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6117B1 - 정미기 - Google Patents

정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6117B1
KR100216117B1 KR1019920015203A KR920015203A KR100216117B1 KR 100216117 B1 KR100216117 B1 KR 100216117B1 KR 1019920015203 A KR1019920015203 A KR 1019920015203A KR 920015203 A KR920015203 A KR 920015203A KR 100216117 B1 KR100216117 B1 KR 100216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grinding
chamber
mill
n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5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2104A (ko
Inventor
소우이치 야마모토
하루오 모리
Original Assignee
야마모토 소이찌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모토-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모토 소이찌,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모토-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야마모토 소이찌
Publication of KR930012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2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6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61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04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06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screws or w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 B02B7/02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Landscapes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정미기는 세로의 주회전축(10)의 하부 외주에 형성한 유하식 마찰 정미기(18)과, 상기 주축(10)의 상부외주에 형성한 상기 마찰정미실(18)에 낟알을 보내는 송곡실((79)과, 상기 송곡실(79)의 외주부에 형성한 상승식 연삭 정미실(44)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마찰 정미실(18)의 정미로울(15)과 상기 연삭 정미실(44)의 정미로울(38)은 독립해서 회전한다. 상기 연삭정미실(44)의 상부의 배출구와 상기 송곡실(79)의 상부의 유입구는 연락로(61)에 의하여 연결한다. 상기 연삭 정미실(44)의 측방에는 세로의 통체(46)와 세로의 나선체(49)로 구성되는 낟알공급장치를 접속한다.

Description

정미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정미기의 외관을 도시하는 측면도,
제2도는 정미기의 종단측면도,
제3도는 정미기의 일부절제평면도,
제4도는 정미기의 상부 부분의 확대종단면도,
제5도는 유하식 마찰정미실의 종단 평면도,
제6도는 상승식 연삭 정미실의 정미통의 사시도,
제7도는 상승식 연삭 정미실로 부터 송곡식의 유입구로 이르는 연락로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측케이스 2 : 프레임
3 : 가로 칸막이판 4 : 하부 전동실
6 : 지지대 9 : 축받이
10 : 세로 주회로축 12 : 불어넣기파이프
15 : 마찰식 정미 로울 16 : 송곡나선
17 : 정미통 18 : 마찰 정미실
19, 20 : 가로 칸막이판 27 : 중간벽
28 : 흡입실 34 : 깔대기
35 : 베어링 36 : 회전통
37 : 수동풀리 38 : 연삭식 정미로울
44 : 연삭 정미실 45 : 유입구
본 발명은 정미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1대의 정미기에 의하여 연삭식(硏削식式)정미와 마찰식 정미를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정미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공지의 정미기에는 연삭식 정미기와 마찰식 정미기가 있다. 연삭식 정미기란 표면이 줄형상의 금강사제의 정미로울을 사용한 것으로 로울의 표면에 의하여 쌀의 표피를 연삭하는 기계이다. 이것에 대하여 마찰식 정미기란 표면에 4줄 정도의 돌조(
突條: 돌출된 선모양의 띠)를 형성한 철제정미 로울을 사용한 것으로 표면의 돌조에 쌀끼리 서로 마찰되어서 쌀의 겨층을 제거하는 기계이다.
상기의 각 정미기에는 각각의 특성이 있고, 목적에 따라서 선택해서 사용한다. 처음에는 연삭식 정미기에 의하여 초기정미를 실시하고, 연삭식 정미기로 처리한 낟알을 마찰식 정미기로 마무리 정미하도록 연삭식 정미기와 마찰식 정미기를 조합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며, 좋은 결과를 얻고 있다.
그러나, 2종류의 정미방법을 사용할 경우에는 2대 또는 그 이상의 정미기를 정렬해서 배치하고, 이드을 컨베이어나 승강기로 상호 접속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으므로, 외관은 실제로 소형콤비나트(kombinat)를 이루고 전체비요을 현져히 상승시키는 과제가 남아 있다.
이것에 대하여 1개의 회전축에 연삭식 정미로울과 마찰식 정미로울 양쪽을 장치하고, 1대의 정미기에 의하여 연삭정미와 마찰 정미를 연속적으로 할 수 있도록 정미기도 제안되고 있다(특공소 47-652호 공보).
1개의 회전축에 2종류의 로울을 장치하면 컨베이어나 승강기는 필요없어져서 소형 염가로 제조할 수 있으나, 1개의 회전축으로는 연삭로울과 연마로울의 회전수가 같다는 새로운 문제가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마찰로울은 600피트/분 이하의 주속도로 회전시키고, 연삭로우은 1500피트/분 이상의 주속도로 회전시켜서 사용하는 것이므로, 1개의 회전축으로 2종류의 로울을 사용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또, 상기 연삭식 정미가 및 마찰식 정미기에는 정미로울을 수직으로 배치한 것과, 수펴으로 배치한 것이 있다. 그리고 정미로울을 수직으로 배치한 경우네는 정미실에 낟알을 상부로 부터 공급하여 하부로 배출시키는 유하식과, 하부에서 부터 공급하여 상부로 배출시키는 상승식이 있다.
상기와 같이 정미기에는 다수의 베리에이션이 있으나, 상승식 연삭 정미기의 구성을 채용할 경우의 과제의 하나로, 연삭정미실에서의 낟알공급문제가 거론된다. 종래는 연삭정미실의 측방에 낟알의 호퍼를 설치하여 그 호퍼로 부터 자중으로 낙하하는 낟알을 연삭 정미실에 공급하는 구조를 취하였으나, 이 구조로는 낟알이 낙하 도중에서 막히는 등 원할한 공급을 얻을 수 없었다.
그러므로 공지의 특개소 63-182041호 공보에서는 정미실에서 바로옆으로 뻗는 통체와 그 통체내에 가로로 형성된 나선체로 구성한 낟알공급장치를 연삭 정미실에 접속하고, 낟알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한 정미기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낟알공급장치는 나선체에 의하여 정미실 바로옆으로 부터 낟알을 강제적으로 밀어넣는 구조를 취하고 있으므로 공급알이 지나치게 높아져서 낟알이 분새되는 경우도 있다. 통체가 옆으로 크게 돌출되는 보기도 좋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삭 정미와 마찰정미의 특성을 상실하지 않고 1대의 정미기로 연삭정미와 마찰정미를 연속해서 실행할 수 있는 정미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다른 목적은 연삭정미실에 적정량의 낟알을 무리없이 공급할 수 있는 세로의 공급통을 접속한 정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1)은 바닥위에 설치한 정미기의 하나의 외측 케이스이고, 프레임(2)의 외주에 얇은 철판을 고정하여 형성한 것으로, 전체는 세로로 긴 4각 상자형으로 구성되고 있다.
상기 케이스91)내의 하부위치에는 가로 칸막이판(3)을 설치하고, 칸막이판(3)의 하부에는 하부전동실(4)이 형성되고 있다. 칸막이판(3)의 중심에는 상하방향의 투공을 뚫어, 그 투공에 세로고정통(6)의 하단을 삽통하여 나사(7)로 고정한다.
상기 고정통(6)의 상단에는 플랜지 형상의 지지대(8)를 형성한다. 통(6)의 내부에는 상하 1쌍의 축받이(9)를 개재하여 중공의 세로주회전축(10)을 설치한다. 통(6)의 외주에는 송풍기(도시생략)에 접속되는 불어넣기 파이프(12)를 부착시킨다. 파이프(12)로 부터의 바람은 주축(10)과 통(6)사이의 방(11)에 보내지고, 주축(10)의 외면에 형성한 슬릿(13)을 개재하여 주축(10)내에 송풍된다.
상기 가로 칸막이판(3)보다도 아래쪽으로 돌출한 세로주회전축(10)의 하단에는 상기 전동실(4)내의 수동풀리(14)가 고정되고 있다. 풀리(14)는 주모터(76)에 의하여 회전된다(제3도).
상기 세로주회전축(10)의 상단은 별개의 양 가로칸막이판(19, 20)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돌출시킨다. 칸막이판(19)과 칸막이판(20)과의 사이의 주축(10)의 외주에는 돌조(80)를 갖는 마찰식 정미로울(15)을 상방으로 부터 삽탈이 가능하도록 장치한ㄷ.
상기 정미로울(15)의 주위는 다공판으로 형성한 다각형의 정미통(17)으로 에워싸고, 정미로울(15)과 정미통(17)사이에 마찰 정미실918)을 형성한다(제5도). 마찰정미실(18)은 상부가 낟알의 유입 측이며, 하부가 낟알의 배출측인 유하식 정미실이 된다.
정미통(17)은 둘로 갈라진 구조로 테두리(21)에 의하여 유지된다. 테두리(21)는 1쌍의 원호아암(22, 23)으로 구성되고 원호아암(22, 23)의 일단은 핀(24, 25)에 의하여 프레임(2)에 각각 자유로이 회전이 되도록 축지(軸止)되고, 아암(22, 23)의 타단은 나사(26)로 서로 고정된다. 정미통(17)을 교환할때에는 나사(26)를 벗기고 테두리(21)를 좌우로 개방하여 꺼낸다.
(27)은 테두리(21)의 바깥쪽을 대략 동심상으로 에워싸는 중간벽이고, 중간벽(27)의 안쪽이 흡이실(28)이 되고, 흡이실(28)에는 통로(81)를 개재하여 흡인송풍기(도시생략)을 연결한다. 상기 슬릿(13)을 개재하여 주축(10)내에 유입한 바람은 제5도와 같이 주축(10)의 슬릿(82) 및 정미로울(15)의 슬릿(83)을 개재하여 정미실(18)을 향해서 분출되어, 정미실(18)내의 겨를 정미통(17)의 구멍으로 부터 흡입실(280에 도출한다. 흡인실(28)에서 나온 겨는 통로(81)로 부터 기외로 배출된다. 또, 중간벽(27)은 정미통(17)의 교환 작업시에는 방해가 되므로 나사(29)를 빼고 좌우로 분해한다.
제2도와 같이 상기 케이스(1)의 얇은 철판중, 마찰정미실(18)의 어떤부분의 얇은 철판(30)은 나사(31)에 의하여 자유로이 착탈할 수 있도록 장치된다.
가로카막이판(19)의 투공(32)으로 부터 상방으로 돌출한 세로주회전축(10)의 외주에는 송곡나선(16)을 상방으로 부터 삽탈이 가능하도록 장치한다. 또 송곡나선(16)과 상기 정미로울(15)과는 상방으로 끌어올리므로써 주축(10)에서 빼낼 수 있다. 송곡나선(16)은 낟알을 하방의 정미실(18)에 강제적으로 이송하는 것이다. 송곡나선(16)의 주위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송곡통(33)으로 에워싸고, 송곡나선(160과 송곡통(33)사이에는 송곡실(79)을 형성한다. 송곡통(33)은 제4도와 같이 나사(78)로 가로 칸막이판(19)에 장치한다.
송곡통(33)은 송곡나선(16)보다 높이는 낮고, 송곡통(33)의 상부에는 깔대기(34)를 고정한다. 송곡통(33)의 외주에는 상하 1쌍의 베어링(35)을 개재하여 회전통(36)을 장착하고 회전통(36)의 하단 외주에는 수동풀리(37)를 장치한다. 수동풀리(37)는 부모터(77)로 회전시킨다. 회전통(36)의 상단 외주에는 줄모양의 표면을 갖는 연삭식 정미로울938)을 끼우게 된다. 상기 수동풀리(37)는 가로 칸막이판(19)보다 높은 위치에 있다. 그러므로 수동풀리(37)는 정미통 (17)의 교환작업의 방해가 된다.
연삭식 정미로울(38)은 제4도와 같이 상하 폭이 작은 환상구조이고, 그 상연(39)은 송곡나선(16)의 상연(40)보다 약간 상방위치에 있고, 그 하연(41)은 송곡 나선(16)의 상하 중간에 위치한다. 정미로울(38)의 상연(40)에는 경사부(42)를 형성한다. 정미로울(38)의 외주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공판에 의하여 형성한 정미통(43)으로 에워싼다. 연삭식 정미로울(38)과 정미통(43)사이가 연삭정미실(44)가 된다. 연삭정미실(44)는 후기 설명과 같이 하방이 낟알의 유입구, 상방이 낟알의 배출구가 되고, 낟알은 하방으로 부터 상방으로 이동하는 상승식 정미실이 된다.
제6도와 같이 정미통(43)의 하부의 한 구석에는 낟알의 유입구(45)를 형성한다. 정미통(43)의 내면에는 그 하연(52)으로 부터 그 상연(53)에 이르는 나선(54)이 형성되고 있다. 나선(54)는 복수나선으로서 실시예에서는 9줄의 나선이 동일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유입구(45)를 개재하여 연삭정미실(44)에 공급된 낟알은 정미가 진행되면서 나선(54)에 의하여 상방으로 안내되어 정미로울(38)의 상연(39)으로 부터 넘쳐서 연락로(61)를 재재하여 송곡실(69)에 공급된다.
(46)은 낟알공급장치의 통체이고, 통체(46)의 하단은 저벽(47)으로 폐색한다. 공급통(46)의 내부에는 나선날개(49)를 형성한 세로의 회전축(48)을 형성하고, 그 축(48)의 하단은 저벽(47)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돌출시키고, 그곳에 풀리(88)를 고정한다. 풀리(88)를 회전시키는 모터는 도시를 생략한다.
통체(46)의 하부의 정미통(43)의 하류입구(45)와 대치하는 부분에는 낟알배출구(84)를 형성하고, 배출구(84)와 유입구(45)는 대략수평의 통로(85)에 의하여 연결한다. 회전축(48)의 배출구(84)에 이르는 곳에는 나선날개(49)가 형성되어 있지않고, 밀어넣기 날개(50)을 부착한다. (51)은 밀어넣기 날개(50)의 산모양으로 형성된 보스(boss)이다. 회전축(48)과 나선날개(49)의 상단은 자유단이다. 그러므로 통체(46)는 제1도와 같이 그다지 돌출되지 않아, 너무 강제적 공급은 하지 않는다.
정미통(43)과 연삭식 정미로울(380과 송곡나선(16)의 상부에는 수평의 뚜껑(55)을 설치한다. 수평뚜껑(55)은 힌지기구(56)으로 자유로이 개폐되도록 구성한다. 수평뚜껑(55)의 평면형상은 원형이고, 중심에는 송곡통(33)의 직경과 대략 동일한 둥근구멍(57)이 형성되고, 이 구멍(57)에는 원형의 소원판(58)을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한다(제3, 4도). 소원판(58)은 스프링(66)에 의하여 제3도와 같이 항상 시계회전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67)은 스프링(66)의 탄력을 조정하는 모터이다.
수평뚜껑(55)의 하면에는 뚜껑(55)의 외연으로 부터 둥근구멍(57)의 외연으로 향하는 유도판(59)을 약 6개 정도 장치한다. 유도판(59)은 전체적으로 둥근구멍(57)에 대한 접선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삭식 정미로울(38)의 회전방향 A에 대하여 후퇴각을 갖는다. 유도판(59)의 내단에는 뚜껑(55)의 중심을 향해서 대략 직각으로 굴곡시킨 굴곡편(60)을 형성한다. 굴곡편(60)은 상기 송곡실(79)의 유입구989)의 상방에 위치한다. 연삭정미실(44)에서 상방으로 넘친 낟알은 각 유도판(59)에 의하여 칸막이된 연락로(61)에 안내되어 송곡실(79)의 환상깔대기(34)에 공급된다.
연락로(61)의 중단부에는 축(62)에 의하여 뚜껑(55)의 하면에 축으로 고정한 저항판(63)을 설치한다. 저항판(63)에는 소원판(58)에 꽂혀있는 도기(65)와 접촉하는 아암(64)을 고정한다. 저항판(63)은 연결로(61)에 낟알이 없는 상태에서는 스프링(66)에 의하여 힘이 가해지는 돌기(65)에 의하여 아암(64)이 압압되어서 제3도와 같이 연락로(61)를 닫고, 다량의 낟알이 연락로(61)에 유입하면 낟알의 압력과 스프링(66)의 탄력의 관계에 따라서 연락로(61)를 개방한다.
제2도와 같이 상기 마찰정미실(18)의 하부에는 환상의 유출구(68)를 형성하고 유출구(68)에는 상하이동하여 유출구(68)의 크기를 조절하는 저항밸브(69)를 설치한다. (70)은 저항밸브969)에 일단을 축에 고정하는 지지아암, (71)은 지지아암(70)의 타단을 아래방향으로 견인하는 스프링, (72)는 스프링 (71)의 강도를 조정하는 모터이다.
상기 통제(46)의 상부에는 낟알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밸브(74)가 설치된다.
(74)는 조절밸브(73)를 동작시키는 모터(75)는 통체(46)내에 남은 낟알을 불어 보내는 잔여낟알의 취송(吹送)관, (86)은 잔여 낟알의 송관에 송풍하는 팬, (87)은 구석부에 낟알이 체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경사코너부이다.
또, 상기 하부수동풀리(14)를 회전시키는 주모터(76)와 상기 상부수도풀리(37)를 회전시키는 부모터(77)는 제3도와 같이 한쪽에 상하중합시킨 상태로 배치된다.
주모터(76)에 의하여 하부수동(受動)풀리(14)를 개재하여 주회전축(10)을 회전시키면 마찰식 정미로울(15) 및 송곡나선(16)이 회전하여 부모터(77)에 의하여 상부수도풀리(37)을 개재하여 회전통(36)을 회전시키면서 연삭식 정미로울(38)이 회전한다. 이와같이 마찰식 정미로울(15)와 연삭식 정미로울(38)은 서로 다른 모터(76, 77)에 의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함으로 다같이 가장 적합한 회전속도로 조절할 수 있다.
이와같이 별개의 모터(도시생략)로 풀리(88)를 회전하여 모터(74)에 의하여 밸브(73)를 열면 낟알은 바로 아래의 낟알공급장치의 통체(46)에 낙하하고, 나선 날개(49)에 의하여 하방으로 이송되어 밀어넣기날개(50)의 회전에 의하여 대략 수평의 통로(85)를 개재하여 연삭정미실(44)내에 공급된다. 이때 통체(46)은 종래와 같이 가로통이 아니고 세로통이므로 낟알은 지나치게 강제적이 아니고 유연한 상태로 정미실(44)에 공급도기 때문에 쇄미(碎米 : 싸라기)는 발생되지 않는다.
연삭정미실(44)내에 유입한 낟알은 날개(50)에 의하여 후속의 낟알이 계속해서 강제적으로 공급되어 오는 일과, 정미통(43)의 내면에 정미실(44)내의 낟알을 상방으로 유도하는 다수의 나선(54)를 형성하고 있는 것과, 연삭식 정미로울(38)의 상하폭이 작아서 연삭정미가 진행되면서 원활히 정미실내를 상승한다.
연삭정미실(44)에서 초기정미된 낟알은 유도판(59)에 의하여 칸막이된 연략로(61)에 유입한다. 이때 연삭정미실(44)의 상단부에서는 낟알이 원심력에 의하여 수평뚜껑(55)의 주위에 들어붙게 되는데, 수평뚜껑(55)의 주위에는 경사코너(87)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정미실(44)를 넘친 낟알을 원활히 연락로(61)에 유입된다.
그리고 유도판(59)에 의하여 구획된 각 연락로(61)의 종단에는 스프링(66)의 탄력에 의하여 소원판(58) 및 돌기(65)를 개재하여 연락로(61)를 폐색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저항판(63)이 설치되고 있으므로 초기 정미된 낟알은 점차적으로 양이 증대되면서 연락로(61)내에 모아져서 연락로(61)내에 소정의 양이 모아지면 그 압력에 의하여 저하판(63)은 스프링(66)의 탄력에 반발하여 개방되고 조금씩 낟알은 송곡실979)내로 유입하여 송곡나선(16)에 의하여 하방으로 이송되어 마찰정미실(18)내에서 마무리 정미된다. 마찰정미실(18)내의 마무리 정미의 정도는 모터972)로 조정되는 스프링(71)의 강약으로 조절된다.
또, 작업종료시에는 소량의 낟알이 통체(46)내에 남는데, 이 잔류된 낟알은 팬(86)의 잔여 낟알의 취송관(75)을 개재하여 통체(46)내에 불어넣는 바람으로 남김없는 정미실(44)내에 불어넣어진다.
또, 주회전축(10)의 외주에 회전통(36)을 설치하여 2중축 구성을 취하고 있으몰 마찰식 정미로울(15)과 연삭식 정미로울(38)을 따로따로 회전시키는 구성을 채택해도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소형 및 낮은 원가의 정미기 1대로 연삭정미와 마찰정미의 특성을 모두 살려서 연삭정미와 마찰정미를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 연삭정미실(44)에 적합한 양의 낟알을 무리없이 공급할 수 있다.
또, 연삭정미실(44)내의 낟알을 원활히 정미실(44)내를 상승할 수 있다.

Claims (7)

  1. 세로의 주회전축의 하부위치에 고정한 마찰식 정미로울과 그 마찰식 정미로울의 외주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포위하는 정미통과의 사이에 형성한 유하식 마찰정미실과, 상기 주회전축의 상부위치에 고정한 송곡 나선체와 그 소곡나선체의 외주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포위하는 송곡통과의 사이에 형성되며, 낟알을 하방의 상기 마찰정미실을 향해서 이송하는 송곡실과, 상기 송곡통의 외주부를 회전이 가능하게 포위하는 회전통과, 그 회전통의 외주에 고정한 연삭식 정미로울과 그 연삭식 정미로울의 외주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포위하는 정미통과의 사이에 형성한 상승식 연삭 정미실과, 그 연삭정미실의 상부의 배출구와 상기 송곡실의 상부의 유입구와의 사이에 형성한 연락로로 구성되는 정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삭정미실의 정미통의 내면에는 상기 연삭식 정미로울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연삭정미실 내를 이동하는 낟알을 상승시키는 나선체를 설치한 정미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삭정미실의 측방에는 저부는 폐색되고 세로의 회전축을 가지는 세로의 통체를 배설하고, 그 통체의 하부 한쪽의 낟알 배출구와 상기 연삭정미실의 하부 한쪽의 낟알 유입구를 연통시키고, 상기 회전축의 하단의 상기 통체의 낟알배출구에 이르는 곳에는 밀어넣기 날개를 고정하고, 그 밀어넣기 날개보다 상부의 상기 회전축에는 낟알을 하방으로 보내는 나선날개를 고정한 정미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의 통체에는 송풍팬에 이르는 바람 취송관을 접속한 정미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락로 내에는 상기 연삭식 정미로울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후퇴각을 갖는 방사상의 복수의 유도판을 배설하고, 이것으로 상기 연삭정미실에서 넘친 낟알을 상기 유도판에 의하여 상기 송곡실의 유입구를 향해 안내 되도록 구성한 정미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판의 내단은 대략 90도 내측으로 굴곡시켜서 굴곡편을 형성하고, 그 굴곡편을 상기 송곡실의 유입구의 상방위치에 위치하게한 정미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락로에는 낟알의 입력에 따라서 그 연락로를 개폐하는 저항핀을 설치한 정미기.
KR1019920015203A 1991-12-27 1992-08-22 정미기 KR1002161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359026 1991-12-27
JP3359026A JP3012070B2 (ja) 1991-12-27 1991-12-27 精米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2104A KR930012104A (ko) 1993-07-20
KR100216117B1 true KR100216117B1 (ko) 1999-08-16

Family

ID=18462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5203A KR100216117B1 (ko) 1991-12-27 1992-08-22 정미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259303A (ko)
JP (1) JP3012070B2 (ko)
KR (1) KR100216117B1 (ko)
CN (1) CN103362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44504B2 (ja) * 1993-10-01 2002-11-11 株式会社サタケ 竪型研削式精穀装置
DE4333703C2 (de) * 1993-10-02 2003-07-03 Buehler Gmbh Schleif- bzw. Poliermaschine
AU660879B1 (en) * 1994-08-22 1995-07-06 Satake Corporation Vertical milling machine
JP3249716B2 (ja) * 1995-06-09 2002-01-21 株式会社山本製作所 縦型摩擦式精米装置
CN1290618C (zh) 2000-07-05 2006-12-20 株式会社山本制作所 免淘米制造装置
JP4610254B2 (ja) * 2004-07-29 2011-01-12 株式会社山本製作所 研米機
CN102240579A (zh) * 2011-04-22 2011-11-16 何灏 立式碾米机
CN103962196B (zh) * 2014-05-21 2016-03-09 哈尔滨工程大学 稻谷碾白机
CN106582921A (zh) * 2016-12-14 2017-04-26 湖南佳佳粮食购销股份有限公司 一种减少碎米的大米抛光机组
CN107096592A (zh) * 2017-06-30 2017-08-29 陈伟景 一种效果良好的环保型立式碾米机
CN107413418A (zh) * 2017-06-30 2017-12-01 陈伟景 一种环保型立式碾米机
CN113617410A (zh) * 2021-07-13 2021-11-09 湖南郴州粮油机械有限公司 脱皮碾削加工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24638A (en) * 1921-03-28 1922-08-01 Frank E Giozza Automatic feed device for pearling cones
US3734752A (en) * 1970-09-14 1973-05-22 Cpc International Inc Processing cereal grains and seeds by a semi-dry milling method
US3960068A (en) * 1975-01-29 1976-06-01 Felipe Salete Machine for whitening, polishing or pearling grains and cereals and more particularly rice
MX147108A (es) * 1979-01-24 1982-10-06 Felipe Salete Garces Mejoras a maquina pulidora y blanqueadora de granos
US4426922A (en) * 1981-06-09 1984-01-24 Soichi Yamamoto Vertical frictionally abrasive roll rice polishing machine
JPS57209647A (en) * 1981-06-19 1982-12-23 Yamamoto Soichi Vertical grinding type cereal cleaning device
US4800810A (en) * 1986-07-24 1989-01-31 Yamamoto & Co. Ltd. Impact rice huller
JPS63182041A (ja) * 1987-01-21 1988-07-27 株式会社 サタケ 竪軸型精穀機
JPH0822389B2 (ja) * 1987-07-27 1996-03-06 株式会社佐竹製作所 竪軸型摩擦切削式精米機
US4913045A (en) * 1988-03-23 1990-04-03 Satake Engineering Co., Ltd. Polished-rice humidifying apparatus and rice milling system
US5048407A (en) * 1989-11-07 1991-09-17 Salete Garces Felipe Grain husking and polishing machine
US5119721A (en) * 1990-08-27 1992-06-09 Satake Engineering Co., Ltd. Apparatus for producing washed r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012070B2 (ja) 2000-02-21
CN1033620C (zh) 1996-12-25
KR930012104A (ko) 1993-07-20
US5259303A (en) 1993-11-09
CN1077663A (zh) 1993-10-27
JPH05177148A (ja) 1993-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6117B1 (ko) 정미기
CA2174190C (en) Vertical grain milling machine
US5295629A (en) Vertical type grain-milling machine
US5511469A (en) Abrasive type vertical grain milling machine
KR100318053B1 (ko) 세라믹스 완패스 정미기
JP2003311162A (ja) 精米機の精白装置
JPH08141417A (ja) 研米機
JPH01194945A (ja) 竪軸型精米機
JP3012072B2 (ja) 精米装置
JP2639752B2 (ja) 一軸研削摩擦籾摺精米装置
JP3142938B2 (ja) 上昇式精米装置
JP3029333B2 (ja) 精米装置
JP2904826B2 (ja) 竪軸研削式精穀機
JP3091346B2 (ja) 上昇式精米装置における供給装置
JP3065842B2 (ja) 精米装置
JP2516386B2 (ja) 一回通し竪軸型精米機
JP3163156B2 (ja) 精米装置
JP3101042B2 (ja) 精米装置
JPH01143648A (ja) 竪軸型精米機
JP3163154B2 (ja) 精米装置
JPH01164449A (ja) 竪軸型精米機
JPS6310821Y2 (ko)
JPH01139148A (ja) 竪軸型精米機
JPH01168352A (ja) 竪軸型精米機
JP2010260022A (ja) 精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