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3969B1 - 대칭형 트래드패턴을 갖춘 타이어 - Google Patents

대칭형 트래드패턴을 갖춘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3969B1
KR100343969B1 KR1020000035677A KR20000035677A KR100343969B1 KR 100343969 B1 KR100343969 B1 KR 100343969B1 KR 1020000035677 A KR1020000035677 A KR 1020000035677A KR 20000035677 A KR20000035677 A KR 20000035677A KR 100343969 B1 KR100343969 B1 KR 100343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dth
groove
range
auxiliary
t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5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1245A (ko
Inventor
이정학
Original Assignee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35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3969B1/ko
Publication of KR20020001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1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3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39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41Circumferential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58Lateral grooves, i.e. having an angle of 45 to 90 degees to the equatorial pl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칭형 트래드패턴을 갖춘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래드 폭(A)의 중심에 1개의 메인종홈(1)이 형성되고, 원주방향에 대하여 차량 진행방향으로 20~30°의 경사각(θ1)을 이루는 횡홈(2)이 메인종홈(1)을 중심으로 양쪽에 대칭되게 형성되되, 트래드 폭(A)은 타이어 단편폭(A+2B)의 80~90%의 범위를 만족하고, 좌우 숄더부의 폭(B)은 트래드 폭(A)의 5~20%의 범위를 만족하며, 메인종홈(1)의 원주면과 이에 접하는 평면이 이루는 경사각은 5~15°의 범위를 만족하는 대칭형 트래드패턴을 갖춘 타이어에 있어서, 메인종홈(1)의 폭(C)과, 횡홈(2)의 양쪽 경계선(2a,2b)의 곡률반경(Ra,Rb), 횡홈(2)의 폭(H), 및 횡홈(2)간의 피치(G)가 적절하게 조절되어, 필요기능이 적절하게 유지되면서, 타이어의 배수성이 향상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대칭형 트래드패턴을 갖춘 타이어{Tire having symmetrical tread pattern}
본 발명은 대칭형 트래드패턴을 갖춘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래드 폭의 중심에 1개의 메인종홈이 형성되고, 원주방향에 대하여 차량진행방향으로 소정 경사각을 이루는 횡홈이 메인종홈을 중심으로 양쪽에 대칭되게 형성되어진 대칭형 트래드패턴을 갖춘 타이어에 있어서, 메인종홈의 폭과, 횡홈의 양쪽 경계선의 곡률반경, 횡홈의 폭, 및 횡홈간의 피치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필요기능이 적절하게 유지되면서, 타이어의 배수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대칭형 트래드패턴을 갖춘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노면과 접하는 타이어의 트래드는 트래드의 패턴형상에 따라서 그 성능이 크게 영향을 받게 된다.
특히, 타이어의 배수성은 하이드로플레이닝(Hydroplaning)과, 웨트 핸들링(Wet Handling)에 있어서의 중요한 결정요소이고, 트래드패턴의 메인종홈의 갯수와 폭, 횡홈의 폭, 횡홈의 경사각, 횡홈의 양쪽 경계선의 곡률반경, 및 횡홈간의 피치는 배수성에 있어서의 중요한 결정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배수성의 중요한 결정요소들을 적절하게 변형하여 타이어의 배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취지에서 발명된 것으로, 트래드 폭의 중심에 1개의 메인종홈이 형성되고, 원주방향에 대하여 차량진행방향으로 소정 경사각을 이루는 횡홈이 메인종홈을 중심으로 양쪽에 대칭되게 형성되어진 대칭형 트래드패턴을 갖춘 타이어에 있어서, 메인종홈의 폭과, 횡홈의 양쪽 경계선의 곡률반경, 횡홈의 폭, 및 횡홈간의 피치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필요기능이 적절하게 유지되면서, 타이어의 배수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대칭형 트래드패턴을 갖춘 타이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칭형 트래드패턴을 갖춘 타이어의 일부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 ; 메인종홈, 2 ; 횡홈,
2a ; 차량 진행방향쪽 횡홈 경계선,
2b ; 차량 진행방향 반대쪽의 횡홈 경계선,
3 ; 제1보호홈, 4 ; 제2보조홈,
5 ; 보조횡홈, 6 ; 보조종홈,
A ; 트래드의 폭, B ; 좌우 숄더부의 폭,
C ; 메인종홈의 폭,
D ; 트래드 중심에서부터 제1보조홈(3)의 시작점까지의 폭,
E ; 제1보조홈(3)의 시작점에서부터 제2보조홈(4)의 시작점까지의 폭,
F ; 제2보조홈(4)의 시작점에서부터 보조종홈(6)까지의 폭,
G ; 횡홈(2)간의 피치, H ; 횡홈(2)의 폭,
I ; 제1보조홈(3)의 폭, J ; 제2보조홈(4)의 폭,
K ; 보조종홈(6)의 폭, L ; 보조횡홈(5)의 폭,
θ1 ; 원주방향에 대한 차량진행방향으로의 횡홈(4)의 경사각,
θ2 ; 원주방향에 대한 차량진행 반대방향으로의 제1보조홈(3)의 경사각,
θ3 ; 원주방향에 대한 차량진행 반대방향으로의 제2보조홈(3)의 경사각,
Ra ; 차량 진행방향쪽 횡홈 경계선(2a)의 곡률반경,
Rb ; 차량 진행방향 반대쪽의 횡홈 경계선(2b)의 곡률반경.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트래드 폭의 중심에 1개의 메인종홈이 형성되고, 원주방향에 대하여 차량 진행방향으로 20~30°의 경사각을 이루는 횡홈이 메인종홈을 중심으로 양쪽에 대칭되게 형성되되, 트래드 폭은 타이어 단편폭의 80~90%의 범위를 만족하고, 좌우 숄더부의 폭은 트래드 폭의 5~20%의 범위를 만족하며, 메인종홈의 원주면과 이에 접하는 평면이 이루는 경사각은 5~15°의 범위를 만족하는 대칭형 트래드패턴을 갖춘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메인종홈의 폭은 트래드 폭의 5~10%를 만족하고, 차량 진행방향 반대쪽의 횡홈 경계선의 곡률반경(Rb)은 (A+2B)/2-30 ~ (A+2B)/2-35의 범위를 만족하면서. 차량 진행방향쪽 횡홈 경계선의 곡률반경(Ra)은 Rb+5 ~ Rb+10의 범위를 만족하여서, 메인종홈으로부터 숄더부쪽으로 이동할수록 횡홈의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며, 횡홈간의 피치는 최소값이 트래드 폭의 15~20%이면서 최대값이 횡홈간의 최소피치의 1.25~1.30배의 범위를 만족하고, 횡홈의 폭은 횡홈간 피치의 20~30%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칭형 트래드패턴을 갖춘 타이어의 일부분을 도시한 평면도인 바,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칭형 트래드패턴을 설명한다.
트래드 폭(A)은 타이어 단편폭(A+2B)의 80~90%의 범위를 만족하고, 좌우 숄더부의 폭(B)은 트래드 폭(A)의 5~20%의 범위를 만족한다.
상기 트래드 폭(A)의 중심에 1개의 메인종홈(1)이 형성되고, 메인종홈(1)의 원주면과 이에 접하는 평면이 이루는 경사각(도시안됨)은 5~15°의 범위를 만족하며, 메인종홈의 폭(C)은 트래드 폭(A)의 5~10%를 만족한다.
또한, 원주방향에 대하여 차량 진행방향으로 20~30°의 경사각(θ1)을 이루는 횡홈(2)이 메인종홈(1)을 중심으로 양쪽에 대칭되게 형성되고, 차량 진행방향 반대쪽의 횡홈 경계선(2b)의 곡률반경(Rb)은 (A+2B)/2-30 ~ (A+2B)/2-35의 범위를 만족하면서. 차량 진행방향쪽 횡홈 경계선(2a)의 곡률반경(Ra)은 Rb+5 ~ Rb+10의 범위를 만족하여서, 메인종홈(1)으로부터 숄더부쪽으로 이동할수록 횡홈(2)의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며, 횡홈(2)간의 피치(G)는 최소값이 트래드 폭(A)의 15~20%이면서 최대값이 횡홈(2)간의 최소피치의 1.25~1.30배의 범위를 만족하고, 횡홈(2)의폭(H)은 횡홈(2)간 피치(G)의 20~30%의 범위를 만족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트래드패턴은, 메인종홈(1)의 폭(C)과, 횡홈(2)의 양쪽 경계선(2a,2b)의 곡률반경(Ra,Rb), 횡홈(2)의 폭(H), 및 횡홈(2)간의 피치(G)가 적절하게 형성되어서, 우천 주행시 타이어와 노면 사이의 물이 메인종홈(1)과 횡홈(2)으로 적절하게 유도되므로, 타이어의 배수성이 만족스럽게 획득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횡홈(2) 사이의 블록부분을 가로지르는 보조홈(3,4)이나, 메인종홈(1)과 평행한 보조종홈(6), 또는 횡홈(1)과 동일한 곡률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보조횡홈(6)을 형성하면, 블록부분의 고르게 분산되어서 접지압력이 각 블록들에 고르게 분포되므로, 트래드의 부분마모가 억제되고, 노면과의 접지면적이 감소되므로 배수성이 보다 향상되며, 각 블록의 모서리부분이 노면과 간섭되어서 차량 조종성이 향상되는 잇점이 있다.
이들 보조홈(3,4,5,6)이 본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적용된 상태를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보조홈(3)과 제2보조홈(4)이 소정 간격이격된 상태로, 원주방향에 대하여 차량진행 반대방향으로 20~30°의 경사각(θ2)을 이루면서 횡홈(2) 사이의 블록부분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되, 트래드 중심에서부터 제1보조홈(3)의 시작점까지의 폭(D)은 트래드 폭(A)의 10~15%의 범위를 만족하고, 제1보조홈(3)의 시작점에서부터 제2보조홈(4)의 시작점까지의 폭(E)은 트래드 폭(A)의 5~15%의 범위를 만족한다. 여기서, 상기 제1보조홈(3)의 폭(I)은 트래드 폭(A)의 2~4%의 범위를 만족하고, 제1보조홈(3)의 깊이는 메인종홈(1) 깊이의 50~70%의범위를 만족하는 한편, 제2보조홈(4)의 폭(J)은 제1보조홈(3)의 폭(I)의 40~60%의 범위를 만족하고, 제2보조홈(4)의 깊이는 제1보조홈(3)의 깊이의 40~60%의 범위를 만족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보조종홈(6)은, 메인종홈(1)과 평행하게 형성되되, 트래드 폭(A)의 중심으로부터 보조종홈(6)까지의 폭(D,E,F)은 25~50%의 범위를 만족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종홈(6)의 폭(K)은 트래드 폭(A)의 1~3%의 범위를 만족하고, 보조종홈(6)의 깊이는 메인종홈(1) 깊이의 50~70%의 범위를 만족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보조횡홈(5)은, 상기 횡홈(2)의 곡률반경과 동일한 곡률반경으로 횡홈(2)들 사이에 평행하게 배치되어서, 횡홈(2) 사이의 블록부분을 부분적으로 2등분하도록 형성되되, 트래드 중심으로부터 보조횡홈(5)의 시작점까지의 거리는 A/2의 40~60%의 범위를 만족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횡홈(5)의 폭(L)은 횡홈(2)간 피치(G)의 3~6%의 범위를 만족하고, 보조횡홈(5)의 깊이는 횡홈(2) 깊이의 40~60%를 만족한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종홈의 폭과, 횡홈의 양쪽 경계선의 곡률반경, 횡홈의 폭, 및 횡홈간의 피치가 타이어의 배수성이 향상되도록 적절하게 조절되어, 타이어의 하이드로플레이닝과, 웨트 핸들링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음음 물론이다.

Claims (7)

  1. 트래드 폭(A)의 중심에 1개의 메인종홈(1)이 형성되고, 원주방향에 대하여 차량 진행방향으로 20~30°의 경사각(θ1)을 이루는 횡홈(2)이 메인종홈(1)을 중심으로 양쪽에 대칭되게 형성되되, 트래드 폭(A)은 타이어 단편폭(A+2B)의 80~90%의 범위를 만족하고, 좌우 숄더부의 폭(B)은 트래드 폭(A)의 5~20%의 범위를 만족하며, 메인종홈(1)의 원주면과 이에 접하는 평면이 이루는 경사각은 5~15°의 범위를 만족하는 대칭형 트래드패턴을 갖춘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메인종홈의 폭(C)은 트래드 폭(A)의 5~10%를 만족하고, 차량 진행방향 반대쪽의 횡홈 경계선(2b)의 곡률반경(Rb)은 (A+2B)/2-30 ~ (A+2B)/2-35의 범위를 만족하면서. 차량 진행방향쪽 횡홈 경계선(2a)의 곡률반경(Ra)은 Rb+5 ~ Rb+10의 범위를 만족하여서, 메인종홈(1)으로부터 숄더부쪽으로 이동할수록 횡홈(2)의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며, 횡홈(2)간의 피치(G)는 최소값이 트래드 폭(A)의 15~20%이면서 최대값이 횡홈(2)간의 최소피치의 1.25~1.30배의 범위를 만족하고, 횡홈(2)의 폭(H)은 횡홈(2)간 피치(G)의 20~30%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형 트래드패턴을 갖춘 타이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방향에 대하여 차량진행 반대방향으로 20~30°의 경사각(θ2)을 이루면서 횡홈(2) 사이의 블록부분을 가로지르는 제1보조홈(3)이 형성되되, 트래드 중심에서부터 제1보조홈(3)의 시작점까지의 폭(D)은 트래드 폭(A)의 10~15%의 범위를 만족하는 한편, 상기 원주방향에 대하여 차량진행 반대방향으로 20~30°의 경사각(θ3)을 이루면서 횡홈(2) 사이의 블록부분을 가로지르는 제2보조홈(4)이 형성되되, 제1보조홈(3)의 시작점에서부터 제2보조홈(4)의 시작점까지의 폭(E)은 트래드 폭(A)의 5~15%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형 트래드패턴을 갖춘 타이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홈(3)의 폭(I)은 트래드 폭(A)의 2~4%의 범위를 만족하고, 제1보조홈(3)의 깊이는 메인종홈(1) 깊이의 50~70%의 범위를 만족하는 한편, 제2보조홈(4)의 폭(J)은 제1보조홈(3)의 폭(I)의 40~60%의 범위를 만족하고, 제2보조홈(4)의 깊이는 제1보조홈(3)의 깊이의 40~60%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형 트래드패턴을 갖춘 타이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종홈(1)과 평행한 보조종홈(6)이 형성되되, 트래드 폭(A)의 중심으로부터 보조종홈(6)까지의 폭(D,E,F)은 25~50%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형 트래드패턴을 갖춘 타이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종홈(6)의 폭(K)은 트래드 폭(A)의 1~3%의 범위를 만족하고, 보조종홈(6)의 깊이는 메인종홈(1) 깊이의 50~70%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형 트래드패턴을 갖춘 타이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횡홈(2)의 곡률반경과 동일한 곡률반경(?)으로 횡홈(2)들 사이에 평행하게 배치되어서, 횡홈(2) 사이의 블록부분을 부분적으로 2등분하는 보조횡홈(5)이 형성되되, 트래드 중심으로부터 보조횡홈(5)의 시작점까지의 거리는 40~60%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형 트래드패턴을 갖춘 타이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횡홈(5)의 폭(L)은 횡홈(2)간 피치(G)의 3~6%의 범위를 만족하고, 보조횡홈(5)의 깊이는 횡홈(2) 깊이의 40~60%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형 트래드패턴을 갖춘 타이어.
KR1020000035677A 2000-06-27 2000-06-27 대칭형 트래드패턴을 갖춘 타이어 KR100343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5677A KR100343969B1 (ko) 2000-06-27 2000-06-27 대칭형 트래드패턴을 갖춘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5677A KR100343969B1 (ko) 2000-06-27 2000-06-27 대칭형 트래드패턴을 갖춘 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1245A KR20020001245A (ko) 2002-01-09
KR100343969B1 true KR100343969B1 (ko) 2002-08-07

Family

ID=19674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5677A KR100343969B1 (ko) 2000-06-27 2000-06-27 대칭형 트래드패턴을 갖춘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39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18081A1 (ja) * 2010-08-05 2012-02-09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
JP5261465B2 (ja) * 2010-11-29 2013-08-1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レーシングカート用タイヤ
CN112976947B (zh) * 2020-12-22 2024-05-14 风神轮胎股份有限公司 一种中长途低滚阻全轮位型轮胎胎面花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1245A (ko) 2002-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6303B1 (ko) 공기 타이어
US9815335B2 (en) Pneumatic tire
CN101835636A (zh) 充气轮胎
JP2001233021A (ja) 空気入りタイヤの陸部構造
JPH06171316A (ja) 重荷重用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2000225815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8514453A (ja) 複数の切り込みを有するブロックを含むトレッド
US11358416B2 (en) Tire
CN103402791B (zh) 轮胎
US4240484A (en) Pneumatic tire for large size and high speed motor cycles two-wheeled vehicles
KR100343969B1 (ko) 대칭형 트래드패턴을 갖춘 타이어
JP2010247549A (ja) 空気入りタイヤ
EP3670209B1 (en) Tread for a pneumatic tire
CN105922823B (zh) 充气轮胎
WO2013018890A1 (ja) タイヤ
KR100592061B1 (ko) 중하중용 공기입 타이어
JP4421432B2 (ja) 空気入りタイヤ
WO2021106817A1 (ja) タイヤ
CN110588249B (zh) 轮胎
JP2003072321A (ja) 空気入りタイヤ
JPS62155105A (ja) ブロツクパタ−ンタイヤ
JPH06270612A (ja)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KR100390245B1 (ko) 비대칭형 트래드패턴을 갖춘 타이어
KR19980069545A (ko) 사이프가 형성된 3/6 리브패턴 타이어의 트래드
JP6933272B2 (ja) 空気入り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