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3305B1 - 자동분석기용세정액 - Google Patents

자동분석기용세정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3305B1
KR100353305B1 KR1019960702010A KR19960702010A KR100353305B1 KR 100353305 B1 KR100353305 B1 KR 100353305B1 KR 1019960702010 A KR1019960702010 A KR 1019960702010A KR 19960702010 A KR19960702010 A KR 19960702010A KR 100353305 B1 KR100353305 B1 KR 100353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be
thromboplastin
thrombin
acid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2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5908A (ko
Inventor
제이. 피셔 티모시
엘. 벨 마리아
제이. 보울링 레지나
Original Assignee
악조 노벨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악조 노벨 엔.브이. filed Critical 악조 노벨 엔.브이.
Publication of KR960705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5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3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33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04Carboxylic acids or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04Water-soluble compounds
    • C11D3/046Sal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11D1/16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derived from divalent or polyvalent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8Liquid soap, e.g. for dispensers; capsuled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75Carboxylic acids-salts thereof
    • C11D3/2079Monocarboxylic acids-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75Carboxylic acids-salts thereof
    • C11D3/2086Hydroxy carboxylic acids-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8Products with no well-defined composition, e.g. natural products
    • C11D3/384Animal produc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상 실험실에서 사용되는 자동 분석기에 특히 사용하기 위한 신규의 세정액 및 이 신규 세정액으로 표면을 세정해내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용액은 1종 이상의 시약을 분배하는 분석기의 프로브에 의해 야기되는, 시약 이월로 인한 샘플의 교차 오염의 문제점을 해소한다. 구체적으로, 이 용액은 자동 시스템으로 수행하는 응혈 분석에서의 이월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Description

자동 분석기용 세정액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특히 임상 실험실에서 사용되는 자동 분석기에 사용하기 위한 신규의 세정액 및 이 신규 세정액으로 표면을 세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용액은 1 종 이상의 시약을 분배하는 분석기의 프로브에 의해 야기되는 시약 이월(carryover)로 인한 시료의 교차 오염(cross contamination)이라는 문제점을 해소한다. 구체적으로 이 용액은 자동 시스템으로 수행하는 응혈 분석에서의 이월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발명의 배경
혈청 및 혈장 시료를 대상으로 수행하는 응혈 분석에 사용되는 시약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성분으로는 트롬빈, 트롬보플라스틴 및 인지질이 있다. 이 중에서 특히, 트롬빈과 트롬보플라스틴은 점착성이 매우 높은 물질로서 표면으로부터 제거하기가 쉽지 않은 것들이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한 실험에 사용된 시약이 여전히 프로브에 부착된 상태에서 그 프로브를 사용해서 다른 시약을 제2 시료로 전달하는 경우 제2 시료가 교차 오염되는 것을 피하기란 상당히 어려운 일이다. 한 분석에 사용된 시약이 다른 분석용 시약 또는 시료로 교차 오염되는 것은 분석 결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물론, 이러한 것은 매 시약과 시료마다 별개의 피펫을 사용하는 경우에서와같이 모든 응혈 분석을 수작업으로 수행하는 경우에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매 사용 후 피펫을 폐기하기 때문에, 교차 오염의 문제점은 해소된다.
최근에는, 많은 응혈 분석을 분석기로 수행하고 있다. 랜덤 호출 능력(random access capability)으로 제한된 대부분의 분석기는 각 시약에 대해 전용 유체 통로를 설치함으로써 교차 오염 문제점을 해소시킨다. 이렇게 하면, 동일 시약은 동일 시험을 수행하는 대형 배취의 혈청이나 혈장에 대해 일반적으로 동일한 순서로, 동일 프로브나 피펫에 의해 일정하게 분배된다. 따라서, 이 프로브나 피펫은 항상 동일 시약을 분배하게 되므로, 각 시약 분배 중간에 프로브나 피펫을 세정하거나 청소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차세대 자동 응혈 분석기는 랜덤 호출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는 분석기 프로그램에 따라서는 유체 통로에 부착된 한정된 수의 프로브가 다른 시약을 별개의 각 시료 용기 내로 분배하게 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등속 호출 능력을 가진 자동 분석기는 교차 오염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예를 들면, 프로브 상에 피브리노겐 분석의 트롬빈 및 프로트롬빈 분석의 트롬보플라스틴의 존재로 인해 활성화된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 분석시 시료 응혈 시간이 단축되는 결과가 나타나게 된다. 트롬빈, 트롬보플라스틴 및 피브리노겐은 부착성이 강하므로 표면으로부터 분리해내기가 특히 어렵다. 이로 인한 분석 결과의 차이는 환자에게 제공되는 진단결과에도 영향을 미쳐 환자의 치료에 심각한 오류를 범하게 한다.
현재, 이월물을 제거하는 수 종의 세정제가 시판 중에 있다. 이러한 것으로는 나트륨 도데실설페이트, 10% 표백 용액 또는 과산화수소 용액 같은 강력 변성세정제가 있다. 이들 세정제는 이월물을 제거하기도 하나, 동시에 시약을 변성시켜 불량한 분석 성능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변성 세정제도 또한 프로브 상에 잔류하게 되어 시약 분배 이전에 시약 병으로 회수되거나, 또는 프로브의 구멍으로 들어가 시약과 혼합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프로브로부터 각 시약을 철거하게 세정해야만 할 뿐만 아니라, 프로브가 아주 단시간 동안 다수의 시료, 예를 들면 시간당 180 시료 내로 시약을 분배할 수 있도록 신속하게 세정해야만 한다.
혈청과 혈장 시료에 대해 지혈과 혈전증 관련 분석을 수행하기 위한, 등속 호출 능력을 가진 완전 자동 응혈 분석기는 시약에 대해 공동 통로를 사용하므로, 공동의 시약 통로인 프로브에 대해 거의 비-변성의 세정액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당해 기술분야에서는 한 시료 튜브로부터 다른 튜브로 시약이 이월되는 것으로 인한 오염을 방지하고자, 잔류 응혈 분석 시약, 특히 트롬빈, 트롬보플라스틴 및 피브린으로부터 시약 프로브를 세정해내기 위한 용액이 매우 절실히 요망되어 왔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표면으로부터 거의 모든 트롬보플라스틴, 트롬빈 및 인지질을 신속하게 제거하기에 특히 적합한 세정액에 관한 것이다. 이 용액이 특별히 잘 세정해내는 표면 중의 하나는 자동 분석기, 특히 응혈 분석을 수행하는 것에 사용된 프로브 표면이다. 이 프로브에 의해 운반된 제1 시료이나 시약 내에 존재했을지도 모르는 거의 모든 트름보플라스틴, 트롬빈 및 피브린이 프로브에서 세정되므로, 프로브가 상호 작용하는 다음 시료에 검출 가능한 이월물이 없게 된다.
세정액은 pH가 약 4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3의 범위인, 담즙산염, 무기염 및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수용액이다. pH를 목적 범위로 유지하기 위해 세정액 중에 유기산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담즙산염, 무기염 및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수성 세정액으로 표면을 세척함으로써, 트롬보플라스틴, 트롬빈 및 인지질이 거의 없도록 표면을 세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 대한 설명
본 발명자들은 표면 상에 검출 가능한 잔류물을 남기지 않으면서, 이 표면으로부터 트롬빈, 트롬보플라스틴 및 인지질 같은 강력 부착 물질을 제거하는 신규의 세정액을 발명하였다. 특히, 이 세정액은 자동 응혈 분석기에 사용되는 시약 프로브 같은 표면에 특별히 잘 작용한다. 이 용액은 신속하게 작용하며, 표면으로부터 헹구어내기가 용이하여, 동일 프로브로부터 분배되는 그 다음의 시약이나 시료 내에서 발견할 수 있을 정도의 검출 가능한 시약이나 용액의 이월물을 남기지 않는다. 이러한 장점은 특히 시간당 시험되는 시료의 수가 180 정도인 자동 시스템에서 중요하다.
본 발명의 세정액은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와 상용 가능한 담즙산염,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및 나트륨 이온의 수용액이다. 세정액은 또한 유기산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성분들의 배합물은 응혈-의거 분석에 주로 사용하기에 아주 효과적인 세정액으로, 거의 모든 트롬빈, 인지질 및 트롬보플라스틴 시약을 제거한다.
세정액의 제1 성분은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와 상용가능한 담즙산염, 예컨대 타우로콜산과 타우로데옥시콜산이다. 염은 농도에 따라, 세포의 막 단백질을 용해 및/또는 안정화시키는 데 사용되어 왔다. 담즙산염은 최종 용액이 맑은, 즉 침전물이 없는 상태를 유지하는 농도로 사용하여야 한다. 이용 가능한 담즙산염의 농도 범위는 대략 최종 용액의 0.1% w/v 내지 약 2.0% w/v인 것으로 밝혀졌다. 0.1% 미만 및 2.0% w/v 이상에서는, 타우로콜산이 용액으로부터 침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람직한 최종 용액 중 담즙산염의 농도 범위는 약 0.5% 내지 약 1.0%이다. 가장 바람직한 농도는 최종 용액의 0.5%이다. 이러한 농도는 최종 세정 용액 배합물에 사용시 시약 프로브로부터 트롬보플라스틴, 트롬빈 및 인지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이온계 에톡실화된 포스포릴화 계면활성제가 본 세정액에서 최상의 반응을 산출한다. 나트륨 디옥틸 설포숙시네이트 같은 기타 유형의 음이온 물질도 사용 가능하다. 사용된 담즙산염은 계면활성제 중에 용해되어야 하며, 이 계면활성제는 용액 중에서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고, 또 프로브 상에 이월되지 않아야 한다. 설폰화 계면활성제는 불안정하며 최종 시험 분석 결과에 영향을 준다. 양이온계 및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도 또한 최종 용액 배합물에 비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는 음전하를 가진 계면활성제이다. 이는 다수의 잘 알려진 상표명으로 많은 제조업체에서 시판되고 있다. 예를 들면, 롱쁠랑 서펙턴츠 앤드 스페샬티즈(Rhone-Poulenc Surfactants and Specialties, Dalton, GA, USA소재)에서는 포스포릴화 에톡실레이트 혼합물을 상표명 카라웨트TMSB(KarawetTMSB)로 시판하고 있다. 상기 배합물에 사용 가능한 다른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로는 인덱스 프로덕츠 인코오포레이티드(Intex Products Inc. Greenville, SC, USA 소재)에서 제조하는 나트륨 디옥틸 설포숙시네이트인 텍스웨트TM1001 (TexwetTM1001)이 있다. 바람직한 음이온계 에톡실화된 포스포릴화 계면활성제는 케맥스, 인코오포레이티드(Chemax, Inc. Greenville, SC, USA 소재)에서 시판하는 켐팩TMPC-099(ChemfacTMPC-099)이다. 최종 배합물 중 계면활성제의 농도는 약 0.2% 내지 약 2.0 w/v 범위이다. 바람직한 양은 약 1.5% w/v이다.
세정액 배합물은 또한 용액의 pH를 4 이하로 유지시키기 위해 유기산을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이러한 것의 예로는 포름산 및 아세트산 같은 카르복실산이 있다. 낮은 pH는 인지질로부터 단백질계 물질을 분해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바람직한 유기산의 농도 범위는 약 0.2% 내지 약 5.0% w/v이며, 가장 바람직한 양은 약 1.0% w/v이다. 세정액은 산성 pH를 유지하는 경우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조성물 중에 사용되는 담즙산염과 계면활성제가 산성일 수 있으므로, pH를 바람직한 범위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들 성분의 양을 조정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유기산이나 무기산을 이용하여 용액의 pH를 낮추거나, 또는 염기성 화합물을 사용하여 높일 수도 있다. 그 목표는 pH를 약 4 미만의 수치, 바람직하게는 약 1-3의 범위,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로 유지시키는 것이다.
나트륨 이온도 또한 배합물에 없어서는 안될 필수 성분이다. 이를 배합물 내로 도입시키는 방법 중 한 가지는 염화나트륨, 황산나트륨 또는 포름산나트륨을 이용하는 것이다. 칼슘 같은 다른 이온도 어느 정도는 사용 가능한 것으로 보이지만, 나트륨 이온이 배합물에 가장 적합하다. 바람직한 염화나트륨의 농도 범위는 약 0.5% 내지 약 5.0% w/v이며, 가장 바람직한 양은 약 3.0% w/v이다.
가장 바람직한 세정액 배합물은 1.0% 포름산 0.5% 타우로콜산 3.0% 염화나트륨 및 1.5% 켐팍TMPC-099의 수용액을 포함한다. 모든 %는 중량/체적(gm/100mℓ)이다. 이 배합물은 자동 응혈 분석기에 사용되는 프로브로 물은 트롬빈, 트롬보플라스틴 및 인지질을 신속하고도 철저하게 제거한다.
보다 덜 바람직한 배합물은 0.5% w/v 포름산 0.5% w/v 타우로콜산, 3.0% w/v 염화나트륨 및 0.75% w/v 켐팍TMPC-099이다.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바람직한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적절한 크기의 용기를 사용하여, 0.8ℓ의 정제수를 첨가하고, 혼합하기 시작한다. 다음, 대략 0.2% w/v 내지 약 5.0% w/v 범위의 유기산, 바람직하게는 1.0% w/v의 포름산을 혼합수에 첨가하고, 대략 10 분 동안 용해될 때까지 계속 혼합한다. 이 용액에, 약 0.5% w/v 내지 약 3.0% w/v, 가장 바람직하게는 3.0% w/v 범위의 염화나트륨 같은 나트륨 이온을 서서히 첨가하고, 10 분 동안 또는 용해될 때까지 혼합한다. 이 용액에 대략 0.1% w/v 내지 약 2.0% w/v 범위, 가장 바람직하게는 0.5% w/v의 타우로콜산과 같은 담즙산염을 서서히 첨가하고, 대략 15 분 동안 또는용해될 때까지 혼합한다.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대략 0.2% w/v 내지 약 2.0% w/v 범위로 용액에 첨가한다. 바람직한 계면활성제는 대략 1.5% w/v의 켐팍TMPC-099이다. 이를 약 10 분 동안 혼합한다. 정제수를 첨가해 1ℓ가 되도록 적당량 사용하여 약 10 분 동안 혼합한다. 상온에서 용액의 pH를 체크하여, pH가 1.7 = 0.3이 되도록 한다. 이 시점에서, 염료를 첨가할 수도 있다. 맑은 용액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최종 용액을 여과해야 한다.
다음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지 이들로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해 제공된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바람직한 세척액의 제조
본 실시예는 300ℓ의 세척액을 제조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240ℓ의 정제수를 300ℓ 유리 용기에 첨가하고, 교반하였다. 3ℓ의 포름산을 물에 서서히 첨가하고, 용해될 때까지 대략 300 rpm하에서 혼합하였다. 교반한 용액에 9 kg의 염화나트륨을 첨가하였다. 이 염화나트륨이 용해될 때까지 대략 380 rpm에서 계속 혼합하였다. 1.5 kg의 타우로콜산을 첨가하고, 용해될 때까지 계속 교반하였다. 4.5 kg 켐팍TMPC-099를 용기에 첨가하고, 대략 10 분 동안 계속 교반하였다. 300ℓ의 부피가 되도록 물을 첨가하고, 다시 10 분 동안 계속 교반하였다. pH를 1.7 정도로 유지하였다. 3.0 g의 염료인 바이올라민 R을 약 30분 동안 대략 200 rpm 하에 계속 혼합하면서 용기에 첨가하였다. 이후, 사용 전에 0.2μ 필터에 용액을 여과시켰다.
실시예 2 시약 이월물에 관한 연구
특정 시약, 트롬보플라스틴 사용시 발생하는 이월물의 양을 결정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일차적으로 프로트롬빈 시간(PT)에 대해 시료를 분석한 후, 활성화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APTT)에 대해 시료를 분석하는 분석 순서로, 지혈 및 응혈 수치 시험용 자동 분석기, MDATM(Organon Teknika Corp., Durham, NC, USA 소재)를 사용하였을 때 이월이 발생하였다. 이월 발생시, PT 분석으로 부터 이월된 트롬브플라스틴이 시료 내 단백질과 반응하게 되므로, APTT 분석에서 더욱 급속하게 응혈이 일어나게 된다.
실험용 자동 분석기를 사용하여 이러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분석기는 등속 호출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분석 진행 순서는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이 능력 때문에, 분석기상의 각 프로브는 임의 수의 시료이나 시약을 여러 시험 웰 내로 전달 또는 흡인할 수 있다.
자동 분석기에서는 다음 순서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
사용된 시약은 액체 트롬보플라스틴인 MDATM심플라스틴(Simplastin) L. MDATM플레이틀린(Platelin) LS, MDATM플레이틀린 L CaCl2프로브 세정제로 사용된 물, MDA 베리파이TM1, MDA 베리파이TM2 및 MDA 베리파이TM3이었다. MDA 및 베리파이 상표명은 오르가논 테크니카 코오포레이션(Durham North Carolina, USA 에 소재)의 것이다. MDA 베리파이TM1, 2 및 3은 오르가논 테크니카 코오포레이션에서 시판하는 혈장 조절제이다.
PT 분석을 위해, MDA 베리파이TM1 분취액을 제1 프로브인 아암(Arm) 1에 의해 그 용기로부터 흡인하여 큐벳 웰로 분배하였다. 각 큐벳에는 4개의 웰이 포함되어 있다. 이를 3 회 더 반복하여 분석을 4 회 실시하였다. 각 샘플링 후, 아암 1을 프라이밍액으로 헹구었다. 다음에 큐벳을 트랙을 따라 아암 4 근방의 다음 장소로 이동시켰다. 아암 4로 MDATM심플라스틴 L 분취액을 흡인하여 제1 큐벳웰로 분배하고, 이어서, 아암 4를 물로 헹구었다. 이를 큐벳의 각 웰에 대해 반복하였다. 큐벳에서 단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이를 트랙에 의해 각 반응, 응혈 형성을 검출하는 광학 모듈로 이동시켰다. 검출 결과를 자동으로 기록하였다.
PT 분석이 진행되면, APTT 분석을 시작한다. 제1 프로브인 아암 1로 상기 용기로부터 MDA 베리파이TM1 분취액을 흡인하여 큐벳 웰로 분배하였다. 이후 아암 1을 프라이밍액으로 헹구었다. 이 절차를 3 회 더 반복하여 시험 시료마다 총 4 회베리파이TM1을 공급하였다. 큐벳을 트랙을 따라 아암 3 근처의 다음 장소로 이동시킨 후, 이 용기로부터 MDATM플레이틀린 LS 분취액을 흡인하여 제1 큐벳으로 분배하며, 이를 시료에 첨가하였다. 이후 아암 3을 물로 세척하였다. 나머지 3 시료 각각에 대해서도 상기 단계를 반복하였다. 다음에, 큐벳을 아암 4 근처의 다음 장소로 이동시키고, 이 용기로부터 MDA 플레이틀린TML 분취액을 흡인하여 제1 큐벳 웰로 분배하였다. 이어서, 아암 4를 물로 헹구었다. 나머지 3 시료 각각에 대해서도 상기 단계를 반복하였다. 반응을 진행시키고, 트랙을 따라 큐벳을 광학 모듈로 이동시키며, 여기서 각 웰 내에서의 반응을 검출하였다. 그 결과는 자동으로 기록된다.
이 절차를 MDA 베리파이TM2 및 3 에 대해서도 우선 PT 분석을 실시한 후, APTT 분석을 수행하여 4 회 반복 실시하였다. APTT 분석에 2-4 회의 평균치 및 반복 1로부터 다음 공식을 이용하여 Diff 값 %을 산출하였다.
높은 값의 Diff(%)는 트롬보플라스틴의 이월을 나타낸다.
분석 결과는 하기 표 1a 내지 표 1b에 제시되어 있다. 응혈 시간은 초의 단위로 표시되어 있다. Std는 표준 편차 한계 중 하나이며, %CV는 변차 계수이다. 이들 분석 유형에 대한 결과의 허용 가능한 범위는 2 표준 편차 이내이다.
상기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프로브 세정제로 물을 사용한 것은, PT 분석에서 사용된 트롬보플라스틴의 이월의 결과로 APTT 분석에 영향을 주어 APTT 분석에서 보다 빠르지만 부정확한 응혈 시간을 산출한다. APTT 분석 결과에 대한 PT 분석 결과의 표준 편차는 훨씬 낮고 더욱 허용 가능하다. 특히, 각 APTT시리즈의 제1 시료는 나머지 APTT 분석 결과에 비해 상당히 다른 결과를 기록하였다.
실시예 3. 바람직한 세척액의 사용
실시예 2에서 사용한 물 대신에 MDA 프로브 세정제로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세척액을 이들 실험에서 사용하였다. 다른 모든 시약은 동일하였으며, 그 절차는 실시예 2에 기술된 바와 동일하였다.
PT 및 APTT 분석의 결과는 하기 표 2a 내지 표 2b에 제시되어 있다.
상기 표 2에 제시된 바와 같이, 트롬보플라스틴의 이월은 거의 관찰할 수 없었다. 세척액은 분석 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프로브로부터 검출 가능한 양의 트롬보플라스틴을 제거하였다.

Claims (26)

  1. a. 타우로콜산 및 타우로데옥시콜산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되는 담즙산 염 약 0.1% w/v 내지 약 2.0% w/v;
    b. 음이온계 에톡실화된 포스포릴화 계면활성제 및 나트륨 디옥틸 설포숙시네이트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되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약 0.2% w/v 내지 약 2.0% w/v:
    c. 포름산 및 아세트산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되는 유기산 약 0.2% w/v 내지 약 5.0% w/v:
    d. 염화나트륨, 황산나트륨 및 포름산나트륨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되는 나트륨 이온 화합물 약 0.5% w/v 내지 약 5.0% w/v; 및
    e. 총량이 100%가 되도록 하는 양의 물을 함유하며, 표면으로부터 트롬빈, 트롬보플라스틴 및 인지질로 구성된 군중에서 선택된 시약 거의 모두를 제거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세정액.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담즙산염이 타우로콜산인 것인 수성 세정액.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타우로콜산의 농도 범위가 약 0.5% 내지 약 1%인 것인 수성 세정액.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계 계면활성제가 음이온계 에톡실화된 포스포릴화 계면활성제인 것인 수성 세정액.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계 에톡실화된 포스포릴화 계면활성제의 농도 범위가 약 1.0% 내지 약 1.5%인 것인 수성 세정액.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이 포름산인 것인 수성 세정액.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름산의 농도 범위가 약 0.2% 내지 약 2.0%인 것인 수성 세정액.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나트륨 이온 화합물이 염화나트륨인 것인 수성 세정액.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염화나트륨의 농도 범위가 약 2.0% 내지 약 3.0%인 것인 수성 세정액.
  10. 제 1항에 있어서,
    세정액이 자동 응혈 분석기에 허용된 프로브 세정 또는 세척 시간 내에 프로브나 피펫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시약 모두를 제거해내는 것인 수성 세정액.
  11. a. 약 0.2% 내지 약 1.0% 농도 범위의 타우로콜산 ;
    b. 약 0.2% 내지 약 2.0% 농도 범위의 에톡실화된 포스포릴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c. 약 0.2% 내지 약 5.0% 농도 범위의 포름산.
    d. 약 0.5% 내지 약 5.0% 농도 범위의 염화나트륨: 및
    e. 총량이 100%가 되도록 하는 양의 물을 함유하며, 표면으로부터 트롬빈, 트롬보플라스틴 및 인지질로 구성된 군중에서 선택된 시약 거의 모두를 제거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세정액.
  12. 제11항에 있어서,
    세정액이 자동 응혈 분석기에 허용된 프로브 세정 또는 세척 시간 내에 프로브나 피펫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시약 거의 모두를 제거해내는 것인 수성 세정액.
  13. 프로브를 제1항에 따른 수성 세정액 중에 넣고, 상기 프로브 내에 세정액을 유입시킨 후, 이 프로브로부터 상기 세정액을 방출시켜 미량의 트롬빈, 트롬보플라스틴 또는 인지질 모두를 제거해내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브에 부착 또는 피복되어 있는 잔류 트롬빈, 트롬보플라스틴 또는 인지질로부터 프로브를 세정하는 방법.
  14. 프로브를 제11항에 따른 수성 세정액 중에 넣고, 상기 프로브 내에 세정액을 유입시킨 후, 이 프로브로부터 상기 세정액을 방출시켜 미량의 트롬빈, 트롬보플라스틴 또는 인지질 모두를 제거해내는 것을 포함하여, 상기 프로브에 부작 또는 피복되어 있는 잔류 트롬빈, 트롬보플라스틴 또는 인지질로부터 프로브를 세정하는 방법.
  15. a. 타우로콜산 및 타우로데옥시콜산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되는 담즙산 염 약 0.1% w/v 내지 약 2.0% w/v:
    b. 음이온계 에톡실화된 포스포릴화 계면활성제 및 나트륨 디옥틸 설포숙시네이트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되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약 0.2% w/v 내지 약 2.0% w/v;
    c. 포름산 및 아세트산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되는 유기산 약 0.2% w/v 내지 약 5.0% w/v:
    d. 염화나트륨, 황산나트륨 및 포름산나트륨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되는 나트륨 이온 화합물 약 0.5% w/v 내지 약 5.0% w/v; 및
    e. 총량이 100%가 되도록 하는 양의 물을 함유하며, pH가 약 1 내지 약 4의범위이고, 표면으로부터 트롬빈, 트롬보플라스틴 및 인지질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시약 거의 모두를 제거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세정액.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담즙산염이 타우로콜산인 것인 수성 세정액.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계 계면활성제가 음이온계 에톡실화된 포스포릴화 계면활성제인 것인 수성 세정액.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나트륨 이온화합물이 염화나트륨인 것인 수성 세정액.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염화나트륨의 농도 범위가 약 2.0% 내지 약 3.0%인 것인 수성 세정액.
  20. 제15항에 있어서,
    세정액이 자동 응혈 분석기에 허용된 프로브 세정 또는 세척 시간 내에 프로브나 피펫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시약 모두를 제거해내는 것인 수성 세정액.
  21. 프로브의 내부를 제1항에 따른 수성 세정액으로 세정하여 미량의 트롬빈, 트롬보플라스틴 또는 인지질 모두를 제거해내는 것을 포함하여, 상기 프로브에 부착 또는 피복되어 있는 잔류 트롬빈, 트롬보플라스틴 또는 인지질로부터 프로브를 세정하는 방법.
  22. 프로브의 내부를 제15항에 따른 수성 세정액으로 세정하여 미량의 트롬빈, 트롬보플라스틴 또는 인지질 모두를 제거해내는 것을 포함하여, 상기 프로브에 부착 또는 피복되어 있는 잔류 트롬빈, 트롬보플라스틴 또는 인지질로부터 프로브를 세정하는 방법.
  23. a. 타우로콜산 및 타우로데옥시콜산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되는 담즙산 염 약 0.1% w/v 내지 약 2.0% w/v;
    b. 음이온계 에톡실화된 포스포릴화 계면활성제 및 나트륨 디옥틸 설포숙시네이트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되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약 0.2% w/v 내지 약 2.0% w/v:
    c. 카르복실산 약 0.2% w/v 내지 약 5.0% w/v;
    d. 나트륨 이온 화합물 약 0.5% w/v 내지 약 5.0% w/v; 및
    e. 총량이 100%가 되도록 하는 양의 물을 함유하며, 표면으로부터 트롬빈, 트롬보플라스틴 및 인지질로 구성된 군중에서 선택된 시약 거의 모두를 제거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세정액.
  24. a. 타우로콜산 및 타우로데옥시콜산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되는 담즙산 염 약 0.1 w/v 내지 약 2.0% w/v:
    b. 음이온계 에톡실화된 포스포릴화 계면활성제 및 나트륨 디옥틸 설포숙시네이트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되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약 0.2% w/v 내지 약 2.0% w/v;
    c. 카르복실산 약 0.2% w/v 내지 약 5.0% w/v;
    d. 나트륨 이온 화합물 약 0.5% w/v 내지 약 5.0% w/v; 및
    e. 총량이 100%가 되도록 하는 양이 물을 함유하며, pH가 약 1 내지 약 4의 범위이고, 표면으로부터 트롬빈, 트롬보플라스틴 및 인지질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시약 거의 모두를 제거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세정액.
  25. a. 음이온 계면활성제에 가용성인 담즙산염 약 0.1% w/v 내지 약 2.0% w/v;
    b. 용액 내에서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고, 수성 세정액으로 세정하고자 하는 프로브 상에 이월되지 않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약 0.2% w/v 내지 약 2.0% w/v;
    c. 카르복실산 약 0.2% w/v 내지 약 5.0% w/v;
    d. 나트륨 이온 화합물 약 0.5% w/v 내지 약 5.0% w/v; 및
    e. 총량이 100%가 되도록 하는 양의 물을 함유하며, 표면으로부터 트롬빈, 트롬보플라스틴 및 인지질로 구성된 군중에서 선택된 시약 거의 모두를 제거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세정액.
  26. a. 음이온 계면활성제에 가용성인 담즙산염 약 0.1% w/v 내지 약 2.0% w/v;
    b. 용액 내에서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고, 수성 세정액으로 세정하고자 하는 프로브 상에 이월되지 않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약 0.2% w/v 내지 약 2.0% w/v;
    c. 카르복실산 약 0.2% w/v 내지 약 5.0% w/v;
    d. 나트륨 이온 화합물 약 0.5% w/v 내지 약 5.0% w/v; 및
    e. 총량이 100%가 되도록 하는 양의 물을 함유하며, pH가 약 1 내지 약 4의 범위이고, 표면으로부터 트롬빈. 트롬보플라스틴 및 인지질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시약 거의 모두를 제거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세정액.
KR1019960702010A 1993-10-21 1994-10-21 자동분석기용세정액 KR1003533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141,441 US5395545A (en) 1993-10-21 1993-10-21 Cleaning solution for automated analyzers
US08/141441 1993-10-21
US08/141,441 1993-10-21
PCT/US1994/012029 WO1995011290A1 (en) 1993-10-21 1994-10-21 Cleaning solution for automatic analyz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5908A KR960705908A (ko) 1996-11-08
KR100353305B1 true KR100353305B1 (ko) 2002-12-18

Family

ID=22495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2010A KR100353305B1 (ko) 1993-10-21 1994-10-21 자동분석기용세정액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5395545A (ko)
EP (1) EP0724619B1 (ko)
JP (1) JP3918875B2 (ko)
KR (1) KR100353305B1 (ko)
AT (1) ATE206746T1 (ko)
AU (1) AU689819B2 (ko)
CA (1) CA2174438C (ko)
DE (1) DE69428597T2 (ko)
DK (1) DK0724619T3 (ko)
ES (1) ES2164719T3 (ko)
FI (1) FI961714A (ko)
PT (1) PT724619E (ko)
WO (1) WO199501129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95614A1 (en) * 2020-03-27 2021-09-30 Salvus, Llc System and method for analyte detection and decontamination certific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5545A (en) * 1993-10-21 1995-03-07 Akzo N.V. Cleaning solution for automated analyzers
US5786153A (en) * 1996-09-12 1998-07-28 Chiron Diagnostics Corporation Prevention of probe coating on automated analyzers using a non-denaturing surfactant
JP4104704B2 (ja) * 1997-10-01 2008-06-18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自動分析装置用洗浄剤
SI1758590T1 (sl) * 2004-05-19 2012-03-30 Los Angeles Biomed Res Inst Uporaba detergenta za nekirurško odstranitev maščobe
US7754230B2 (en) * 2004-05-19 2010-07-13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s and related compositions for reduction of fat
US20060127468A1 (en) * 2004-05-19 2006-06-15 Kolodney Michael S Methods and related compositions for reduction of fat and skin tightening
US20060147998A1 (en) * 2004-12-01 2006-07-06 Jones Gregory R Method for diagnosing and monitoring critically ill patients
US8101593B2 (en) 2009-03-03 2012-01-24 Kythera Biopharmaceuticals, Inc. Formulations of deoxycholic acid and salts thereof
EP2675460A4 (en) 2011-02-18 2014-07-09 Kythera Biopharmaceuticals Inc TREATMENT OF FAT TISSUE UNDER CHIN
US8653058B2 (en) 2011-04-05 2014-02-18 Kythera Biopharmaceuticals, Inc. Compositions comprising deoxycholic acid and salts thereof suitable for use in treating fat deposits
DE102014204602A1 (de) * 2014-03-12 2015-09-17 Henkel Ag & Co. Kgaa Wasch- oder Reinigungsmittel mit hydrolytisch aktivem Enzym und Steroidsäur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5313A (en) * 1974-10-08 1978-09-19 Irving Lyon Bile acid emulsions
US5350458A (en) * 1989-09-29 1994-09-27 Boehringer Mannheim Gmbh Method for cleaning a diagnostic analyzer
US5066336A (en) * 1989-12-01 1991-11-19 Akzo N.V. Method for cleaning reagent delivery probes
US5395545A (en) * 1993-10-21 1995-03-07 Akzo N.V. Cleaning solution for automated analyz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95614A1 (en) * 2020-03-27 2021-09-30 Salvus, Llc System and method for analyte detection and decontamination certif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0724619T3 (da) 2002-01-21
US5749976A (en) 1998-05-12
AU689819B2 (en) 1998-04-09
EP0724619A1 (en) 1996-08-07
ATE206746T1 (de) 2001-10-15
CA2174438C (en) 2005-03-15
JPH09504049A (ja) 1997-04-22
JP3918875B2 (ja) 2007-05-23
EP0724619A4 (en) 1998-04-29
ES2164719T3 (es) 2002-03-01
CA2174438A1 (en) 1995-04-27
EP0724619B1 (en) 2001-10-10
DE69428597D1 (de) 2001-11-15
KR960705908A (ko) 1996-11-08
FI961714A0 (fi) 1996-04-19
WO1995011290A1 (en) 1995-04-27
AU8084994A (en) 1995-05-08
PT724619E (pt) 2002-03-28
US5395545A (en) 1995-03-07
FI961714A (fi) 1996-04-19
DE69428597T2 (de) 200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3305B1 (ko) 자동분석기용세정액
JP6013303B2 (ja) ピペット装置および検査液のピペット操作方法
US8003586B2 (en) Cleaning solution for an automatic biochemical analyzer
JP3001087B2 (ja) 自動分析装置および方法
KR100805470B1 (ko) 자동 분석 장치용 알칼리성 세제, 자동 분석 장치의 세정방법, 및 자동 분석 장치
CN102304439B (zh) 用于全自动生化分析仪的抗菌清洗液
JP4104704B2 (ja) 自動分析装置用洗浄剤
US5350458A (en) Method for cleaning a diagnostic analyzer
WO2001023536A1 (fr) Stabilisation de la thrombine et compositions
JPH07280813A (ja) 自動分析装置及び方法
CA2025816C (en) Cleaning solution
US5552296A (en)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coagulation parameters
JP2002323504A (ja) 臨床検査自動分析装置用アルカリ洗浄液
JP4098531B2 (ja) 生化学分析装置のセルの洗浄方法
JPS632343B2 (ko)
CN113004983A (zh) 清洗液、清洗液的制备方法以及血细胞分析仪
JPH07292387A (ja) 自動分析装置用洗浄剤および自動分析装置
CN107365639B (zh) 一种胶体金平台清洗液
JPH02184759A (ja) 遊離脂肪酸測定試薬
JPH05297006A (ja) 免疫測定装置
CN115109658A (zh) 一种低泡高效生化分析仪用清洗液
CN107034054A (zh) 一种生化仪比色杯用清洗液
JP2002090372A (ja) 自動分析方法及び装置
JPS58111699A (ja) 大便中のヒモトリプシン又はトリプシンの活性測定法及び測定試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