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9970B1 -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9970B1
KR100359970B1 KR1019990061591A KR19990061591A KR100359970B1 KR 100359970 B1 KR100359970 B1 KR 100359970B1 KR 1019990061591 A KR1019990061591 A KR 1019990061591A KR 19990061591 A KR19990061591 A KR 19990061591A KR 100359970 B1 KR100359970 B1 KR 100359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panel
total reflection
reflection film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1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8385A (ko
Inventor
히라까따쥰이찌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00048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8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9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99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3Prismatic sheet or layer; Brightness enhancement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4Diffusing, scattering, diffra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53Refle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4Diffusing, scattering, diffracting elements
    • G02F1/133507Films for enhancing the luminanc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02F1/133607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the light controlling member including light directing or refracting elements, e.g. prisms o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02Function characteristic reflective
    • G02F2203/023Function characteristic reflective total internal refl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광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키고, 또한 시각 특성이 우수한 배면광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대향 배치된 적어도 한쪽에 전극을 갖는 한쌍의 기판 SUB1, SUB2 사이에 협지된 액정층으로 이루어지는 액정 패널과, 액정 패널을 끼우도록 배치된 상부 편광판 POL2 및 하부 편광판 POL1과, 액정 패널을 배면으로부터 조명하는 조명 광원 BL을 적어도 구비하고, 액정 패널과 조명 광원 BL 사이에 조명 광원으로부터의 출사광이 액정 패널에 입사할 때의 반사율을 제어하는 광학 필름 부재 ARF를 개삽하였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광의 이용 효율이 높고, 시각 특성에 우수한 고휘도의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지 화상이나 동화상을 포함하는 각종 화상을 표시하는 디바이스로서 액정 표시 장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 종류의 액정 표시 장치는, 기본적으로는 적어도 한쪽이 투명한 유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두장의 (한쌍의) 기판 사이에 액정층을 협지한 소위 액정 패널을 구성하며, 상기 액정 패널의 기판에 형성한 화소 형성용의 각종 전극에 선택적으로 전압을 인가하여 소정 화소의 점등과 소등을 행하는 형식, 상기 각종 전극과 화소 선택용의 능동 소자를 형성하여 이 능동 소자를 선택함으로써 소정 화소의 점등과소등을 행하는 형식으로 분류된다.
특히, 후자의 형식의 액정 표시 장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이라 불리며, 콘트라스트 성능, 고속 표시 성능 등으로부터 액정 표시 장치의 주류로 되어 있다.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 장치는, 한쪽 기판에 형성한 전극과 다른쪽 기판에 형성한 전극 사이에 액정층의 배향 방향을 바꾸기 위한 전계를 인가하는, 소위 종전계 방식과, 액정층에 인가하는 전계의 방향을 기판면과 거의 평행 방향으로 하는, 소위 횡전계 방식(IPS 방식이라고도 함)의 액정 표시 장치 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한 각종 액정 표시 장치에는, 액정 패널을 배면으로부터 조명하는 광원장치(일반적으로, 배면광이라 칭함)가 구비되어 있다. 이 배면광에는, 도광판의 측면에 램프(선형 광원: 형광관, 발광 다이오드)를 설치한 사이드 엣지 방식과, 액정 패널의 바로 아래에 램프를 설치한 직하형 방식이 있다.
특히, 박형·경량을 필요로 하는 노트형 컴퓨터에서는, 사이드 엣지 방식의 배면광을 채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4는 액정 표시 장치의 일 구성예를 설명하는 전개 사시도이다. 도 14에 있어서, SHD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실드 케이스(메탈프레임이라고도 함), WD는 표시창, INS1∼3은 절연 시트, PCB1∼3은 회로 기판(PCB1은 드레인측 회로 기판·영상 신호선 구동용 회로 기판, PCB2는 게이트측 회로 기판, PCB3은 인터페이스 회로 기판), JN1∼3은 회로 기판 PCB1∼3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죠이너, TCP1, TCP2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PNL은 액정 패널, GC는 고무 쿠션, ILS는 차단광 스페이서, PRS는 프리즘 시트, SPS는 확산 시트, GLB는 도광판, RFS는 반사 시트,MCA는 일체화 성형에 의해 형성된 하측 케이스(몰드 프레임), MO는 MCA의 개구, LP는 형광관, LPC은 램프 케이블, GB는 형광관 LP를 지지하는 고무부시, BAT는 양면 점착 테이프, BL은 선형 광원(형광관) LP 도광판 GLB 등으로 이루어지는 배면광을 나타내고, 도시의 배치 관계로 확산판 부재를 중첩하여 액정 표시 모듈 MDL이 조립된다.
도시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배면광 BL의 하면(이면)에 반사 시트 RFS가 배치되고, 상면에 확산 시트 SPS, 프리즘 시트 PRS를 각 한장 적층하고 있지만, 프리즘 시트 PRS 상에 또 한장의 확산 시트 SPS를 더욱 적층한 것도 있다. 또한, 이 구성에서는, 선형 광원 LP는 단면이 쐐기형의 도광판 GLB의 일변에 한개 설치하고 있지만, 화면 사이즈가 큰 것에는 2개 또는 그 이상을 이용하고, 또한 평판형의 도광판을 이용하고, 그 평행하는 이변에 선형 광원을 각 한개 혹은 복수 라인을 설치한 것도 있다. 또, 다른 구성 요소는 상기 도면 중에 부호와 함께 명칭을 붙여 설명하고 있다.
액정 표시 모듈 MDL은, 하측케이스 MCA와 실드케이스 SHD의 2종의 수납·유지 부재를 지니고, 절연 시트 INS1∼3, 회로 기판 PCB1∼3, 액정 패널 PNL을 수납 고정한 금속제의 실드케이스 SHD와, 형광관 LP, 도광판 GLB, 프리즘 시트 PRS 등으로 이루어지는 배면광 BL을 수납한 하측 케이스 MCA를 합체시키게 된다.
영상 신호선 구동용 회로 기판 PCB1에는 액정 패널 PNL의 각 화소를 구동하기 위한 집적 회로칩이 탑재되고, 또한 인터페이스 회로 기판 PCB3에는 외부 호스트로부터의 영상 신호의 수신, 타이밍 신호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집적 회로칩, 및 타이밍을 가공하여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타이밍 컨버터 TCON 등이 탑재된다.
상기 타이밍 컨버터로 생성된 클럭 신호는 인터페이스 회로 기판 PCB3 및 영상 신호선 구동용 회로 기판 PCB1에 부설된 클럭 신호 라인 CLL을 통해 영상 신호선 구동용 회로 기판 PCB1에 탑재된 집적 회로칩에 공급된다.
인터페이스 회로 기판 PCB3 및 영상 신호선 구동용 회로 기판 PCB1은 다층 배선 기판이고, 상기 클럭 신호 라인 CLL은 인터페이스 회로 기판 PCB3 및 영상 신호선 구동용 회로 기판 PCB1의 내층 배선으로서 형성된다.
또, 액정 표시 패널 PNL에는 TFT를 구동하기 위한 드레인측 회로 기판 PCB1, 게이트측 회로 기판 PCB2 및 인터페이스 회로 기판 PCB3이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TCP1, TCP2로 접속되고, 각 회로 기판 사이는 죠이너 JN1, 2, 3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한 액정 표시 장치의 적층 구조를 설명하는 모식 단면도로서, 하부 기판 SUB1과 상부 기판 SUB2 사이에 액정층 LC가 협지되어 액정 패널을 구성하고 있고, 하부 기판 SUB1과 상부 기판 SUB2의 외면에는, 각각 하부 위상차판 PHD1과 하부 편향판 POL1, 상부 위상차판 PHD2와 상부 편향판 POL2가 적층되어 있다.
이 액정 패널의 배면(이면)에는 배면광 BL이 설치되고, 액정 패널과 배면광 BL 사이에 확산 시트 SPS와 프리즘 시트 PRS를 적층한 광학 시트가 개삽되어 있다.
배면광 BL은 사이드 엣지 방식이고, 단면이 쐐기형의 도광체 GLB-W의 일측면에 해당 측면을 따라 선형 광원(형광관 혹은 발광 다이오드) LS와 반사 시트 LP를 설치하고 있다. 이 배면광 BL에서는, 2개의 형광관 LP를 이용하여 고휘도화를 도모하고 있지만, 1개 혹은 3개 이상이어도 좋다. 또한, 평판형의 도광체의 양측면에 각 1개 또는 2개 이상의 형광관을 배치한 구조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배면광 BL의 배면에는 반사 필름 RFS가 배치되어 있다.
도 16은 도 15에 있어서의 프리즘 시트의 홈 배치의 일례를 설명하는 모식도이고, 하측의 프리즘 시트 PRS1은 화면의 가로 방향(좌우 방향= 수평 방향 X)으로 연장하여 배면광 BL로부터의 광을 세로 방향(상하 방향= 수직 방향 Y)으로 집광하고, 상측의 프리즘 시트 PRS2는 화면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여 배면광 BL로부터의 광을 좌우 방향으로 집광하고, 전체로서 액정 패널 PNL의 배면에 예각으로 입사하도록 집광한다.
도 17은 프리즘 시트의 유무에 따른 화면의 상하 시각에 대한 정면 휘도 크기의 설명도로서, 프리즘 시트를 1장 설치한 경우, 2장 설치한 경우, 및 확산판만 (프리즘 시트를 설치하지 않는다)의 경우의 각각의 정면 휘도를 나타낸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리즘 시트 PRS를 1장 설치하면 프리즘 시트 PRS를 설치하지 않는(확산판만) 경우보다 휘도가 올라간다. 그리고, 프리즘 시트 PRS를 두장 설치함으로써 정면 휘도는 더욱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이 종류의 배면광에 대해서는, 「SID 96 DIGEST」PP. 753∼756에 해설되어 있다.
액정 표시 장치의 사이즈는 해마다 대형화하고 있고, 그에 따른, 그 배면광도 대형화하고 있다. 또한, 그 고휘도화의 요구도 강하고, 광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켜 강력한 (밝은) 배면광의 개발이 필요로 되어 있다.
상기한 프리즘 시트를 이용함으로써, 액정 패널에 대해 경사 방향으로 입사하는 광을 정면측에 집광하여 휘도의 향상을 도모하는 방법이 채용되어 있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서, 광원의 출사광에 편광 특성을 갖게 하고, 특정 편광만을 통과시켜서 다른 편광을 반사시켜 재이용하는 광학 필름도 개발되어 있다(예를 들면, 스미토모 3M사 제조의 D-BEF 필름(상표명)).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프리즘 시트를 이용한 것으로는, 액정 패널을 정면 위치로부터 경사 방향으로 이동하여 본 경우에, 휘도가 저하한 후에 다시 휘도 증가 현상이 생긴다.
도 18은 프리즘 시트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휘도 특성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프리즘 시트 PRS에 입사한 광 L은 프리즘면을 통과할 때에,그 대부분의 광 LD는 액정 패널 방향으로 궤도 변경되어 액정 패널의 정면 휘도를 향상시킨다. 그러나, 프리즘면에서 거울면 반사하거나, 프리즘 시트로부터 액정 패널에 대해 큰 각도로 출사한 광 LL은 액정 패널을 경사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액정 패널의 휘도가 떨어지거나 재증가를 초래한다.
도 19는 프리즘 시트를 이용할 때의 액정 패널의 상하 시야각에 대한 백표시휘도의 관계의 일례를 설명하는 휘도 특성도이다. 도면 중의 곡선 a로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패널에 상하 시야각이 0°(정면 시야)로부터 경사 방향으로 시야각이 변화함에 따라서, 휘도(cd/㎡)는 점감하여 ±30°부근에서 최소로 되고, 다시 증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액정 패널 전면에서의 시인성이 열화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편광을 이용하여 휘도 향상을 도모하는 광학 필름도, 그 휘도 향상율이 시각에 따라 다르고, 마찬가지의 시인성 열화를 초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소하여, 광의 이용 효율을 향상하고, 또한 시각 특성이 우수한 배면광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가 전형적인 구성은 하기에 기재한 바와 같다.
(1) 대향 배치된 적어도 한쪽에 전극을 갖는 한쌍의 기판과, 상기 한쌍의 기판 사이에 협지된 액정층으로 이루어지는 액정 패널과, 상기 액정 패널을 끼우도록 배치된 상부 편광판 및 하부 편광판과, 상기 전극에 표시 화상 신호에 따라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제어 수단과, 상기 액정 패널을 배면으로부터 조명하는 조명 광원을 적어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과 조명 광원 사이에, 상기 조명 광원으로부터의 출사광이 액정 패널에 입사할 때의 반사율을 제어하는 광학 필름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대향 배치된 적어도 한쪽에 전극을 갖는 한쌍의 기판과, 상기 한쌍의 기판 사이에 협지된 액정층으로 이루어지는 액정 패널과, 상기 액정 패널을 끼우도록 배치된 상부 편광판 및 하부 편광판과, 상기 전극에 표시 화상 신호에 따라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제어 수단과, 상기 액정 패널을 배면으로부터 조명하는 조명 광원을 적어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과 조명 광원 사이에, 상기 조명 광원으로부터의 출사광이 액정 패널에 입사하는 각도를 제어하는 각도 의존성 제어 필름 부재와, 각도 의존성 제어 필름 부재와 액정 패널 사이에 상기 각도 의존성 제어 필름 부재로부터의 출사광이 액정 패널에 입사할 때의 반사율을 제어하는 광학 필름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3) 상기 광학 필름 부재가 상기 하부 편광판과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 상기 광학 필름 부재가 상기 필름면에 수직 방향의 출사광의 휘도를 상승시키고, 또한, 상기 필름의 수직 방향으로부터 45°방향의 출사광의 휘도를 감소시키는 집광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5) 상기 각도 의존성 제어 필름 부재가 편광 기능을 지니고, 또한, 상기 조명 광원으로부터의 출사광 휘도가 상기 필름 부재에 의해 상승하고, 상기 필름면에 대한 수직 방향과 상기 필름면의 수직 방향으로부터 45°방향의 출사광의 휘도 상승율이 다르고, 또한, 수직 방향의 휘도 향상율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6) 상기 하부 편광판의 면 적어도 상기 광학 필름 부재와 대향 내지는 밀착하는 면이 변형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7) 상기 출사광이 액정 패널에 입사할 때의 반사율을 제어하는 광학 필름 부재와 상기 하측 편광판 사이에 점착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8) 상기 각도 의존성 제어 필름 부재의 필름면의 정면 방향의 반사율이 작고(예를 들면 2% 이하), 경사 45°방향의 반사율이 그것 보다 약간 큰(예를 들면 5% 이하)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각도 의존성 제어 필름 부재가 1장의 프리즘 시트, 또는 프리즘면을 구성하는 홈을 교차시켜 적층한 2장의 프리즘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리즘 시트를 1장으로 한 경우에는, 그 프리즘의 홈방향이 수평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조명 광원으로부터 출사하는 광의 이용 효율이 각별히 향상하고, 시각 특성에 우수한 고휘도의 액정 표시 장치가 얻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 및 후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않고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제1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는 모식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반사 방지 필름의 작용을 설명하는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액정 패널의 상하 시야각에 대한 백표시 휘도의 관계를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설명하는 휘도 특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제2 실시예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는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반사 방지 필름의 일 구성예를 설명하는 단면 모식도.
도 6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반사 방지 필름의 다른 구성예를 설명하는 단면모식도.
도 7은 하면에 반사 방지 필름 처리를 실시한 하부 편광판을 이용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모식도.
도 8은 횡전계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의 일화소의 단면도.
도 9는 도 7에 도시한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의 개념도.
도 10은 배향막의 배향 제어 방향과 편광판 투과축 방향의 정의의 설명도.
도 11은 횡전계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명상태와 암상태의 액정 분자의 동작을 설명하는 모식도.
도 12는 횡전계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전극 구조예의 설명도.
도 13은 블랙 매트릭스가 부착된 컬러 필터 기판의 구조 설명도.
도 14는 액정 표시 장치의 일 구성예를 설명하는 전개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한 액정 표시 장치의 적층 구조를 설명하는 모식 단면도.
도 16은 도 15에 있어서의 프리즘 시트의 홈 배치의 일례를 설명하는 모식도.
도 17은 프리즘 시트의 유무에 따른 화면의 상하 시각에 대한 정면 휘도의 크기의 설명도.
도 18은 프리즘 시트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휘도 특성을 설명도하는 모식도.
도 19는 프리즘 시트를 이용할 때의 액정 패널의 상하 시야각에 대한 백표시휘도의 관계의 일례를 설명하는 휘도 특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UB1 : 하부 기판
SUB2 : 상부 기판
LC : 액정층
POL1 : 하부 편광판
POL2 : 상부 편광판
SPS : 확산 시트
PRS : 프리즘 시트
BL : 백라이트
ARF : 반사 방지 필름
GLP-W1, GLP-W2 : 쐐기형의 도광체
LP : 선형 광원(형광관)
LS : 반사 시트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제1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는 모식도이고, 도 1a는 전체 구성을, 도 1b는 도 1a에 있어서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다. SUB1은 하부 기판, SUB2는 상부 기판이고, 양 기판 사이에 액정층 LC를 협지하여 액정 패널을 구성한다.
액정 패널의 하면과 상면에는 각각 하부 편광판 POL1, 상부 편광판 POL2가 적층된다. 또, 하부 기판 SUB1과 하부 편광판 POL1 사이 상부 기판 SUB2와 상부 편광판 POL2 사이에 위상차를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액정 패널의 배면(하면)에는, 프리즘 홈을 교차(예를 들면, 직교)시킨 2장이 중첩된 프리즘 시트 PRS, 광확산 시트 SPS로 이루어지는 광학 시트를 통해 배면광 BL이 배치된다.
배면광 BL은, 상기 도 1a의 구성예에서는, 단면이 쐐기형의 도광체 GLB와 선형 광원인 형광관 LP 및 반사 시트 LS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배면광 BL은 상기 도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판형의 도광체 GBL의 양측에 1 또는 복수의 형광관 LP를 배치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특히 도 1a의 쐐기형 도광판은, 지향성이 크고, 집광 효과를 갖는다. 그 때문에, 프리즘 시트와 마찬가지의 특정 시각에서의 휘도의 떨어짐이 생긴다.
그리고, 하부 편광판 POL1과 프리즘 시트 PRS 사이에는 반사 방지 필름(혹은 전반사 필름) ARF가 배치되어 있다. 이 반사 방지 필름 ARF에 의해, 액정 패널을 경사지게 본 경우의 휘도의 떨어짐이나 재상승이 억제되고, 액정 패널 전면에서의 시인성이 향상된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반사 방지 필름의 작용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반사 방지 필름 ARF는 임계각 이상의 각도로 입사하는 광을 반사하는 기능(전반사)을 갖는다. 반사 방지 필름 ARF는 프리즘 시트 PRS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다. 프리즘시트 PRS를 2장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측(액정 패널측)의 프리즘 시트를 나타낸다.
프리즘 시트 PRS의 하측(배면)으로부터 입사한 광, 즉 도 1의 광확산 시트 SPS로부터 출사한 광 L의 대부분 LD는 프리즘 시트 PRS의 홈을 통과함으로써 액정 패널의 수직 방향으로 집광된다.
그러나, 광 L의 일부 및 프리즘 시트 SPS 내에서 반사한 광의 일부는 프리즘시트 PRS로부터 큰 각도로 출사하는 광 LL로 된다. 이 광 LL중 반사 방지 필름 ARF의 면의 수직 방향으로부터 45°이상으로 진행하는 광을 해당 반사 방지 필름 ARF로부터 전반사시켜 재차 프리즘 시트 PRS측으로 복귀하여 재이용한다.
따라서, 액정 패널의 경사 방향의 시각에 있어서의 휘도 상승이 억제됨과 함께, 상기 프리즘 시트 PRS측으로 되돌아가는 광은 정면 방향의 시각의 휘도를 상승시킨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액정 패널의 상하 시야각에 대한 백 표시 휘도의 관계를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설명하는 휘도 특성도이다. 도면 중의 곡선 a는 상기 도 19에 도시한 종래의 휘도 특성, 곡선 b는 본 실시예의 휘도 특성을 나타낸다.
종래 기술에서는, 곡선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패널에 상하 시야각이 0 °(정면 시야)로부터 경사 방향으로 시야각이 변화함으로써, 휘도(cd/㎡)는 점감하여 ±30°부근에서 최소로 되고, 다시 증가하고 있다(도 19에서 설명). 이 때문에, 액정 패널 전면에서의 시인성이 열화하게 된다. 이에 대해 프리즘 시트 PRS의상측에 반사 방지 필름 ARF를 설치한 경우에는, 곡선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50°부근에서의 휘도의 재향상은 억제됨과 함께, 도 2에서 설명한 반사 방지 필름 ARF에서 전반사한 광 LL은 재차 프리즘 시트 PRS로 되돌아가 재이용된다. 그 때문에, 도 3의 화살표로 도시한 부분과 같이, 경사 방향의 시각 영역의 휘도가 향상하고, 경사 방향의 시각에서의 휘도의 떨어짐이 저감되고, 또한 정면 휘도도 향상하고, 전체로서 원활한 휘도 곡선이 된다. 즉, 액정 패널의 시각 의존성이 개선된다.
반사 방지 필름 ARF는 각도가 큰 입사광의 투과를 감소시키는 기능을 갖지만,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50°부근에서의 휘도의 향상을 억제하기 때문에, 반사 방지 필름 ARF는 면의 수직 방향으로부터 45°이상으로 입사하는 광을 전반사하도록 구성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제2 실시예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본 실시예가 제1 실시예와 다른 점은, 반사 방지 필름 ARF를 하부편광판 POL1과 액정 패널의 사이에 설치한 점이고, 그 밖의 구성은 도 1과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프리즘 시트 PRS에서 집광된 이외의 상기 프리즘 시트 PRS를 통과한 조명 광원으로부터의 광은 반사 방지 필름 ARF에 의해 프리즘 시트 PRS측으로 되돌아가고, 재이용되어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체로서 원활한 휘도 곡선이 된다. 즉, 액정 패널의 시각 의존성이 개선된다. 이 때,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50°부근에서의 휘도의 향상을 억제하기 위해서, 반사 방지 필름 ARF는 면의 수직 방향으로부터 45°이상으로 입사하는 광을 전반사하도록 구성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반사 방지 필름의 일 구성예를 설명하는 단면 모식도이다. 이 반사 방지 필름은 다층막 구조이고, ITO와 SiO2를 교대로 적층한 적어도 2층으로부터 구성한다.
임계각 θ와 적층하는 막의 1층째의 굴절율 n1과 2층째의 굴절율 n2 사이에는, sinθ=n2/n1 (단 n1>n2)의 관계가 있지만, 굴절율 n1과 n2의 차가 큰 쪽이 임계각은 작아져서, 반사 방지 필름에 의한 효과가 커진다. 또한, 적층하는 층수가 많은 쪽이 반사 방지 필름을 투과하지 않는 광의 입사각(반사 방지 필름면의 법선에 대한 각도)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ITO의 굴절율은 통상 1.9이고, SiO2의 굴절율은 통상 1.5이기 때문에, 임계각은 45°이상으로 되지만 ITO와 SiO2와의 적층막을 2층 이상의 다층막으로 함으로써, 반사 방지 필름을 투과하지 않는 입사각을 45°근방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층막을 적층하는 베이스 필름의 굴절율을 2층의 막 중 어느 쪽이든 한쪽과 동일한 굴절율로 하거나, 굴절율이 작은 층보다도 작은 굴절율로 하거나, 굴절율이 큰 층보다도 큰 굴절율로 함으로써, 반사 방지 필름의 효과를 손상하는 일은 없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필름으로서 굴절율 1.5의 PET(폴리에틸렌 텔레프 탈레이트)를 이용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반사 방지 필름의 다른 구성예를 설명하는 단면모식도이다. 이 반사 방지 필름은 예를 들면 PET 필름 내에 ITO의 미분말을 혼입하게 되어, 입사하는 광을 반사시켜 복귀하는 작용을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반사 방지 필름은, 상기한 예와 같이 단체로 구성하는 것에 한하지 않고, 하부 편광판 POL1의 상면 또는 하면, 혹은 액정 패널의 하부 기판 SUB1의 외면에 반사 방지 처리를 실시한 것라도 좋다.
도 7은 하면에 반사 방지 처리를 실시한 하부 편광판을 이용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이 반사 방지 처리는 하부 편광판 POL1의 표면에 상기 도 5 또는 도 6과 마찬가지의 구조를 갖는 박막을 성막 혹은 도포하는 것으로 얻어진다.
하부 편광판에 ITO를 도포 또는 증착하여 ITO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SiO2를 도포 또는 증착하여 SiO2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반복하여 하부 편광판에 반사 방지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하부 편광판을 준비하고 상기 하부 편광판에 ITO의 미분말을 혼입한 PET를 도포하여 하부 편광판에 반사 방지 처리를 실시한다.
액정 패널의 하부 기판 SUB1에 반사 방지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액정 패널의 하부 기판 SUB1을 준비하고, 상기 액정 패널의 하부 기판 SUB1에 ITO를 도포 또는 증착하는 공정과, SiO2를 도포 또는 증착하는 공정을 반복하여 하부 편광판에 반사 방지 처리를 실시한다.
또는, 하부 기판 SUB1에 ITO의 미분말을 혼입한 PET를 도포하여 하부 기판 SUB1에 반사 방지 처리를 실시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반사 방지 필름은, 도 5 또는 도 6과 마찬가지의 필름을 하부 편광판 POL1의 상면 또는 하면, 혹은 액정 패널의 하부 기판의 표면에 첨부하여도 좋다.
이 경우, 하부 편광판 POL1의 상면 또는 하면, 혹은 액정 패널의 하부 기판의 표면은, 첨부면에서의 반사나 광 산란을 억제하기 위해 평활로 할 필요가 있다.
반사 방지 필름은, 입사광의 각도에서 크게 변화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샘플에서의 검증에 따르면, 상기 필름의 수직면으로부터 5°이내의 반사율은 2% 이하로, 경사 45°방향의 반사율은 5% 이하로 함으로써 시각 전역에서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또, 반사 방지 필름은 상기한 이외에, 예를 들면 편광 반사 재이용형의 광학 필름, 예를 들면 P-S 편광 분리 필름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반적인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인가 전압의 변화에 의해, 백으로부터 흑표시, 혹은 흑으로부터 백표시로 변화하거나, 본 발명에 적용하는 액정층은, 트위스트각이 90도 전후의 트위스트 네마틱(TN) 타입이나 수직 배향 타입의 TFT 구동이나, 혹은 트위스트각이 200°로부터 260°의 수퍼 트위스티 네마틱(STN) 타입의 시분할 구동, 또한 기판면에 수평 방향의 전계에 응답하는 소위 횡전계 방식 중 어느 한 액정 표시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TN 타입과 횡전계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의 경우에는, 액정층 LC의 굴절율 이방성 Δn과 셀갭(액정층의 두께) d와의 곱 Δnd는 0.2로부터 0.6㎛의 범위가 콘트라스트비와 밝기를 양립시키기 위해 바람직하고, STN 타입의 경우에는 0.5로부터 1.2㎛의 범위가, 또한 횡전계 타입에서는 0.2로부터 0.5㎛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및 상부 기판 SUB1, SUB2로서는, 두께가 0.7㎜에서 표면을 연마하고, ITO(인듐 주석 옥사이드)의 투명 전극을 스펙법으로 형성한 유리 기판을 2장 이용한다. 이들 기판 사이에 유전률 이방성 Δnε이 플러스이고, 그 값이 4.5이고, 복굴절 Δn이 0.19(589㎚, 20℃)의 네마틱 액정 조성물을 끼우고, 셀갭은 6㎛로 하였기 때문에, Δnd는 1.41㎛로 하였다.
기판의 표면에 도포한 폴리이미드계 배향 제어막을 스피너로 도포한 후, 250℃에서 30분간 소성하여, 러빙 처리를 행하고, 3.5°의 프리틸트각을 얻었다(회전결정법으로 측정).
양 기판 상의 러빙 방향은 시분할 구동을 행하기 때문에 액정 분자의 트위스트각(트위스트각)이 240°가 되도록 설정하였다. 여기서, 트위스트각은, 러빙 방향 및 네마틱 액정에 첨가되는 선광성 물질의 종류와 양에 의해 규정된다. 트위스트각은, 임계치 근방의 점등 상태가 광을 산란하는 배향이 되기 때문에, 최대치가 제한되어, 260°가 상한이고, 또한 하한치는 콘트라스트에 의해 제한되어, 200°가 한계이다.
상기 실시예에서도, 주사선 수가 200개 이상에서도 콘트라스트를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흑백 표시가 가능한 액정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므로, 트위스트각은 240°로 하였다. 또한, 각 기판의 편광판 사이에는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지는 Δnd=0.4㎛의 위상차 필름을 각 1장 배치하여도 좋다.
광확산 시트 SPS는 프리즘 시트나 도광체의 광반사 패턴의 간섭 줄무늬를 확산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 마찬가지의 광확산 시트 SPS를 하부 편광판과 반사 방지 필름 사이, 또는 액정 패널의 하면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상기한 실시예의 구성에 의해, 밝고, 또한 시각에 의한 휘도 변화가 작고, 액정 패널의 화면 전역에서 고휘도의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전체 구성예를 횡전계 방식(IPS)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또, 본 발명은 TN형 액정 표시 장치나 단순 매트릭스형의 액정 표시 장치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횡전계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한쪽의 기판(일반적으로는 하부 기판) 상에 화소 선택용의 각종 전극과 스위칭 소자가 형성되고, 다른쪽의 기판(상부 기판)에는 컬러 필터만이 형성되고, 양 기판에 협지된 액정층에 기판 평면과 대략 평행한 방향의 전계를 형성하고, 액정층을 형성하는 액정 분자의 배향 방향을 기판 평면 내 변화시킴으로써 점등/비점등을 제어하는 것이다.
도 8은 횡전계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의 일화소의 단면도로서, CT는 공통 전극, GI는 게이트 절연막, DL은 영상 신호 전극, PX는 화소 전극, ORI1은 하부 배향막, ORI2는 상부 배향막, LC는 액정층(여기서는, 액정 분자의 형태로 나타냄), SUB1은 하부 기판, SUB2는 상부 기판, POL1은 하부 편광판, POL2는 상부 편광판, E는 전계, BM은 블랙 매트릭스, FIL은 컬러필터, OC는 오버 코트막, PSV1은 절연막이다.
하부 기판 SUB1에는 박막 트랜지스터 TFT(후술), 액정을 구동하기 위한 전극인 영상 신호 전극(화소 전극) PX와 공통 전극 CT가 절연막인 질화실리콘막(SiN) GI 상에 형성되고, 이들 전극을 덮고 절연막 PSV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기판 SUB2에는 블랙 매트릭스 BM에서 구획된 복수색의 컬러 필터 FIL이 형성되고, 양 기판 SUB1, SUB2의 대향면에 형성된 하부 배향막 ORI1과 상부 배향막 ORI2 사이에 액정층 LC가 협지되어 있다. 또, 하부 기판 SUB1의 외면과 상부 기판 SUB2의 외면에는, 각각 하부 편광판 POL1, 상부 편광판 POL2가 적층되어 있다. 또, 배향막이나 액정층에 직접 접하는 영상 신호 전극과 공통 전극 CT는 금속의 부식을 고려하여 ITO(Indium Tin Oxide : 인듐 주석 옥사이드)를 이용하고 있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회로의 개념도로서, CONT는 컨트롤 회로, V는 주사 전극 구동 회로, H는 신호 전극 구동 회로, CD는 공통 전극 구동 회로, AR은 액정 패널의 표시 영역을 나타낸다. 또, CLC는 액정의 용량 성분, Cs는 유지 용량을 나타낸다.
액정 패널의 표시 영역 AR을 구성하는 각 화소를 스위칭하는 TFT는 주사 전극 구동 회로 V, 신호 전극 구동 회로 H 및 공통 전극 구동 회로 CD에 의해 선택적으로 온/오프된다. 이 온/ 오프는 컨트롤 회로 CONT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TFT의 온/오프 분자의 배향 방향이 변화하는 액정층은, 양 기판 SUB1, SUB2에 성막된 하부 및 상부 배향막 ORI1, ORI2의 배향 상태(배향 제어기능)로 초기의 배향 방향이 설정된다.
본 구성에서는, 이 배향막으로서 폴리이미드를 채용하고, 그 표면에 배향 제어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서, 상기 폴리이미드막의 표면에 편광 UV를 조사하였다. 이 편광 UV의 광원에는 KrF 엑시마 레이저(파장 248㎚)를 이용하고, 조사 에너지를 5mJ/㎠에서 76쇼트로 조사하였다. 배향막을 성막하는 하부 기판 SUB1을 일정한 속도로 보내고, 조사면이 편광 UV에서 균일하게 76쇼트 조사되도록 상기 이송의 속도를 설정하였다.
또한, 컬러 필터 기판인 상부 기판 SUB2의 최외측 표면에 폴리이미드를 도포하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편광 UV를 조사하였다. 또, 액정층 LC는 편광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배향한다.
도 10은 배향막의 배향 제어 방향과 편광판 투과축 방향의 정의의 설명도로서, EDR는 전계 방향, RDR는 배향막의 배향 제어 방향, PDR는 편광판 투과축 방향이다.
상하의 배향막과의 계면 상에서의 액정의 배향 분자 용이축은 상호 거의 평행하게 되도록, 또한 인가되는 전계 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75°(φLC1LC2=75°) 가 되도록 하였다.
이들 양 기판 사이에 유전률 이방성 Δε가 플러스로 그 값이 7.3이고, 굴절율 이방성 Δn이 0.074(파장 589㎚, 20℃)의 네마틱 액정 조성물을 끼워 액정층으로 하였다.
2장의 기판의 간극, 즉 셀갭 d는 구형의 폴리머 비드를 기판 사이에 분산함으로써 설정하고, 액정의 봉입 상태에서 4.0㎛로 하였다. 따라서, Δn·d는 0.29㎛이다.
2장의 편광판(예를 들면, 日東電工社 제조의 G1220DU)으로 액정 패널을 끼우고, 한쪽의 편광판의 편광 투과축을 φp1=75°에 설정하고, 다른쪽을 이것에 직교, 즉 φp2=-15°로 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저전압(VOFF)에서 암상태, 고전압(VON)에서 명상태를 취하는 노멀 클로즈 특성을 채용하였다.
도 11은 횡전계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명상태와 암상태의 액정분자의 동작을 설명하는 모식도이고, 부호는 도 8과 동일하다.
상기 도 11a는 인가 전압(VOFF)에서의 암상태의 단면도, 도 11b는 인가 전압(VON)의 명상태에서의 암상태의 단면도, 도 11c는 인가 전압(VOFF)의 암상태에서의 암상태의 단면도, 도 11d는 인가 전압(VON)의 명상태에서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1a와 도 11c에 도시한 암상태에서는 공통 전극 CT와 화소 전극 PX 사이에 전계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액정층을 구성하는 액정 분자 LC는 초기의 배향 상태에 있고, 하부 기판 SUB1의 하면에 설치한 배면광(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의 조명 광은 상부 기판 SUB2측에 도달하지 않는다.
한편, 도 11b와 도 11d에 도시한 명상태에서는 공통 전극 CT와 화소 전극 PX 사이에 전계 E가 존재하고, 액정 분자 LC는 이 전계 E에 의해 배향 방향이 회전하여 하부 기판 SUB1의 하면에 설치한 배면광(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의 조명 광이 상부 기판 SUB2측에 도달한다.
이와 같이, 횡전계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액정 분자 LC는 기판의 평면과 평행한 면 내 즉 가로 방향에서 회전하여 명상태와 암상태를 전환함으로써 화상을 형성한다.
도 12는 횡전계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전극 구조예의 설명도이고, 도 12a는 기판과 수직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도, 도 12b는 도 12a의 A-A'선 단면도, 도 12c는 도 12a의 B'-B'선 단면도이다.
박막 트랜지스터 TFT는 화소 전극(소스 전극) PX, 영상 신호 전극(드레인 전극) DL, 주사 전극(게이트 전극) GL, 및 비정질 실리콘 a-Si로 구성된다. 주사 전극 GL과 공통 전극의 일부 CT-a, 영상 신호 전극 DL과 화소 전극의 일부 PX-a는, 각각 동일한 금속층을 패턴화하여 구성하였다. 또한, 절연막 GI를 형성 후, 액정을 구동하는 부분인 공통 전극의 일부 CT-b를 관통 구멍에 의해 상기한 공통 전극의 일부 CT-a에 접속하고, 또한 화소 전극도 트랜지스터부에서 관통 구멍으로 컨택트하여 화소 전극의 일부 PX-b를 구성하였다. 이 공통 전극의 일부 CT-b와 화소 전극의 일부 PX-b는 ITO를 이용하여 형성하였다.
축적 용량을 형성하는 용량 소자 Cs는 2개의 공통 전극 CT 사이를 결합하는 영역에 있어서 화소 전극 PX와 공통 전극 CT에서 절연 보호막(게이트 절연막) GI를 끼우는 구조로서 형성하였다. 화소 전극은, 평면도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공통 전극 CT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화소 피치는 가로 방향(즉, 영상 신호 배선 전극 사이)은 100㎛, 세로 방향(즉, 주사 배선 전극 사이)은 300㎛이다. 전극폭은, 복수 화소 사이에 걸친 배선 전극인 주사 전극, 신호 전극, 공통 전극 배선부(주사 배선 전극에 평행(후술의 도 12에서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를 넓게 하여, 선 결함을 회피하고 있다. 그 폭은 각각 10㎛, 8㎛, 8㎛이다.
한편, 1화소 단위로 독립적으로 형성한 화소 전극, 및 공통 전극의 신호 배선 전극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의 폭은 약간 좁게 하고, 각각 5㎛, 6㎛로 하였다. 이들 전극의 폭을 좁게 함으로써 이물 등의 혼입에 의해 단선할 가능성이 높아지지만, 이 경우 1화소의 부분 결함으로 끝나, 선결함에는 이르지 않는다. 신호 전극 DL과 공통 전극 CT는 절연막 PSV1을 통해 2㎛의 간격으로 설치하였다. 화소수는 640×3(R, G, B)개의 신호 배선 전극과 480개의 배선 전극에 의해 640×3×480개로 하였다.
도 13은 블랙 매트릭스가 부착된 컬러 필터 기판의 구조 설명도로서, 도 13a는 기판면에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도, 도 13b는 도 13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13c는 도 13a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블랙 매트릭스 BM으로서는, 카본과 유기 안료를 혼합한 재료를 이용하였다. 블랙 매트릭스 BM의 전극 기판에 대한 배치는 도 12 중에 파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블랙 매트릭스 BM을 형성 후, 감광성 수지에 R, G, B 각각의 안료를 분산하여, 각각 코팅, 패터닝 노광, 현상에 의해 각 컬러 필터 FIL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이 컬러 필터 FIL 상에 오버 코트막 OC로서 에폭시계 고분자 박막을 도포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액정 표시 장치는, 상하 좌우 80°이상에 있어서 콘트라스트 10 이상을 유지하면서 계조 반전이 생기지 않는 광 시야각이고, 또한 표시의 균일성이 양호한 화상 표시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한 횡전계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에 한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방식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 장치, 혹은 단순 매트릭스 방식 그 밖의 액정 표시 장치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은 상기한 바와 같다. 또한, 배면광은 실시예에서 설명한 도광판을 이용하는 소위 사이드 엣지형에 한하는 것이 아니라, 액정 패널의 하면에 복수 라인의 선형 광원, 혹은 발행 다이오드 어레이, 그 밖의 광원을 설치한 조명 방식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 광원으로부터의 이용 효율이 향상하고, 액정 패널의 대형화에 따라 요구되는 고휘도화를 달성할 수 있음과 함께, 뛰어난 시각 특성의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4)

  1.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대향 배치된 적어도 한편에 전극을 갖는 한쌍의 기판과,
    상기 한쌍의 기판 사이에 협지된 액정층을 포함하는 액정 패널과,
    상기 액정 패널을 끼우도록 배치된 상부 편광판 및 하부 편광판과,
    표시 화상 신호에 따라 상기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제어 수단과,
    상기 액정 패널을 배면으로부터 조명하는 조명 광원과,
    상기 조명 광원의 상면에 설치된 프리즘 시트와,
    상기 프리즘 시트와 상기 액정 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프리즘 시트에서 반사된 상기 프리즘 시트로부터의 광을 반사하는 전반사 필름
    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광원은 쐐기형의 단면을 갖는 도광판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반사 필름은 서로 다른 굴절율을 갖는 적어도 2층의 막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반사 필름은 전압이 인가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막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반사 필름은 상기 하부 편광판과 일체화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반사 필름은 상기 전반사 필름의 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수직 방향에 대하여 적어도 소정의 각도로 상기 전반사 필름으로 입사하는 상기 프리즘 시트로부터 광을 반사하는 액정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반사 필름으로부터 반사된 광은 상기 액정 패널을 조명하는데 재이용하기 위하여 상기 프리즘 시트로 되돌아가는 액정 표시 장치.
  8.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대향 배치된 적어도 한편에 전극을 갖는 한쌍의 기판과,
    상기 한쌍의 기판 사이에 협지된 액정층을 포함하는 액정 패널과,
    상기 액정 패널을 끼우도록 배치된 상부 편광판 및 하부 편광판과,
    표시 화상 신호에 따라 상기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제어 수단과,
    상기 액정 패널을 배면으로부터 조명하는 조명 광원과,
    상기 액정 패널과 상기 조명 광원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조명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출력 광이 상기 액정 패널에 도달하도록 각도를 제어하는 각도 의존성 제어 필름 부재와,
    상기 각도 의존성 제어 필름 부재와 상기 액정 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각도 의존성 제어 필름 부재에서 반사된 상기 각도 의존성 제어 필름 부재로부터의 광을 반사하는 전반사 필름
    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광원은 쐐기형의 단면을 갖는 도광판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반사 필름은 서로 다른 굴절율을 갖는 적어도 2층의 막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반사 필름은 전압이 인가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막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반사 필름은 상기 하부 편광판과 일체화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반사 필름은 상기 전반사 필름의 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수직 방향에 대하여 적어도 소정의 각도로 상기 전반사 필름으로 입사하는 상기 각도 의존성 제어 필름 부재로부터 광을 반사하는 액정 표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반사 필름으로부터 반사된 광은 상기 액정 패널을 조명하는데 재이용하기 위하여 상기 각도 의존성 제어 필름 부재로 되돌아가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9990061591A 1998-12-24 1999-12-24 액정 표시 장치 KR1003599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8-367070 1998-12-24
JP36707098A JP3906956B2 (ja) 1998-12-24 1998-12-24 液晶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8385A KR20000048385A (ko) 2000-07-25
KR100359970B1 true KR100359970B1 (ko) 2002-11-07

Family

ID=18488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1591A KR100359970B1 (ko) 1998-12-24 1999-12-24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191833B1 (ko)
JP (1) JP3906956B2 (ko)
KR (1) KR100359970B1 (ko)
TW (1) TW5316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3177B1 (ko) * 1998-09-19 2005-04-0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블랙막을갖는액정표시장치및그제조방법
EP1186966B1 (en) 2000-03-21 2018-08-08 Citizen Watch Co., Ltd. Electronic unit
JP2001337207A (ja) * 2000-03-21 2001-12-07 Sumitomo Chem Co Ltd 前方散乱シート、それを用いた積層シート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1332799A (ja) * 2000-05-19 2001-11-30 Rohm Co Ltd モールド型半導体レーザ
US7289083B1 (en) * 2000-11-30 2007-10-30 Palm, Inc. Multi-sided display for portable computer
JP2002196312A (ja) * 2000-12-25 2002-07-12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US7348964B1 (en) * 2001-05-22 2008-03-25 Palm, Inc. Single-piece top surface display layer and integrated front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US8384674B1 (en) 2001-01-30 2013-02-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tegrated enclosure/touch screen assembly
KR100765304B1 (ko) * 2001-02-21 2007-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JP2002324420A (ja) * 2001-04-18 2002-11-08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面状光源装置、表示装置、及び、反射シート
US6992659B2 (en) 2001-05-22 2006-01-31 Palmone, Inc. High transparency integrated enclosure touch screen assembly for a portable hand held device
US7142195B2 (en) 2001-06-04 2006-11-28 Palm, Inc. Interface for interaction with display visible from both sides
JP2003076305A (ja) * 2001-08-31 2003-03-14 Casio Comput Co Ltd 紫外線発光装置及び電子機器
US7852430B1 (en) * 2001-11-29 2010-12-14 Palm, Inc. Light guide spacers for backlighting a reflective display
TW558015U (en) * 2002-12-06 2003-10-11 Hon Hai Prec Ind Co Ltd Backlight module
US7236217B2 (en) * 2003-01-16 2007-06-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ackage of optical films with zero-gap bond outside viewing area
KR20040074789A (ko) * 2003-02-19 2004-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TW594253B (en) * 2003-04-25 2004-06-21 Au Optronics Corp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6846089B2 (en) * 2003-05-16 2005-01-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for stacking surface structured optical films
JP2005073852A (ja) * 2003-08-29 2005-03-24 Aruze Corp 遊技機
US7413336B2 (en) * 2003-08-29 2008-08-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 stacking for multiple optical films
GB0322682D0 (en) * 2003-09-27 2003-10-29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Backlight for 3D display device
US7147358B2 (en) * 2003-12-31 2006-12-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ver removal tab for optical products
US8088475B2 (en) * 2004-03-03 2012-01-03 Hitachi, Ltd. Anti-reflecting membrane, and display apparatus, optical storage medium and solar energy converting device having the same, and production method of the membrane
TWI313377B (en) 2004-03-16 2009-08-11 Innolux Display Corp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050238852A1 (en) * 2004-04-23 2005-10-27 Naoki Nakayama Optical products for displays
US7213946B2 (en) * 2004-10-06 2007-05-08 Wen-Pao Tseng Backlight module of a directly lighting backlight device
US7304694B2 (en) * 2005-01-12 2007-12-04 Cree, Inc. Solid colloidal dispersions for backlighting of liquid crystal displays
US7339635B2 (en) * 2005-01-14 2008-03-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e-stacked optical films with adhesive layer
KR100775208B1 (ko) * 2005-04-12 2007-11-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130999A (ko) * 2005-06-14 2006-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선된 도광판, 도광판을 개선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20070003184A (ko) * 2005-06-30 2007-01-0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광시야각과 협시야각의 모드전환이 가능한 액정표시장치 및그 제조방법
JP4772057B2 (ja) * 2005-10-05 2011-09-14 富士通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JP2007121893A (ja) * 2005-10-31 2007-05-17 Olympus Corp 偏光スイッチング液晶素子、およびこれを備える画像表示装置
US7777832B2 (en) * 2005-11-18 2010-08-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ulti-function enhancement film
TWI342448B (en) * 2006-10-16 2011-05-21 Chimei Innolux Corp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KR101348605B1 (ko) * 2006-12-21 2014-01-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컬러 필터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패널
JP4321614B2 (ja) * 2007-03-22 2009-08-26 ソニー株式会社 光透過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表示装置
JP4902431B2 (ja) * 2007-06-07 2012-03-2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面状照明装置
JP5393048B2 (ja) 2007-06-29 2014-01-22 日東電工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積層偏光板ならびに偏光光源装置
KR20090056208A (ko) * 2007-11-30 2009-06-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1264725B1 (ko) * 2008-08-29 2013-05-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8173202B2 (en) * 2009-01-06 2012-05-08 Innovation & Infinity Global Corp. Multi-layer coating structure with anti-reflection, anti-static and anti-smudge function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966640B1 (ko) * 2009-07-01 2010-06-29 주식회사 엘엠에스 통합형 광학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장치
CN201779478U (zh) * 2010-06-30 2011-03-30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背光模组
JP2012032611A (ja) * 2010-07-30 2012-02-16 Sony Corp 立体画像表示装置
TW201227077A (en) * 2010-12-16 2012-07-01 Chunghwa Picture Tubes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backlight module thereof
US8988634B2 (en) * 2011-05-03 2015-03-24 Lg Electronics Inc. Optical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150085035A (ko) * 2012-11-15 2015-07-22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US10706790B2 (en) 2014-12-01 2020-07-0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display module including the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display device or the display module
TWI592722B (zh) * 2016-03-16 2017-07-21 揚昇照明股份有限公司 背光模組以及顯示裝置
CN106908993A (zh) * 2017-03-06 2017-06-30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和液晶显示设备
CN111081168A (zh) * 2018-10-19 2020-04-28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960A (ja) * 1992-07-15 1994-02-10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JPH0675215A (ja) * 1992-08-27 1994-03-18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JPH09133812A (ja) * 1995-11-09 1997-05-20 Nitto Denko Corp 面光源装置
JPH09146093A (ja) * 1995-11-24 1997-06-06 Hitachi Ltd 照明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4228A (en) * 1987-03-24 1989-10-1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Back-lit display
JP3006306B2 (ja) * 1992-09-16 2000-02-07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光学的フイルム及び上記光学的フイルム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US5408344A (en) * 1993-01-11 1995-04-18 Ricoh Company, Inc. Reflection type liquid crystal display with selective reflecting means
US5640216A (en) * 1994-04-13 1997-06-17 Hitachi,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video signal driving circuit mounted on one side and housing
JPH095739A (ja) * 1995-06-22 1997-01-10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導光シ−ト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前記導光シ−ト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及び前記バックライト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US5686979A (en) * 1995-06-26 1997-11-1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Optical panel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reflective and transmissive states
US5696529A (en) * 1995-06-27 1997-12-09 Silicon Graphics, Inc. Flat panel monitor combining direct view with overhead projection capability
US6104454A (en) * 1995-11-22 2000-08-15 Hitachi, Ltd Liquid crystal display
JPH11305011A (ja) * 1998-04-22 1999-11-05 Dainippon Printing Co Ltd レンズフィルム及び面光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960A (ja) * 1992-07-15 1994-02-10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JPH0675215A (ja) * 1992-08-27 1994-03-18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JPH09133812A (ja) * 1995-11-09 1997-05-20 Nitto Denko Corp 面光源装置
JPH09146093A (ja) * 1995-11-24 1997-06-06 Hitachi Ltd 照明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31681B (en) 2003-05-11
JP3906956B2 (ja) 2007-04-18
US6191833B1 (en) 2001-02-20
KR20000048385A (ko) 2000-07-25
JP2000187205A (ja) 2000-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9970B1 (ko) 액정 표시 장치
US773806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671942B2 (en) Transflective LCD device and method having first domain in reflective portion, second and third domains in transmission portion and with additional electrodes in third domain for third storage electrode
KR100268644B1 (ko) 액정표시장치
US5818554A (en) Re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which does not require a back light
US8384861B2 (en) Diffractive liquid crystal display
KR100681764B1 (ko) 투과반사형 액정표시장치
US7559683B2 (en) Backlight assembly, light guiding plate including plurality of discontinuously formed prisms
US20040125298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variable viewing angle
KR20030017406A (ko) 투과반사액정표시장치
KR101432567B1 (ko) 액정표시장치
US8203672B2 (en) Composite polarizing sheet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US20060262569A1 (en)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030031401A (ko)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용 기판 및 그것을 이용한 반사형액정표시장치
US825388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663074B1 (ko) 위상차층을 포함하는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
JPH09146093A (ja) 照明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H11295713A (ja) 液晶表示装置
JPH07287226A (ja) 液晶表示装置
JPH05142538A (ja) 液晶表示装置
JP2000010096A (ja) 液晶表示装置
KR100327444B1 (ko) 투과 및 반사형 겸용 액정표시장치
JP3862054B2 (ja) 液晶表示装置用配向膜の配向処理方法
JP2882965B2 (ja) 反射型液晶表示装置
US20030137625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electronic instru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