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2729B1 - 발전장치를 갖는 낚시용 릴 및 낚시용 릴에 접속되는 발전기 - Google Patents

발전장치를 갖는 낚시용 릴 및 낚시용 릴에 접속되는 발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2729B1
KR100352729B1 KR1019980007896A KR19980007896A KR100352729B1 KR 100352729 B1 KR100352729 B1 KR 100352729B1 KR 1019980007896 A KR1019980007896 A KR 1019980007896A KR 19980007896 A KR19980007896 A KR 19980007896A KR 100352729 B1 KR100352729 B1 KR 100352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or
reel
handle
spool
f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7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0084A (ko
Inventor
요시유키 후로모토
히토시 가타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6621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248452A/ja
Priority claimed from JP65023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257841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19980080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0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2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27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2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낚시용 릴에 전력을 공급하는 발전장치의 작동에 의한 낚시용 릴의 성능의 저하가 억제된다.
한쌍의 베어링을 갖는 릴은 릴 본체와, 스풀과, 제1핸들과, 발전장치와, 제2핸들을 구비하고 있다. 스풀은 릴 본체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제1핸들은 릴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스풀과 연동할 수 있는 것이다. 발전장치는 릴 본체에 지지된다. 제2핸들은 발전장치를 작동시킨다.

Description

발전장치를 갖는 낚시용 릴 및 낚시용 릴에 접속되는 발전기
본 발명은 발전장치를 갖는 낚시용 릴 및 낚시용 릴에 접속되는 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낚싯배 등에서 낚시바늘을 투하할 때는, 물고기 떼가 있는 위치에 정확히 낚시바늘을 내려 입질을 기다림으로써 낚시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최근 낚시용 릴에는 낚시줄의 풀어내는 길이나 감는 길이를 계측하여 표시하거나, 계측길이에 근거해 물고기의 서식층이 있는 위치에서 알람을 울리는 장치를 갖추고 있는 것이 많다.
이러한 낚시용 릴은, 상기 장치를 구동하기 위해 전원을 필요로 한다. 이 전원을 확보하기 위해서, 수동감기식 낚시용 릴에는 리튬전지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지교환의 불편함, 공간상의 문제, 방수성의 문제 등의 결점이 있다.
이 전지교환의 불편함을 해결하는 기술로서, 스풀에 영구자석을, 대향하는 릴 본체에 코일을 각각 설치한 발전장치에 의해 발전하여 얻어진 전력을 장치구동의 전원으로서의 충전지에 충전하는 것이 실개소 61-20164호 공보(일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릴을 포함하여 종래부터 발전장치를 갖춘 낚시용 릴이 수없이 제안되어 있지만, 어느것이나 스풀이나 핸들에 연동하는 부재의 회전 등을 이용하여 발전장치를 작동시키고 있다. 따라서, 발전장치에 의해서 스풀이나 핸들의 움직임이 규제되어, 예컨대 낚시줄 감기 효율이나 드래그 특성이 저하하는 폐해가 발생한다. 즉, 줄을 풀 때에 스풀의 회전에 제동이 걸려 낚싯배 등에서 낚시바늘을 투하할 때의 투하속도나 낚시바늘을 던져 넣을 때의 낚시바늘의 도달거리가 저하되거나, 물고기를 낚아 올릴 때의 드래그 시에 발전장치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의 변동에 의해서 낚시줄이 출렁거리는 현상이 일어나는 등 불량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발전기는, 영구자석이 전기자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착자되어 있고, 영구자석의 자극과 전기자의 폴이 정면으로 마주쳤을 때 강한 흡인력을 생성시켜 영구자석의 자극의 사이에 전기자의 폴이 위치할 때에는 흡인력이 감소한다. 이 때문에, 발전기를 작동하기 위해서 영구자석과 전기자를 상대회전시킬 때에는,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에 맥동(코깅)이 생긴다. 이러한 발전기를 낚시용 릴에 사용하면, 드래그 작동시에 스풀과 연동시켜 발전기를 작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드래그력이 불안정해져 낚시줄이 출렁이는 상태가 발생하고 만다. 또한 핸들축에 연결하여 발전기를 작동시키는 경우에는, 핸들의 회전감이 악화된다. 이러한 이유에서, 종래에는 낚시용 릴에 발전기를 내장시키는 것은 사실상 곤란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낚시용 릴에 전력을 공급하는 발전장치의 작동에 의한 낚시용 릴의 성능 저하를 억제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낚시용 릴에 쓰는 발전기의 맥동을 억제해 낚시용 릴에 발전기를 갖출 수 있게 하여, 낚시용 릴의 전지교환의 불편함을 억제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한쌍의 베어링을 갖는 릴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상기 한쌍의 베어링을 갖는 릴의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한쌍의 베어링을 갖는 릴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한쌍의 베어링을 갖는 릴의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의한 한쌍의 베어링을 갖는 릴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 4의 한쌍의 베어링을 갖는 릴의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8은 실시예 4의 전기자코어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실시예 4의 전기자코어의 권선도이다.
도 10은 실시예 4의 영구자석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4의 영구자석의 일부전개도이다.
<부호의 설명>
1...릴 본체 2...제1핸들
4...제2핸들 14...스풀
24...발전장치 50...발전기
51...발전기 본체 86...태엽
91...충전지(충전장치) 101...릴 본체
102...핸들 114...스풀
119...제1클러치(제1클러치기구)
120...제1클러치 착탈기구(제1클러치기구)
121...제2클러치(제2 클러치기구)
122...제2클러치 착탈기구(제2클러치기구)
130...핸들축 131...메인기어
160...발전기 164...전기자코어(전기자)
166...회전틀(회전체) 167...영구자석(계자)
n1∼n9...전기자 폴(폴)
발명 1에 따른 낚시용 릴은, 릴 본체와 스풀과 제1핸들과 발전장치와 제2핸들을 갖추고 있다. 스풀은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제1핸들은 릴 본체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고, 스풀과 연동할 수 있는 것이다. 발전장치는, 릴 본체에 지지된다. 제2핸들은 발전장치를 작동시킨다.
낚시꾼은 릴 본체를 지지하여 제1핸들을 돌림으로써 스풀을 회전시켜 낚시줄을 감는다. 한편 발전장치는, 제2핸들의 조작에 의해서 작동되고, 전력을 필요로 하는 낚시용 릴에 탑재된 각 장치 또는 충전지 등에 전력을 공급한다.
종래에는 스풀이나 스풀을 회전시키는 제1핸들에 발전장치를 연동시키고 있는 데 반하여, 여기서는 스풀이나 제1핸들과는 별개로 설정된 제2핸들에 의해서 발전장치를 작동시키고 있다. 즉, 제2핸들은 발전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용 핸들이다. 따라서 스풀의 회전 등을 이용하여 발전시키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그 반면, 발전장치의 존재에 의한 낚시줄 감기 효율의 저하나 드래그 특성의 악화 등의 불량이 없어진다.
이와 같이, 발전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2핸들을 별개로 마련함으로서 낚시용 릴의 성능저하가 억제된다.
발명2에 따른 낚시용 릴은, 발명1의 낚시용 릴에 있어서, 발전장치는 릴 본체에 대하여 착탈가능하다.
낚시용 릴에 발전장치나 제2핸들을 설치하면, 필요한 때에 전력을 보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낚시용 릴의 중량은 증가한다.
여기서는, 발전장치를 릴 본체에서 떼어낼 수 있기 때문에 낚시 도중에 낚시용 릴의 중량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발전장치와 낚시용 릴 본체를 코드로 접속시켜 놓으면, 발전장치를 떼어놓아도 발전할 수 있다. 예컨대, 낚시용 릴을 낚시꾼 옆에 두고 릴 본체와 코드로 접속된 발전장치를 낚시꾼 발밑에 놓아두면 낚시꾼은 중량이 가벼운 낚시용 릴을 가지고 낚시를 하면서, 필요에 따라서 제2핸들로 발전을 할 수 있다.
또 여기서는 발전장치를 릴 본체와 착탈가능하게 하고 있지만, 발전장치와 함께 제2핸들도 릴 본체로부터 착탈가능하게 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발명3에 따른 낚시용 릴은, 릴 본체와 스풀과 핸들과 발전장치와 태엽감기 부재를 갖추고 있다. 스풀은 릴 본체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핸들은, 릴 본체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고, 스풀과 연동할 수 있는 것이다. 발전장치는 태엽을 포함하고 있으며, 릴 본체에 지지된다. 태엽감기 부재는 발전장치의 태엽을 감는 부재이다.
낚시꾼은 릴 본체를 지지하고, 핸들을 돌림으로써 스풀을 회전시켜 낚시줄을 감는다. 한편, 발전장치는, 태엽감기 부재에 의해 감기는 태엽에 의해 작동하여, 전력을 필요로 하는 낚시용 릴에 탑재된 각 장치 또는 충전지 등에 전력을 공급한다.
종래에는 스풀이나 스풀을 회전시키는 핸들에 발전장치를 연동시키고 있던 데 반해 여기서는 스풀이나 핸들과는 별개로 설치된 태엽감기 부재에 의해 발전장치를 작동시키고 있다. 즉, 태엽감기 부재는 발전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용 부재이다. 따라서 스풀의 회전 등을 이용하여 발전시킬 수는 없지만, 그 반면 발전장치의 존재에 의한 낚시줄 감기 효율의 저하나 드래그 특성의 악화 등의 불량이 없어진다.
또한, 태엽에는 어느 정도의 탄성변형에너지를 비축할 수 있기 때문에, 예컨대, 낚시에 있어서 시간이 있을 때에 태엽을 감아 놓으면, 전력이 부족할 때에 바로 태엽에 축적한 에너지를 사용하여 발전할 수가 있다.
발명4에 따른 낚시용 릴은, 발명1에서부터 발명3 중 어느 한 낚시용 릴에 있어서, 충전장치를 더 갖추고 있다.
여기서는, 발전장치에 의해 발생한 전력을 충전지에 비축할 수 있다.
발명5에 따른 발전기는, 충전장치를 갖고 있는 낚시용 릴에 대하여 접속 가능한 발전기으로서, 본체와 발전부재와 조작부재를 갖추고 있다. 발전부재는, 본체에 지지되어 있다. 조작부재는 본체에 지지되어 있으며, 발전부재를 작동시킬 수 있는 부재이다.
이 발전장치는 조작부재에 의해 작동하는 발전부재의 움직임에 의해 발전된다. 그리고 발전된 전력은 발전기와 접속되는 낚시용 릴의 충전지에 보내져 충전지에 충전된다.
여기서는, 낚시용 릴과 별개로 발전기를 설치하고 있으며, 낚시용 릴의 성능이나 중량을 거의 저하시키는 일 없이 필요한 때에 낚시용 릴에 전력을 보충시킬 수 있게 된다.
발명6에 따른 낚시용 릴의 발전기는, 전기자와 계자를 갖추고 있다. 전기자는 복수의 폴을 갖고 있다. 계자는, 전기자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함으로써 자계를 주는 것으로, 복수의 영구자석에 의해서 자극이 구성되어 있다. 이 복수의 영구자석의 착자방향은, 전기자의 회전방향 또는 역회전방향이다. 또한 계자의 자극 수는 전기자의 폴 개수보다도 1개 적고, 계자의 자극은 회전운동의 축에 대해 경사져 있다.
여기서는, 계자의 자극의 수가 전기자의 폴의 수보다도 1개 적으므로, 전기자의 폴와 대향하는 영구자석의 극은 1개 뿐이고, 다른 것이 동시에 대향하는 것은 없다. 따라서 전기자와 계자가 상대회전할 때에 있어서 폴과 영구자석과의 흡인력의 변화는 작다.
또한, 자극이 계자의 회전운동의 축에 대하여 경사져 있기 때문에, 대향하는 위치부터 회전방향 전후의 소정 각도의 범위내에서는, 전기자의 폴과 영구자석의 극과의 사이의 흡인력의 변화가 작다. 즉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회전방향 전후의 소정 각도의 범위내에서는, 영구자석의 N극과 전기자 폴과의 흡인력과 영구자석의 S극과 전기자 폴과의 반발력이 상쇄되기 때문에, 폴과 영구자석이 대향할 때의 부분적인 흡인력 증대가 억제되어, 흡인력은 원활하게 변화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낚시용 릴의 발전기에서는, 전기자와 계자를 상대회전시켜 발전을 할 때, 전기자와 계자의 흡인력 증감이 억제된다. 이 때문에 발전시키기 위해 전기자 또는 계자를 회전시킬 때에 맥동이 감소하여 회전이 원활해진다. 따라서 낚시용 릴에 발전기를 갖추게 할 수 있다.
발명7에 따른 낚시용 릴은, 릴 본체와 핸들축과 스풀과 제1 클러치기구와 발명6의 발전기를 갖추고 있다. 핸들축은 릴 본체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또한, 핸들축에는 핸들이 장착된다. 스풀은 릴 본체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제1 클러치기구는, 핸들축과 스풀을 착탈시키는 기구이다. 발전기는 핸들축 또는 스풀과 연동하여 발전을 실시한다.
본 낚시용 릴은, 발전기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전지가 필요없거나 또는 전지의 소비전력을 억제할 수 있어 전지교환의 불편이 감소된다.
또한 발명6의 맥동이 적은 발전기를 낚시용 릴에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드래그 작동시에 스풀과 연동시켜 발전기를 작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도 드래그력의 안정성 악화가 억제되며 또한 핸들축에 연결하여 발전기를 작동시키는 경우에도 핸들의 회전감 악화가 억제된다.
발명8에 따른 낚시용 릴은, 발명7의 릴에 있어서, 발전기의 작동상태와 비작동상태를 절환시키는 절환기구를 더 갖추고 있다.
여기서는, 필요없을 때에는 발전을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발전기의 작동상태와 비작동상태를 절환시키는 절환기구가 낚시용 릴에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발전기를 비작동상태로 하면, 예컨대 발전기를 핸들축에 연동시키고 있는 경우에는 핸들의 회전이 무거워지지 않고, 발전기를 스풀에 연동시키고 있는 경우에는 스풀의 회전에 제동이 걸리지 않는다. 그리고, 발전이 필요한 때에는, 절환기구에 의해 발전기를 작동상태로 하여 발전을 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낚시용 릴은, 쓸데 없는 발전을 억제할 수 있으며 발전이 불필요할 때의 릴의 사용의 편이성을 향상시킨다.
발명9에 따른 낚시용 릴은, 발명7 또는 8의 릴에 있어서, 줄을 감을 때에 발전기가 작동하는 것이다.
낚시줄을 풀 때에 발전이 행해져 버리면, 스풀의 줄풀기 방향의 회전에 제동이 걸린다. 따라서, 드래그시 이외의 줄을 풀 때에 발전을 하는 발전기를 릴에 마련하면, 낚싯배에서 낚시바늘을 투하할 때에, 발전기를 갖고 있지 않은 통상의 릴에 비해 낚시바늘의 투하속도가 늦어지고 물고기의 서식층이 있는 위치로의 낚시바늘 도달이 늦어져, 통상의 릴에 비하여 불리해진다. 또한 낚시바늘을 던져 넣을 경우, 낚시바늘의 도달거리가 짧아진다.
본 발명의 낚시용 릴로는, 발전기가 줄을 감을 때에 작동하기 때문에, 낚시기구의 투하속도나 도달거리가 짧아지는 불량을 피할 수 있다.
발명10에 따른 낚시용 릴은, 발명7의 릴에서, 메인 기어와, 제2 클러치기구를 더 갖추고 있다. 또한 발전기는 회전체를 갖고 있다. 발전기의 회전체는, 전기자 또는 계자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메인 기어는 핸들축과 연동하는 것으로서 회전체와 연동할 수 있다. 제2 클러치기구는 메인 기어와 회전체와의 연동을 착탈시킨다.
여기서는 메인 기어를 통해 핸들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전기자와 계자를 상대회전시켜 발전을 한다. 그리고 필요 없을 때에는 발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메인 기어와 회전체와의 연동을 착탈시키는 제2 클러치기구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메인 기어와 회전체와의 연동을 떼어내면, 줄 감을 때의 핸들 회전이 가벼워진다. 발전이 필요한 때에는 메인 기어와 회전체를 결합하여 발전을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낚시용 릴은 쓸데 없는 발전을 억제할 수 있으며 발전이 불필요한 때에는 줄 감을 때 핸들을 돌리는 힘이 적게 든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수동감기식 한쌍의 베어링을 갖는 릴의 평면도이다.
도1에 도시된 한쌍의 베어링을 갖는 릴은, 릴 본체(1)와, 릴 본체(1)의 옆쪽에 배치된 스풀회전용의 제1핸들(2)과, 제1핸들(2)의 릴 본체(1)측에 배치된 드래그 조정용의 스타드래그(3)와, 제1핸들(2)과 반대측의 릴 본체(1)의 옆쪽에 배치된 발전용의 제2핸들(4)과, 카운터 케이스(12)를 갖추고 있다.
카운터 케이스(12) 내에는, 정류기(90)와 충전지(91)와 제어표시장치(92)와 각종 센서가 수용되어 있음과 동시에, 액정디스플레이(93)와, 복수의 조작스위치(94)가 표면에 노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 본체(1)는 프레임(5)과 프레임(5)의 양쪽에 장착된 제1커버(6) 및 제2커버(7)를 갖고 있다. 프레임(5)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1쌍의 측판(8),(9)과, 이들 측판(8),(9)을 연결하는 앞연결부(10) 및 뒤연결부(11)를 갖고 있다.
프레임(5) 내에는 스풀(14)과, 스풀(14)에 균일하게 줄을 감기 위한 레벨와인드기구(16)가 배치되어 있다.
프레임(5)과 제2커버(7)와의 사이에는 제1기어기구(18), 클러치(19), 클러치착탈기구(20), 및 드래그기구(21)가 배치되어 있다. 제1기어기구(18)는 제1핸들(2)로부터의 회전력을 스풀(14)에 전한다. 클러치착탈기구(20)는, 클러치(19)의 착탈에 의해 제1기어기구(18)와 스풀(14)의 결합상태 및 이탈상태를 클러치레버(40)의 조작에 따라 절환시킨다.
프레임(5)과 제1커버(6)와의 사이에는 제2기어기구(22), 제3기어기구(23), 및 발전장치(24)가 배치되어 있다. 제2기어기구(22)는, 제2핸들(4)로부터의 회전력을 발전장치(24)에 전한다. 제3기어기구(23)는, 3개의 기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스풀(14)과 레벨와인드 기구(16)를 연동시킨다.
스풀(14)은, 그 중심을 관통하는 스풀축(15)에 고정되어 있다. 스풀축(15)은 베어링에 의해서 프레임(5)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제1기어기구(18)는, 드래그기구(21)에 의해 제1핸들축(30)과 연동하는 메인 기어(31)와, 메인 기어(31)에 맞물리는 피니언(32)을 갖고 있다. 피니언(32)은 클러치착탈기구(20)에 의해 스풀축(15)과 결합 또는 이탈이 가능하다. 또, 제1핸들축(30)에는 제1핸들(2)이 장착되어 있다.
제2기어기구(22)는 제2핸들(4)이 장착되는 제2핸들축(60)에 고정된 대기어(61)와 발전장치(24)의 축(75)에 고정된 소기어(62)를 가지고 있고, 대기어(61)와 소기어(62)는 맞물려 있다.
발전장치(24)는 축(75)과 케이스(76)와 회전자(77)와 고정자(78)를 가지고 있다. 축(75)은 케이스(76)에 고정된 베어링에 지지되어, 일단이 전술한 소기어(62)에 고정되어, 제2핸들축(60)과 연동하여 회전한다. 케이스(76)는 프레임(5)의 측판(8)에 고정되어 있다. 회전자(77)는 축(75)에 고정되어 있다. 즉, 회전자(77)는 축(75), 소기어(62), 및 대기어(61)를 통해 제2핸들축(60)과 연동한다. 고정자(78)는 회전자(77)에 대향하여 케이스(76)에 고정되어 있고, 고정자코일을 수용하고 있다. 이 고정자코일은, 카운터 케이스(12) 내의 정류기(90)에 연결된다.
다음에 이 한쌍의 베어링을 갖는 릴의 동작을 설명한다.
낚시줄을 감을 때에는, 제1핸들(2)을 줄감는 방향으로 돌린다. 제1핸들(2)의 회전은 제1핸들축(30)에 전달되어, 드래그기구(21)를 통해 제1핸들축 (30)에 연동하는 메인 기어(31) 및 메인 기어(31)에 연동하는 피니언(32)이 회전한다. 피니언(32)의 회전은, 클러치(19)에 의해 피니언(32)과 결합되어 있는 스풀축(15)에 전달되어, 스풀(14)이 회전하여 낚시줄을 감는다. 이 스풀(14)의 회전은 제3기어기구(23)를 통해 레벨와인드기구(16)에 전해져, 이 레벨와인드기구(16)의 동작에 의해 스풀(14)로 균일하게 낚시줄이 감긴다.
한편 낚시줄을 풀 때에는 클러치레버(40)를 조작하여 클러치착탈기구(20)에 의해 클러치(19)를 이탈상태로 한다. 이에 따라 스풀축(15)과 피니언(32)의 결합이 해제되어, 낚시줄을 풀어냄에 의하여 스풀(14)이 회전하더라도 제1기어기구(18) 및 제1핸들축(30)에는 그 회전이 전달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한쌍의 베어링을 갖는 릴은, 상기와 같은 낚시줄 감기 동작이나 풀기 동작은 발전을 위한 동작과는 별개의 것이다. 즉 제1핸들(2)나 스풀(14)의 회전을 이용하지 않고 발전이 행해질 수 있다.
발전을 할 때에는, 제2핸들(4)을 돌린다. 제2핸들(4)의 회전력은 제2핸들축(60), 대기어(61) 및 소기어(62)를 통해 발전장치(24)의 축(75)에 전해진다. 축(75)이 회전하면 회전자(77)도 회전하고 회전자(77)와 고정자(78)의 상대회전에 의해 고정자(78)에 수용되어 있는 고정자코일에 전력이 발생한다. 발전된 전력은 카운터 케이스(12) 내의 정류기(90)로 보내져 직류전류로 변환된 후, 충전지(91)에 충전된다. 이 충전된 전력에 의해서 제어표시장치(92)가 작동하고 각종 센서의 검지결과로부터 읽어들여진 정보 및 연산된 정보가 액정 디스플레이(93)에 표시된다. 또한 제2핸들(4)에 의한 발전은, 충전지(91)의 충전량이 줄었을 때 행해지며, 구체적으로는 낚시 전이나 물고기의 입질을 기다리고 있을 때 등에 행해진다.
여기서는 스풀(14)이나 제1핸들(2)과는 별개로 설치된 제2핸들(4)에 의해 발전장치(24)를 작동시키고 있다. 즉, 제2핸들(4)은 발전장치(24)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용 부재이다. 따라서, 스풀(14)이나 제1핸들(2)의 회전 등을 이용하여 발전시킬 수는 없지만, 그 반면 발전장치(24)의 존재에 의해서는 낚시줄 감기 효율의 저하나 드래그특성의 악화는 발생하지 않는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는 발전장치(24)를 릴 본체(1)에 내장시켜 발전을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 본체(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발전기(50)에 의해 발전해도 좋다.
이하 본 실시예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하겠는데, 실시예 1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에는 실시예 1과 공통의 부호(번호)를 붙인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한쌍의 베어링을 갖는 릴과 발전기(50)의 평면도이다.
한쌍의 베어링을 갖는 릴은, 릴 본체(1)와, 릴 본체(1)의 옆쪽에 배치된 스풀 회전용의 제1핸들(2)과, 제1핸들(2)의 릴 본체(1) 측에 배치된 드래그조정용의 스타드래그(3)와, 카운터 케이스(12)를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5)와 제1커버(6)의 사이에는 제3기어기구(23)가 배치되어 있다. 제3기어기구(23)는 3개의 기어로 구성되어 있고, 스풀(14)과 레벨와인드기구(16)를 연동시킨다(도 2 참조).
제1커버(6)의 스풀(14)과 반대측 측면은 평평하게 되어 있어, 후술하는 발전기(50)의 제2핸들(4)과 반대측의 평평한 측면과 접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제1커버(6)의 스풀(14)과 반대측의 측면에는, 도 3에 도시된 입력전원접속용단자(90a)와, 결합용 구멍(미도시)이 설치되어 있다.
발전기(50)는 크게 발전기 본체(51)와 제2핸들(4)과 발전장치(24)로 구성되어 있다. 발전기 본체(51)에는 도 3에 도시된 전력출력용단자(52)와, 결합용 돌기(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제2핸들(4)은 발전기 본체(51)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발전장치(24)는 케이스(76)가 발전기 본체(51)에 고정되고, 케이스(76)에 고정된 베어링에 지지되는 축(75)(도 2 참조)이 기어기구(도 2 참조)에 의해 제2핸들(4)과 연동하고 있다. 고정자(78)에 수용되어 있는 고정자코일은, 전력출력용단자(52)에 연결되어 있다. 발전기(50)는 발전기 본체(51)의 돌기와 제1커버(6)의 구멍을 결합시키는 것으로, 릴 본체(1)와 일체가 될 수 있다. 즉 발전기(50)는 도 3에 도시된 한쌍의 베어링을 갖는 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것이다. 또한 발전기(50)와 릴 본체(1)가 일체가 되었을 때에 입력전원접속용 단자(90a)와 전력출력용 단자(52)가 결합되고, 발전장치(24)의 고정자코일과 한쌍의 베어링을 갖는 릴의 충전지(91)가 접속된다.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이다.
한쌍의 베어링을 갖는 릴의 동작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예의 한쌍의 베어링을 갖는 릴은 발전이 필요할 때에는 발전기(50)가 장착된다. 그 상태에서 제2핸들(4)을 돌리면 발전장치(24)가 작동하여 발전된 전력이 전력출력용 단자(52) 및 입력전원접속용 단자(90a)를 통해 카운터 케이스(12) 내의 정류기(90)로 보내진다. 그리고 직류전류로 변환된 후 충전지(91)에 충전된다. 이 충전된 전력에 의해 제어표시장치(92)가 작동하고, 각종 센서의 검지결과로부터 읽어들여진 정보 등이 액정 디스플레이(93)에 표시된다.
발전이 필요없을 때, 즉 충전지(91)의 충전량이 충분할 때에는 발전기(50)를 한쌍의 베어링을 갖는 릴에서 떼어낼 수 있다. 이로써 발전기(50)의 중량만큼 낚시꾼이 지지해야 할 중량이 줄어 낚싯대 다루기가 쉬워진다.
또한 발전기(50)의 착탈에 필요한 수고를 덜기 위해, 발전기(50)의 전력출력용 단자(52)와 한쌍의 베어링을 갖는 릴의 입력전원접속용 단자(90a)를 접속코드로 연결할 수도 있다. 이 때에는 낚시꾼은 옆에 한쌍의 베어링을 갖는 릴을 지지하면서 발밑이나 의자 위에 발전기(50)를 두고 낚시를 하다가 필요한 때에 옆에 두었던 발전기(50)를 가지고 와 발전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력출력용 단자(52)와 한쌍의 베어링을 갖는 릴의 입력전원접속용 단자(90a)와의 접속 또는 이들과 접속코드와의 접속은 비접촉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금속제 단자를 접속시키는 것이 아니고 전자유도를 이용하여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비접촉으로 함으로써 접속부분에 바닷물 등이 묻어 발전기(50)로부터 한쌍의 베어링을 갖는 릴에 전력을 보낼 수 없게 되거나 전기적 단락이 발생하는 등의 불량이 억제된다.
<실시예 3>
이하 본 실시예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하겠는데, 실시예 1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에는 실시예 1과 공통의 부호(번호)를 붙인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한쌍의 베어링을 갖는 릴의 횡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한쌍의 베어링을 갖는 릴은, 릴 본체(1)와, 제1핸들축(30)에 장착된 스풀회전용의 제1핸들(2)과, 제1핸들(2)과 반대측의 릴 본체(1)의 옆쪽에 배치된 제2핸들축(60a)에 장착된 발전용의 제2핸들(태엽감기 부재)(4)과 카운터 케이스(12)를 구비하고 있다(도 1 참조). 제2핸들축(60a)은 제2핸들축(60a)에 고정되어 있는 래칫 휠(61)에 의해 릴 본체(1)에 대해 후술하는 태엽(86)을 감는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5)와 제1커버(6)과의 사이에는, 스풀(14)과 레벨 와인드기구(16)를 연동시키는 제3기어기구(23), 발전용 기어기구(80), 발전용 클러치기구(87) 및 발전장치(24)가 배치되어 있다.
발전용 기어기구(80)는 제2핸들(4)에 의해 회전하는 제2핸들축(60a)의 회전을 태엽(86)에 전달하고, 또한 태엽(86)의 회전을 발전장치(24)의 축(75)에 전달하는 기어기구이다. 이 발전용 기어기구(80)는 제2핸들축(60a)에 연동할 수 있는 축(81)에 고정된 기어(82)와, 기어(82)와 맞물리는 기어(84)와, 발전장치(24)의 축 (75)에 고정되어 기어(84)에 맞물리는 기어(85)를 갖고 있다. 기어(82)가 고정되는 축(81)은, 발전용 클러치레버(41)의 조작에 의해 작동하는 발전용 클러치기구(87)에 의해서, 제2핸들축(60a)와 결합 또는 이탈되는 것이다. 기어(84)는 제1커버(6)에 고정된 베어링에 지지되어 있는 축(83)에 고정되어 있다. 축(83)에는, 기어(84)와 제1커버(6) 사이에 배치되는 태엽(86)의 내주단이 고정된다.
발전장치 (24)는, 태엽 (86)과, 태엽 (86)에 의해서 회전되는 축(75)과, 케이스(76)와, 회전자(77)와, 고정자(78)를 갖고 있다. 축(75)은 케이스(76)에 고정된 베어링에 지지되어 일단이 전술한 기어(85)에 고정되고 태엽(86)과 연동하여 회전한다. 케이스(76)는 제1커버(6)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76)에는 태엽(86)의 외주단이 고정된다. 회전자(77)는 축(75)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자(78)는 회전자(77)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케이스(76)에 고정되어 있으며 고정자코일을 수용하고 있다. 이 고정자코일은 카운터 케이스(12) 내의 정류기(90)에 연결되어 있다.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한쌍의 베어링을 갖는 릴의 동작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본 실시예의 한쌍의 베어링을 갖는 릴은, 낚시줄의 감기 동작이나 풀기 동작은 발전을 위한 동작과는 별개의 것이며, 제1핸들(2)이나 스풀(14)의 회전을 이용하지 않고 발전을 행할 수 있다.
발전을 할 때에는, 우선 발전용 클러치기구(87)를 결합상태로 하여 제2핸들(4)을 돌린다. 제2핸들(4)의 회전력은, 제2핸들축(60a)에서 발전용 기어기구(80)를 통해, 태엽(86)을 감아 간다. 이로써 태엽(86)에 탄성에너지가 비축된다. 또 래칫휠(61)이 작동하기 때문에, 제2핸들축(60a)은 태엽(86)을 감는 방향으로만 회전한다. 태엽(86)이 감겨 제2핸들(4)이 돌지 않은 상태로 되면, 다음에 발전용 클러치레버(41)를 조작하여 발전용 클러치기구(87)를 이탈상태로 한다. 그러면, 감겨있던 태엽(86)이 원래의 상태에 되돌아가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 회전은 기어(84),(85)를 통해 발전장치(24)의 축(75)으로 전해진다. 이로써 고정자코일에 전력이 발생하고, 발전된 전력은 카운터 케이스(12)내의 정류기(90)에 보내져 직류전류로 변환된 후 충전지(91)에 충전된다. 이 충전된 전력에 의해 제어표시장치(92)가 작동하여, 각종 센서의 검지결과로부터 읽어들여진 정보 등이 액정 디스플레이(93)에 표시된다.
여기서는 스풀 (14)나 제1핸들 (2)와는 별개로 마련된 제2핸들 (4)에 의해 발전장치 (24)를 작동시키고 있다. 즉 제2핸들 (4)는 발전장치 (24)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용 부재이다. 따라서 스풀 (14)의 회전 등을 이용하여 발전시킬 수는 없지만, 반면 발전장치 (24)의 존재에 의해서는 낚시줄 감기 효율의 저하나 드래그특성의 악화는 생기지 않는다.
또한 태엽(86)은 어느 정도의 탄성변형에너지를 비축할 수 있기 때문에 예컨대 낚시중에 시간이 있을 때에 태엽(86)을 감아 놓으면 충전지(91)의 축전량이 부족할 때 발전용 클러치레버(41)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태엽(86)에 축적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바로 발전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전기를 채용한 수동 감기식 한쌍의 베어링을 갖는 릴의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한쌍의 베어링을 갖는 릴은 릴 본체(101)와, 릴 본체(101)의 옆쪽에 배치된 스풀회전용 핸들(102)과, 핸들(102)의 릴 본체(101) 측에 배치된 드래그조정용의 스타드래그(103)와, 카운터 케이스(112)를 구비하고 있다.
카운터 케이스(112) 내에는 정류기(190)와 충전지(191)와 제어표시장치(192)와, 각종 센서가 수용되어 있음과 동시에, 액정 디스플레이(193)와 복수의 조작스위치(194)가 표면에 노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 본체(101)는 프레임(105)과, 프레임(105)의 양측쪽에 장착된 제1커버(106) 및 제2커버(107)를 갖고 있다. 프레임(105)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1쌍의 측판(108),(109)과, 이들 측판(108),(109)을 연결하는 앞연결부(110) 및 뒤연결부(111)를 갖고 있다.
프레임(105) 내에는 스풀(114)과, 스풀(114)에 균일하게 줄을 감기 위한 레벨 와인드 기구(미도시)가 배치되어 있다. 프레임(105)과 제2커버(107) 사이에는, 기어기구(118), 제1클러치(119), 제1클러치 착탈기구(120), 제2클러치(121), 제2클러치 착탈기구(122), 드래그기구(123) 및 발전기(160)가 배치되어 있다. 기어기구(118)는 핸들(102)로부터의 회전력을 스풀(114) 및 발전기(160)에 전한다. 제1클러치 착탈기구(120)는 제1클러치(119)의 착탈에 의해 기어기구(118)와 스풀(114)과의 결합상태 및 이탈상태를 제1클러치레버(141)의 조작에 따라 절환시킨다. 제2클러치 착탈기구(122)는 제2클러치(121)의 착탈에 의해 기어기구(118)와 발전기(160)의 회전틀(166)의 결합상태 및 이탈상태를 제2클러치레버(142)의 조작에 따라 절환시킨다.
스풀(114)은 그 중심을 관통하는 스풀축(115)에 고정되어 있다. 스풀축(115)는 베어링에 의해 프레임(105)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기어기구(118)는 드래그기구(123)에 의해 핸들축(130)과 연동하는 메인기어(131)와, 메인기어(131)에 맞물리는 제1피니언(132) 및 제2피니언(133)(도 7 참조)을 갖고 있다. 제1피니언(132)은 제1클러치 착탈기구(120)에 의해 스풀축(115)와 결합 또는 이탈이 가능하다. 제2피니언(133)은 제2클러치 착탈기구(122)에 의해 발전기(160)의 회전틀(66)과 연동회전하는 제3피니언(134)와 결합 또는 이탈이 가능하다(도 7 참조). 제3피니언(134)은 축(154)에 고정되어 있고 축(154)을 통해 측판(109)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발전기(16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판(109)에 고정되어 있는 중공의 고정축(161)과, 고정축(161)에 고정되는 2개의 베어링(163)과, 고정축(161)을 관통하여 베어링(163)에 의해 지지되는 회전축(162)과, 회전축(162)에 고정되는 회전틀(166)을 갖고 있다.
고정축(161)에는 도 8에 도시된 9개의 전기자 폴(n1∼n9)이 형성되어 있는 전기자코어(164)가 고정되어 있다. 각 전기자 폴(n1∼n9)에는 코일이 감겨지고, 감긴 것이 전기자 코일(165)(도 7 참조)이 된다. 이 전기자 코일(165)은 카운터 케이스(112) 내의 정류기(190)에 접속되어 있다. 도 9에 코일이 도시되어 있다. A상의 코일 및 접속선은 실선으로, B상의 코일 및 접속선은 점선으로, C상의 코일 및 접속선은 1점쇄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3코일이 하나의 상을 형성하며, 합계가 9극이 된다.
회전틀(166)의 외주면에는 기어(168)가 고정되어 있고, 기어(168)는 제3피니언(134)와 맞물려 있다. 또한 회전틀(166)에 계자를 형성하기 위해 회전틀(166)에는 복수의 영구자석(167)이 장착되어 있다.
영구자석(167)은 전기자코어(164)의 전기자 폴(n1∼n9)의 외주측에 위치하여 전기자 폴(n1∼n9)에 근접되어 있다. 이 영구자석(167)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N극과 S극이 교대로 배치되고 또한 회전축에 대해 경사지게 착자되어 있다. 또한 이 영구자석(167)의 착자수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8극이다.
다음에 이 한쌍의 베어링을 갖는 릴의 동작을 설명한다.
낚시줄을 감을 때에는 핸들(102)을 줄 감는 방향으로 돌린다. 핸들(102)의 회전은 핸들축(130)으로 전달되어, 드래그기구(123)를 통해 핸들축(130)에 연동하는 메인기어(131) 및 메인기어(131)에 연동하는 제1,제2피니언(132),(133)이 회전한다.
제1피니언(132)의 회전은 제1클러치(119)에 의해 제1피니언(132)과 결합되어 있는 스풀축(115)에 전달되고, 이로써 스풀(114)이 회전하여 낚시줄을 감는다. 이 스풀(114)의 회전은 프레임(105)과 제1커버(106) 사이의 기어기구를 통해 레벨 와인드기구로 전해지고, 이 레벨 와인드기구의 동작에 의해 스풀(114)에 균일하게 낚시줄이 감긴다.
제2피니언(133)의 회전은 제2클러치(121)를 통해 제3피니언(134)으로 전해지고 제3피니언(134)과 연동하는 회전틀(166)이 회전한다. 이로써 회전틀(166)에 형성되어 있는 영구자석(167)에 의한 계자가 전기자코어(164)에 대하여 회전하고, 전기자 코일(165)에 전력이 발생한다. 발전된 전력은 카운터 케이스(112) 내의 정류기(190)에 보내어 정류된 후 충전지(191)에 충전된다. 이 충전된 전력에 의해 제어표시장치(192)가 작동하여 각종 센서의 검지결과로부터 읽어들여진 정보 및 연산된 정보가 액정 디스플레이(193)에 표시된다.
발전기(160)의 발전에 있어서는 영구자석(167)의 착자수가 8극이고 동시에 2개 이상의 영구자석(167)의 극이 전기자 폴(n1∼n9) 중 어느 하나와 대향하는 것이 없기 때문에, 발전을 위해 회전틀(166)을 회전시키는 회전력의 맥동(변동)이 작아져 있다. 또한 영구자석(167)의 극은 계자의 회전축 O-O에 대하여 경사져 있기 때문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회전방향 전후의 소정 각도의 범위내에서는 전기자 폴(n1∼n9)과 영구자석(167)의 극 사이의 흡인력의 변화가 작다. 즉 대향하는 위치부터 회전방향 전후의 소정 각도의 범위내에서는 영구자석(167)의 N극과 전기자 폴(n1∼n9)의 흡인력과 S극과 전기자 폴(n1∼n9)과의 반발력이 상쇄되기 때문에 회전틀(166)을 회전시키는 회전력의 맥동이 작아져 있다. 이로 인해 종래의 발전기에 비해 발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의 맥동이 작아져 있기 때문에 핸들(102)의 회전감이 좋다.
또한 제2클러치(121)가 결합상태이면 줄 감을 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발전이 행해진다. 그러나 일시적으로 핸들(102)을 돌리는 힘을 줄이고 싶거나, 혹은 충전이 충분히 되어 있어서 충전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제2착탈기구(122)에 의해 제2클러치(121)를 이탈상태로 하여 메인기어(131)에 연동하는 제2피니언(133)과, 회전틀(166)과 연동하는 제3피니언(134)과의 연동을 해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클러치레버(142)를 조작하여 제2피니언(133)이 고정되어 있는 축(153)을 도 7의 오른쪽으로 이동시켜 도 7에 있어서의 축(153)의 좌단의 축(154)와의 결합부분을 제3피니언(134)이 고정되어 있는 축(154)에서 떼어놓는다. 이로써 핸들축(130)이 회전하더라도 그 회전은 회전틀(166)에는 전해지지 않고, 핸들(102)을 돌리는 힘에 발전기(160)에 의한 제동이 걸리지 않게 된다.
한편 낚시줄을 풀 때에는 클러치레버(140)를 조작하여 제1클러치 착탈기구(120)에 의해 제1클러치(119)를 이탈상태로 한다. 이에 따라 스풀축(115)과 제1피니언(132)과의 결합이 해제되어, 낚시줄 풀기에 의해 스풀(114)이 회전해도 기어기구(118)에는 그 회전이 전달되지 않는다. 즉 제2클러치(121) 및 제3피니언(134)을 통해 기어기구(118)와 연동하는 회전틀(166)도 회전하지 않게 되어, 발전기(160)에 의한 발전은 행해지지 않는다. 이와 같이 줄을 풀 때에는 발전하지 않기 때문에 스풀(114)의 회전에 발전기(160)에 의한 제동이 걸리지 않고 낚싯배에서 낚시바늘을 투하할 때의 투하속도나 낚시바늘을 던져넣을 때의 낚시바늘의 도달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릴은, 드래그기구(123)가 작동하여 물고기의 힘에 의해 낚시줄이 풀어질 때에도 발전된다. 즉 물고기를 낚아올리려 할 때에는 제1클러치(119)가 결합상태가 되기 때문에 스풀(114), 메인기어(131), 회전틀(166)은 연동하고 있으며, 메인기어(131)와 핸들축(130)은 드래그기구(123)에 의한 소정의 마찰력으로 연동하고 있다. 여기서 물고기가 도망치려고 낚시줄을 잡아당기면 메인기어 (131)과 핸들축 (130)과의 마찰부분이 미끄러져 핸들(102)을 회전하지 않도록 유지하고 있어도 메인기어(131), 스풀(114), 회전틀(166) 등이 줄 풀기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문에 물고기를 낚아 올릴 때의 드래그시에 발전이 행해진다. 이 때에도 발전기(160)의 회전틀(166)을 회전시키는 회전력의 변동이 작기 때문에, 드래그시의 낚시줄이 출렁이는 현상이 억제된다.
<다른 실시예>
상기 실시예 4에서는 제2피니언(133)을 메인기어(131)에 연동시키고 있지만, 핸들축(130)에 고정되어 있는 기어,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기어(180)에 연동시켜도 좋다.
여기서는 드래그기구(123)를 조작하여 핸들축(130)과 메인기어(131)와의 연동을 해제해도 핸들축(130)과 연동하는 기어(180)로부터 핸들(102)의 회전이 회전틀(166)에 전해져 발전을 행할 수 있다. 즉, 충전지(191)의 전기용량이 부족한 경우, 낚시를 시작하기 전이나 낚시 도중에라도 발전할 수 있다.
핸들(102)을 줄감기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는, 통상 제1클러치(119)가 자동적으로 결합상태가 되고 스풀(114)과 기어기구(118)의 메인기어(131)는 연동한다. 이 때문에 상기 실시예 4와 같이 제2피니언(133)을 메인기어(131)에 연동시키고 있는 경우, 발전하고 있는 때에는 항상 스풀(114)이 회전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래서는 낚시줄에 낚시바늘을 장착한 상태 등의 경우에 부적합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해 여기서는 드래그기구(123)에 의해 메인기어(131)과의 연동이 해제될 수 있는 핸들축(130)에 제2피니언(133)을 연동시키기 위해 드래그기구(123)의 조작에 의해 핸들축(130)과 메인기어(131)와의 연동을 해제하면 발전기(160)의 회전틀(166)은 스풀(114)와 연동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스풀(114)의 회전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핸들(102)을 돌려 발전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충전지(191)의 전기용량이 부족한 경우에 스풀(114)의 회전 등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고 간단하게 발전만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은 스풀이나 스풀을 회전시키는 제1핸들과는 별개로 설정된 제2핸들에 의해서 발전장치를 작동시키고 있기 때문에 발전장치의 존재에 의한 낚시줄 감기 효율의 저하나 드래그특성의 악화 등 낚시용 릴의 성능 저하가 억제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낚시용 릴의 발전기는 계자의 자극 수가 전기자의 폴 수보다 1개 적고, 또한 자극이 계자의 회전운동 축에 대하여 경사져 있기 때문에 폴와 영구자석이 대향할 때의 부분적인 흡인력 증대가 억제되고, 전기자와 계자의 흡인력 증감이 억제된다. 따라서 발전을 시키기 위해 전기자 또는 계자를 회전시킬 때에 회전이 원활하게 행해지고 발전기의 맥동이 억제되며, 낚시용 릴에 발전기를 탑재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0)

  1. 릴 본체와, 상기 릴 본체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스풀과, 상기 릴 본체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전기스풀과 연동할 수 있는 제1핸들과, 상기 릴 본체에 지지되는 발전장치와, 상기 발전장치를 작동시키는 제2핸들을 갖춘 낚시용 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장치는 상기 릴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낚시용 릴.
  3. 릴 본체와, 상기 릴 본체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스풀과, 상기 릴 본체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상기스풀과 연동할 수 있는 핸들과, 태엽을 포함하며, 상기 릴 본체에 지지되는 발전장치와, 상기 발전장치의 태엽을 감는 태엽감기 부재를 갖춘 낚시용 릴.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충전장치를 더 갖춘 낚시용 릴.
  5. 충전장치를 갖고 있는 낚시용 릴에 대하여 접속 가능한 발전기로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지지되는 발전부재와, 상기 본체에 지지되어, 상기 발전부재를 작동시킬 수 있는 조작부재를 갖춘 발전기.
  6. 복수의 폴을 갖는 전기자와, 착자방향이 상기 전기자의 회전방향 또는 역회전방향인 복수의 영구자석에 의해서 자극이 구성되고, 상기 자극의 수가 상기 전기자의 폴의 개수보다도 1개 적고, 상기 자극이 상기 회전운동축에 대하여 경사져 있으며, 상기 전기자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함에 의해 자계를 주는 계자를 갖춘 낚시용 릴의 발전기.
  7. 제 6항에 있어서, 릴 본체와, 핸들이 장착되어, 상기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핸들축과, 상기 릴 본체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스풀과, 상기 핸들축과 상기 스풀을 착탈시키는 제1 클러치기구와, 상기 핸들축 또는 상기스풀과 연동하여 발전을 행하는 청구항 6의 발전기를 갖춘 낚시용 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의 작동상태와 비작동상태를 절환시키는 절환기구를 더 갖춘 낚시용 릴.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줄을 감을 때에 상기 발전기가 작동하는 낚시용 릴.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는 상기 전기자 또는 상기 계자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체를 가지며, 상기 핸들축과 연동하고, 상기회전체와 연동할 수 있는 메인 기어와, 상기 메인 기어와 상기 회전체와의 연동을 착탈시키는 제2 클러치기구를 더 갖춘 낚시용 릴.
KR1019980007896A 1997-03-11 1998-03-10 발전장치를 갖는 낚시용 릴 및 낚시용 릴에 접속되는 발전기 KR1003527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56621 1997-03-11
JP5662197A JPH10248452A (ja) 1997-03-11 1997-03-11 釣り用リールの発電機及びそれを用いた釣り用リール
JP6502397A JPH10257841A (ja) 1997-03-18 1997-03-18 発電装置を有する釣り用リール及び釣り用リールに接続される発電機
JP9-065023 1997-03-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0084A KR19980080084A (ko) 1998-11-25
KR100352729B1 true KR100352729B1 (ko) 2002-11-18

Family

ID=26397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7896A KR100352729B1 (ko) 1997-03-11 1998-03-10 발전장치를 갖는 낚시용 릴 및 낚시용 릴에 접속되는 발전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352729B1 (ko)
TW (1) TW412401B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0084A (ko) 1998-11-25
TW412401B (en) 2000-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63311B (zh) 双轴承渔线轮的卷线筒制动装置
JPH0142467Y2 (ko)
TW495343B (en) Spinning reel rotor
KR100352729B1 (ko) 발전장치를 갖는 낚시용 릴 및 낚시용 릴에 접속되는 발전기
JP2011200124A (ja) 電動リールのカウンタケース
JP3607359B2 (ja) 時計内の機械エネルギー源と電気エネルギー発電器間の連結装置
JPS62278929A (ja) 魚釣リ−ル
JPH10257841A (ja) 発電装置を有する釣り用リール及び釣り用リールに接続される発電機
JPH10248452A (ja) 釣り用リールの発電機及びそれを用いた釣り用リール
JP3770340B2 (ja) 釣り用リールの発電装置
JP2586330Y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3759551B2 (ja) 釣り用リール
JP3067203U (ja) 歯車連設発条反動リ―ル巻取り装置
JP2008178306A (ja) 魚釣用電動リール
CN218732205U (zh) 一种头戴式vr设备的数据线收纳结构
JPH05316908A (ja) 釣り用リール
JP3545095B2 (ja) 釣り用リールの表示装置および釣り用リール
JP2573308Y2 (ja) 釣り用リール
CN113917809A (zh) 一种自动保护感光鼓的方法及其保护装置
CN220269078U (zh) 一种振动传感器的安装结构
US20240215557A1 (en) Fishing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ishing reel, fishing rod, and fish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JP3381501B2 (ja) 魚釣用リール
CN220999046U (zh) 一种双筒缆绳卷扬装置
JP4144895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CN213159139U (zh) 一种便于自动收线的磁吸式跳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