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9915B1 - 박막트랜지스터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박막트랜지스터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9915B1
KR100349915B1 KR1020000022433A KR20000022433A KR100349915B1 KR 100349915 B1 KR100349915 B1 KR 100349915B1 KR 1020000022433 A KR1020000022433 A KR 1020000022433A KR 20000022433 A KR20000022433 A KR 20000022433A KR 100349915 B1 KR100349915 B1 KR 100349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orming
thin film
resultant
film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2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7930A (ko
Inventor
소우영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22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9915B1/ko
Publication of KR20010097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7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9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99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29/7860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with supplementary region or layer in the thin film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 supporting it for controlling or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device
    • H01L29/78618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with supplementary region or layer in the thin film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 supporting it for controlling or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device characterised by the drain or the source properties, e.g. the doping structure, the composition, the sectional shape or the contact structure
    • H01L29/78621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with supplementary region or layer in the thin film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 supporting it for controlling or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device characterised by the drain or the source properties, e.g. the doping structure, the composition, the sectional shape or the contact structure with LDD structure or an extension or an offset region or characterised by the doping profi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59Multistep manufacturing methods
    • H01L27/1288Multistep manufacturing methods employing particular masking sequences or specially adapted masks, e.g. half-tone mas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742Thin film unipolar transistors
    • H01L29/6675Amorphous silicon or polysilicon transistors
    • H01L29/66757Lateral single gate single channel transistors with non-inverted structure, i.e. the channel layer is formed before the g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Abstract

목적 : 누설전류 감소 및 마스크수 절감을 위해 오프셋 구조를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를 셀프 얼라인 방식으로 얻어낼 수 있는 박막트랜지스터 제조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구성 : 본 발명의 박막트랜지스터 제조방법은, 기판 상에 활성층을 정의하는 제1 단계와; 제1 단계의 결과물 상에 게이트절연층을 적층 형성하는 제2 단계와; 제2 단계의 결과물 상에 금속층을 적층 형성하고 패터닝하여 게이트전극을 형성시키는 제3 단계와; 제3 단계의 결과물에 전기 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게이트전극 주위에 폴리머층을 형성시키는 제4 단계와; 폴리머층을 마스크로 하여 게이트절연층을 식각하는 제5 단계와; 폴리머층을 마스크로 하여 고농도 이온 도핑을 수행함으로써 활성층의 양측에 콘택영역을 정의하는 제6 단계와; 제6 단계의 결과물 상에 금속층을 적층하고 패터닝하되 콘택영역 상에 소스전극과 드레인전극을 형성시키는 제7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효과 : 셀프 얼라인된 오프셋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반도체소자의 신뢰성 및 패널 제작시 표시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소스전극 및 드레인전극 형성공정까지 3개 마스크만이 필요하므로 쑤루풋과 양품률 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조단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박막트랜지스터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thin film transistor}
본 발명은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누설전류 감소 및 마스크수 절감을 위해 오프셋 구조를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를 셀프 얼라인방식으로 얻어낼 수 있는 박막트랜지스터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박막트랜지스터는 표시특성의 우수성 때문에 액티브 매트릭스 액정표시장치(Active Matrix 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평판 표시소자 등에서 픽셀의 온/오프 스위칭소자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 때, 여기에 적용되는 박막트랜지스터는 내전압성과 온/오프 전류비가 높아야 하는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박막트랜지스터의 종류는 비정질실리콘 트랜지스터와 다결정실리콘 트랜지스터가 알려져 있으며, 비정질실리콘에 비해 다결정실리콘이 전자이동도 등을 비롯한 여러면에서 성능과 신뢰도가 우수하여 더 좋은 평가를 받고 있지만, 고온 분위기에서 박막을 형성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서 일반적으로는 비정질실리콘 박막트랜지스터가 실용화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엑시머레이저 장비 등을 활용하여 저온의 분위기에서 다결정실리콘막을 형성할 수 있는 기술적 진보가 이루어짐에 따라 다결정실리콘 박막트랜지스터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다결정실리콘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에는 기본적으로 비정질실리콘을 성막하고 여기에 엑시머레이저를 조사하여 비정질실리콘을 다결정실리콘으로 막성장시키는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이렇게 얻어지는 다결정실리콘 박막트랜지스터의 전류 특성은 단결정 실리콘 소자에 비견할 정도에 이르고 있다. 그렇지만 다결정실리콘은 많은 부분에서 특유의 트랩 준위를 가지고 있으므로 오프 상태에서 누설전류가 다량 발생하며 비정질실리콘 박막트랜지스터에 비해 공정수가 많아지는 단점을 보인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소스전극과 드레인전극 사이로 도핑되지 않은 영역,즉 오프셋(off set) 영역을 형성시켜 누설전류를 차단하려는 시도가 행해지고 있고, 더 나아가 오프셋 영역에 LDD(lightly doped drain) 영역을 추가하여 안정화시키는 방법 등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면, 여기서 종래의 박막트랜지스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도 2는 종래의 박막트랜지스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기판(2) 상에 산화막(SiO2)을 증착시켜 버퍼층(4)을 형성한다. 상기 버퍼층(4)은, 후속되는 공정에서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법으로 비정질실리콘층을 증착하고 이를 재결정화하여 다결정실리콘의 활성층(6)을 형성하는 경우, 기판에 함유된 불순물에 의해 결정화된 다결정실리콘이 오염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버퍼층(4) 상에 비정질실리콘층을 증착한 후, 소정 영역에 활성층(6)이 형성될 수 있도록 패터닝한다. 이후, 상기 결과물 상에 게이트절연막(8), 금속층 및 포토레지스트층을 연속적으로 순차 적층 형성하고, 상기 포토레지스트층을 패터닝하고 상기 금속층에 대해 식각 공정을 진행하여 게이트전극(10)을 형성한다.
이 게이트전극(10)이 형성된 다음에, 게이트전극(10) 형성에 사용된 포토레지스트층을 제거하고 새로운 포토레지스트층을 도포하되, 상기 게이트전극(10)보다 약간 큰 폭으로 도포되도록 패터닝한다. 상기 게이트전극(10)보다 크게 패터닝된포토레지스트층을 마스크로 하여 고농도 이온 도핑을 수행하면 상기 활성층(6)의 양단부에 소스 및 드레인 콘택영역(12)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콘택영역(12) 사이에 오프셋 영역이 형성된다.
이후, 상기 새로운 포토레지스트층을 제거하고 오프셋 영역에 게이트전극(10)을 마스크로 삼아 저농도 이온 도핑을 수행하면 LDD 영역(14)이 형성된다. 여기에, 상기 게이트전극(10)의 상면에 층간절연막(16)을 적층하고, 상기 층간절연막(16)에 콘택영역(12)에 이르는 콘택홀을 형성시킨다. 이 결과물에 금속층을 증착하고 패터닝하여 소스전극(18)과 드레인전극(19)을 형성시킨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소스전극(18)과 드레인전극(19)의 상면에 패시베이션층(Passivation layer)을 형성하고 필요 개소에 비아홀을 형성시킨 후 ITO 등의 화소전극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박막 트랜지스터 제조 공정에서 포토 리소그라피 공정은 CMOS공정을 적용할 경우 적어도 9회 실시되기 때문에 공정 수의 증가에 따른 생산성의 저하 문제와 제품 불량률의 증가 문제를 피할 수 없었다. 주지된 바와 같이 하나의 포토 리소그라피 공정은 포토레지스트 도포, 마스크 노광, 현상, 및 에칭의 여러 단계로 진행되기 때문에 공정 수의 증가는 심각한 생산성의 저하 및 품질 불량률의 증가를 초래한다.
특히 도핑을 위한 포토 마스크 공정은 기판 패턴, 게이트 패턴, n+ 이온주입, n- 이온주입, p+ 이온주입의 5회로 실시되어야 하기 때문에 공정 수를 줄이는데 큰 장애로 작용하고 있다.
게다가, 소스전극 및 드레인전극을 형성시키는 단계까지 4장의 마스크가 필요하게 되고, 일반적인 구조에서 발생하는 도핑농도의 급격한 변화에 의한 누설전류를 줄이기 위해 추가적인 오프셋구조를 채택하여 마스크 공정을 진행하게 되면 마스크가 더 필요하게 되어 반도체소자의 수율이 감소하고 제품생산에 장시간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특성의 향상, 마스크수 절감, 및 누설전류 감소 등을 이루기 위해 게이트전극에 폴리머를 전착시켜 셀프 얼라인된 오프셋구조를 갖는 박막트랜지스터를 제조함으로써 반도체소자의 신뢰성 확보 및 제조비를 절감할 수 있는 박막트랜지스터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박막트랜지스터 제조방법은, 기판 상에 버퍼층을 증착 형성하고, 상기 버퍼층 상에 비정질실리콘층을 적층 형성한 후 패터닝하여 활성층을 정의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의 결과물 상에 게이트절연층을 적층 형성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의 결과물 상에 금속층을 적층 형성하고 패터닝하여 게이트전극을 형성시키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의 결과물에 전기 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게이트전극 주위에 폴리머층을 형성시키는 제4 단계와; 상기 폴리머층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게이트절연층을 식각하는 제5 단계와; 상기 폴리머층을 마스크로 하여 고농도 이온 도핑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활성층의 양측에 콘택영역을 정의하는 제6 단계와; 상기 제6 단계의 결과물 상에 금속층을적층하고 패터닝하되 상기 콘택영역 상에 소스전극과 드레인전극을 형성시키는 제7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제5 단계를 상기 제6 단계 이후에 진행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제4 단계에서 수행되는 전기 화학적 방법은 모노머가 함유된 전해액에 의해 폴리머층을 형성시키는 전기 화학적 중합반응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상기 폴리머층은 비닐 모노머, 아크릴 모노머, 아릴 모노머 중의 어느 하나로부터 중합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7 단계의 결과물에서 상기 폴리머층을 제거한 후 드러난 게이트전극과 소스전극 및 드레인전극을 마스크로 하여 저농도 이온 도핑을 수행함으로써 LDD 영역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진행하는 것도 더 더욱 바람직하다.
도 1a 내지 도 1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트랜지스터 제조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박막트랜지스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기판 22 : 버퍼층
24 : 활성층 26 : 게이트절연층
28 : 게이트전극 30 : 폴리머층
32 : 콘택영역 34 : 소스전극
36 : 드레인전극 38 : LDD 영역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트랜지스터 제조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먼저 기판(20) 상에 버퍼층(22)을 적층 형성시킨다. 이 버퍼층(22) 상에 비정질실리콘층을 적층 형성시킨 후, 패터닝하여 활성층(24)을 정의한다. 이 활성층(24)은 비정질실리콘을 막성장시키고 소정 패턴으로 에칭한 다음 엑시머레이저 등을 조사하여 다결정실리콘으로 성장시키거나 그 반대의 순서로 만들어진다.
이후,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성층(24)을 포함하는 상면에 게이트절연층(26)을 적층 형성한다. 이 게이트절연층(26)은 통상적으로 SiO2등의 절연재를 테트라에틸오르소실리케이트법, 화학기상 증착법, 스퍼터링법 등으로 100nm 정도의 두께를 갖도록 적층 형성된다.
이어서,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절연층(26) 상으로 금속층을 적층 형성하고 패터닝하여 게이트전극(28)을 형성시킨다. 이 게이트전극(28)은 Ta, Al, Nb, Cr와 같은 금속재, 혹은 n형이나 p형 불순물이 주입된 실리콘, 또는 ITO 등의 도전재로 형성시키며, 그 두께는 300nm 미만으로 증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한 결과물, 즉 게이트전극(28)에 전기 화학적 중합반응을 이용하여 폴리머층(30)을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용매에 녹여진 모노머를 함유하는 전해액에 게이트전극(28)을 침지시키고, 별도로 마련된 플레이트전극과 게이트전극에 전기를 인가하여 중합반응에 의해 폴리머층을 형성시킨다.
상기 중합반응을 일으키는데 사용되는 플레이트전극으로는 Cr, Ni, Ag, Au, Zn, Sn, Cu, Fe, Al, Pt, V 등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성분으로 합금된 것이 사용될 수 있고, 용매로는 CH2Cl2, THF, MeCN, DMF, DMSO, 아세톤, 물 등에서 선택적으로 1종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전해액은 Bu4NPF6, Bu4NClO4,HCl, H2SO4, HN03, HClO4등에서 선택된 1종을 사용한다.
한편, 사용 가능한 모노머는 비닐 모노머와 아크릴 모노머, 아릴 모노머가 있으며, 아크릴 모노머의 경우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MA), 아크릴 아마이드, 아크릴산 등에서, 또한 비닐 모노머는 아크릴로니트릴, 스틸렌, 아릴 모노머로는 아릴 벤젠 등이 사용 가능하다. 또한, 이 외의 전도성 폴리머로서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전극 코팅(전착)은 개환 중합을 통해서도 가능하다. 개환 중합은 몰텐 카프로락탐, 스틸렌 설파이드 등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도 1e를 참조하면, 상기 폴리머층(30)을 식각마스크로 하여 상기 게이트절연층(26)을 식각한다. 이 게이트절연층(26)의 식각에 따라 활성층(24)의 양측소정 부위가 드러나게 된다. 상기 게이트절연층(26) 식각공정은 이후에 진행되는 콘택영역(32) 형성 이후에 진행할 수도 있다.
이 드러난 활성층(24)에 상기 폴리머층(30)을 마스크로 하여 고농도 이온 도핑을 수행하면, 상기 폴리머층에 의해 실드된 부분을 제외한 상기 활성층(24)의 양측으로 고농도 이온 도핑된 예를 들어 n+ 실리콘층인 콘택영역(32)이 형성된다.
이후, 이 콘택영역(32)에 금속층을 적층하고 패터닝하여 소스전극(34)과 드레인전극(36)을 상기 콘택영역(32) 상에 직접 형성시킨다. 즉, 소스전극(34)과 드레인전극(36)이 직접 콘택영역(32) 상에 접합됨으로써, 종래의 소스전극과 드레인전극을 접합시키기 위한 콘택홀 형성 과정에 필요한 마스크 공정이 줄어듬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폴리머층(30)을 제거한 후 드러난 게이트전극(28)과 소스전극(34) 및 드레인전극(36)을 마스크로 하여 예를 들어 n- 이온을 저농도로 도핑시켜 LDD 영역(38)을 정의한다. 이 때, 상기 LDD 영역(38)을 단지 오프셋 영역으로 존치시키고자 할 때에는 도 1g의 저농도 이온 도핑 과정을 생략하면 된다.
여기에, 소스전극(34)과 드레인전극(36)의 상면에 패시베이션층(Passivation layer, 미도시)을 형성하고 필요 개소에 비아홀을 정의한 후 ITO 등의 화소전극(미도시)을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박막트랜지스터 제조방법은, 셀프 얼라인된 오프셋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반도체소자의 신뢰성 및 패널 제작시 표시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소스전극 및 드레인전극 형성공정까지 3개 마스크만이 필요하므로 쑤루풋과 양품률 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조단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Claims (5)

  1. 기판 상에 버퍼층을 증착 형성하고, 상기 버퍼층 상에 실리콘층을 적층 형성한 후 패터닝하여 활성층을 정의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의 결과물 상에 게이트절연층을 적층 형성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의 결과물 상에 금속층을 적층 형성하고 패터닝하여 게이트전극을 형성시키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의 결과물에 전기 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게이트전극 주위에 폴리머층을 형성시키는 제4 단계와;
    상기 폴리머층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게이트절연층을 식각하는 제5 단계와;
    상기 폴리머층을 마스크로 하여 고농도 이온 도핑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활성층의 양측에 콘택영역을 정의하는 제6 단계와;
    상기 제6 단계의 결과물 상에 금속층을 적층하고 패터닝하되 상기 콘택영역 상에 소스전극과 드레인전극을 형성시키는 제7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트랜지스터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를 상기 제6 단계 이후에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트랜지스터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에서 수행되는 전기 화학적 방법은 모노머가 함유된 전해액에 의해 폴리머층을 형성시키는 전기 화학적 중합반응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트랜지스터 제조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층은 비닐 모노머, 아크릴 모노머, 아릴 모노머 중의 어느 하나로부터 중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트랜지스터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7 단계의 결과물에서 상기 폴리머층을 제거한 후 드러난 게이트전극과 소스전극 및 드레인전극을 마스크로 하여 저농도 이온 도핑을 수행함으로써 LDD 영역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트랜지스터 제조방법.
KR1020000022433A 2000-04-27 2000-04-27 박막트랜지스터 제조방법 KR100349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2433A KR100349915B1 (ko) 2000-04-27 2000-04-27 박막트랜지스터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2433A KR100349915B1 (ko) 2000-04-27 2000-04-27 박막트랜지스터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7930A KR20010097930A (ko) 2001-11-08
KR100349915B1 true KR100349915B1 (ko) 2002-08-23

Family

ID=19667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2433A KR100349915B1 (ko) 2000-04-27 2000-04-27 박막트랜지스터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99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99882B2 (en) 2010-01-08 2013-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Oxide semiconductor transistor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775B1 (ko) * 2001-12-22 2007-09-07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다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6249A (ja) * 1988-12-19 1991-06-11 France Etat 金属酸化物コーティングのエッチング及び重合体フィルムの同時析出方法、この方法のトランジスターの製造への応用
US5347144A (en) * 1990-07-04 1994-09-13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Cnrs) Thin-laye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MIS structure whose insulator and semiconductor are made of organic materials
JPH1065181A (ja) * 1997-04-04 1998-03-06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作製方法
JP2000101095A (ja) * 1999-10-06 2000-04-07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半導体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6249A (ja) * 1988-12-19 1991-06-11 France Etat 金属酸化物コーティングのエッチング及び重合体フィルムの同時析出方法、この方法のトランジスターの製造への応用
US5347144A (en) * 1990-07-04 1994-09-13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Cnrs) Thin-laye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MIS structure whose insulator and semiconductor are made of organic materials
JPH1065181A (ja) * 1997-04-04 1998-03-06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作製方法
JP2000101095A (ja) * 1999-10-06 2000-04-07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半導体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99882B2 (en) 2010-01-08 2013-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Oxide semiconductor transistor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890141B2 (en) 2010-01-08 2014-1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Oxide semiconductor transistor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7930A (ko) 200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8470B2 (en) Methods of fabricating metal oxide or metal oxynitride TFTs using wet process for source-drain metal etch
US6329672B1 (en) Thin film transistor having a second gate metal layer preventing formation of hillocks
JP2019537282A (ja) アレイ基板とそ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
CN100339964C (zh) 具有轻掺杂漏极的金属氧化物半导体的制作方法
US20240090267A1 (en) Method for fabricating displaying backplane, displaying backplane and displaying device
KR100307457B1 (ko)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KR100307459B1 (ko) 박막트랜지스터 제조방법
JP4072311B2 (ja) 薄膜トランジスターの製造方法
KR100349915B1 (ko) 박막트랜지스터 제조방법
US6677189B2 (en) Method for forming polysilicon thin film transistor with a self-aligned LDD structure
US9472649B1 (en) Fabrication method for multi-zoned and short channel thin film transistors
KR100544115B1 (ko) 박막트랜지스터 제조방법
KR100753635B1 (ko) 금속유도측면결정화를 이용한 ldd 구조를 갖는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20020037417A (ko) 수직형 박막 트랜지스터의 액정표시소자 제조방법
CN111048593A (zh) 一种薄膜晶体管及其制造方法
KR100867921B1 (ko)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100349913B1 (ko) 다결정실리콘 박막트랜지스터 제조방법
CN109638034A (zh) 显示面板的制造方法
KR20020076934A (ko) 박막트랜지스터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H11220134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635069B1 (ko)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JP2001308337A (ja) 低温ポリシリコンtftの製造方法
KR20010056035A (ko)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JPH02297969A (ja) 薄膜トランジスタとその製造方法
KR19990081221A (ko) 단순공정에의한비정질실리콘박막트랜지스터와액정표시소자(lcd)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