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9275B1 - 강판제수송용기 - Google Patents

강판제수송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9275B1
KR100359275B1 KR1019950702870A KR19950702870A KR100359275B1 KR 100359275 B1 KR100359275 B1 KR 100359275B1 KR 1019950702870 A KR1019950702870 A KR 1019950702870A KR 19950702870 A KR19950702870 A KR 19950702870A KR 100359275 B1 KR100359275 B1 KR 100359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panels
edge
wall
g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2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0184A (ko
Inventor
미쭈타테루오
테라시마카이헤이
히나코오이치
노지리카쭈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신와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058468A external-priority patent/JP267552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755299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87184A/ja
Priority claimed from JP08708194A external-priority patent/JP3544698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신와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신와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960700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0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9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92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0Large containers rigid parallelepiped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65D19/08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19/12Collapsible 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014Materials for the load supporting surface
    • B65D2519/00024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049Materials for the base surface
    • B65D2519/00059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119Material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reinforcements
    • B65D2519/00129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154Materials for the side walls
    • B65D2519/00164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263Overall construction of the pallet
    • B65D2519/00273Overall construction of the pallet made of more than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283Overall construction of the load supporting surface
    • B65D2519/0028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oad supporting surface made of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313Overall construction of the base surface
    • B65D2519/00328Overall construction of the base surface shape of the contact surface of the base
    • B65D2519/00333Overall construction of the base surface shape of the contact surface of the base contact surface having a stringer-like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398Overall construction reinforcements
    • B65D2519/00432Non-integral, e.g. inserts
    • B65D2519/00452Non-integral, e.g. inserts on th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492Overall construction of the side walls
    • B65D2519/00497Overall construction of the side walls whereby at least one side wall is made of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577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including corner posts, to each other
    • B65D2519/00582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including corner posts, to each other structures intended to be disassembled, i.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 B65D2519/00587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including corner posts, to each other structures intended to be disassembled, i.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side walls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577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including corner posts, to each other
    • B65D2519/00582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including corner posts, to each other structures intended to be disassembled, i.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 B65D2519/00611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including corner posts, to each other structures intended to be disassembled, i.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side walls maintained connected to each other by means of auxiliary locking elements, e.g. spring loaded locking p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636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to the pallet
    • B65D2519/00641Structures intended to be disassemb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636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to the pallet
    • B65D2519/00641Structures intended to be disassembled
    • B65D2519/00661Structures intended to be disassembled side walls maintained connected to pallet by means of auxiliary locking elements, e.g. spring loaded locking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과 해체를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는 층쌓기가 가능하고, 가볍고 요소요소가 고강도의 수송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각의 바닥부재(1)의 사각가장자리에 그립금구(13)를 고정하고, 4장의 사각패널(10)의 하단에 아랫쪽 가로대(12)를 고정하여 1매씩 패널(10)을 아랫쪽 가로대(12)와 대응하는 그립금구(13)와의 끼워 맞춤으로서 결합시켜서 바닥부재(1)의 가장자리 위에 세운다. 세우는 것이 의하여 직교하는 인접한 패널(10)의 코너부를 패널(10)의 양단에 설치한 중공강판의 지주와 같이 끼워맞춤으로 구성되어 이 코너부를 코너금구(30)로 보강한다.

Description

강판제 수송용기
자동차부품 등의 물품을 수납하여 수출 등의 수송에 사용되는 수송용기 중에, 수납한 물품을 안전하고 확실하게 보호하는 강판제로서 조립과 해체가 비교적 간단한 간이조립식의 것이 있다. 예컨대, 일본실용신안출원 소61-72761호(일본실용 신안공개 소62-185295호), 일본실용신안공개 소61-139751호(일본실용신안공개 소63-46329호) 및 일본특허출원 평2-270449호 등에 이와 같은 조립식 강제수송용기의 예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간이조립식 강판제 수송용기는, 사각형 바닥부재의 4 가장자리 위에 사각의 패널을 세워서 사각의 통형상의 측벽을 구성하고 있다. 수송용기의 측벽은 평평한 철판 등으로 이루어진 패널의 내면에 종, 횡 및 비스듬하게 지주나 가로대, 들보를 부착한 것이 통상적이고, 강판제의 바닥재와 측벽의 결합이나 측벽끼리의 결합은 볼트나 태이핑 스크류(tapping screw) 등에 의해 행하여 지고 있다.
이들 조립식 강제수송용기의 다수의 특징 중, 특히 뛰어난 점은 첫째로 상자의 4개의 벽, 즉, 2매의 측면 패널과 2매의 가장자리 패널이 파형(波形) 강판으로만들어져 있다는 것과, 그 때문에 경량으로 강성이 증강된 용기를 만들 수 있다는것, 둘째로 이들 패널이 용기의 바닥구조 상에 세워서 설치하는 데에 못이나 볼트, 나사 등을 사용하지 않고 바닥구조의 4 가장자리에 특히, 설치한 그립(grip)부재(그립앵글)에 패널 아래가장자리를 끼워 넣어 파지시켜서 패널을 바로 세우는 것만으로 설치가 가능하고, 따라서 용기의 조립작업이 현저하게 간단하고 신속하게 행하여 질 뿐 아니라, 분해작업도 간단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어서 재사용하는 데에 아주 적합한 것이다.
그리고, 다리와 동일한 방향으로 세우는 측벽패널을 측면패널이라고 부르고, 다리와 교차하는 방향, 즉 포오크 리프트의 포오크 등이 들어가는 방향으로 세우는 측벽패널을 가장자리패널이라고 부르고 있다.
상기 수송용기에 의하면, 측벽을 구성하는 패널의 내면에 다수의 지주나 가로대를 부착하고 있었으므로, 구성부품수가 많아지고 수송용기의 총 중량이 크게 되어서 용기자체가 고가로 되어, 결과적으로 물품의 수송비가 높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수송용기의 바닥부재와 측벽, 또는 측벽끼리를 접합하는 조립작업이나 조립한 수송용기의 해체작업의 공정수가 많고, 더욱이 용기조립과 해체작업에 특별한 공구류를 필요로 하여, 하나의 수송용기의 조립과 해체에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또, 조립식 강제수송용기의 하나의 특징인 그립앵글(grip angle)은, 본 출원인이 제안한 것으로 조립식 강제수송용기의 바닥의 4변에 따라서 설치되는 것이지만, 특히 그 가장자리 패널용의 그립앵글은 종래 전형적으로 제9도에 도시하는 형상으로 제작되어 왔다.
즉, 긴 판형상을 한 평면부(202)의 바깥쪽에 그립부(203)를 내측에 패널받음벽(204)을 보유하는 그립앵글(201)을 먼저 바닥의 지주로 되는 다리(205)의 윗쪽 개구부를 덮는데 충분한 폭을 가지는 띠판형상의 뚜껑판(206)의 윗면에 스폿용접한다.
다음에, 뚜껑판(206)의 앞가장자리의 반대편으로 접은 부분(207)에 다리(205)의 한쪽의 플랜지(205a)를 끼워 넣고, 또한 뚜껑판(206)의 평면부(206a)를 다리(205)의 다른쪽의 플랜지(205b)에 스폿용접하여, 다리(205)와 뚜껑(206)을 결합하는 것에 의해, 바닥의 가장자리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제10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리(205)의 윗면에 뚜껑판(206)을 통하여 단단히 설치한 그립앵글(201)의 그립부(203)와 패널받음벽(204)과의 사이에 가장자리패널(210)의 아래쪽 가로대(211)의 돌출한 가장자리(211a)를 끼워 넣는 것에 의해 가장자리패널(210)을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발 명 의 개 시
가장자리 패널(210)을 지지하는 그립앵글(201)을 상기와 같이 형성하면, 그립앵글(201)을 받침대 다리(205)에 고정하는 경우, 그립앵글(201)을 뚜껑판(206)에 스폿용접한 후, 이 뚜껑판(206)을 다리(205)에 고정하지 않으면 안되고, 부품수 및 작업공정이 많아져서 가격상승으로 연결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음과 아울러, 다리(205)의 윗면에 뚜껑판(206) 및 그립앵글(201)을 고정하고, 바닥의 가장자리부분을 형성하면, 이 부분의 중량이 무겁게 된다는 문제도 있고, 이와 같은 종래의방식은 자재의 절약, 제작공정수의 감소, 용기전체의 경량화 등의 관점에서 보면 개선의 여지가 더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바는 경량이면서 값이 싸고, 특히 단단하면서 조립과 해체가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숙련자가 아니라도 간단하게 행하도록 한 간이조립식의 강판제 수송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아래면에 미끄럼재료를 보유하는 사각형의 바닥부재의 가장자리에 패널을 세우고 직교하는 각 패널의 양단을 서로 접합시켜서 사각형상의 측벽을 구성한 수송용기로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바닥부재의 가장자리에 바닥재 안쪽으로 굴곡한 굴곡부를 보유하는 그립금구를 고정하고, 각 패널의 하단에 그립금구의 굴곡부에 박고 뽑을 수 있게 끼우게 되는 아래쪽 가로대를 고정하여, 그립금구와 아래쪽 가로대의 끼워맞춤에 의해 바닥부재의 가장자리 위에 패널을 세우는 것과 아울러, 적어도 마주보는 패널의 양단에 이 패널과 직교하여 인접하는 패널의 가장자리부분이 박고 뽑을 수 있게 끼우게 되는 중공구조의 지주를 일체로 부착하여 기립시킨 각 패널의 직교하는 끝부분 사이를 지주를 통하여 결합한다.
상기 패널은 주요부가 파형강판인 것, 중공구조의 지주와 가로대의 골조만의 것도 사용된다. 또, 수송용기의 용도에 대응하여 바닥부재와 패널 사이나 패널끼리의 사이에 각종의 보강부재가 적용된다.
사각의 바닥부재의 네 가장자리 위에 패널을 세우는 작업은, 바닥부재의 마주보는 두 가장자리의 그립금구의 굴곡부에 대응하는 패널의 아래쪽 가장자리를 끼워서 2매의 패널을 일으켜 세우고, 다음에 바닥부재의 나머지 두 가장자리의 그립금구의 굴곡부에 대응하는 패널의 아래쪽 가장자리를 끼워서 2매의 패널을 세우고, 인접하는 패널을 지주를 통하여 접합함으로써 행할 수 있으므로, 수송용기의 조립작업이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 또한 숙련공이 아니라도 간단하게 단시간에 행할 수 있다. 또, 조립과 반대의 작업인 수송용기의 해체도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단시간 내에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직교해서 인접하는 패널의 코너부의 지주를 끼우는 구조의 중공강판으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패널 사이의 접합이 용이하게 되고 패널간의 코너부의 강도가 증대하여 수송용기의 적층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은, 자동차부품의 수송 등에 사용되는 간이조립식의 강판제 수송용기 등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개량 그립앵글을 보유하는 조립식 강판제 수송용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관한 기초 바닥의 사시도.
제3도는 개량 그립앵글과 받침대 다리를 도시하는 부분단면측면도.
제4도는 그립앵글과 받침대 다리를 도시하는 부분단면측면도.
제5도는 다른 개량 그립앵글과 받침대 다리를 도시하는 부분단면측면도.
제6도는 다른 그립앵글과 받침대 다리를 도시하는 부분단면측면도.
제7도는 다른 그립앵글과 받침대 다리를 도시하는 부분단면측면도.
제8도는 제6도에 도시하는 개량 그립앵글과 받침대 다리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제9도는 종래의 그립앵글과 받침대 다리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10도는 종래의 그립앵글에 의해 측면패널을 지지한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단면도.
제11도는 제1도 수송용기의 패널과 코너금구의 분해사시도.
제12도는 수송용기의 변형예의 분해사시도.
제13도는 바닥부재의 그립금구의 측면도.
제14도의 (A)는 조립하기 전의 두개의 지주의 사시도, (B)는 끼워 맞춤에 의해 각 파이프 형상으로 일체화 된 지주의 사시도.
제15도는 코너금구의 변형예의 사시도.
제16도는 코너금구의 변형예의 사시도.
제17도는 코너금구의 변형예의 사시도.
제18도는 본 발명에 관한 강판제 수송용기의 사시도.
제19도는 본 발명에 관한 강판제 수송용기의 바닥부분의 사시도.
제20도는 본 발명에 관한 양쪽 측면 받침대의 단면도.
제2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측면 패널과 양쪽 측면 받침대의 결합 상태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22도는 본 발명에 관한 강판제 수송용기의 코너의 하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23도는 본 발명에 관한 강판제 수송용기의 하부의 측면도.
제24도는 본 발명에 관한 강판제 수송용기의 하부의 단면도.
제25도는 본 발명에 관한 측면 패널과 가장자리 패널과의 결합부를 도시하는분해 사시도.
제26도는 본 발명에 관한 양쪽 측면 받침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27도는 본 발명에 관한 양쪽 측면 받침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28도는 본 발명에 관한 강판제 수송용기의 적층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29도는 본 발명에 관한 양쪽 측면 받침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30도는 본 발명에 관한 양쪽 측면 받침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3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양쪽 측면 받침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32도는 본 발명에 관한 양쪽 측면 받침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33도는 본 발명에 관한 양쪽 측면 받침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34도는 본 발명에 관한 양쪽 측면 받침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35도는 종래의 강판제 수송용기의 사시도.
제36도는 종래의 강판제 수송용기의 바닥부분의 사시도.
제37도는 종래의 강판제 수송용기의 측면 패널과 측면 그립금구의 결합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38도는 종래의 강판제 수송용기의 가장자리 패널과 가장자리 그립금구와의 결합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수송용기의 각종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8도에 따라서 그립앵글을 개량한 조립식 강제 수용용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조립식 강제 수송용기는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여러개의 다리(216)를 구비한 기초바닥(215)위에 1쌍의 측면패널(220A),(220B)과 가장자리 패널(221A),(221B)을 세우고 또한 측면패널과 가장자리 패널(221A),(221B)의 양측을 결합시켜서 측벽을 구성하고 각 코너부에 코너금구(222)를 장착하여 측면패널(220A),(220B)사이에 들보(223)를 장착한 구조로 되어 있다.
기초바닥(215)은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여러개의 다리 (216)(도시예에서는 3개) 를 간격을 두고 병렬로 설치하고 이 끝부분 윗면에 가장자리패널(221A),(221B)지지용으로서 종래와 동일하게 평면부(202)의 외주에 그립부(203), 내측에 패널받음벽(204)를 형성한 그립앵글(201)을 가교한 후 고정하고 외측에 위치하는 다리(216) 위에 측면패널(220A),(220B) 지지용으로서 본 발명에 관한 개량 그립앵글(225)을 고착하고 그 후 파도형 아연강판 등으로 이루어진 바닥판(224)을 길게 설치하여 구성된다.
상기 개량 그립앵글(225)은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측의 각다리(216) 외플랜지(216a)와 내플랜지(216b)의 폭을 덮는데 충분한 폭을 가지는 1매의 띠판 형상을 한 지지판(226)의 앞 가장자리에 소정 간격으로 하향굴곡부(227)와 그 사이에 수개의 상향굴곡부(230)를 형성하고 있다. 상향굴곡부(230)는 측면패널(220A),(220B)의 아래쪽가로대(턱)(233)의 돌출된 가장자리(233a)를 붙잡는 그립부로 되는 것으로 지지판(226)의 평면부(226a)에 대하여 직접 예각을 이루어서 안쪽 상향으로 경사시켜서 형성된다.
이 상향굴곡부(230)로부터 안쪽으로 수개의 패널받음부(231)를 절단하여 세운것에 의해 직립시키고 있다.
상기 개량 그립앵글(225)에 의해 기초바닥(215)의 측면부를 형성함에는 하향굴곡부(227)와 상향굴곡부(230)를 절단하여 세우고 패널받음부(231)를 형성한 지지판(226)을 직접 다리 (216)에 결합한다.
즉, 하향굴곡부(227)속에 점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리(216)의 외플랜지(216a)를 삽입하고, 내플랜지(216b)를 지지판(226)의 평면부 안쪽에 결합하는 것에 의해 개량 그립앵글(225)과 다리(216)를 일체화하여 기초바닥의 측면부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기초바닥(215)의 측면부를 형성하면 이 부분을 지지판(226)으로 이루어진 개량 그립앵글(225)과 다리(216)만으로 형성할 수 있고, 종래와 같이 뚜껑판(206)을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부품수가 감소하고 제조공정의 간략화가 도모된다.
또, 지지판(226)의 평면부(226a)의 후방부는 패널받음벽(231)을 절단하여 세운것에 의해 절단구멍(232)이 형성되어 있어 그만큼 경량화되어 있고 또한 부품수도 감소하기 때문에 측면부분의 경량화도 도모된다.
상기와 같이 해서 형성된 기초바닥(215)위에 세워서 설치되는 측면패널 (220A), (220B) 은 종래의 것과 동일하여도 좋고, 아래쪽 가로대(233)와 윗쪽 가로대(234)의 사이에 파형 강판(235)을 설치하고, 양쪽 옆으로 단면 ㄷ자형의 측면기둥(241)을 결합한 구조이고, 파형강판(240)은 산과 골의 연속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 가장자리 패널(221A),(221B)의 측면기둥(241)의 치수는, 측면패널의 측면기둥(236)을 껴안은 치수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초바닥(215)에 측면패널(220A),(220B) 및 가장자리 패널(221A),(221B)를 세워서 조립식 강제 수송용기를 형성함에는 먼저 기초바닥(215)의 개량 그립앵글(225)의 상향굴곡부(230)와 절단하여 세운 것에 의해 형성된 패널받음벽(231)과의 사이에 측면 패널(220A),(220B)의 아래쪽 가로대(233)를 조금 외측으로 뉘여서 삽입하고 상향굴곡부(230)에 아래쪽 가로대(233)의 돌출한 가장자리(233a)가 맞물려 들어가도록 넣어서 측면패널(220A), (220B)을 세우고 아래쪽 가로대(233)의 곧은벽(233B)을 패널받음벽(231)에 압접시켜, 측면패널 (220A),(220B)을 안정한 상태로 직립시킨다. 측면패널(220A), (220B)은 기초바닥(215)위에 마주보게 세워지고, 이어서 이 측면패널(220A), (220B)의 양옆을 막도록 가장자리 패널(221A),(221B)이 1쌍으로 세워진다.
이 측면패널(221A),(221B)도 처음에는 조금 바깥쪽으로 뉘어서 그 아래쪽 가로대(237)가 그립앵글(201)의 그립부(203)의 아래로 맞물려 들어가도록 넣어서 직립시키고, 가장자리 패널(221A),(221B)의 측면 기둥(241)이 측면패널(220A),(220B)의 측면기둥(236)의 외측을 껴안도록 결합시킨다. 이것에 의해, 기초바닥(215)의 네 변 위에 패널 네 장이 통형상으로 세워지고, 통의 네 구석에는 단면이 ㅁ자형상인 측면기둥부가 형성되어 있다. 뒤는 측면패널(220A),(220B)과 가장자리 패널(221A),(221B)과의 코너부에 코너금구(222)를 장착한 후, 측면패널(220A),(220B) 사이에 들보(223)를 씌워서 수송용기를 완성한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상향굴곡부(230)는 지지판(226)의 평면부(226a)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어서 직접 안쪽 상향으로 경사지게 하는 이외에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부(226a)로부터 한 끝부분을 대략 직각으로 윗쪽으로 굴곡한 후, 윗쪽 가장자리 근처를 안쪽 아래방향으로 굴곡한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또, 가장자리측의 그립앵글(201)의 그립부(203)는 연속된 길이의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적당한 소정의 간격으로 절단하여 간헐구조를 하여도 좋고, 또 직각으로 세워올려서 안쪽 하향으로 굴곡한 종래형의 그립부(203)가 아니고,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부(202)에 대하여 직접 안쪽 상향으로 경사지게 한 그립부로 하여도 좋다.
개량 그립앵글(225)에 있어서, 측면패널(220A),(220B)이 세워져 있어도 패널받음벽(231)이 흔적이 절단된 부분(244)에서 용기 내로 물 등의 침입이 생기는 일이 있다. 그래서 높은 방수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지지판(226)의 평면부(226a)를 윗쪽으로 굴곡하여 톱날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패널받음벽(245)을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한 개량 그립앵글(246)을 형성한다.이 패널 받음벽(245)은 상향굴곡부(230) 측면을 수직면으로 한다.
상기 개량 그립앵글(246)에서는 세워진 측면 패널(220A),(220A)의 아래쪽 가로대(233)와의 사이에서 물이 침입하여도 개량 그립앵글(246)의 패널받음벽(245)에서 침입이 방지되어 용기 내로 들어가는 일이 없다.
또, 패널받음벽(245)이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고 더욱이 톱날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있으므로 굽힘 강도가 강하게 되어 측면측 뿐만 아니라, 가장자리 측에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1매의 지지판의 앞가장자리를 하향굴곡부과 상향굴곡부로 가공하고, 평면부로부터 패널 받음벽을 절단하여 세운 것에 의해 직립시켜 개량 그립앵글을 구성할 수 있고, 이 개량 그립앵글을 사용하여 기초바닥을 구성하면 종래의 조립식 강제 수송용기에 비하여 재료의 소량화, 제작 공정수의 삭감, 수송용기의 경량화를 가능하게 하고 이런 종류의 수송용기의 가격인하를 도모할 수 있다.
또, 개량 그립앵글의 패널받음벽을 톱날 형상으로 굴곡한 것에 의해 물 등의 침입을 방지하여 내수성이 높은 조립식 강제 수송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인접한 패널간의 코너부는 다음에 기술하는 코너금구로 보강된다. 코너금구(30)는 예컨대 제11도에 도시하는 것 같은 구조로 삼각형의 윗쪽벽(31)의 직교하는 경사면을 아래쪽으로 굴곡하여 측벽(32)를 형성하고, 측벽(32)의 일부를 절단하여 아래쪽으로 뻗는 걸림편(33)을 형성하고 있다. 윗쪽벽(31)의 직각 코너부분에는, 후술하는 용기의 위치를 규제하는 용도의 돌기(34)가 형성되고, 측벽(32)의 내측면에는, 패널(10)의 윗쪽가로대(13)의 외측 하단에 걸리게 되는 돌기(35)가형성된다.
인접하는 패널(10)의 코너부의 바로 위로부터 코너금구(30)를 씌우고 걸림편(33)을 인접 패널(10)의 윗쪽가로대(13)의 슬릿(26)에 삽입한다.
코너금구(30)의 윗쪽 벽(31)이 윗쪽 가로대(13)에 고정되면 측벽(32)의 돌기(35)가 윗쪽 가로대(13)의 아래 끝부분의 가장자리에 걸리게 되고 코너금구(30)의 뽑힘이 방지된다.
코너금구(30)는 직교하여 인접하는 측면패널(10S)와 가장자리 패널(10e)의 분리를 방지하여 직교하는 코너부를 보강한다.
다음에 제12도 내지 제14도에 따라 그립금구의 변형예와 지주의 끼워맞춤 구조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제12도 내지 제1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립금구(3a)는 바닥부재(1)의 4변을 따라서 동일한 단면으로 뻗어 있고, 패널(10e),(10s)의 하단 내면을 지지하는 수직한 수직벽(5a)과 수평한 아래벽(6a)과, 역V자 형상으로 절곡된 굴곡부(7a)를 보유한다. 굴곡부(7a)의 기단부(基端部)는 아래벽(6a)의 외측으로부터 수직방향 윗쪽으로 끌어서 나오게 하고 또 굴곡부(7a)의 선단부는 바닥부재(1)의 안쪽방향 아래로 향해서 비스듬하게 끌어서 나오게 하고 있다. 이 그립금구(3a)에서는 굴곡부(7a)의 기단부가 수직으로 뻗어 있기 때문에 이 부분에 의해서 그립금구(3a)의 상하방향의 굽힘 강성, 나아가서는 바닥부재(1)의 굽힘 강성을 증대할 수 있다. 패널(10e),(10s)를 바닥부재(1)의 4변상에 세우는 것은 앞에서 기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3도의 점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널(10e),(10s)을 비스듬하게 하여 그 하단을 그립금구(3a)의 아래벽(6a)상에 올려놓은 후, 패널(10e),(10s)를 화살표 방향으로 세워서 수직으로 한다. 이에 의해, 패널(10e),(10s)하단에서 수평방향 바깥으로 돌출한 하단면(22)의 선단이 굴곡부(7a)의 내측으로 끼워 맞춰져서 패널(10e),(10s)하단이 바닥부재(1)에 결합된다. 제14도(A),(B)는 지주의 끼워맞춤 구조의 변형예로서 패널(10e),(10s)의 끝부분이 고정된 지주(14a),(15a)의 단면형상을 함께 ㄷ자형으로 하고, 양쪽지주(14a), (15a)를 제14도(A)의 상태로부터 (B)의 상태로 상호 끼워 맞추는 것에 의해 지주(14a),(15a)를 각이 진 중공파이프 형상의 일체화 된 공통지주로 하도록 한 것이다.
이에 의해 지주의 주위가 닫혀진 구조, 이른바 폐구조로 되어서 그 강도의 증대가 도모된다. 지주(14a),(15a)에는 한쪽에 돌기(24a)을 형성함과 아울러 다른쪽에 구멍(25a)을 형성한다. 이들 돌기(24a)와 구멍(25a)의 조합은 지주(14a), (15a)의 상하방향에 필요한 수를 배치하고 설치한다. 돌기(24a)와 구멍(25a)을 끼워맞추는 것에 의해 지주(14a),(15a)의 일체구조가 견고하게 되고 또 지주(14a),(15a)가 쉽게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에 코너금구(30)의 변형예를 제15도 내지 제17도에 따라 설명한다. 앞에 기술한 제11도의 코너금구(30)에서는 윗쪽벽(31)의 보강은 특별한 대책이 없었으나, 강도가 요구되는 경우는 제15도 내지 제17도의 각 코너금구(30)과 같이 윗쪽벽(31)에 보강용의 오목리브(95)를 형성한다. 이에 의해 수송용기를 쌓아 올리는데 사용하여도 코너금구의 변형을 일으키지 않고 수용용기의 왜곡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윗쪽 가로대(13)에 대한 코너금구(30)에 걸리는 합력을 강화함에는제16도와 같이 측벽(32)내면에 돌기(35) 외에 또 다른 돌기(96)을 형성하던가, 제17도와 같이 걸림편(33)의 외측면에 돌기(99)를 형성한다. 이들 빠짐을 방지하는 구조는 단독으로 채용하여도 좋고 복수의 구조를 병합해서 채용하여도 좋다.
다음에 제18도 내지 제32도에 따라서 별도의 강판제 수송용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수송용기는 다리 위에 아래벽부재를 부착한 허리아래의 주변에 강판으로 형성한 패널을 세워서 아래벽부재와 패널 및 패널끼리를 결합시켜서 구성하는 형식의 강판제 수송용기이다.
강판제수송용기는 일반적으로 제3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리 (302A),(302B),(303)를 구비한 바닥부분(301)의 주변에 패널(304A),(304B),(305A),(305B)를 세워서 결합하고 각 통형상의 상자형으로 조립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강판제 수송용기에서는 다리(302A),(302B),(303)와 동일한 방향으로 세우는 패널(304A),(304B)를 측면패널이라고 부르고, 다리(302A),(302B),(303)와 교차하는 방향 즉 포오크 리프트의 포오크 들어가는 방향으로 세우는 패널(305A),(305B)를 가장자리 패널이라고 부르고 있다. 바닥부분(301)은 제3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리(302A),(302B),(303)와, 가장자리 패널(305A),(305B)을 세우는 가장자리 그립금구(306),(306) 아래벽 부재(307)로 구성되어 있다. 중간에 배치되는 다리(303)는 모자모양형 강재로 구성되어 있다. 양단에 배치되는 다리(302A),(302B)는 양쪽 측면이라고 부르고, 제3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자모양 강재(310)와 평강재를 프레스가공으로 성형한 측면 그립금구(311)로 구성된다.
측면그립금구(311)는, 한쪽의 끝가장자리에 절단하여 구부린 편(312),(313)을 형성하고, 조금 안쪽에 절단하여 세운 편(314)을 형성하고 있다. 이 측면그립금구(311)는, 모자모양 강재(310) 위에 올려놓고, 아래로 절단하여 구부린 편(312)을 한쪽의 턱(鍔)(310a)에 끼워서 결합하고, 평판부(311a)를 다른쪽의 턱(310b)에 스폿용접하여 하나로 결합하고 있다. 윗쪽으로 구부린 편, 즉 절단하여 세운 편(313)은 측면판넬(304A),(304B)를 결합한 때의 빠짐방지편으로 되고, 절단하여 세운 편(314)은 측면판넬(304A),(304B)의 삽입의 안내와 자립을 보조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
가장자리 그립금구(306)는 제38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립형 강재의 립(306a)의 위쪽 끝부분을 안쪽으로 구부려서 가장자리판넬(305A),(305B)의 빠짐방지편(315)을 형성하고, 수직편(306b)에서 가장자리판넬(305A),(305B)의 삽입의 안내와 자립을 보조하도록 하고 있다. 이 가장자리 그립금구(306)는 두개의 측면받침대(302A),(302B) 및 받침대다리(303)의 양단에 걸쳐서 결합된다.
아래벽부재(307)는 강판을 파도형상으로 성형한 파도판넬을 사용하고 있고, 두개의 측면받침대(302A),(302B)위의 측면 그립금구(311)의 평판부(311a) 및 받침대다리(303)위에 놓아서 스폿용접에 의해 하나로 결합된다.
측면판넬(304A),(304B) 및 가장자리판넬(305A),(305B)는 어느것이나 파도판넬(316a),(317a)에 아래쪽 가로대(316b),(317b) 및 윗쪽 가로대(316c),(317c), 두개의 지주(316d),(317d)를 일체로 부착한 구조로 되어 있다.
위 강판제 수송용기의 조립은, 허리아래(301)에 대하여 한쪽의측면판넬(304A)을 제37도의 요령으로 외측으로 비스듬하게 넘긴 상태에서, 하부에 설치된 아래쪽 가로대(316b)를 측면 그립금구(311)의 절단하여 구부린 편(313)과 절단하여 세운편(314)내에 삽입한 후 세운다. 이때, 측면패널(304A)는 측면그립금구(311)의 절단하여 구부린 편(313)에서 윗쪽으로 빠지는 것이 방지되고, 절단하여 세운 편(314) 에서 수직으로 그대로 지지된다. 다음에, 다른쪽의 측면판넬(304B)를 상기 요령으로 동일하게 세운다.
다음에 한쪽의 가장자리 판넬(305A)을 제38도에 도시하는 요령으로, 바깥쪽으로 비스듬하게 넘긴 상태에서, 하부에 설치한 아래쪽 가로대(317b)를 가장자리 그립금구(306)의 그립(306a)과 수직편(306b)내로 삽입한 후 세워서, 양측에 부착된 지주(317d),(317d)를 측면판넬(304A),(304B)에 부착된 지주(316d),(316d)에 끼워서 맞춘다. 이 상태에서는 가장자리 판넬(305A)은 가장자리 그립금구(306)의 빠짐방지편(315)에서 위로 빠짐을 방지하고, 수직벽(306b)에서 수직으로 그대로 지지된다. 다음에 다른쪽의 가장자리 판넬(305B)을 상기 요령으로 동일하게 일으켜 세운다. 최후에 각 코너부에 코너금구(320)를 장착하고, 측면판넬(304A),(304B)간에 들보(321)를 장착하여 조립을 완료한다.
종래의 강판제 수송용기는, 측면판넬(304A),(304B) 및 가장자리판넬(305A),(305B)를 바닥부분(301)위에 올려놓은 상태로 세워서 조립하고 있고, 용기를 적층해서 사용하던가, 윗부분으로부터 큰 힘으로 압축되면, 받침대다리(303)나 양단의 측면받침대(302A),(302B) 등이 찌그러져서, 화물이 무너질 수 있다.
또, 두개의 측면받침대(302A),(302B)는 모자형 강재(310)와 측면 그립금구(311)를 결합시켜서 구성하고 있고, 부품의 수가 많아지고, 조립공정수가 많아지고 있고, 제조가격이 높게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양단의 골재를 1매의 강재로 제작하여, 부품수 및 조립공정수의 삭감을 도모하고, 제조가격을 내림과 아울러, 윗쪽으로부터의 하중에 대한 내압강도를 향상시킨 강판제 수송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제18도∼제3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강판제 수송용기는, 제18도∼제19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받침대다리(323) 및 양쪽의 측면받침대(324A),(324B)및 파동형판 패널(327)을 구한 바닥부분(322)에 1쌍의 측면패널(325A),(325B)와 가장자리 패널(326A),(326B)를 세우고, 측면패널(325A),(325B)과 가장자리 패널(326A),(326B)의 양측을 결합하여 측벽을 구성한 것으로, 바닥부분(322)에 사용되는 양쪽 측면 받침대(324A),(324B)를 개량한 것이다. 측면패널(325A),(325B)은 종래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고, 제18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도형판 패널(325a)의 하단에 L자형의 아래쪽 가로대(325b)를 일체로 부착하고, 상단에 갈고리형의 윗쪽 가로대(325C)를 일체로 부착하고, 양측에 지주(325d),(32d)를 일체로 부착하고 있다. 지주(325d),(325d)는 ㄷ자형 단면을 보유하고, 외측끝에 제2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물림편(325e)을 형성하고 있다. 가장자리 패널(326A),(326B)도 종래와 동일한 구성을 보유하고, 파도형판 패널(326a)의 하단에 L자형의 아래쪽 가로대(326b)를 부착하고 상단에 갈고리형의 윗쪽 가로대(326c)를 부착하고, 양측에 ㄷ자형 단면의 지주(326d), (326d)를 부착하고 있다. 또, 이 지주(326d),(326d)에는 측면 패널(325A),(325B)의 지주(325d),(325d)에 형성된 물림편(325e)이 관통하는 슬롯(326e)를 형성하고 있다. 다만, 측면패널(325A),(325B)은 가장자리 패널(326A),(326B)보다 길이가 길게 되어 있다.
양쪽 측면 받침대(324A),(324B)는 같은 구조를 보유하고, 그 한쪽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19도 및 제20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홈형 강재(330)의 한쪽의 서 있는 부분(330a)을 적당한 높이로 윗쪽을 비스듬하게 아래로 구부려서 빠짐방지편(331)을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또 다른쪽의 서 있는 부분선단을 바깥쪽으로 구부려서 수평의 플랜지(330b)를 성형하고 있다. 빠짐방지편(331)은 양끝의 폭이 측면 패널(325A)의 지주(325d),(325d) 사이보다 짧게되어 있고 제23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측면패널(325A)을 조립한 때에 빠짐방지편(331)과 지주(325d)와의 사이에 간격(332)이 생기도록 한다. 이것은 측면 패널(325A)를 조립할 때에 아래쪽 가로대(325b)를 빠짐방지편(331)에 끼우기 쉽게 하기 위한 것으로, 2∼3밀리 정도의 간격(틈새)이 생기도록 한다.
측면패널(325A)은 바깥쪽으로 조금 기울게 한 상태로 제21도 및 제2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래쪽 가로대(325b)를 양쪽 측면 받침대(324A)를 구성하는 홈형강재(330)의 서 있는 부분(330a)과 다른쪽의 서 있는 부분내에 삽입하여 얹어 놓은 후 세워서 아래쪽 가로대(325b)를 빠짐방지편(331)내에 끼워 넣는다.
다음에, 동일하게 하여 측면패널(325B)을 두개의 측면받침대(324B)위에 세운다. 다음에 제22도 및 제23도에 도시하듯이 가장자리 패널(326B)을 바깥쪽으로 약간 기울인 상태로 아래쪽 가로대(326b)를 바닥부분(322)를 가장자리 끝부분에 설치된 가장자리 그립금구(333)에 삽입하고, 얹어 놓고 세워서 아래쪽 가로대(326b)를 빠짐방지편(334) 내에 끼워 넣는다. 그리고, 세울 때에 가장자리 패널(326A)의 지주(326d)를 측면 패널(325A),(325B)의 지주(325d),(325d)에 끼워 맞추고, 또한 물림편(325e)을 슬릿(326e)에 끼워 넣는다. 다음에 동일하게 하여 가장자리 패널(326B)를 세워서 측면 패널(325A),(325B)에 결합시킨다. 최후에 제25도에 도시하듯이, 측면패널(325A)와 가장자리 패널(326A)과의 코너부에 코너금구(335)를 씌우고, 코너금구(335)의 교차부에 돌기편(335a),(335b)을 측면패널(325A),(325B)의 윗쪽 가로대(325c) 및 가장자리 패널(326A),(326B)의 윗쪽 가로대(326c)에 형성된 물림구멍(325f),(326f)에 삽입한다. 최후에 측면 패널(325A),(325B) 간에 들보(336)를 장착하여 조립을 완료한다. 조립을 완료한 수송용기는 측면 패널(325A)이 제21도에 도시하는 화살표 방향으로 밀리는 경우, 지주(325d)가 양쪽 측면 받침대(324A)의 빠짐방지편(331)에 닿아서 그 이상 밀리지 않는다.
또, 측면 패널(325A),(325B)의 지주(325d)와 측면패널(326A)(326B)의 지주(326d)를 끼워맞춤에 의해 지주가 각이 진 파이프형상으로 되므로 강도가 강해진다. 더욱이 측면패널(325A),(325B)이 양쪽 측면 받침대(324A),(324B)위에 세워지므로 양쪽 측면 받침대(324A),(324B)가 찌그러지지 않고 내압강도도 대단히 높다. 또, 측면 패널(325A),(325B)의 지주(325d)에 설치된 물림편(325e)과 가장자리 패널(326A),(326B)의 지주(326d)에 설치된 슬롯(326e)과의 조립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밀림을 일으키는 일도 없다. 양쪽 측면 받침대(324A),(324B)는빠짐방지편(331)을 연속해서 형성하는 외에 제26도에 도시하듯이, 짧은 치수의 빠짐방지편(340)을 단속적으로 여러 개를 형성하여도 좋다.
또 코너금구(325)에는 제18도 및 제25도에 도시하듯이, 수송용기를 층으로 쌓아 올릴 때에 상부의 수송용기의 위치가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337)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수송용기의 바닥부분(322)의 양쪽 측면 받침대(324A),(324B)에는 제2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의 돌기(337)가 들어가는 위치결정구멍(341)을 형성하면 수용용기를 쌓아올릴 때에 제28도에 도시하듯이 하부의 수송용기에 장착된 코너금구(335)의 돌기(337)가 상부의 수송용기의 양쪽 측면 받침대(324A),(324B)에 형성된 위치결정 구멍(341)에 들어가서 수송중에 위치밀림 등을 일으키는 일이 없다. 또, 그외에 제2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쪽 측면 받침대(324A),(324B)의 빠짐방지편(342)을 아래쪽끝 가장자리로부터 직접 안쪽으로 굴곡하여도 좋다.
이 경우도 빠짐방지편은 제30도에 도시하듯이 길이 방향으로 연속시킨 빠짐방지편(342)으로 형성하여도 좋고, 제3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짧은 빠짐방지편(343)을 단속적으로 여러개 형성하여도 좋다.
또 그외에 제32도에 도시하듯이 두개의 측면 받침대(324A),(324B)의 세워진 부분의 윗쪽으로부터 수평으로 굴곡한 빠짐방지편(344)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측면패널(325A)의 아래쪽 가로대(325b)의 끝가장자리를 윗쪽으로 굴곡한다.
또 수송용기의 양쪽 측면 받침대(324A)가 포오크리프트의 포오크 등에 의해서 옆으로부터 외력을 받아서 양쪽 측면 받침대(324A),(324B)의 홈형강재(330)가제33도의 2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형되면, 양쪽 측면 받침대(324A),(324B)의 빠짐방지편(331)으로부터 파도형판 패널(325a)의 하단의 아래쪽 가로대(325b)가 벗겨져서 측면패널(325A)이 위쪽으로 빠질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제33도의 실선 및 제3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두개의 측면 받침대(324A),(324B)의 아래면에 밀림방지편(350)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아래면 옆쪽으로부터 외력을 받아도 밀림방지편(350)이 측면패널(325A),(325B)의 아래쪽 가로대(325b)에 닿아서 측면 패널(325A),(325B)에서 양단 측면 받침대(324A),(324B)의 홈형강재(330)의 변형이 방지되어 양쪽 측면 받침대(324A),(324B)가 제33도의 2점 쇄선과 같이 변형하지 아니하므로 측면패널(325A),(325B)이 빠져 나오는 일이 없다.
본 발명에 의하면 측면패널의 하단을 바닥부분의 양쪽 측면 받침대에 지지시켰으므로, 상하방향의 하중이 측면 패널을 통하여 양쪽 측면 받침대 아래로 직접 전달되어 양쪽 측면 받침대가 찌그러지는 일이 없고, 수송용기 전체의 내압강도가 향상한다. 또 양쪽 측면 받침대를 1매의 구형강제로 구성할 수 있고 수송용기를 경량화할 수 있고, 더욱이 제작이 용이함과 아울러, 부품수를 적게하여 재료비 및 제작비를 삭감할 수 있다.
또, 밀림방지편을 형성한 것에서는 양쪽 측면 받침대 옆으로부터 외력이 작용하여도 측면 패널이 밀림방지편에 눌려서 양쪽 측면 받침대의 열림을 방지하므로 측면패널이 벗겨지는 일이 없고, 안전성이 대단히 향상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4각의 바닥부재의 네 가장자리에 각 패널을 그립금구와아랫쪽 가로대의 끼워 맞추어 맞물린 구조로서 세워서 직교하여 인접하는 패널의 끝부분끼리를 끼워 맞춤으로써 수송용기의 조립을 할 수 있고, 역의 순서로 용기해체를 할 수 있으므로 조립과 해체가 공구류를 사용하는 일없이, 또한, 숙련공이 아니라도 간단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는 수송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패널로 구성되는 4각 중공형상의 측벽의 코너부를 중공강판의 지주로 구성하고, 이 코너부를 코너금구로 보강하므로서 코너부의 세로 방향의 강도가 월등하게 증대하고, 코너부의 비틀림 등의 발생이 없어져서 안정한 강도로 층쌓기가 안전하게 행하여지는 수송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코너금구를 제1의 패널과 제2의 패널의 각 윗쪽 가로대의 맞춤코너부에 부착하면 코너금구에 설치한 걸리는 부위가 제1의 패널 및 제2의 패널의 각 윗쪽가로대에 설치된 슬릿에 끼워 넣어서 위치의 밀림을 방지하므로 제1의 패널과 제2의 패널의 접합이 보다 확실하게 되어 대단히 강성이 높은 수송용기를 구성할 수 있다.
또, 코너금구에 변형방지용 리브를 형성한 것에서는 수송용기를 층으로 쌓아서 사용하여 코너금구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고, 수송용기의 비틀림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코너금구에 제1패널 및 제2패널의 윗쪽 가로대에 끼워 맞추는 끼워 맞춤부나 돌기부를 형성한 것에서는 코너금구가 쉽게 벗겨지지 않고 안전성이 향상한다.

Claims (17)

  1. 아랫면에 받침대를 구비하는 사각형모양 바닥부재의 가장자리에 1쌍의 측면패널 및 1쌍의 가장자리패널을 세우고, 직교하는 측면패널과 가장자리패널의 양단을 서로 접합시켜서 사각형모양의 측벽을 구성한 수송용기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는 가장자리패널지지용으로 바닥부재 안쪽으로 굴곡된 굴곡부를 보유하는 그립금구를 일체로 구비하고, 가장자리패널은 그 하단에 상기 그립금구의 굴곡부에 붙였다 뗐다 할 수 있게 끼워 넣은 아랫쪽 가로대를 구비하며, 가장자리패널을 그립금구와 아래쪽 가로대의 끼워맞춤에 의해 가장자리패널을 세우고,
    상기 바닥부재는 측면패널지지용으로 개량그립앵글을 더 구비하며, 상기 개량 그립앵글은 수송용기의 다리의 윗쪽 개구부의 폭을 덮는데 충분한 폭을 보유하는 지지판의 앞 가장자리에, 소정간격으로 하향굴곡부와 상향굴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판의 평면부에 상기 상향굴곡부로부터 안쪽으로 소정간격으로 절단하여 세운 것에 의해 형성된 패널받음벽을 직립시키고, 상기 하향굴곡부에 다리의 프랜지를 끼워 넣어 다리와 지지판을 결합하고, 상기 상향굴곡부는 그것과 상기 패널받음벽의 사이에 삽입되는 패널의 아랫쪽 가로대의 돌출된 가장자리와 끼워 합쳐져 빠짐을 방지하며,
    마주보는 적어도 1쌍의 패널은 그 양쪽끝에 서로 직교하여 인접하는 패널의 단부가 붙였다 뗐다 할 수 있게 끼워 넣게 되는 중공구조의 지주를 보유하고, 세워진 각 패널의 직교하는 단부 사이를 상기 지주를 통하여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강판제 수송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사각형 모양의 바닥부재의 네 가장자리주변에 세운 각 패널의 직교하는 상단의 코너부에, 직교하여 인접하는 각 패널의 각 상단부에 걸거나 벗길 수 있게 끼워 넣어 물리게 하여 인접패널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코너금구를 붙였다 뗐다 할 수 있게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제 수송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2매의 패널의 지주가 중공 U자형 단면 형상을 이루고, 두 패널을 바닥부재 위에 조립하면 이들 지주의 한쪽이 다른쪽을 서로 지지하여 중공 각기둥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제수송용기.
  4. 직교로 배치된 제1의 패널과 제2의 패널의 각 윗쪽 가로대의 맞춤코너부에 씌우는 윗쪽벽과 상기 윗쪽벽에 직교하는 경사면에 하나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의 패널의 윗쪽 가로대에 형성된 슬릿에 끼워서 걸리게 하는 걸림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금구.
  5. 직교로 배치된 제1의 패널과 제2의 패널의 각 윗쪽 가로대의 맞춤 코너부에 씌우는 윗쪽벽과, 상기 윗쪽벽에 직교하는 경사면에 하나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의 패널의 각 윗쪽 가로대에 형성된 슬릿에 끼워 넣어 걸리게 하는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윗쪽벽에 윗쪽으로 돌출하는 지지돌출부를 형성하고, 또한 변형방지용 리브를 경사면을 따라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금구.
  6. 직교로 배치된 제1의 패널과 제2의 패널의 각 윗쪽 가로대의 맞춤 코너부에 씌우는 윗쪽벽과, 상기 윗쪽벽에 직교하는 경사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의 패널의 각 윗쪽 가로대에 형성된 슬릿에 끼워 넣어 걸리게 하는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윗쪽벽에 직교하는 경사면으로부터 아래로 굴곡된 측벽에 상기 제1의 패널 및 제2 패널의 각 윗쪽 가로대에 걸어맞추는 걸어맞춤부를 적어도 1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금구.
  7. 직교로 배치된 제1의 패널과 제2의 패널의 각 윗쪽 가로대의 맞춤 코너부에 씌우는 윗쪽벽과, 상기 윗쪽벽에 직교하는 경사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의 패널의 윗쪽 가로대에 형성된 슬릿에 끼워 넣어 걸리게 하는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부에 상기 제1의 패널 및 제2 패널의 각 윗쪽 가로대에 걸어 맞추는 돌기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금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향굴곡부가, 상기 지지판의 평면부에 대하여, 상기 패널 받음벽 쪽으로 예각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그립앵글.
  9. 제7항에 있어서, 상향굴곡부가, 상기 지지판의 평면부에 대하여, 대략 직각의 벽으로서 세워진 후, 이 직각벽에 대하여 예각으로 아래로 절단하여 구부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그립앵글.
  10. 조립식 강제 수송용기의 다리 윗쪽 개구부의 폭을 충분히 덮는 폭치수를 보유하는 지지판의 앞의 가장자리에, 소정간격으로 하향굴곡부와, 상향굴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판의 평면부를 상방으로 절곡해서 톱니형상의 패널받음벽을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하고, 상기 하향굴곡부가, 다리의 플랜지를 끼워넣어서 다리와 지지판을 결합하고, 상기 하향굴곡부가 그것과 상기 패널받음벽의 수직면과의 사이에 삽입되는 패널의 아랫쪽 가로대의 돌출한 부분과 걸어 맞추어서 빠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그립앵글.
  11. 간격을 두고 병렬로 설치한 여러개의 다리의 양끝부분 위를 가로 질러서 평면부 외측에 그립을, 내측에 패널받음벽을 보유하는 그립앵글을 결합하고, 상기 다리중 가장 바깥쪽의 위치하는 2개의 각각의 윗쪽 개구부를 덮는데 충분한 폭을 보유하는 지지판의 앞의 가장자리에, 소정간격으로 하향굴곡부와, 상향굴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판의 평면부에 소정간격으로 절단하여 세운 것에 의해 형성된 패널받음벽을 직립시킨 개량그립앵글을, 상기 하향굴곡부를 다리의 플랜지에 끼워 넣으므로서 다리와 지지판을 결합하여 기초바닥을 형성하고, 상기 그립앵글 상에 가장자리 패널을 세우고, 또한 상기 개량 그립앵글 상에 측면 패널을 세우고, 상기 상향굴곡부를 측면 패널의 아랫쪽의 가로대의 돌출한 가장자리와 걸어 맞추어서, 상기 그립부를 가장자리 패널의 아랫쪽의 가로대의 돌출한 가장자리와 걸어서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강제 수송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개량 그립의 상향굴곡부를 평면부에 대하여 예각으로 안쪽 상향으로 경사시켜, 상기 그립부도 마찬가지로 평면부에 대하여 예각으로 안쪽 상향으로 경사시킨 조립식 강제 수송용기.
  13. 조립식 강제 수송용기의 기초바닥을 구성하는 다리의 윗쪽 개구부의 폭을 충분히 덮는 폭치수를 보유하는 지지판의 앞 가장자리에, 소정간격으로 하향굴곡부와, 상향굴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판의 평면부를 위쪽으로 굴곡하여 톱니형상의 패널받음벽을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하고, 상기 하향굴곡부가, 다리의 플랜지를 끼워 넣어서 다리와 지지판을 결합하고, 상기 상향굴곡부가, 그것과 상기 패널받음벽의 수직면과의 사이에 삽입되는 패널의 아랫쪽 가로대의 돌출한 가장자리와 결합하여 빠짐을 방지하는 개량 그립앵글을, 기초바닥의 적어도 측면쪽에 배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강제 수송용기.
  14. 여러개의 다리를 구비한 바닥부분 위에 1쌍의 측면패널과 가장자리 패널을 세우고, 상기 측면패널과 가장자리 패널의 양측을 결합시켜서 측벽을 구성하는 강판제 수송용기에 있어서, 홈형강재의 외측에 안쪽으로 돌출하는 빠짐방지편을 형성한 양쪽 측면 받침대를 바닥부분의 양쪽에 배치시키고, 상기 양쪽 측면 받침대에서측면 패널의 하단을 지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제 수송용기.
  15. 제14항에 있어서, 홈형강재의 외측의 서 있는 부분의 상부를 안쪽으로 절단하여 구부린 빠짐방지편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제 수송용기.
  16. 제14항에 있어서, 홈형강재의 아랫면부로부터 안쪽으로 굴곡하여 빠짐 방지편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제 수송용기.
  17. 제14항에 있어서, 홈형강재의 아랫면부분에 빠짐방지편과 마주보도록 측면 패널을 누르는 밀림방지편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제 수송용기.
KR1019950702870A 1993-11-11 1994-11-10 강판제수송용기 KR1003592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282223 1993-11-11
JP28222393 1993-11-11
JP94-58468 1994-03-29
JP6058468A JP2675521B2 (ja) 1993-12-24 1994-03-29 鋼板製輸送容器
JP7552994A JPH07187184A (ja) 1993-11-11 1994-04-14 改良グリップアングル及び組立式鋼製輸送容器
JP94-75529 1994-04-14
JP08708194A JP3544698B2 (ja) 1994-04-26 1994-04-26 鋼板製輸送容器
JP94-87081 1994-04-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0184A KR960700184A (ko) 1996-01-19
KR100359275B1 true KR100359275B1 (ko) 2003-03-31

Family

ID=27463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2870A KR100359275B1 (ko) 1993-11-11 1994-11-10 강판제수송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359275B1 (ko)
WO (1) WO199501323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91441A1 (de) * 2021-05-20 2022-11-23 GEBHARDT Logistic Solutions GmbH Käsereifebehälter mit einschubwan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23612C2 (de) * 1998-05-27 2001-07-12 Hurtz Gmbh & Co Kg Anton Rahmen mit Rahmeneinsatz
FR2805521B1 (fr) * 2000-02-29 2002-06-21 Bois Ouvres Du Gatinais Soc D Ensemble de conditionnement comprenant une palette et des parois laterales demontables
FR3010707B1 (fr) * 2013-09-17 2016-04-15 Pakers Mussy Caisse assemblable et demontable
CN105857836A (zh) * 2016-06-07 2016-08-17 东莞市榕树海木器有限公司 便捷箱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1590U (ja) * 1981-08-03 1983-02-09 川鉄鋼板株式会社 組立式鋼製コンテナ−における四側壁とスキツドとの取付機構
JP2750295B2 (ja) * 1990-10-11 1998-05-13 株式会社シンワコーポレーション 分解・返送容易な輸送容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91441A1 (de) * 2021-05-20 2022-11-23 GEBHARDT Logistic Solutions GmbH Käsereifebehälter mit einschubwa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5013233A1 (fr) 1995-05-18
KR960700184A (ko) 199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9275B1 (ko) 강판제수송용기
US4944421A (en) Angle reinforcement
JPH07291286A (ja) 鋼板製輸送容器
WO1990003921A1 (en) Support member
KR102236827B1 (ko) 경량 영구거푸집이 구비된 강합성 콘크리트 기둥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
JP2675521B2 (ja) 鋼板製輸送容器
KR200442614Y1 (ko) 철제 팔레트 구조
KR20020086674A (ko) 빌딩 프레임 브레이싱 패널 및 방법
JPH07156945A (ja) 鋼板製輸送容器
JPH0390765A (ja) 組立建築物の床部材
JP2891099B2 (ja) 枠組棚の連結構造
KR102671317B1 (ko) 공조기설치용 기능성 베이스장치
JPH07187184A (ja) 改良グリップアングル及び組立式鋼製輸送容器
US6209743B1 (en) Collapsible container with inner lining surface
JPH07187283A (ja) 鋼板製輸送容器
JP4271670B2 (ja) 輸送用パレット
JP2001002181A (ja) コンテナーボックスの側壁面フレ−ム構造
JPH043954Y2 (ko)
JPH0356509Y2 (ko)
JPH043953Y2 (ko)
JPH07132933A (ja) 輸送容器のコーナ連結金具
JPS6142425Y2 (ko)
JP2742029B2 (ja) 屋根構造
JP2002096831A (ja) 荷役用パレット
JPH0825560B2 (ja) 輸送容器及び輸送容器に用いるパネル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1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