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6208A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6208A
KR20090056208A KR1020070123266A KR20070123266A KR20090056208A KR 20090056208 A KR20090056208 A KR 20090056208A KR 1020070123266 A KR1020070123266 A KR 1020070123266A KR 20070123266 A KR20070123266 A KR 20070123266A KR 20090056208 A KR20090056208 A KR 200900562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e
support member
light guide
support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3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호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3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56208A/ko
Priority to PCT/KR2008/007089 priority patent/WO2009069988A2/en
Priority to US12/679,185 priority patent/US8696182B2/en
Publication of KR20090056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62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91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source relative to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68Arrangements of plural sources, e.g. multi-colour light sour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표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표시장치는 플렉서블한 도광판, 도광판의 일 측에 배치되는 광원 및 도광판 및 광원 상에 배치되어, 도광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도광판은 지지부재에 의해서 지지되고, 휘어지지 않기 때문에, 광원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표시장치는 향상된 휘도 균일성을 가진다.
플렉서블, 휘도, 균일성, 액정, 표시장치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실시예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처리기술이 발달됨에 따라서, LCD, AMOLED 및 PDP 등과 같은 평판 표시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장치는 슬림하고, 휘도 균일성이 향상되어야 한다.
실시예는 슬림하고, 휘도 및 휘도균일성이 향상된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플렉서블한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일 측에 배치되는 광원 및 상기 도광판 및 상기 광원 상에 배치되어, 상기 도광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두께가 얇은 도광판을 포함하기 때문에, 슬림하다. 하지만, 도광판이 얇아짐에 따라서, 도광판은 플렉서블해진다.
이에 대하여,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도광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기 때문에, 도광판이 휘어짐에 따라서, 광원과 도광판 사이의 갭이 벌어지거나, 광원과 도광판 사이의 갭이 일정하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슬림하면서도, 휘도 및 휘도균일성이 향상된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는 서로 결합된 도광판, 지지장치 및 발광부기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I-I`선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액정표시장치는 몰드프레임(100), 백라이트 어셈블리(200) 및 액정패널(300)을 포함한다.
상기 몰드프레임(100)은 사각 틀 형상을 가진다. 상기 몰드프레임(100)으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예로서는 플라스틱 또는 강화플라스틱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몰드프레임(100)은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 및 상기 액정패널(300)을 수용한다.
또한, 상기 몰드프레임(100)은 고무계 수지 또는 폴리우레탄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져, 플렉서블(flexible)할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는 광을 발생시켜, 상기 액정패널(300)을 향하여 출사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는 상기 몰드프레임(100) 내측에 배치되며, 반사시트(210), 도광판(220), 발광부기판(230), 발광다이오드(240), 지지장치(250) 및 광학시트(260)를 포함한다.
상기 반사시트(210)는 상기 몰드프레임(100) 내측에 배치된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몰드프레임(100)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시트(210)는 상기 발광다이오드(240)에서 발생하는 광을 상방으로 반사시킨다.
상기 도광판(220)은 상기 반사시트(210) 상에 배치된다. 상기 도광판(220)은 플렉서블하다. 예를 들어, 폴리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poly methyl methacrylate;PMMA), 폴리스티렌(polystyrene;PS) 및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PC) 등의 물질들이 상기 도광판(220)에 사용되고, 상기 도광판(220)의 두께가 0.17 내지 0.18 mm 인 경우, 상기 도광판(220)은 플렉서블하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도광판(220)은 플렉서블한 필름일 수 있다.
상기 도광판(220)은 상기 발광다이오드(240)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입사받아, 반사, 굴절 또는 산란 등에 의해서 상기 액정패널(300)을 향하여 출사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240)는 상기 도광판(220)의 일 측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240)는 광을 발생시키며, 광이 출사되는 출사면(241)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출사면(241)은 상기 발광다이오드(240)가 배치되는 상기 도광판(220)의 측면(이하, 입사면(221))에 대향된다. 또한, 상기 발광다이오드(240)는 상기 발광부기판(230) 상에 실장된다.
상기 발광부기판(230)은 상기 발광다이오드(2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도광판(220)의 일 측에 배치된다. 상기 발광부기판(230)은 상기 도광판(2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기판(230)은 액정표시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메인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240)에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지지장치(250)는 절곡 또는 완곡되어, 상기 광원 및 상기 도광판(220)의 일부를 내측에 수용한다. 상기 지지장치(250)는 제 1 지지부재(251), 제 2 지지부재(252) 및 연결부재(253)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지지부재(251)는 상기 발광다이오드(240) 및 상기 도광판(220)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지지부재(251)는 상기 도광판(220)의 일부를 덮으며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 1 지지부재(251)는 상기 발광다이오드(240) 및 상기 도광 판(220)의 일부를 지지한다. 즉, 상기 제 1 지지부재(251)는 상기 입사면(221)에 대응하는 상기 도광판(220)의 가장자리 영역(이하 지지영역(FR))을 지지한다.
상기 제 1 지지부재(251) 및 상기 도광판(220) 사이에는 양면 테이프 등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제 2 지지부재(252)는 상기 제 1 지지부재(251)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즉, 상기 제 1 지지부재(251) 및 상기 제 2 지지부재(252)는 상기 도광판(220) 및 상기 발광다이오드(24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본다.
상기 제 2 지지부재(252)는 상기 발광다이오드(240) 및 상기 도광판(220)의 하부에 배치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2 지지부재(252)는 상기 발광부기판(230)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지지부재(252)는 상기 발광부기판(230)을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기판(230)은 상기 발광다이오드(240) 및 상기 도광판(220)의 일부를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제 2 지지부재(252)는 상기 발광다이오드(240) 및 상기 도광판(220)의 일부를 지지한다.
상기 연결부재(253)는 상기 제 1 지지부재(251) 및 상기 제 2 지지부재(252)를 연결한다. 상기 연결부재(253)는 상기 제 1 지지부재(251) 및 상기 제 2 지지부재(252)의 끝 단부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제 1 지지부재(251), 상기 제 2 지지부재(252) 및 상기 연결부재(253)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장치(250)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금속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지지장치(250)는 예를 들어, 샤시이다.
즉, 상기 제 1 지지부재(251) 및 상기 제 2 지지부재(252)는 리지드(rigid)하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1 지지부재(251) 및 상기 제 2 지지부재(252)는 상기 도광판(220)보다 리지드하다.
상기 제 1 지지부재(251) 및 상기 제 2 지지부재(252)는 상기 도광판(220)의 상하로 배치되어, 상기 도광판(220)을 지지한다. 더 자세하게, 제 1 지지부재(251) 및 상기 제 2 지지부재(252)는 상기 지지영역(FR)을 지지한다.
또한, 상기 제 1 지지부재(251) 및 상기 제 2 지지부재(252)는 상기 도광판(220)에 각각 상하로 압력을 가하여, 상기 도광판(220)은 상기 지지장치(250)에 고정된다.
상기 광학시트(260)는 상기 도광판(220) 상에 배치된다. 상기 광학시트(260)는 통과하는 광의 특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광학시트(260)는 예를 들어, 편광시트, 확산시트 및 프리즘시트일 수 있다.
상기 액정패널(300)은 상기 광학시트(260) 상에 배치되며, 상기 몰드프레임(100)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액정패널(300)은 통과하는 광의 세기를 영상을 표시하는 단위인 픽셀별로 조절한다. 상기 액정패널(300)은 TFT기판, 컬러필터기판 및 상기 두 기판들 사이에 개재되는 액정층을 포함한다.
상기 액정패널(300)은 연결기판(320)에 의해서 상기 구동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정패널(300)은 플렉서블할 수 있다. 즉, 상기 액정패널(300)은 예를 들어, 필름기판을 포함하여 형성된 TFT기판 및 컬러필터기판 및 상기 두 기판 들 사이에 개재되는 액정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액정패널(300) 상에 실장되어 상기 액정패널(300)을 구동하는 드라이버IC(310)을 포함한다.
상기 도광판(220)의 일부는 상기 제 1 지지부재(251) 및 상기 제 2 지지부재(252)에 의해서 지지된다. 즉, 상기 지지영역(FR)이 상기 제 1 지지부재(251) 및 상기 제 2 지지부재(252)에 의해서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도광판(220)이 플렉서블하더라도 상기 지지영역(FR)이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입사면(221)은 흔들리지 않는다.
따라서, 발광다이오드(240)가 다수 개가 배치되는 경우, 상기 발광다이오드(240)들의 출사면(241)들 및 상기 입사면(221) 사이의 간격은 일정하게 되고,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향상된 휘도균일성을 가진다.
또한, 상기 입사면(221)이 흔들리지 않기 때문에, 상기 입사면(221) 및 상기 출사면(241)은 서로 평행하게 대향될 수 있다. 즉, 상기 입사면(221) 및 상기 출사면(241)이 서로 경사지지 않도록, 상기 지지영역(FR)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입사면(221)을 통하여 보다 많은 광이 입사되고,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향상된 휘도를 가진다.
또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도광판(220)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더라도, 휘도 및 휘도 균일성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슬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몰드프레임(100) 및 상기 액정패널(300)이 플렉서블하고, 상기 도광판(220)이 플렉서블하면,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플렉서블하다. 이때, 상기 도광판(220)이 플렉서블하더라도, 휘도 및 휘도 균일성이 저하되지 않고,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플렉서블할 수 있다.
도 4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 반사부재, 발광부기판, 발광다이오드 및 도광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 2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를 참조하고, 지지장치, 발광다이오드 및 발광부기판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지지장치(250), 반사부재(270), 발광부기판(230), 발광다이오드(240) 및 도광판(22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장치(250)는 절곡 또는 완곡된 제 1 지지부재(251) 및 제 2 지지부재(25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지지부재(251)는 상기 발광다이오드(240) 상에 배치되는 제 1 지지부(251a), 상기 제 1 지지부(251a)로부터 연장되며, 측하방으로 절곡 또는 완곡되는 경사부(251c) 및 상기 경사부(251c)로부터 연장되며, 측방으로 절곡 또는 완곡되는 제 2 지지부(251b)를 포함한다.
상기 경사부(251c)는 상기 제 1 지지부(251a)로부터 경사지며, 상기 제 2 지지부(251b)는 상기 도광판(220)의 지지영역(FR)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지지부재(252)는 상기 발광부기판(23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 3 지지부(252a) 및 상기 제 3 지지부(252a)로부터 연장되며, 두 번 절곡 또는 완곡되 는 제 4 지지부(252b)를 포함한다. 상기 제 4 지지부(252b)는 상기 도광판(220)의 지지영역(FR)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연결부재(253)는 상기 제 1 지지부(251a) 및 상기 제 3 지지부(252a)를 연결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연결부재(253)는 상기 제 1 지지부(251a) 및 상기 제 3 지지부(252a)의 끝 단부에 연결된다.
상기 광원은 상기 제 1 지지부(251a), 상기 연결부재(253) 및 상기 제 3 지지부(252a)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도광판(220)은 상기 제 2 지지부(251b) 및 상기 제 4 지지부(252b)에 의해서 지지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253)의 폭(W)은 상기 제 2 지지부(251b) 및 상기 제 4 지지부(252b) 사이의 거리(T)보다 더 크다. 따라서, 상기 발광다이오드(240)의 높이(H)는 상기 도광판(220)의 두께(T)보다 더 클 수 있다.
상기 반사부재(270)는 제 1 반사부재(271) 및 제 2 반사부재(27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반사부재(271)는 상기 제 1 지지부재(251)의 하면에 배치된다. 즉, 상기 제 1 반사부재(271)는 상기 지지장치(250)의 내측에 배치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1 반사부재(271)는 상기 경사부(251c)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반사부재(272)는 상기 발광부기판(230) 상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반사부재(270)는 상기 지지장치(250) 내측면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장치(250)의 모든 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재(270)는 상기 발광다이오드(240)에서 출사되는 광을 반사시킨 다. 상기 반사부재(270)는 예를 들어, 흰색 도료 또는 잉크일 수 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240)의 높이(H)는 상기 도광판(220)의 두께(T)보다 크기 때문에,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즉, 상기 도광판(220)의 두께(T)에 관계없이 휘도가 높은 발광다이오드(240)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다이오드(240)에서 출사되는 광은 상기 반사부재(270)에 의해서 반사되고, 상기 지지부재 및 상기 발광부기판(230)에 흡수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더 향상된 휘도를 가진다.
또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휘도를 높게 유지하면서, 도광판의 두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더 슬림하다.
도 5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기판, 발광다이오드, 도광판 및 접착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 3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을 참조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발광부기판 및 접착부재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액정표시장치는 지지장치를 포함하지 않고, 리지드한 발광부기판(230)을 포함한다. 상기 발광부기판(230)은 예를 들어, 리지드한 인쇄회로기판이다. 상기 발광부기판(230)은 상기 발광다이오드(240)를 실장하며, 일부가 상기 도광판(220)의 하부에 배치된다.
또한, 액정표시장치는 접착부재(280)를 포함한다. 상기 접착부재(280)는 상기 발광부기판(230) 및 상기 도광판(220)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접착부재(280)는 상기 발광부기판(230) 및 상기 도광판(220)에 접착되어, 상기 도광판(220)을 상기 발광부기판(230)에 접착시킨다.
따라서, 상기 도광판(220)의 지지영역(FR)은 상기 발광부기판(230)에 접착되고, 상기 발광부기판(230)에 의해서 지지되고, 상기 지지영역(FR)은 흔들리지 않는다.
따라서, 제 3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향상된 휘도 및 휘도 균일성을 가지며, 보다 슬림하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는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는 서로 결합된 도광판, 지지장치 및 발광부기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I-I`선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 반사부재, 발광부기판, 발광다이오드 및 도광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기판, 발광다이오드, 도광판 및 접착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Claims (7)

  1. 플렉서블한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일 측에 배치되는 광원; 및
    상기 도광판 및 상기 광원 상에 배치되어, 상기 도광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도광판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제 1 지지부재 및 제 2 지지부재 및 상기 제 1 지지부재 및 상기 제 2 지지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재, 상기 제 2 지지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 내측에 상기 광원 및 상기 도광판의 일부를 수용하는 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서로 마주보는 제 1 지지부재 및 제 2 지지부재;
    상기 제 1 지지부재 및 상기 제 2 지지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제 1 지지부재 및 상기 제 2 지지부재에 연장되어 상기 도광판을 지지하는 제 3 지지부재 및 제 4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의 높이는 상기 도광판의 두께보다 크고, 상기 지지부재 내측에 배치되는 반사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재와 상기 제 3 지지부재 사이 및 상기 제 2 지지부재와 상기 제 4 지지부재 사이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은 절곡 또는 완곡되는 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리지드한 인쇄회로기판이고, 상기 도광판을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하는 접착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0070123266A 2007-11-30 2007-11-30 표시장치 KR2009005620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266A KR20090056208A (ko) 2007-11-30 2007-11-30 표시장치
PCT/KR2008/007089 WO2009069988A2 (en) 2007-11-30 2008-12-01 Display device and backlight unit
US12/679,185 US8696182B2 (en) 2007-11-30 2008-12-01 Display device and backlight unit for improving uniformity of brightne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266A KR20090056208A (ko) 2007-11-30 2007-11-30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6208A true KR20090056208A (ko) 2009-06-03

Family

ID=40679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3266A KR20090056208A (ko) 2007-11-30 2007-11-30 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696182B2 (ko)
KR (1) KR20090056208A (ko)
WO (1) WO2009069988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2174A (ko) * 2010-10-22 2012-05-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225603B1 (ko) * 2010-12-14 2013-01-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KR20140083759A (ko) * 2012-12-26 2014-07-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US9784911B2 (en) 2015-06-15 2017-10-10 Samsung Display Co., Ltd. Backlight assembly including alignment memb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01007B (zh) * 2012-09-05 2015-04-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背光源及液晶显示模组
CN103912824B (zh) * 2013-11-15 2016-06-15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背光源、显示设备
US10399478B2 (en) 2016-06-27 2019-09-03 Roger Donald Dorminey Truck container lift system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06956B2 (ja) * 1998-12-24 2007-04-18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
JP2001256815A (ja) * 2000-03-08 2001-09-21 Seiko Instruments Inc 面光源装置
JP2003534566A (ja) * 2000-05-19 2003-11-18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偏光放出導波板
JP4453200B2 (ja) * 2000-12-27 2010-04-21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チップ型発光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面状発光装置
JP2003036717A (ja) 2001-07-18 2003-02-07 Sony Corp 面状光源
JP2003281924A (ja) * 2002-03-22 2003-10-03 Sony Corp 光源装置、光源装置の製造方法、面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US7405784B2 (en) * 2003-02-12 2008-07-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mpensators for liquid crystal displays with biaxially stretched single film with crystallization modifier
US6965474B2 (en) * 2003-02-12 2005-11-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olymeric optical film
JP2005294137A (ja) * 2004-04-02 2005-10-20 Casio Comput Co Ltd 光源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2174A (ko) * 2010-10-22 2012-05-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225603B1 (ko) * 2010-12-14 2013-01-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KR20140083759A (ko) * 2012-12-26 2014-07-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US9784911B2 (en) 2015-06-15 2017-10-10 Samsung Display Co., Ltd. Backlight assembly including alignment memb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696182B2 (en) 2014-04-15
WO2009069988A3 (en) 2009-08-27
US20100254157A1 (en) 2010-10-07
WO2009069988A2 (en) 2009-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1535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1348247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001405B1 (ko) 액정표시장치
EP2126624B1 (en) Display device comprising a frame formed of a bent metal plate
US20160216435A1 (en) Curved display device
CN106842694B (zh) 背光单元及包括其的显示装置
KR20090056208A (ko) 표시장치
KR20090115523A (ko) 표시장치
KR20070079689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101463683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481836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170073125A (ko) 디스플레이 기기
EP2490067A1 (en) Display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JP2008123931A (ja) 照明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552719B1 (ko) 표시장치
KR101085491B1 (ko) 표시장치
KR20090132252A (ko) 표시장치
KR20110038871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070087339A (ko) 표시장치
KR20090058678A (ko) 표시장치
KR200466966Y1 (ko) 표시장치
KR200466526Y1 (ko) 표시장치
KR20090063464A (ko) 표시장치
KR20090091844A (ko) 표시장치
KR20080051485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