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0942B1 - 고속충전이가능한플래시장치 - Google Patents

고속충전이가능한플래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0942B1
KR100340942B1 KR1019950000174A KR19950000174A KR100340942B1 KR 100340942 B1 KR100340942 B1 KR 100340942B1 KR 1019950000174 A KR1019950000174 A KR 1019950000174A KR 19950000174 A KR19950000174 A KR 19950000174A KR 100340942 B1 KR100340942 B1 KR 100340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harging
boosting
state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0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0506A (ko
Inventor
이기율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50000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0942B1/ko
Priority to JP7342484A priority patent/JPH08278539A/ja
Priority to US08/582,623 priority patent/US5640624A/en
Priority to CN96101413A priority patent/CN1072365C/zh
Publication of KR960030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0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0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09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0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ulses, e.g. flash lamp
    • H05B41/32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ulses, e.g. flash lamp for single flash oper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 Discharge-Lamp Control Circuits And Pulse- Feed Circuits (AREA)

Abstract

인가되는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플래시 동작에 필요한 고전압의 직류 전압으로 승압시켜 출력하는 제1승압 수단과; 상기 신호 변환 수단에서 인가되는 고전압을 정류시켜 충전시키는 제1충전 수단과; 상기 제1충전 수단에서 충전되어 인가되는 전압을 플래시 동작에 필요한 고전압으로 다시 승압시켜 출력하는 제2승압 수단과; 상기 제2승압 수단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직류 전압을 충전시키는 제2충전 수단과; 상기 제2승압 수단에서 인가되는 출력 전압이 인가되어,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고전압이 유기되어 플래시 발광을 위한 트리거 신호를 출력하는 트리거 수단과, 상기 트리거 수단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트리거 신호에 따라 상기 제2충전 수단에 충전되어 있는 고전압을 방전시키는 발광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하는 고속 충전이 가능한 플래시 장치는, 카메라에 전원이 인가되면 플래시를 발광시키기 위한 전압을 승압시켜 충전시킨 다음, 촬영 동작이 시작되면 상기 승압된 전압에 따라 플래시 발광 동작에 따른 구동 전압을 충전시켜 플래시를 발광시키므로써, 플래시 고속 충전이 가능하여 중요한 순간의 플래시 미충전으로 인하여 촬영 기회를 놓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속 충전이 가능한 플래시 장치
이 발명은 고속 충전이 가능한 플래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카메라에 전원이 인가되면 플래시를 발광시키기 위한 전압을 승압시켜 충전시킨 다음, 촬영 동작이 시작되면 상기 승압된 전압에 따라 플래시 발광 동작에 따른 구동 전압을 충전시켜 플래시를 발광시키는 고속 충전이 가능한 플래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사체를 촬영할 경우 주위 환경의 조도 상태에 따라 촬영 상태가 결정된다. 그러므로 실내나 야간에 사진을 촬영할 때에는 조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임의로 광량이 크고 색온도가 높은 태양 광선과 거의 같은 성질을 내는 섬광을 극히 짧은 시간 동안 만들어 사진 촬영시에 주위 조도의 영향을 개선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주위의 광량이 부족할 경우에, 촬영자가 스스로 판단하여 수동으로 장착되는 플래시 장치가 셔터의 동작과 연동으로 순간적인 섬광을 발광한다.
또한, 내부에 플래시 장치가 내장되어 있는 자동 카메라일 경우에도 주위의 조도 상태에 따라 플래시 장치의 구동 여부를 판단하여 광량이 부족할 경우, 셔터의 동작과 연동하여 자동으로 섬광을 발광하므로 부족한 광량을 보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플래시 회로의 작용은 첨부한 제1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전원 공급부(10) 즉, 건전지의 전압이 승압부(20)의 전자 유도 작용에 의하여 승압되어 충전 캐패시터(70)에 충전된다.
도시하지 않은 카메라의 촬영 제어 장치가 플래시의 충전 여부를 판단한 다음, 주위의 조도가 낮아 적정 노출의 촬영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트리거부(50)로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구동 신호에 따라 트리거부(50)가 작동되어 상기 충전 캐패시터(70)에 충전되어 있던 전하가 방전관(60)을 통하여 방전되므로써, 방전관(60)의 이온화 작용에 따라 섬광이 발광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플래시 회로는 건전지의 전압으로 플래시 충전 캐패시터를 충전시키므로써, 플래시를 동작시키는데 필요한 고전압까지 충전시키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플래시 충전 시간이 오래 결려 중요한 순간을 촬영하는 경우에 플래시 미충전으로 플래시가 작동하지 않아, 적정 노출의 사진을 촬영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카메라에 전원이 인가되면 건전지의 전압을 승압시켜 충전시킨 다음, 촬영동작이 시작되면 상기 승압된 전압에 따라 플래시 발광 동작에 따른 구동 전압을 충전시켜 플래시를 발광시키므로써, 플래시의 고속 충전이 가능하여 촬영 기회 포착에 따른 순간적인 플래시 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고속 충전이 가능한 플래시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구성은,
인가되는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플래시 동작에 필요한 고전압의 직류 전압으로 승압시켜 출력하는 제1승압 수단과;
상기 제1승압 수단에서 인가되는 고전압을 정류시켜 충전시키는 제1충전 수단과;
상기 제1충전 수단에서 충전되어 인가되는 전압을 플래시 동작에 필요한 고전압으로 다시 승압시켜 출력하는 제2승압 수단과;
상기 제2승압 수단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직류 전압을 충전시키는 제2충전 수단과;
상기 제2승압 수단에서 인가되는 출력 전압이 인가되어,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고전압이 유기되어 플래시 발광을 위한 트리거 신호를 출력하는 트리거 수단과;
상기 트리거 수단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트리거 신호에 따라 상기 제2충전 수단에 충전되어 있는 고전압을 방전시키는 발광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속 충전이 가능한 플래시 회로 구성도이고,
제3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속 충전이 가능한 플래시 상세 회로도이고,
제4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속 충전이 가능한 플래시 장치의 동작 순서도이다.
첨부한 제3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속 충전이 가능한 플래시 장치의 구성은, 일정한 직류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0)와, 상기 전원 공급부(1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직류 전압을 고전압을 승압시켜 출력하는 1차 승압부(20)와, 상기 1차 승압부(2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출력되는 고전압을 충전시키는 에너지 충전부(30)와, 상기 에너지 충전부(3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충전된 전압을 2차 승압시켜 출력하는 2차 승압부(40)와, 상기 2차 승압부(4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트리거 신호를 출력하는 트리거부 (50)와, 상기 트리거부(5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트리거 신호에 따라 고전압을 방전시키는 플래시 방전부(60)와, 상기 플래시 방전부(6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고전압을 충전시키는 고전압 충전부(70)로 이루어진다.
첨부한 제4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1차 승압부 (20)는, 에미터 단자가 전원에 연결된 트랜지스터(T1)와, 일측 단자가 전원에 연결된 저항(R1)과, 콜렉터 단자가 상기 저항(R1)의 타측 단자에 연결되고 베이스 단자가 상기 플래시 제어부(10)의 제1승압 단자(VE1)에 연결된 트랜지스터(T2)와, 캐소드 단자가 상기 트랜지스터(T2)의 에미터 단자에 연결되고 애노드 단자가 접지된 다이오드(D1)와, 일측 단자가 상기 크랜지스터(T1)의 콜렉터 단자에 연결되고 타측 단자가 접지된 1차코일(L1)과, 2차코일(L2)과, 일측 단자가 상기 2차코일(L2)의 타측 단자에 연결된 3차 코일(L3)과, 일측 단자가 상기 3차코일(L3)의 타측 단자에 연결되고 타측 단자가 접지된 저항(R8)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에너지 충전부(30)는 애노드 단자가 상기 코일(L2)의 타측단자에 연결된 다이오드(D2)와, 일측 단자가 상기 다이오드(D2)의 캐소드 단자에 연결되고 타측 단자가 접지된 캐패시터(C1)와, 에미터 단자가 상기 다이오드(D2)의 캐소드 단자에 연결된 트랜지스터(T5)와, 일측 단자가 상기 트랜지스터(T5)의 베이스 단자에 연결된 저항(R10)과, 콜렉터 단자가 상기 저항(R10)의 타측 단자에 연결되고 베이스 단자가 플래시 제어부(10)의 제1충전 단자(CHARG1)단자에 연결되고 에미터 단자가 접지된 트랜지스터(T6)와, 일측 단자가 상기 트랜지스터(T5)의 콜렉터 단자에 연결되고 타측 단자가 접지된 캐패시터(C2)와, 에미터 단자가 상기 트랜지스터(T5)의 콜렉터 단자에 연결된 트랜지스터(T7)와, 일축 단자가 상기 트랜지스터(T7)의 베이스 단자에 연결된 저항(R11)과, 콜렉터 단자가 상기 저항(R11)의 타측 단자에연결되고 베이스 단자가 상기 플래시 제어부(10)의 제2충전 단자(CHARG2)에 연결되고 에미터 단자가 접지된 트랜지스터(T8)와, 일측 단자가 상기 트랜지스터(T7)의 콜렉터 단자에 연결되고 타측 단자가 접지된 캐패시터(C3)와, 일측 단자가 상기 트랜지스터(T7)의 베이스 단자에 연결된 저항(R2)과, 캐소드 단자가 상기 저항(R2)의 타측 단자에 연결되고 애노드 단자가 접지된 다이오드(D3)로 이루어진다.
상기 2차 승압부(40)의 구성은, 에미터 단자가 전원에 연결된 트랜지스터 (T1)와, 일측 단자가 상기 에너지 충전부(30)의 트랜지스터(T7)의 콜렉터 단자에 연결된 저항(R3)과, 콜렉터 단자가 상기 저항(R1)의 타측 단자에 연결되고 베이스 단자가 상기 플래시 제어부(10)의 제2승압 단자(VE2)에 연결된 트랜지스터(T3)와, 캐소드 단자가 상기 트랜지스터(T3)의 에미터 단자에 연결되고 애노드 단자가 접지된 다이오드(D4)와, 에미터 단자가 상기 트랜지스터(T)의 콜렉터 단자에 연결되고 베이스 단자가 상기 저항(R3)의 타측 단자에 연결된 트랜지스터(T4)와, 일측 단자가 상기 트랜지스터(T4)의 콜렉터 단자에 연결되고 타측 단자가 접지된 1차코일 (L4)과, 2차코일(L5)과, 일측 단자가 상기 2차코일(L5)의 타측 단자에 연결된 3차 코일(L6)과, 일측 단자가 상기 3차코일(L6)의 타측 단자에 연결되고 타측 단자가 접지된 저항(R9)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트리거부(50)는 애노드 단자 상기 코일(L5)의 타측 단자에 연결된 다이오드(D5)와, 일측 단자가 상기 다이오드(D5)의 캐소드 단자에 연결된 저항(R4)과, 일측 단자가 상기 저항(R4)의 타측 단자에 연결된 네온 방전판(NE)과, 일측 단자가 상기 네온 방전관(NE)의 타측 단자에 연결되고 타측 단자가 접지된 저항(R5)과, 일측 단자가 상기 저항(R4)의 타측 단자에 연결된 저항(R6)과, 애노드 단자가 상기 저항(R6)의 타측 단자에 연결되고 게이트 단자가 상기 플래시 제어부(10)의 트리거 단자(TRIG)에 연결되고 캐소드 단자가 접지된 사이리스터(SCR1)와, 일측 단자가 상기 사이리스터(SCR1)의 게이트 단자에 연결되고 타측 단자가 접지된 저항(R7)과, 일측 단자가 상기 사이리스터(SCR1)의 게이트 단자에 연결되고 타측 단자가 접지된 캐패시터(C4)와, 일측 단자가 상기 저항(R6)의 타측 단자에 연결된 캐패시터(C5)와, 일측 단자가 상기 캐패시터(C5)의 타측 단자에 연결되고 타측 단자가 접지된 1차 코일(L7)과, 일측 단자가 상기 1차 코일(L7)의 타측 단자에 연결된 2차 코일 (L8)로 이루어진다.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충전부(30)는 다수의 캐패시터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며,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캐패시터(C1), 제2캐패시터(C2), 제3캐패시터(C3)는 대용량, 저전압 캐패시터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래시 발광부(60)는 크세논 방전관(XE)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전압 충전부(70)는 대용량 충전 캐패시터(C6)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속 충전이 가능한 플래시 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카메라에 전원이 인가되면 도시하지 않은 촬영 제어 장치가 플래시 구동 전압을 승압시키기 위하여 하이 레벨의 제1승압 신호(VE1)를 플래시 장치로 출력한다.
상기 도시하지 않은 촬영 제어 장치에서 출력된 하이 레벨의 제1승압 신호(VE1)에 의하여 첨부한 제3도에 도시되어 있는 1차 승압부(20)의 트랜지스터(T2)가 턴온되고, 상기 트랜지스터(T1)의 턴온 동작으로 인하여 트랜지스터(T1)도 순차적으로 연동하여 턴온된다.
상기 트랜지스터(T2)가 턴온되어 전류가 코일(L3)로 흐르다가 상기 트랜지스터(T1)가 턴온되어 전류가 단속이 되면, 전자 유도 작용에 의하여 코일(L2)에 높은 기전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도시하지 않은 촬영 제어 장치가 충전부(30)의 트랜지스터(T6, T8)의 베이스단자로 하이레벨의 충전 신호(CHARGI, CHARG2)를 출력하여 트랜지스터(T5, T7)를 도통시킨다.
상기 유도 작용에 의하여 발생된 기전력은 다이오드를 통하여 충전부(30)의 제1캐패시터(C1)와, 트랜지스터(T5, T7)를 통하여 각각 제2캐패시터(C2)와 제3캐패시터(C3)로 충전된다.
상기 도시하지 않은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저항(R2)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캐패시터의 충전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에서 건전지의 전압을 승압시켜 캐패시터(C1, C2, C3)에 충전시킨 상태에서, 촬영 제어 장치는 플래시를 발광시키는데 필요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하여 제2승압부(40)로 하이 레벨의 제2승압신호(VE2)를 출력한다.
도시하지 않은 촬영 제어 장치에서 출력된 하이 레벨의 제2승압 신호(VE2)에 의하여 제2승압부(40)의 트랜지스터(T4)가 턴온되고, 상기 트랜지스터(T4)가 턴온됨에 따라 순차적으로 연동하여 트랜지스터(T3)가 턴온된다.
상기 제2승압부(40)의 트랜지스터(T3, T4)가 턴온됨에 따라 충전부(30)의 제3캐패시터(C3)에 충전되어 있던 전하가 상기 트랜지스터(T4)와 코일(L6)을 통하여 방전된다.
상기 캐패시터(C3)에 충전된 전하가 트랜지스터(T4)를 통하여 다 방전이 되어 코일(L6)을 흐르는 전류가 단속이 되면, 전자 유도 작용에 의하여 코일(L5)에 높은 기전력이 발생하고, 발생된 기전력은 다이오드(D5)를 통하여 충전 캐패시터 (C6)에 충전된다.
또한, 저항(R4, R6)을 통하여 캐패시터(C5)에도 상기 캐패시터(C6)와 동일한 전압이 충전된다.
상기 유도 작용에 따라 발생된 기전력은 상기 캐패시터(C5, C6)를 충전시키면서 저항(R4)를 통하여 네온 방전관(NE)으로 인가된다.
상기에서 촬영 제어 장치는 상기 네온 방전관(NE)의 타측단자에 연결되어 입력되는 충전 감지 신호(IN2)에 따라 충전 캐패시터(C6)의 충전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네온 방전관(NE)은 일정한 방전 개시 전압에 해당하는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 방전 동작을 수행하므로, 충전 캐패시터(C6)에 설정된 방전 개시 전압에 해당하는 전압이 충전되지 않되면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로우 레벨의 신호가 촬영 제어 장치로 입력된다.
상기에서 촬영 제어 장치는 충전 감지 신호 단자(IN2)에서 입력되는 신호가 로우 레벨인 경우에는, 현재 충전 캐패시터(C6)에 플래시를 발광시키기 위한 충분한 전압이 충전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충전부(30)의 제2캐패시터(C2)에 충전된 전하량을 공급하기 위하여, 트랜지스터(T8)를 구동하기 위한 하이 레벨의 충전 신호(CHARG2)와, 하이 레벨의 제2승압신호(VE2)를 출력한다.
상기 트랜지스터(T8)의 베이스 단자로 하이 신호가 인가되어 턴온되면 트랜지스터(T7)가 턴온되고, 인가되는 하이 레벨의 제2승압 신호(VE2)가 트랜지스터 (T4)베이스 단자로 인가되어 턴온되면, 상기 제2캐패시터(C2)에 충전된 전하가 방전하면서 상기와 같이 유도 작용에 따라 코일(L5)에 기전력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발생된 기전력은 다시 캐패시터(C5, C6)에 충전되며 촬영 제어 장치는 네온 방전관(NE)의 출력단자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충전 완료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에서 플래시를 발광시키기 위한 충전 캐패시터(C6)의 충전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트랜지스터(T5, T4, T7)를 구동시켜 충전부(30)의 제1캐패시터 (C1)를 방전시키므로, 유도 작용에 따른 기전력이 발생되어 캐패시터(C5, C6)를 충전시킨다.
상기에서 충전부(30)의 각 캐패시터(C1~C3)에 충전된 전하의 방전에 따른 유도 작용에 의하여 충전 캐패시터(C6)의 충전이 완료되어, 상기 네온 방전관(NE)의 방전 개시 전압에 해당하는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네온 방전관(NE)을 통하여 전류가 흘러 그에 해당하는 신호가 촬영 제어 장치로 입력된다.
상기 촬영 제어 장치는 플래시를 발광시키기 위한 충전이 완료되면, 트리거부(50)로 플래시를 발광시키기 위한 크리거 신호(TRIG)를 출력한다.
상기 촬영 제어 장치에서 출력된 하이 레벨의 트리거 신호(TRIG)에 의하여크리거부(50)의 사이리스터(SCR3)가 턴온되면, 상기 캐패시터(C5)에 충전되어 있던 전하가 사이리스터(SCR3)를 통하여 방전되면서 코일(L7)의 전류가 단속되어 2차코일(L8)로 높은 기전력이 유기되어 발광부(60)의 크세논 방전관(XE)으로 인가된다.
상기 인가되는 고전압에 따라 크세논 방전관(XE)을 통하여 고전압 충전부 (70)의 충전 캐패시터(C6)에 충전되어 있는 고전압이 방전되면서 발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승압된 전압으로 충전 캐패시터(C6)를 고속으로 충전시켜, 피사체를 촬영할때 주위의 광량 부족으로 적정 노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촬영 제어 장치에서 인가되는 구동 신호에 따라 크세논 방전관(XE)을 이온화시켜 부족한 광량을 공급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카메라에 전원이 인가되면 플래시를 발광시키기 위한 전압을 일차 승압시켜 충전시킨 다음, 촬영 동작이 시작되면 상기 승압된 전압에 따라 플래시 발광 동작에 따른 구동 전압을 충전시켜 플래시를 발광시키므로써, 플래시 발광에 따른 구동 전압 충전이 가속화되어 중요한 순간의 촬영 기회를 포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고속 충전이 가능한 플래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1도는 종래의 플래시 회로 구성도이고,
제2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속 충전이 가능한 플래시 장치의 회로 구성도이고,
제3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속 충전이 가능한 플래시 장치의 상세 회로도이다.

Claims (6)

  1. 인가되는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플래시 동작에 필요한 고전압의 직류 전압으로 승압시켜 출력하는 제1승압 수단과;
    상기 제1승압 수단에서 인가되는 고전압을 정류시켜 충전시키는 제1충전 수단과;
    상기 제1충전 수단에서 충전되어 인가되는 전압을 플래시 동작에 필요한 고전압으로 다시 승압시켜 출력하는 제2승압 수단과;
    상기 제2승압 수단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직류 전압을 충전시키는 제2충전 수단과;
    상기 제2승압 수단에서 인가되는 출력 전압이 인가되어,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고전압이 유기되어 플래시 발광을 위한 트리거 신호를 출력하는 트리거 수단과;
    상기 트리거 수단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트리거 신호에 따라 상기 제2충전 수단에 충전되어 있는 고전압을 방전시키는 발광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충전이 가능한 플래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승압 수단은,
    동작 제어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승압 단자(VE1)의 신호 상태에 따라 동작 상태가 가변되는 제1스위칭 수단(T2)과;
    상기 제1스위칭 수단(T2)의 동작 상태에 따라 저항(R1)을 통하여 입력되는 전원의 신호 상태가 가변되어 동작 상태가 가변되는 제2스위칭 수단(T1)과;
    상기 제1스위칭 수단(T2)의 동작 상태에 따라 전류 인가 상태가 가변되어 고전압을 출력하는 변압 수단(L1, L2, L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충전이 가능한 플래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충전 수단은
    다수개의 충전 캐패시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충전이 가능한 플래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충전 수단은,
    상기 제1승압 수단의 출력단자에 애노드 단자가 연결되어 인가되는 교류 전압을 정류시켜 출력하는 다이오드(D2)와;
    상기 다이오드(D2)의 캐소드 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된 제1캐패시터(C1)와;
    상기 다이오드(D2)의 캐소드 단자에 애노드 단자가 연결되어 동작 제어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충전 단자(CHARG1)의 신호 상태에 따라 동작 상태가 가변되는 제1스위칭 수단(T5, T6)과;
    상기 제1스위칭 수단(T5)의 콜렉터 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된 제2캐패시터 (C2)와;
    상기 제1스위칭 수단(T5)의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동작 제어 장치에 연결되어있는 충전 단자(CHARG2)의 신호 상태에 따라 동작 상태가 가변되는 제2스위칭 수단 (T7, T8)과;
    상기 제2스위칭 수단(T7)의 콜렉터 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된 제3캐패시터 (C3)와;
    상기 제2스위칭 수단(T7)의 콜렉터 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된 저항(R2)과;
    상기 저항(R2)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다이오드(D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충전이 가능한 플래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승압 수단은,
    상기 제1충전 수단의 출력단자에 일측 단자가 연결된 저항(R3)과;
    상기 저항(R3)의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동작 제어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승압 단자(VE2)의 신호 상태에 따라 동작 상태가 가변되는 제1스위칭 수단(T3)과;
    상기 제1스위칭 수단(T3)의 동작 상태에 따라 저항(R3)을 통하여 입력되는 전원의 신호 상태가 가변되어 동작 상태가 가변되는 제2스위칭 수단(T4)과;
    상기 제1스위칭 수단(T3)의 동작 상태에 따라 전류 인가 상태가 가변되어 고전압을 출력하는 변압 수단(L4, L5, L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충전이 가능한 플래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트리거 수단은,
    애노드 단자가 상기 제2승압 수단의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교류 전합을 정류시켜 출력하는 다이오드(D5)와;
    일측단자가 상기 다이오드(D5)의 캐소드 단자에 연결된 저항(R4)과;
    상기 저항(4)의 타측단자에 연결되어 입력되는 전압상태에 따라 방전하는 제1방전 수단(NE)과;
    상기 상기 저항(R4)의 타측단자에 애노드 단자가 연결되어 동작 제어 장치에 연결된 트리거 단자(TRIG)의 신호 상태에 따라 동작 상태가 가변되는 스위칭 수단 (SCR3)과;
    상기 저항(R4)의 타측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칭 수단(SCR3)의 동작 상태에 따라 충방전 상태가 가변되는 캐패시터(C5)와;
    상기 캐패시터(C5)의 충방전 상태가 따라 전류 인가 상태가 가변되어 고전압을 출력하는 변압 수단(L7, L8)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충전이 가능한 플래시 장치.
KR1019950000174A 1995-01-06 1995-01-06 고속충전이가능한플래시장치 KR100340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0174A KR100340942B1 (ko) 1995-01-06 1995-01-06 고속충전이가능한플래시장치
JP7342484A JPH08278539A (ja) 1995-01-06 1995-12-28 高速充電が可能なフラッシュ装置
US08/582,623 US5640624A (en) 1995-01-06 1996-01-04 High-speed charge flash for a camera
CN96101413A CN1072365C (zh) 1995-01-06 1996-01-06 照相机闪光灯的快速充电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0174A KR100340942B1 (ko) 1995-01-06 1995-01-06 고속충전이가능한플래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0506A KR960030506A (ko) 1996-08-17
KR100340942B1 true KR100340942B1 (ko) 2002-11-30

Family

ID=19406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0174A KR100340942B1 (ko) 1995-01-06 1995-01-06 고속충전이가능한플래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640624A (ko)
JP (1) JPH08278539A (ko)
KR (1) KR100340942B1 (ko)
CN (1) CN107236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44471B1 (en) * 1997-12-05 2004-06-01 Olympus Optical Co., Ltd Electronic camera that synthesizes two images taken under different exposures
JPH11231404A (ja) * 1998-02-16 1999-08-27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の制御回路
US6456797B1 (en) 2000-06-13 2002-09-24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nic flash unit with alternative capacitor switching
JP4002090B2 (ja) 2001-10-31 2007-10-31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閃光放電管用電源回路
JP2004045864A (ja) * 2002-07-12 2004-02-12 Olympus Corp カメラのためのストロボ装置
JP2004157320A (ja) * 2002-11-06 2004-06-03 Olympus Corp 電池残量チェック方法及びその装置
CN101472365B (zh) * 2007-12-27 2012-01-25 佛山普立华科技有限公司 闪光灯控制电路
CN110213422B (zh) * 2019-05-14 2021-05-28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闪光灯使能控制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11601422B (zh) * 2020-05-27 2022-03-1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启动电路及电子设备
CN117639143A (zh) * 2022-08-19 2024-03-01 西门子瑞士有限公司 充电电路、充电方法、电子设备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33136A1 (de) * 1976-08-17 1978-02-23 Seiko Koki Kk Kamera
JPS5847822U (ja) * 1981-09-24 1983-03-31 ミノルタ株式会社 カメラのリレ−ズ制御装置
US4623824A (en) * 1984-06-07 1986-11-18 Life Light Systems Controlled high voltage generator
CN1035709C (zh) * 1989-07-27 1997-08-20 精工爱普生株式会社 电压型脉宽调制变流/逆变器系统及其控制过程
WO1992002074A1 (en) * 1990-07-23 1992-02-06 Henri Courier De Mere Self-integration voltage conver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8278539A (ja) 1996-10-22
CN1072365C (zh) 2001-10-03
US5640624A (en) 1997-06-17
KR960030506A (ko) 1996-08-17
CN1156842A (zh) 1997-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51081A (en) Flash device
KR100340942B1 (ko) 고속충전이가능한플래시장치
KR970006278B1 (ko) 충전량에 따라 자동 발광하는 카메라 및 그 제어방법
US6009281A (en) Flash device
US4555648A (en) Electronic flash unit utilizing pre-flash illumination of flashtube
KR100229101B1 (ko) 카메라의 적목 발광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00365500C (zh) 照相机的闪光灯装置
KR100346627B1 (ko) 카메라의 연속 플래시 발광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0157519B1 (ko) 자동 충전 완료 플래시 장치
KR0157518B1 (ko) 접속 관계가 용이해진 외부 장착용 플래시 제어 장치
KR100706116B1 (ko) 광량 조절이 가능한 스트로보 장치
KR100227680B1 (ko) 촬영장치의 플래시 회로
JPS59180530A (ja) 2灯自動調光閃光装置
KR950000939B1 (ko) 스트로보 플래시 회로
JP4154706B2 (ja) カメラに備えるモニタとフラッシュの給電装置
JPH09325388A (ja) ストロボ発光量制御可能なカメラ
JP3159735B2 (ja) 赤目防止装置
KR960009654Y1 (ko) 멀티 발광 스트로브 회로
KR200149625Y1 (ko) 스트로보 장치
JPH0455311Y2 (ko)
JPH09127578A (ja) ストロボ装置
JPH09113966A (ja) ストロボ装置
JPH04114136A (ja) ストロボの発光制御回路
JPS6314329B2 (ko)
JPH04107438A (ja) 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