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1580B1 - 위상 고정 루프를 위한 락 디텍터 회로 - Google Patents

위상 고정 루프를 위한 락 디텍터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1580B1
KR100341580B1 KR1019990025826A KR19990025826A KR100341580B1 KR 100341580 B1 KR100341580 B1 KR 100341580B1 KR 1019990025826 A KR1019990025826 A KR 1019990025826A KR 19990025826 A KR19990025826 A KR 19990025826A KR 100341580 B1 KR100341580 B1 KR 100341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utput
clock signal
lock
f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5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5039A (ko
Inventor
전하준
Original Assignee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박종섭
Priority to KR1019990025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1580B1/ko
Publication of KR20010005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5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1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15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5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 H03L7/095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using a lock detecto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and to synchronisation
    • H03L2207/14Preventing false-lock or pseudo-lock of the PL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5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 H03L7/089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the phase or frequency detector generating up-down pulses
    • H03L7/0891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the phase or frequency detector generating up-down pulses the up-down pulses controlling source and sink current generators, e.g. a charge pump

Landscapes

  • Stabilization Of Oscillater, Synchronisation, Frequency Synthes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FD의 2개 출력 신호(up 및 down) 및 PLL의 출력 클럭 신호(Fout)를 이용하여 지연값에 대한 별도의 고려가 필요없는 락 디텍터 회로를 제공하고, 락 상태에서 벗어나는 경우에 즉시 언락 상태를 출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잘못된 클럭 신호에 의한 전체 칩의 오동작을 방지한 락 디텍터 회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락 디텍터 회로는, 주파수 분주기와, 상기 주파수 분주기의 출력신호인 제1 클럭신호와 외부로부터의 입력클럭신호를 입력받아 위상을 비교하여 제1 및 제2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위상 검출기를 구비하는 위상 고정 루프 회로의 위상 락 디텍터 회로에 있어서, 상기 입력클럭신호 및 상기 제1 클럭신호 및 상기 위상고정루프 회로의 출력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위상검출기의 상기 제1 제어신호 및 상기 제2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클럭신호 및 상기 제1 클럭신호의 위상 락 상태를 검출하는 락인디케이트 신호를 출력하는 락 디텍팅 수단과, 상기 락인디케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클럭신호의 각 주기별로 상기 입력클럭신호 및 상기 제1 클럭신호의 위상 락 상태를 파악하는 인지신호를 상기 주기별로 생성하고, 상기 인지신호의 일치여부를 검출하여 위상 락 상태가 소정의 주기동안 유지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락유지 판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위상 고정 루프를 위한 락 디텍터 회로{LOCK DETECTOR CIRCUIT FOR PHASE LOCKED LOOP}
본 발명은 위상 고정 루프(phase locked loop, 이하 PLL이라 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PLL이 정상 동작하여 주파수 락(lock)되어 원하는 클럭(clock)이 생성되었음을 알려주는 락 디텍터 회로(lock detector circuit)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PLL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임의의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주파수 궤환형 회로로서, 주파수 합성 회로나 데이터 프로세싱 회로의 클럭 복원회로 등에 많이 사용되어진다.
도 1은 일반적인 PLL의 구성도로서, 도면에서 1은 위상 주파수 검출기(Phase Frequency Detector, 이하 PFD라 함), 2는 차지 펌프(charge pump), 3은 전압 제어 발진기(Voltage-Controlled oscillator, 이하 VCO라 함), 4는 분주기(Divider), 5는 루프 필터(loop filter)를 각각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PLL은 출력 주파수(Fout)를 피드백 입력받아 임의의 주파수로 분주하기 위한 분주기(4)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기준 주파수 및 분주기(4)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를 입력받아 위상 및 주파수 차이를 검출하기 위한 PFD(1)와, PFD(1)로부터 출력되는 위상차 및 주파수 차이를 입력받아 루프 필터(5)를 충방전하는 차지 펌프(2)와, 차지 펌프(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루프 필터(5)와, 루프 필터(5)의 전압에 비례하는 출력 주파수(Fout)를 생성시키기 위한 VCO(3)로 이루어지며, 루프 필터(5)는 저항(R1) 및 커패시터(C1, C2)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통상의 PFD는 분주기(4)로부터 출력되는 임의의 주파수를 가지는 클럭신호(FB)와 기준이 되는 입력 클럭 신호(REF)의 위상 및 주파수에 대한 락 여부를 알려주는 락 디텍터 회로를 구비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락 디텍터 회로도로서, 입력 클럭 신호(REF)를 입력받아 소정 시간 지연하는 지연부(10)와, 분주기(4)로부터 피드백 입력되는 클럭 신호(FB)를 소정 시간 지연하는 2개의 지연부(12, 14)와, 클럭 신호(FB)의 상승 에지에 응답하여 지연부(10)로부터 출력되는 지연된 입력 클럭 신호(REF_D)를 에지 트리거링하는 D 플립플롭(16)과, 지연부(14)로부터 출력되는 지연된 클럭 신호(FB_2D)의 상승 에지에 응답하여 지연부(10)로부터 출력되는 지연된 입력 클럭 신호(REF_D)를 에지 트리거링하는 D 플립플롭(18)과, 2개의 D 플립플롭(16, 18)의 부출력단(QB)으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신호(A, B)를 입력받아 논리곱하기 위한 논리곱 게이트(20)와, 입력 클럭 신호(REF)의 상승 에지에 응답하여 각각 구동하고 최초 D 플립플롭(22)의 데이터 입력단으로 논리곱 게이트(20)의 출력 신호(Y)를 입력받으며 D 플립플롭의 정출력단(Q)과 그 다음번의 D 플립플롭의 데이터 입력단이 서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직렬연결된 D 플립플롭(22 내지 26)으로 이루어지며, 최종 D 플립플롭(26)의 정출력단(Q)으로부터 락 신호(LOCK)가 출력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락 디텍터 회로는 PFD로 입력되는 두 신호, 즉 분주기(4)로부터 출력되는 임의의 주파수를 가지는 클럭 신호(FB)와 기준이 되는 입력 클럭 신호(REF)를 이용하여 두 신호의 위상 차이가 일정한 채 입력 클럭 신호(REF)의 일정 주기 동안 그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 위상이 고정되었음을 알리는 락 신호(LOCK)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의 이러한 락 디텍터 회로는, 설계 시 설계자가 PLL이 락되었을 때 PFD로 입력되는 두 입력 신호(FB, REF)의 위상 차이를 미리 예측하고 이에 대응되는 지연값을 가지도록 지연부(10, 12, 14)를 설계하여야만 정상 동작이 가능하다. 그러나, 피드백 분주기(4)의 값이 커짐에 따라 PLL의 위상 에러 수정 시간이 길어지고, 그로 인해 PLL이 락되었을 때 PFD의 두 입력 신호(FB, REF)의 위상 차이가 크게 달라질 수 있어 설계자가 미리 지연값을 정확하게 설정하여 설계하는 것이 실제 불가능하다.
만약, 설계자가 지연값을 원하는 값보다 크게 설정하는 경우에는 실제 두 신호(FB, REF)가 락이 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락이 되었다고 잘못 인식하여 PLL을 구비한 칩으로 잘못된 클럭 신호를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설계자가 지연값을 원하는 값보다 작게 설정하는 경우에는 실제 PFD의 두 입력 신호(FB, REF)가 일정한 위상 차이를 가져 실제 락이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락 신호를 생성하지 못하여 칩으로 클럭 신호를 공급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락 디텍터 회로는 입력 클럭 신호(REF)의 일정 주기 동안 두 신호의 위상 차이가 유지되어야만 락 신호(LOCK)가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락 상태에서 벗어나는 경우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는다. 따라서, 락 상태에서 벗어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입력 신호(REF)의 일정 주기 동안에 락으로 잘못 인식하고 소정 시간 후에 언락(unlock)인 상태로 됨으로써 상기의 소정 시간 동안에 잘못된 클럭 신호를 전체 칩으로 공급하여 칩의 오동작을 유발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PFD의 2개 출력 신호(up 및 down) 및 PLL의 출력 클럭 신호(Fout)를 이용하여 지연값에 대한 별도의 고려가 필요없는 락 디텍터 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락 상태에서 벗어나는 경우에 즉시 언락 상태를 출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잘못된 클럭 신호에 의한 전체 칩의 오동작을 방지한 락 디텍터 회로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PLL의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락 디텍터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락 디텍팅부의 일실시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락 유지 검출부의 일실시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102, 104 : 2배 분주기
106, 108, 110, 112, 114, 116, 122, 124, 126 : D 플립플롭
118 : 부정논리합 게이트
120 : 분주기
128 : 논리곱 게이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락 디텍터 회로는, 주파수 분주기와, 상기 주파수 분주기의 출력신호인 제1 클럭신호와 외부로부터의 입력클럭신호를 입력받아 위상을 비교하여 제1 및 제2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위상 검출기를 구비하는 위상 고정 루프 회로의 위상 락 디텍터 회로에 있어서, 상기 입력클럭신호 및 상기 제1 클럭신호 및 상기 위상고정루프 회로의 출력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위상검출기의 상기 제1 제어신호 및 상기 제2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클럭신호 및 상기 제1 클럭신호의 위상 락 상태를 검출하는 락인디케이트 신호를 출력하는 락 디텍팅 수단과, 상기 락인디케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클럭신호의 각 주기별로 상기 입력클럭신호 및 상기 제1 클럭신호의 위상 락 상태를 파악하는 인지신호를 상기 주기별로 생성하고, 상기 인지신호의 일치여부를 검출하여 위상 락 상태가 소정의 주기동안 유지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락유지 판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락 디텍터 회로는 락 디텍팅부(도 3) 및 락 유지 검출부(도 4)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락 디텍팅부의 일실시 회로도로서, 입력 클럭 신호(REF)를 입력받아 그 주파수를 2배 분주하는 2배 분주기(100)와, 분주기(도 1의 도면 부호 4)로부터 클럭 신호(FB)를 입력받아 그 주파수를 2배 분주하는 2배 분주기(102)와, VCO(도 1에서 도면부호 3)로부터 출력되는 PLL의 출력 클럭 신호(Fout)를 M배 분주한 신호(Fout/M)를 입력받아 그 주파수를 2배 분주하는 2배 분주기(104)와, 2배 분주기(104)로부터 출력되는 2배 분주된 출력 클럭 신호(FoutM_Div)의 상승 에지에 응답하여 2배 분주기(100)로부터 출력되는 2배 분주된 입력 클럭 신호(REF_Div)를 에지 트리거링하는 D 플립플롭(106)과, 2배 분주기(104)로부터 출력되는 2배 분주된 출력 클럭 신호(FoutM_Div)의 하강 에지에 응답하여 2배 분주기(102)로부터 출력되는 2배 분주된 클럭 신호(FB_Div)를 에지 트리거링하는 D 플립플롭(108)과, D 플립플롭(106)의 정출력단(Q)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D_REF)의 상승 에지에 응답하여 PFD(도 1의 도면 부호 1)의 일출력 신호인 업 신호(UP)를 에지 트리거링하는 D 플립플롭(110)과, D 플립플롭(106)의 정출력단(Q)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D_REF)의 하강 에지에 응답하여 PFD(도 1의 도면 부호 1)의 일출력 신호인 업 신호(UP)를 에지 트리거링하는 D 플립플롭(112)과, D 플립플롭(108)의 정출력단(Q)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D_FB)의 상승 에지에 응답하여 PFD(도 1의 도면 부호 1)의 일출력 신호인 다운 신호(DOWN)를 에지 트리거링하는 D 플립플롭(114)과, D 플립플롭(108)의 정출력단(Q)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D_FB)의 하강 에지에 응답하여 PFD(도 1의 도면 부호 1)의 일출력 신호인 다운 신호(DOWN)를 에지 트리거링하는 D 플립플롭(116)과, 4개의 D 플립플롭(110, 112, 114, 116)의 정출력단(Q)으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신호(C, D, E, F)를 입력받아 부정논리합하여 락 인디케이터 신호(LOCK INDICATOR)를 출력하기 위한 부정논리합 게이트(118)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락 디텍팅부의 동작을 아래에 설명한다.
먼저, 입력 클럭 신호(REF), 분주기(도 1의 도면 부호 4)로부터 클럭 신호(FB) 및 PLL의 출력 클럭 신호(Fout)를 M배 분주한 신호(Fout/M)는 각각이 50%의 듀티(duty)를 가지지 않기 때문에 각각의 클럭 신호를 2배 분주하는 2배 분주기(100, 102, 104)를 거쳐 2배 분주되면서 50% 듀티를 가지는 각각의 클럭 신호(REF_Div, FB_Div, FoutM_Div)로 변환된다. 여기서 2배 분주된 출력 클럭 신호(FoutM_Div)는 2배 분주기(100)로부터 출력되는 2배 분주된 입력 클럭 신호(REF_Div)와 2배 분주기(102)로부터 출력되는 2배 분주된 클럭 신호(FB_Div)보다 빠른 주파수를 가져야 한다.
상기 2배 분주된 2개의 클럭 신호(REF_Div, FB_Div)는 2배 분주된 출력 클럭 신호(FoutM_Div)를 클럭단으로 입력받는 2개의 D 플립플롭(106, 108)의 데이터 입력단(D)으로 보내져, 클럭 신호(REF_Div)는 2배 분주된 출력 클럭 신호(FoutM_Div)의 1/2 주기만큼 지연된 신호(D_REF)로 변환되고, 다른 클럭 신호(FB_Div)는 2배 분주된 출력 클럭 신호(FoutM_Div)의 1 주기만큼 지연된 신호(D_FB)로 변환된다.
상기에서 지연된 두 신호(D_REF, D_FB)는 다음 단의 각각 2개의 D 플립플롭(110, 112, 114, 116)으로 입력되고, 2개의 D 플립플롭(110, 112)은 데이터단으로 입력받은 PFD(도 1의 도면부호 1)의 일출력 신호인 업 신호(UP)를 지연된 신호(D_REF)에 클럭킹하고, 나머지 2개의 D 플립플롭(114, 116)은 데이터단으로 입력받은 PFD(도 1의 도면부호 1)의 나머지 한 출력 신호인 다운 신호(DOWN)를 지연된 또하나의 신호(D_FB)에 클럭킹한다. 이때, D 플립플롭(110, 114)은 상승 에지에서 트리거링하고, 나머지 D 플립플롭(112, 116)은 하강 에지에서 트리거링한다.
따라서, D 플립플롭(110)은 지연된 신호(D_REF)의 상승에지에서 업 신호(UP)를 출력하고, D 플립플롭(112)은 지연된 신호(D_REF)의 하강에지에서 업 신호(UP)를 출력한다. 이와 동일하게, D 플립플롭(114)은 지연된 신호(D_FB)의 상승에지에서 다운 신호(DOWN)를 출력하고, D 플립플롭(116)은 지연된 신호(D_FB)의 하강에지에서 다운 신호(DOWN)를 출력한다. 이때, PLL이 락된 상태에서는 4개의 D 플립플롭(110, 112, 114, 116)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C, D, E, F)가 전부 '로우'의 값을 가지게 되며, 락이 안된 상태일 경우에는 신호(C, D, E, F)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신호가 '하이'값을 가지게 된다.
결국, PLL이 락된 상태에서는 부정논리합 게이트(118)를 통해 '하이'의 락 인디케이터 신호(LOCK INDICATOR)가 출력되고, PLL이 락이 안된 상태일 경우에는부정논리합 게이트(118)를 통해 '로우'의 락 인디케이터 신호(LOCK INDICATOR)를 출력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락 유지 검출부의 일실시 회로도로서, 입력 클럭 신호(REF)를 입력받아 그 주파수를 소정 레벨의 낮은 주파수로 분주하는 분주기(120)와, 상기 분주기(120)로부터 출력되는 소정 레벨의 낮은 주파수로 분주된 입력 클럭 신호(REF_LDiv)의 상승 에지에 응답하여 각각 구동하고 최초 D 플립플롭(122)의 데이터 입력단으로 상기 락 디텍팅부(도 3)로부터 출력되는 락 인디케이터 신호(LOCK INDICATOR)를 입력받으며 D 플립플롭의 정출력단(Q)과 그 다음번의 D 플립플롭의 데이터 입력단이 서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직렬연결된 D 플립플롭(122 내지 126)과, 상기 다수개의 D 플립플롭(122 내지 126)의 정출력단(Q)으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신호들을 입력받아 논리곱하기 위한 논리곱 게이트(128)로 이루어지며, 상기 논리곱 게이트(128)의 출력단으로부터 락 신호(LOCK)가 출력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락 유지 검출부의 동작을 아래에 설명한다.
락 디텍팅부로부터 출력되는 락 인디케이터 신호(LOCK INDICATOR)를 이용하여 PLL의 락된 상태가 일정한 주기 동안 유지가 되는 지를 알아 보기 위하여 분주기(120)에서 입력 클럭 신호(REF)를 소정 레벨의 낮은 주파수로 분주하고, 분주된 입력 클럭 신호(REF_LDiv)에 응답하여 제1 D 플립플롭(122)의 데이터 입력단(D)으로 인가되는 락 인디케이터 신호(LOCK INDICATOR)를 클럭킹한다. 제2 D 플립플롭(124)은 제1 D 플립플롭(122)의 정출력단(Q)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데이터 입력단(D)으로 인가받고 제3 D 플립플롭은 제2 D 플립플롭(124)의정출력단(Q)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데이터 입력단(D)으로 인가받는다. 동일 방식으로 계속 직렬 연결되는 D 플립플롭에 의해 락 인디케이터 신호(LOCK INDICATOR)가 차례로 클럭킹되며, 이러한 D 플립플롭의 개수는 PLL의 락된 상태의 유지 시간을 결정하는 것으로 설계자에 의해 프로그램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연결된 다수의 D 플립플롭의 정출력단(Q)으로부터 각기 출력되는 신호들이 논리곱 게이트(128)로 입력되어 논리곱됨으로써 최종 락 여부를 알리는 락 신호(LOCK)를 출력하게 된다. 이때, 논리곱 게이트(128)는 PLL이 락이 안된 상태로 되는 경우 다수의 D 플립플롭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G 내지 L)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신호가 '로우'값을 가져 '로우'의 락 신호(LOCK)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락 상태를 벗어나는 즉시 언락인 상태를 출력하게 되어 전체 칩으로 공급되어지는 클럭 신호를 끊어버림으로써 오동작을 막는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공정 변화나 PLL의 정적 위상 오차(Static Phase Error) 변화에도 보다 안정되고 정확한 락 디텍션 동작이 가능함으로써 정확한 클럭 신호를 전체 칩으로 공급하여 칩의 오동작을 막을 수 있다.

Claims (8)

  1. 주파수 분주기와, 상기 주파수 분주기의 출력신호인 제1 클럭신호와 외부로부터의 입력클럭신호를 입력받아 위상을 비교하여 제1 및 제2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위상 검출기를 구비하는 위상 고정 루프 회로의 위상 락 디텍터 회로에 있어서,
    상기 입력클럭신호 및 상기 제1 클럭신호 및 상기 위상고정루프 회로의 출력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위상검출기의 상기 제1 제어신호 및 상기 제2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클럭신호 및 상기 제1 클럭신호의 위상 락 상태를 검출하는 락인디케이트 신호를 출력하는 락 디텍팅 수단과,
    상기 락인디케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클럭신호의 각 주기별로 상기 입력클럭신호 및 상기 제1 클럭신호의 위상 락 상태를 파악하는 인지신호를 상기 주기별로 생성하고, 상기 인지신호의 일치여부를 검출하여 위상 락 상태가 소정의 주기동안 유지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락유지 판정수단
    을 포함하는 락 디텍터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락 디텍팅 수단은,
    상기 입력 클럭 신호를 입력받아 그 신호의 주파수를 2배 분주하기 위한 제1 2배 분주 수단;
    상기 제1 클럭 신호를 입력받아 그 신호의 주파수를 2배 분주하기 위한 제2 2배 분주 수단;
    상기 위상 고정 루프의 출력 클럭 신호를 M배(M은 자연수) 분주한 신호를 입력받아 그 신호의 주파수를 2배 분주하기 위한 제3 2배 분주 수단;
    상기 제3 2배 분주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2배 분주된 상기 출력 클럭 신호의 제1 에지에 응답하여 상기 제1 2배 분주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2배 분주된 상기 입력 클럭 신호를 에지 트리거링하기 위한 제1 D 플립플롭;
    상기 제3 2배 분주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2배 분주된 상기 출력 클럭 신호의 제2 에지에 응답하여 상기 제2 2배 분주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2배 분주된 상기 제1 클럭 신호를 에지 트리거링하기 위한 제2 D 플립플롭;
    상기 제1 D 플립플롭의 정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상기 제1 에지에 응답하여 상기 위상 주파수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제1 제어신호를 에지 트리거링하기 위한 제3 D 플립플롭;
    상기 제1 D 플립플롭의 정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상기 제2 에지에 응답하여 상기 위상 주파수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제1 제어신호를 에지 트리거링하기 위한 제4 D 플립플롭;
    상기 제2 D 플립플롭의 정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상기 제1 에지에 응답하여 상기 위상 주파수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에지 트리거링하기 위한 제5 D 플립플롭;
    상기 제2 D 플립플롭의 정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상기 제2 에지에응답하여 상기 위상 주파수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에지 트리거링하기 위한 제6 D 플립플롭; 및
    상기 제3 내지 제6 D 플립플롭의 정출력단으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부정논리합하여 상기 락 인디케이터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부정논리합 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락 디텍터 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2배 분주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2배 분주된 상기 출력 클럭 신호는,
    상기 제1 2배 분주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2배 분주된 상기 입력 클럭 신호 및 상기 제2 2배 분주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2배 분주된 상기 제1 클럭 신호의 주파수 보다 빠른 주파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 디텍터 회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D 플립플롭의 정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상기 제1 2배 분주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2배 분주된 상기 입력 클럭 신호가 상기 제3 2배 분주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2배 분주된 상기 출력 클럭 신호의 1/2 주기만큼 지연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 디텍터 회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D 플립플롭의 정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상기 제2 2배 분주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2배 분주된 상기 제1 클럭 신호가 상기 제3 2배 분주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2배 분주된 상기 출력 클럭 신호의 1 주기만큼 지연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 디텍터 회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고정 루프가 락된 경우에 상기 제3 내지 제6 D 플립플롭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모두 '로우'의 값을 가지며,
    상기 위상 고정 루프가 락이 안된 경우 상기 제3 내지 제6 D 플립플롭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신호가 '하이'의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 디텍터 회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락 유지 검출 수단은,
    상기 입력 클럭 신호를 입력받아 그 신호의 주파수를 소정 레벨의 낮은 주파수로 분주하기 위한 분주 수단;
    상기 분주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소정 레벨의 낮은 주파수로 분주된 상기 입력 클럭 신호의 제1 에지에 응답하여 각각 구동하고 정출력단 및 데이터 입력단이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직렬 연결된 D 플립플롭; 및
    상기 D 플립플롭 각각의 정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을 입력받아 논리곱하기 위한 논리곱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D 플립플롭 중 제1 D 플립플롭의 데이터 입력단으로 상기 락 인디케이터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논리곱 수단의 출력단으로부터 상기 위상 고정 루프의 최종 락 여부를 알리는 락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 디텍터 회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D 플립플롭의 개수는,
    상기 위상 고정 루프의 락 유지 시간에 응답하여 프로그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 디텍터 회로.
KR1019990025826A 1999-06-30 1999-06-30 위상 고정 루프를 위한 락 디텍터 회로 KR100341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5826A KR100341580B1 (ko) 1999-06-30 1999-06-30 위상 고정 루프를 위한 락 디텍터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5826A KR100341580B1 (ko) 1999-06-30 1999-06-30 위상 고정 루프를 위한 락 디텍터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5039A KR20010005039A (ko) 2001-01-15
KR100341580B1 true KR100341580B1 (ko) 2002-06-22

Family

ID=19597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5826A KR100341580B1 (ko) 1999-06-30 1999-06-30 위상 고정 루프를 위한 락 디텍터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15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081B1 (ko) 2007-01-11 2008-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동기 실패를 방지하는 장치 및 그에 따른 지연 동기 루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399B1 (ko) * 2001-10-18 2007-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큐에이엠 수신기의 타이밍 락 디텍터
KR101645281B1 (ko) 2015-01-21 2016-08-05 (주)에프씨아이 분수형 주파수 합성기에 적합한 락 디텍팅 장치 및 방법
KR102375952B1 (ko) 2015-01-22 2022-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상 고정 검출 장치 및 검출 방법
CN114826220B (zh) * 2022-01-10 2024-04-05 珠海市杰理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芯片、时钟生成电路及时钟控制电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081B1 (ko) 2007-01-11 2008-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동기 실패를 방지하는 장치 및 그에 따른 지연 동기 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5039A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1485B1 (ko) 로크 검출 회로
US5103192A (en) Phase-difference detecting circuit and method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pll system
US7372339B2 (en) Phase lock loop indicator
US5909130A (en) Digital lock detector for phase-locked loop
US20070273410A1 (en) Clock switching circuit
US6879195B2 (en) PLL lock detection circuit using edge detection
US6150889A (en) Circuit and method for minimizing recovery time
US7676014B2 (en) Digital lock detector for phase-locked loop
US7250803B2 (en) PLL output clock stabilization circuit
JPH07202690A (ja) クロック信号発生回路
CN108306638B (zh) 一种适用于电荷泵锁相环的可配置锁定检测电路
US7015727B2 (en) Generating a lock signal indicating whether an output clock signal generated by a PLL is in lock with an input reference signal
CN112165327B (zh) 一种锁定检测电路和显示设备
CN111464180B (zh) 一种具有锁定检测功能的锁相环电路
US6686803B1 (en) Integrated circuit incorporating circuitry for determining which of at least two possible frequencies is present on an externally provided reference signal and method therefor
US6998889B2 (en) Circuit, apparatus and method for obtaining a lock state value
EP0435552B1 (en) A phase locked loop with reduced frequency/phase lock time
KR100341580B1 (ko) 위상 고정 루프를 위한 락 디텍터 회로
US6177812B1 (en) Phase detector
KR960012921B1 (ko) 위상 록 루프 회로
US6954510B2 (en) Phase-locked loop lock detector circuit and method of lock detection
US5555278A (en) Semiconductor circuit having phase lock function
JPH09214333A (ja) 半導体集積回路
KR20010014543A (ko) 위상 동기 루프 회로
US20040201426A1 (en) Phase frequency detector used in phase locked loo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