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5043B1 - 누에 가루 및 누에분 첨가 뽕잎차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누에 가루 및 누에분 첨가 뽕잎차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5043B1
KR100355043B1 KR1020000056821A KR20000056821A KR100355043B1 KR 100355043 B1 KR100355043 B1 KR 100355043B1 KR 1020000056821 A KR1020000056821 A KR 1020000056821A KR 20000056821 A KR20000056821 A KR 20000056821A KR 100355043 B1 KR100355043 B1 KR 100355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ulberry leaf
silkworm
silkworm powder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6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2791A (ko
Inventor
문인수
김영종
피정옥
서명옥
Original Assignee
상주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주시 filed Critical 상주시
Priority to KR1020000056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5043B1/ko
Publication of KR20000072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2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5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50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2Rolling or shredding tea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4T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Abstract

본 발명은 누에가루 및 누에분이 첨가된 뽕잎차와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누에 가루 및 누에분 첨가 뽕잎차는 뽕잎 60~70 중량%, 누에 가루 1~5 중량%, 누에분 2~10 중량%, 현미 가루 20~35 중량%로 구성되며, 본 발명의 뽕잎차 제조 방법은 뽕잎차의 조성물을 각각 제조하여 혼합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에 가루 및 누에분 첨가 뽕잎차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에 따르면 기존의 뽕잎차 제품에 누에 및 누에분을 첨가하여 영양과 맛이 우수한 뽕잎차 제품을 제조할 수 있고 당뇨병 치료, 혈압 강하 등의 효능이 있는 뽕잎과 누에의 장점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뽕잎차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누에 가루 및 누에분 첨가 뽕잎차 및 그 제조 방법{The mulberry leaf tea containing silkworm powd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누에 가루 및 누에분 첨가 뽕잎차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뽕잎차에 누에 가루와 누에분, 그리고 현미 가루를 첨가하여 영양과 맛을 보강한 뽕잎차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중국의 「본초강목」은 물론 「동의보감」에서 민간 한방재로 유명한 뽕잎은 누에가 먹고 비단을 만드는 나무라 하여 뽕나무를 신목(神木)이라고도 부르며 고래로부터 양잠용 식물로서 재배하고 또한 약용으로도 사용하였다.
「동의보감」에는 뽕잎이 각기, 수종, 통풍, 얼굴의 폐독창, 식은땀, 탕수창, 풍기제거 등에 효과가 있다고 되어있고, 「본초강목」에서는 몸이 붓는 증세, 당뇨, 풍, 멍든데, 뱀 또는 벌레 물린데, 청맹, 밤에 땀나는 증세, 종기 등에 효과적이라고 적혀 있다. 또한 뽕잎은 글루코사이드(Glucoside), 비타민 C, 비타민 B1,비타민 B2등 50여종의 성분이 포함되어 있고 당뇨병 치료와 혈압 및 혈당 강하, 항암, 노화 방지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혈관 강화 작용이 있어 뇌출혈, 방사선 장해, 각종 출혈성 질환의 예방에 사용되고 있는 루틴(Rutin: quercetin-3-0-rutoside)과 혈압 강하 작용이 있는 감마 아미노 부티르산(γ-aminobutyric acid, 이하 GABA로 약칭한다)이 함유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한편, 누에 가루에는 다당류를 단당류로 분해하는 효소인 알파 글루코시다아제의 저해제(α-glucosidase inhibitor)가 있어서 전분이 한꺼번에 단당류로 분해되는 것을 막아 혈당의 상승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된바 있으며 혈압 강하 효과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항균 물질로서 dimoracin, chalcomoracin 등의 구조식도 보고되어 소염제로서의 효과도 인정받은 셈이다. 또한 누에분에는 빛을 받으면 암세포를 파괴하는 감광성 물질인 CPD(chiorophyl derivatives)가 들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뽕잎차와 누에는 영양적으로 그 효능이 우수하여 많은 사람들이 뽕잎차, 뽕잎 엑기스 그리고 누에 분말 등과 같은 가공 제품으로 이용하고 있지만 종래의 뽕잎차 제품은 단순히 뽕잎만을 가공한 것으로 영양적으로 우수한 누에나 누에분을 첨가하여 그 영양적 효능을 배가시킨 뽕잎차 제품은 개발이 전무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항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뽕잎차 제품에 누에 및 누에분을 첨가하여 영양적 효능을 강화하고, 현미 가루등과 상기 재료와의 적절한 배합으로 기존의 뽕잎차 제품에서 느끼지 못한 구수하고 향긋한 맛을 지닌 뽕잎차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의 누에 가루 및 누에분 첨가 뽕잎차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에 가루 및 누에분 첨가 뽕잎차의 제조 공정도.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누에 가루 및 누에분 첨가 뽕잎차는 뽕잎 60~70 중량%, 누에 가루 1~5 중량%, 누에분 2~10 중량%, 현미 가루 20~35 중량%로 구성되며, 본 발명의 뽕잎차 제조 방법은 뽕잎차의 조성물을 각각 제조하여 혼합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기존의 뽕잎차 제품에 누에 및 누에분을 첨가하여 영양과 맛이 우수한 뽕잎차 제품을 제조할 수 있고 당뇨병 치료, 혈압 강하 등의 효능이 있는 뽕잎과 누에의 장점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뽕잎차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뽕잎차는 뽕잎 60~70 중량%, 누에 가루 1~5 중량%, 누에분 2~10 중량%, 현미 가루 20~35 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뽕잎 67 중량%, 누에 가루 2 중량%, 누에분 4 중량%, 현미 가루 27 중량%로 배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뽕잎차는 특히 뽕잎 자체의 향을 살리는 데에 중점을 둔 것으로 뽕잎을 60 중량% 이하로 넣었을 경우 뽕잎 특유의 향을 살릴 수가 없고 또한70 중량% 이상 첨가하였을 경우에는 약간 역한 느낌이 있어 상기 범위로 배합하는 것이 적당하며, 특히 67 중량%로 배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누에 가루는 단백질이 풍부하고 향이 강해서 5 중량% 이상 첨가할 경우 뽕잎의 향미를 저해하므로 그 이하로 첨가하되 영양 성분 강화를 고려하여 1 중량% 이상은 첨가하는 것이 좋으며, 특히 2 중량%를 배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누에분에는 CPD(chiorophyl derivatives)라는 물질이 누에 가루, 뽕잎에 비해 현저하게 많이 들어있는데, 이는 감광성 물질로 빛을 받으면 암세포를 파괴하는 성질이 있어 건강 식품의 측면을 강화하기 위해 누에가루와 함께 첨가하였다. 10 중량% 이상 첨가시 누에분 특유의 진한 맛이 뽕잎차의 향미를 저하시킬 우려가 있고 2 중량% 이하 첨가시 누에분의 건강 증진 효능을 제대로 기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4 중량%를 첨가했을 때 영양 및 기호성 면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현미 가루도 20~35 중량%를 첨가했을 때 구수한 맛이 뽕잎의 향미와 가장 잘 어울리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27 중량%를 첨가했을 때 그 향미가 가장 우수하여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다.
(1) 뽕잎 제조 공정
① 5월 중에 생산되는 어린 뽕잎 1 ∼ 10엽을 채취한다.
뽕잎은 보통 봄, 가을 2회에 걸쳐 채취하게 되는데 봄에 돋아나는 잎이 영양면에서 우수하고, 또한 잎이 성숙할수록 뽕잎에 함유된 루틴, GABA의 함량이 떨어지며 줄기 상부의 유약한 잎일수록 루틴, GABA 함량이 더 높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줄기 상부의 첫 번째로 돋아난 새순으로부터 10번째 잎까지만 채취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② 채취한 뽕잎을 단시간 세척한 후 0.5∼2㎝ 길이로 세절한다.
크기가 2㎝ 이상으로 너무 크면 이후 건조 공정시 건조시간이 오래 걸리므로 상기 크기로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③ 세절한 차 잎을 1∼3㎝ 두께로 널어 바람이 잘 통하는 음지에서 2∼4일간 건조한다.
차 잎을 건조시킬 때 너무 두껍게 널어두면 발효가 되어 열이나고 너무 얇게 널어두면 겉마르게 되므로 상기 범위의 두께로 고르게 펴서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햇볕에서 건조시킨 경우 잎이 갈변되고 차로 끓였을 때 맛과 향이 떨어지므로 그늘에서 차 잎의 수분이 고루 증발될 정도로 건조시키는데 그 기간은 차 잎의 상태에 따라 2∼4일간이면 적당하다.
④ 건조된 뽕잎을 80∼85℃에서 1∼2분간 덖어서 분쇄한 후 100∼200 메쉬의 체에 내린다.
차 잎을 볶는 것을 덖는다라고 하는데, 이는 차 잎의 풋내를 없애고 뽕잎 고유의 향미를 부여하기 위한 공정이다. 그런데 뽕잎의 GABA 성분은 열에 비교적 약하기 때문에 가열 시간이 길어질수록 그 함량이 줄어들게 되므로 그 손실을 최소화 하기 위해 상기 범위내에서 볶는 것이 바람직하며 누에 가루 및 누에분과의 균일한 배합을 위해 분쇄하여 크기를 조절하였다.
(2) 누에 가루 제조 공정
5령 3일된 누에를 선별하여 -30∼-40℃에서 냉동 건조하여 분쇄하고 100∼200 메쉬의 체에 내린다.
누에는 알, 유충(애벌레), 번데기, 성충(나방)의 4단계를 거치는 완전 변태 곤충으로 성장 시기에 따라 령과 일이라는 단위를 사용하는데, '령'이라는 것은 허물을 벗는데 한번의 허물 벗음을 말하고 '일'이라는 것은 하루씩 계산한 것이다. 누에는 알에서 깨어나 4번의 허물벗기를 하여 5령 누에가 되어 고치를 짓는다. 5령 누에는 번데기가 되기 전 누에로서 가장 크며 이때의 무게는 5∼6g정도이다.
민간 요법에서 주로 이용되고 있는 것은 5령 3일된 누에로서 그 혈당 강하 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밝혀졌으며 영양 성분도 가장 풍부한 시기의 누에이다. 또한 가공 방식에 따라서도 혈당 강하 효과는 차이를 보이는데, 일반적으로 누에의 가공 방법은 전통적으로 행해지던 방식인 열풍 건조 방식과 보다 개량된 방식인 급속 냉동 방식이 있다. 열풍 건조 방식은 각종 효소의 불활성화를 초래하는 단점이 있고 혈당 상승 억제 효과도 55%정도이지만 급속 냉동 방식은 열풍 건조보다 훨씬 개선된 방법으로써 혈당 상승 억제 효과도 67%로 전자보다 효과가 뛰어난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5령 3일된 누에를 냉동 건조하는 방식으로 누에가루를 제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3) 누에분 제조 공정
누에분을 깨끗하게 선별하여 80℃에서 2분간 볶는다.
누에분을 살균하고 향미를 부여하기 위한 공정으로 높은 온도에서는 누에분의 영양소가 파괴될 수 있으므로 상기 온도에서 볶아 누에분에 고유의 향미를 부여한다.
(4) 현미 가루 제조 공정
현미를 깨끗이 선별하여 100℃에서 5∼10분간 볶아서 분쇄하고 100∼200 메쉬의 체에 내린다.
5분 이하로 볶을 경우 현미에 고소한 맛이 느껴지지 않고 10분 이상 볶을 경우 탄내가 섞여 나와 풍미가 떨어지므로 상기 범위내에서 볶았을 때 차로 우려내어 마실 경우 현미의 고소한 맛이 가장 좋았다.
(5) 재료 배합 공정
상기 제조 공정을 거친 재료를 혼합하는데, 뽕잎 60∼70 중량%, 누에 가루 1∼5 중량%, 누에분 2∼10 중량%, 현미 가루 20∼35 중량%의 비율로 배합하여 1티백이 1.2g이 되도록 포장하여 상온에서 보관한다.
이상과 같이 제조된 뽕잎차는 약 80℃의 물에서 약 1∼2분간 우려내어 음용하는데, 재료의 적절한 배합으로 기존의 뽕잎차에서 느끼지 못한 구수하고 향긋한 맛을 느낄 수 있으며, 녹차와 달리 카페인 성분이 전혀 없고 칼슘, 철분 등의 미네랄과 단백질이 풍부하며 숙취해소에 도움을 주는 아스파라긴과 글루타민도 5%정도 함유되어 있고, 뇌 속의 피를 잘 돌게 하고 콜레스테롤을 제거하며 노인성 치매를 예방하는 티로신도 0.8% 함유되어 있는 뽕잎차를 즐길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5월 중의 어린 뽕잎을 뽕나무 가지 상부에서 새로 돋아난 순서대로 10번째 잎까지 채취하여 세척한 후 1.5㎝ 크기로 자른 다음 약 2㎝ 두께로 널어 그늘에서 3일간 건조시킨다. 상기 건조한 뽕잎을 80℃에서 90초간 덖어서 분쇄한 후 150 메쉬의 체에 내려 뽕잎을 제조하고, 5령 3일된 누에를 선별하여 -40℃의 냉동고에서 건조하여 분쇄한 후 150 메쉬의 체에 내려서 누에 가루를 준비하고, 누에분은 깨끗하게 선별하여 80℃에서 2분간 볶은 다음, 현미는 100℃에서 약 8분간 볶아 분쇄하고 100메쉬 체에 내려서 현미 가루를 준비한다. 이어 상기와 같이 제조된 각각의 재료를 뽕잎 67 중량%, 누에 가루 2 중량%, 누에분 4 중량%, 현미 가루 27 중량%의 비율로 배합한 후 1.2g의 티백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각의 재료를 제조하여 뽕잎 60 중량%, 누에 가루 1 중량%, 누에분 6 중량%, 현미 가루 33 중량%의 비율로 배합한 후 1.2g의 티백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각의 재료를 제조하여 뽕잎 70 중량%, 누에 가루 3 중량%, 누에분 2 중량%, 현미 가루 25 중량%의 비율로 배합한 후 1.2g의 티백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각의 재료를 제조하여 뽕잎 58 중량%, 누에 가루 2 중량%, 누에분 4 중량%, 현미 가루 36 중량%의 비율로 배합한 후 1.2g의 티백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각의 재료를 제조하여 뽕잎 75 중량%, 누에 가루 2 중량%, 누에분 4 중량%, 현미 가루 19 중량%의 비율로 배합한 후 1.2g의 티백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각의 재료를 제조하여 뽕잎 67 중량%, 누에 가루 4 중량%, 누에분 7 중량%, 현미 가루 22 중량%의 비율로 배합한 후 1.2g의 티백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1, 2, 3 및 비교예 1, 2, 3과 같이 제조된 뽕잎차를 80℃의 물에 1∼2분간 우려낸 다음 10명의 훈련된 패널에 의해 5점 척도법의 관능 검사법으로 기호도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1:매우 나쁨, 2:나쁨, 3:보통, 4:좋음, 5:아주 좋음
표 1의 결과에서 보듯이 실시예 1, 2, 3의 경우 패널간에 다소 차이는 있으나 향, 맛, 색, 전체적인 기호도 모두 평균 3.5 이상을 나타내어 제품으로서의 가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시예 1의 경우 향, 맛, 색, 전체적인 기호도의 모든 항목에서 최고치를 나타내어 최적 실시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비교예 1, 2, 3의 경우 기호도가 다소 떨어져 비교예 1의 경우에는 뽕잎 고유의 향미가 잘 느껴지지 않아 뽕잎차로서의 가치가 떨어졌으며, 비교예 2는 색깔은 잘 우러나왔으나 뽕잎의 맛이 다소 강하여 기타 재료의 맛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여 그 기호도가 떨어진 것으로 판단되었다. 비교예 3의 경우는 누에의 향이 너무 강해 뽕잎의 풍미를 해치는 결과를 초래하여 전체 기호도도 가장 좋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누에 가루 및 누에분 첨가 뽕잎차는 영양 성분도 풍부하고, 재료를 적절히 배합함에 따라 구수하면서도 향긋한 맛을 내는 우수한 뽕잎차 제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뽕잎차에 누에 가루 및 누에분을 첨가하여 영양 성분을 강화하고 또한 현미 가루의 첨가로 인해 구수한 맛과 현미의 영양분도 보완한 장점이 있는 누에 가루 및 누에분 첨가 뽕잎차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재료들을 적절한 비율로 배합함에 따라 구수하면서도 뽕잎차 고유의 향긋한 향미를 가진 뽕잎차를 즐길 수 있다.

Claims (3)

  1. 뽕잎을 가공하여 만들어진 뽕잎차에 있어서,
    뽕잎 60 ~ 70 중량%, 누에 가루 1 ~ 5 중량%, 누에분 2 ~ 10 중량%, 현미 20 ~ 35 중량%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뽕잎차.
  2. 뽕잎을 채취, 세척하여 0.5 ~ 2cm 길이로 세절한 후 1 ~ 3cm 두께로 펴 널어 그늘에서 2 ~ 4일간 건조한 다음 80℃에서 1 ~ 2분간 섞은 후 분쇄하여 100 ~ 200 메쉬의 체에 내려서 된 뽕잎 60∼70 중량%과,
    선별한 누에를 -30 ~ -40℃에서 냉동 건조후 분쇄하여 100 ~ 200메쉬의 체에 내려서 된 누에 가루 1∼5 중량%과,
    선별한 누에분을 80℃에서 2분간 볶는 누에분 2∼10 중량%과,
    선별한 현미를 100℃에서 5 ~ 10분간 볶아서 분쇄한 다음 100 ~ 200 메쉬의 체에 내려서 된 현미 가루 20∼35 중량%를, 배합하는 제조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에 가루 및 누에분 첨가 뽕잎차의 제조 방법.
  3. 삭제
KR1020000056821A 2000-09-27 2000-09-27 누에 가루 및 누에분 첨가 뽕잎차 및 그 제조 방법 KR100355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6821A KR100355043B1 (ko) 2000-09-27 2000-09-27 누에 가루 및 누에분 첨가 뽕잎차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6821A KR100355043B1 (ko) 2000-09-27 2000-09-27 누에 가루 및 누에분 첨가 뽕잎차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2791A KR20000072791A (ko) 2000-12-05
KR100355043B1 true KR100355043B1 (ko) 2002-10-05

Family

ID=19690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6821A KR100355043B1 (ko) 2000-09-27 2000-09-27 누에 가루 및 누에분 첨가 뽕잎차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50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24242A (zh) * 2015-05-14 2015-08-12 湖北梦丝家绿色保健制品有限公司 一种保健黑茶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4179A (ko) * 2001-06-12 2002-12-18 표점덕 당뇨병용 건강 보조제
KR100697184B1 (ko) * 2006-01-06 2007-03-21 주식회사 농협고려인삼 인삼과 상엽과 바나바엽을 주재로 한 혈당강하용 기능성 식품 및 그 제조방법
CN107183282A (zh) * 2017-07-21 2017-09-22 崔海平 一种桑叶茶及其制作方法
CN115553419A (zh) * 2022-10-24 2023-01-03 贵港市农业科学研究院 一种桑叶面的制作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24242A (zh) * 2015-05-14 2015-08-12 湖北梦丝家绿色保健制品有限公司 一种保健黑茶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2791A (ko) 2000-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68161B (zh) 一种颗粒型大麦茶及其制备方法
CN108991214A (zh) 一种保健玫瑰佛手脆片及其制备方法
KR100355043B1 (ko) 누에 가루 및 누에분 첨가 뽕잎차 및 그 제조 방법
CN110881540A (zh) 一种槐花红茶的加工方法
KR101537581B1 (ko) 숙성된 오가피를 이용한 침출 차의 제조방법
KR100211019B1 (ko) 건모과 추출액을 이용한 모과음료와 그의 제조방법
KR20190044189A (ko) 여주와 돼지감자 추출물이 함유된 닭갈비 소스의 제조방법
KR102121349B1 (ko) 블렌딩 차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8410635B (zh) 一种圣女果果酒的酿造方法
CN110613036A (zh) 一种柚子花桑叶茶及其制备方法
KR100437724B1 (ko) 가루녹차를 이용한 과립차 제조방법
KR101752571B1 (ko) 갈화 추출물을 이용하여 배양, 숙성시킨 청국장 및 이를 이용한 갈화고추장 제조방법
KR102107424B1 (ko) 발효 호박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203790B1 (ko) 머위 된장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머위 된장
KR101111288B1 (ko) 기능성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KR101949975B1 (ko) 인삼 편강의 제조방법
KR100517551B1 (ko) 천연식용색소를 함유하는 엿 및 그 제조방법
KR100708778B1 (ko) 홍삼곤짠지의 제조방법
KR102641332B1 (ko) 백련 꽃잎차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30694A (ko) 새싹인삼을 이용한 발효숙성 잎차 및 그 제조방법
KR102450018B1 (ko) 홍고추를 이용한 떡볶이용 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떡볶이용 떡
KR102378785B1 (ko) 흑도라지 편강의 제조방법
KR102005982B1 (ko) 열매 발효액을 이용한 소화를 돕는 저염 동치미의 제조방법
KR102455930B1 (ko) 보리 발효곡의 제조 방법 및 보리 발효곡의 용도
KR102260472B1 (ko) 고아밀로스 쌀을 이용한 쌀국수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