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5375B1 - 원형편물기의보풀제거장치및상기장치가장착된원형편물기 - Google Patents

원형편물기의보풀제거장치및상기장치가장착된원형편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5375B1
KR100345375B1 KR1019940034296A KR19940034296A KR100345375B1 KR 100345375 B1 KR100345375 B1 KR 100345375B1 KR 1019940034296 A KR1019940034296 A KR 1019940034296A KR 19940034296 A KR19940034296 A KR 19940034296A KR 100345375 B1 KR100345375 B1 KR 100345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machine
circular knitting
tubes
dispensing
compresse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4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8792A (ko
Inventor
폴네헤르
월프리에드쉬크
Original Assignee
시프라 페턴트엔트위크렁스-운트 베테일리강스게젤샤프트 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9319234U external-priority patent/DE9319234U1/de
Application filed by 시프라 페턴트엔트위크렁스-운트 베테일리강스게젤샤프트 엠베하 filed Critical 시프라 페턴트엔트위크렁스-운트 베테일리강스게젤샤프트 엠베하
Publication of KR950018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8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5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53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7/00Repairing knitted fabrics by knitting oper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32Devices for removing lint or flu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순환 통로부분 위에서 요동하도록 배치된 다수의 취입구멍들 및 이 취입구멍들에 연결된 압축공기원을 가진 순환 편물기계용 보풀제거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또한 요동하도록 설치된 하나의 홀더(23), 방사상으로 뻗어 취입구멍에 연결된 다수의 튜브들(28), 및 압축공기원에 연결이 가능한 분배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튜브들(28)은 분배장치(34)에 의해 예정된 순서로 각각 또는 그룹으로 압축공기원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장치를 가진 순환 편물기계가 제공된다(제1도 참조).

Description

윈형 편물기의 보풀 제거 장치 및 상기 장치가 장착된 원형 편물기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 1 항의 전제부에 언급된 형태의 장치와 상기 장치가 장착된 원형 편물기에 관한 것이다.
보풀 등을 제거하는 장치가 구비된 원형 편물기는 다양한 형태로 공지되어 있다.
상기 장치의 제 1 그룹은 반경방향으로 구성된 복수개의 튜브로 구성되고, 상기 튜브는 중앙 로드에 장착되며, 단부에 송풍구(blowing opening)가 구성되고, 튜브는 기어박스의 삽입으로(DE 3 636 327 Al, DE 3 734 252 A1, DD-PS 34 664) 회전 니들(needle) 실린더, 다이얼 또는 제거 장치에 의해 구동되거나(DE-AS 1 113 786, DE 3 628 851 Al), 분리 구동 모터를 가진다(DE 79 26 865 Ul). 상기 형태의 장치는 상대적으로 고가의 공기 분배 장치와 고용량 압축 공기 공급원을 필요로 한다.
장치의 제 2 그룹은 실제로 원형 편물기의 캠시스템을 냉각시키나, 기본적으로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풀 등의 제거에 적합하다(DE 76 38 042 Ul). 상기 장치에서 니들 실린더 및 다이얼의 캠시스템 캐리어에 환형 튜브가 구비되고, 상기 튜브는 튜브형 송풍구를 가지며, 기계축을 동축으로 둘러싼다. 환형 튜브가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되고 공기가 상이한 영역에 간헐적으로 공급될 때에도, 다양한 작동 영역의 명확한 시야가 저해되지 않는다면, 바람직하지 않은 압력 조건이 상기 기계에 형성된다(DE 3 219 467 Al).
마지막으로 공지되어 있는 서두에 언급된 형태를 가진 제 3 그룹의 장치는,송풍구가 구비된 밀폐된 원형 곡선형의 환형 라인을 가지고, 상기 라인은 주변에 구성된 로울러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초기에 언급된 형태의 장치와 대조적으로 왕복으로 이동되고, 즉 진동 운동 상태로 구동된다(DE 2 815 052 Al, US-PS 3 422 640). 압축 공기는 각 경우 가요성 호스를 통해 환형 라인으로 공급되고, 환형 라인은 강성 재료로 구성된다. 상기 장치에서도 바람직하지 않은 압력 조건이 형성되고, 상기는 고가의 전체 구성에 의해서만 개선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초기에 언급된 형태의 장치와 상기 장치가 장착된 원형 편물기를 제공하여, 원형 편물기의 작동없이 또는 다양한 작동 위치의 명확한 시야가 현저히 제한되지 않고, 적은 구성 비용으로 높은 청정 효과 또는 청정 효과의 유지를 이루고자 하는 것이다.
청구범위 제 1 항 및 제 12 항의 특징부는 상기 목적에 부합된다.
본 발명은 실시예의 첨부 도면과 함께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제 1 도 및 제 2 도에 윈형 편물기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상기 원형 편물기는 프레임(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수직축(2)을 가진 니들 실린더(3)를 포함하며, 편물 니들(4)은 니들 실린더에서 상하로 이동되도록 장착된다. 니들 실린더(3)는 캠박스링(cam box ring)(5)에 의해 둘러싸여 구성되고, 상기 캠박스링(5)은 편물 니들(4)의 상하 운동을 제어하기 위한 캠(6)을 가진다. 제거 및 감기 장치(7)가 완성된 니트웨어를 위해 니들 실린더(3) 아래에 구성된다.
복수개의 수직 지지부(9)가 원형 편물기의 기초판(8)(제 1 도)에 지지되고, 지지링(10)을 지지하며, 점선으로 도시된 실(12)을 공급하기 위한 실공급 장치(11)가 상기 지지링(10)에 구성된다. 실(12)은 도시되지 않은 공급 스풀(spool)로부터 실공급 장치(11)를 통해 실안내부(13)로 공급되고, 상기 실안내부(13)는 실안내링(14)으로부터 수직하향으로 돌출되며(제 2 도), 상기 실안내링(14)은 기초판(8)에 장착된 브라켓(15)에 지지되고, 지지링(10) 아래에 구성된다. 4개의 상기 브라켓(15)이 실시예에 구성되고, 약 90° 의 간격으로 니들 실린더(3) 주위에 구성된다.
언급된 형태의 원형 편물기는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고(예를 들어 DE 79 26 865Ul, DE 3 628 851 Al로부터), 따라서 더 상세히 설명할 필요가 없다.
축(2)과 동축인 로드(17)는 지지링(10)에 연결된 반경방향 아암(arm)으로부터 매달려 구성되고, 니들 실린더(3)내로 돌출되며, 정치되어 구성되고, 중공축으로서 형성되는 것이 선호된다. 특히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실린더형 하우징(19)은 나사(18)에 의해 상기 로드(17)에 고정되고, 하부의 플랜지(flange)형 돌출부(20)를 가진다. 허브(hub)(21)는 상기 돌출부(20)에 회전가능하게 동축으로 지지되고, 예를 들어 동축의 원형 디스크(22)가 상기 허브(21)에 형성된다.
허브(21)는 홀더(23)를 지지하고, 상기 홀더(23)는 또한 하우징(19)에 동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서클립(circlip)(24)에 의해 상기 하우징(19)에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또한 홀더(23)는 핀(25)에 의해 허브(21)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홀더(23)는 상기 허브(21)와 함께 단지 공동으로만 회전될 수 있다.
홀더(23)는 복수개의 나사형 보어(27)를 가지고, 실시예에서는 4개의 나사형보어(27)를 가지며, 상기 나사형 보어(27)는 상기 홀더(23)의 외주에 악 90° 의 간격으로 구성된다. 상응 단부에 수나사가 구비된 튜브(28 또는 29)가 각 나사형 보어(27)로 나사체결되고, 로크 너트(lock nut)(30)에 의해 고정된다. 예를 들어 수직으로 형성된 나사형 보어(31)가 각 나사형 보어(27)와 소통되고, 나사형 부시(bush)(32)가 상응하는 방법으로 상기 나사형 보어(31)에 나사체결되며, 상기 나사형 부시(32)는 가요성 호스(33)와 같은 연결 라인에 대한 연결부로서 기능을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튜브(28,29) 및 나사형 부시(32)는 단부에서 플랜지형 돌출부를 가질 수 있고, 나사캡(screw cap)에 의해 홀더(23)의 상응 나사형 영역에 고정 될 수 있다. 호스(33)는 중공 로드(17)를 통해 상부 단부로 연장구성되고, 제 1 도에 점선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단부로부터 지지링(10)의 하나의 지지 아암 및 하나의 지지부(9)를 통해 분배 장치(34)의 각 연결부로 연장 구성된다. 따라서, 호스(33) 및 나사형 보어(31,27)를 통해 압축 공기를 각 튜브(28,29)에 개별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튜브(28,29)를 지지하는 홀더(23)는 제 2 도 및 제 3 도에 따라 디스크(22)와 함께 진동되어, 즉 왕복 이동되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해, 디스크(22)는 크랭크(crank) 구동장치(36)에 연결된다. 상기 크랭크 구동장치(36)는 회전 구동장치(37)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 구동장치(37)는 지지판(38)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판(38)은 나사(39)에 의해 돌출부(20)에 연결된다. 크랭크(41)는 회전구동장치(37)의 구동축(40)에 축(2)에 평행하게 상기 축(2)과 이격되어 고정되고, 크랭크는 피봇점(pivot point)(42)에서 연결 로드(connecting rod)(43)의 한단부에 연결된 자유 단부를 가진다. 연결 로드(43)의 다른 한 단부는 디스크(22)의 변부 영역에서 다른 피봇점(44)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구동축(40)이 회전 구동장치(37)에 의해 회전될 때, 크랭크(41)의 피봇점(42)은 원형 트랙 주위로 순환 운동을 수행하고, 디스크(22) 및 홀더(23)는 크랭크 구동장치(36)의 크기에 따라 축(2)에 대하여 이중 화살표(v)(제 3 도)의 방향으로 왕복 진동 운동을 수행한다. 크랭크 구동장치(36) 및 홀더(23)의 2개의 가능 위치가 제 3 도에 각각 점선 및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홀더(23)가 90° 보다 매우 작게 왕복으로 회전되도록 실시예에서 크랭크 구동장치(36)의 크기가 선택되어,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28,29)가 실안내링(14)의 반경방향 외부로 돌출되어 두 브라켓(15)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될 때, 상기 홀더(23)에 고정된 상기 튜브(28,29)는 하나의 브라켓(15)과 충돌될 수 없다.
회전 구동장치(37)는 전기 모터인 것이 선호되고, 상기 전기 모터에 전기 케이블(45)을 통해 전류가 공급되며(제 2 도), 상기 전기 케이블(45)은 호스(33)와 같이 중공 로드(17)를 통해 구성된다.
제 2 도 및 제 4 도에 따르면, 튜브(28,29)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에 노즐형 송풍구(47,48,49)가 구비된다. 초기에 실안내링(14)의 다소 위에서 홀더(23)로부터 수평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연장구성된 튜브(28)가 예를 들어 90° 로 외측 단부에서 하향으로 굽힘구성되어, 상기 튜브(28)는 외부로부터 실안내링(14) 위에 연결되고, 두 브라켓(15)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된다. 실(12)이 안내되어, 송풍구(47)를 포함한 각 튜브(28)의 외측 단부는 공간에서 왕복으로 진동될 수 있고. 상기 공간은 특히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12) 및 실안내부(13)에 의해 형성되며, 원주방향으로 2개의 브라켓(15)에 의해 형성된다. 2개의 브라켓(15)에 의해 형성 된 예를 들어 약 90° 의 각영역에 예를 들어 24개의 복수개의 실이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실로 인해 24개의 편물 시스템이 니들 실린더(3)의 주위에 구성되며, 제 2 도에는 하나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도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로 인해, 실(12)이 편물 니들(4)에 구성되고 많은 보풀이 발생되는 장소에 근접하게 외부로부터 송풍구(47)를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용이 하다.
선택적으로, 튜브(29) 및 송풍구(47)를 상이하게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도에서, 2개의 가능 위치(28a,47a 및 28b,47b)가 각각 실선 및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고, 송풍구(47a,47b)는 상이한 높이에 구성되며, 반경방향 내부에 구성된 위치로부터 편물 니들(4)에 송풍하도록 상기 편물 니들(4)의 배면에 각각 구성된다.
송풍구(48,49)가 이중 노즐 방식으로 튜브(29)에 쌍으로 구성되고 또한 니들 실린더(3)의 원주방향으로 관찰시 대향 방향으로 향하는 점에서, 튜브(29)의 상기 송풍구(48,49)는(제 2 도 및 제 4 도) 송풍구(47)와 상이하다. 상기 방법으로 브라켓(15)의 바로 아래에 구성된 영역에 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외부로부터 쌍으로 니들링(needle ring)에 송풍하도록 상응하는 쌍의 송풍구(50,51)가 튜브(28c)(제 4 도)에 구성될 수 있다.
개략적으로 제 1 도, 제 3 도 및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도에서도 사용된 점선(35)으로 제 4 도에 도시되어 있는 가요성 호스(33)(제 2 도)는 각각 분배 장치(34)의 출력부에 연결되고, 상기 분배 장치(34)는 제어가능 밸브(53)를 통해 압축 공기의 공급원(56)에 연결된 각 호스(33)에 대한 연결 라인(52), 예를 들어 종래의 압력계인 압축 공기 지시계(54)와 예를 들어 스로틀(throttle)인 압력 조절기(55)를 가지며, 공급원은 예를 들어 편물고(knitting shed)에 통상적으로 존재하는 소수의 바(bar)에서 압축 공기 출구이다. 분배 장치(34)는 또한 제어 라인(57)을 통해 연결된 스위치 패널(58)로 구성되고, 라인(59)에 의해 상기 스위치 패널(58)에 전류가 공급되며, 상기 스위치 패널(58)은 예를 들어 선택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스위치(60)를 가진다(예를 들어 분배 장치(34)의 자동 또는 수동 제어). 회전 구동장치(37)(제 2 도)의 작동 빈도와 압축 공기가 여러 튜브(28,29)로 공급되는 압력 또는 빈도 및 턴온 시간(turn-on time)을 결정하도록, 분배 장치(34)용 제어 프로그램이 스위치 패널(58)의 키이(61)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임 스위치(time switch) 등을 포함하고 턴온 시간 및 턴오프 시간(turn-off time)을 결정하는 순차 제어기에 제어가능 밸브(53)가 연결되고 또한 압력 조절기(55)가 개별적으로 예정 압력으로 조절되는 점에서, 후자가 발생된다.
분배 장치(34)는 튜브(28,29)가 개별적으로 순차적으로 또는 예정된 시간 순서에 따라 압축 공기 공급원(56)에 연결되도록 설계되어, 단지 하나의 튜브(28,29)가 임의의 하나의 시간에 압축 공기 공급원(56)에 연결되고 최대 공기 압력이 각 튜브(28,29)에 적용되나, 압축 공기 공급원(56)의 용량이 충분히 크다면 예를 들어2개의 튜브(28,29)를 동시에 압축 공기 공급원(56)에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위치 패널(58)은 또한 자동 제어의 정지 또는 다른 수동 조절을 용이하게 하는 다른 스위치를 가질 수 있다.
튜브(28,29) 및 송풍구(47 내지 51)의 전술된 설계 및 배열은 상기 송풍구(47 내지 51)를 원형 편물기의 임의의 소요 위치로 향하게 하고, 예정된 각범위로 제한된 진동 운동은 실안내링(14) 및 지지부(15)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실공급의 방해없이 전방으로부터, 즉 외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편물 니들(4)에 송풍하는 것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적합한 길이로 제공된 가요성 호스(33)는 직접 제한된 진동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튜브(28,29)에 대한 압축 공기의 개별 적용이 간단한 방법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대적으로 소용량의 압축 공기 공급원(56)이 구성될 수 있다.
전술된 송풍 장치는 원형 편물기의 작동 전에 자동으로 작동되고, 원형 편물기가 정지될 때 다소 지연되어 자동으로 작동정지된다. 추가의 제어 밸브가 예를 들어 분배 장치(54) 및 압축 공기 공급원(56) 사이에 장착될 수 있고, 각각 원형 편물기의 작동 및 작동정지시 자동으로 작동 및 작동정지될 수 있다.
현재까지 가장 우수한 것으로 사료되는 제 5 도 내지 제 7 도에 따른 실시예에서, 제 1 도에서와 같이 중공 실린더형 하우징(69)이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69)은 축(70)과 로드(17)에 고정된 상부의 플랜지형 돌출부(71)를 가진다. 분배 장치는 적합한 내측 단면을 가진 특히 분배 부시(72)로 구성되고. 상기 분배 부시(72)는 하우징(69)에 장착된 지지링(73) 및 돌출부(71)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동측으로 하우징(69)에 장착되며, 따라서 축방향 운동을 하지 못하도록 하우징(69)에 고정된다. 지지링(73) 아래에 연결되고 또한 하우징(69)에 고정된 서클립(74)에 의해 상기 지지링(73)은 축방향 이동되지 못하도록 부분적으로 고정된다.
분배 부시(72)는 하부의 플랜지형 돌출부(75)를 가지고, 동축으로 장착된 홀더(76)가 상기 돌출부(75)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홀더(76)는 상기 돌출부(75) 및 하우징(69)의 돌출부(71) 사이에서 분배 부시(72)에 대해 축방향으로 고정 된다. 홀더(76)는 제 1 도 내지 제 4 도의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중공 챔버(77)를 가지고, 하나의 튜브(28,29)가 상응 중공 챔버(77)로 연결된 통로로 나사체결되거나 배면 너트에 의해 홀더(76)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하나의 튜브(28,29)는 각 중공 챔버(77)에 연결된다.
제 1 도 내지 제 4 도에 따른 홀더(23)와 같이 튜브(28,29)를 지지하는 홀더(76)는 크랭크 구동장치(78)에 의해 축(70)에 대하여 왕복으로 진동될 수 있다. 크랭크 구동장치(78)는 회전 구동장치(37)와 구동축(40)에 동축으로 고정된 크랭크 디스크(80)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구동장치(37)는 하우징(69) 저면에 장착된 지지판(79)에 고정되며, 상기 디스크는 연결 로드(81)의 한 단부에 대해 회전되는 편심되어 장착된 핀(82)을 가진다. 연결 로드(81)의 다른 한 단부는 홀더(76) 저면의 편심되어 구성된 피봇점에서 회전되어, 축(70)에 평행한 축에 대한 크랭크 디스크(80)의 회전은 축(70)에 대한 홀더(76)의 진동 왕복 운동을 발생시킨다. 튜브(28,29)의 배열 및 설계는 제 1 도 내지 제 4 도의 실시예와 유사하다.
튜브(28,29)로의 공기 공급에 대한 제어는 분배 부시(72)를 이용하여 제 5도 내지 제 7 도에 따른 실시예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분배 부시(72)는 하나 이상의 분배 채널(83)을 가지고, 상기 분배 채널(83)은 실시예에서 분배 부시(72)의 외측면에 형성된 그루브(groove)로 구성되며, 상기 그루브는 예를 들어 90° 인 360° 미만의 범위로 원주방향으로 연장구성되고, 상기 분배 채널(83)은 분배 부시(72)를 관통하는 개구부를 통해 환형 채널(85)과 소통되며, 상기 환형 채널(85)은 분배 부시(72)의 내측면 및/또는 하우징(69)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축(70) 주위로 구성된다. 상기 환형 채널(85)은 채널(86)을 통해 축에 평행하게 연결 유니언 (union)(87)과 영구소통되고, 위치 고정된 하우징(69)에 형성된다. 환형 채널(85)은 임의의 중공 챔버(77)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해, 홀더(76)는 중공 챔버(77)가 구성된 위치에서 통로(88)를 가지고, 상기 통로(88)를 통해 각 중공 챔버(77)는 홀더(75) 및 분배 부시(72)의 회전 위치에 따라 분배 채널(83)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분배 채널(83)은 환형 채널(85)과 영구소통된다.
홀더(76)의 저면에 구동폴(drive pawl)(89)이 구성되고, 상기 구동폴(89)은 축(70)에 평행한 축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치형부(90)와 공동작동 되고, 상기 치형부(90)는 적합한 축방향 높이로 분배 부시(72)의 외주에 구성된다.
화살표(u)의 방향으로 크랭크 구동장치(78)에 의해 이루어지는 홀더(76)의 각 전진 행정에서(제 7 도), 분배 부시(72)가 화살표(x)의 방향으로 상응 회전각을 통해 회전되는 반면에, 홀더(76)가 화살표(w)의 방향으로 후진 운동을 수행할 때 분배 부시(72)가 정치되어 유지되도록, 배열이 이루어진다. 분배 부시(72)의 우발적인 역회전은 개략적으로 도시된 차단폴(91)에 의해 방지될 수 있고, 상기 차단폴(91)은 분배 부시(21)의 상응 치형부와 공동작동된다.
연결 유니언(87)은 예를 들어 가요성 호스 등과 같은 연결 라인(92)에 의해 압축 공기 공급원(56)에 연결되고, 제 4 도에서와 같이 제어가능 밸브(53), 압력 지시계(54) 및 압력 조절기(55)가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스위치 패널(58)을 포함한 제 4 도에 도시된 다른 부품은 생략될 수 있다.
제 5 도 내지 제 7 도를 참고로 기술된 장치는 하기와 같이 작동된다.
회전 구동장치(37)의 작동으로 크랭크 디스크(80)는 지시된 화살표의 방향으로 회전되고, 연결 로드(81) 및 홀더(76)는 화살표(u,w)의 방향으로 왕복으로 이동되어, 홀더(76)의 진동 운동은 제 7 도에 화살표(93)로 표시되어 있으며, 실시예에서 약 90° 의 크기이다. 분배 채널(83)이 전진 행정에서 홀더(76)와 함께 화살표(u)의 방향으로 단계를 통해 회전될 때에도, 중공 챔버(77)의 통로(88)가 예를 들어 분배 채널(83)과 일정하게 소통되어 홀더(76)의 상기 운동 중 환형 채널(85)과 소통되도록, 다양한 부품의 크기가 선택된다. 따라서, 밸브(53)의 개방시 압축 공기는 전체 진동 운동 중 중공 챔버(77)에 연결된 튜브(28)에서 유동된다. 동시에 예를 들어 제 5 도의 좌측에 도시된 중공 챔버(77a)와 같은 다른 중공 챔버(77)는 압축 공기 공급원(56)에 연결되지 않고, 이유는 후방 통로(88a)가 분배 채널(83)에 연결되지 않으며 개구부(84)를 가진 분배 부시(72)의 벽영역에 연결되지 않기 때문이다.
크랭크 구동장치(78)의 다음 행정에서, 홀더와 함께 분배 부시(72)는화살표(u)의 방향으로 예를 들어 90° 의 단계를 통해 회전된다. 따라서, 분배 채널(83)은 회전방향에 따르는 튜브(28a)(제 6 도)에 부속된 통로(88)의 영역에 구성되어, 압축 공기는 상기 튜브(28a)로 공급된다. 제 5 단계에서 튜브(28)가 압축 공기 공급원(56)에 재연결될 때까지, 다른 튜브(28b,28c)에 후속 단계에서 상응하는 방법으로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하나의 선택된 튜브는 전술된 방법으로 압축 공기 공급원(56)에 항상 연결되고, 다른 튜브(28 또는 29)에 대한 압축 공기의 통로는 차단된다. 따라서, 부품(35,52.53,54,55)은 제 4 도와 대조적으로 단독으로 구성될 필요가 있다.
실시예에서 분배 부시(72)는 고정 하우징(69) 및 진동 홀더(76)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화살표(u)의 방향으로 분배 채널(83)의 길이는 튜브(28 또는 29)의 수량에 따라 또한 특정 경우에 크랭크 행정의 크기에 따라 매우 상이하게 선택될 수 있고, 예를 들어 60° 의 회전각에 대해 60° 의 간격으로 6개의 튜브 구성 또는 120° 의 회전각에 대해 120° 의 간격으로 3개의 튜브(28) 구성에 상응한다. 분배 부시(72) 주위의 치형부 간격은 상응하게 선택되어야 한다.
청정 작업이 항상 복수개의 튜브(28 또는 29)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면, 제 7 도의 분배 채널(83)은 예를 들어 2배의 길이로 구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분배 채널(83)의 정반대에 구성된 분배 부시(72)의 위치에 다른 분배 채널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정반대에 구성된 2개의 튜브(28,29)는 동시에 압축 공기 공급원(56)에 항상 연결된다. 상응하는 방법으로 분배 채널(83)의 길이는 더 짧게 형성될 수도 있어, 튜브(28,29)는 홀더(76)의 전진 또는 복귀 행정의 일부동안 압축 공기 공급원(56)에 연결된다. 따라서, 개별 튜브(28)에 대한 송풍 시간(83)은 또한 분배 채널의 길이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적합한 밀봉 수단이 하우징(69), 분배 부시(72) 및 중공 챔버(77) 사이의 버트 조인트(butt joint) 영역에서 압축 공기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밀봉링(94)의 제 5 도의 우측에 도시되어 있고, 래버린스(labyrinth) 밀봉부(95)가 좌측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실시예는 다양한 방법으로 수정될 수 있다. 상기는 특히 튜브(28,29) 또는 송풍구(47 내지 51)의 설계 및 배열에 적용되고, 이중 배열(48,49 또는 50,51)이 가장 우수한 해법으로 판명되었다 하더라도 폭넓게 변화될 수 있다. 특히 선호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송풍구가 송풍 노즐에 형성되고, 상기 송풍 노즐은 튜브(28,29)에 회전 및 조절가능하게 연결되어, 특정 경우에 소요상태로 각각 조절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목적을 위해 상이한 형상의 튜브 및/또는 상이한 형상의 송풍 노즐의 복수개의 세트를 장치에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예를 들어 상이한 튜브(28 내지 28c,29)에 의해 표시되는 바와 같이 소요시 상기 세트는 교체될 수 있다.
또한, 4개의 브라켓(15) 대신에 많거나 적은 상기 브라켓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응하게 크랭크 구동장치(36,78)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각 튜브(28,29)는 진동 운동에서 약 90° 미만의 또는 초과의 각범위로 이동된다. 또한, 허브(21) 및 홀더(23)를 일체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경우에 핀(25)이 제거되며, 그리고/또는 디스크(22)를 단순히 레버 또는 아암으로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디스크(22)는 피봇점(44)을 형성한다. 도시된 크랭크 구동장치와 다른 진동 구동장치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별도로, 초기에 언급된 실시예의 분배 장치(34)에 대한 설계 및 제어는 완전히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의 의지에 따라 결정되고, 특정 경우의 특정 요구 조건에 적합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점에 따르면, 특정 매개변수가 공지된 송풍 장치의 경우와 상이하게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장점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이미 설치된 원형 편물기에 이후에 장착될 수 있거나 원형 편물기의 부속품으로서 제공될 수 있고, 이유는 상기를 위해 단순히 로드(17)를 원형 편물기의 중심에 장착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며, 상기 로드(17)는 다른 이유로(예를 들어 램프 홀더로서) 미리 구성되지 않는다. 분배 장치(34)는 이미 존재하는 또는 추가로 장착된 스위치 캐비넷에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스위치 캐비넷은 기계 측면 또는 프레임(1)에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정치 니들 실린더 및 회전가능 캠박스링을 가진 원형 편물기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제 5 도 내지 제 7 도에 따른 실시예에서, 분배 부시(72) 또는 상응 분배 장치를 하우징(69) 및 홀더(76) 사이 대신에 상기 하우징(69) 및 홀더(76)의 위 또는 아래에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크랭크 구동장치(78)와 다른 상이한 방법으로 상기 분배 부시(72) 또는 상응 분배 장치를 진행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다양한 채널 또는 개구부를 도시된 바와 상이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유는 상기가 소요 기능에 매우 중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분배 장치의 분배 채널(83)이 홀더(76)에 형성될 수 있고 또한 분배 부시(72)의 단순홀과 조합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가 적용된다. 전술된 개별 부품은 도시된 조합과 상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니들 실린더의 중간에 구성된 로드(17)에 상기 장치를 고정시키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원리적으로, 로드(17)는 상이한 구조물에 의해 대체될 수 있고, 중앙 위치로부터의 편향이 적합하게 형성된 튜브(28,29)에 대해 보상될 수 있는 한 상기 구조물은 니들 실린더의 축(2)과 정확하게 동축으로 구성될 필요가 없다. 상기 구성은 니들 실린더의 외부에 다이얼 등을 가지는 원형 편물기에 적용시 바람직할 수 있고, 상기 경우에 로드(17)는 다이얼 캐리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구비된 원형 편물기의 개략적인 정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에 따른 원형 편물기를 통한 부분 수직 단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Ⅲ-Ⅲ을 따른 단면도.
제 4 도는 제어 장치와 함께 제 1 도 내지 제 3 도에 따른 장치의 제 3 도와 유사한 개략적인 평면도.
제 5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2 실시예에 대한 수직 단면도.
제 6 도는 제 5 도에 따른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제 7 도는 제 5 도의 선 Ⅶ-Ⅶ을 따른 단면도.
* 부호설명
1...프레임 2...축
3...니들 실린더 4...편물 니들
5...캠박스링 6...캠
8...기초판 9...지지부
10...지지링 11...실공급 장치

Claims (24)

  1. 각각 원형 경로 영역에서 왕복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 복수개의 송풍구(47 내지 51)와 송풍구(47 내지 51)에 연결된 압축 공기 공급원(55)을 가진 보풀을 제거하기 위한 원형 편물기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홀더(23,76) 및 분배 장치(34,72)로 구성되고, 상기 홀더(23,76)에 왕복 회전되도록 복수개의 튜브(28,29)가 장착되며, 상기 튜브(28,29)는 반경방향으로 연장구성되고, 송풍구(47 내지 51)에 연결되며, 상기 분배 장치(34,72)는 압축 공기 공급원(56)에 연결가능하고, 상기 분배 장치(34,72)에 의해 튜브(28,29)가 개별적으로 또는 그룹으로 예정된 순서에 따라 압축 공기 공급원(56)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왕복 운동은 크랭크 구동장치(36)에 의해 발생되고, 상기 크랭크 구동장치(36)는 홀더(23) 및 회전 구동장치(37) 사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로드(17)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송풍구(47 내지 51)는 송풍노즐에 형성되고, 상기 송풍 노즐은 튜브(28,29)에 구성되며, 상기 튜브(28,29)는 개별적으로 경사구성되고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이한 튜브(28a 내지 28c,29) 또는 송풍구(47 내지 51)를 가진 노즐의 복수개의 세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각 튜브(28,29)에서 개별적으로 공기압을 조절하기 위해 수단(55)이 분배 장치(34,72)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개별 튜브(23,29)에 대한 압축 공기 공급의 시간을 조절하기 위해 수단(53,83)이 분배 장치(34,72)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3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로드(17)는 중공형이고, 튜브(28,29)는 가요성 호스(33)에 의해 분배 장치(34)에 연결되며, 상기 가요성 호스(33)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로드(17)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분배 장치는 단계적으로 이동가능한 분배 부시(72)로 구성되고, 상기 분배 부시(72)는 하우징(69) 및 홀더(75)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하나 이상의 선택된 튜브(28)를 회전 위치에 따라 압축 공기 공급원(56)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수단(83)이 상기 분배 부시(72)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수단은 회전방향으로 연장구성된 예정 길이의 분배 채널(83)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홀더(76)에 구동폴(89)이 구성되고, 상기 구동폴(89)은 분배 부시(72)의 단계적인 회전을 위해 상기 분배 부시(72)의 치형부(90)와 공동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밀봉 수단(94,95)은 하우징(69), 분배 부시(72) 또는 튜브(28,29)에 연결된 중공 챔버(77) 사이의 버트 조인트 영역에서 압축 공기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보풀 제거 장치와 니들 실린더(3)를 가진 원형 편물기에 있어서, 보풀 제거 장치는 제 1 항에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편물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편물기는 니를 실린더(3) 위의 고정 위치에서 브라켓(15)에 지지되는 실안내링(14)으로 구성되고, 송풍구(47 내지 51) 왕복 운동의 행정은 브라켓(15)의 간격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편물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편물 시스템은 니들 실린더(3)의 주위를 따라 구성되고, 실안내링(14)의 반경방향 외부에 구성된 위치로부터 하나 이상의 실(12)이 각 상기 편물 시스템으로 공급되며, 송풍구(47)는 실안내링(14) 및 실(12)에 의해 형성된 환형 공간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편물기.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이중 노즐은 하나 이상의 튜브(29)에 결합되고, 니들 실린더(3)의 원주방향으로 대향되어 방향설정된 2개의 송풍구(48,49)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편물기.
  17.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편물기는 로드(17)를 가지고, 보풀 제거 장치는 로드(17)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편물기.
  18. 제 13 항에 있어서, 보풀 제거 장치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 또는 제 6 항 또는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편물기.
  19. 제 13 항에 있어서, 보풀 제거 장치는 제 4 항에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편물기.
  20. 제 13 항에 있어서, 보풀 제거 장치는 제 5 항에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편물기.
  21. 제 13 항에 있어서, 보풀 제거 장치는 제 7 항에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편물기.
  22. 제 13 항에 있어서, 보풀 제거 장치는 제 8 항에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편물기.
  23. 제 13 항에 있어서, 보풀 제거 장치는 제 11 항에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편물기.
  24. 제 13 항에 있어서, 보풀 제거 장치는 제 12 항에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편물기.
KR1019940034296A 1993-12-15 1994-12-15 원형편물기의보풀제거장치및상기장치가장착된원형편물기 KR1003453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G9319234.7 1993-12-15
DE9319234U DE9319234U1 (de) 1993-12-15 1993-12-15 Vorrichtung zum Abblasen von Flaum o.dgl. an einer Rundstrickmaschine und mit einer solchen Vorrichtung ausgerüstete Rundstrickmaschine
DEP4440075.6 1994-11-10
DE4440075A DE4440075B4 (de) 1993-12-15 1994-11-10 Vorrichtung zum Abblasen von Flaum oder dergleichen an einer Rundstrickmaschine und mit einer solchen Vorrichtung ausgerüstete Rundstrickmas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792A KR950018792A (ko) 1995-07-22
KR100345375B1 true KR100345375B1 (ko) 2002-11-30

Family

ID=25941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4296A KR100345375B1 (ko) 1993-12-15 1994-12-15 원형편물기의보풀제거장치및상기장치가장착된원형편물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544504A (ko)
JP (1) JPH07207555A (ko)
KR (1) KR100345375B1 (ko)
DE (1) DE4440075B4 (ko)
ES (1) ES2116185B1 (ko)
GB (1) GB2284827B (ko)
SG (1) SG8185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4375B1 (ko) 2010-03-23 2011-11-21 김태동 환편기용 엔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004062D0 (en) * 1999-02-22 2000-04-12 Yoo Chol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lints in circular knitting machine
US7017375B1 (en) * 2005-08-08 2006-03-28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Fiber blowing and heat dissipating system of single-sided circular knitting machine
SG172513A1 (en) * 2010-01-07 2011-07-28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Yarn feeding plate double-sided floss blowing apparatu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US7784308B1 (en) * 2010-01-12 2010-08-31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Yarn feeding plate double-sided floss blowing apparatu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EP2343405A1 (en) * 2010-01-12 2011-07-13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Yarn feeding plate bi-directional floss blowing apparatu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JP2011149109A (ja) * 2010-01-19 2011-08-04 Hakuryu Kikaisho Kofun Yugenkoshi 丸編み機の給糸板両面糸屑吹き飛ばし装置
KR101358594B1 (ko) * 2012-10-31 2014-02-04 백창흠 장갑편직기용 이물질 비산장치
CN107604626B (zh) * 2017-09-21 2023-08-04 福建佰源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针织圆编机智能在线验布装置
KR101975677B1 (ko) * 2017-11-20 2019-05-07 양진석 환편기용 보풀 제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D34664A (ko) *
US2357714A (en) * 1944-02-04 1944-09-05 Stop Motion Devices Corp Stop motion head for knitting machines
US2422514A (en) * 1946-08-21 1947-06-17 John L Allen Apparatus for cleaning knitting machines
US2846860A (en) * 1955-09-19 1958-08-12 Mellor Bromley & Co Ltd Means for the dispersal of fluff or lint from knitting machines
DE1113786B (de) * 1957-09-16 1961-09-14 Fouquet Werk Frauz & Planck Flaum-Abblaseeinrichtung fuer Rechts/Rechts-Rundstrickmaschinen
US3269151A (en) * 1964-04-16 1966-08-30 Uniwave Inc Cleaning apparatus for knitting machines
US3422640A (en) * 1967-05-04 1969-01-21 Abraham Abrams Reciprocating lint-removing device for knitting machine
US3678713A (en) * 1969-07-29 1972-07-25 Inst Textile Tech Creel structure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DE7638042U1 (de) * 1976-12-04 1978-05-24 C. Terrot Soehne Gmbh & Co, 7000 Stuttgart Rundstrickmaschine
DE2815052A1 (de) * 1978-04-07 1979-10-18 Memminger Gmbh Vorrichtung zur verhinderung der ablagerung von schmutz und faserflug bei strick- und wirkmaschinen
DE7926865U1 (de) * 1979-09-21 1980-12-11 Sipra Patententwicklungs- Und Beteiligungsgesellschaft Mbh, 7000 Stuttgart Entstaubungseinrichtung fuer rundstrickmaschinen
DD159439B1 (de) * 1981-06-04 1986-08-13 Dieter Rothe Vorrichtung zum abblasen von staub- und flusen fuer strickmaschinen, insbesondere rundstrickmaschinen
JPS6253457A (ja) * 1985-08-30 1987-03-09 株式会社 福原精機製作所 丸編機用除塵装置
JPS62104949A (ja) * 1985-10-28 1987-05-15 株式会社 福原精機製作所 丸編機用除塵装置
JPH0339504Y2 (ko) * 1986-10-24 1991-08-20
US5000013A (en) * 1988-09-16 1991-03-19 William Rovinsky Air sequencer for a knitting machine
DE9111538U1 (ko) * 1991-09-18 1992-04-16 Uniwave, Inc., Farmingdale, N.Y., Us
US5195337A (en) * 1991-11-14 1993-03-23 Alandale Industr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flushing debris from the cylinder slots of circular knitting machines
JPH06287844A (ja) * 1993-02-02 1994-10-11 Fukuhara Seiki Seisakusho:Kk 丸編機における繊維屑などの吸塵・排出装置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編成部品冷却装置
JP3283334B2 (ja) * 1993-04-09 2002-05-20 株式会社福原精機製作所 丸編機における除塵装置
GB2279144B (en) * 1993-04-14 1997-06-04 Falmac Machinery Rotary air distribu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4375B1 (ko) 2010-03-23 2011-11-21 김태동 환편기용 엔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792A (ko) 1995-07-22
GB2284827B (en) 1998-02-18
SG81851A1 (en) 2001-07-24
DE4440075B4 (de) 2007-05-31
US5544504A (en) 1996-08-13
GB9425256D0 (en) 1995-02-08
JPH07207555A (ja) 1995-08-08
GB2284827A (en) 1995-06-21
DE4440075A1 (de) 1995-06-22
ES2116185B1 (es) 1999-02-16
ES2116185A1 (es) 1998-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5375B1 (ko) 원형편물기의보풀제거장치및상기장치가장착된원형편물기
KR101192065B1 (ko) 먼지 제거 장치를 가지는 원형 편직기
KR102217322B1 (ko) 환편기의 린트제거장치
US6834517B1 (en) Yarn feeding system
CA2209448C (en) Means and method for deterring lint and debris accumulation on the knitting instruments of a knitting machine
EP0510508A2 (en) Collector/remover of dust of flocks in knitting machine
US5175905A (en) Debris cleaning apparatu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US5388431A (en) Dust-removing and oil-feeding injection nozzle apparatus in the knitting unit of a knitting machine
US5327749A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creel
GB2273111A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striper control system
JP2000239951A (ja) 丸編機の正・逆回転式リント除去方法及びその装置
US2846860A (en) Means for the dispersal of fluff or lint from knitting machines
CN104846532A (zh) 一种袜子面料针织机中的线筒安装装置
KR100292000B1 (ko) 환편기의 정·역회전식 린트 제거방법 및 그 장치
CN101535543B (zh) 喂纱器
GB2182355A (en) Lint removing apparatu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
CN100491617C (zh) 单面圆编机的吹絮及散热系统
US4703632A (en) Lint removing apparatu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
JP2007154403A (ja) 空気供給式の編機
CN112850354A (zh) 一种抗菌吸湿复合丝制备工艺
US5675991A (en) Cleaning system for knitting machines
JP4971090B2 (ja) ダブル編用丸編機及びダブル生地の編成方法
KR100729963B1 (ko) 편면 환편기의 섬유 송풍 및 열 소산 시스템
KR200213375Y1 (ko) 경편기의 비임 고정용 캘리퍼
SU1320289A1 (ru) Круглов зальна машина дл одновременного изготовлени изделий малого диаметр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