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7758B1 - 직립형정미장치 - Google Patents

직립형정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7758B1
KR100357758B1 KR1019960018139A KR19960018139A KR100357758B1 KR 100357758 B1 KR100357758 B1 KR 100357758B1 KR 1019960018139 A KR1019960018139 A KR 1019960018139A KR 19960018139 A KR19960018139 A KR 19960018139A KR 100357758 B1 KR100357758 B1 KR 100357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roll
fixed
case
tumb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8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0341A (ko
Inventor
소이치 야마모토
하루오 모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모토-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모토-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모토-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970000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7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77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04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Landscapes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정미장치는 세로 회전축(2)과, 세로 회전축(2)의 상부에 장치된 정미롤(29)과, 정미롤(29)의 외주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둘러싸는 정미통(42)과, 세로 회전축(2)의 하부 외주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지지통(3)과, 상기 정미롤(29)로 정미된 곡물의 낟알이 낙하하는 유도통(13)을 갖는다. 상기 지지통(3)의 하단부는 상기 케이스(1)에 고정된 하부 수평판(6)에 고정시키고, 상기 지지통(3)의 상단부는 복수의 턴버클(10)을 끼워서 케이스(1)에 고정한다. 유도통(13)은 케이스(1)에 고정된다. 유도통(13)에는 정미통(42)의 하단에 설치한 링 부재(14)가 상하 움직임이 자유롭게 접속된다. 정미통(42)의 상부에는 접속통(52)이 설치되고, 접속통(52)은 케이스(1)에 고정된 유지통(55)에 상하 움직임이 자유롭게 접속된다. 정미롤(29)의 상부는 어느 부분의 직경이나 동일하게 형성한다.

Description

직립형 정미장치
본 발명은 직립형 정미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정미용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세로 회전축의 상부에 정미롤이 장착되어 있고, 정미롤의 외주를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다공판에 의해 형성되는 정미통이 포위하고 있으며, 정미통은 케이스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세로 회전축의 하부 둘레는 지지통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그 지지통은 케이스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정미롤의 하방에는 정미롤에 의해 정미된 곡물 낟알이 낙하하는 유도통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유도통은 케이스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정미통의 하단에는 유도통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접속되는 링 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직립형 정미장치는 공지되어 있다.
이 공지의 직립형 정미장치의 제1 문제점은 세로 회전축의 장착 위치를 정확히 설정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종래의 세로 회전축은 그 하부가 지지통에 의해 지지되어 있을 뿐이므로, 지지통의 장착 위치가 조금 어긋나기만 해도, 지지통으로부터 상측으로 높게 돌출한 세로 회전축의 상단부의 위치가 크게 전후 좌우로 어긋나버린다. 세로 회전축의 상단부의 위치가 어긋나면, 정미롤의 위치도 어긋나기 때문에 양호한 정미는 기대할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지지통을 프레임에 고정시키지만, 이 작업은 대단히 어려운 작업이다.
제2 문제점은 정미롤의 외주에 설치되어 있는 정미통의 안정성이 불량하다는것이다. 종래의 정미통은 그 하단이 케이스에 고정된 유도통에 상하로는 이동 가능하면서 전후 좌우로는 어긋나지 않도록 접속되어 있는 구조이지만, 정미통의 상단은 전후 좌우로 어긋날 때가 있다. 정미통의 상단이 전후 좌우로 어긋나면, 정미통과 정미롤과의 간격이 변화하며 정미 성능이 저하된다.
제3 문제점은 정미롤의 형상에 있다. 종래의 정미롤에는 표면에 교반용의 돌기 형성되어 있는 마찰식 정미롤과, 표면이 샌드페이퍼와 같이 까칠까칠한 연삭식 정미롤이 있다. 연삭식 정미롤의 형상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부는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형으로, 그 하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형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정미롤을 이러한 형상으로. 형성하면, 정미롤의 상단(A)과 정미통(B)과의 간격이 지나치게 넓어져서 다량의 곡물 낟알이 정미실(C)에 공급되어 정미 불량이 발생한다. 즉, 정미실(C)에 곡물 낟알이 과잉 공급된다. 또한, 제6도의 정미롤에서는 그 상부가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면(D)의 면적이 작아져, 상면(D)을 이용한 정미는 거의 기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한 직립형 정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세로 회전축(2)을 지지하는 지지통(3)의 하단부는 케이스(1)에 고정된 하부 수평판(6)에 고정되고 지지통(3)의 상단부는 복수의 턴버클(turn buckle : 10)을 끼워 케이스(1)에 고정되어, 이들 턴버클(10)을 회전시킴으로써 세로 회전축(2)의 상단이 전후 좌우로 이동되어 위치가조절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정미롤(29)의 상부를 모든 부분에서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하여, 정미실(51)의 유입부(56)의 넓이와 정미롤(29)의 상면의 면적이 균형을 이루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정미실(51) 내로 유입되는 곡물 낟알의 양을 적절하게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정미롤(29)의 상면에서 곡물 낟알의 초기 정미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케이스(1)의 상부에 하방으로 돌출하는 유지통(55)이 고정되고, 정미통(42)의 상부에 덮개(32)가 고정되며, 이 덮개(32)의 중앙부에는 상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유지통(55)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접속되는 접속통(52)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정미통(42)의 상부 또한 전후 좌우로 어긋나는 일이 없게 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면 부호 1은 세로로 긴 박스형의 케이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케이스(1)의 내부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세로 회전축(2)이 설치되어 있다. 세로 회전축(2)의 하부는 지지통(3)에 의해 포위되어 있으며, 또한 세로 회전축(2)은 지지통(3)의 상하 양단에 설치된 베어링(4, 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통(3)의 하부는 하부 수평판(6)에 고정되고, 하부 수평판(6)은 케이스(1)에 고정된 하부 지지체(7)에 볼트(8) 등에 의해 고정된다.
지지통(3)의 상부에는 중앙 수평판(9)이 일체로 형성된다. 중앙 수평판(9)에는 회전축(2)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나사봉(49)이 장착되고, 케이스(1)에는 각 나사봉(49)에 대응하는 복수의 나사봉(50)이 장착되며, 양 나사봉(49, 50)은 각각 턴버클(10)에 의해 연결된다. 턴버클(10)의 수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4개 정도가 적합하다. 턴버클(10)이 끼워짐으로써 케이스(1)에 고정되는 지지통(3)의 상부는 턴버클(10)을 회전시켜 나사봉(49, 50)의 길이를 조절하면, 전후 좌우로 이동되어 그 위치가 조절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세로 회전축(2)의 상단의 위치가 정확하게 조절될 수 있다. 나사봉(50)은 케이스(1)에 핀 등을 이용하여 연결 및 분리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세로 회전축(2)의 하단은 지지통(3)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며, 그 돌출부에 수동 풀리(12)가 고정되는데, 이 수동 풀리(12)는 벨트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정미용 모터에 연결된다.
케이스(1)의 상부에는 상부 수평판(39)이 장착되며, 이 상부 수평판(39)의 상부에는 곡물 낟알의 공급 호퍼(47)가 장착된다. 도면 부호 48은 공급 셔터를 나타낸다.
세로 회전축(2)의 상단에는 연삭식 정미롤(29)이 장착된다. 정미롤(29)은 복수의 링형상체(28A∼28E)가 합쳐진 것으로서, 전체적으로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형이지만, 최상부의 링형상체(28A)는 테이퍼형이 아니라 모든 부분의 직경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정미롤(29)의 상부에는 누름체(30)가 배치되어, 세로 회전축(2)의 상단에 설치된 너트(31)에 의해 빠지지 않도록 가압되어 있다.
정미롤(29)의 외주는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다공판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정미통(42)으로 포위되어 있으며, 이 정미통(42)과 정미롤(29)의 사이에 정미실(51)이 형성되어 있다. 공급 호퍼(47)로부터 낙하한 곡물 낟알(19)은 정미실(51) 내로 유입되어 정미롤(29)의 외주면에서 겨가 연삭되어 정미된다. 정미실(51)의 유입부(56)는 최상부의 링형상체(28A)가 테이퍼형이 아니기 때문에, 제6도에 도시된 공지의 정미롤의 유입부에 비해 좁게 되어 있으며, 그만큼 링형상체(28A)의 상면의 면적이 넓게 되어 있다. 이점은 본원 발명의 특징 중 하나이다. 즉, 링형상체(28A)의 상면의 면적이 넓게 되어 있기 때문에, 링형상체(28A)의 상면으로 낙하한 곡물 낟알이 그 상면에서 우선 정미된 다음, 정미실(51) 내로 유입된다. 또한, 유입부(56)가 좁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정미실(51) 내로 한번에 다량의 곡물 낟알이 흘러 들어가지 않게 된다.
정미통(42)의 상부에는 덮개(32)가 고정되고, 이 덮개(32)의 중앙부에는 상측으로 돌출하는 접속통(52)이 형성되어 있다. 접속통(52)은 상부 수평판(39)에 고정된 유지통(55)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접속통(52)과 유지통(55)의 접속에 의해, 정미통(42)의 상부는 전후 좌우로 움직이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면 부호 36은 상부 수평판(39)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회전 원판으로서, 회전 원판(36)의 외주면에는 기어부가 형성되어 이 기어부에 부하 조절용 모터(도시 생략)에 의해 회전하는 웜 기어(35)가 맞물린다. 회전 원판(36)의 하면에는 제1 경사 링크(33)의 상단이 핀에 의해 연결되고, 이 제1 경사 링크(33)의 하단은 덮개(32)에 핀에 의해 연결된다.
도면 부호 34는 제1 경사 링크(33)와 쌍을 이루는 제2 경사 링크로서, 제1 경사 링크(33)와는 반대측으로 경사져 있다. 제2 경사 링크(34)의 상단은 핀에 의해 상부 수평판(39)에 연결되고, 제2 경사 링크(34)의 하단은 덮개(32)에 핀에 의해 연결된다. 제1 경사 링크(33)와 제2 경사 링크(34)는 서로 반대측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정미통(42)에 회전력이 가해져도 정미통(42)은 회전하지 않는다. 제1 경사 링크(33)와 제2 경사 링크(34)의 각 하단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지만, 제1 경사 링크(33)와 제2 경사 링크(34)의 각 상단 사이의 거리는 모터에 의해 회전 원판(36)을 회전시키면 변화하므로, 제1 경사 링크(33)의 경사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경사 각도의 변경에 따라, 정미통(42)은 상하방으로 이동된다. 즉, 제2도의 상태에서, 제1 경사 링크(33)의 상단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제1 경사 링크(33)는 수직에 가까운 각도를 이루게 되고 정미통(42)은 다소 회전하면서 아래로 이동되며, 제1 경사 링크(33)의 상단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제1 경사 링크(33)는 수평에 가까운 각도를 이루게 되며 정미통(42)은 다소 회전하면서 위로 이동된다.
정미통(42)의 하단에는 링 부재(14)가 고정되어 있다.
정미롤(29)의 하부에는 정미롤(29)을 지탱하는 롤 받침부(26)가 설치된다. 롤 받침부(26)는 세로 회전축(2)에 고정되어 있다. 롤 받침부(26)의 상부의 외주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며, 링 부재(14)가 상하로 이동되면 정미실(51) 하부의 낙하구의 넓이가 변경된다.
세로 회전축(2)을 회전시키는 정미용 모터의 부하는 정미실(51)에 공급되는 곡물 낟알(19)의 양이 많아지면 커지고, 곡물 낟알(19)의 양이 적어지면 작아진다.따라서, 정미용 모터의 부하가 커질 때는 부하 조절용 모터에 의해 회전 원판(36)을 회전시켜 정미통(42)을 아래로 이동시키고 정미실(51)의 낙하구를 크게 하여 정미실(51) 내의 곡물 낟알의 배출량을 증가시키며, 반대로 정미용 모터의 부하가 작아질 때는 정미통(42)을 위로 이동시키고 정미실(51)의 낙하구를 작게 하여 정미실(51) 내의 곡물 낟알의 배출량을 줄인다. 이에 의해, 정미실(51) 내의 곡물 낟알의 양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균일한 정미를 행할 수 있다.
도면 부호 43은 정미통(42)의 하측을 덮도록 설치된 깔때기로서, 깔때기(43)에는 케이스(1)의 개구부(45)에 접속되는 덕트(53)가 설치되고, 개구부(45)에는 도시하지 않은 흡인 팬으로 연장하는 덕트(46)가 접속된다. 정미실(51) 내에서 생성된 겨는 흡인 팬의 작용에 의해 덕트(4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중앙 수평판(9)에는 유도통(13)이 고정된다. 유도통(13)의 상부에는 링 부재(14)의 하단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유도통(13) 내에는 세로 회전축(2)에 고정되어 세로 회전축(2)과 동시에 회전하는 배출 원판(15)과, 배출 원판(15)의 외주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회전체(16)가 설치된다. 유도통(13)의 측부에는 배출구(20)가 형성되어 있다. 정미실(51)로부터 배출된 곡물 낟알은 배출 원판(15)의 위로 낙하하여, 배출 원판(15)의 작용에 의해 제5도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면 부호 17은 회전체(16)에 고정된 덮개로서, 덮개(17)에는 레버(23)의 일단이 접속된다. 레버(23)는 축(24)에 의해 배출구(20)에 접속된 배출 홈통(54)에 축 지지되어 있다. 레버(23)는 스프링(21)에 의해 가압되고, 스프링(21)에 작용에의해 덮개(17)는 배출구(20)를 폐쇄하는 위치에 유지된다. 도면 부호 22는 덮개(17)가 접촉하는 스톱퍼(stopper)이다. 배출 원판(15)의 위로 낙하하여 제5도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이동한 곡물 낟알은 덮개(17)에 접촉하여 배출 원판(15) 상에 저장되며, 레버(23)에 의해 덮개(17)를 이동시키면, 배출구(20)로부터 배출된다.
공급 호퍼(47)의 공급 셔터(48)를 조금씩 열면, 곡물 낟알이 정미롤(29)의 최상부의 링형상체(28A)의 넓은 상면으로 낙하하고, 이 상면에서 양호하게 우선 정미된 다음, 좁은 유입부(56)로부터 과잉 공급되는 일이 없이 정미실(51)로 유동하여 정미된다.
정미실(51) 내에서 정미된 곡물 낟알은 유도통(13)으로 유도되어 배출 원판(15) 상에 낙하하며, 세로 회전축(2)과 함께 회전하는 배출 원판(15)의 작용에 의해 제5도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덮개(17)에 충돌하여 배출 원판(15) 상에 저장된다. 저장된 곡물 낟알은 레버(23)에 의해 덮개(17)를 움직이면, 배출구(20)가 개방되어 배출된다. 또, 레버(23)에 장착된 스프링(21)의 강도를 변경하면, 소정량의 곡물 낟알이 배출 원판(15) 상에 저장된 다음 자동적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지지통(3)의 하단부는 케이스(1)에 고정된 하부 수평판(6)에 고정되고, 지지통(3)의 상단부는 복수의 턴버클(10)이 끼워져 케이스(1)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턴버클(10)을 적당히 조절함으로써, 지지통(3)의 상단부의 위치를 간단하면서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어, 세로 회전축(2)의 상단의 위치를 정확하게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정미롤(29)의 상부는 모든 부분이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상면의 면적이 넓어져, 이 부분에서 활발한 초기 정미가 행해지며, 또한 정미실(51)의 유입부(56)가 적당히 좁아지게 되어, 정미실(51) 내에 곡물 낟알이 과잉 공급되는 일이 없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1)의 상부에 하방으로 돌출하는 유지통(55)이 고정되고, 정미통(42)의 상부에는 덮개(32)가 고정되며, 덮개(32)의 중앙부에는 상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유지통(55)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접속되는 접속통(52)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로 이동 가능한 정미통(42)의 상부가 전후 좌우로는 움직이지 않게 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정미장치의 전체 종단면도.
제2도는 정미장치의 상부의 부분 종단면도.
제3도는 곡물의 흐름을 보여주는 부분 종단면도.
제4도는 정미장치의 횡단면도.
제5도는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
제6도는 공지된 연삭식 정미롤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2 : 회전축
3 : 지지통
29 : 정미롤
42 : 정미통
47 : 공급 호퍼
51 : 정미실
55 : 유지통
56 : 유입부

Claims (5)

  1. 정미용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세로 회전축(2)의 상부에 정미롤(29)이 장착되어 있고, 정미롤(29)의 외주를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다공판에 의해 형성되는 정미통(42)이 포위하고 있으며, 정미통(42)은 케이스(1)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세로 회전축(2)의 하부 둘레는 지지통(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그 지지통(3)은 케이스(1)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정미롤(29)의 하방에는 정미롤(29)에 의해 정미된 곡물 낟알이 낙하하는 유도통(13)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유도통(13)은 케이스(1)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정미통(42)의 하단에는 유도통(13)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접속되는 링 부재(14)가 장착되어 있는 직립형 정미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통(3)은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지지통(3)의 하단부는 케이스(1)에 고정된 하부 수평판(6)에 고정되고 지지통(3)의 상단부는 복수의 턴버클(10)을 끼워 케이스(1)에 고정되며, 또한 이들 턴버클(10)을 회전시킴으로써 세로 회전축(2)의 상단이 전후 좌우로 이동되어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형 정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미롤(29)은 표면이 까칠까칠한 연삭식 정미롤이고, 정미롤(29)의 상부는 모든 부분의 직경은 동일하지만, 정미롤(29)의 하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형 정미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미롤(29)은 복수의 링형상체(28A∼28E)가 합쳐져 형성되고, 최상부의 링형상체(28A)는 모든 부분의 직경이 동일하게 형성되며, 그 외의 링형상체(28B∼28E)는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형 정미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의 상부에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유지통(55)이 고정되고, 상기 정미통(42)의 상부에는 덮개(32)가 고정되며, 이 덮개(32)의 중앙부에는 상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유지통(55)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접속되는 접속통(52)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형 정미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의 상부에는 부하 조절용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 원판(36)이 장착되고, 상기 덮개(32)에는 제1 경사 링크(33)와 제2 경사 링크(34)의 각 하단이 축 지지되며, 상기 제1 경사 링크(33)의 상단은 상기 회전 원판(36)에 축 지지되고 상기 제2 경사 링크(34)는 제1 경사 링크(33)와는 반대측으로 경사지도록 그 상단이 케이스(1)에 축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형 정미장치.
KR1019960018139A 1995-06-20 1996-05-28 직립형정미장치 KR1003577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7176573A JP3138185B2 (ja) 1995-06-20 1995-06-20 縦型研削式精米装置
JP95-176573 1995-06-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341A KR970000341A (ko) 1997-01-21
KR100357758B1 true KR100357758B1 (ko) 2003-02-19

Family

ID=16015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8139A KR100357758B1 (ko) 1995-06-20 1996-05-28 직립형정미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138185B2 (ko)
KR (1) KR100357758B1 (ko)
CN (1) CN1100620C (ko)
TW (1) TW301949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4949A (ja) * 1983-10-15 1985-05-14 Entatsuku Kk カツプ状巻線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610254B2 (ja) * 2004-07-29 2011-01-12 株式会社山本製作所 研米機
JP2008229558A (ja) * 2007-03-22 2008-10-02 Twinbird Corp 精米器
CN102806112B (zh) * 2011-05-31 2016-02-03 山本电气株式会社 碾白度测定装置及测定方法、碾谷机及碾谷方法
CN102553667A (zh) * 2011-12-26 2012-07-11 戴智华 高性能节能型砂带碾米机
CN107715947A (zh) * 2017-09-27 2018-02-23 安徽省中日农业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立式锥砂辊碾米机
CN109077338A (zh) * 2018-07-26 2018-12-25 崔永平 一种用于对豌豆进行去壳精选的收集处理设备
CN108940407A (zh) * 2018-08-06 2018-12-07 安徽鑫泉米业有限公司 一种精细加工的稻谷脱壳设备
CN110947443A (zh) * 2019-12-25 2020-04-03 浙江云粮科技有限公司 新型家用碾米机
CN214863824U (zh) * 2021-05-27 2021-11-26 鄂州市兴方磨具有限公司 一种立式砂辊碾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09647A (en) * 1981-06-19 1982-12-23 Yamamoto Soichi Vertical grinding type cereal cleaning device
JPS6186955A (ja) * 1984-10-04 1986-05-02 山本 惣一 縦型精米機における負荷調節装置
JPH0767540B2 (ja) * 1988-03-31 1995-07-26 株式会社佐竹製作所 堅軸型摩擦切削式精穀機
US5048407A (en) * 1989-11-07 1991-09-17 Salete Garces Felipe Grain husking and poli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9952A (ja) 1997-01-07
TW301949U (en) 1997-04-01
CN1140632A (zh) 1997-01-22
KR970000341A (ko) 1997-01-21
JP3138185B2 (ja) 2001-02-26
CN1100620C (zh) 2003-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7758B1 (ko) 직립형정미장치
CA2174190C (en) Vertical grain milling machine
KR0147206B1 (ko) 연삭식 정곡기의 저항체 조절기구
JPH0822389B2 (ja) 竪軸型摩擦切削式精米機
EP0699478B1 (en) Vertical whitening machine
US6470898B1 (en) Paper stock cleaning apparatus
KR100216117B1 (ko) 정미기
NL8720138A (nl)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in meer trappen afwerken.
JP3265560B2 (ja) 穀物の揺動選別機
US528195A (en) Orange-polishing machine
JP3045174B2 (ja) 穀物の搖動選別機
JPH06142530A (ja) 連続精米装置
JPH06142533A (ja) 竪型精米機
KR960011488B1 (ko) 곡물의 크리닝 및 폴리싱 장치
JP2546713Y2 (ja) 籾摺機における混合米の複数選別胴への分配装置
US109865A (en) Improvement in apparatus for cleaning and polishing coffee
US172795A (en) Improvement in coffee hullers and cleaners
US789184A (en) Coffee-cleaner.
JP2521484B2 (ja) 籾米の脱ぷ方法及びその装置
JP2575319B2 (ja) 乾式研米装置
JPH0233817Y2 (ko)
JP3398586B2 (ja) 精米機の精白装置
JP2000271540A (ja) 円筒選別網を具備する穀粒選別機
US2994895A (en) Brushing machine
JPH0822388B2 (ja) 竪軸型摩擦切削式精穀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