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6592B1 - 호스 클립 - Google Patents

호스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6592B1
KR100356592B1 KR1020000019867A KR20000019867A KR100356592B1 KR 100356592 B1 KR100356592 B1 KR 100356592B1 KR 1020000019867 A KR1020000019867 A KR 1020000019867A KR 20000019867 A KR20000019867 A KR 20000019867A KR 100356592 B1 KR100356592 B1 KR 100356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f spring
inclined surface
hose clip
spring body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9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9255A (ko
Inventor
야마다사토시
아이하라마사히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Publication of KR20010049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9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6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65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03Self-locking elastic cli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14Bale and package ties, hose clamps
    • Y10T24/1457Metal ba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14Bale and package ties, hose clamps
    • Y10T24/1457Metal bands
    • Y10T24/1478Circumferentially swagged band cla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호스 클립은 탄성 부재를 고리 형상으로 만곡시킴으로써 형성된 판 스프링 본체; 판 스프링 본체의 일 단부 부분에 제공된 슬롯 구멍; 슬롯 구멍으로부터의 팁 단부 측상에서 판 스프링 본체의 일 단부 부분에 제공되고 그리고 판 스프링 본체에 대하여 외측으로 돌출한 제 1 의 돌기 부분; 슬롯 구멍으로 삽입되도록 판 스프링 본체의 다른 단부 부분에 제공된 삽입 편; 삽입 편에 제공되고 그리고 판 스프링본체에 대하여 외측으로 돌출한 돌출 부분; 돌출 부분과 맞물리도록 슬롯 구멍으로부터의 팁 단부 측상에서 판 스프링 본체의 일 단부 부분에 제공된 맞물림 부분; 돌출 부분으로부터 팁 단부 측상에서 삽입 편에 제공되고 판 스프링 본체에 대하여 외측으로 돌출한 제 2 돌기 부분; 돌출 부분과 삽입 편상의 제 2 돌기 부분 사이에 제공되고, 경사면이 제 2 돌기 부분에 접근할때 보다 큰 정도로 판 스프링 본체에대하여 외측으로 돌출하는 경사면; 및, 경사면상에서 미끄러지도록 슬롯 구멍으로부터 팁 단부 측상에서 판 스프링 본체의 일 단부 부분에 제공된 미끄럼 부분;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호스 클립{Hose clip}
본 발명은 호스 클립에 관한 것이며, 특히 호스를 사용하여 차량의 내부 파이프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을 연결하는데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는 호스 클립에 관한것이다.
통상적으로, 플라스틱 호스를 이용하여 금속 파이프를 연결하는데 있어서, 호스의 각 단부 부분은 금속 파이프의 외측 주변부 상에 끼워져서, 이후에 금속 파이프의 외측 주변부 위에 끼워진 호스 단부 부분의 외측 주변부는 각기 호스 클립으로 죄여져서 호스를 양쪽의 금속 파이프들에 고정시키게 된다.
일본 실용신안 출원 공개 공보 제 5-34386 호는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호스 클립을 개시한다.
도 13 에서, 호스 클립(HC)은 탄성을 가지면서 고리 형상으로 만곡된 판 스프링 본체(1)를 가진다.
판 스프링 본체(1)의 단부 부분에서, 슬롯 구멍(2)과, 상기 슬롯 구멍으로부터 팁 단부 측상에서 외측으로 돌출한 제 1 돌기 편(3)이 형성되어 있다. 다른 한편으로, 판 스프링 본체(1)의 다른 단부 부분에는, 슬롯 구멍(2)안으로 삽입된 삽입 편(4)과, 상기 삽입 편(4)의 팁 단부 부분에서 외측으로 돌출한 제 2 돌기 편(5)이 형성되어 있다.
판 스프링 본체(1)의 다른 단부 부분상의 삽입 편(4)에는 록킹 편(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록킹 편(6)이 맞물릴 수 있는 수용 편(7)은 판 스프링 본체(1)의 일 단부 부분에서 제 1 돌기 편(3)의 하부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공구가 그것을 통해서 삽입되는 공구 삽입 윈도우(8)는 수용 편(7)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호스 클립(HC)은, 제 1 돌기 편(3)과 제 2 돌기 편(5)이 집게등을 사용하여 집혀져서 개방되고 그리고 잠금용 멈춤쇠(6)가 수용 편(7)과 맞물릴때, 일시적으로 잠금 상태로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클립은 호스(미도시)의 외측 주변부에 위치하며, 공구는 지레 작용을 적용하도록 공구 삽입 윈도우(8)로부터 삽입됨으로써, 제 1 돌기 편(3)을 반경상 외측으로 그리고 제 2 돌기 편(5)을 반경상 내측으로 서로에 대하여 움직인다. 결과적으로, 잠금 편(6)과 수용 편(7)의 서로에 대한 맞물림은 판 스프링 본체(1)의 탄성력에 의해서 판 스프링 본체(1)의 직경을 감소시키도록 해제된다.
그러나, 상기의 호스 클립(HC)에 있어서, 일시적으로 잠긴 상태의 잠금 편(6)과 수용 편(7)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될때, 판 스프링 본체(1)의 직경은 호스를 죄도록 순간적으로 감소된다. 따라서, 일부 경우에 있어서, 서로에 대한 호스 클립(HC)과 호스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위치로부터 이격되어서 예상된 장착 상태가 달성될 수 없도록 호스 클립(HC)이 급격하게 움직인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시적인 잠김 상태가 해제되었을때 직경 감소 단계에서 공구를 호스 클립과 접촉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직경 감소 단계를 임의로 조절하는 호스 클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구현예에 따른 호스 클립의 일시적인 잠금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제 1 구현예에 따른 감소 직경을 가지는 호스 클립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제 1 구현예에 따른 일시적인 잠금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적인 확대 사시도.
도 4a는 제 1 구현예에 따른 일시적인 잠금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적인 확대 단면도.
도 4b 는 모따기 부분이 형성된 미끄럼 부분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5a 내지 도 5d 는 제 1 구현예에 따라서 호스 클립의 일시적인 잠금 단계를 순서대로 도시하는 설명도.
도 6a 내지 도 6g 는 제 1 구현예에 따라서 호스 클립의 일시적인 잠금 해제 단계를 순서대로 도시하는 설명도.
도 7a 및, 도 7b 는 제 1 구현예에 따라서 일시적인 잠금이 일시적인 잠금 해제 단계에서 해제되는 원리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8 은 본 발명의 제 2 구현예에 따른 호스 클립의 일시적인 잠금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적인 확대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제 3 구현예에 따른 호스 클립의 일시적인 잠금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적인 확대 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4 구현예에 따른 호스 클립의 경사면을 주로 도시하는 부분적인 확대 사시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5 구현예에 따른 호스 클립의 경사면을 주로 도시하는 부분적인 확대 사시도.
도 12 는 본 발명의 제 6 구현예에 따른 호스 클립의 경사면을 주로 도시하는 부분적인 확대 사시도.
도 13 은 통상적인 호스 클립을 도시하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 호스 클립 11. 판 스프링 본체
12. 슬롯 구멍 13. 제 1 돌기 편
14. 삽입 편 15. 제 2 돌기 편
16. 잠금 멈춤쇠 17. 경사면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 부재를 고리 형상으로 만곡시킴으로써 형성된 판 스프링 본체, 판 스프링 본체의 일 단부 부분에 제공된 슬롯 구멍, 슬롯 구멍으로부터의 팁 단부 측상에서 판 스프링 본체의 일 단부 부분에 제공되며 판 스프링 본체에 대하여 외측으로 돌출하는 제 1 돌기 부분, 슬롯 구멍내로 삽입되도록 판 스프링 본체의 다른 단부 부분에 제공된 삽입 편, 삽입 편에 제공되고 판 스프링 본체에 대하여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 부분, 돌출 부분과 맞물리도록 슬롯 구멍으로부터의 팁 단부 측상에서 판 스프링 본체의 일 단부 부분에 제공된 맞물림 부분, 돌출 부분으로부터의 팁 단부 측상에서 삽입 편에 제공되고 판 스프링 본체에 대하여 외측으로 돌출하는 제 2 돌기 부분, 돌출 부분과 삽입 편상의 제 2 돌기 부분 사이에 제공되고 경사면이 제 2 돌기 부분에 접근함에 따라서 판 스프링 본체로부터 보다 큰 정도로 외측으로 돌출하는 경사면 및, 경사면상에서 미끄러지도록 슬롯 구멍으로부터의 팁 단부측상에서 판 스프링 본체의 일 단부 부분에 제공된 미끄럼 부분을 구비하는 호스 클립이 제공된다. 여기에서, 돌출 부분과 맞물림 부분이 맞물리는 일시적인 잠금 상태는 제 1 돌기 편과 제 2 돌기 편이 감소되었을때 획득되어, 일시적인 잠금 상태 이후에 제 1 돌기 편과 제 2 돌기 편 사이의 갭이 더 감소될때 미끄럼 부분이 돌출 부분 위로 올라가서 미끄럼 부분이 경사면상에서 미끄러질때까지 판 스프링 본체를 개방시킨다.
본 발명의 호스 클립의 각 구현예는 도면을 적절히 참고하여 아래에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우선, 본 발명의 제 1 구현예가 도 1 내지 도 7b 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 클립(10)은 밴드 형상을 가지고 탄성을 가지는 금속판을 고리 형상으로 만곡시켜서 판 스프링 본체(11)의 직경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스프링의 힘이 이루어지는 판 스프링 본체(11)를 가진다. 판 스프링 본체(11)의 일 단부 부분에서, 슬롯 구멍(12)과 상기 슬롯 구멍(12)으로부터 팁 단부 측에 외측으로 돌출하는 제 1 돌기 편(13)이 형성된다.
판 스프링 본체(11)의 다른 단부 부분에서, 슬롯 구멍(12)을 통해서 삽입되어야할 삽입 편(14)과, 삽입 편(14)의 팁 단부에서 호스 클립(10)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삽입 편(14)으로부터 팁 단부 측을 굽힘으로써 형성된 제 2 돌기 편(15)이 형성된다.
더욱이, 삽입 편(14)에 대하여, 호스 클립(10)의 직경 방향에서(도 1 의 방향(R)) 절개되어 들어올려짐으로써 형성된 돌출 부분인 잠금 멈춤쇠(16)와, 잠금 멈춤쇠(16)에 대하여 제 2 돌기 편(15) 측상에 있고 그것이 제 2 돌기 편(15)에 접근함에 따라서 호스 클립(10)의 반경 방향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경사면(17)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의 경우에, 경사면(17)은 잠금 멈춤쇠(16)와 상기 잠금 멈춤쇠(16)에 실질적으로 근접하게 배치된 하부 에지 부분보다 높은 상부 부분(즉, 상부 부분에서 호스 클립(10)의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한 지점(T))을 가진다. 경사면(17)의 높이와 위치는 이후에 설명될 일시적인 잠금 해제 작용이 가능하도록 적절하게 설정된다.
다른 한편으로, 제 1 돌기 편(13)의 하부 부분에 대하여, 일시적인 잠금을 위해서 잠금 멈춤쇠(16)와 맞물리는 맞물림 부분(18)이 제공된다. 본 구현예의 경우에, 맞물림 부분(18)은, 돌기 편(13) 측상의 제 1 돌기 편(13)의 하부 에지 부분을 호스 클립(10)의 직경이 감소하는 직경 감소 방향으로 절단하여 들어올려서 형성된 멈춤쇠 편으로 형성된다.
맞물림 부분(18)의 배면측상의 하부 에지 부분에서(도 4a 참조), 즉, 맞물림 부분(18)의 잠금 멈춤쇠(16)가 맞물리는 면에 대향하는 측상의 면에는 경사면상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만곡된 부분이 미끄럼 부분(19)을 구성하도록 형성된다.
더욱이, 판 스프링 본체(11)의 중간 부분에는, 중량을 감소시키고 호스 클립을 호스(H)에 맞물리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호스(H)상의 표면 압력을 증가시키도록 복수개의 경량화 구멍(20)이 형성된다.
다음에, 본 구현예의 호스 클립(10)의 작동은 도 5a 내지 도 7b 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5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 클립(10)의 직경 감소 상태에서는, 삽입 편(14)이 슬롯 구멍(12)내로 삽입되고 돌기 편(13,15)들은 서로에 대하여 최대로 개방된다.
이러한 경우에, 도 5b 내지 도 5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돌기 편(13)과 제 2 돌기 편(15)이 한쌍의 집게등과 같은 것을 사용하여 집혀져서 닫힐때, 제 1 돌기 편(13)의 하부 부분에 형성된 맞물림 부분(18)은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은 삽입 편(14)상에 형성된 잠금 멈춤쇠(16) 위로 올라가서 경사면(17)을 향해 움직인다.
이후에, 맞물림 부분(18)이 잠금 멈춤쇠(16) 위로 올라가서 미끄럼 부분(19)이 경사면(17)의 하부측에 근접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한쌍의 집게등과 같은 것의 붙잡는 힘이 약해져서 제 1 돌기 편(13)과 제 2 돌기 편(15)을 개방할때, 맞물림 부분(18)은 도 5d 에서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은 잠금 멈춤쇠(16)와 맞물리고, 그에 의해서 호스 클립은 호스 클립(10)이 개방된 일시 잠금 상태로 가져가게 된다.
상기 방식으로 일시적으로 잠겨진 호스 클립(10)이 호스(H)의 외측 주변부 위에 느슨하게 끼워지는 동안에, 호스(H)의 단부 부분은 금속 파이프 또는 그와 유사한 것(미도시)의 위로 끼워지며 호스 클립(10)은 연결되어야할 호스(H)의 단부 부분의 외측 주변상에 위치된다.
다음에, 도 6a 및, 도 6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돌기 편(13)과 제 2 돌기 편(15)이 한쌍의 집게등을 사용하여 다시 집혀져서 확고하게 폐쇄되면, 맞물림 부분(18)의 배면 측상에 형성된 만곡된 미끄럼 부분(19)은 화살표로 도시된 경사면(17)에 올라가며, 제 1 돌기 편(13)은 삽입 편(14)에 대하여 호스 클립(HC)의 반경 방향에서 외측으로 이탈되게 된다.
즉, 도 7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 편(13,15)이 한쌍의 집게등과 같은 공구(P)를 사용하여 폐쇄되면, 돌기 편(13,15)은 L1이 실질적으로 L2와 동등하게 되는 위치에서 공구(P)와 최초로 접촉한다. 돌기 편(13,15)이 완전히 폐쇄되었을때, 돌기 편(13,15)과 공구(P) 사이의 관계는 도 7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L1이 L2보다 더 크게 되도록 변화되며, 이는 돌기 편(13)이 경사면(17)에 올라가서 호스 클립(10)의 반경 방향으로 벗어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구(P)와 호스 클립(10) 사이의 각도는 폐쇄되며 공구(P)는 단계의 시작 위치로부터 경사지게 된다.
이때, 경사면(17)은 비이드(bead) 형상을 가지고 맞물림 부분(18)의 배면 측상의 미끄럼 부분(19)은 만곡되기 때문에, 미끄럼 부분(19)은 경사면(17)상에서 미끄러질 것 같으며 상기의 작동은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맞물림 부분(18)의 배면측상의 미끄럼 부분(19)을 만곡된 부분 안으로 형성하는 대신에, 모따기 부분(19')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b 참조).
미끄럼 부분(19)이 경사면(17)의 상부 부분의 최고 위치(T)에 도달한 이후에, 한쌍의 집게 등과 같은 것의 붙잡는 힘이 약해져서 도 6c 및, 도 6d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돌기 편(13)과 제 2 돌기 편(15)이 점진적으로 개방되면, 맞물림 부분(18)은 이때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잠금 멈춤쇠(16)와 맞물려서 그 대신에 잠금 멈춤쇠(16)의 위로 통과되며, 그에 의해서 호스 클립(10)의 직경을 감소시킨다. 즉, 도 7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구(P)와 호스 클립(10) 사이의 각도가 폐쇄된 상태로부터 공구(P)가 개방되고 그리고 공구(P)가 단계의 시작 위치로부터 경사졌기 때문에, 맞물림 부분(18)은 다시 화살표로 도시된 잠금 멈춤쇠(16)와 맞물리며, 그에 의해서 직경의 감소가 이루어진다.
제 1 돌기 편(13)과 제 2 돌기 편(15)에 가해지는 한쌍의 집게등과 같은 것의 붙잡는 힘이 이러한 상태에서 해제되면, 돌기 편(13,15)은 도 6e 내지 도 6g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여서 호스 클립(10)이 다시 호스(H)에 대하여 가압될때까지 호스 클립(10)의 직경은 판 스프링 본체(11)의 탄성력에 의해서 감소된다. 마지막으로, 판 스프링 본체(10)의 내측 주위 면이 호스(H)와 근접하여 실질적으로 고리 형상으로 근접하여 접촉하게 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구현예의 호스 클립에 따라서, 제 1 및, 제 2돌기 편이 한쌍의 집게등과 같은 것을 사용하여 집혀져서 판 스프링 본체가 개방되고 그리고 미끄럼 부분이 경사면의 하부측에 근접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제 1 및, 제 2 돌기 편이 개방되면, 맞물림 부분은 잠금 멈춤쇠와 맞물리고, 그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클립을 일시적인 잠금 상태로 가져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호스 클립은 연결되어야할 호스의 외측 주변부상에 배치된다. 다음에, 제 1 및, 제 2 돌기 편이 다시 집혀져서 한쌍의 집게등과 같은 것을 사용하여 서로를 향해 당겨진다면, 미끄럼 부분은 경사면에 의해서 안내되어 제 1 의 돌기 편이 호스 클립의 직경 방향에서 외측으로 밀려진다. 만약 제 1 및, 제 2 돌기 편이 이러한 상태로 개방된다면, 맞물림 부분이 잠금 멈춤쇠와 맞물리지 않고 맞물림 부분이 잠금 멈춤쇠 위로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으며, 따라서, 호스 클립을 잡아두는 동안에 직경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호스 클립이 장착된 상태 및, 위치가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호스 클립은 용이하고 정확하게 장착될 수 있다.
더욱이, 본 구현예의 호스 클립에 따르면, 경사면은 잠금 멈춤쇠보다 높은 위치로 연장된다. 결과적으로, 제 1 및, 제 2 돌기 편이 집혀지고 미끄럼 부분이 경사면에 올라가서 경사면의 상부에 도달되는 상태로 개방되면, 맞물림 부분은 잠금 멈춤쇠와 맞물리지 아니하며 잠금 멈춤쇠 위로 통과하지 않을 것 같으며, 그에 의해서 일시적인 잠금 상태의 해제 작용을 신뢰성 있게 수행한다.
본 구현예의 호스 클립에 따르면, 경사면상의 미끄럼을 용이하게 하는 만곡된 부분 또는 모따기 부분은 잠금 멈춤쇠가 맞물리는 면에 대향하는 맞물림 부분 면의 하부 에지 부분에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제 1 및, 제 2 돌기 편이 집혀져서 호스클립의 일시적인 잠금 상태의 해제 작동시에 미끄럼 부분이 경사면을 따라서 올라갈때 미끄럼 부분은 경사면을 따라서 미끄러질 수 있으며, 따라서 해제 작용은 더욱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호스 클립에 따르면, 삽입 클립의 제 2 돌기 편의 베이스 부분이 비이드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 2 돌기 편의 강화 효과가 얻어질 수 있으며, 또한 미끄럼 부분이 경사면상을 미끄러질때 미끄럼 부분과 경사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감소되어서 경사면에 올라가는 작용을 용이하게 하고 그리고 작동성을 향상시킨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구현예가 설명될 것이다.
본 구현예는, 잠금 멈춤쇠(16)가 맞물리는 맞물림 부분의 구조가 변화되었다는 점에서 제 1 구현예와 상이하며, 본 구현예의 다른 구조들은 제 1 구현예의 것들과 유사하다. 제 1 구현예의 것들과 유사한 요소들에는 유사한 참조 번호 또는 문자가 제공되어 그것들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것이다.
상세하게는,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멈춤쇠(16)가 맞물리는 맞물림 부분(18a)이 제 1 돌기 편(13)의 하부 부분에 형성된 오목한 부분이다. 오목한 부분의 형상은 잠금 멈춤쇠(16)의 팁 단부 부분의 형상에 대응하며 잠금 멈춤쇠(16)는 맞물림 부분(18a)내로 끼워져서 신뢰성 있게 맞물린다. 맞물림 부분(18a)의 배면 측상의 미끄럼 부분(19)은 만곡된 형상을 가진다.
상기의 본 구현예의 구조로써, 제 1 및, 제 2 돌기 편들이 한쌍의 집게등과 같은 것에 의해서 집혀져서 호스 클립이 개방되고 미끄럼 부분이 경사면의 하부 측에 근접한 적절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제 1 및, 제 2 돌기 편이 개방되었을때, 잠금 멈춤쇠는 오목한 부분인 맞물림 부분과 신뢰성있게 맞물려서 호스 클립의 신뢰성 있는 일시적인 잠금 상태를 달성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3 구현예가 설명될 것이다.
본 구현예는 잠금 멈춤쇠(16)가 맞물리는 맞물림 부분의 구조가 변화되었다는 점에서 제 1 구현예와 상이하며, 본 구현예의 다른 구조는 제 1 구현예의 것들과 유사하다. 제 1 구현예의 것들과 유사한 요소들에는 유사한 참조 번호 또는 문자들이 제공되며 그것에 관한 설명은 생략된다.
상세하게는,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멈춤쇠(16)가 맞물리는 맞물림 부분(18b)은 제 1 돌기 편(13)의 하부 단부 부분을 굽힘으로써 형성된 맞닿은 부분이다. 맞닿은 부분의 형상은 잠금 부분(16)의 팁 단부 부분의 형상에 대응하며 잠금 멈춤쇠(16)의 팁 단부 부분은 맞물림 부분(18b)과 맞닿도록 되고 신뢰성있게 맞물린다. 맞물림 부분(18b)의 배면 측상의 미끄럼 부분(19)은 만곡된 형상을 가진다.
상기의 본 구현예의 구조로써, 제 1 및, 제 2 돌기 편이 한쌍의 집게등과 같은 것을 사용하여 집혀져서 호스 클립이 개방되고 미끄럼 부분이 경사면의 하부측에 근접하여 적절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제 1 및, 제 2 돌기 편이 개방되었을때, 잠금 멈춤쇠는 맞닿은 부분인 맞물림 부분과 신뢰성있게 맞물려서 호스 클립의 신뢰성 있는 일시적인 잠금 상태를 달성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4 구현예가 설명될 것이다.
본 구현예는 잠금 멈춤쇠(16)와 제 2 돌기 편(15) 사이에서 삽입 편(14)에 제공된 경사면의 구조가 변화되었다는 점에서 제 1 구현예와 상이하며 본 구현예의 다른 구조는 제 1 구현예의 것들과 유사하다. 제 1 구현예의 것들과 유사한 요소들에는 유사한 참조 번호 또는 문자가 제공되어 그에 관한 설명은 생략된다.
상세하게는,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17a)은 잠금 멈춤쇠(16)와 삽입 편(14)의 제 2 돌기 편(15) 사이의 비이드(bead) 형상 없이 단순하고 평탄한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경사면(17a)이 잠금 멈춤쇠(16)로부터 팁 단부 측상의 호스 클립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경사면(17a)은 상기 형상에 있어서 삽입 편(14)을 굽힘으로써 형성된다. 물론, 맞물림 부분(18)의 미끄럼 부분(19)이 경사면상에서 신뢰성있게 미끄러질 수 있는 그러한 형상을 경사면이 가지고, 그리고 경사면이 호스 클립의 일시적인 잠금 상태를 신뢰성있게 해제하도록 하는 그러한 높이 및, 위치를 가진다는 점에서, 경사면(17a)은 제 1 구현예의 경사면과 유사하다. 다음에, 삽입 편(14)은 경사면(17a)으로부터 팁 단부 측에서 굽혀져서 호스 클립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제 2 돌기 편(15)을 형성한다.
상기 본 구현예의 구조로써, 일시적인 잠금 상태인 제 1 및, 제 2 돌기 편이 한쌍의 집게 등과 같은 것을 사용하여 집혀져서 폐쇄되었을때, 미끄럼 부분은 평탄한 경사면에 올라가서 최고 위치(T)에 도달한다. 다음에, 한쌍의 집게등과 같은 것의 붙잡는 힘이 약해져서 제 1 및, 제 2 돌기 편이 개방될때, 맞물림 부분은 잠금 편과 다시 맞물리지 아니하고 호스 클립의 직경은 감소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5 구현예가 설명될 것이다.
본 구현예는 잠금 멈춤쇠(16)와 제 2 돌기 편(15) 사이의 삽입 편(14)에 제공된 경사면의 구조가 변화되었다는 점에서 제 1 구현예와 상이하며, 본 구현예의 다른 구조들은 제 1 구현예의 것들과 유사하다. 제 1 구현예의 것들과 유사한 요소들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문자가 제공되어 그에 관한 설명은 생략된다.
상세하게는,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17b)은 비임(beam) 부분의 면을 사용함으로써 형성되는데, 이것은 경사면으로서 잠금 멈춤쇠(16)와 삽입 편(14)의 제 2 돌기 편(15) 사이에서 삽입 편(14)의 폭 방향 중심 부분에서 비스듬하게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상기 형상의 경사면(17b)은 직사각형의 개방된 단면을 가지는 비임 부분의 외측면을 이용함으로써 형성되는데, 비임 부분은 잠금 멈춤쇠(16)가 형성되는 부분과 제 2 돌기 편(15)이 형성되는 부분 사이의 삽입 편(14)의 중간 부분에서 호스 클립의 원주 방향으로 두개의 평행한 슬릿을 형성하고, 슬릿 사이의 삽입 편(14)의 일 부분을 호스 클립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비스듬하게 밀어냄으로써 얻어진다. 물론, 맞물림 부분(18)의 미끄럼 부분(19)이 경사면상에서 신뢰성 있게 미끄러질 수 있도록 하는 형상을 경사면이 가지고, 그리고 경사면은 호스 클립의 일시적인 잠금 상태를 신뢰성있게 해제하도록 하는 높이 및, 위치를 가진다는 점에서, 경사면(17b)은 제 1 구현예의 경사면과 유사하다. 다음에, 삽입 편(14)은 경사면(17b)을 가지는 비임 부분에 근접한 위치에서 굽혀져서 호스 클립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제 2 의 돌기 편(15)을 형성한다.
상기의 본 구현예의 구조로써, 일시적인 잠금 상태인 제 1 및, 제 2 돌기 편은 한쌍의 집게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을 사용하여 집혀져서 폐쇄될때, 미끄럼 부분은 부분적으로 제공된 경사면에 신뢰성 있게 올라가서 최고 위치(T)에 도달한다. 다음에, 한쌍의 집게등과 같은 것의 붙잡는 힘이 약해져서 제 1 및, 제 2 돌기 편이 개방될때, 맞물림 부분은 다시 잠금 편과 맞물리지 아니하며 호스 클립의 직경이 감소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6 구현예가 설명될 것이다.
본 구현예는 잠금 멈춤쇠(16)와 제 2 돌기 편(15) 사이의 삽입 편(14)에 제공된 경사면의 구조가 변화되었다는 점에서 제 1 구현예와 상이하며, 본 구현예의 다른 구조들은 제 1 구현예와 유사하다. 제 1 구현예의 것들과 유사한 요소들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문자들이 제공되어 그에 관한 설명들이 생략된다.
상세하게는,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17c)이 두개의 경사면으로서 형성되며, 이들은 잠금 멈춤쇠(16)와 삽입 편(14)의 제 2 돌기편(15) 사이에서 각각 그리고 부분적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삽입 편(14) 폭 방향의 대향하는 단부 부분들이다.
경사면(17c)은 상기 형상에 있어서 잠금 멈춤쇠(16)가 형성되는 부분과 제 2 돌기 편(15)이 삽입 편(14)상에서 형성되는 부분 사이의 중간 부분에서 삽입 편(14)의 폭방향 외측으로 대향하는 부분들을 각기 굽힘으로써 형성된다. 물론, 맞물림 부분(18)의 미끄럼 부분(19)이 경사면상에서 신뢰성 있게 미끄러질 수 있는 형상을 경사면이 가지고 그리고 경사면이 호스 클립의 일시적인 잠금 상태를 신뢰성있게 해제하도록 하는 높이와 위치를 가진다는 점에서 경사면(17c)은 제 1 구현예의경사면과 유사하다. 다음에, 삽입 편(14)은 경사면(17c)을 가지는 위치에 근접한 위치에서 굽혀져서 호스 클립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제 2 의 돌기 편(15)을 형성한다.
여기에서, 각 경사면(17c)으로부터 연장된 상부 부분(17c')은 감소된 경사도를 가지도록 부드럽게 경사지게 되며, 삽입 편(14)이 굽혀져서 원주 방향에서 제 2 의 돌기 편(15)으로서 일어서기 직전에 삽입 편(14)의 면과 평행한 평탄면으로서 형성된다. 따라서, 일시적인 잠금을 해제하는데 있어서, 미끄럼 부분은 경사면(17c)상에서 미끄러져서 최고 위치(T)에 도달하여 상부 부분(17c')으로 움직이는 동안에 신뢰성 있게 올라가게 된다. 다음에, 미끄럼 부분(19)은 상부 부분(17c')상에 억류되기 때문에, 판 스프링 본체(11)의 스프링 힘은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상기의 본 구현예의 구조로써, 일시적인 잠금 상태인 제 1 및, 제 2 돌기 편이 한쌍의 집게등과 같은 것을 사용하여 집혀져서 폐쇄되었을때, 미끄럼 부분은 평탄한 경사면에 신뢰성 있게 올라가서 최고 위치(T)에 도달하게 된다. 다음에, 제 1 및, 제 2 돌기 편이 개방되었을때, 맞물림 부분은 다시 잠금 편과 맞물리지 아니하며 호스 클립의 직경은 감소된다.
더욱이, 이때, 호스 클립이 목표 위치에 위치될때까지 미끄럼 부분(19)이 상부 부분(17c')에 억류되기 때문에, 판 스프링 본체(11)의 스프링 힘은 효과적으로 감소되어 한쌍의 집게 등과 같은 것의 붙잡는 힘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호스 클립을 목표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킨 후에 제 1 및, 제 2 돌기 편이 개방되면, 맞물림 부분은 다시 잠금 편과 맞물리지 아니하고 호스 클립의 직경은 정확한 위치로 감소된다.
물론, 본 구현예의 경사면의 상부 부분에 제공된 평탄 부분을 제 1 구현예의 비이드 형상 경사면에 적절하게 적용하는 것과, 제 4 구현예의 단순 경사면에 적용하는 것과, 그리고 제 5 구현예의 비임 형상 부분을 이용한 경사면에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제 2 구현예의 오목한 부분을 이용한 맞물림 부분이나 또는 제 3 구현예에서 맞닿은 부분을 이용한 맞물림 부분을 상기의 다양한 경사면과 적절하게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양한 변형예들이 본 발명을 수행하게 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이탈함이 없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메탈 파이프에 대한 호스의 연결을 효과적으로 확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Claims (13)

  1. 탄성 부재를 고리 형상으로 만곡시킴으로써 형성된 판 스프링 본체;
    판 스프링 본체의 일 단부 부분에 제공된 슬롯 구멍;
    슬롯 구멍으로부터의 팁 단부 측상에서 판 스프링 본체의 일 단부 부분에 제공되고 그리고 판 스프링 본체에 대하여 외측으로 돌출한 제 1 의 돌기 부분;
    슬롯 구멍으로 삽입되도록 판 스프링 본체의 다른 단부 부분에 제공된 삽입 편;
    삽입 편에 제공되고 그리고 판 스프링본체에 대하여 외측으로 돌출한 돌출 부분;
    돌출 부분과 맞물리도록 슬롯 구멍으로부터의 팁 단부 측상에서 판 스프링 본체의 일 단부 부분에 제공된 맞물림 부분;
    돌출 부분으로부터 팁 단부 측상에서 삽입 편에 제공되고 판 스프링 본체에 대하여 외측으로 돌출한 제 2 돌기 부분;
    돌출 부분과 삽입 편상의 제 2 돌기 부분 사이에 제공되고, 경사면이 제 2 돌기 부분에 접근할때 보다 큰 정도로 판 스프링 본체에 대하여 외측으로 돌출하는 경사면; 및,
    경사면상에서 미끄러지도록 슬롯 구멍으로부터 팁 단부 측상에서 판 스프링 본체의 일 단부 부분에 제공된 미끄럼 부분;을 구비하고,
    돌출 부분이 맞물림 부분과 맞물려 있는 일시적인 잠금 상태는 미끄럼 부분이돌출 부분 위로 올라갈때까지 제 1 돌기 편과 제 2 돌기 편 사이의 갭이 감소되어 판 스프링 본체를 개방할때 한정되고, 그리고 일시적인 잠금 상태 이후에 제 1 돌기 편과 제 2 돌기 편 사이의 갭이 더 감소될때 미끄럼 부분이 경사면상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클립.
  2. 제 1 항에 있어서, 미끄럼 부분은 제 1 돌기 편과 제 2 돌기 편 사이의 갭이 일시적인 잠금 상태 이후에 더 감소될때 경사면상에서 미끄러져서 경사면의 상부 부분에 도달되고, 그리고 돌출 부분은 제 1 돌기 편과 제 2 돌기 편 사이의 갭이 이후에 증가할때 맞물림 부분과 맞물리지 아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클립.
  3. 제 1 항에 있어서, 돌출 부분은 호스 클립의 직경 방향에서 절개되어 들어올려짐으로써 형성된 멈춤쇠 형상의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클립.
  4. 제 1 항에 있어서, 미끄럼 부분은 판 스프링 본체의 일 단부 부분에서 맞물림 부분에 대향하는 측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클립.
  5. 제 1 항에 있어서, 미끄럼 부분의 상부 부분은 돌출 부분에 비교하여 판 스프링 본체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클립.
  6. 제 1 항에 있어서, 미끄럼 부분은 만곡된 부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호스 클립.
  7. 제 1 항에 있어서, 미끄럼 부분은 모따기한 부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클립.
  8. 제 1 항에 있어서, 맞물림 부분은 돌출 부분에 대응하는 오목한 부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클립.
  9. 제 1 항에 있어서, 맞물림 부분은 돌출 부분에 대응하는 맞닿은 부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클립.
  10. 제 1 항에 있어서, 경사면은 비이드(bead) 형상의 이용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클립.
  11. 제 1 항에 있어서, 경사면은 평탄면의 이용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클립.
  12. 제 1 항에 있어서, 경사면은 비임 부분(beam portion)의 이용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클립.
  13. 제 1 항에 있어서, 경사면은 그것의 상부 부분상에서 평탄 부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클립.
KR1020000019867A 1999-04-15 2000-04-15 호스 클립 KR1003565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108304 1999-04-15
JP10830499A JP3280341B2 (ja) 1999-04-15 1999-04-15 ホースクリッ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9255A KR20010049255A (ko) 2001-06-15
KR100356592B1 true KR100356592B1 (ko) 2002-10-19

Family

ID=14481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9867A KR100356592B1 (ko) 1999-04-15 2000-04-15 호스 클립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389650B1 (ko)
EP (1) EP1045186B1 (ko)
JP (1) JP3280341B2 (ko)
KR (1) KR100356592B1 (ko)
AT (1) ATE275253T1 (ko)
DE (1) DE60013349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4127A (ko) * 2018-09-21 2020-03-31 조성식 내진용 배관 고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18352B1 (fr) * 2000-12-19 2003-04-18 Caillau Ets Collier de serrage
US7305740B2 (en) * 2001-06-25 2007-12-11 Progeral Industria De Artefatos Plasticos Ltda. Self-locking clamp for a hose
US20070241149A1 (en) * 2004-01-09 2007-10-18 Dilip Bhavnani Handheld device cradle with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clip assembly and an advertising method
US7217031B2 (en) * 2004-01-09 2007-05-15 Dilip Bhavnani Handheld electric device with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spring clip assembly and an advertising method
US20080066358A1 (en) * 2004-01-09 2008-03-20 Dilip Bhavnani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spring clip assembly and an advertising method
JP4833279B2 (ja) 2006-03-17 2011-12-07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ホースクランプ
JP4864799B2 (ja) * 2007-04-06 2012-02-01 株式会社東郷製作所 ホースクランプ
DE102007017881A1 (de) * 2007-04-13 2008-10-16 Muhr Und Bender Kg Einfach montierbare Schlauchklemme
FR2932856B1 (fr) * 2008-06-18 2010-08-13 Caillau Ets Collier de serrage a ergot d'accrochage embouti
KR100909943B1 (ko) * 2008-07-16 2009-07-29 주식회사 만도 변위 가변형 쇽업소버
JP5378545B2 (ja) * 2010-02-12 2013-12-25 株式会社東郷製作所 ホースクランプ
DE102012000717A1 (de) * 2012-01-14 2013-07-18 Norma Germany Gmbh Federbandschelle
WO2013118251A1 (ja) * 2012-02-07 2013-08-15 株式会社東郷製作所 ホースクランプ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9507A (en) * 1986-12-17 1993-02-23 Raychem Corporation Interconnection of electronic components
JPH0618113Y2 (ja) * 1989-06-26 1994-05-11 加藤発条株式会社 ホースクランプ
JP2634105B2 (ja) 1991-08-02 1997-07-23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子式電力量計
DE4441439C2 (de) * 1994-11-23 1996-10-02 Muhr & Bender Schlauchklemme mit Überdehnungsschutzeinrichtung
DE19539440C1 (de) * 1995-10-24 1997-04-03 Rasmussen Gmbh Federbandschelle
KR100223101B1 (ko) * 1995-11-21 1999-10-15 라스무센 요아겐 에스, 브라운 프랭크 스프링 밴드 클램프
EP0828106B1 (de) * 1996-09-09 2002-02-06 Rasmussen GmbH Federbandschel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4127A (ko) * 2018-09-21 2020-03-31 조성식 내진용 배관 고정 장치
KR102131508B1 (ko) * 2018-09-21 2020-07-08 조성식 내진용 배관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89650B1 (en) 2002-05-21
ATE275253T1 (de) 2004-09-15
EP1045186A3 (en) 2002-02-13
DE60013349T2 (de) 2005-09-08
KR20010049255A (ko) 2001-06-15
EP1045186A2 (en) 2000-10-18
DE60013349D1 (de) 2004-10-07
JP2000297893A (ja) 2000-10-24
JP3280341B2 (ja) 2002-05-13
EP1045186B1 (en) 2004-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6592B1 (ko) 호스 클립
JP4833279B2 (ja) ホースクランプ
JP5538819B2 (ja) ファスナ及びファスナ組立体
US7364446B2 (en) Releasing mechanism of pluggable transceiver
US8850664B2 (en) Hose clamp
JP3659229B2 (ja) クランプホルダー
KR101144425B1 (ko) 체결구
CA2575322A1 (en) Expansion rivet
JP2009008225A (ja) 留め具
JP3137047B2 (ja) スプリングバンドクランプ
JP4744640B1 (ja) 締付けバンド
JP3466347B2 (ja) 弾性部材固定用クリップ
WO2010092702A1 (ja) ホースクランプ
JP3860529B2 (ja) 締付けバンド
JP2004263791A (ja) クリップ
US20060117534A1 (en) Open hose clamp with plastically deformable ear
JPS61236908A (ja) 締付けバンド
JP3532727B2 (ja) 軸体操作用ハンドル
JP2006038092A (ja) ホースクランプ
JP4125012B2 (ja) クリップ
JP2551782Y2 (ja) ホースクリップ
JP4546789B2 (ja) 取付具
JPH1137367A (ja) ブーツバンド
JP2000291868A (ja) ホースクリップ
JP2560667Y2 (ja) ホースクリ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