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4033B1 - 애퍼처그릴에의스프링용착방법및애퍼처그릴의후부착스프링용용착장치 - Google Patents

애퍼처그릴에의스프링용착방법및애퍼처그릴의후부착스프링용용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4033B1
KR100344033B1 KR1019950021844A KR19950021844A KR100344033B1 KR 100344033 B1 KR100344033 B1 KR 100344033B1 KR 1019950021844 A KR1019950021844 A KR 1019950021844A KR 19950021844 A KR19950021844 A KR 19950021844A KR 100344033 B1 KR100344033 B1 KR 100344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pin
aperture grill
panel
gr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1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5693A (ko
Inventor
야나이구니히꼬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960005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4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40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Resistance Welding (AREA)
  • Formation Of Various Coating Films On Cathode Ray Tubes And Lamps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퍼처그릴에의 스프링용착방법 및 애퍼처그릴의 후부착스프링용 용착장치에 관한 것이며, 동시 용착하지 않아도, 각 스프링의 핀공끼리의 상대위치가 틀리지 않고 4개의 스프링을 애퍼처그릴에 정밀도 양호하게 용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애퍼처그릴(1)을 패널(5)에 부착한 상태에서, 그릴(107)의 표면과 패널부(501)의 내면과의 간격이 어떤 장소에서도 항상 일정하게 되도록 한 핀공(307) 개소를 인덱스하고, 이 인덱스한 개소에 핀공(307)이 위치하도록 하횡멤버 (103) 및 좌우의 종멤버 (105)의 스프링홀더(111)에 스프링(3)을 먼저 용착하고, 그 후 용착한 3개의 스프링(3)의 핀공(307)의 상대위치가 패널(5)의 하 및 좌우의 스커트부(503)의 핀(505) 상호의 배치에 합치하도록 애퍼처그릴(1)을 위치결정한 상태에서, 남은 1개의 스프링(3)을 상기 인덱스한 개소에 핀공(307)이 위치하도록 위치결정하여 상횡멤버(103)의 스프링홀더(111)에 용착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애퍼처그릴에의 스프링융착방법 및 애퍼처그릴의 후부착스프링용 용착장치
본 발명은 컬러음극선관 (이하, CRT라고 약기함)을 구성하는 애퍼처그릴의 4개의 측부에 패널부착용의 스프링을 용착하는 방법과, 3개의 측부에 미리 스프링이 용착된 애퍼처그릴의 나머지의 11개의 측부에 스프링을 용착하는 후부착 스프링용 용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수상기나 콤퓨터의 모니터텔레비전에 사용되는 애퍼처그릴을 가지는 CRT에서는, 3원색(R, G, B)의 형광도료를 내면에 도포한 패널의 내측에 다수의 슬릿을 형성한 애퍼처그릴이 부착되어 있고, 전자총으로부터 출사되는 3원색의 전자빔이 애퍼처그릴의 슬릿을 통과하여 패널내면의 대응하는 색의 형광도료 개소에 조사(照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애퍼처그릴은 상하좌우의 4개의 멤버에 의하여 대략 4각형으로 형성된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장설된 그릴로 구성되고, 이 그릴의 좌우로 간격을 둔 개소에 상기 슬릿이 상하로 연재하여 다수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패널은 상기 그릴보다 큰 치수의 대략 4각형이고 내면에 상기 형광도료가 도포된 패널부와, 이 패널부의 4변으로부터 내면측으로 연출형성된 상하좌우의 4개의 스커트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패널부는 상기 그릴보다 큰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애퍼처그릴의 패널에의 부착은 애퍼처그릴의 3개 또는 4개의 멤버에 패널부착용의 스프링을 용착하고, 이 스프링의 핀공과 패널의 3개 또는 4개의 스커트부의 내면에 장착된 핀을 계합시킴으로써 행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애퍼처그릴을 패널에 부착한 상태에서, 그릴의 표면과 패널부의 내면의 간격이 장소에 따라서 상이하면, 그릴의 슬릿을 통과한 전자빔이 패널부의 대응하는 형광도료 개소에 정확하게 조사되지 않고, 완성후의 CRT에 있어서 색어긋남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요인으로 된다.
그러므로, 콤퓨터의 모니터텔레비전과 같이 고정채도(高精彩度)가 요구되는 CRT나, 화면사이즈가 큰 CRT 등에 있어서는, 특히 그릴의 표면과 패널부의 내면의 간격이 어떤 장소에서도 항상 일정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패널부의 내면에 대한 그릴의 표면의 위치는 패널의 3개 또는 4개의 핀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본 패널부의 내면의 위치와, 애퍼처그릴의 3개 또는 4개의 핀공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본 그릴의 표면의 위치에 따라서 결정되고, 이중, 패널의 상기 평면에서 본 패널부의 내면의 위치는 핀이 패널에 이미 장착되어 있으므로 정해져 있다.
그러므로, 패널부의 내면에 대한 그릴의 표면의 위치를 결정하는데에는, 각 멤버에 스프링을 용착할 때의 핀공의 위치가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되고, 따라서 각 멤버에 스프링을 용착함에 있어서는, 패널의 각 핀의 위치에 맞추어서 각 멤버에의 스프링의 용착개소를 설정하고, 그 용착개소에 스프링을 정밀도 양호하게 용착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특히 근년에는 CRT의 화면 및 중량의 매형화에 따라서, 패널의 핀과 애퍼처그릴의 스프링을 각각 4개씩으로 한 4점 지지방식이 많이 채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4점 지지방식의 CRT에 있어서 스프링을 각 멤버에 용착함에 있어서는, 각 스프링의 핀공끼리의 상대위치가 틀리지 않도록, 4개의 스프링을 동시에 용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4개의 스프링은 그 배치 및 방향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각 스프링마다 1개씩 개별의 용착기를 사용하여 용착하게 되고, 이들 4개의 용착기는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 배설되는 애퍼처그릴의 위치결정부재 등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프레임의 내측에 배설하게 된다.
그러나, 예를 들면 16인치 등의 화면사이즈가 비교적 작은 CRT의 경우에는,프레임의 크기가 화면사이즈에 맞추어 작아지므로, 프레임의 내측에 4개의 용착기를 배설할 넓은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없고, 따라서 4개의 스프링을 동시에 용착하는 것이 구조상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4개의 스프링을 동시에 용착하면, 각 스프링이 각 멤버의 소정의 용착개소로부터 미묘하게 어긋난 개소에 용착된 경우, 각 스프링의 용착개소의 어긋남이 각각 허용 범위내라도, 스프링 상호의 상대위치의 어긋남이 허용범위내에 들어가지 않는 일이 있고, 그 경우에는 각 멤버로부터 스프링을 전부 떼어내어 재차 다시 용착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5(1993) - 299017호 공보에 개시(開示)된 방식과 같이, 애퍼처그릴의 4개의 스프링중 1개의 스프링의 핀공을 패널의 핀보다 큰 치수로 형성하고, 이 스프링에 패널의 핀에 계합가능한 치수의 핀공을 가지는 코인을 나중에 용착하는 구성으로 하면, 4개의 스프링을 몇회로 나누어 용착했다고 해도, 각 스프링의 용착개소로부터의 위치어긋남을 코인의 스프링에 대한 용착개소의 미소조정에 의하여 흡수하여 보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실제로는 코인을 스프링에 용착할 때에 발생하는 열 등에 의하여 코인과 스프링의 한쪽 또는 양쪽이 변형하여, 스프링에 용착한 후의 코인의 핀공의 위치를 패널의 대응하는 핀의 위치에 정확하게 합치시킬 수 없다.
또, 이 방식으로는, 패널의 핀을 코인 및 스프링의 핀공에 계합시킨 상태에서 스프링에 코인을 용착하지 않으면 안되고, 패널과 코인의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밖에 생기지 않으므로, 코인과 스프링의 용착이 매우 행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은 패널부착용의 4개의 스프링을 애퍼처그릴의 4개의 측부에 용착함에 있어서, 4개의 스프링을 동시에 용착하지 않아도, 각 스프링의 핀공끼리의 상대위치가 틀리지 않고, 각 스프링을 애퍼처그릴에 정밀도 양호하게 용착할 수 있고, 또한 애퍼처그릴을 패널에 부착하지 않고 스프링의 주위에 넓은 스페이스를 확보하여 스프링을 용이하게 용착할 수 있는 애퍼처그릴에의 스프링용착방법과, 3개의 스프링이 용착된 애퍼처그릴에 남은 1개의 스프링을 나중에 정밀도 양호하게 용착할 수 있는 용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패널부와, 이 패널부의 4변으로부터 연출 형성된 상하좌우의 4개의 스커트부로 이루어지고, 이 4개의 스커트부에 애퍼처그릴부착용 핀이 장착된 패널과, 상기 패널의 내측에 배설되고, 상기 각 스커트부에 면하는 4개의 측부의 내측에 상기 패널부에 면하여 배치되는 색선별용의 그릴이 장설된 애퍼처그릴을 구비하는 컬러음극선관의 애퍼처그릴에서의 스프링용착방법에 었어서, 상기 애퍼처그릴의 각 측부에 상기 핀과 계합가능한 핀공을 가지는 패널부착용의 스프링을 용착함에 있어서, 상기 각 핀의 상기 패널부에 대한 위치에 상응한 상기 각 스프링의 핀공의 상기 그릴에 대한 위치를 각각 인덱스하고, 상기 애퍼처그릴의 3개의 측부에 상기 인덱스한 위치에 핀공이 위치하도록 삼기 스프링을 각각 동시에 용착하고, 다음에 상기 애퍼처그릴에서 상기 스프링을 용착하고 있지 않은 1개의 측부에 스프링을 맞대고, 또한 이 스프링의 핀공과 상기 3개의 측부에 용착한 스프링의 핀공과의 배치가 상기 4개의 핀의 배치에 합치하도록 상기 맞댄 스프링을 위치결정하고, 다음에 상기 위치결정한 스프링을 상기 애퍼처그릴의 1개의 측부에 용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패널부와, 이 패널부의 4변으로부터 연출형성된 상하좌우의 4개의 스커트부로 이루어지고, 이 4개의 스커트부에 애퍼처그릴의 부착용 핀이 장착된 패널과, 상기 패널의 내측에 배설되고, 상기 각 스커트부에 면하는 4개의 측부의 내측에 상기 패널부와의 간격이 일정하게 되도록 배치되는 색선별용의 그릴이 장설된 애퍼처그릴과, 상기 애퍼처그릴의 4개의 측부중 3개의 측부에 용착되고, 이 애퍼처그릴을 상기 패널의 내측에 배설한 상태에서, 상기 3개의 측부가 면하는 상기 3개의 스커트부의 핀에 계합하는 핀공을 가지는 패널부착용의 스프링을 구비하는 컬러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애퍼처그릴에서 상기 스프링을 용착하고 있지 않은 1개의 측부에 스프링을 용착하는 후부착스프링용 용착장치로서, 상기 3개의 스커트부의 핀의 배치에 합치하는 기준개소에 각각 배설되고, 상기 3개의 측부의 스프링의 핀공에 각각 계합되는 3개의 제1 위치결정핀과, 상기 각 제1 위치결정핀을 상기 기준개소와, 이 각 제1 위치결정핀이 상기 3개의 측부의 스프링의 핀공으로부터 이탈하는 개소와의 사이에서 각각 이동시키는 제1 계탈용 이동기구와, 상기 3개의 측부의 스프링의 핀공에 상기 3개의 제1 위치결정핀을 각각 계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애퍼처그릴의 1개의 측부에 면하고, 이 3개의 제1 위치결정핀에 대한 배치가 상기 3개의 스커트부의 핀에 대한 나머지의 1개의 스커트부의 핀지 배치에 합치하는 기준개소에 매설되는 제2 위치결정핀과, 상기제2 위치결정핀을 이 제2 위치결정핀의 상기 기준개소로부터, 이 기준개소보다 상기 1개의 측부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한 개소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제2 계탈용 이동기구와, 상기 애퍼처그릴의 1개의 측부에 용착하는 스프링을 상기 제2 위치결정핀에 공급하고, 이 스프링의 핀공을 상기 제2 위치결정핀에 계합시키는 스프링공급수단과, 상기 제2 위치결정핀의 상기 기준개소에 있어서, 이 제2 위치결정핀에 핀공을 계합시킨 상기 스프링을 상기 애퍼처그릴의 1개의 축부에 용착하는 스프링용착수단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3개의 제1 위치결정핀중 최소한 1개의 제1 위치결정핀을 상기 제1 계탈용 이동기구에 지한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위치조정용 이동기구와, 상기 제2 위치결정핀을 상기 제2 계탈용 이동기구에 의한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위치조정용 이동기구를 더 구비하는 것으로 하였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제1 위치조정용 이동기구에 의한 상기 제1 위치결정핀의 이동량과, 상기 제2 위치조정용 이동기구에 의한 상기 제2 위치결정핀의 이동량은 상기 패널에 대한 상기 핀의 장착위치와, 상기 패널부 및 그릴의 트위스트에 상응하여 결정되는 것으로 하였다.
패널부의 내면에 대한 그릴의 표면의 위치를 결정하는데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3개의 스프링의 핀공을 포함하는 평면이 먼저 용착한 3개의 스프링의 핀공에 의하여 획성되고, 나중에 용착하는 1개의 스프링의 핀공과, 먼저 용착한 3개의 스프링의 핀공과의 배치가 패널의 4개의 핀기 배치에 합치하므로, 4개의 스프링을 애퍼처그릴의 4개의 측부에 동시에 용착하지 않아도, 각 스프링의 핀공끼리의 상대위치가 틀리지 않는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트리니트론방식의 CRT를 구성하는 패널과 이 패널의 내측에서 지지되는 애퍼처그릴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2도는 뒤쪽에서 본 패널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패널(5)은 대략 4각형의 패널부(501)와, 이 패널부(501)의 4변으로부터 뒤쪽으로 연출형성된 상하좌우의 4개의 스커트부(503)로 이루어진다.
상기 패널부(501)는 좌우방향의 양측부보다 중앙부의 쪽이 앞쪽으로 돌출하도록 만곡하여 형성되고, 상기 상하 및 좌우의 스커트부(503)의 내면에는 핀(505)이 장착되어있다.
제1도는 뒤쪽에서 본 애퍼처그릴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애퍼처그릴(1)은 상하의 횡멤버(103) 및 양횡멤버(103)의 후면 양끝 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좌우의 종멤버(105)에 의하여 상기 패널부(501) 보다 작은 치수의 대략 4각형으로 형성된 프레임(101)과, 이 프레임(101)의 내측에서 상기 상하의 횡멤버(103)의 앞면 사이에 장설된 시트형의 그릴(10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횡멤버(103)는 상기 패널부(501)에 대응하도록, 좌우방향의 양측부보다 중앙부의 쪽이 앞쪽으로 돌출하도록 만곡하여 형성되고, 상기 그릴(107)에서 좌우방향으로 간격을 둔 개소에는, 상하로 연재하는 다수의 슬릿(109)이 형성되고, 상기 상하의 횡멤버 (103)와 좌우의 종멤버(105)의 외측면에는 각각 스프링홀더(111)(애퍼처그릴의 측부에 상당)가 용착되어 있다.
상기 애퍼처그릴(1)의 패널(5)에의 부착은 상기 각 스프링홀더(111)에 용착되는 스프링(3)과 상기 패널(5)의 핀(505)과의 계합에 의하여 행해지고, 이로써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애퍼처그릴(1)이 패널(5)의 내측에서 지지된다.
상기 스프링(3)은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부(301)와, 이 중간부(301)의 양끝에 연출형성된 기부(基部)(303) 및 선단부(305)에 의하여 평면에서 보아 4각형으로 형성되고, 기부(303)는 중간부(301)의 외면측으로 절곡되고, 선단부(305)는 중간부(301)의 내면측으로 절곡되어 있다.
상기 기부(303)는 스프링홀더(111)에 용착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선단부(305)는 각 멤버(103), (105)의 외측에 위치하고, 이 선단부(305)에는 상기 핀(505)과 계합가능한 핀공(307)이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횡멤버(103) 및 좌우의 종멤버(105)의 3개의 스프링홀더(111)에, 도시하지 않은 용착장치에 의하여 상기 스프링(3)이 각각 이미 용착되어 있다.
상기 3개의 스프링(3)은, 예를 들면 각각의 핀공(307)에 각각 끼워진 상기 용착장치의 지지용 핀을 패널(5)의 각 스커트부(503)에 대한 핀(505)의 장착위치와, 패널부(501) 및 그릴(107)의 트위스트를 측정한 결과에 의하여 산출된 핀공(307) 개소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키고, 또한 상기 지지용 핀을 하횡멤버(103) 및 좌우의 종멤버(105)에 각각 근접시켜서 각 스프링 (3)을 스프링홀더(111)에 맞대어 위치결정한 상태에서, 스프링(3) 상호의 핀공(307)의 위치가 틀리지 않도록,상기 용착장치의 3개의 용착기에 의하여 동시에 용착되어 있다.
이로써, 상기 애퍼처그릴(1)은 그릴(107)의 표면과 패널부(501)의 내면과의 간격이 어떤 장소에서도 일정하게 되도록 애퍼처그릴(1)을 패널(5)의 내측에 배설한 상태에서, 각각의 핀공(307)의 위치가 상기 3개의 핀(505)의 위치에 합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 관한 용착장치(7)에 의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애퍼처그릴(1)의 상횡멤버(103)의 스프링홀더(111)에 스프링 (3)이 용착된다.
제4도는 실시예에 관한 용착장치(7)의 정면도, 제5도는 그 평면도, 제6도는 그 측면도를 나타낸다.
용착장치(7)는 전후로 긴 평면에서 보아 4각형의 기대(基臺)(9)와, 이 기대(9)의 상면 앞부분에 배설된 테이블(11)과, 이 테이블(11)상에 배설된 애퍼처그릴위치결정지지수단 (이하, 지지수단이라고 약기함)(13)과, 스프링위치결정수단(15)과, 테이블(11 )의 뒤쪽의 기대(9) 개소에 배설된 스프링공급수단(17)과, 테이블(11)의 뒤부분에 배설된 스프링용착수단(19) 등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수단(13)은 제7도에 테이블(11)의 평면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3)을 통하여 좌우의 종멤버(105)를 각각 위치결정지지하는 2개의 스프링지지부(21)와, 스프링(3)을 통하여 하횡멤버(103)를 위치결정지지하는 1개의 스프링지지부(23)와, 애퍼처그릴(1)의 상부에서 좌우양측 근방개소를 고정하는 2개의 상고정부(25)와, 애퍼처그릴(1)의 하부에서 좌우양측 근방개소를 고정하는 2개의 하고정부(27)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지지부(21)는 상기 좌우의 종멤버(105)의 스프링(3)의 핀공(307)에 계합가능한 핀(29)과, 이 핀(29)을 종멤버(105)로부터 이간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31)로 이루어진다.
제8도는 상기 이동기구(31)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이동기구(31)는 상기 테이블(11)상에 설치된 베이스판(3101)과, 이 베이스판(3101)상에서 가이드레일(3103) 및 슬라이더(3105)를 통하여 종멤버(105)로부터 이간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이동판(3107)과, 테이블(11)에 베어링(1101)을 통하여 회전가능 및 축방향이동불능으로 지지된 스크류샤프트(3109)와, 이 스크류샤프트(3109)를 회전시키는 모터(3111)(제9도 참조)와, 상기 스크류샤프트(3109)에 나착(螺着)되어 상기 슬라이더(3105)를 지지하는 이동부재(3113)를 구비하고, 상기 핀(29)은 슬라이더(3105)상에 세워설치된 지주(3115)에 돌출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동기구(31)는 상기 모터(3111)의 회전구동에 의하여 이동부재(3113)를 통하여 이동판(3107)이 이동하고, 이로써 상기 핀(33)이 핀공(307)에 계탈(係脫)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9도는 제8도의 A에서 본 도면, 제10조는 제9도의 B에서 본 도면을 나타낸다.
상기 스프링지지부(23)는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횡멤버(103)의 스프링(3)의 핀공(307)에 계합가능한 핀(33)과, 이 핀(33)을 이동시키는 이동기구(35)로 이루어지고, 이 이동기구(35)는 제11도에 측면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핀(33)을 하횡멤버(103)의 길이방향에 따라서 이동시키는 좌우이동기구(37)와, 핀(33)을 스프링(3)으로부터 이간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후이동기구(39)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좌우이동기구(37)는 상기 테이블(11)상에서 가이드레일(3701) 및 슬라이더(3703)를 통하여 하횡멤버(103)의 길이방향에 따라서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중간이동판(3705)과, 테이블(11)에 베어링 (1103)을 통하여 회전가능 및 축방향이동불능으로 지지된 스크류샤프트(3707)와, 이 스크류샤프트(3707)를 회전시키는 모터(3709) (제12도 참조)와, 상기 스크류샤프트(3707)에 나착되어 상기 중간이동판(3705)을 지지하는 이동부재(371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좌우이동기구(37)는 상기 모터(3709)의 회전구동에 의하여, 이동부재(3711)를 통하여 상기 중간이동판(3705)이 하횡멤버(103)의 길이방향에 따라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2도는 제11도의 C에서 본 도면을 나타낸다.
상기 전부이동기구(39)는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중간이동판(3705)상에서 가이드레일(3901) 및 슬라이더(3903)를 통하여 스프링(3)으로부터 이간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이동판(3905)과, 상기 중간이동판(3705)에 베어링(3713)을 통하여 회전가능 및 축방향이동불능으로 지지된 스크류샤프트(3907)와, 이 스크류샤프트(3907)를 회전시키는 모터(3909) (제11도 참조)와, 상기 스크류샤프트(3707)에 나착되어 상기 이동판(3905)을 지지하는 이동부재(3911)를 구비하고, 상기 핀(33)은 이동판(3905)상에 세워설치된 지주(3913)에 돌출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후이동기구(39)는 상기 모터(3909)의 회전구동에 의하여, 이동부재(3911), 이동판(3905) 및 지주(3913)를 통하여 상기 핀(33)이 스프링(3)으로부터 이간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핀공(307)에 계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프링지지부(23)에 스프링이탈기구(41)가 배설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이탈기구(41)는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주(3913)의 상부에서 상하로 간격을 둔 개소의 베어링부(3915)에 각각 삽통된 2개의 가이드로드(4101)와, 상기 지주(3913)로부터 핀(33)이 돌출설치된 측에 돌출하는 양 가이드로드(4101)의 끝부 사이에 가설된 스프링압압부재(4103)와, 지주(3913)로부터 핀(33)이 돌출설치된 측과는 반대측에 돌출하는 양 가이드로드(4101)의 끝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4105)와, 지주(3913)에 브래킷(3917)을 통하여 지지된 실린더 (4107)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실린더(4107)의 피스톤로드(4109)의 선단은 상기 연결부재(4105)에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압압부재(4103)의 일측에는, 상기 핀(33)과의 간섭을 방지하는 홈(4111)이 형성되고, 스프링이탈기구(41)는 실린더 (4107)의 신장작동에 의하여 스프링 압압부재(4103)가 지주(3913)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핀(33)에 계합한 스프링(3)을 압압하여 핀(33)으로부터 이탈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지지부(21)의 지주(3115)에도, 상기 스프링이탈기구(41)와 동일한 스프링이탈기구 (도시하지 않음)가 배설되어 있다.
또, 실시예에서는, 상기 핀(29), (33)이 제1 위치결정핀에 상당하고, 상기이동기구(31)와 전후이동기구(39)가 제1 계탈용 이동기구에 상당하고, 상기 좌우이동기구(37)가 제1 위치조정용 이동기구에 상당하고, 제13도는 제12도의 D에서 본 도면을 나타낸다.
상기 상고정부(25)는 제1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좌우의 종멤버(105)의 상단부 근방개소 후면에 계합가능한 뒤누름부재(43)와, 상횡멤버(103)의 좌우양단부 근방개소 앞면에 계합가능한 앞누름부재(45)와, 그들 각 누름부재(43), (45)를 각기 각 멤버(103), (105)에 계탈시키는 구동기구(47), (49)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뒤누름부재(43)의 구동기구(47)는 테이블(11)로 지지된 수평축(1105)를 중심으로 하여 요동가능한 요동암(4701)과, 상기 수평축(1105)에 링크(4703)를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요동암(4701)을 요동시키는 로크업실린더(4705)를 구비하고, 상기 뒤누름부재(43)는 요동암(4701)의 선단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뒤누름부재(43)는 로크업실린더(4705)의 신장작동에 의하여 링크(4703) 및 수평축(1105)을 통하여 요동암(4701)을 위쪽으로 요동시킴으로써, 그 선단이 종멤버(105)의 후면에 접하고, 구동기구(47)는 뒤누름부재(43)가 종멤버(105)의 후면에 접한 시점에서 로크업실린더(4705)가 로크되어, 뒤누름부재(43)가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앞누름부재(45)의 구동기구(49)는 대략 L자형을 나타내고, 그 중간부가 상기 테이블(11)로 지지된 수평축(1107)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한 요동암(4901)과, 테이블(11)상의 수평축(1109)을 중심으로 하여 기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실린더(490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실린더(4903)의 피스톤로드(4905)의 선단은 핀(4907)을 통하여 상기 요동암(4901)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앞누름부재(45)는 이 요동암(4901)의 타단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구동기구(49)는 상기 뒤누름부재(43)의 선단이 종멤버(105)의 후면에 접하여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로드(4905)의 신장동작에 의하여 요동암(4701)을 그 타단측이 테이블(11)에 근접하도록 요동시킴으로써, 앞누름부재(45)가 상횡멤버(103)의 앞면에 접하여, 뒤누름부재(43)와 함께 애퍼처그릴(1)을 협지하도록 구성되고, 이 때 요동암(4901)의 타단 근방개소는 상횡멤버(103)의 외측면에 접한다.
상기 하고정부(27)는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테이블(11)상에 돌출설치된 축(1111)을 중심으로 하여 수평면내에서 요동가능하게 지지된 로크업실린더(2701)와, 테이블(11)상에 돌출설치된 축(1113)을 중심으로 하여 수평면내에서 요동가능하게 기단이 지지된 요동암(2703)가, 이 요동암(2703)의 선단에 장착되어 하횡멤버(103)의 좌우양단 근방개소 외측면에 각각 접촉가능한 누름부재(2705)를 구비하고, 상기 요동암(2703)의 기단 근방개소는 핀(2707)을 통하여 로크업실린더(2701)의 피스톤로드(2709)의 선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하고정부(27)는 상기 로크업실린더(2701)의 신장작동에 의하여 수평요동암(2703)이 요동함으로써, 누름부재(2705)가 애퍼처그릴(1)의 외측으로부터 상횡멤버(103)에 근접하여 그 외측면에 각각 접하고, 이 시점에서 로크업실린더(2701)의 신장작동이 정지되어 요동암(2703)이 요동불능으로 로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위치결정수단(15)은 스프링지지부(21), (23)에 의하여 애퍼처그릴(1)을 위치결정하여 지지한 상태에서, 상횡멤버(103)의 스프링홀더(111)에 스프링을 맞대어 위치결정하는 것으로,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3)의 핀공(307)에 계합가능한 핀(51) (제2 위치결정핀에 상당)과, 이 핀(51)을 이동시키는 이동기구(53)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기구(53)는 제15도에 측면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핀(51)을 상횡멤버(103)의 길이방향에 따라서 이동시키는 좌우이동기구(55)와, 핀(51)을 스프링(3)으로부터 이간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후이동기구(57)와, 핀(51)을 테이블(11)상에서 승강시키는 승강이동기구(59)로 구성되고, 좌우이동기구(55) 및 승강이동기구(59)가 제2 위치조정용 이동기구에 상당하고, 전후이동기구(57)가 제2 계탈용 이동기구에 상당하고 있다.
상기 좌우이동기구(55)는 가이드레일(5501), 슬라이더(5503), 제1 중간이동판(5505), 스크류샤프트(5507), 모터(5509) 및 이동부재(5511)를 구비하고, 상기 좌우이동기구(37)와 마찬가지로, 모터(5509)의 회전구동에 의하여, 이동부재(5511)를 통하여 제1 중간이동판(5505)이 테이블(11)상에서 상횡멤버(103)의 길이방향에 따라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5도에 있어서, (1115)는 테이블(11)에 형성된 슬릿, (5513)은 제1 중간 이동판(5505)의 후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수직으로 설치된 가이드판을 나타내고, 이 가이드판(5513)의 선단은 상기 슬릿(1115)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 전후이동기구(57)는 가이드레일(5701), 슬라이더(5703), 제2 중간이동판(5705), 스크류샤프트(5707), 모터(5709) (제16도 참조), 및 이동부재(5711)를 구비하고, 상기 전후이동기구(39)와 대략 마찬가지로, 모터(5709)의 회전구동에 의하여 이동부재(5711)를 통하여 제2 중간이동판(5705)이 제1 중간이동판(5505)상에서 상횡멤버(103)로부터 이간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5도에 있어서, (5713)은 제2 중간이동판(5705)의 후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수직으로 설치된 가이드판을 나타내고, 이 가이드판(5713)의 선단은 상기 슬릿(1115)에 삽입되고, 가이드판(5713)의 하부에는 가이드레일(5715)이 장착되고, 가이드판(5513)의 하부에는, 가이드레일(5715)상을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더(5515)가 장착되어있다.
상기 승강이동기구(59)는 제16도에 평면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판(5713)에 대향하여 배설된 승강판(5901)과, 이 승강판(5901)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판(5713)의 가이드레일(5717)상을 슬라이드가능한 슬라이더(5903)와, 가이드판(5713)에 베어링(5719)을 통하여 회전가능 및 축방향이동불능으로 지지된 스크류샤프트(5905)와, 이 스크류샤프트(5905)를 회전시키는 모터(5907) (제15도 참조)와, 상기 스크류샤프트(5905)에 나착되어 상기 승강판(5901)에 결합된 승강부재(5909)를 구비하고, 상기 핀(51)은 승강판(5901)상에 세워설치된 지주(5911)에 돌출설치되어 있다.
상기 승강이동기구(59)는 상기 모터(5907)의 회전구동에 의하여 승강부재(5909) 및 승강판(5901)을 통하여 상기 핀(51)이 승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7도는 이동기구(53)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제17도에 있어서, (5913)은 상기 핀(51)의 주위의 지주(5911) 개소에 장착된 자석을 나타내고, 이 자석(5913)의 선단면에서 상기 핀(51)의 상하의 개소에는 돌기(5915)가 각각 형성되고, 핀(51)이 핀공(307)에 계합한 상태에서, 스프링(3)의 중간부(301)에 자석(5913)이 접촉하고, 양 돌기(5915)가 중간부(301)의 상하 양에지에 각각 계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공급수단(17)은 제5도 및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3)이 다수 수용된 매거진(61)과, 이 매거진(61)으로부터 스프링위치결정수단(15)의 핀(51)에 스프링(3)을 건네주는 델리버리기구(63)로 이루어진다.
상기 매거진(61)은 2열 배설되고, 제1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매거진(61)의 앞끝의 취출구(6101)에는, 매거진(61)으로부터 1매씩 스프링(3)을 취출하는 취출기구(65)가 배설되어 있다.
상기 취출기구(65)는 도시하지 않은 승강구동원에 의하여 승강되는 승강블록(6501)과, 이 승강블록(6501)에 장착된 자석(6503)을 구비하고, 자석(6503)의 선단면에는 홈(650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취출기구(65)는 승강블록(6501)을 취출구(6101 )에 위치시킴으로써 스프링(3)이 자석(6503)에 자착(磁着)되고, 이 상태로부터 승강블록(6501)이 상승함으로써, 스프링(3)의 중간부(301)의 하에지에 승강블록(6501)의 스텝부(도시하지 않음)가 계합하고, 취출구(6101)의 스프링(3)이 위쪽으로 인상되어 매거진(61)으로부터 취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델리버리기구(63)는 제5도 및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대(9)상에 세워설치되어 이 기대(9)의 좌우방향으로 연재하는 지지프레임(6301)과, 이 지지프레임(6301)상에서 지지되어 기대(9)의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이동체(6303)와, 이 이동체(6303)로부터 기대(9)의 앞쪽에 연설된 가이드암(6305)을 구비한다.
또, 상기 델리버리기구(63)는 또한 상기 가이드암(6305)으로 지지되어 기대(9)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이동프레임(6307)과, 이 이동프레임(6307)에 승강가능하게 지지된 승강프레임(6309)과, 이 승강프레임(6309)으로 지지되어 수평면내에서 회전가능한 로터리액튜에이터(6311)와, 이 로터리 액튜에이터(6311)의 하단에서 지지된 처크(6313)를 구비하고, 이 델리버리기구(63)의 구동은 도시하지 않은 구동원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제19도는 델리버리기구(63)의 요부측면도를 나타내고, 상기 처크(6313)는 개폐가능한 1쌍의 처크편(片)(6315)으로 이루어진다.
한쪽의 상기 처크편(6315)은 상기 자석(6503)에 자착된 스프링(3)과 홈(6505)의 간극 W에 삽입가능한 치수로 형성되고, 제19도중, (6317)은 승강프레임(6309)측에 계합가능한 스토퍼를 나타내고, 이 스토퍼(6317)에 의하여 승강프레임(6309)의 상한위치가 결정된다.
상기 델리버리기구(63)는 이동체(6303), 이동프레임(6307) 및 승강프레임(6309)의 이동에 의하여, 처크(6313)가 각 매거진(61)의 취출구(6101)와 스프링위치결정수단(15)의 핀(51)의 사이를 교호로 왕복이동하고, 또한 로터리액튜에이터(6311)의 회전에 의하여, 처크(6313)의 방향을 임의의 방향으로 변경할 수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처크(6313)를 연 상태에서 한쪽의 처크편(6315)을 상기 간극 W에 삽입하고, 그 후 처크(6313)를 닫고, 자석(6503)의 자력에 대항하여 처크(6313)를 취출기구(65)로부터 이간시킴으로써, 취출기구(65)로부터 처크(6313)에 스프링(3)이 건네지고, 또 이 스프링(3)의 핀공(307)을 핀(51)에 계합시켜서 처크(6313)를 열므로, 스프링(3)이 자석(5913)에 자착되어 처크(6313)로부터 떨어져서, 핀(51)에 건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0도는 제19도의 E에서 본 도면을 나타낸다.
상기 스프링용착수단(19)은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테이블(11)에 승강가능 및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지지대(1901)와, 이 지지대(1901)를 승강시키거나 또는 상횡멤버(103)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승강 및 좌우이동기구와, 이 지지대(1901)의 전후로 간격을 둔 개소로부터 각각 세워설치된 지지편(1903)과, 각 지지편(1903)의 내면에서 각각 지지된 전극(1905)과, 뒤쪽의 전극(1905)을 앞쪽의 전극(1905)으로부터 이간접근시키는 실린더(1907)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양 전극(1905)은 스프링지지부(21), (23)에 의하여 애퍼처그릴(1)을 위치결정하여 지지하고, 스프링공급수단(17)에 의하여 상횡멤버(103)의 스프링홀더(111)의 외면에 스프링(3)의 기부(303)를 맞대어 위치결정한 상태에서, 스프링홀더(111)보다 내측개소와, 스프링(3)의 기부(303)보다 외측개소에 각각 위치한다.
상기 스프링용착수단(19)은 상기 실린더(1907)를 작동시켜서, 스프링지지부(21), (23)에 의하여 위치결정하여 지지한 애퍼처그릴(1)에 양 전극(1905)을 근접시키고, 스프링홀더(111)의 내면과, 스프링(3)의 기부(303)의 외면에 각각 접촉시켜서, 양 전극(1905)간에 통전함으로써, 스폿용접에 의하여 스프링홀더(111)와 스프링(3)이 용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용착장치(7)에 의한 스프링(3)의 용착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스프링지지부(21), (23)의 핀(29), (33)과, 스프링위치결정수단(15)의 핀(51)을 이동기구(31) 및 전후이동기구(39), (57)에 의하여 테이블(11)의 외측으로 이동시켜 놓고, 이 상태에서 각 핀(29), (33), (51)의 내측에 애퍼처그릴(1)을 배설한다.
다음에, 좌우의 종멤버(105)의 스프링(3)의 핀공(307)을 상기 핀(29)에 각각 면하게 하고, 그 후 이동기구(31)에 의하여 핀(29)을 각각 애퍼처그릴(1)측에 근접시켜서, 핀(29)을 좌우의 종멤버(105)의 스프링(3)의 핀공(307)에 계합시킨다.
다음에, 하횡멤버 (103) 및 좌우의 종멤버(105)의 3개의 스프링홀더(111)에 스프링(3)을 용착할 때에, 패널(5)의 각 스커트부(503)에 대한 핀(505)의 장착위치와, 패널부(501) 및 그릴(107)의 트위스트를 측정한 결과에 의하여 산출된 3개의 핀공(307) 개소를 기초로, 상기 하 및 좌우의 스커트부(503)의 3개의 핀(505) 상호의 배치에 합치하도록 한 상기 핀(29)에 대한 핀(33)의 상대위치를 인덱스하고, 이에 따라서 좌우이동기구(37)를 작동시켜서, 하횡멤버(103)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핀(33)의 위치를 조정한다.
그리고, 상기 전후이동기구(39)에 의하여 핀(33)을 애퍼처그릴(1)측에 근접시키고, 핀(33)을 하횡멤버 (103)의 스프링(3)의 핀공(307)에 계합시키고, 다시 상기 상하의 고정부(25), (27)에 의하여 애퍼처그릴(1)을 고정하고, 이로써 애퍼처그릴(1)을 위치결정 하여 지지한다.
다음에, 스프링공급수단(17)의 취출기구(65)에 의하여 매거진(61)으로부터 스프링(3)을 1매 취출하고, 이 스프링(3)을 델리버리기구(63)에 의하여 스프링위치결정수단(15)에 이송하고, 핀공(307)을 핀(51)에 계합시키는 동시에 중간부(301)를 자석(5913)에 자착시킨다.
다음에, 3개의 스프링홀더 (111)에의 스프링(3)의 용착시에 산출된 3개의 핀공(307)개소를 기초로, 상기 상하좌우의 스커트부의 핀(505) 상호의 배치에 합치하도록 한 상기 핀(29), (33)에 대한 핀(51)의 상대위치를 인덱스하고, 이에 따라서 좌우이동기구(55) 및 승강이동기구(59)를 작동시켜서, 상횡멤버(103)의 길이방향 및 테이블(11)의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핀(51)의 위치를 조정한다.
그리고, 상기 전후이동기구(57)에 의하여 핀(51)을 애퍼처그릴(1)측에 근접시켜서, 핀(51)에 계합된 스프링(3)의 기부(303)를 상횡멤버(103)의 스프링홀더(111)에 맞대어 위치결정한다.
다음에, 먼저 인덱스한 핀(29), (33)에 대한 핀(51)의 상대위치에 따라서, 스프링용착수단(19)의 지지대(1901)를 상기 승강 및 좌우이동기구에 의하여 승강시키거나 또는 상횡멤버(103)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양 전극(1905)을 스프링홀더 (111)의 내면과 스프링(3)의 기부(303)의 외면에 각각 면하게 한다.
그리고, 실린더(1907)에 의하여 양 전극(1905)을 근접시켜서 스프링홀더(111)와 스프링(3)의 기부(303)에 각각 접촉시키고, 양 전극(1905)간에 통전하여 스프링홀더(111)와 스프링(3)을 용착한다.
스프링홀더(111)와 스프링(3)을 용착하였으면, 전술한 바와는 역의 수순에 의하여 스프링용착수단(19), 스프링위치결정수단(15), 상하의 정부(25), (27) 및 스프링지지부(21), (23)를 원상태로 순차 복귀시키고, 테이블(11)상으로부터 애퍼처그릴(1)을 제거하여 다음의 애퍼처그릴(1)을 각 핀(29), (33), (51)의 내측에 배설한다.
그리고, 이 후 전술한 동작의 반복에 의하여 각 애퍼처그릴(1)의 상횡멤버의 스프링홀더(111)에 스프링(3)을 용착하여 간다.
그리고, 상기 애퍼처그릴(1)을 위치결정하여 지지한 상태에 있어서의 핀(29), (33)의 위치와 스프링(3)을 위치결정한 상태에 있어서의 핀(51)의 위치는 각각의 애퍼처그릴(1)의 그릴(107) 및 이것을 부착할 상대 패널(5)의 패널부(501)의 트위스트와, 이 패널(5)의 핀(505) 장착위치를 측정한 결과에 따라서 산출된 3개의 핀공(307) 개소에 따라서, 각 애퍼처그릴(1)마다 개별로 결정된다.
이와 같이 실시예에 의하면, 패널(5)의 각 스커트부(503)에 대한 핀(505)의 장착위치와, 패널부(501) 및 그릴(107)의 트위스트를 측정한 결과를 기초로, 애퍼처그릴(1)을 패널(5)에 부착한 상태에서, 그릴(107)의 표면과 패널부(501)의 내면과의 간격이 어떤 장소에서도 항상 일정하게 되도록 한 핀공(307) 개소를 인덱스하고, 이 인덱스한 개소에 핀공(307)이 위치하도록, 하횡멤버(103) 및 좌우의종멤버(105)의 스프링홀더(111)에 스프링(3)을 먼저 용착하고, 그 후 용착한 3개의 스프링(3)의 핀공(307)의 상대위치가 패널(5)의 하 및 좌우의 스커트부(503)의 핀(505) 상호의 배치에 합치하도록 애퍼처그릴(1)을 위치결정한 상태에서, 남은 1개의 스프링(3)을 상기 인덱스한 개소에 핀공(307)이 위치하도록 위치결정하여 상횡멤버(103)의 스프링홀더(111)에 용착하도록 하였다.
그러므로, 4개의 스프링(3)을 상하 및 좌우의 각 멤버(103), (105)의 스프링홀더(111)에 동시에 용착하지 않아도, 각 스프링(3)의 핀공(307)의 상대위치를 틀리지 않고, 각 스프링(3)을 스프링홀더(111)에 정밀도 양호하게 용착할 수 있다.
또, 하횡멤버(103) 및 좌우의 종멤버(105)의 스프링홀더(111)에의 스프링(3)의 용착을 먼저 행하므로, 그들 3개의 스프링(3)의 용착시, 간격이 작은 상하의 횡멤버(103) 사이에 상하의 횡멤버(103)용의 2개의 용착수단을 늘어서 배설하지 않고, 하횡멤버(103)용의 용착수단만을 배설하는 것만으로 되고, 따라서 예를 들면 16인치 등의 화면사이즈가 비교적 작은 CRT라도 지장없이 용착작업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하횡멤버(103) 및 좌우의 종멤버(105)의 스프링홀더(111)에 스프링(3)을 용착하는 용착장치의 구성이나, 상횡멤버(103)에 스프링(3)을 용착하는 용착장치(7)의 구성은 실시예에서 나타낸 구성에 한하지 않고 임의이며, 또 상횡멤버(103)의 스프링(3)에 대신하여 하횡멤버(103)의 스프링(3)을 다른 3개의 멤버(103), (105)의 스프링(3)의 용착 후에 용착하는 등, 나중에 용착하는 스프링(3)을 어떤 스프링(3)으로 하는가는 임의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병에 의하면, 패널부와, 이 패널부의 4변으로부터 연출형성된 상하좌우의 4개의 스커트부로 이루어지고, 이 4개의 스커트부에 애퍼처그릴부착용 핀이 장착된 패널과, 상기 패널의 내측에 배설되고, 상기 각 스커트부에 면하는 4개의 측부의 내측에 상기 패널부에 면하여 배치되는 색선별용의 그릴이 장설된 애퍼처그릴을 구비하는 컬러음극선관의 애퍼처그릴에의 스프링용착방법에 있어서, 상기 애퍼처그릴의 각 측부에 상기 핀과 계합가능한 핀공을 가지는 패널부착용의 스프링을 용착함에 있어서, 상기 각 핀의 상기 패널부에 대한 위치에 상응한 상기 각 스프링의 핀공의 상기 그릴에 대한 위치를 각각 인덱스하고, 상기 애퍼처그릴의 3개의 측부에 상기 인덱스한 위치에 핀공이 위치하도록 상기 스프링을 각각 동시에 용착하고, 다음에 상기 애퍼처그릴에서 상기 스프링을 용착하고 있지 않은 1개의 측부에 스프링을 맞대고, 또한 이 스프링의 핀공과 상기 3개의 측부에 용착한 스프링의 핀공과의 배치가 상기 4개의 핀의 배치에 합치하도록 상기 맞댄 스프링을 위치결정하고, 다음에 상기 위치결정한 스프링을 상기 애퍼처그릴의 1개의 측부에 용착하도록 하였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패널부와, 이 패널부의 4면으로부터 연출형성된 상하좌우의 4개의 스커트부로 이루어지고, 이 4개의 스커트부에 애퍼처그릴의 부착용 핀이 장착된 패널과, 상기 패널의 내측에 배설되고, 상기 각 스커트부에 면하는 4개의 측부의 내측에 상기 패널부와의 간격이 일정하게 되도록 배치되는 색선별용의 그릴이 장설된 애퍼처그릴과, 상기 애퍼처그릴의 4개의 측부중 3개의 측부에 용착되고, 이 애퍼처그릴을 상기 패널의 내측에 배설한 상태에서, 상기 3개의 측부가 면하는 상기 3개의 스커트부의 핀에 계합하는 핀공을 가지는 패널부착용의 스프링을 구비하는 컬러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애퍼처그릴에서 상기 스프링을 용착하고 있지 많은 1개의 측부에 스프링을 용착하는 후부착스프링용 용착장치로서, 상기 3개의 스커트부의 핀의 배치에 합치하는 기준개소에 각각 배설되고, 상기 3개의 측부의 스프링의 핀공에 각각 계합되는 3개의 제1위치결정핀과, 상기 각 제1 위치결정핀을 상기 기준개소와, 이 각 제1 위치결정핀이 상기 3개의 측부의 스프링의 핀공으로부터 이탈하는 재소와의 사이에서 각각 이동시키는 제1 계탈용 이동기구와, 상기 3개의 측부의 스프링의 핀공에 상기 3개의 제1 위치결정핀을 각각 계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애퍼처그릴의 1개의 측부에 면하고, 이 3개의 제1 위치결정핀에 대한 배치가 상기 3개의 스커트부의 핀에 대한 나머지 1개의 스커트부의 핀의 배치에 합치하는 기준개소에 배설되는 제2 위치결정핀과, 상기 제2 위치결정핀을 이 제2 위치결정핀의 상기 기준개소로부터, 이 기준개소보다 상기 1개의 측부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한 개소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제2 계탈용 이동기구와, 상기 애퍼처그릴의 1개의 측부에 용착하는 스프링을 상기 제2 위치결정핀에 공급하고, 이 스프링의 핀공을 상기 제2 위치결정핀에 계합시키는 스프링공급수단과, 상기 제2 위치결정핀의 상기 기준개소에 있어서, 이 제2 위치결정핀에 핀공을 계합시킨 상기 스프링을 상기 애퍼처그릴의 1개의 측부에 용착하는 스프링용착수단과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그러므로, 패널부착용의 4개의 스프링을 애퍼처그릴의 4개의 측부에 용착함에 있어서, 4개의 스프링을 동시에 용착하지 않아도, 각 스프링의 핀공끼리의 상대위치를 틀리지 않고, 각 스프링을 애퍼처그릴에 정밀도 양호하게 용착할 수 있고, 또한 애퍼처그릴을 패널에 부착하지 않고 스프링의 주위에 넓은 스페이스를 확보하여 스프링을 용이하게 용착할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퍼처그릴을 뒤쪽에서 본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애퍼처그릴이 부착되는 패널을 뒤쪽에서 본 사시도.
제3도는 패널에 애퍼처그릴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4도는 실시예에 관한 용착장치의 정면도.
제5도는 실시예에 관한 용착장치의 평면도.
제6도는 실시예에 관한 용착장치의 측면도.
제7도는 테이블의 평면도.
제8도는 좌우의 종멤버용의 핀의 이동기구의 측면도.
제9도는 제8도의 A에서 본 도면.
제10도는 제9도의 B에서 본 도면.
제11도는 하횡멤버용의 핀의 이동기구의 측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C에서 본 도면.
제13도는 제12도의 D에서 본 도면.
제14도는 상고정부의 정면도.
제15도는 스프링위치 결정수단의 핀의 이동기구의 측면도.
제16도는 제15도에 나타낸 이동기구의 평면도.
제17도는 제15도에 나타낸 이동기구의 정면도.
제18도는 매거진 및 취출기구의 평면도.
제19도는 델리버리기구의 요부측면도.
제20도는 제19도의 E에서 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애퍼처그릴, (107) : 그릴, (111) : 스프링홀더, (3) : 스프링, (307) : 핀공, (5) : 패널, (501) : 패널부, (503) : 스커트부, (505), (29), (33), (51) : 핀, (7) : 용착장치, (17) : 스프링공급수단, (19) : 스프링용착수단, (31) : 이동기구, (37), (55) : 좌우이공기구, (39), (57) : 전후이동기구, (59) : 승강이동기구.

Claims (4)

  1. 패널부와, 이 패널부의 4변으로부터 연출형성된 상하좌우의 4개의 스커트부로 이루어지고, 이 4개의 스커트부에 애퍼처그릴부착용 핀이 장착된 패널과,
    상기 패널의 내측에 배설되고, 상기 각 스커트부에 면하는 4개의 측부의 내측에 상기 패널부에 면하여 배치되는 색선별용의 그릴이 장설된 애퍼처그릴을 구비하는 컬러음극선관의 애퍼처그릴에의 스프링용착방법에 있어서,
    상기 애퍼처그릴의 각 측부에 상기 핀과 계합가능한 핀공을 가지는 패널부착용의 스프링을 용착함에 있어서,
    상기 각 핀의 상기 패널부에 대한 위치에 상응한 상기 각 스프링의 핀공의 상기 그릴에 대한 위치를 각각 인덱스하고,
    상기 애퍼처그릴의 3개의 측부에 상기 인덱스한 위치에 핀공이 위치하도록 상기 스프링을 각각 동시에 용착하고,
    다음에, 상기 애퍼처그릴에서 상기 스프링을 용착하고 있지 않은 1개의 측부에 스프링을 맞대고, 또한 이 스프링의 핀공과 상기 3개의 측부에 용착한 스프링의 핀공과의 배치가 상기 4개의 핀의 배치에 합치하도록 상기 맞댄 스프링을 위치결정하고,
    다음에, 상기 위치결정한 스프링을 상기 애퍼처그릴의 1개의 측부에 용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피처그릴에의 스프링용착방법.
  2. 패널부와, 이 패널부의 4변으로부터 연출형성된 상하좌우의 4개의 스커트부로 이루어지고, 이 4개의 스커트부에 애퍼처그릴의 부착용 핀이 장착된 패널과,
    상기 패널의 내측에 배설되고, 상기 각 스커트부에 면하는 4개의 측부의 내측에 상기 패널부와의 간격이 일정하게 되도록 배치되는 색선별용의 그릴이 장설된 애퍼처그릴과,
    상기 애퍼처그릴의 4개의 측부중 3개의 측부에 용착되고, 이 애퍼처그릴을 상기 패널의 내측에 배설한 상태에서, 상기 3개의 측부가 면하는 상기 3개의 스커트부의 핀에 계합하는 핀공을 가지는 패널부착용의 스프링을 구비하는 컬러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애퍼처그릴에서 상기 스프링을 용착하고 있지 않은 1개의 측부에 스프링을 용착하는 후부착스프링용 용착장치로서,
    상기 3개의 스커트부의 핀의 배치에 합치하는 기준개소에 각각 배설되고, 상기 3개의 측부의 스프링의 핀공에 각각 계합되는 3개의 제1 위치결정핀과,
    상기 각 제1 위치결정핀을 상기 기준개소와, 이 각 제1 위치결정핀이 상기 3개의 측부의 스프링의 핀공으로부터 이탈하는 개소와의 사이에서 각각 이동시키는 제1 계탈용 이동기구와,
    상기 3개의 측부의 스프링의 핀공에 상기 3개의 제1 위치결정핀을 각각 계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애퍼처그릴의 1개의 측부에 면하고, 이 3개의 제1 위치결정핀에 대한 배치가 상기 3개의 스커트부의 핀에 대한 나머지의 1개의 스커트부의 핀의배치에 합치하는 기준개소에 배설되는 제2 위치결정핀과,
    상기 제2 위치결정핀을 이 제2 위치결정핀의 상기 기준개소로부터, 이 기준개소보다 상기 1개의 측부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한 개소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제2 계탈용 이동기구와,
    상기 애퍼처그릴의 1개의 측부에 용착하는 스프링을 상기 제2 위치결정핀에 공급하고, 이 스프링의 핀공을 상기 제2 위치결정핀에 계합시키는 스프링공급수단과,
    상기 제2위치결정핀의 상기 기준개소에 있어서, 이 제2위치결정핀에 핀공을 계합시킨 상기 스프링을 상기 애퍼처그릴의 1개의 측부에 용착하는 스프링용착수단과,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퍼처그릴의 후부착스프링용 용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제1 위치결정핀중 최소한 1개의 제1 위치결정핀을 상기 제1 계탈용 이동기구에 의한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위치조정용 이동기구와, 상기 제2 위치결정핀을 상기 제2 계탈용 이동기구에 의한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위치조정용 이동기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퍼처그릴의 후부착스프링용 용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조정용 이동기구에 의한 상기 제1 위치결정핀의 이동량과, 상기 제2 위치조정용 이동기구에 의한 상기 제2 위치결정핀의 이동량은 상기 패널에 대한 상기 핀의 장착위치와, 상기 패널부 및 그릴의 트위스트에 상응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퍼처그릴의 후부착스프링용 용착장치.
KR1019950021844A 1994-07-26 1995-07-24 애퍼처그릴에의스프링용착방법및애퍼처그릴의후부착스프링용용착장치 KR1003440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488994A JP3223713B2 (ja) 1994-07-26 1994-07-26 アパーチャグリルの後付スプリング用溶着装置
JP1994-194889 1994-07-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5693A KR960005693A (ko) 1996-02-23
KR100344033B1 true KR100344033B1 (ko) 2002-11-23

Family

ID=16332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1844A KR100344033B1 (ko) 1994-07-26 1995-07-24 애퍼처그릴에의스프링용착방법및애퍼처그릴의후부착스프링용용착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083071A (ko)
JP (1) JP3223713B2 (ko)
KR (1) KR100344033B1 (ko)
CN (1) CN1143346C (ko)
GB (1) GB22916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58783B (zh) * 2018-09-19 2023-07-04 廊坊德基机械科技有限公司 沥青混合料搅拌设备弹簧板式干燥筒托圈焊接工装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36109B1 (ko) * 1969-05-31 1973-11-01
JPS54565A (en) * 1977-06-03 1979-01-05 Hitachi Ltd Panel machining unit
FI54208C (fi) * 1977-07-06 1978-10-10 Rosenlew Ab Oy W Anordning foer att hopmontera masken och panelen i ett bildroer foer en televisionsapparat
JPS551089A (en) * 1979-05-14 1980-01-07 Hitachi Ltd Fitting of spring for holding shadow mask
JP2965254B2 (ja) * 1988-01-22 1999-10-18 株式会社東芝 カラー受像管の製造方法
KR100331766B1 (ko) * 1994-07-18 2002-08-19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애퍼처그릴에의 스프링용착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3346C (zh) 2004-03-24
CN1130297A (zh) 1996-09-04
GB2291613B (en) 1998-05-06
GB9515318D0 (en) 1995-09-20
JPH0836969A (ja) 1996-02-06
KR960005693A (ko) 1996-02-23
US6083071A (en) 2000-07-04
GB2291613A (en) 1996-01-31
JP3223713B2 (ja) 2001-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4033B1 (ko) 애퍼처그릴에의스프링용착방법및애퍼처그릴의후부착스프링용용착장치
US3962764A (en) Method of installing a mount assembly in a multi-beam cathode ray tube
KR100340465B1 (ko) 전기접속장치
CA114020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ligning a multibeam electron gun assembly with a cathode-ray tube bulb
KR100331766B1 (ko) 애퍼처그릴에의 스프링용착방법 및 그 장치
US5054181A (en) Diagonal insertion apparatus
JPH058067A (ja) レーザ加工ヘツド
JP3537022B2 (ja) プラネタリギヤアッシーの組立方法とそのプラネタリギヤアッシー組立装置
KR100360450B1 (ko) 수직형 노광장치의 마스크 정렬 장치
KR950011816B1 (ko) 키네스코프 및 그의 위치 지정방법
JP3773413B2 (ja) 基準光生成装置の調整方法
KR960007553Y1 (ko) 전자총의 컨버전스컵 용접 장치용 센터안내장치
CN112114435B (zh) 用于红外仪器与激光仪器光轴调节的目标装置
CN117147593B (zh) 一种电子元件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JP2000042776A (ja) レーザ光学系の回転位置調整機構及びレーザ溶接装置
JPH0760454A (ja) プロジェクション溶接等における位置決め方法
JPH106023A (ja) ワーク保持装置
JP3710535B2 (ja) プラズマ加工機及びプラズマトーチ
KR200145228Y1 (ko) 음극선관용 스프링과 홀더의 용접장치
US667974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electron gun
KR0135926Y1 (ko) 브라운관 전자총스템 봉합장치
KR200149629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인슐레이터 용접장치
KR860000814B1 (ko) 칼라 브라운관 파넬의 조립방법 및 조립장치
KR100310684B1 (ko) 전자총의 금속음극/캡 지지장치
KR100418126B1 (ko) 스터드핀 경사각 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