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6165B1 - 자동간지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자동간지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6165B1
KR100356165B1 KR1019980031556A KR19980031556A KR100356165B1 KR 100356165 B1 KR100356165 B1 KR 100356165B1 KR 1019980031556 A KR1019980031556 A KR 1019980031556A KR 19980031556 A KR19980031556 A KR 19980031556A KR 100356165 B1 KR100356165 B1 KR 100356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coil
paper
slip
stri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1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2955A (ko
Inventor
박석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19980031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6165B1/ko
Publication of KR20000012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6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61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adding cards, coupons or other inserts to package contents
    • B65B61/22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adding cards, coupons or other inserts to package contents for placing protecting sheets, plugs, or wads over contents, e.g. cotton-wool in bottles of p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간지코일에서 간지의 공급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대기중인 간지코일로 부터 연속적으로 간지를 공급하도록 하여 간지공급이 단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스트립 코일내의 간지삽입공정을 자동화하고, 간지삽입공정의 신뢰도를 향상시켜 스트립 표면품질의 향상을 이룰수 있도록 개선된 자동간지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측의 간지코일로 부터 간지가 소모되어 일정량이 존재하면 이를 검출하여 신호를 발신하는 제 1 간지검출기구; 타측의 간지코일로 부터 간지가 소모되어 일정량이 존재하면 이를 검출하여 신호를 발신하는 제 2 간지검출기구; 상기 일측의 간지코일로 부터 공급되는 간지를 집어서 하강시키고 스트립의 사이로 유도 공급하는 제 1간지공급기구; 상기 타측의 간지코일로 부터 공급되는 간지를 집어서 하강시키고 스트립의 사이로 유도 공급하는 제 2간지공급기구; 및, 상기 제 1간지검출기구로 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제 2간지공급기구를 동작시켜 스트립의 사이에 간지를 공급하고, 상기 제 2간지검출기구로 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제 1간지공급기구를 동작시켜 스트립의 사이에 간지를 공급하도록 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자동간지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간지 공급장치
본 발명은 스테인레스 스트립을 코일형으로 권취하거나 풀르는 경우, 스트립과 스트립사이의 슬립(slip)으로 인하여 스트립의 표면에 결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트립사이에 간지를 삽입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하나의 간지코일에서 간지의 공급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대기중인 간지코일로 부터 연속적으로 간지를 공급하도록 하여 간지공급이 단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스트립 코일내의 간지삽입공정을 자동화하고, 간지삽입공정의 신뢰도를 향상시켜 스트립 표면품질의 향상을 이룰수 있도록 개선된 자동간지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테인레스 스트립을 생산하는 공정에서는 스트립을 코일형으로 감는 경우 스트립과 함께 간지를 삽입하여 코일형으로 권취하게 된다. 이와 관련된 종래의 간지공급장치(200)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간지 공급장치(200)는 스트립(S)이 진행하여 코일로 감기는 라인의 상부측에 간지(P)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개의 간지코일(Pa)이 위치되는 바, 상기 간지코일(Pa)은 베이스(220)상에 나란하게 마련된 복수개의 간지 장착기구(230)에 끼워져서 장착되고, 상기 간지장착기구(230)의 작동에 의해서 간지코일(Pa)로 부터 간지(P)가 풀려져서 그 하부측의 스트립(S)과 함께 코일형으로 권취되는 것이다.
이와 관련된 종래의 간지 공급장치(200)는 단순히 간지 장착기구(230)가 복수개 배열된 것으로서, 상기 간지 장착기구(2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간지코일(Pa)의 양측을 끼워고정하는 복수개의 원추형 콘부재(232)를 갖추고, 상기 콘부재(232)들은 베어링(234)을 통하여 원통형의 케이싱(236)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일측의 콘부재(232)는 그 후방측의 구동모터(238) 회전축(238a)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238)의 작동으로 회전되며, 타측의 콘부재(232)는 별도의 구동원없이 공회전(idling)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이다.
그리고, 종래에는 상기 콘부재(232)사이에 간지코일(Pa)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상기 공회전하는 콘부재(232)측의 고정대(242)를 베이스(220)상에서 취외한 다음, 상기 간지코일(Pa)을 중앙에 위치시키고 다시 베이스(220)에 고정대(242)를 결합시켜 간지코일(Pa)을 간지장착기구(230)에 고정시키는 것이며, 상기 구동모터(238)의 작동으로서 간지코일(Pa)을 회전시켜 간지(P)를 공급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간지코일(Pa)의 장착작업이 번거롭고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것이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간지 공급장치(200)는 일측의 간지 장착기구(230)의 콘부재(232)상에 끼워진 간지코일(Pa)로 부터 스트립(S)에 간지(P)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경우, 타측의 간지 장착기구(230)에 끼워진 간지코일(Pa)은 대기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며, 현재 공급중인 간지코일(Pa)로 부터 간지가 소모되어 다떨어지게 되면, 작업자는 현장에서 대기상태에 있는 간지 장착기구(230)를 연속하여 동작시킴으로서 선행한 간지에 후속하여 새로운 간지코일(Pa)로 부터의 간지를 스트립(S)사이에 공급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식은 작업자가 항상 현장에서 대기상태로 있다가 육안으로 간지의 소모를 확인한 다음 대기중인 간지를 공급하도록 동작시킴으로서 그 작업이 번거로운 것이고, 만일 작업자가 실수라도 하는 경우나, 적절한 타이밍으로서 후속 간지를 공급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간지의 공급작동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함으로서 선행하는 간지와 후속적인 간지사이에는 간격이 발생되고, 이러한 부분에서 스트립(S)의 긁힘등이 발생되어 스트립(S)의 표면품질을 저하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하나의 간지코일로 부터 간지의 공급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대기중인 간지코일로 부터 연속적 및 자동으로 간지를 공급하도록 하여 간지공급이 단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스트립 코일내의 간지삽입공정을 자동화하고, 간지삽입공정의 신뢰도를 향상시켜 스트립 표면품질의 향상을 이룰수 있도록 개선된 자동간지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간지 공급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간지 공급장치에 갖춰진 간지 장착기구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간지 공급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간지 공급장치에 갖춰진 간지 공급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간지 공급장치에 갖춰진 간지 장착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간지 공급장치에 갖춰진 간지 검출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0'.... 간지 검출기구 14,14'.... 투광기
16,16'.... 수광기 30.30'.... 간지 공급기구
32,32'.... 승강실린더 36,36'.... 승강빔
40..... 공회전롤 48..... 이동롤
52..... 수평실린더 70,70'.... 고정대이동기구
220.... 베이스 230..... 간지 장착기구
P...... 간지(paper) S...... 스트립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간지 장착기구상에 각각 고정된 복수의 간지코일을 갖추고, 상기 간지코일중의 어느하나로 부터 스트립사이에 간지를 삽입하는 장치에 있어서,
일측의 간지코일로 부터 간지가 소모되어 일정량이 존재하면 이를 검출하여 신호를 발신하는 제 1 간지검출기구;
타측의 간지코일로 부터 간지가 소모되어 일정량이 존재하면 이를 검출하여 신호를 발신하는 제 2 간지검출기구;
상기 일측의 간지코일로 부터 공급되는 간지를 집어서 하강시키고 스트립의 사이로 유도 공급하는 제 1간지공급기구;
상기 타측의 간지코일로 부터 공급되는 간지를 집어서 하강시키고 스트립의 사이로 유도 공급하는 제 2간지공급기구; 및,
상기 제 1간지검출기구로 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제 2간지공급기구를 동작시켜 스트립의 사이에 간지를 공급하고, 상기 제 2간지검출기구로 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제 1간지공급기구를 동작시켜 스트립의 사이에 간지를 공급하도록 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간지 공급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간지 공급장치(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간지 장착기구(230)상에 각각 고정된 복수의 간지코일(Pa)을 갖추고, 상기 간지코일(Pa)중의 어느하나로 부터 스트립(S)사이에 간지(P)를 연속적으로 삽입하게 된다.
본 발명의 자동간지 공급장치(1)는 상기 복수의 간지코일(Pa)로 부터 간지(P)가 소모되어 일정량이 존재하면 이를 각각 검출하여 신호를 발신하는 제 1 및 제 2 간지검출기구(10)(10')를 갖는바, 이들 제 1 및 제 2간지검출기구(10)(10')와, 이후에 설명될 제 1 및 제 2간지공급기구(30)(30')와 고정대 이동기구(70)(70')들은 좌우측이 서로 동일한 구성 및 작용효과를 갖추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도 3에서 우측에 도시된 것만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좌측의 것은 동일한 참조부호에 단지 첨자(')만을 부여하여 표시하기로 한다.
상기 제 1 및 제 2간지검출기구(10)(10')들은 도 6에 도시된바와 같이, 각각 간지 장착기구(230)에 배치되며, 이는 간지 장착기구(230)의 공회전용 콘부재(232)측에 장착된다. 상기 제 1 및 제 2간지검출기구(10)(10')들은 콘부재(232)가 내장된 케이싱(236)의 상부측에 ㄷ형의 프레임(12)이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12)의 선단에는 투광기(14)와, 상기 투광기(14)로 부터의 광을 받은 수광기(16)가 서로 대향하여 장착되는 것이다.
이러한 투광기(14)와 수광기(16)는 각각 이후에 설명될 콘트롤러(9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며, 이들 투광기(14)와 수광기(16)의 위치는 상기 간지 장착기구(230)에 고정된 간지코일(Pa)로 부터 간지(P)가 풀려져서 간지코일(Pa)에 감긴량이 대략 10바퀴정도에 해당하게 되면, 투광기(14)의 광이 수광기(16)로 전달되도록, 즉 간지코일(Pa)에 간지가 다량감겨 있는 경우에는 간지가 상기 투광기(14)로 부터 수광기(16)로의 광을 차단하여 수광기(16)에서는 콘트롤러(95)로 아무런 전기적인 신호도 제공되지 않지만, 간지코일(Pa)에서 간지가 소모되어 간지코일(Pa)의 직경이 축소되는 경우에는 간지코일(Pa)로 부터 간지가 완전히 풀리기 전에 일정량 남아 있는 상태에서 이를 검출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콘트롤러(95)에 송출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 간지코일(Pa)에 간지가 남아 있는 량은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타측의 간지코일(Pa)로 부터 간지가 스트립(S)에 공급되는 경우 타측의 간지코일(Pa)로 부터의 간지 선단부와 현재 공급중인 간지의 후단부가 스트립(S)의 사이에서 일정량 겹쳐질수 있는 정도의 량으로 설정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간지 검출기구(10)(10')들이 장착되는 제 1 및 제 2 간지 장착기구(23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정대 이동기구(70)(70')가 장착된다.
이들은 상기 콘부재(232)상에 간지코일(Pa)을 장착하고자 하는 경우, 콘부재(232)들이 장착된 고정대(242)의 사이를 벌리고 닫아주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이는 베이스(220)를 가로지르는 원형의 가이드봉(72)을 갖추고, 상기 가이드봉(72)에 각각 콘부재(232)를 장착한 고정대(242)가 활주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고정대(242)의 타측하부에는 고정대(242)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바퀴(74)가 장착된 것이다. 그리고, 고정대(242)와 고정대(242)사이에는 베이스(220)에 고정된 구동실린더(76)가 위치되며, 상기 구동실린더(76)는 그 로드(78)가 일측의 고정대(242)에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대(242)의 내측으로는 각각 래크기어(80)가 장착되는바, 상기 래크기어(80)들은 구동실린더(76)에 나란하게 연장되고, 구동실린더(76)의 상부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피니언 기어(82)에 각각 서로 반대방향에서 치차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고정대 구동기구(70)(70')는 콘부재(232)에 간지코일(Pa)을 장착하고자 하는 경우, 구동실린더(76)를 동작시키면, 로드(78)가 인출되면서 고정대(242)를 밀어주고 동시에 상기 고정대(242)에 연결된 래크기어(80)를 밀어주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래크기어(80)의 회전으로 인하여 피니언기어(82)가 회전되고, 이러한 피니언 기어(82)의 회전은 반대측의 래크기어(80)를 후진시키게 되어 상기 래크기어(80)에 연결된 고정대(242)도 후진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고정대(242)사이의 간격이 벌어지게 되어 작업자는 간지코일(Pa)을 그 사이에 위치시키고, 상기와는 반대로 구동실린더(76)를 작동시키면, 로드(78)가 몸체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고정대(242)를 당기게 되고 이에 연결된 래크기어(80)도 당기게 되어 피니언기어(82)는 상기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반대측의 래크기어(80)를 당기어 고정대(242)가 전진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대(242)에 장착된 콘부재(232)사이의 거리가 근접되어 간지코일(Pa)의 중앙으로 삽입됨으로서 상기 간지코일(Pa)은 원활하게 간지 장착기구(230)에 고정될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간지 장착기구(230)의 일측에는 간지코일(Pa)이 장착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별하는 근접센서(86)가 장착되며, 상기 근접센서(86)는 간지 장착기구(230)에 간지코일(Pa)이 고정되어 간지공급상태가 준비되었는지를 알기 위한 것으로 간지코일(Pa)이 장착되면 전기적인 신호를 콘트롤러(95)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220)의 하부측으로는 각각의 간지 장착기구(230)의 하부측으로 복수의 간지코일(Pa)로 부터 공급되는 간지를 집어서 하강시키고 스트립(S)의 사이로 각각 유도 공급하는 제 1 및 제 2간지공급기구(30)(30')를 갖는바, 상기 제 1 및 제 2간지공급기구(30)(30')는 도 4에 상세히 도시된바와 같이, 베이스(220)의 양측에 각각 승강실린더(32)를 나란하게 장착하고 있으며, 그 승강 실린더(32)의 로드(34)는 베이스(220)의 하부측, 즉 스트립(S)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실린더(32)의 로드(34)에는 ㄷ형 단면의 승강빔(36)이 각각 연결되는 바, 상기 승강빔(36)은 그 하단이 공회전롤러(40)의 양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서로 일체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승강빔(36)은 승강실린더(32)가 내부홈(36a)에 위치하도록 상기 승강실린더(32)와 동축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승강빔(36)은 상단부가 베이스(220)를 관통하여 상부측으로 연장될수 있고, ㄷ형 승강빔(36)의 개방측면을 통하여 상기 승강실린더(32)가 베이스(220)에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승강실린더(32)들은 동시적으로 작동을 하게 되며, 이러한 작동으로 로드(34)가 승하강하여 공회전롤러(40)가 승하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승강빔(36)의 양측에는 각각 래크기어(42)가 형성되며, 상기 래크기어(42)는 베이스(220)의 내측에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복수의 피니언기어(45)에 치차결합함으로서 상기 승강빔(36)의 승하강중에 래크기어(42)와 피니언기어(45)가 결합하여 승강빔(36)의 변위량을 일정하게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승강빔(36) 하단의 공회전롤(40)에는 이와 동축으로 이동롤(48)이 배치되며, 상기 이동롤(48)은 승강빔(36)의 하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링크(50)에 양단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또한, 상기 링크(50)는 그 중앙부분이 상기 승강빔(36)에서 돌출한 브라켓트(37)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 것이고, 상기 링크(50)는 이동롤(48)이 장착된 반대측의 단부에서 승강빔(36)의 하단에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수평실린더(52)의 로드(52a)가 각각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평실린더(52)들도 동시적으로 작동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수평실린더(52)의 작동으로 로드(52a)가 전진하면 상기 링크(50)를 통하여 이동롤(48)이 공회전롤(40)에 접촉되어 그 사이에 위치된 간지(P)를 고정하지만, 상기 수평실린더(52)의 로드(52a)가 당겨지면, 상기와는 반대로 이동롤(48)이 공회전롤(40)로 부터 멀어지게 되어 상기 이동롤(48)과 공회전롤(40)사이에는 간지(P)가 아무저항없이 출입할수 있는 여유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승강빔(36)의 하단에는 근접스위치(56)가 장착되고, 이는 수평실린더(52)의 로드(52a)가 전후진된 상태를 검출하는 것으로서, 로드(52a)가 전진하여 이동롤(48)과 공회전롤(40)사이에서 간지가 고정된 상태를 검출하고 전기적인 신호를 이후에 설명될 콘트롤러(95)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승강빔(36)의 상부측으로는 승강빔(36)과 나란하게 센서장착대(60)가 연장되는 바, 이 센서장착대(60)에는 각각 상,하부 센서(62)(64)가 장착되어 콘트롤러(9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하부센서(64)는 승강빔(36)이 하향위치된 상태를 검출하고, 상부센서(62)는 승강빔(36)이 상향이동된 상태를 검출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간지검출기구(10)(10')와, 제 1 및 제 2간지장착기구(230) 및, 제 1 및 제 2간지공급기구(30)(30') 등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1간지검출기구(10)로 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제 2간지공급기구(30')를 동작시켜 스트립(S)의 사이에 간지를 공급하고, 상기 제 2간지검출기구(10')로 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제 1간지공급기구(30)를 동작시켜 스트립(S)의 사이에 간지를 공급하도록 하는 콘트롤러(95)를 갖는다.
또한, 상기 콘트롤러(95)는 이러한 자동제어 과정에서 구동실린더(76), 승강실린더(32), 구동모터(238) 및, 수평 실린더(52)등을 구동시키도록 동작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 구동실린더(76) 승강 실린더(32) 및 수평실린더(52)등은 각각 유압이나 공압으로 작동가능한 것이며, 미설명 부호(72)는 승강빔(36)의 하단을 서로 연결시켜 보강하는 보강대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자동간지 공급장치(1)는 그 예로서 다음과 같이 동작할수 있다. 이는 도 3에서 우측에 도시된 간지 장착기구(230)와 간지 검출기구(10) 및 간지 공급기구(30)가 현재 스트립(S)에 간지(P)를 공급하는 상태이고, 좌측에 위치된 간지 장착기구(230)와 간지 검출기구(10') 및 간지 공급기구(30')가 후속하여 간지(P)를 공급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좌측의 간지 장착기구(230)와 간지 검출기구(10') 및 간지 공급기구(30')는 간지공급대기상태가 되며, 이상태에서 좌측의 간지 장착기구(230)는 고정대 이동기구(70')를 동작시켜 콘부재(232) 사이를 벌리고 간지코일(Pa)을 그 사이에 장착하며, 장착완료된 상태가 근접센서(86')에 의해서 콘트롤러(95)에 알려진다. 그 다음 상기 콘크롤러(95)는 승강실린더(32')를 작동시켜 승강빔(36')이 센서장착대(60')의 상부센서(62')에 의해서 검출되도록 상승시키고, 수평실린더(52')를 작동시켜 로드(52a')를 당김으로서 상기 이동롤(48)이 공회전롤(40)과의 사이에서 간격이 벌어지도록 하고, 간지 장착기구(230)의 구동모터(238)를 동작시켜서 간지를 풀르고 간지코일(Pa)로 부터 간지가 하강하여 이동롤(48)과 공회전롤(40)의 사이로 진입하도록 한다음, 간지가 일정길이 하부로 처지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간지가 처지는 량은 상기 승강빔(36')이 하강하여 센서장착대(60')의 하부센서(64')가 검출되었을 때, 그리고, 상기 이동롤(48)과 공회전롤(40)사이에 간지가 고정되었을 때 상기 이동롤(48)과 공회전롤(40)의 하부로 늘어진 간지의 선단이 스트립(S)의 유입부에 도달하는 거리(l)보다 다소 길게 설정됨으로서 후속적인 간지의 원활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간지가 일정길이 처지도록 한 다음에는 상기 수평실린더(52')를 작동시켜 이동롤(48)이 공회전롤(40)측으로 접촉되어 그 사이에서 간지를 고정하도록 한다. 이 상태가 간지삽입대기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 간지삽입상태에서의 센서장착대(60')의 상부센서(62')가 검출되고, 간지검출기구(10')의 수광기(16')는 투광기(14')로 부터의 광이 차단되어 전기적인 신호를 발신하지 않은 상태이며, 수평실린더(52')의 근접센서(56')는 이동롤(48)과 공회전롤(40)사이에서 간지를 고정하고 있는 상태를 알리고 있다.
한편, 현재 간지의 공급작동을 이루는 우측의 간지 장착기구(230)와 간지 검출기구(10) 및 간지 공급기구(30)는 스트립(S)의 사이로 간지를 연속적으로 공급함으로서 간지 장착기구(230)의 간지코일(Pa)외경이 점차적으로 축소되고, 간지코일(Pa)내의 간지가 대략 10바퀴정도 남아 있을 때, 즉 일정량의 간지가 남아 있을 때에 투광기(14)로 부터의 광이 수광기(16)로 전달되어 콘트롤러(95)가 동작하게 된다. 이러한 우측 간지 검출기구(10)의 수광기(16)로 부터의 신호는 콘트롤러(95)가 좌측의 대기상태인 간지 장착기구(230)와 간지 검출기구(10') 및 간지 공급기구(30')를 동작시켜서 우측의 간지공급이 거의 종료된다는 것을 알리고 좌측으로 부터 간지공급을 준비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좌측의 간지 공급기구(30)는 승강실린더(32')의 작동으로 승강빔(36')을 하강시키며, 센서장착대(60')의 하부센서(64')가 검출될때까지 이루어지고, 이와 같은 승강빔(36')의 하강에는 좌측 간지 장착기구(230)의 구동모터(238)의 간지풀림작동이 수반되며, 승강빔(36')이 하강되면 그 하부측에 늘어진 간지의 선단이 스트립(S)의 사이로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수평실린더(52')의 로드(52a')가 당겨져서 이동롤(48)을 공회전롤(40)로 부터 이격시킴으로서 간지 장착기구(230)의 간지코일(Pa)로 부터 간지가 스트립(S)의 사이로 원활하게 삽입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이동롤(48)과 공회전롤(40)사이의 이격을 완료한 다음에는 승강실린더(32')의 작동으로 승강빔(36')을 상승시켜서 센서장착대(60')의 상부 센서(64')에 승강빔(36')이 위치하도록 상승시키고 간지코일(Pa)로 부터 간지가 계속 공급되는 동안 대기상태를 이루는 것이다.
따라서,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좌측의 간지코일(Pa)로 부터 간지의 공급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면, 간지의 공급이 종료된 우측의 간지코일(Pa)을 우측의 간지 장착기구(230)에서 취외된 다음 새것을 장착하여 우측 간지코일(Pa)을 대기상태로 두고, 시간이 지만에 따라서, 상기 좌측 간지코일로 부터 간지의 공급이 종료되면 후속적으로 우측 간지코일(Pa)의 간지를 공급할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간지코일(Pa)로 부터 간지의 공급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대기중인 간지코일(Pa)로 부터 연속적 및 자동으로 간지를 공급하기 때문에 간지공급이 단절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고 스트립(S) 표면품질의 향상을 이룰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스트립(S) 코일(Pa)내의 간지삽입공정을 자동화하고, 간지삽입공정의 안정화를 이룸으로서 별도의 작업원이 불필요하고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제 1 및 제 2간지 장착기구(230)상에 각각 고정된 복수의 간지코일(Pa)을 갖추고, 상기 간지코일(Pa)중의 어느하나로 부터 스트립(S)사이에 간지(P)를 삽입하는 장치에 있어서,
    일측의 간지코일(Pa)로 부터 간지가 소모되어 일정량이 존재하면 이를 검출하여 신호를 발신하는 제 1 간지검출기구(10);
    타측의 간지코일(Pa)로 부터 간지가 소모되어 일정량이 존재하면 이를 검출하여 신호를 발신하는 제 2 간지검출기구(10');
    상기 일측의 간지코일(Pa)로 부터 공급되는 간지를 집어서 하강시키고 스트립(S)의 사이로 유도 공급하는 제 1간지공급기구(30);
    상기 타측의 간지코일(Pa)로 부터 공급되는 간지를 집어서 하강시키고 스트립(S)의 사이로 유도 공급하는 제 2간지공급기구(30'); 및,
    상기 제 1간지검출기구(10)로 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제 2간지공급기구(30')를 동작시켜 스트립(S)의 사이에 간지를 공급하고, 상기 제 2간지검출기구(10')로 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제 1간지공급기구(30)를 동작시켜 스트립(S)의 사이에 간지를 공급하도록 하는 콘트롤러(95);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간지 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간지 검출기구(10)(10')는 각각 간지 장착기구(230)에 배치되며, 콘부재(232)가 내장된 케이싱(236)의 상부측에 ㄷ형의 프레임(12)이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12)의 선단에는 투광기(14)와, 상기 투광기(14)로 부터의 광을 받은 수광기(16)가 서로 대향하여 장착되는 한편, 상기 투광기(14)와 수광기(16)는 콘트롤러(9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투광기(14)와 수광기(16)는 간지코일(Pa)로 부터 간지가 완전히 풀리기 전에 일정량 남아 있는 상태에서 이를 검출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콘트롤러(95)에 송출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간지 공급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간지공급기구(30)(30')는, 베이스(220)의 양측에 각각 승강실린더(32)를 나란하게 장착하고, 그 승강 실린더(32)의 로드(34)는 스트립(S)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승강실린더(32)의 로드(34)에는 ㄷ형 단면의 승강빔(36)이 각각 연결되며, 상기 승강빔(36)은 그 하단이 공회전롤(40)의 양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서로 일체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승강빔(36)의 양측에는 각각 래크기어(42)가 형성되며, 상기 래크기어(42)는 베이스(220)의 내측에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복수의 피니언기어(45)들에 치차결합되는 한편, 상기 승강빔(36) 하단의 공회전롤(40)에는 이와 동축으로 이동롤(48)이 배치되며, 상기 이동롤(48)은 승강빔(36)의 하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링크(50)에 양단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링크(50)는 이동롤(48)이 장착된 반대측의 단부에서 승강빔(36)의 하단에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수평실린더(52)의 로드(52a)가 각각 연결되어 수평실린더(52)의 작동으로 이동롤(48)과 공회전롤(40)사이에서 간지(P)를 고정할수 있도록 구성되는 한편, 상기 승강빔(36)의 상부측으로는 각각 상,하부 센서(62)(64)가 장착되어 콘트롤러(9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부센서(64)는 승강빔(36)이 하향위치된 상태를 검출하고, 상부센서(62)는 승강빔(36)이 상향이동된 상태를 검출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간지 공급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간지 장착기구(230)는 콘부재(232)들이 장착된 고정대(242)의 사이를 벌리고 닫아주도록 베이스(220)를 가로지르는 원형의 가이드봉(72)을 갖추고, 상기 가이드봉(72)에 각각 콘부재(232)를 장착한 복수개의 고정대(242)가 활주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고정대(242)와 고정대(242)사이에는 베이스(220)에 고정된 구동실린더(76)가 위치되고, 상기 구동실린더(76)는 그 로드(78)가 일측의 고정대(242)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고정대(242)의 내측으로는 구동실린더(76)의 상부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피니언 기어(82)에 각각 서로 반대방향에서 치차결합되는 래크기어(80)가 장착된 고정대 이동기구(70)(70')를 각각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간지 공급장치.
KR1019980031556A 1998-08-03 1998-08-03 자동간지 공급장치 KR100356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1556A KR100356165B1 (ko) 1998-08-03 1998-08-03 자동간지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1556A KR100356165B1 (ko) 1998-08-03 1998-08-03 자동간지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955A KR20000012955A (ko) 2000-03-06
KR100356165B1 true KR100356165B1 (ko) 2002-11-18

Family

ID=19546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1556A KR100356165B1 (ko) 1998-08-03 1998-08-03 자동간지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61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266B1 (ko) 2003-04-29 2010-01-29 주식회사 포스코 권취기의 간지 유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8696B1 (ko) * 1999-09-14 2003-12-11 주식회사 포스코 권취기의 간지 교정장치
KR100733064B1 (ko) * 2001-08-09 2007-06-27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의 재생간지 삽입 유도장치
KR100879319B1 (ko) * 2002-09-09 2009-01-19 주식회사 포스코 간지 삽입 장치
KR101230102B1 (ko) * 2010-12-13 2013-02-05 주식회사 포스코 간지 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테인리스강의 냉간 압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2713A (ja) * 1989-07-20 1991-03-06 Mitsubishi Heavy Ind Ltd 自動間紙挿入装置
JPH04111924A (ja) * 1990-08-31 1992-04-13 Kawasaki Steel Corp 金属ストリップ巻取装置における間紙挿入制御装置
JPH08294724A (ja) * 1995-04-24 1996-11-12 Mitsubishi Heavy Ind Ltd 間紙挿入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2713A (ja) * 1989-07-20 1991-03-06 Mitsubishi Heavy Ind Ltd 自動間紙挿入装置
JPH04111924A (ja) * 1990-08-31 1992-04-13 Kawasaki Steel Corp 金属ストリップ巻取装置における間紙挿入制御装置
JPH08294724A (ja) * 1995-04-24 1996-11-12 Mitsubishi Heavy Ind Ltd 間紙挿入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266B1 (ko) 2003-04-29 2010-01-29 주식회사 포스코 권취기의 간지 유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955A (ko) 200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372933U (zh) 胶带自动缠绕机
KR100356165B1 (ko) 자동간지 공급장치
KR101781319B1 (ko) 승강로 케이블용 케이블 재단탈피장치
CN103320993B (zh) 智能全自动梭芯绕线机
CN112027748A (zh) 一种无纺布自动换卷的成卷装置
CN113003270B (zh) 一种排水板加工用不停机可切换式收卷装置
CN213140789U (zh) 一种适应宽幅和窄幅纸张的纠偏复卷机
US3977618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the sheet material of one roll to sheet material of another roll
KR100473633B1 (ko)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제작기의 전동 슬리팅 장치
CN110682338A (zh) 一种防火卷材旋转切割设备
CN210314702U (zh) 一种针织横机自动穿线板的起口装置
CN212335632U (zh) 一种无纺布切割装置
CN113445219A (zh) 一种网布加工系统及网布加工方法
KR100879319B1 (ko) 간지 삽입 장치
KR940007150Y1 (ko) 재봉사 권사기의 원사절단장치
CN212049768U (zh) 一种印刷设备放卷部位自动检测复位装置
CN216836346U (zh) 一种方便调节卷布宽度的卷布机
CN218434008U (zh) 一种摩擦式收卷机
CN211338186U (zh) 一种自动调节张紧力的复卷装置
CN220866742U (zh) 用于聚酯油毡基布生产线的防翘边装置及油毡基布生产线
CN108560232B (zh) 一种用于纺织物的自动检测装置
CN219771425U (zh) 一种割丝机上的上料机构
KR100939266B1 (ko) 권취기의 간지 유도장치
CN220140069U (zh) 一种贴片机导线自动供料器
CN215325907U (zh) 一种上纸架光电控制尾纸裁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