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0999B1 - 삽입-성형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삽입-성형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0999B1
KR100360999B1 KR1020000034061A KR20000034061A KR100360999B1 KR 100360999 B1 KR100360999 B1 KR 100360999B1 KR 1020000034061 A KR1020000034061 A KR 1020000034061A KR 20000034061 A KR20000034061 A KR 20000034061A KR 100360999 B1 KR100360999 B1 KR 100360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ousing
delete delete
connector
electrica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4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7458A (ko
Inventor
히라따도시히사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10007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7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0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09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4Assembling by moulding on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하우징과 함께 삽입-성형되는 복수개의 전도성 단자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가 제공된다. 각각의 단자는 계단형 단면의 두께가 감소된 팁 부분을 구비한다. 계단형 단면은 단자의 노출된 접속면과 접하는 비굴곡 코너를 구비한다. 단자의 코너는 삽입-성형 공정 동안에는 몰드 공동의 벽에 대해 배치되어 있지만, 팁 부분이 고정 장착을 위해 하우징 재료로 함입되는 것을 허용한다. 단자는 유리하게는 삽입-성형하는 동안에 노출된 접속면 상에 버 또는 수지 필름이 형성되는 것을 피한다. 그러한 커넥터는 예를 들어 단자가 소형이고 예비-형성된 하우징과 용이하게 조립하는 데에 필요한 강성이 부족한 축소형 커넥터 응용에 유용하다.

Description

삽입-성형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INSERT-MOLDED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기 커넥터 기술에 관련되며 특히, 삽입-성형 제작 공정에 의해서 절연 하우징 내에 함입된 하나 이상의 전도성 단자를 구비하는 소형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견고한 절연 하우징을 제공하고 복수개의 금속 단자와 조립함으로써 전기 커넥터가 제작되었다. 단자들은 하우징에 형성된 단자 공동(cavities)으로 삽입된다. 전자 장치가 발전함에 따라 전기 커넥터의 소형화가 대두되어 오고 있다. 그러한 소형화를 위해서는 단자가 매우 얇은 금속 스트립으로 제작되어야 한다. 따라서, 그러한 단자는 구조적 강성(structural rigidity)이 매우 낮다. 이러한 강성 부족으로 인해 종래의 단자-대-하우징 조립 방법은 실용적이지 못하거나 불가능한 것으로 판명되었는데, 이것은 하우징의 단자 공동에 삽입될 때의 물리력을 견딜 정도로 단자의 강성이 높지 않았기 때문이다.
매우 소형인 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를 제작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종종 "오버-성형"이라고도 지칭되는 "삽입-성형"으로 알려진 공정에 의해 커넥터를 제작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삽입-성형은 몰드 공동 내에 단자를 배치하고, 경화하여 단자 주위의 강성 절연 하우징을 형성하는 수지를 상기 공동으로 사출 성형하는 것을 포함한다. 자세하게는, 하우징 수지를 사출하는 동안에 각각의 터미널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이 바람직하게 몰드 공동의 표면에 대해 놓인다. 이 표면은 수지에 피복되지 않으므로 노출되어 있다. 일단 경화되면 강성 하우징은 단자의하부측을 지지한다. 노출된 단자 표면은 커넥터의 접속면의 역할을 한다.
단자를 더 잘 고정하여 커넥터를 사용하는 동안에 접속력을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단자의 전방 팁은 S자형으로 굴곡져서 몰드 공동 안쪽으로 연장하는 계단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내측으로 돌출된 팁은 사출된 하우징 수지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이게 되고, 따라서 하우징에 확고하게 함입된다. 이것은 단자를 하우징에 고정시키고 전방 팁이 하우징으로부터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불행하게도, 공지된 전기 커넥터의 삽입-성형 공정 동안에는 사출된 하우징 수지가 자주 몰드 공동의 단자의 접속면 위로 새어 나와서 "버(burr)" 또는 수지 필름을 형성하는데, 이 접속면은 원래 피복되지 않는 상태로 의도되는 것이다. 특히, 수지는 바람직하지 않게도 단자 공동 측에 대해 배치된 단자의 접속면 주위에서 유동한다. 이처럼 바람직하지 않은 사출 거동은 단자의 전방 팁에서 굴곡진 계단부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단자의 접속면은 전기 접속을 위해 노출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므로, 이것은 문제가 있다. 단자 접속면 상의 바람직하지 않은 "버"는 그러한 전기 접속이 일어나는 것을 방해한다.
바람직하지 않은 버가 형성되는 것은 고점성 수지에 있어서 특히 문제가 된다. 버의 형성을 제한하거나 제거하기 위해, 고정밀도의 몰드의 사용 및/또는 낮은 버 성질(burring property)을 가지는 등급의 성형 수지의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종래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버 형성이 단자 접속면 상의 치수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품질 제어가 더욱 어려웠다. 버 형상 특징은 커넥터간에도 일치하지 않아서 노출되는 단자 표면의 위치 및 길이 예측의 어려움으로 인해서 제작상 부정확을 야기한다. 단자에 최대한의 노출 접속부를 제공하여 실제 삽입 길이를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버의 길이를 최소화하거나 버를 아예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삽입-성형에 의해 제작되는 공지된 커넥터와 관련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개량된 커넥터가 필요하게 된다. 특히, "버"로 지칭되는, 단자 접속면 상에 하우징 수지 재료의 필름 형성을 제거하거나 감소시키는 커넥터가 필요하게 된다.
도1은 종래의 삽입-성형 전기 커넥터의 단면도.
도2는 도1의 종래 커넥터의 하우징 단자 플랫폼 및 단자의 확대된 부분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삽입-성형 전기 커넥터의 평면도.
도4는 도3의 선IV-IV을 따라 일반적으로 취한 본 발명의 커넥터의 측단면도.
도5는 커넥터로의 삽입 방향에서 본 도3의 커넥터의 정면도.
도6은 도3의 커넥터의 하우징 단자 플랫폼 및 단자의 확대된 부분 단면도.
도7 내지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순차적인 여러 제작 단계에서의 단자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7은 압인 가공하기 전에 작업 테이블 상의 단자를 도시한 도면,
도8은 두께가 감소된 계단형 단면 팁을 형성하기 위한 압인 도구로부터 가해지는 압인 단계 동안의 단자를 도시한 도면,
도9는 잉여 부분이 팁으로부터 절취된 것을 표시하는 파선을 도시한 압인된 단자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개량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함으로써 전술한 문제들을 극복한다. 본 발명은 유리하게 전도성 단자의 접속면 상에 버 또는 필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넥터를 제공하여 접속면은 계속적으로 노출된 상태로 되며 하우징 재료에 의해 덮히지도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특별히 성형된 팁을 구비하는 단자를 포함한다. 특히, 단자는 접속면을 형성하는 중간 접속부와 두께가 감소된 팁 부분을 구비하는데, 상기 팁 부분은 접속면으로부터 함몰되거나 오프셋되고 접속부로부터 전방 방향으로 연장하여 계단형 단면을 형성한다. 접속부는 제1 두께를 가지고, 팁 부분은 제1 두께보다 작은 제2 두께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평면인 표면은 팁의 접속면으로부터 일반적으로 직각으로 연장한다.
단자를 절연 하우징과 조립하기 위해서, 단자는 몰드 공동 내에 배치되고 하우징 재료의 수지는 단자 위로 삽입-성형된다. 수지는 경화되어서 절연 하우징을 형성한다. 하우징은 단자의 접속부의 측면을 따라서 연장하는 단자 지지 플랫폼을 포함하고, 단자 접속면에 접속력이 가해질 때에 단자 강성 구조 지지를 제공한다.
각 커넥터의 두께가 감소된 팁은 하우징 단자 플랫폼의 전방 부분에 함입된다. 더 자세하게는 하우징 재료가 팁의 상부측을 덮는다.
일 실시예에서, 단자의 팁 부분의 두께는 접속부 두께의 약 절반이다.
본 발명의 장점은, 절연 하우징 재료를 단자 위로 사출 성형하는 동안에 계단형 단면의 단자의 두께 감소 팁이 접속면 위로 수지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함입된 저감-두께의 팁은 전도성 단자의 전방 부분을 하우징 내에 확고하게 고정시킨다. 이것은 유리하게도 단자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종래의 하우징 몰드에 사용되지만 삽입-성형 동안에 버가 발생하지 않도록 성능이 개선된 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은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하의 기재, 도면 및 청구항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같은 도면 부호는 같은 부품을 가리키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면, 도1 및 도2는 삽입-성형된 하우징(301)을 구비하는 형태의 종래의 커넥터(304)를 도시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커넥터(304)는 일반적으로 절연 하우징(301), 하우징에 놓이는 복수개의 기하학적으로 평행인 전도성 단자(303) 및 전도성 실드(302; shield)를 포함한다. 실드(302)는 일반적으로 하우징의 두 측면및 상부면을 둘러싼다.
실드(302)는 정합되는 플러그 커넥터(도시되지 않음)를 협동적으로 수용하도록 성형된 전방 개구(305)를 구비한다. 플러그의 접속부가 단자(303) 상의 미끄럼 접속부에 수용되도록, 정합되는 플러그 커넥터는 하우징의 단자 플랫폼(306) 상에 끼워 맞춤된다.
도1을 다시 참조하면, 종래의 커넥터(304)의 하우징(301)은 베이스부(311), 베이스(311)로부터 실드(302)의 개구(305)를 향해 전방으로 연장하며 편측 지지된 단자 플랫폼(306)을 포함한다. 하우징(301)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삽입-성형 방법에 의해 단자(303)에 형성됨으로써 절연 하우징 수지가 몰드로의 예비-사출로서 단자(303)를 포함하는 몰드 공동으로 사출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단자(303)는 베이스(311)를 통과하여 연장하고, 단자 플랫폼(306)으로 함몰되어 각 단자의 접속면(309)이 단자 플랫폼(306)으로부터 상향을 향하게 된다. 접속면(309)은 바람직하게는 개구(305)에 수용되는 플러그와 접속하는 전도성 접속부를 잘 형성하도록 노출되어야 하지만, 불행하게도 제작하는 동안에 접속면을 노출시킨 상태로 유지하는 것은 어려웠다.
더 자세하게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단자(303)의 단자 플랫폼(306)은 S-자형으로 굴곡져서 침강형 전방 팁(307)을 형성한다. 침강형 팁(307)은 하우징(301)의 재료로 함입되거나 함침되어 단자(303)의 전방 단부를 고정하여 유지하는 것을 도와준다. 종래의 단자(303)가 일반적으로 팁(307)을 포함하여 길이를 따라 두께가 일정하다는 것은 주목할 만하다.
불행하게도, S-자 굴곡부(309)로 굴곡되어 형성된 종래의 단자(303)에서는 삽입-성형 공정 동안에 접속면(30)이 몰드로부터 자주 이격되어서 접속면(309) 상에 하우징 수지의 바람직하지 않은 "버"(310) 또는 필름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버(310)는 접속면(309)의 전 길이 또는 일부를 피복함으로써 전기 접속 성질을 저하시키거나 접속면(309)의 유효 면적을 감소시킨다. 버(310)를 제거하는 데에는 비용이 많이 든다.
삽입 성형하는 동안에 단자에 버가 생성되는 것과 관련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개선되고 두께가 감소되며 계단형 단면을 팁에서 가지는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이러한 개선된 형상의 단자는 하우징 수지를 사출하는 동안에 몰드 공동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막아줌으로써 접속면 상으로의 수지의 유동을 방지하며 이와 관련된 버 형성도 방지한다.
예를 들어, 도3 내지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소형 커넥터(10)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는 절연 하우징(12)과 복수개의 전도성 단자(14)를 포함한다. 축소형으로 커넥터(10)를 만들기 위하여 절연 하우징(12)은 단자(14) 위로 삽입-성형된다. 커넥터(10)의 형상은 정합되는 플러그 커넥터(도시되지 않음)를 수용하도록 만들어진다.
또한, 커넥터를 전자기 간섭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도시된 커넥터(10)는 도3 및 도5에 도시된 대로 외부 전도성 실드(16)를 구비한다. 실드(16)는 상부벽(18) 및 두개의 대향하는 측벽(20)을 구비한다. 커넥터(10)를 회로 기판(도시되지 않음) 또는 다른 표면에 장착하기 위해서 복수개의 장착 플랜지(22)(도시된실시예에서는 네개)가 실드(16)의 측벽(20)으로부터 외향 돌출된다.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드(16)는 단일체이며, 절연 하우징(12) 주위를 둘러쌈으로써 커넥터(10)의 강성 외부를 형성한다. 실드(16)의 단부는 한 쌍의 대향 돌출된 탭(24, 26)으로 형성된다. 탭(24, 26)은 협동적인 결합 방식으로 커넥터(10)의 하면에서 접한다.
더욱 자세하게는, 각각의 탭(24, 26)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해 협동적으로 끼워 맞춤되는 계단형 단면을 각각 구비한다. 도4의 단면도를 참조하면, 탭(24)은 대향 탭(26)의 구멍(27)에 억지 끼워 맞춤으로 긴밀하게 수용되는 포스트(25)를 포함한다.
커넥터(10)의 전방에서는, 상부벽(18), 측벽(20) 및 실드(16)의 바닥 탭(24, 26)에 의해 개구(28)가 형성된다. 개구(28)는 전술한 플러그 커넥터를 정합 수용하는 크기이다.
도4 및 도6의 단면도는 절연 하우징(12) 내의 단자(14)를 도시한다. 하우징(12)의 기하학적으로 평행한 장치에는 복수개(도면에는 4개)의 단자(14)가 제공된다. 하우징(12)은 각각의 단자 공동(15)에서 단자(14)를 수용한다.
도4를 참조하면, 커넥터(10)의 삽입-성형된 하우징(12)은 기부(30)와, 기부(30)로부터 실드(16)의 개구(28)를 향해 전향 연장하는 편측 지지 단자 플랫폼(32)을 포함한다. 단자 플랫폼(32)의 전방 단부는 플러그의 협동적 리셉터클로 정합 삽입되도록 테이퍼져 있다. 정합되는 플러그 커넥터가 커넥터(10)로 삽입될 때에, 플러그는 단자 플랫폼(32) 상에 끼워 맞춤되어 플러그의 접속부가단자(14) 상에서 미끄럼 접속부에 수용된다.
도4를 다시 참조하면, 각각의 단자(14)는 단자 플랫폼(32)에 리세스 방식으로 놓이는 기다란 접속부(34)를 구비한다. 단자(14)는 하우징(12)의 기부(30)를 지나 후방으로 연장한다. 커넥터(10)의 후방에서, 단자(14)는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부(36)를 구비한다. 미부(36)는 땜납 또는 다른 공지된 수단에 의해서 회로 기판 상의 접속부에 접속된다.
플러그와 접속하기 위해, 단자(14)의 접속부(34)는 상향 노출된 접속면(38)을 구비한다. 양호하게는, 노출된 접속면(38)은 하우징(12)의 기부(30)로부터 정면 개구(28)까지 실질적으로 단자 플랫폼(32)의 길이를 따라 연장한다. 이것은 미끄럼 접속 길이를 최대화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단자(14)의 정면은 접속면으로부터 오프셋된 코너의 계단형 단면을 구비하는 두께가 감소된 팁 부분(40)을 포함한다. 계단형 단면때문에, 절연 하우징 수지는 성형 공정 동안에 팁 부분(40)을 둘러쌀 수 있다. 수지가 경화하면, 팁 부분(40)은 하우징(12) 내에 함몰되거나 함입되는데, 팁 부분은 접속면(38)의 전방으로 팁 부분(40) 상에서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는 하우징 재료(g)를 구비한다. 함입된 팁 부분(40)은 단자(14)를 단자 플랫폼(32)에 고정시키는데, 플러그로부터의 미끄럼 삽입력이 가해졌을 때에 단자 플랫폼(32)으로부터 단자(14)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단자(14)의 접속부(34)는 제1 두께를 구비하고, 팁 부분은 제1 두께보다 작은 제2 두께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팁 부분(40)의두께는 접속부(34) 두께의 약 절반이다. 실질적으로 평탄한 면(42)은 팁 부분(40)의 접속면(38)으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연장한다. 그러나 커넥터(10)는 크기가 축소되어 있으며, 여기에 기재된 기하학적 정밀도는 작은 치수의 단자(14)를 제작하는 능력에 제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직각 단면에 제한되는 것도 아니다. 오히려, 본 발명은 단자 접속면(38)의 전방 엣지에서 비굴곡 코너 단면부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두께가 감소되고 직각인 계단형 단면(40)이 선호되기는 하지만,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는 등가 및 합리적인 제작 공차 내에서의 팁 형상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전방 표면(44)은 평탄한 면(42)에 대해 거의 평행하게 연장한다.
팁 부분(40)의 계단형 단면은 종래 기술의 커넥터에서 문제점이었던 버의 형성을 저감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수지가 사출되어 팁 부분(40)을 둘러쌀 때에 단자의 접속면(38) 및/또는 평탄한 면(42)은 몰드 공동의 측면에 대해 접촉하게 된다. 수지는 단자의 계단 표면(42)의 후방으로 유도하지 못하도록 충분히 봉쇄되므로 수지 필름 또는 버는 접속면(38) 상에 형성되지 않는다.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팁 부분(40)의 길이는 접속부(34)의 두께보다 약간 길다. 그러나 팁 부분(40)의 길이는 적절하게 선정되어, 하우징 재료(g)의 길이를 포함하여 부품 전체의 치수 및 강도에 따라 필요한 고정력을 제공한다.
두께가 감소된 팁 부분을 형성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서는 도7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가 압인 공정으로 제작된다. 먼저, 도7을 참조하면, 단자가 만들어지는 판 또는 금속 블랭크(114)가 제공된다. 여기에 기재된 압인 공정은 다수의 단자가 만들어지는 블랭크(114)에 한 번에 소망하는, 두께가 감소된 계단형단면을 형성함으로써 효율을 최적화한다.
블랭크(114)는 작업 테이블(16)의 단단한 표면 상에 배치된다. 해머 다이(118)는 블랭크(114)의 전방 엣지를 따라 배치된다. 다이(118)는 예를 들어 직각을 형성하는 소망하는 계단형 단자 단면을 스탬프하도록 적절히 성형된 이(tooth; 122)를 가지는 노치(120)를 구비한다. 노치(120)는 단자 팁 부분의 소망하는 두께와 동일한 깊이(h)를 가진다.
해머 다이(118)는 방향(A)으로 하향으로 구동되고(도7), 도8에 도시된 대로 소망하는 계단형 단면을 구비하는 금속 블랭크(114)의 전방 엣지를 스탬핑하거나 압인한다. 노치(32) 아래에서 변형되는 금속은 전방으로 인발되어 두께가 감소된 팁 부분(40)과, 접속면(38)에 직각으로 배치되는 계단형 평탄면(42)을 형성한다.
도9를 참조하면, 팁 부분을 소망하는 길이로 만들기 위해서, 예를 들어 전단기, 레이저 등의 적절한 공지 절단 장치를 사용하는 절단 단계에서 팁 부분(40)의 전방 엣지로부터 잉여의 재료가 제거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파선(B)의 오른쪽 재료는 절취되어 제거됨으로써 전방면(44)을 남긴다.
그 후에, 각각의 단자(44)는 블랭크(114)로부터 절취되어 미부(36)를 형성하도록 만곡된다. 또는, 이 때에 단자가 도금될 수도 있다. 제작 단계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도8의 절단 작동은 예를 들어, 블랭크(114)로부터 각각의 단자(14)를 분리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단자(14)의 표면(42)이 직각으로 형성되는 실시예의 한 예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 두께가 감소한 팁 부분(40)을 구비하는 단자(14)는표면(42)이 90。 이외의 각도로 되도록 생산될 수도 있다. 도7 및 도8의 압인 작동은 그러한 단면을 형성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면(42)은 예각 또는 직각에 거의 근접하는 둔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여기에 기재된 예시적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반면에, 여기에 기재된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화하고 수정하는 것이 당업자에게 자명하며, 그러한 변화 및 수정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 질 수 있다. 따라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는 그러한 변화 및 수정을 포섭하도록 의도된다.
전술한 본원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전술한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신규하고 우수한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20)

  1. 복수개의 전도성 단자와, 단자 상에 삽입-성형되고 단자 지지 플랫폼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전도성 단자가 배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각각의 단자가,
    정합 커넥터의 각각의 단자와 정합되기 위한 노출된 접속면을 가지는 제1 두께의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로부터 전향 연장하며, 제1 두께보다 작은 제2 두께를 가져서 접속면으로부터 오프셋된 계단형 단면을 형성하며, 단자 팁 부분은 하우징의 삽입-성형 중에 하우징에 함입되며, 상기 계단형 단면은 성형 재료가 단자 접속부 위포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단자는 접속면으로부터 팁 부분을 향해 하향으로 약 90도의 각도로 연장하는 실질적으로 평면인 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일체형 전도성 실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실드는 서로 접하는 두개의 대향 돌출하는 탭을 구비하여 상기 실드가 하우징 주위를 둘러싸며, 상기 각각의 탭은 서로 협동적인 관계로 끼워 맞춤되도록 된 계단형 단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탭 중 하나는 그로부터 연장하는 포스트를 포함하며, 다른 탭은 상기 포스트를 억지 끼워 맞춤으로 수용하는 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는 상부벽과, 상기 상부벽으로부터 대향 연장하는 한 쌍의 측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탭이 각각의 측벽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하우징 기부와, 하우징 기부로부터 전방 연장하는 단자 플랫폼을 더 포함하며,
    상기 단자는 커넥터가 장착되는 회로 기판 상에 각각의 도체를 결합하기 위한 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제2 두께는 제1 두께의 약 절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팁 부분은 접속부로부터 계단식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000034061A 1999-06-22 2000-06-21 삽입-성형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03609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175997A JP2001023717A (ja) 1999-06-22 1999-06-22 オーバーモールド型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99-175997 1999-06-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7458A KR20010007458A (ko) 2001-01-26
KR100360999B1 true KR100360999B1 (ko) 2002-11-18

Family

ID=16005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4061A KR100360999B1 (ko) 1999-06-22 2000-06-21 삽입-성형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063738A1 (ko)
JP (1) JP2001023717A (ko)
KR (1) KR100360999B1 (ko)
CN (1) CN1287396A (ko)
TW (1) TW476461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21150B2 (en) * 2002-11-22 2004-11-2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having dielectric cover
JP4636335B2 (ja) * 2006-10-10 2011-02-23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路素子内蔵コネクタ
JP4797209B2 (ja) * 2007-09-10 2011-10-1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5013296B2 (ja) * 2009-12-15 2012-08-29 Smk株式会社 電子部品
JP5212499B2 (ja) 2010-09-08 2013-06-19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8608512B2 (en) * 2011-04-18 2013-12-17 Fci Americas Technology, Llc Cable connector
JP5794671B2 (ja) * 2011-04-28 2015-10-1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399902B2 (ja) * 2014-11-11 2018-10-03 株式会社ミツバ インサート成形品およびインサート成形品の製造方法
JP7229011B2 (ja) * 2018-12-25 2023-02-27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成形方法
CN110364914B (zh) * 2019-08-20 2024-04-19 东莞市鼎通精密五金股份有限公司 一种信号连接器模具装置的连接端子定位机构
DE102019126232A1 (de) * 2019-09-30 2021-04-01 Lisa Dräxlmaier GmbH Herstellen eines stromführenden fahrzeugbauteil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1883A (en) * 1991-08-30 1993-04-13 Kel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in-molded plug connector
DE4419293A1 (de) * 1993-09-20 1995-04-20 Fujitsu Ltd Koaxialer Verbinder mit verbesserter Konstruktion, wobei die Herstellungskosten reduziert werden und Herstellungsverfahren dav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67708E (fr) * 1973-05-25 1958-03-18 Dispositif d'affûtage semi-automatique pour machine à couper les tissus à mouvement rectiligne alternatif
US3943625A (en) * 1974-03-13 1976-03-16 Gte Sylvania Incorporated Method for making tined electrical contac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1883A (en) * 1991-08-30 1993-04-13 Kel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in-molded plug connector
DE4419293A1 (de) * 1993-09-20 1995-04-20 Fujitsu Ltd Koaxialer Verbinder mit verbesserter Konstruktion, wobei die Herstellungskosten reduziert werden und Herstellungsverfahren dav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63738A1 (en) 2000-12-27
JP2001023717A (ja) 2001-01-26
TW476461U (en) 2002-02-11
KR20010007458A (ko) 2001-01-26
CN1287396A (zh) 2001-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2639B2 (en) Compliant pin control modul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6048482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ical connector
JP3078616B2 (ja) プラグ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477640B2 (ja) コネクタ
KR100360999B1 (ko) 삽입-성형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JPH10189203A (ja) インサートモールドで電気コネクタを製造する方法
CN1732602A (zh) 连接微型卡到标准卡连接器的存储卡适配器及其制造方法
JPS6041779A (ja) 電気端子の固定方法
WO2000033425A2 (en) Connector with switching device
US4547964A (en)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a printed-circuit board connector
KR20050026912A (ko) 커넥터
US6517386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H0370350B2 (ko)
US10498085B2 (en) Molded interconnect substrate for a cable assembly
CN1240162C (zh) 电连接件
JP2928987B2 (ja) コンタク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3096901B2 (ja) コネクタ
JP2958883B2 (ja) 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
CN1154207C (zh) 电连接器及其制造方法
JPH10264163A (ja) インサート金型及びそれを用いた表面実装型コネクタ
CN213878506U (zh) 一种微型板对板连接器的金属端子及微型板对板连接器
JP2640327B2 (ja) コンタクトの形成方法及びそれを用いて形成される等長ライトアングルコネクタ
KR102627621B1 (ko) 소켓쉘리스형 전자기기용 소켓커넥터의 제조방법
CN211879702U (zh) 一种转接器及电连接器组件
JP2000513490A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