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8744B1 - 벽부재상의링리테이너내에장착되는튜브형본체의조립과해체에적합한푸시풀장치 - Google Patents

벽부재상의링리테이너내에장착되는튜브형본체의조립과해체에적합한푸시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8744B1
KR100348744B1 KR1019980022697A KR19980022697A KR100348744B1 KR 100348744 B1 KR100348744 B1 KR 100348744B1 KR 1019980022697 A KR1019980022697 A KR 1019980022697A KR 19980022697 A KR19980022697 A KR 19980022697A KR 100348744 B1 KR100348744 B1 KR 100348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mpact
coupling unit
base
mai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2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2117A (ko
Inventor
유롱 린
쿠오탕 린
Original Assignee
차이나 스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이나 스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차이나 스틸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19980022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8744B1/ko
Publication of KR20000002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8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87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6Tuyéres
    • C21B7/166Tuyere replacement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6Making or repairing linings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linings or breaking away li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6Making or repairing linings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linings or breaking away linings
    • F27D1/1694Breaking away the lining or removing part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5Tapping equipment; Equipment for removing or retaining slag
    • F27D3/1509Tapping equipment
    • F27D3/1527Taphole forming equipment, e.g. boring machines, piercing to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6/00Metallurgical apparatus
    • Y10S266/01Repair or restoration of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uffle Furnaces And Rotary Kilns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Abstract

푸시풀 장치(2)는 기계 기부(22)와, 그 기계 기부(21)의 상면에 배설되고 기계 기부(21)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세로이동이 가능한 수축가능 메인프레임(221)을 갖는 커플링유닛(22)과, 메인프레임(221)의 선단에 장착되고 벽부재(3) 상의 링리테이너(32) 내부로 연장하여 링리테이너(32) 내부에 장착되는 튜브형 본체(31)를 결합하게 되어 있는 커플러(222)를 포함한다. 연장유닛(23)이 기계 기부(21) 상에 장착되고 커플링유닛(22)에 연결된다. 연장유닛(23)은 기계 기부(21)에 상대적으로 커플링유닛(22)을 움직이도록 작동될 수 있다. 충격유닛(24)이 커플링유닛(22) 상에 제공된다. 구동유닛(25)은 커플링유닛(22) 상에 장착되고, 충격유닛(24)이 메인프레임(221)의 선단 및 후단 중 선택된 일단에 충격을 가하여 튜브형 본체(31)를 조립하는 미는 힘과 튜브형 본체(31)를 해체하는 견인력 중의 하나를 커플러(222)에 발생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해, 충격유닛(24)이 커플링유닛(22)을 따라 이동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벽부재 상의 링리테이너내에 장착되는 튜브형 본체의 조립과 해체에 적합한 푸시풀 장치
본 발명은 튜브형 본체의 조립 및 해체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벽부재상의 링리테이너(ring retainer) 내부에 장착되는 튜브형 본체를 조립하고 해체하는 푸시풀(push-pull)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용광로(blast furnace)에서, 철강제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공기를 공급해야 한다. 따라서, 공기를 용광로내로 공급하기 위해 여러개의 송풍구(送風口)가 용광로의 저부 근방에 설치된다. 이러한 송풍구는 보수 및 교체를 위해 용광로로부터 주기적으로 제거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용광로는 냉각 링리테이너(ring retainer)가 고정되어 있는 벽부재(wall member)를 갖는다. 송풍구는 튜브형 본체로서, 동(銅)으로 만들어진 상기 냉각링 내부로 삽입되어 용광로 내부로 연장한다. 송풍구를 용광로에 조립하거나 또는 해체할 때, 길이가 약 4미터인 봉을 용광로의 외부로부터 냉각 링의 내부로 연장하고, 12명까지의 작업자가 힘을 합쳐서 송풍구를 냉각 링방향으로 밀거나 또는 당긴다. 따라서 송풍구의 조립 및 해체는 현재 노동집약적인 방식으로 행해지고 있다. 그 뿐 아니라, 냉각 링과 송풍구 사이의 밀착된 결합 때문에 송풍구를 해체하는 동안 작업자에 대한 상해가 쉽게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송풍구는 비교적 무거운 구성요소이므로 조립 중 또는 해체 후에 송풍구를 이동하는 것은 불편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벽부재상의 링리테이너 내부에 장착될 튜브형 본체를 안전하고 비용면에서 효율적인 방법으로 조립하고 해체하는 데 적합한 푸시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잠점은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후속하는 상세한 설명에서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푸시풀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측면개략도이고,
도 2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평면개략도이고,
도 3은 바람직한 실시예의 풀링(pulling) 조작을 예시하는 부분 측면개략도이고,
도 4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풀링 조작을 예시하는 부분 측면개략도이고,
도 5는 용광로에서 송풍구(送風口)를 조립할 때 바람직한 실시예가 송풍구와 결합되는 방식을 예시하는 측면개략도이고,
도 6은 사용상태에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평면개략도이고,
도 7은 바람직한 실시예가 공지의 캐리어와 협력하여 송풍구를 이동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식을 예시하는 측면개략도이고,
도 8은 바람직한 실시예가 용광로에서 송풍구를 조립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식을 예시하는 측면개략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푸시풀 장치는
기계 기부(基部)와,
상기 기계 기부의 상면에 배설되고 기계 기부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세로로 이동가능하고, 선단(先端) 및 후단(後端)이 있는, 수축가능한 메인프레임(main frame)을 포함하는 커플링유닛으로서, 메인프레임의 선단상에 장착된 커플러(coupler)를 더 포함하고 링리테이너 내부로 연장하여 튜브형 본체에 결합하게 되어 있는 커플링유닛과,
기계 기부상에 장착되고 커플링유닛에 연결되어, 커플링유닛을 기계 기부에 상대적으로 움직이도록 작동시킬 수 있는 연장(延長)유닛과,
커플링유닛상에 배설되어 커플링유닛을 따라 이동가능한 충격유닛과,
커플링유닛상에 장착되고, 충격유닛이 커플링유닛의 메인프레임의 선단 및 후단 중 선택된 일단에 충격을 가하여 튜브형 본체를 조립하는 미는 힘과 튜브형 본체를 해체하는 견인력(牽引力) 중의 하나를 커플링유닛의 커플러에 발생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해, 충격유닛이 커플링유닛을 따라 이동하도록 작동가능한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서, 본 발명에 따른 푸시풀 장치(2)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기계 기부(2), 커플링유닛(22), 연장유닛(23), 충격유닛(24) 및 구동유닛(25)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베이스프레임(212)은 선단부 및 후단부를 가지고, 회전형 플랫폼(211)은 기계 기부(21)가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기계 기부(21)를 베이스프레임(212) 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한다. 한쌍의 바퀴부착 지주(支柱)(213)가 상기 베이스프레임(212)의 마주보는 양측의 선단부에 피봇방식으로 장착된다. 한쌍의 유압실린더(214)가 베이스프레임(212) 상에 장착되고 두 위치 사이에서 상기 지주(213)가 이동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특히, 각각의 실린더유닛(214)은 일단이 각 지주(213)의 상단에 피봇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피스톤축(215)을 갖는다. 그래서, 그 피스톤축(215)을 연장하거나 수축함으로써, 각각의 지주(213)는 베이스프레임(212)에 상대적으로 피봇하도록 강제될 수 있다.
커플링유닛(22)은 기계 기부(21)의 상단에 배설된 수축가능한 메인프레임(221)과, 그 메인프레임(221)의 선단 상에 장착된 커플러(222)를 포함한다. 메인프레임(221)에는 그 선단과 후단 사이에 연장하여 그 안에 충격유닛(24)을 이동가능하게 수용하는 슬라이드채널(223)이 형성되어 있다. 기계 기부(21)상에는 4개의 가이드롤러(224)가 장착되고 메인프레임(221)의 대향하는 길이방향 측면부에 롤링 접촉하여 기계 기부(21)에 상대적으로 커플링유닛(22)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메임프레임(221)은 기계 기부(21)에 상대적으로 전후방향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연장유닛(23)은 기계 기부(21) 상에 장착되고 커플링유닛(22)에 연결된다. 연장유닛(23)은 커플링유닛(22)을 기계 기부(21)에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유닛(23)은 기계 기부(21) 상에 견고하게 장착된 유입실린더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연장유닛(23)은 메인프레임(221)의 후단의 저면측 상의 충격흡수장치(cushioning device)(26)에 연결된 피스톤축(231)을 갖는다.
구동유닛(25)은 커플링유닛(22) 상에 장착되고, 충격유닛(24)이 메인프레임(221)의 선단 및 후단 중 선택된 일단에 충격을 가하여 미는 힘과 견인력 중의 하나를 커플러(222)에 발생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해, 충격유닛(24)이 커플링유닛(22)을 따라 이동하도록 작동가능하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구동유닛(25)은 커플링유닛(22)의 메인프레임(221) 상에 장착된 베이스(251)와, 상기 베이스(251) 상에 장착된 유압식 구동실린더(252)와, 드라이버(253)을 포함한다. 상기 드라이버(253)는 수평부(2541) 및 그 수평부(2541)로부터 하향하여 연장하고 상기 베이스(251)와 상기 유압식 구동실린더(252)에 피봇방식으로 연결된 수직부(2542)를 구비한 L자형 피봇암(pivot arm)(254)을 구비한다. 상기 드라이버(253)는 또한 상기 피봇암(254)의 수평부(2541) 상에 장착된 드라이버하우징(2530)과, 상기 드라이버하우징(2530) 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충격유닛(24)의 바로 위에 배설된 복수의 마찰롤러(255)와, 상기 드라이버하우징(2530) 상에 장착되어 상기 마찰롤러(255)를 회전가능하게 구동하도록 작동될 수 있는 유압식 모터유닛(256)을 구비한다. 상기 유압식 구동실린더(252)를 연장하거나 수축함으로써, 피봇암(254)은 베이스(251)에 상대적으로 피봇하여 상기 드라이버(253)의 마찰롤러(255)를 상기 충격유닛(24)과 접촉하거나 또는 접촉이 떨어지게 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압식 모터유닛(256)이, 마찰롤러(255)가 충격유닛(24)에 접촉한 상태에서, 마찰롤러(255)를 구동하여 반시계방향으로 빨리 회전시키면, 상기 마찰롤러(255)와 충격유닛(24) 사이에 존재하는 마찰력은 미는 힘을 발생하여 상기 충격유닛(24)을 밀어서 슬라이드채널(223)을 따라 커플링유닛(22)의 메인프레임(221)의 후단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충격유닛(24)이 슬라이드채널(223)의 후단에서 메인프레임(221)과 충돌하게 되면, 상기 커플링유닛(22)은 순간적으로 후방으로 견인력을 받게 됨으로써, 커플러(222)에 견인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압식 모터유닛(256)이, 마찰롤러(255)가 충격유닛(24)에 접촉한 상태에서, 마찰롤러(255)를 구동하여 시계방향으로 빨리 회전시키면, 상기 마찰롤러(255)와 충격유닛(24) 사이에 존재하는 마찰력은 미는 힘을 발생하여 상기 충격유닛(24)을 밀어서 슬라이드채널(223)을 따라 커플링유닛(22)의 메인프레임(221)의 선단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충격유닛(24)이 슬라이드채널(223)의 선단에서 메인프레임(221)과 충돌하면, 상기 커플링유닛(22)은 순간적으로 전방으로 미는 힘을 받게 됨으로써, 상기 커플러(222)에 미는 힘을 발생시킨다.
상기 충격유닛(24)이 슬라이드채널(223)의 선단 또는 후단에서 메인프레임(221)과 충돌하기 직전에, 상기 유압식 구동실린더(252)는 그것을 수축하도록 제어될 수 있고, 그결과 피봇암(254)을 베이스(251)에 상대적으로 피봇하여 마찰롤러(255)를 충격유닛(24)으로부터 떨어지게 들어올린다. 상기 마찰롤러(255)는 충격유닛(24)의 상면에 접촉하지 않게 됨으로써, 마찰롤러(255)가 충격유닛(24)과 커플링유닛(22) 사이에서 충격에 따른 힘이 불리한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한다.이와 동시에 유압식 모터유닛(256)은 회전을 정지한다. 물론, 충격력은 충돌이전에 슬라이드채널(223)을 따라 충격유닛(24)이 갖는 이동속도에 좌우된다. 충격후, 유압식 구동실린더(252)는 연장하도록 제어되어, 피봇암(254)이 베이스(251)에 상대적으로 피봇암(254)을 피봇하여 마찰롤러(255)에 힘을 가함으로써 충격유닛(24)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할 수 있고, 그 결과 슬라이드채널(223) 내에서의 충격유닛(24)의 반발하는 움직임을 방지한다.
충격흡수장치(26)는 상기 커플링유닛(22)의 메인프레임(221)상에 장착된 케이싱(261)과, 그 케이싱(261)내에 이동가능하게 배설되고 상기 케이싱(261)내부로 연장하는 연장유닛(23)의 피스톤축(231)의 일단에 결합된 슬라이더(262)와, 상기 케이싱(261)내에 배설되어 케이싱(261)내의 상기 슬라이더(262)의 길이방향 운동의 충격을 흡수하는 복수의 충격흡수블록(263)을 포함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푸시풀 장치(2)는 캐리어(27)와 공동으로 사용되어 그 이동을 원활히 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캐리어(27)는 공지의 파우어 리프트 트럭으로서, 리프트프레임(271)과, 트럭을 구동하는 구동원(drive source)(272)과, 차륜(273)을 포함한다. 기계 기부(21)의 베이스프레임(212)의 후단부는 상기 리프트프레임(271)에 실려 운반되도록 되어 있어서, 푸시풀 장치(2)를 지면에 상대적으로 올리거나 내릴 수 있다. 구동원(272)은 푸시풀 장치(2)를 작동하는 데 필요한 동력을 공급한다 상기 캐리어(27)의 차륜(273)을 구동하여 공지의 방식으로 회전하면, 푸시풀 장치(2)는 원하는 목적지로 이송될 수 있다.
푸시풀 장치(2)는 벽부재상의 링리테이너에 장착되는 튜브형 본체를 조립하고 해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다음의 예에서, 상기 튜브형 본체는 용광로(3)의 둘러싸는 벽부재상의 동제(銅製) 냉각링(32) 내에 장착되는 송풍구(31)이다. 바퀴부착 지주(213)는 상기 캐리어(27)의 차륜(273)과 공동으로, 비교적 무거운 구성요소인 송풍구(31)를 조립중과 조립후에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기 용이하게 한다. 특히, 송풍구(31)가 냉각링(32)으로부터 빼내어 제거된 후, 실린더유닛(214)이 작동되어 상기 지주(213)에 힘을 가하여 베이스프레임(212)에 상대적으로 피봇시켜서, 상기 지주(213)가 점선표시와 같이 베이스프레임(212)에 대하여 대체로 평면적인 제1 위치로부터, 지주(213)가 실선표시와 같이 베이스프레임(212)에 대하여 대체로 수직인 제2 위치로 움직임으로써, 캐리어(27)가 푸시풀 장치(2)를 안정한 방식으로 용광로(3)로부터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송풍구(31)를 용광로(3)로부터 해체할 때, 용광로 인근에 위치하는 냉각파이프(33)와 장착프레임(mounting frame)(34), 그리고 용광로(3) 주위의 제한된 공간으로 인해 캐리어(27)를 해체대상인 송풍구(31)에 정렬하는 것이 어렵다. 이러한 상황에서, 회전형 플랫폼(211)을 공지의 방식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함으로써, 이어서 기계 기부(21)가 베이스프레임(212)에 상대적으로 회전하게 할 수 있다(도 1 참조). 다음에, 커플링유닛(22)의 커플러(222)를 적절한 냉각링(32) 속으로 연장하여 선택된 송풍구(31)의 내벽면에 맞닿은 힘지지판(force bearing plate)(35)에 결합시킨다.
다시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커플러(222)가 일단 해당 냉각링(32) 속으로 연장하면, 연장부(23)의 피스톤축(231)이 연장하여 슬라이더(262)를 충격흡수장치(26)의 케이싱(261)내에서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그 결과 슬라이더(262)를 상기 케이싱(261)의 후반부에 있는 충격흡수블록(263)를 가압함으로써 커플링유닛(22)이 길이방향으로 후진하게 되어 커플러(222)가 힘지지판(35)상에 걸리게 한다. 이때, 유압식 모터유닛(256)이, 마찰롤러(255)가 충격유닛(24)에 접촉한 상태에서, 마찰롤러(255)를 구동하여 반시계방향으로 빨리 회전시키면, 충격유닛(24)은 슬라이드채널(223)을 따라 커플링유닛(22)의 메인프레임(221)의 후단방향으로 빨리 움직이도록 밀린다. 충격유닛(24)이 슬라이드채널(223)의 후단에서 메인프레임(221)과 충돌하면, 커플링유닛(22)은 순간적으로 후방으로 견인력을 받게되고, 그 결과 커플러(222)에 견인력을 가하여 송풍구(31)를 냉각링(32)으로부터 빼내게 된다. 이와 동시에, 발생한 충격력은 커플링유닛(22)의 메인프레임(221)의 후단의 저면측에 고정된 케이싱(261)에 대하여 슬라이더(262)에 상대적인 길이방향으로 후진운동을 초래하고, 그럼으로써 슬라이더(262)가 상기 케이싱(261)의 앞부분에 있는 충격흡수블록(263)을 가압하게 만든다. 이렇게 해서, 슬라이더(262)가 연장유닛(23)의 피스톤축(231)에 가하는 견인력이 감소되어 상기 연장유닛(23)을 보호할 수 있다.
일단 송풍구(31)가 대응하는 냉각링(32)으로부터 결합이 해체되면, 푸시풀 장치(2)는 캐리어(27)의 리프팅 프레임(271)을 사용하여 송풍구(31)가 커플러(222)상에 지지되도록 들어올려질 수 있다. 다음에, 상기 캐리어(27)를 구동하여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풍구(31)를 용광로로부터 원하는 목적지로 이송할 수 있다. 이때, 캐리어(27)의 리프팅 프레임(271)을 조작하여 푸시풀 장치(2)를 하강시키고,푸시풀 장치(2)와 송풍구(31)를 이송할 때 더 높은 안정성을 위해 바퀴부착 지주(213)를 제1 위치에 오도록 작동할 수 있다.
도 4, 7 및 8을 참조하면, 송풍구(31)를 용광로에 조립하고자 할 때, 푸시풀 장치(2)를 상기 캐리어(27)를 사용하여 용광로(3)의 부근으로 이송하고, 커플러(222)를 적절한 냉각링(32) 속으로 연장하여 송풍구(31)의 일단에 배설된 힘지지판(37)에 접하게 한다. 연장유닛(23)의 피스톤축(231)은 수축되어 슬라이더(262)를 충격흡수장치(26)의 케이싱(261)내에서 전방을 향하여 이동시키고, 그 결과 슬라이더(261)로 하여금 상기 케이싱(261)의 앞부분에 있는 충격흡수블록(263)을 압박하여 커플링유닛(22)이 길이방향으로 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커플러(222)가 상기 힘지지판(37)에 접하게 한다. 이때, 유압식 모터유닛(256)이, 마찰롤러(255)가 충격유닛(24)에 접촉한 상태에서, 마찰롤러(255)를 구동하여 시계방향으로 빨리 회전시키면, 상기 충격유닛(24)은 신속히 밀려서 슬라이드채널(223)을 따라 커플링유닛(22)의 메인프레임(221)의 선단방향으로 이동된다. 충격유닛(24)이 슬라이드채널(223)의 선단에서 메인프레임 (221)과 충돌하면, 커플링유닛(22)은 순간적으로 전방으로 미는 힘을 받게 되고, 그 결과 커플러(222)에 미는 힘을 가하여 송풍구(31)를 냉각링(32)에 삽입하여 결합하게 한다. 이와 동시에, 발생한 충격력은 슬라이더(262)에 상대적으로 케이싱(261)의 전방향의 길이방향운동을 초래하고, 그럼으로써 슬라이더(262)가 상기 케이싱(261)의 뒷부분에 있는 충격흡수블록(263)을 가압하게 만든다. 이렇게 해서, 슬라이더(262)가 연장유닛(23)의 피스톤축(231)에 가하는 미는 힘이 감소되어상기 연장유닛(23)을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장 실제적이고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장 넓게 해석되는 사상과 범위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변경을 포괄함으로써, 모든 변형과 동등한 장치를 포함하고자 의도됨을 이해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푸시풀 장치를 사용하여 특히 용광로에 사용되는 송풍구와 같은 튜브형 본체를 안전하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조립 및 해체를 행할 수 있다.

Claims (6)

  1. 벽 부재(3) 상의 링 리테이너(32) 내부에 장착되는 튜브형 본체(31)의 조립과 해체에 적합한 푸시풀 장치(2)로서,
    기계 기부(21),
    상기 기계 기부(21)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기계 기부(21)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진가능한 메인프레임(221)과, 상기 메인프레임(221)의 선단 상에 장착되고 상기 링 리테이너(32)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튜브형 본체(31)와 결합하는 커플러 (222)를 포함하는 커플링유닛(22),
    상기 기계 기부(21)에 장착되고 상기 커플링유닛(22)에 연결되어 상기 커플링유닛(22)을 상기 기계 기부(2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작동 가능한 연장(延長)유닛(23),
    상기 커플링유닛(22)에 설치되어 상기 커플링유닛(22)을 따라 이동 가능한 충격유닛(24), 그리고
    상기 커플링유닛(22)에 장착되고, 상기 충격유닛(24)이 상기 커플링유닛(22)의 메인프레임(221)의 선단 및 후단 중 선택된 일단에 충격을 가하여 튜브형 본체 (31)를 조립하기 위한 미는 힘과 튜브형 본체(31)를 해체하기 위한 당기는 힘 중의 하나를 상기 커플링유닛(22)의 커플러(222)에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충격유닛 (24)이 커플링유닛(22)을 따라 이동하게 작동 가능한 구동유닛(25)
    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유닛(25)은
    상기 메인프레임(221)에 장착된 베이스(251),
    상기 베이스(251)에 장착된 구동실린더(252), 그리고
    수평부(2541) 및 상기 수평부(2541)로부터 하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 (251)와 상기 구동실린더(252)에 피봇방식으로 연결된 수직부(2542)를 구비한 L자형 피봇 암(pivot arm)(254), 상기 수평부(2541)에 장착된 드라이버하우징(2530), 상기 드라이버하우징(253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충격유닛(24)의 바로 위에 설치된 복수의 마찰롤러(255), 및 상기 드라이버하우징(2530)에 장착되어 상기 마찰롤러(255)를 회전가능하게 구동하도록 작동 가능한 모토유닛(256)을 갖는 드라이버(253)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실린더(252)는 수축 및 연장이 가능하여 상기 피봇암(254)을 상기 베이스(251)에 상대적으로 피봇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마찰롤러(255)를 상기 충격유닛(24)과 접촉시키거나 또는 이격시키고,
    상기 마찰롤러(255)는 상기 충격유닛(24)과 접촉하고 있는 동안, 상기 모터유닛(256)에 의해 상기 마찰롤러(255)가 회전가능하게 구동될 때 상기 커플링유닛 (22)을 따라 상기 충격유닛(24)을 이동시키는 푸시풀 장치(2).
  2. 제1항에서,
    상기 메인프레임(221) 후단의 저면측에 장착되고 상기 연장유닛(23)과 상기커플링유닛(22)을 상호 연결하는 충격흡수장치(26)를 더 포함하는 푸시풀 장치(2).
  3. 제2항에서,
    상기 충격흡수장치(26)는
    상기 커플링유닛(22)의 메인프레임(221)에 장착된 케이싱(261),
    상기 케이싱(261) 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262), 그리고
    상기 케이싱(261) 내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싱(261) 내의 상기 슬라이더(262)의 길이방향 운동의 충격을 흡수하는 복수의 충격흡수블록(263)
    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유닛(23)은 상기 케이싱(261)내부로 연장하여 상기 슬라이더(262)에 일단이 연결되는 피스톤축(231)을 구비한 실린더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장치는 상기 케이싱(261)내의 슬라이더(262)를 이동하도록 작동될 수 있는 푸시풀 장치(2).
  4. 제1항에서,
    전후 단부를 구비한 베이스프레임(212),
    상기 기계 기부(21)가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 (212)에 상기 기계 기부(21)를 장착하는 회전 플랫폼(211),
    상기 베이스프레임(212)에 대향하여 상기 베이스프레임(212)의 전단부에 피봇방식으로 장착되고, 각각 상단부를 갖는 한쌍의 바퀴부착 지주(213),
    상기 베이스프레임(212)에 장착되고, 각각 상기 바퀴부착 지주(213)의 각 상단부에 피봇방식으로 일단이 결합된 피스톤축(215)을 갖는 한쌍의 실린더유닛(214)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축(215)은 상기 바퀴부착 지주(213)가 상기 베이스프레임(212)에 대하여 대체로 평면인 제1 위치 및 상기 바퀴부착 지주(213)가 상기 베이스프레임 (212)에 대하여 대체로 수직인 제2 위치로부터 상기 바퀴부착 지주(213)를 이동하도록 수축가능한 푸시풀 장치(2).
  5. 제1항에서,
    상기 메인프레임(221)은 상기 메인프레임(221)의 선단과 후단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충격유닛(24)을 이동가능하게 수용하는 슬라이드채널(223)을 포함하는 푸시풀 장치(2).
  6. 제1항에서,
    상기 기계 기부(21)에 장착되고 상기 메인프레임(221)의 반대쪽 길이방향면에 롤링 접촉하여 상기 커플링유닛(22)의 이동을 상기 기계 기부(2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롤러(224)를 더 포함하는 푸시풀 장치(2).
KR1019980022697A 1998-06-17 1998-06-17 벽부재상의링리테이너내에장착되는튜브형본체의조립과해체에적합한푸시풀장치 KR100348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2697A KR100348744B1 (ko) 1998-06-17 1998-06-17 벽부재상의링리테이너내에장착되는튜브형본체의조립과해체에적합한푸시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2697A KR100348744B1 (ko) 1998-06-17 1998-06-17 벽부재상의링리테이너내에장착되는튜브형본체의조립과해체에적합한푸시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117A KR20000002117A (ko) 2000-01-15
KR100348744B1 true KR100348744B1 (ko) 2002-10-25

Family

ID=19539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2697A KR100348744B1 (ko) 1998-06-17 1998-06-17 벽부재상의링리테이너내에장착되는튜브형본체의조립과해체에적합한푸시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87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536B1 (ko) 2012-12-13 2014-02-28 주식회사 장원 용광로용 풍구해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00260B2 (ja) * 2017-07-07 2021-07-07 株式会社スガテック 羽口取替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3946A (ja) * 1985-02-09 1986-08-16 Nippon Abionikusu Kk マイクロパラレルシ−ム接合装置の接合不良判別方法および装置
JPH06108130A (ja) * 1992-09-30 1994-04-19 Kawasaki Steel Corp 羽口接続管の取替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3946A (ja) * 1985-02-09 1986-08-16 Nippon Abionikusu Kk マイクロパラレルシ−ム接合装置の接合不良判別方法および装置
JPH06108130A (ja) * 1992-09-30 1994-04-19 Kawasaki Steel Corp 羽口接続管の取替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536B1 (ko) 2012-12-13 2014-02-28 주식회사 장원 용광로용 풍구해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117A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788047U (zh) 移动式辊压机辊轴焊接修复装置
CN206352027U (zh) 具有轮胎升降机构的工具车
KR100348744B1 (ko) 벽부재상의링리테이너내에장착되는튜브형본체의조립과해체에적합한푸시풀장치
KR920700343A (ko) 이동식 굴착기
US5925312A (en) Push-pull apparatus adapted for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a tubular body that is to be fitted into a ring retainer on a wall member
JP2005187115A (ja) 昇降機能付き台車
CN210263974U (zh) 建筑施工现场卸料平台
CN111715699B (zh) 一种轧机主传动轴的拆装装置及工艺
CN210619188U (zh) 一种车厢可卸式垃圾车的承托装置
CN210133846U (zh) 手动叉车
CN1083745C (zh) 嵌合件的拆装机
CN101100271B (zh) 汽车维修升降架
CN113548440A (zh) 线材压缩及翻转装置
JP3426136B2 (ja) 嵌合部材着脱機
CN207892619U (zh) 一种皮带带动的自行走隧道施工台车
CN107472798B (zh) 一种机架移动装置
JPH10120388A (ja) フォーク、ならびにこれを備えた運搬車および車両用台車
CN221188610U (zh) 一种路缘石转运托架
CN211914330U (zh) 一种可移动的喷涂机器人底座装置
JPH0686612B2 (ja) 高炉小羽口取替装置
CN217971608U (zh) 一种用于快速冷却陶瓷产品的步进推送装置
CN221251268U (zh) 一种车辆维修用车辆零部件搬运装置
CN220180887U (zh) 一种适用多种环境的土建施工搬运推车
CN201002950Y (zh) 汽车维修升降架
CN218616087U (zh) 一种便于拆装更换的手推车车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