된다.
제 10 도의 (b) 및 (c)의 경우, 가다가나 입력이 있다. 각각의 문자는 알파벳으로 변환되고, 식별 문자 "^"는 변환된 문자 전후에 부가된다.
제 10 도의 (d) 및 (e)의 경우, 입력 문자는 가다가나 문자 및 알파벳을 모두 포함한다. 이들 경우, 제 10 도에서와 "^"는 변환된 문자 전후에 부가된다.
식별 문자 "^"가 끼워진 문자열은 소정의 바이트수, 예컨데, 80 바이트를 초과하지 않는 바이트를 갖지 않아야 하는 다른 규칙이 있다.
문자열가 제 10 도의 (f)에서와 같이입력됨을 가정해 본다. 그때는 제 9 도에 도시된 규칙에 따라 "^AIUEOKAKIKUKEKO...RARIRURERO^"로 변환된다. 이 경우 식별 문자 "^"가 끼워진 문자열의 바이트 수는 86(1ASCII 코드는 1 바이트임)이다. 그러한 경우, 문자열은 여러 부분으로 나뉘어지고, 그에 따라 식별 문자 "^"는 부가된다. 제 10 도의 (f)에 도시된 예 1 에서, 문자열은 "^AIUEOKAKIKUKEKO...RA^"및 "^RIRURERO^"로 분리되어, 식별 문자 "^"가 끼워진 각각의 문자열은 90 바이트를 초과하지 않는다. 이러한 분할은 예 2 에 도시된 것고 같을 수도 있다. 물론, 다른 여러가지 분할도 가능하다.
가다가나 입력 문자가 이미 기록된 문자열에 부가될때, 새로운 입력 문자열(변환된 문자열)은 식별 문자 "^"와 독립하여 삽입된다. 예컨데, 제 11 도의 (a), (b) 및 (c)에서의 문자열 "ABC", "^AIU^" 및 "ABCD"가 디스크의 트랙에 관련된 U-TOC 영역에 이미 기록되었음이 가정된다. 그리고, 가다가나 입력이 그들을 삭제하지 않고서 부가될때, 입력 가다가나 문자를 변환 하여 얻어진 문자열은 제 11 도와 같이 식별 문자 "^"가 끼워진다, 예컨데, 제 11 도의 (b)에서와 같이, 새롭게 입력된 문자열 ""는 문자열 "^AIUKAKIKU^"로 합해지는 대신에 "^KAKIKU^"로 독립적으로 변환된다. 그 목적은 식별 문자 "^"가 끼워진 바이트의 수가 문자 부가로 증가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처리 규칙에 부가하여, 사용자는 문자로서 식별 문자로 선택된 "^"을 입력하는 것이 금지된다.
특히, "^"는 조그 다이얼(47)를 조작하여 표시될 수 없으며, 원격 코맨더(90)는 "^"에 관련된 키를 갖지 않는다.
이하, 상술된 규칙에 관련하여 디스크의 U-TOC 섹터 1 의 입력 문자를 기록하기 위해 시스템 제어기(11)가 수행하는 처리에 관하여 제 12 도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30)는 원격 코맨더(90)상의 명칭 입력 모드키(95) 또는 편집키(44)에 대한 동작에 응답하여 명칭 입력 모드로 들어간다. 특정 트랙이 명칭 입력 모드의 인에이블시에 지정되면, 트랙명 입력 모드는 트랙에 관련한 악곡명등을 입력하는데 인에이블된다. 어떤 트랙도 지정되지 않으면, 디스크명등을 입력하는 디스크명 입력 모드는 인에이블된다.
명칭 입력 모드가 인에이블되면, 처리는 단계(F101)에서 단계(F102)로 진행하고, 입력 문자가 가다가나 문자가 아닐 경우에는 단계(F116)로 진행하게 된다.
이런 단계에서 ASCII 코드 문자가 입력되면, 문자는 기록되는 문자열과 같이 세트된다(F119).
여기에서, 명칭 입력 모드가 종료되면, 처리는 단계(F117)에서 단계(F121)로 진행한다. 예컨대, 제 10 도의 (a)에서와 같이, 기록되는 문자열 "ABC5de"은 입력 "ABC5de"에 응답하여 세트된다.
가다가나 문자가 알파벳 또는 수치 입력에 따라 입력될때, 처리는 단계(F118)에서 F(102)로 진행하여 단계(F103)로 진행한다 .
가다가나 입력 실행시 즉, 코맨더(90)상의 선택키(96)가 가다가나 입력 모드로 전환하도록 동작할때, 단계(F102)에서, 가다가나 문자 입력 모드가 인에이블되고 그 처리가 단계 (F103)로 진행함이 결정된다. 단계(F103)에서, "가나의 시작" 플래그가 턴온된다. 이것은 가다가나 문자열의 시작을 나타내는 플래그다. 그리고 나서, 바이트 계수값 BTN 은 0 으로 세트된다(F104).
사용자가 코맨더(90) 또는 조그 다이얼(47)을 사용하여 가다가나 문자를 입력하면, 단계(F105)에서 단계(F108)로 진행하게 된다. 제 1 가다가나 문자의 입력이 실행되었을때, "가나의 시작" 플래그는 온된다. 기록되는 문자열의 식별 문자 "^"를 세트하기 위해 단계(F109)로 처리 진행된다. 그때, "가나의 시작" 플래그는 턴 오프된다(F110).
다음으로, 입력 가다가나 문자가 제 9 도에 도시된 규칙에 따라 알파벳으로 변환된다. 따라서, 변환된 알파벳은 기록되는 문자열로 세트된다(F112). 또한, 번환된 알파벳의 바이트수는 바이트 계수값(BTN)에 부가된다. 예컨대, "マ"가 입력되면, 변환후 알파벳은 "A"가 되고, 가산되는 알파벳의 수는 1 이다. "カ"가 입력되면, 변환후 알파벳은 "KA"가 되고, 가산되는 바이트수는 2 가 된다.
그리고 나서, 처리는 제 2 문자의 입력을 대기하기 위하여 단계(F114)를 통하여 단계(F105)로 돌아간다. "가나의 시작" 플래그는 제 2 가다가나 문자가 입력될때 오프되므로, 처리는 알파벳으로 변환 처리하기 위해 단계(F108)에서 단계(F111)로 진행하게 된다. 알파벳은 변환되는 문자열에서 세트되고, 바이트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카운트되다(F112, F113).
문자 입력 모드등을 전환하기 위하여 코맨더(90)상의 선택키(96)에 대한 동작의 결과의 어떤 시점에서 명칭 입력 모드가 종료되면, 처리는 식별 문자 "^"가 문자열의 끝에서 세트된다.
따라서, 문자 ""가 제 10 도의 (c)에서와 같이 입력되면, 식별 문자 "^"는 단계(F109)에서 세트되고; 그후, 각각의 문자는 알파벳으로 변환되며(F111) 및 (F112)의 처리로 세트되고; 식별 문자 "^"는 마침내 단계(F120)에서 세트된다. 이제, 디스크(1)의 U-TOC 영역에 기록되는 문자열은 제 10 도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GIRISIya^"이다.
"ABC"가 제 10 도의 (d)에서와 같이 입력되면, "ABC"는 단계(F119)에서 먼저 세트되고, 처리는 단계(F103)와, 상술한 바와 같이 선택키(96)상의 동작을 통하여 가다가나 문자입력 모드로의 전환 결과로서의 다음 단계들로 진형한다. 식별 문자 "^"가 세트되고(F109,F120), 가다가나 입력 문자의 각각은 알파벳으로 변환되며 디스크(1)의 U-TOC 영역에 기록되는 문자열 "ABC^AIUEO^"을 제공하도록 세트된다(F112).
입력 모드가 가다가나 문자 입력 모드에서 ASCII 코드 입력 모드로 변활될때, 처리는 세트된 문자열의 끝에서 식별 문자 "^"를 세트하도록 단계(F107)에서 단계(F115)로 진행한다. 그리고 나서, 처리는 ASCII 코드 입력 처리를 시작하기 위해 단계(F102)에서 단계(F116)로 진행하게 된다.
따라서, 예로, "Xyz"가 제 10 도의 (e)에서와 같이 입력되면, 식별 문자 "^"는 단계(F109) 및 (F115)에서 세트되고; 각각의 가다가나 입력 문자는 알파벳으로 변환된후 세트되며(F112); ASCII 코드 입력 처리가 실행된다(F119). 따라서, 기록되는 문자열 "^KAKIKU^Xyz"가 사용된다.
대량의 가다가나 문자가 입력되면, 세트된 문자열의 바이트 수가 80 을 초과할 수도 있다. 이를 피하기 위해, 단계(F114)에서, 바이트 계수값(BTN)이 소정값(BTTH)를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예컨대, 값(BTTH)은 78 바이트가 되거나 30 바이트 정도로 세트된다. 세트 문자열의 바이트수가 80 바이트를 초과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값(BTTH)은 78 바이트 이하로 세트될 수 있다. 79 바이트로 세트되는 이 값에 있어서, 다음 가다가나 입력이 2 바이트 알파벳으로 변환되는 문자일 경우, 문자열은 81 바이트를 가지게 된다. 값(BTTH)이 79 바이트 이하로 세트되면, 그러한 상황은 피할 수 있게 된다.
바이트 계수값(BTN)이 값(BTTH)을 초과할때, 처리는 설정된 문자열의 끝에서 식별 문자 "^"가 세트되는 단계(F115)로 진행된다. 그리고 나서, 처리는 가나 입력에 관한 처리가 계속되는 단계(F103)로 단계(F102)에서부터 진행한다. 제 10 도의 (f)에 도시된 경우에 있어서,식별 문자 "^"가 삽입된 문자열이 제 10 도의 (f)의 예 1 및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80 바이트를 초과하지 않는다. 이 경우의 분할점은 단계(F114)에서 사용된 값(BTTH)으로 결정된다.
상술한 처리는 이미 기록된 문자열에 새로운 입력 문자가 부가되는 제 11 도에 도시된 경우에 적용된다. 특히, 기록된 문자열이 삭제되지 않으면, 입력 문자및 식별 문자는 상술한 처리를 통하여 부가적으로 세트된다.
명칭 입력 모드가 종료될때, U-TOC의 데이타는 단계(F121)에서 갱신된다. 특히, 입력 동작으로 세트된 기록될 문자열은 U-TOC 섹터 1 의 소정 위치에서 기록된다. 버퍼 메모리로 인출된 U-TOC 데이타에 대하여 갱신 동작이 수행되며, 디스크(1)상의 U-TOC 데이타는 디스크가 배출되거나 전원이 꺼질 때 갱신된다.
입력 문자에 대한 상술한 기록 동작은 상술한 규칙에 따라 가다가나 정보로 하여금 ASCII 코드를 사용하여 기록되는 것을 허용한다.
본 발명은 제 12도의 예시적인 처리에 제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처리 단계들에 실용적임은 말한 필요도 없다.
4. 문자 정보 출력 동작
이제, ASCII 코드를 사용하여 디스크(1)의 U-TOC 섹터 1 의 영역에 기록된 문자 정보를 표시하는데 수행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이런 처리에 따라, 변환을 통하여 가다가나 입력으로로부터 알파벳으로 변환된 문자열 및 상술한 부가되는 식별 문자 "^"는 가다가나 문자로 변환되어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문자 표시는 다음 규칙에 따라서 실행된다.
먼저, 알파벳 및 가다가나 문자간의 변환은 기록에서와 같이 제 9 도에 도시된 테이블에 따라 1 대 1 규칙으로 행해진다.
가다가나 문자로의 변환이 식별 문과 "^"가 삽입된 알파벳 문자열에 관하여 행해지더라도, 식별 문자 "^"가 삽입된 알파벳 문자열이 80 바이트를 초과하면 수행되지 않는다.
예컨대, 식별 문자 "^"가 삽입된 알파벳 문자열이 80 바이트를 초과하므로, 제 13 도의 (g)에 도시된 문자열 "^AIUEO...RARIRURERO^"는 가다가나 문자로 변환하지 않고서 표시 데이타로서 사용된다.
다음으로, 식별 문자 "^"가 삽입된 알파벳 문자열이 80 바이트 이하인 경우, 문자열은 가다가나 문자로 변환된다. 하지만, 문자열의 어떤 부분도 변환되지 않으면, 문자열은 가다가나 문자로 변환되지 않는다.
예컨데, 제 13 도의 (d)에 도시된 문자열 "^GIRISIya^"은 80 바이트 이하이고, 제 9 도에 도시된 규칙에 따라 변환될 수없는 부분을 갖지 않는다. 따라서, 그것은로 변환된다. 변환된 데이타는 문자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데이타로서 표시부(31)에 출력된다. 하지만, 제 13 도의 (e)에 도시된 문자열 "^GIRISYA^"의 경우, "SYA"부는 변환될 수 없다. 따라서, 이 경우 어떠한 변환도 발생되지 않으며, "^GIRISYA^"는 표시 데이타에서와 같이 출력된다.
상술한 규칙에 따라 디스크의 U-TOC 섹터 1 에 기록된 문자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시스템 제어기(11)가 행하는 처리에 관하여 제 14 도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표시 동작은 디스크가 장전되거나 재생될때 수행된다. 예컨데, 디스크(1)가 장치(30)에 장전될때, 디스크 명으로서 기록되는 문자 정보는 U-TOC의 데이타의 판독 완성에 따라 표시부(31)에 표시된다.
그러한 표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하여, 표시되는 문자 정보는 버퍼 메모리(13)에 판독된 U-TOC 데이타로부터 먼저 판독된다(F201).
변수(M)는 판독 문자 정보에 포함된 문자의 수로 세트된다(F202). 예컨데, 문자 정보는 "^GIRISIya^"이고 변수(M)는 10 과 같이 세트된다.
이어서, 변수(n)는 1 로 세트되고(F203), 변수(z)는 변수(n)의 값으로 세트된다(F204). 따라서, 변수(Z)는 초기에 1 과 같다.
이제, 판독 문자열의 n 번째 문자가 식별 문자 "^"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식별 문자 "^"가 아니고 변수(n)가 변수(M)와 같지 않으면(F206), 변수(n)는 증가하고 단계(F205)로 처리된다. 달리, 이 루프는 문자열내의 제 1 식별 문자 "^"를 발견하기 위한 처리이다.
문자열이 문자열 "ABC5de"과 같이 식별 문자 "^"를 갖지 않을 경우, 단계(F205)의 응답은 변수(n)가 1~5 의 값을 가질 때는 NO 가 된다. 문자(M)의 수가 6 이므로, n 은 6 의 값을 가질때 단계(F206)에서 M 과 같다. 그리고 나서, 처리는 Z번째~n 번째 위치의 문자가 그들과 같이 표시 데이타로서 세트되는 단계(F208)로 진행되고, 표시부(31)는 문자 정보를 표시한다. 이 점에서, 변수(Z)는 1 과 같고 동시에 변수(n)는 6 과 같으므로, 문자 "ABC5de"가 표시된다.
n 번째 문자가 식별 문자 "^"일 경우, 변수(n)가 변수(n)와 같은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단계(F209)를 처리하게 된다. 변수(Z)는 문자열의 제 1 문자가 "^GIRISIya^"의 경우에서와 같이 식별 문자 "^"일때 변수(n)와 같다.
식별 문자 "^"가 제 13 도의 (b)에 도시된 "ABC^AIU"의 경우에서와 같이 제 2 위치 또는 후속 위치에 있을때 변수(Z)는 변수(n)와 같지 않다. 식별 문자 "^"가 제 2 위치 또는 후속 위치에 있을때, 식별 문자 "^"를 선행하는 문자들은 변환되지않고도 표시된다. 따라서, 단계(F210)에서의, Z~(n-1)번째위치의 문자는 표시 데이타와 같이 세트된다. 문자열 "ABC^AIU^"의 경우, "ABC"부분은 먼저 표시 데이타로서 바로 세트된다.
n 번째 문자가 식별 문자 "^"일 경우, 그 다음의 문자는 가다가나 문자로서 입력될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식별 문자 "^"는 가다가나 입력을 종료한 문자를 따라야 한다.
그리고 나서, 변수(X)는 변수(n)값으로 세트된다(F211). 따라서, 변수(X)는 가다가나 입력이 시작된 곳에서 식별 문자 "^"의 위치를 지시하는 값을 갖는다. 이제, n 번째 문자가 증가된 변수(n)와 함께(F212) 식별 문자 "^"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F213).
"ABC^DEF"와 같은 문자열이 식별 문자 "^"를 삽입한 문자열을 포함하지 않을 경우, 단계(F213)는 결코 YES로 응답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상태는 명칭 입력 모드가 여전히 인에이블된 가다가나 문자 입력 모드로 종료될때 예상된다. 그 경우, 변수(n)는 문자(M)의 수가 7 과 같고 변수(n)가 7 과 같을때 단계(F214)에서 변수(M)와 같다. 그리고 나서, 표시 데이타와 같이 X 번째∼n 번째 위치의 문자를 세트 및 표시하기 위해 단계(F215)를 처리한다. 즉 "^DEF"는 그의 표시 데이타와 같이 세트된다. 이 예에서, 문자열 "ABC"는 단계(F210)에서 표시 데이타로서 이미 세트되었다. 따라서, 문자열 "ABC^DEF"는 아무런 변화없고 표시부(31)에 문자 정보로서 표시될 것이다.
"^GIRISIya^"와 같은 문자열의 경우, 단계(F213)에서 n 이 10 과 같을때 YES로 응답한다. 이는 식별 문자 "^"를 삽입한 문자열이 있음을 의미한다. 식별 문자 "^"를 삽입한 문자열은 (X+1)번째~(N-1)번째 위치에 있는 문자들이다. 그리고 나서, 단계(F216)는 식별 문자 "^"를 삽입한 상기 문자열을 검사한다.
검사 처리는 문자열의 바이트수가 80 이하인지의 여부를 검사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만약 80 바이트를 초과할 경우, 그러한 문자열은 가다가나 문자로 변환될 필요가 없으므로, 식별문자 "^"를 포함하여 X 번째~n번째 위치의 문자는 단계(F220) 에서 표시 데이타로서 세트된다.
문자열 "^GIRISIya^"의 경우, (X+1)번째~(n-1)번째 위치의 문자들인 경우 "GIRISIya"의 바이트수는 80 을 초과하지 않으며 변환불가능한 부분은 없다. 그리고 나서, 단계(F219) 에서, (X+1)번째~ (n-1)번째 위치의 문자를 각각은 가다가나 문자로 변환되고 표시 데이타로서 세트된다. 따라서, 문자 ""는 표시 데이타로서 세트되고, 문자 정보 ""를 차례로 표시하는 표시부(31)에 전달된다.
단계(F221)에서 이점에서의 변수(n)가 문자(M)의 수와 같은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U-TOC 영역으로부터 판독된 문자열을 따르는 다른 문자들이 있을 경우 그들 변수 같지 않다. 그리고 나서, 변수(n)가 증가하고(F222), 변수(Z)는 변수(n) 값으로 세트된다(F223). 그리고 상술한 단계를 반복하기 위해 단계(F2O5)를 처리하게 된다.
예컨대, 제 13 도의 (a)∼(j)에 도시된 문자열이 U-TOC 영역에 기록될때, 이들은 상기 단계들을 통하여 제 13 도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된다.
제 13 도의 (a)에 도시된 예으 경우에 있어서, 식별 문자 "^"가 없으므로, 기록된 문자 "ABC5de"는 단계(F208)의 처리를 통하여 표시된다.
제 13 도의 (b)에 도시된 예의 경우에 있어서, 앞부분 "ABC"는 단계(F210)에서 표시 데이타로서 세트되고, 다음 부분 "^AIU^"은 ""로 변환되어 단계(F219)에서 표시 데이타로서 세트된다. 따라서, "ABC"가 표시된다.
제 13 도의 (c)에 도시된 예의 경우에 있어서, "^KAKIKU^"는 ""로 변환되고, 단계(F219)에서 표시 데이타로서 세트되며; 그런 다음, 단계(F221, F222 및 F223)를 통하여 단계(F205)로 처리하게 되고; 변수(n)가 변수(M)와 같을때, Z 번째~n 번째 위치의 문자 즉, 이 경우 "XYZ"는 표시 데이타로서 세트된다. 따라서, 표시부(31)상에 표시되는 문자 정보는 ""이다.
제 13 도의 (d)에 도시된 예의 경우에 있어서, "^GIRISIya^"는 ""로 변환되고 단계(F219)에서 표시데이타로서 세트된다. 따라서, 표시부(31)상에 표시되는 문자 정보는 ""이다.
제 13 도의 (e)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GIRISYA^"는 "SYA" 부분이 변환될 수 없으므로 단계(F220)에서 변환되지 않고서 표시 데이타로서 세트된다. 따라서, 표시부(31)상에 표시된 문자 정보는 "^GIRISYA^"이다.
제 13 도의 (f)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GILISIya^"는 "LI"부분이 변환될 수 없기 때문에 단계(F220)에서 변환됨이 없이 표시 데이타로서 세트된다. 따라서,표시부(31)상에 표시된 문자 정보는 "^GILISIya^"이다.
제 13 도의 (g)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식별 문자 "^"가 삽입될 부분이 80 바이트를 초과할때, 데이타는 단계(F220)에서와 마찬가지로 표시 데이타로서 세트된다. 따라서, 표시부(31)상에 표시된 문자 정보는 "^AIUEO...RARIRURERO^"이다.
제 13 도의 (h)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AIUEO...RA"부분에만 식별 문자가 삽입된다. 먼저, 이 부분은 ""로 변환되고, 단계(F219)에서 표시 데이타로서 세트되며, 이후, "RIRURERO"는 단계(F208)에서 표시 데이타로서 세트된다.
제 13 도의 (i)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AIUEO...RA" 및 "RIRURERO"의 각각에는 식별 문자가 삽입된다. 먼저, "AIUEO...RA"는 ""로 변환되고 단계(F219)의 처리는 "RIRURERO"를 ""로 변환하고, 출력되는 표시 데이타로서 세트한다. 결과적으로, 표시부(31)에 표시된 문자 정보는 모두 가다가나 문자이다.
제 13 도의 (j)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ABC^"는 변환될 수 없고, 단계(F220)에서와 같이 표시 데이타로서 세트되고; 후속 부분 "ABC"는 단계(F210)에서와 같이 표시 데이타로서 세트 되며; "^ABE^"는 ""로 변환되어 단계(F2l9)에서 표시 데이타로서 세트된다. 따라서, 표시부(31)상에 표시된 문자 정보는 "^ABC^ABC"이다.
제 14 도에 도시된 처리에 의해 기록된 문자 데이타의 표시는 제 12 도에 도시된 처리에서 가다가나 문자를 사용하여 입력된 문자에 대하여 표시부(31)상의 가다가나 문자로 표시할 것이다. 제 12 도에 도시된 처리에 따라 기록을 행할 경우, U-TOC 영역에 기록된 임의의 문자열은 제 13 도의 (e), (f), (g) 및 (j)에 의해 나타난 바와 같은 문자열로 표시되지 않는다. 따라서, 가다가나 입력은 바이트수의 초과 또는 변환이 불가능 하기 때문에 가다가나 문자로 표시되는 기능을 결코 억제하지 않을 것이다.
실제 처리는 제 14 도에 도시된 예에 제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다른 절차로 수행 가능함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본 발명에 따라 동작을 기록 및 재생하는 상술한 문자 정보는 사용자가 알파벳보다 더 많은 판독가능한 문자들을 표시할 수 있게 한다. ASCII 코드만이 기록되므로, 가다가나 문자등에 전적으로 사용되는 특수 코드를 기억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요구되는 기억 용량에 있어 크게 증가하지 않는다. 변환이 행해질 수 없을때, ASCII 코드는 자체로서 표시된다. 이는 기록된 문자가 왜곡된 방식으로 다른 문자로 표시될 가능성을 배제한다.
가다가나 문과 및 알파벳간의 변환은 1 대 1 로 행해지므로, 혼동을 야기하지 않는 단순한 변환 방식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소프트웨어 작성의 용이성 및 호환성 보존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또한, 기록시 식별 문자가 삽입된 변환되는 문자열의 바이트수가 표시 처리를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해 소정의 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배열된다. 높은 바이트부는 더욱 복잡한 각 문자의 변환가능성을 결정하도록 처리한다. 바이트수가 제한되면, 코드 처리 및 변환 방식은 간단해질 수 있다.
어떤 시점에서 표시부(31)상에 표시가능한 문자의 수는 제한되므로, 긴 문자열이 식별 문자 "^"를 사용하여 여러 부분들로 분할된다. 식별 문자 "^"가 삽입된 제 1 문자열이 가다가나 문자로 변환된후 표시되는 동안 식별 문자 "^"가 삽입된 제 2 문자열에 대해 가나 처리가 행해질 수 있도록 배열된다. 즉, 표시 전의 처리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식별 문자 "^"가 삽입된 문자열의 바이트수가 소정값을 초과하고 문자열이 변환될 수 없는 임의의 부분을 포함할때, 변환을 금지시킴으로써 표시 처리의 임의의 지연을 피할 수 있다.
사용자는 규칙 위배로 기록되는 문자열에 식별 문자 "^"가 부가되는 것을 막기 위해 기록시 식별 문자 "^"를 입력하는 것이 금지된다. 이는 식별 문자 "^"가 삽입된 문자열이 가다가나 문자로 변환될 수 없는 가능성을 배제한다.
상술한 실시예는 읽기 쉬운 표시 특히, 일본어에 대한 표시를 배열 사용으로 가능케 하는데, 가다가나 문자는 디스크에 기록될때 ASCII 코드로 변환되고, ASCII 코드는 표시를 위해 가다가나 문자로 변환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가다가나 문자에 제한되지 않고 히라가나 문자로 변환가능하게 하도록 수정될 수 있다.
아울러, 한글 알파벳, 그리스 문자, 아라비아 문자등을 알파벳으로 1 대 1 로 변환할 수 있게 배열된 경우, 세계적으로 여러가지 문자들은 ASCII 코드만을 사용하여 기록함으로써 기록및 표시될 수 있다.
여러가지 문자들을 수용하기 위해 예컨대, 다른 식별 문자들은 구별될 수 있게 하도록 사용된다. 예로, 상술한 바와 같은 "^" 및 "2"가 가다가나 문자 및 한글 알파벳에 대하여 각각 식별 문자로서 사용된다.
또한, "JJJ" 및 "**"와 같은 소정의 문자열은 식별 문자로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관하여 예시 및 설명하였는바, 당업자는 수반하는 청구 범위에 개시된 원리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본 발명의 청구 범위에 개시된 원리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본 발명의 여러가지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제 1 도는 ASCII 코드의 설명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외관 설명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대한 원격 코맨더(remote commander)의 설명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블록도.
제 5 도는 P-TOC 섹터 0 의 설명도.
제 6 도는 U-TOC 섹터 0 의 설명도.
제 7 도는 U-TOC 섹터 0 의 링크 형태의 설명도.
제 8 도는 P-TOC 섹터 1 의 설명도.
제 9 도는 알파벳/가다가나 변환 방식의 설명도.
제 10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문자 정보 기록 동작시의 처리에 대한 설명도.
제 11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문자 정보 기록 동작시의 처리에 대한 설명도.
제 12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문자 정보 기록 동작시의 처리에 대한 순서도.
제 13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문자 정보 재생 동작시의 처리에 대한 설명도.
제 14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문자 정보 재생 동작시의 처리에 대한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시스템 제어기 12 : 메모리 제어기
30 : 기록/재생 장치 31 : 표시부

Claims (21)

  1. 기록 영역에 기록된 정보에 관련한 문자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문자 코드 데이타가 기록될 수 있는 코드 영역을 갖는 기록매체에 대한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있어서,
    문자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문자 정보의 각 문자를 문자 코드 데이타로 변환하고,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문자 정보의 문자열의 문자 형태가 선행한 문자열의 형태와 다름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변환시 문자 코트 데이타에 가산하는 변환 수단과;
    상기 변환 수단의 문자 코드 데이타가 공급되고, 기록매체에 대하여 정보 및 문자 코드 데이타를 기록 및/또는 재생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의해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된 문자 코드 데이타를 문자 정보로 디코딩하고, 판독 문자 코드 데이타에 부가된 식별자를 기초로 디코딩 처리를 행하는 디코딩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문자 코드 데이타들 판독하는데 부가되는 상지 식별자는 문자 코드 데이타에 쌍으로 부가되지 않음을 결정하면, 상기 디코딩 수단은 판독 문자 코드 데이타간의 식별자를 따르는 최소한 문자 코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문자 코드 데이타가 디코드될 수 없다고 판단될 경우, 상기 디코딩 수단은 상기 판독 문자 코드 데이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1 쌍으로 사용되는 상기 식별자가 삽입된 상기 판독 문자 코드 데이타부에서 데이타 길이가 소정의 데이타 길이보다 길다면, 상기 디코딩 수단은 1 쌍으르 사용되는 상기 식별자가 삽입된 상기 판독 문자 코드 데이타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1 쌍으로 사용되는 상기 식별자가 삽입된 상기 판독 문자 코드 데이타부에서 데이타는 소정의 데이타의 길이와 같거나 짧은 길이를 갖고 변환될 수 있는 것으로판단될 경우에만, 상기 디코딩 수단은 1 쌍으로 사용되는 상기 식별자가 삽입된 상기 판독 문자 코드 데이타를 상기 판독 문자 코드 데이타의 다른 부분의 형태와 다른 형태의 문자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새로운 문자 코드 데이타가 기록 매체에 이미 기록된 문자 코드 데이타에 부가되고, 새로 부가된 문자 코드 데이타에 식별자가 부가될때, 상기 디코딩 수단은 상기 기록된 문자 코드 데이타에 대한 식별자와 다른 식별자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8. 기록 영역에 기록된 정보와 관련된 문자 정보를 출력하는 문자 코드 데이타를 기록할 수 있는 코드 영역을 갖는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 및/또는 재생 방법에 있어서,
    입력 수단을 사용하여 문자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문자 정보의 각 문자를 문자 코드 데이타로 변환하고, 입력 문자 정보의 문자열의 문자 형태가 선행하는 문자열의 형태와 다름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변환시 문자 코드 데이타에 부가하는 단계와;
    기록 매체상의 식별자에 부가된 문자 코드 데이타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 및/또는 재생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된 문자 코드 데이타에 부가되는 식별자에 기초하여 디코딩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 및/또는 재생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된 문자 코드 데이타에 부가되는 식별자와 문자 코드 데이타에 1 쌍으로 부가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판독 문자 코드 데이타는 문자 정보 및 출력으로 디코드되고, 판독 문자 코드 데이타에 부가되는 상기 식별자가 문자 코드 데이타에 1 쌍으로 부가되지 않는다고 판단될 경우, 판독 문자 코드 데이타간의 식별자를 따르는 최소한 문자 코드 데이타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 및/또는 재생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되는 문자 코드 데이타가 디코드될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판독 문자 코드 데이타가 출력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 및/또는 재생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1 쌍의 상기 식별자가 삽입된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되는 문자 코드 데이타부에서의 데이타 길이가 소정의 데이타 길이 보다 길 경우, 1 쌍으로 사용되는 상기 식별자가 삽입된 상기 판독 문자 코드 데이타부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 및/또는 재생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1 쌍으로 사용되는 상기 식별자가 삽입되는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되는 문자 코드 데이타부에서 데이타가 소정의 데이타 길이와 같거나 짧을 경우, 1 쌍으로 사용되는 상기 식별자가 삽입된 상기 판독 문자 코드 데이타부에서 데이타는 상기 판독 문자 코드 데이타의 다른 부분의 형태와 다른 형태의 문자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 및/또는 재생 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기록 매체상에 이미 기록된 문자 코드 데이타에 새로운 문자 코드 데이타가 부가되고 새로 부가된 문자 코드 데이타에 식별자가 부가될때, 상기 기록된 문자 코드 데이타에 대한 식별자와 다른 식별자가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 및/또는 재생 방법.
  15. 기록 영역에 기록되는 정보와 관련한 문자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문자 코드 데이타를 기록할 수 있는 코드 영역을 갖는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있어서,
    다른 종류의 복수의 문자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 정보의 각 문자를 문자 코드 데이타로 변한하고,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 정보의 문자열이 이전의 문자열과 다른 가나 문자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변환시 문자 코드 데이타에 부가하는 변환 수단과;
    상기 변환 수단의 문자 코드가 공급되고, 기록 매체에 대하여 문자 코드 데이타 및 정보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및/또는 재생 수단에 의해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된 문자 코드 데이타를 문자 정보로 디코딩하고, 판독 문자 코드 데이타에 부가되는 식별자에 기초하여 디코딩 처리를 행하는 디코딩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판독 문자 코드 데이타에 부가되는 상기 식별자가 문자 코드 데이타에 1 쌍으로 부가되지 않을 경우, 상기 디코딩 수단은 판독 문자 코드 데이타간의 식별자를 따르는 문자 코드 데이타를 최소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에대한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문자 코트 데이타가 디코드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디코딩 수단은 상기 판독 문자 코드 데이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1 쌍으로 사용되는 상기 식별자가 삽입된 상기 판독 문자 코드 데이타부에서 데이타 길이가 소정의 데이타 길이보다 길 경우, 상기 디코딩 수단은 1 쌍으로 사용되는 상기 식별자가 삽입된 상기 판독 문자 코드 데이타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20. 제 16 항에 있어서,
    1 쌍으로 사용되는 상기 식별자가 삽입된 상기 판독 문자 코드 데이타부에서의 데이타 길이가 소정의 데이타 길이와 같거나 짧고 변환가능할 경우에만, 상기 디코딩 수단은 1 쌍으로 사용되는 상기 식별자가 삽입된 상기 판독 문자 코드 데이타부에서의 데이타를 가나 문자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21. 제 15 항에 있어서,
    기록 매체상에 이미 기록된 문자 코드 데이타에 새로운 문자 코드 데이타가 부가되고 새로 부가된 문자 코드 데이타에 식별자가 부가될때, 상기 디코딩 수단은 상기 기록된 문자 코드 데이타에 대한 식별자와 다른 식별자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KR1019950034047A 1994-09-30 1995-09-30 기록매체에대한기록및/또는재생방법및장치 KR1003614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5972094A JP3672599B2 (ja) 1994-09-30 1994-09-30 文字情報記録再生装置
JP94-259720 1994-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1963A KR960011963A (ko) 1996-04-20
KR100361404B1 true KR100361404B1 (ko) 2003-03-15

Family

ID=17338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4047A KR100361404B1 (ko) 1994-09-30 1995-09-30 기록매체에대한기록및/또는재생방법및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719841A (ko)
JP (1) JP3672599B2 (ko)
KR (1) KR100361404B1 (ko)
CN (1) CN1130714C (ko)
TW (1) TW27997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7799A (ja) * 1997-02-28 1998-11-17 Media Konekuto:Kk コンピュータ通信網における身元確認方法及び身元確認装置
JP3750278B2 (ja) * 1997-05-23 2006-03-01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記録システム、及びダビング方法
JP3552474B2 (ja) * 1997-07-06 2004-08-11 株式会社ケンウッド 記録媒体のタイトル入力装置
JPH1186434A (ja) * 1997-09-11 1999-03-30 Sony Corp 記録装置、記録方法、及びダビング装置
US6392964B2 (en) * 1997-09-19 2002-05-21 Sony Corporation Digital sign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remote controlling apparatus capable of displaying program names in a plurality of display fields using different character symbols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thereof
US6170000B1 (en) * 1998-08-26 2001-01-02 Nokia Mobile Phones Ltd. User interface, and associated method, permitting entry of Hangul sound symbols
US7029191B2 (en) * 2002-04-26 2006-04-18 Lite-On Technology Corporation Apparatus for inputting special character and method for the same
CN109313410B (zh) * 2016-06-03 2021-04-23 凸版印刷株式会社 光学膜及显示体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2514A (ja) * 1988-07-04 1990-05-22 Canon Inc ドライブインターフェイス
EP0464482B1 (en) * 1990-06-21 1996-08-28 Yamaha Corporation Display device for a compact disc player and a compact disc
JPH06139704A (ja) * 1992-10-29 1994-05-20 Kenwood Corp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1963A (ko) 1996-04-20
JPH08102149A (ja) 1996-04-16
JP3672599B2 (ja) 2005-07-20
US5719841A (en) 1998-02-17
CN1144377A (zh) 1997-03-05
CN1130714C (zh) 2003-12-10
TW279971B (ko) 1996-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67832B2 (ja) 記録方法及び記録装置
JPH1064244A (ja) 記録媒体、再生装置
US6392964B2 (en) Digital sign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remote controlling apparatus capable of displaying program names in a plurality of display fields using different character symbols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thereof
JPH0765551A (ja) 再生装置
US6295267B1 (en) Digital signal recording apparatus, recording method thereof, remote controlling apparatus for use therewith, remote controlling method thereof, and dubbing system for use therewith
KR100361404B1 (ko) 기록매체에대한기록및/또는재생방법및장치
KR100508593B1 (ko) 기록 장치, 기록 시스템 및 더빙 방법
JPH0757436A (ja) ディスク装置
KR100422599B1 (ko) 문자입력장치및기록매체기록및/또는재생장치
JP3465284B2 (ja) 音響再生装置
JP3711991B2 (ja) 記録装置
JP3830539B2 (ja) 記録装置
JPH1079189A (ja) 文字入力システム
JP3852473B2 (ja) 記録媒体、再生装置
JP3513928B2 (ja) 管理情報の更新方法及び記録再生装置
JPH08234886A (ja) 文字入力装置
JPH09160705A (ja) 文字入力装置
JPH0850778A (ja) 音声記録システム
JP3476090B2 (ja) 記録装置
JPH1153872A (ja) 文字情報表示装置
JP2000215654A (ja) 音響再生装置
JPH1040668A (ja) 表示装置
JPH0765552A (ja) 記録装置
JP2004005986A (ja) 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JPH0798578A (ja) 記録又は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