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3968B1 - 대칭형 트래드패턴을 갖춘 타이어 - Google Patents

대칭형 트래드패턴을 갖춘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3968B1
KR100343968B1 KR1020000034555A KR20000034555A KR100343968B1 KR 100343968 B1 KR100343968 B1 KR 100343968B1 KR 1020000034555 A KR1020000034555 A KR 1020000034555A KR 20000034555 A KR20000034555 A KR 20000034555A KR 100343968 B1 KR100343968 B1 KR 100343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dth
groove
range
satisfies
auxiliary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4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3659A (ko
Inventor
길기종
Original Assignee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34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3968B1/ko
Publication of KR20020003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3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3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39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58Lateral grooves, i.e. having an angle of 45 to 90 degees to the equatorial plane
    • B60C2011/0372Lateral grooves, i.e. having an angle of 45 to 90 degees to the equatorial plane with particular inclination ang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74Slant grooves, i.e. having an angle of about 5 to 35 degrees to the equatorial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74Slant grooves, i.e. having an angle of about 5 to 35 degrees to the equatorial plane
    • B60C2011/0376Slant grooves, i.e. having an angle of about 5 to 35 degrees to the equatorial plane characterised by wid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칭형 트래드패턴을 갖춘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트래드 폭(A)의 중심에 1개의 메인블록(21)이 형성되고, 메인종홈(11)이 메인블록(21)을 중심으로 양쪽에 대칭되게 형성되며, 또한, 원주방향에 대하여 차량진행방향으로 20~45°의 경사각(θ1)을 이루는 횡홈(2)이 메인블록(21)을 중심으로 양쪽에 상호 엇갈리면서 대칭되도록 형성되고, 타이어 폭방향에 대하여 차량진행방향으로 0~180°의 경사각(θ3)을 이루면서 횡홈(2) 사이의 블록을 가로지르는 제1보조홈(13)이 형성되어, 메인종홈(11)과 횡홈(12) 및 제1보조홈(13)에 의해 제1블록(22)이 경계되어지는 트래드패턴을 갖춘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홈(13)이 메인종홈(11)에서부터 시작되고, 횡홈(12)이 제1보조홈(13)으로부터 시작되는 구조로 되어, 제1블록(22)의 단면적과, 트래드 폭(A)방향으로의 길이가 보강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대칭형 트래드패턴을 갖춘 타이어{Tire having symmetrical tread pattern}
본 발명은 대칭형 트래드패턴을 갖춘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래드 폭의 중심에 1개의 메인블록이 형성되고, 메인블록의 양쪽에 메인종홈이 형성되며, 또한, 원주방향에 대하여 차량진행방향으로 소정 경사각을 이루는 횡홈이 메인블록을 중심으로 이의 양쪽에 서로 엇갈리면서 대칭되도록 형성되고, 타이어 폭방향에 대하여 차량진행방향으로 소정 경사각을 이루는 제1보조홈이 형성되어, 메인종홈과 횡홈 및 제1보조홈에 의해 제1블록이 경계지어지는 대칭형 트래드패턴을 갖춘 타이어에 있어서, 제1보조홈의 트래드 중심으로부터의 시작점과, 횡홈의 트래드 중심으로부터의 시작점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제1블록의 단면적과 횡폭을 향상시켜서, 트래드의 마찰에너지가 트래드 전면에 고르게 분포되도록 하는 대칭형 트래드패턴을 갖춘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노면과 접하는 타이어의 트래드는 트래드의 패턴형상에 따라서 그 성능이 크게 영향을 받게 된다.
특히, 타이어패턴의 홈들의 형상은 젖은 노면에서의 하이드로플레이닝(Hydroplaning)이나 웨트 핸들링(Wet Handling)에 있어서의 중요한 결정요소이고, 타이어패턴의 블록들의 형상은 마른 노면에서의 조정성과 브레이크성능에 있어서의 중요한 결정요소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대비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트래드패턴을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고하여 종래 기술을 설명한다.
도 1에 의하면, 트래드 폭(A)의 중심에 1개의 메인블록(21)이 형성되고, 메인종홈(11)이 메인블록(21)을 중심으로 양쪽에 대칭되게 형성되며, 또한, 원주방향에 대하여 차량진행방향으로 20~45°의 경사각(θ1)을 이루는 횡홈(2)이 메인블록(21)을 중심으로 양쪽에 상호 엇갈리면서 대칭되도록 형성되고, 타이어 폭방향에 대하여 차량진행방향으로 0~180°의 경사각(θ3)을 이루면서 횡홈(2) 사이의 블록을 가로지르는 제1보조홈(13)이 형성되어, 메인종홈(11)과 횡홈(12) 및 제1보조홈(13)에 의해 경계되어진 제1블록(22)이 형성되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트래드의 폭(A)은 타이어 횡폭(A+2B)의 75~85%의 범위를 만족하고, 좌우 숄더부의 폭(B)은 타이어 횡폭(A+2B)의 7.5~12.5%의 범위를 만족하고, 메인블록(21)의 폭(C)은 트래드 폭(A)의 8~12%의 범위를 만족하며, 메인종홈(11)의 폭(D)은 트래드 폭(A)의 4~6%의 범위를 만족하고, 횡홈(12)의 폭(I1)은 6~13㎜의 범위를 만족하고, 제1보조홈(13)의 폭(J)은 2~4㎜의 범위를 만족하고, 메인종홈(11)과 접하는 부분에서의 횡홈(12)간의 간격은 25~55㎜의 범위를 만족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 트래드패턴의 경우, 횡홈(12)이 메인종홈(11)에서부터 시작되고, 제1보조홈(13)이 횡홈(12)으로부터 시작되며, 메인종홈(11)으로부터 횡홈(12)의 시작점까지의 폭(E')은 트래드 폭(A)의 4~7%의 범위를 만족하도록 되어 있어서, 제1블록(22)은, 폭은 짧으면서, 길이는 폭에 비해서 길게 형성되고,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이와같은 경우, 마른 노면주행시에는 메인블록(21)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제1블록(22)에 마찰에너지가 작게 발생되어, 제1블록(22)보다 메인블록(22)의 마모가 촉진되고, 또한 제동시나, 주행 방향전환시에는 강성이 약한 제1블록(22)이 횡력에 의해 쉽게 절손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마찰에너지가 트래드 전체에 고르게 분포되도록 하고, 메인종홈과 횡홈 및 제1보조홈에 의해 경계지워지는 제1블록의 트래드 폭방향으로의 강성이 향상되어, 이의 절손이 방지되도록 하는 대칭형 트래드패턴을 갖춘 타이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대칭형 트래드패턴을 갖춘 타이어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칭형 트래드패턴을 갖춘 타이어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1 ; 메인종홈, 12 ; 횡홈,
12a ; 차량진행방향으로의 경사부,
12b ; 차량진행 반대방향으로의 경사부,
13 ; 제1보조홈, 14 ; 제2보조홈,
15 ; 제3보조홈, 15a ; 차량진행방향으로의 경사부,
15b ; 차량진행 반대방향으로의 경사부,
16 ; 제4보조홈, 17 ; 제5보조홈,
21 ; 메인블록, 22 ; 제1블록,
23 ; 제2블록, 24 ; 제3블록,
25 ; 제4블록,
A ; 트래드의 폭, B ; 좌우 숄더부의 폭,
C ; 메인블록의 폭, D ; 메인종홈(11)의 폭,
E ; 메인종홈(11)에서부터 횡홈(12)의 시작점까지의 폭,
F ; 횡홈(12)의 시작점에서부터 제2보조홈(14)의 시작점까지의 폭,
G ; 제2보조홈(14)의 시작점에서부터 횡홈(12)의 굴곡시작점까지의 폭,
H ; 횡홈(12)의 굴곡시작점에서부터 제3보조홈(15)의 굴곡시작점까지의 폭,
I1 ; 횡홈(12)의 차량진행방향으로의 경사부(12a)의 폭,
I2 ; 횡홈(12)의 차량진행 반대방향으로의 경사부(12b)의 폭,
J ; 제1보조홈(13)의 폭, K ; 제2보조홈(13)의 폭,
L1 ; 제3보조홈(15)의 차량진행방향으로의 경사부(15a)의 폭,
L2 ; 제3보조홈(15)의 차량진행 반대방향으로의 경사부(15b)의 폭,
θ1 ; 원주방향에 대한 횡홈(12)의 차량진행방향으로의 경사부(12a)의 경사각,
θ2 ; 원주방향에 대한 횡홈(12)의 차량진행 반대방향으로의 경사부(12b)의 경사각,
θ3 ; 타이어 폭방향에 대한 차량진행방향으로의 제1보조홈(13)의 경사각,
θ4 ; 타이어 폭방향에 대한 차량진행 반대방향으로의 제2보조홈(14)의 경사각,
θ5 ; 원주방향에 대한 제3보조홈(15)의 차량진행방향으로의 경사부(15a)의 경사각,
θ6 ; 원주방향에 대한 제3보조홈(15)의 차량진행 반대방으로의 경사부(12b)의 경사각.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트래드 폭의 중심에 1개의 메인블록이 형성되고, 메인종홈이 메인블록을 중심으로 양쪽에 대칭되게 형성되며, 또한, 원주방향에 대하여 차량진행방향으로 20~45°의 경사각을 이루는 횡홈이 메인블록을 중심으로 양쪽에 상호 엇갈리면서 대칭되도록 형성되고, 타이어 폭방향에 대하여 차량진행방향으로 0~180°의 경사각을 이루면서 횡홈 사이의 블록을 가로지르는 제1보조홈이 형성되어, 메인종홈과 횡홈 및 제1보조홈에 의해 경계되어진 제1블록이 형성되되, 트래드의 폭은 타이어 횡폭의 75~85%의 범위를 만족하고, 좌우 숄더부의 폭은 타이어 횡폭의 7.5~12.5%의 범위를 만족하고, 메인블록의 폭은 트래드 폭의 8~12%의 범위를 만족하며, 메인종홈의 폭은 트래드 폭의 4~6%의 범위를 만족하고, 횡홈의 폭은 6~13㎜의 범위를 만족하고, 제1보조홈의 폭은 2~4㎜의 범위를만족하고, 메인종홈(11)과 접하는 부분에서의 횡홈(12)간의 간격은 25~55㎜의 범위를 만족하는 대칭형 트래드패턴을 갖춘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홈이 메인종홈에서부터 시작되고, 횡홈이 제1보조홈으로부터 시작되되, 메인종홈으로부터 횡홈의 시작점까지의 폭은 트래드 폭의 4~7%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종래 기술을 도시한 도 1과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인출부호를 붙이면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트래드패턴은, 트래드 폭(A)의 중심에 1개의 메인블록(21)이 형성되고, 메인종홈(11)이 메인블록(21)을 중심으로 양쪽에 대칭되게 형성되며, 또한, 원주방향에 대하여 차량진행방향으로 20~45°의 경사각(θ1)을 이루는 횡홈(2)이 메인블록(21)을 중심으로 양쪽에 상호 엇갈리면서 대칭되도록 형성되고, 타이어 폭방향에 대하여 차량진행방향으로 0~180°의 경사각(θ3)을 이루면서 횡홈(2) 사이의 블록을 가로지르는 제1보조홈(13)이 형성되어, 메인종홈(11)과 횡홈(12) 및 제1보조홈(13)에 의해 경계되어진 제1블록(22)이 형성된다. 상기 트래드의 폭(A)은 타이어 횡폭(A+2B)의 75~85%의 범위를 만족하고, 좌우 숄더부의 폭(B)은 타이어 횡폭(A+2B)의 7.5~12.5%의 범위를 만족하고, 메인블록(21)의 폭(C)은 트래드 폭(A)의 8~12%의 범위를 만족하며, 메인종홈(11)의 폭(D)은 트래드 폭(A)의 4~6%의 범위를 만족하고, 횡홈(12)의 폭(I1)은 6~13㎜의 범위를 만족하고, 제1보조홈(13)의 폭(J)은 2~4㎜의 범위를 만족하고, 메인종홈(11)과 접하는 부분에서의 횡홈(12)간의 간격은 25~55㎜의 범위를 만족한다.
여기서, 상기 제1보조홈(13)이 메인종홈(11)에서부터 시작되고, 횡홈(12)이 제1보조홈(13)으로부터 시작되되, 메인종홈(11)으로부터 횡홈(12)의 시작점까지의 폭(E)은 트래드 폭(A)의 4~7%의 범위를 만족한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는, 메인종홈(11)과 횡홈(12) 및 제1보조홈(13)을 상기와 같이 형성시키면, 이들 홈(11,12,13)에 의해 경계지워진 제1블록(22)의 트래드 폭방향으로의 길이가 크게 보강되어서, 제동시나, 주행 방향전환시에 제1블록(22)의 절손이 방지되고, 또한 제1블록(22)의 접지 단면적도 증가되어 메인블록(21)과 제1블록(22) 간의 마찰에너지의 차이가 현격하게 줄어들기 때문이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홈(12)을 변형시키거나, 다수개의 보조홈들(14,15,16,17)을 형성하면, 조정성이나, 하이드로플레이닝, 코너링시의 트래드의 그립(Grip)력, 소음성능등을 향상할 수 있게 되는데, 이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해 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이어 폭방향에 대하여 차량진행 반대방향으로 0~30°의 경사각(θ4)을 이루면서 횡홈(12) 사이의 블록부분을 가로지르는 제2보조홈(14)을 형성하되, 횡홈(12)의 시작점에서부터 제2보조홈(14)의 시작점까지의 폭(F)은 트래드 폭(A)의 9~14%의 범위를 만족하도록 하면, 횡홈(12) 사이의 블록이 제2블록(23)과 제3블록(24)로 구분되어, 접지강성이 균일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보조홈(14)의 폭(K)은 0.4~4.0㎜의 범위를 만족하고, 제2보조홈(14)의 깊이는 2~8㎜의 범위를 만족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횡홈(12)의 숄더부쪽 선단부분을 원주방향에 대하여 차량진행 반대방향으로 70~90°의 경사각(θ2)을 이루도록 굴곡시켜서, 차량진행방향으로의 경사부(12a)와, 차량진행 반대방향으로의 경사부(12b)로 구분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종홈(11)으로부터 횡홈(12)의 굴곡시작점까지의 폭(E+F+G)은 트래드 폭(A)의 20~30%의 범위를 만족하고, 횡홈(12)의 차량진행 반대방향으로의 경사부(12b)의 폭(I2)은 2.5~6.0㎜의 범위를 만족하며, 이의 깊이는 1~6㎜의 범위를 만족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횡홈(12)의 굴곡시작점으로부터 차량진행방향으로 20~45°의 경사각(θ5)을 이루며 시작되는 제3보조홈(15)을 형성하고, 제3보조홈(15)의 숄더부쪽 선단부분을 원주방향에 대하여 차량진행 반대방향으로 70~90°의 경사각(θ6)으로 굴곡시켜서, 차량진행방향으로의 경사부(15a)와, 차량진행 반대방향으로의 경사부(15b)로 구분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횡홈(12)의 굴곡시작점에서 제3보조홈(15)의 굴곡시작점까지의 폭(H)은 트래드 폭(A)의 10~15%의 범위를 만족하고, 제3보조홈(15)의 차량진행방향으로의 경사부(15a)의 폭(L1)은 1.5~5.0㎜의 범위를 만족하며, 이의 깊이는 4.0~7.5㎜의 범위를 만족하는 한편, 제3보조홈(15)의 차량진행 반대방향으로의 경사부(15b)의 폭(L2)은 2.5~6.0㎜의 범위를 만족하고, 이의 깊이는 1~6㎜의 범위를 만족한다.
이와 같이, 경사부(12b)와 제3보조홈(15)을 형성하면, 숄더부측 횡홈(12) 사이의 블록이 제3블록(24)과 제4블록(25)으로 구분되면서, 이들 제3블록(24)의 숄더부측 선단과, 제4블록(24)이 차량진행 반대방향으로 뉘여진 형태를 이루게 되어,코너링시 그립력이 향상되므로, 차량 조종성이 향상되고, 또한 접지강성이 균일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종홈(11)과 횡홈(12) 및 제1보조홈(13)에 의해 경계되어진 제1블록(22)의 차량주행 반대방향쪽 선단부분을 라운딩처리하여 제4보조홈(16)이 형성되도록 하면, 주행 방향전환시에는 발생될 수 있는 제1블록(22)의 절손이 억제되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보조홈(13)의 라운딩처리부분의 곡률반경(R)은 2.5~6.0㎜의 범위를 만족하고, 제4보조홈(16)의 깊이는 메인종홈(11) 깊이의 40~60%의 범위를 만족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보조홈(13)으로부터 연장되어진 선상에 위치하는 메인블록(21)의 양측에 제1보조홈(13)과 동일한 경사각을 이루는 제5보조홈(17)을 형성하면, 메인블록(21)과 제1블록(22) 간의 마찰에너지의 차이를 보다 줄일 수 있게 되어, 타이어 트래드의 편마모가 보다 억제되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상기 제5보조홈(17)의 폭(N)은 메인블록(21) 폭(C)의 20~50%의 범위를 만족하고, 제5보조홈(17)의 깊이는 메인종홈(11) 깊이의 70~100%의 범위를 만족한다.
아래의 표 1은, 도 1에 도시된 트래드패턴을 갖춘 종래 타이어와, 도 2에 도시된 트래드패턴을 갖춘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를 비교한 것으로서, 이를 참조해 보면,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가 종래 기술에 따른 타이어에 비해서 마찰에너지가 고르게 분포되고, 트래드 폭방향으로의 강성이 크게 향상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종래 기술 본 발명
메인블록의 마찰에너지 100% 100%
제1블록의 마찰에너지 43% 85%
제1블록의 트래드 폭방향으로의 강성 100% 112%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제1보조홈이 메인종홈에서부터 시작되고, 횡홈이 제1보조홈으로부터 시작되되, 메인종홈으로부터 횡홈의 시작점까지의 폭이 트래드 폭의 4~7%의 범위에 만족되도록 하면, 제1블록의 단면적과 트래드 폭방향으로의 길이가 보강되므로, 마찰에너지가 트래드 전체에 고르게 분포되어 트래드의 마모가 균일하게 발생되고, 제1블록의 트래드 폭방향으로의 강성이 크게 향상되어서, 제1블록의 절손이 방지되면서 조정성과 브레이크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5)

  1. 트래드 폭(A)의 중심에 1개의 메인블록(21)이 형성되고, 메인종홈(11)이 메인블록(21)을 중심으로 양쪽에 대칭되게 형성되며, 또한, 원주방향에 대하여 차량진행방향으로 20~45°의 경사각(θ1)을 이루는 횡홈(2)이 메인블록(21)을 중심으로 양쪽에 상호 엇갈리면서 대칭되도록 형성되고, 타이어 폭방향에 대하여 차량진행방향으로 0~180°의 경사각(θ3)을 이루면서 횡홈(2) 사이의 블록을 가로지르는 제1보조홈(13)이 형성되어, 메인종홈(11)과 횡홈(12) 및 제1보조홈(13)에 의해 경계되어진 제1블록(22)이 형성되되, 트래드의 폭(A)은 타이어 횡폭(A+2B)의 75~85%의 범위를 만족하고, 좌우 숄더부의 폭(B)은 타이어 횡폭(A+2B)의 7.5~12.5%의 범위를 만족하고, 메인블록(21)의 폭(C)은 트래드 폭(A)의 8~12%의 범위를 만족하며, 메인종홈(11)의 폭(D)은 트래드 폭(A)의 4~6%의 범위를 만족하고, 횡홈(12)의 폭(I1)은 6~13㎜의 범위를 만족하고, 제1보조홈(13)의 폭(J)은 2~4㎜의 범위를 만족하고, 메인종홈(11)과 접하는 부분에서의 횡홈(12)간의 간격은 25~55㎜의 범위를 만족하는 대칭형 트래드패턴을 갖춘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홈(13)이 메인종홈(11)에서부터 시작되고, 횡홈(12)이 제1보조홈(13)으로부터 시작되되, 메인종홈(11)으로부터 횡홈(12)의 시작점까지의 폭(E)은 트래드 폭(A)의 4~7%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형 트래드패턴을 갖춘 타이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폭방향에 대하여 차량진행 반대방향으로 0~10°의 경사각(θ4)을 이루면서 횡홈(12) 사이의 블록부분을 가로지르는 제2보조홈(14)이 형성되되, 상기 횡홈(12)의 시작점에서부터 제2보조홈(14)의 시작점까지의 폭(F)은 트래드 폭(A)의 8~15%의 범위를 만족하고, 제2보조홈(14)의 폭(K)은 0.4~4.0㎜의 범위를 만족하며, 제2보조홈(14)의 깊이는 2~8㎜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형 트래드패턴을 갖춘 타이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횡홈(12)의 숄더부쪽 선단부분이 원주방향에 대하여 차량진행 반대방향으로 70~90°의 경사각(θ2)을 이루면서 굴곡되어, 차량진행방향으로의 경사부(12a)와 차량진행 반대방향으로의 경사부(12b)로 구분되되, 상기 메인종홈(11)으로부터 횡홈(12)의 굴곡시작점까지의 폭(E+F+G)은 트래드 폭(A)의 20~30%의 범위를 만족하고, 횡홈(12)의 차량진행 반대방향으로의 경사부(12b)의 폭(I2)는 2.5~6.0㎜의 범위를 만족하고, 이의 깊이는 1~6㎜의 범위를 만족하며, 이와 더불어, 상기 횡홈(12)의 굴곡시작점으로부터 차량진행방향으로 20~45°의 경사각(θ5)을 이루며 시작되는 제3보조홈(15)이 형성되고, 제3보조홈(15)의 숄더부쪽 선단부분이 원주방향에 대하여 차량진행 반대방향으로 70~90°의 경사각(θ6)을 이루면서 굴곡되어, 차량진행방향으로의 경사부(15a)와 차량진행 반대방향으로의 경사부(15b)로 구분되되, 상기 횡홈(12)의 굴곡시작점에서 제3보조홈(15)의 굴곡시작점까지의 폭(H)은 트래드 폭(A)의 8~15%범위를 만족하고, 제3보조홈(15)의 차량진행방향으로의 경사부(15a)의 폭(L1)은 1.5~5㎜의 범위를 만족하며, 이의 깊이는4.0~7.5㎜의 범위를 만족하는 한편, 제3보조홈(15)의 차량진행 반대방향으로의 경사부(15b)의 폭(L2)은 2.5~6.0㎜의 범위를 만족하고, 이의 깊이는 1~6㎜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형 트래드패턴을 갖춘 타이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록(22)의 차량주행 반대방향쪽 선단부분이 라운딩처리되어 제4보조홈(16)이 형성되되, 상기 제1보조홈(13)의 라운딩처리부분의 곡률반경(R)은 2.5~6.0㎜의 범위를 만족하고, 제4보조홈(16)의 깊이는 메인종홈(11) 깊이의 40~60%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형 트래드패턴을 갖춘 타이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홈(13)으로부터 연장되어진 선상에 위치하는 메인블록(21)의 양측에 제1보조홈(13)과 동일한 경사각을 이루는 제5보조홈(17)이 형성되되, 상기 제5보조홈(17)의 폭(N)은 메인블록(21) 폭(C)의 20~50%의 범위를 만족하고, 제5보조홈(17)의 깊이는 메인종홈(11) 깊이의 70~100%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형 트래드패턴을 갖춘 타이어.
KR1020000034555A 2000-06-22 2000-06-22 대칭형 트래드패턴을 갖춘 타이어 KR100343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4555A KR100343968B1 (ko) 2000-06-22 2000-06-22 대칭형 트래드패턴을 갖춘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4555A KR100343968B1 (ko) 2000-06-22 2000-06-22 대칭형 트래드패턴을 갖춘 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3659A KR20020003659A (ko) 2002-01-15
KR100343968B1 true KR100343968B1 (ko) 2002-07-24

Family

ID=19673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4555A KR100343968B1 (ko) 2000-06-22 2000-06-22 대칭형 트래드패턴을 갖춘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39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53416B9 (en) * 2012-12-11 2017-09-20 The Yokohama Rubber Co., Ltd. Pneumatic ti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3659A (ko) 2002-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97844B2 (ja) 雪道の走行に特に適した凸状パターンが付与されたトレッドバンドを有する乗物の車輪用の空圧タイヤ
JP3150993B2 (ja) 自動車用タイヤ
EP0925957B1 (en) Pneumatic tires
KR20090091233A (ko) 공기입 타이어
KR100869025B1 (ko) 가변형 사이프를 가지는 공기입 타이어
JP2001055013A (ja) 空気入りタイヤ
JP4589926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H0648120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00225815A (ja) 空気入りタイヤ
US5967210A (en) Pneumatic tires having an asymmetric directional pattern
JP3014748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3365734B2 (ja)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KR100343968B1 (ko) 대칭형 트래드패턴을 갖춘 타이어
KR100754351B1 (ko) 중하중용 공기입 레이디얼 타이어
JPH11189011A (ja)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KR100390245B1 (ko) 비대칭형 트래드패턴을 갖춘 타이어
JP2002036826A (ja) 空気入りタイヤ
EP3513992B1 (en) Tyre
JP2002036824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980967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0343969B1 (ko) 대칭형 트래드패턴을 갖춘 타이어
JP3388887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0441938B1 (ko) 타이어
KR0135655Y1 (ko) 제동성능을 향상시킨 공기입 타이어
KR102371143B1 (ko) 공기입 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