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32252A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32252A
KR20090132252A KR1020080058428A KR20080058428A KR20090132252A KR 20090132252 A KR20090132252 A KR 20090132252A KR 1020080058428 A KR1020080058428 A KR 1020080058428A KR 20080058428 A KR20080058428 A KR 20080058428A KR 20090132252 A KR20090132252 A KR 20090132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backlight assembly
guide member
display device
ligh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8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혁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8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32252A/ko
Publication of KR20090132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22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31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4Light-guides, e.g. fibre-optic bundles, louvered or jalousie light-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표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표시장치는 광을 발생시켜 출사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백라이트 어셈블리 상에 배치되며, 외부의 신호를 입력받는 기판; 기판 상에 배치되는 광가이드 부재; 및 광가이드 부재의 측면 상에 배치되는 반사부재를 포함한다.
터치, LGP, LGF, reflector, 터치, 버튼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실시예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처리기술이 발달함에 따라서, LCD, PDP 및 AMOLED와 같은 표시장치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들은 입력 장치 등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입력 장치 상에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실시예는 전력소모를 감소시키고, 터치 신호 등을 센싱하는 입력 장치의 위치를 선명하게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광을 발생시켜 출사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 상에 배치되며, 외부의 신호를 입력받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광가이드 부재; 및 상기 광가이드 부재의 측면 상에 배치되는 반사부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광을 발생시켜 출사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 상에 배치되는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입사받는 광가이드 부재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백라이트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입사받는 광가이드 부재에 의해서 입력 장치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하나의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에 의해서, 표시패널에 영상을 표시하고, 동시에 입력 장치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소모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반사부재의 배치에 따라서 광가이드 부재에 여러 방향으로 광을 입사시킬 수 있고,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선명하게 입력장치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패널, 부재, 프레임, 플레이트, 시트 또는 기판 등의 구성요소가 각 구성요소의 "상(on)"에 또는 "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on)"과 "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상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분해시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메인 기판 및 서브 액정패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A-A`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B를 확대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액정표시장치는 몰드프레임(100), 백라이트 어셈블리(200), 메인 액정패널(300), 메인 기판(400), 서브 액정패널(500), 차광테이프(600), 라이트 가이드 필름(700), 반사부재(800) 및 표시부재(900)를 포함한다.
상기 몰드프레임(100)은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 및 상기 메인 액정패널(300)을 수용한다. 상기 몰드프레임(100)은 사각 틀 형상을 가지며, 플라스틱 또는 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몰드프레임(100)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몰드 프레임(100)의 강도를 보강하는 샤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는 상기 몰드프레임(100)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는 광을 발생시켜 상방 및 하방으로 출사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는 라이트 가이드 플레이트(210), 발광다이오드(220) 및 제 1 및 제 2 광학시트들(231, 232)을 포함한다.
상기 라이트 가이드 플레이트(210)는 상기 몰드프레임(100)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발광다이오드(220)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입사받아, 산란, 반사 및 굴절 등에 의해서, 상하방으로 출사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220)는 상기 라이트 가이드 플레이트(210)의 측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220)는 광을 발생시켜, 상기 라이트 가이드 플레이트(210)를 향하여 출사한다.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광학시트들(231, 232)은 통과하는 광의 특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광학시트들(231, 232)은 예를 들어, 확산 시트 또는 프리즘 시트일 수 있다.
상기 제 1 광학시트(231)는 상기 라이트 가이드 플레이트(210) 상에 배치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1 광학시트(231)는 상기 라이트 가이드 플레이트(210) 및 상기 서브 액정패널(500)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제 2 광학시트(232)는 상기 라이트 가이드 플레이트(210) 아래에 배치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2 광학시트(232)는 상기 라이트 가이드 플레이트(210) 및 상기 메인 액정패널(300)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메인 액정패널(300)은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 아래에 배치된다. 상기 메인 액정패널(300)은 상기 메인 액정패널(300)로부터 하방으로 출사되는 광의 세기를 픽셀 단위로 조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메인 액정패널(300)은 TFT기판, 컬러필터기판, 상기 두 기판들 사이에 개재되는 액정층 및 상기 TFT기판 상 및 상기 컬러필터기판 아래에 배치되는 편광필터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인 액정패널(300) 상에는 상기 메인 액정패널(300)을 구동하기 위한 제 1 드라이버IC(310)가 실장되어 있다.
상기 메인 기판(400)은 상기 몰드프레임(100)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 상에 배치된다. 상기 메인 기판(400)에는 연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FPCB)이며, 상기 발광다이오드(220), 상기 메인 액정패널(300) 및 상기 서브 액정패널(500)을 구동하기 위한 소자들이 실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메인 기판(400)에는 상기 반사부재(800)에 대응하는 제 1 관통홀(410) 및 상기 서브 액정패널(500)에 대응하는 제 2 관통홀(42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메인 기판(400)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터치 등의 신호를 센싱하는 터치 센서(430)들을 포함한다.
상기 터치 센서(430)들은 손가락 등의 인체의 미세 전압에 대하여, 전위차가 형성되는 전극들이다.
즉, 상기 전극 및 외부의 인간의 신체는 인간의 미세 전위에 대하여, 커패시턴스를 형성한다. 상기 커패시턴스를 센싱하여, 외부의 손가락 등의 터치를 센싱한 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터치 센서(430)들은 압력에 의해서 미세 전류를 생성하는 압전소자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기판(400)은 상기 제 2 관통홀(420)의 내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서브 액정패널(500)에 연결되는 연결부(440)를 포함한다.
상기 서브 액정패널(500)은 상기 제 2 관통홀(420)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서브 액정패널(500)은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로부터 상방으로 출사되는 광을 픽셀 단위로 조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서브 액정패널(500)은 상기 연결부(440)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서브 액정패널(500) 상에는 상기 서브 액정패널(500)을 구동하기 위한 제 2 드라이버IC(510)가 실장된다.
또한, 제 1 연결기판(320)은 상기 메인 액정패널(300) 및 상기 메인 기판(400)을 연결하며, 제 2 연결기판(221)은 상기 발광다이오드(220)를 실장하며, 상기 제 1 연결기판(320)에 연결된다.
즉, 상기 메인 기판(400)은 상기 연결부(440)를 통하여 상기 서브 액정패널(500)에, 제 1 연결기판(320)을 통하여 상기 메인 액정패널(300)에, 및 상기 제 1 연결기판(320) 및 상기 제 2 연결기판(221)을 통하여 상기 발광다이오드(220)에 구동신호들을 인가한다.
상기 차광테이프(600)는 상기 메인 기판(400) 및 상기 몰드프레임(100) 사이에 개재된다. 또한, 상기 차광테이프(600)는 상기 메인 기판(400), 상기 몰드프레 임(100), 상기 제 1 광학시트(231) 및 상기 서브 액정패널(500)에 접착된다.
즉, 상기 차광테이프(600)는 양면 테이프이며, 상기 메인 기판(400), 상기 제 1 광학시트(231) 및 상기 서브 액정패널(500)을 상기 몰드프레임(100)에 접착시킨다.
또한, 상기 차광테이프(600)는 상기 서브 액정패널(500) 및 상기 제 1 광학시트(231) 사이로 새는 광을 차단한다.
상기 차광테이프(600)는 상기 반사부재(800)에 대응하는 제 1 오픈 영역(610) 및 상기 서브 액정패널(500)에 대응하는 제 2 오픈 영역(62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오픈 영역(610) 및 상기 제 2 오픈 영역(620)은 광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한 물질로 형성되거나, 관통홀 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오픈 영역(610)은 상기 제 1 관통홀(410)에 대응하고, 상기 제 2 오픈 영역(620)은 상기 서브 액정패널(500)의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에 대응한다.
상기 라이트 가이드 필름(700)은 상기 메인 기판(400) 상에 배치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라이트 가이드 필름(700)은 상기 터치 센서(430)들 상에 배치된다.
상기 라이트 가이드 필름(700)은 투명 또는 반투명한 필름이며, 상기 라이트 가이드 플레이트(210)로부터 상방으로 출사되는 광을 입사받아, 반사, 굴절 및 산란 등을 통하여 상방으로 출사한다.
상기 라이트 가이드 필름(700)으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예로서는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acrylate;PMMA)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PC)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반사부재(800)는 상기 라이트 가이드 필름(700)의 측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관통홀(410)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또한, 상기 반사부재(800)는 상기 제 1 오픈 영역(610)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상기 반사부재(800)는 상기 라이트 가이드 플레이트(210)로부터 상방으로 출사되는 광을 상기 라이트 가이드 필름(700)의 측면을 향하여 반사시킨다.
상기 반사부재(800)는 금속 플레이트를 절곡 또는 완곡시켜서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반사부재(800)는 투명한 부재의 외부면에 반사층을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부재(800)는 상기 라이트 가이드 필름(700)의 상면에 대하여 경사지는 반사면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부재(900)는 상기 라이트 가이드 필름(700) 상에 배치된다. 상기 표시부재(900)는 상기 터치 센서(430)들의 위치를 표시한다. 더 자세하게, 상기 표시부재(900)는 상기 터치 센서(430)들에 대응하는 투과영역(TA) 및 상기 투과영역(TA) 주위에 형성되는 차광영역(BA)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투과영역(TA)은 광을 통과시키고, 상기 차광영역(BA)은 광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투과영역(TA)은 통과하는 백색광을 필터링하여, 컬러를 가지는 광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라이트 가이드 필름(700)으로부터 상방으로 출사되는 광은 상기 투과영역을 통과하여, 외부에 표시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터치 센서(430)들의 위치가 표시된다.
즉, 상기 표시부재(900)는 상기 라이트 가이드 필름(700)으로부터 상방으로 출사되는 광을 사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재(900)에 의해서 표시되는 영상에 의해서, 상기 터치 센서(430)들의 위치를 식별하고, 액정표시장치에 터치 신호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 발광다이오드(220)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상기 라이트 가이드 플레이트(210)의 측면에 입사된다. 이후, 상기 라이트 가이드 플레이트(210)에 입사된 광의 일부는 상기 제 1 오픈 영역(610) 및 상기 제 1 관통홀(410)을 통하여, 상기 반사부재(800)를 향하여 출사된다.
상기 라이트 가이드 플레이트(210)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상기 반사부재(800)에 의해서 반사되어, 상기 라이트 가이드 필름(700)에 입사된다.
이때, 상기 라이트 가이드 필름(700)에 입사된 광은 상기 투과영역을 통과하여 상방으로 출사된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터치 센서(430)들의 위치를 식별하고,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터치 신호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발광다이오드(220)를 사용하여, 상기 메인 액정패널(300) 및 상기 서브 액정패널(500)에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터치 센서(430)들의 위치를 표시한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터치 센서(430)들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서, 상기 라이트 가이드 필름(700)의 측면 상에 광원을 따로 배치할 필 요가 없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전력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라이트 가이드 필름(700)의 여러 측면으로 광을 입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터치 센서(430)들의 위치를 휘도 균일성을 가지는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일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를 참조하고, 라이트 가이드 필름 및 반사부재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라이트 가이드 필름(700)은 상면에 대해서 경사지는 경사면(710)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경사면(710)은 상기 상면에 약 130 내지 140°로 경사진다.
또한, 상기 라이트 가이드 필름(700)의 일부는 상기 제 1 오픈 영역(610) 및 상기 제 1 관통홀(410) 상에 배치되어, 라이트 가이드 플레이트(210)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직접 입사받는다.
상기 반사부재(810)는 상기 경사면(710) 상에 배치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반사부재(810)는 상기 경사면(710) 상에 코팅되어 형성되는 금속막 또는 흰색 도료막이다.
따라서, 상기 라이트 가이드 필름(700)의 바닥면을 통하여 입사되는 광은 상기 반사부재(810)에 의해서 측방으로 반사된다. 상기 반사된 광은 상기 라이트 가이드 필름(700) 내에서, 반사, 굴절 및 산란 등을 통해서, 상방으로 출사된다.
상기 반사부재(810)는 상기 라이트 가이드 필름(700)에 코팅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분해시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메인 기판 및 서브 액정패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A-A`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B를 확대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일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Claims (15)

  1. 광을 발생시켜 출사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 상에 배치되며, 외부의 신호를 입력받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 1 광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제 1 광가이드 부재의 측면 상에 배치되는 반사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 및
    상기 광원의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발생된 광을 가이드하여, 출사하는 제 2 광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재는 상기 제 2 광가이드 부재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상기 제 1 광가이드 부재를 향하여 반사시키는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가이드 부재 상에 배치되며, 상기 신호가 입력될 수 있는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재는 상기 광이 투과하는 투과영역들을 포함하며,
    상기 기판은 상기 투과영역들에 대응하며, 상기 신호를 센싱하는 센서들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 상에 배치되는 제 1 액정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 아래에 배치되는 제 2 액정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제 1 액정패널 또는 상기 제 2 액정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소자들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기판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반사부재에 대응하는 오픈 영역이 형성된 차광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9. 광을 발생시켜 출사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 상에 배치되는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입사받는 광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상기 광가이드 부재를 향하여 반사시키는 반사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 사이에 개재되며, 관통홀이 형성된 차광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백라이트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광가이드 부재에 입사되는 표시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이드 부재 상에 배치되며, 상기 광가이드 부재로부터 출사되는 광에 의해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백라이트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광가이드 부재에 입사되는 표시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사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이드 부재 상에 코팅되어 형성되며,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0080058428A 2008-06-20 2008-06-20 표시장치 KR200901322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428A KR20090132252A (ko) 2008-06-20 2008-06-20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428A KR20090132252A (ko) 2008-06-20 2008-06-20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2252A true KR20090132252A (ko) 2009-12-30

Family

ID=41691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8428A KR20090132252A (ko) 2008-06-20 2008-06-20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3225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3982A (ko) * 2016-04-29 2017-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차량
US10142671B2 (en) 2016-02-19 2018-11-27 Lg Electronics Inc. User interface apparatus for vehicles and vehicle hav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42671B2 (en) 2016-02-19 2018-11-27 Lg Electronics Inc. User interface apparatus for vehicles and vehicle having the same
KR20170123982A (ko) * 2016-04-29 2017-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9756E1 (en) Display device unit
KR102252444B1 (ko) 표시 장치
US9805630B2 (en) Light guide structures for display backlights
JP5432729B2 (ja) 表示装置
KR20090112118A (ko) 표시장치
US6812974B1 (en) Liquid crystal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2771416A (zh) 电子设备
US20100254157A1 (en) Display Device and Backlight Unit
JP5073854B2 (ja) 液晶表示モジュール
US20150248181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463683B1 (ko) 액정표시장치
US20100118231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518536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090132252A (ko) 표시장치
EP3301356B1 (en) Quantum dot unit, quantum dot sheet hav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quantum dot unit or the quantum dot sheet
JP2008123931A (ja) 照明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US11656490B2 (en) Display device
KR20100077482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037298A (ko) 터치 표시장치
JP2007264686A (ja) タッチパネル、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20150069743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0466526Y1 (ko) 표시장치
KR20210135655A (ko) 일체형 멀티터치 디스플레이 패널
KR20090006278U (ko) 액정표시장치
JP2005276753A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