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7680B1 - 촬영장치의 플래시 회로 - Google Patents

촬영장치의 플래시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7680B1
KR100227680B1 KR1019940017282A KR19940017282A KR100227680B1 KR 100227680 B1 KR100227680 B1 KR 100227680B1 KR 1019940017282 A KR1019940017282 A KR 1019940017282A KR 19940017282 A KR19940017282 A KR 19940017282A KR 100227680 B1 KR100227680 B1 KR 100227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flash
signal
resistor
flash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7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철
Original Assignee
유무성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무성,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무성
Priority to KR1019940017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76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7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7680B1/ko

Links

Abstract

한개의 파워 트랜지스터와 하나의 제어단자를 이용하여 플래시 장치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도록 하므로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회로의 구성을 간소화시키기 위한 촬영장치의 플래시 회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인가되는 직류 전원(B+)을 이용하여 플래시 동작에 필요한 고전압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신호 변환수단과; 상기 신호 변환수단에서 인가되는 고전압이 정류된 후, 충전되는 고전압 충전수단과; 상기 신호 변환수단에서 인가되는 전압을 해당값으로 클램프하여 플래시의 구동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수단과; 상기 전원 공급수단과 동작 제어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플래시 구동단자(X)에 연결되어, 플래시 구동단자(X)로 인가되는 신호의 상태에 따라 스위칭 동작이 가변되어 전원 공급수단에서 인가되는 전압의 공급형태를 가변시키는 플래시 구동신호 출력수단과; 정류되는 상기 신호 변환수단의 출력전압이 인가되어, 플래시 구동단자(X)로 구동신호가 인가되면 고전압이 유기되어 플래시 발광을 위한 트리거 신호를 출력하는 트리거 수단과; 상기 플래시 구동신호 출력수단과 트리거 수단에 연결되어, 플래시 구동신호 출력수단의 출력신호에 따라 동작상태가 가변되어, 상기 트리거 수단에서 인가되는 트리거 신호에 의해 상기 고전압 충전수단에 충전되어 있던 고전압이 방전하므로 크세논 방전관(XE)으로 방전시키는 플래시 발광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촬영장치의 플래시 회로
제1도는 종래의 카메라의 플래시 회로의 상세 회로도.
제2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플래시 회로의 상세 회로도.
제3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플래시 회로의 상세 회로도이다.
이 발명은 촬영장치의 플래시(flash)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촬영장치로 피사체를 촬영할 때 주위의 조명상태가 정상적인 촬영동작을 실행할 수 없을 경우 자동으로 발광하여 정상적인 피사체의 촬영동작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촬영장치의 플래시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사체를 촬영할 경우 주위 환경의 조도상태에 따라 촬영상태가 결정된다. 그러므로 실내나 야간에 사진을 촬영할 때에는 조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임의로 광량이 크고 색온도가 높은, 태양광선과 거의 같은 성질을 내는 섬광을 극히 짧은 시간동안 만들어 사진 촬영시에 주위 조도의 영향을 개선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주위의 광량이 부족할 경우에, 촬영자가 스스로 판단하여 수동으로 장착되는 플래시 장치가 셔터의 동작과 연동으로 순간적인 섬광을 발광한다.
또한 내부에 플래시 장치가 내장되어 있는 자동 카메라일 경우에도 주위의 조도상태에 따라 플래시 장치의 구동여부를 판단하여 광량이 부족할 경우, 셔터의 동작과 연동하여 자동으로 섬광을 발광하므로 부족한 광량을 보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주위의 부족한 광량을 보충하기 위해 작동하는 종래의 플래시 회로는 미국 특허 출원 특허번호 제5,038,080호나 등 특허출원 특허번호 제4,839,686호에 개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미국 특허출원 특허번호 제5,038,080호는 제1도에 도시된 것처럼 플래시를 발광시키기 위해 IGBT나 SCR과 같은 고가의 파워 스위칭 소자를 다수개 이용하므로 플래시 장치의 설계 비용을 향상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플래시의 발광/소등동작을 위해 각각 별개의 제어신호를 이용하므로 플래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므로 카메라에 장착할 경우 필요한 단자수가 증가하여 접속의 어려움이 발생한다.
또한 동 특허출원 특허번호 제4,839,686호도 플래시 장치를 발광/소등시키기 위해 별도의 제어신호를 이용하므로 스위칭 역할을 하는 다수개의 트랜지스터가 필요하여 회로의 구성이 매우 복잡해지고, 고전압을 유기시키기 위한 많은 트랜스포머를 이용하여 소형화나 경량화에 많은 어려움을 초래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한개의 파워 트랜지스터와 하나의 제어단자를 이용하여 플래시 장치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도록 하므로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회로의 구성을 간소화시키기 위한 촬영장치의 플래시 회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구성은, 인가되는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플래시 동작에 필요한 고전압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신호 변환수단과; 상기 신호 변환수단에서 인가되는 고전압이 정류된 후, 충전되는 고전압 충전수단과; 상기 신호 변환수단에서 인가되는 전압을 해당값으로 클램프하여 플래시의 구동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수단과; 상기 전원 공급수단과 동작 제어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플래시 구동단자에 연결되어, 플래시 구동단자로 인가되는 신호의 상태에 따라 스위칭 동작이 가변되어 전원 공급수단에서 인가되는 전압의 공급형태를 가변시키는 플래시 구동신호 출력수단과; 정류되는 상기 신호 변환수단의 출력전압이 인가되어, 플래시 구동단자로 구동신호가 인가되면 고전압이 유기되어 플래시 발광을 위한 트리거 신호를 출력하는 트리거 수단과; 상기 플래시 구동신호 출력수단과 트리거 수단에 연결되어, 플래시 구동신호 출력수단의 출력신호에 따라 동작상태가 가변되어, 상기 트리거 수단에서 인가되는 트리거 신호에 의해 상기 고전압 충전수단에 충전되어 있던 고전압이 방전하므로 크세논 방전관으로 방전시키는 플래시 발광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플래시 회로의 상세 회로도이고, 제3도는 이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플래시 회로의 상세 회로도이다.
제2도를 참고로 하여 이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전원(B+)에 연결되어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변환부(1)와, 상기 신호 변환부(1)와 연결되어 있는 전원 공급부(2)와, 상기 전원 공급부(2)에 애노드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다이오드(D1)와, 상기 전원 공급부(2)와 연결되어 있고 주위의 광량이 부족할 때 인가되는 플래시 구동신호에 의해 플래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플래시 구동신호 출력부(3)와, 상기 다이오드(D1)의 캐소우드 단자와 플래시 구동신호 출력부(3)에 연결되어 트리거 신호를 출력하는 트리거부(4)와, 상기 다이오드(D1)의 캐소우드 단자와 플래시 구동신호 출력부(3)와 트리거부(4)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고전압을 방전시키는 플래시 방전부(5)와, 다이오드(D1)의 캐소우드 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고전압 충전부(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신호 변환부(1)는 전원(B+)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플래시 장치의 장착상태에 따라 동작상태가 가변되는 장착 스위치(S11)와, 상기 장착 스위치(S11)의 타측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DC/DC 변환부(11)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2)는 상기 신호 변환부(1)의 DC/DC 변환부(11)의 출력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는 저항(R21)과, 상기 저항(R21)의 타측단자에 캐소우드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애노드 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제너 다이오드(ZD21)와, 상기 저항(R21)의 타측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타측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저항(R22)과, 상기 저항(R21)의 타측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타측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커패시터(C21)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플래시 구동신호 출력부(3)는 전원 공급부(2)의 저항(R21)의 타측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저항(R31)과, 상기 저항(R31)의 타측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저항(R32)과, 상기 저항(R32)의 타측단자에 컬렉터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에미터 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트랜지스터(T31)와, 상기 트랜지스터(T31)의 베이스 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타측단자로 플래시 구동신호(X)가 인가되어 저항(R33)과, 저항(R31)의 일측단자에 에미터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저항(R31)의 타측단자로 베이스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T32)와, 상기 트랜지스터(T32)의 컬렉터 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타측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저항(R34)과, 상기 저항(R31)의 일측단자에 컬렉터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트랜지스터(T32)의 컬렉터 단자에 베이스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T33)와, 상기 트랜지스터(T33)의 에미터 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저항(R35)과, 상기 저항(R35)의 타측단자에 에미터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저항(R34)의 일측단자에 베이스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컬렉터 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트랜지스터(T3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트리거부(4)는 상기 다이오드(D1)의 캐소우드 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저항(R41)과, 상기 저항(R41)의 타측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커패시터(C41)와, 상기 저항(R41)의 타측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커패시터(C42)와, 상기 커패시터(C41)의 타측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1차코일(L41)과, 상기 1차코일(L41)의 타측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2차코일(L42)과, 상기 커패시터(C42)의 타측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저항(R42), 상기 저항(R42)의 타측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타측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저항(R434)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플래시 발광부(5)는 상기 다이오드(D1)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트리거부(4)의 2차코일(L42)의 타측단자에 트리거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크세논 방전관(XE)과, 상기 크세논 방전관(XE)의 타측단자에 애노드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다이오드(D51)와, 상기 다이오드(D51)의 캐소우드 단자에 컬렉터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플래시 구동신호 출력부(3)의 저항(R37)의 타측단자에 베이스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에미터 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IGBT(T51)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고전압 충전부(6)는 다이오드(D1)의 캐소우드 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타측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커패시터(C61)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져 있는 이 발명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신호 변환부(1)의 장착 스위치(S11)가 온되면 DC/DC 변환부(11)가 동작하여 전원(B+)의 직류 전압을 고전압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한다.
상기 장착 스위치(S11)는 플래시 장치가 카메라에 장착될 경우엔 자동으로 온상태로 가변되므로, 플래시 장치가 카메라에 장착되면 상기 신호 변환부(11)의 동작으로 플래시 장치는 이용 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신호 변환부(11)에서 변환된 고전압은 전원공급부(2)의 저항(R21)을 거쳐 제너 다이오드(ZD21)와 저항(R22)의 동작으로 해당하는 전압이 충전된다.
그리고 트리거부(4)의 저항(R41, R42, R51) 등의 작용으로 커패시터(C41, C42)에 상기 고전압 충전부(6)의 커패시터(C61)와 동일한 전압이 충전된다.
상기와 같이 구동 스위치(S11)의 동작으로 각 해당하는 커패시터(C21, C41, C42., C61)에 해당하는 전압이 충전되어 있는 상태에서 주위의 조도부족으로 적정한 노광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동작 제어장치가 이를 판단하여 플래시 구동단자(X)로 고레벨인 "H"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므로 상기 플래시 구동단자(X)로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플래시 구동신호 출력부(3)의 트랜지스터(T31)가 턴온되고, 상기 트랜지스터(T31)의 턴온동작으로 인해 트랜지스터(T32, T33)도 순차적으로 연동하여 턴온된다.
그러므로 상기 트랜지스터(T33)의 턴온동작으로 저항(R35)을 거쳐 전원 공급부(2)의 커패시터(C21)에 충전된 전압이 IGBT(T51)의 베이스 단자로 인가되어 IGBT(T51)가 턴온된다.
따라서 상기 플래시 발광부(5)의 IGBT(T51)의 턴온동작으로 커패시터(C41)에 충전되어 있던 전하가 IGBT(T51)를 통해 방전되므로 트랜스포머의 2차 코일(L42)에 고전압이 유기되어 플래시 발광부(5)의 크세논 방전관(XE)으로 인가되어 트리거 신호로 이용된다.
상기 플래시 발광부(5)로 인가되는 트리거 신호에 의해 크세논 방전관(XE)을 거쳐 고전압 충전부(6)의 커패시터(C61)에 충전되어 있는 고전압이 방전된다.
이때 상기 IGBT(T51)의 턴온동작으로 커패시터(C42)에 충전되어 있던 전하가 다이오드(D51)와 IGBT(T51)를 통해 방전되므로 크세논 방전관(XE)의 방전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피사체를 촬영할 때 주위의 광량이 부족으로 적정노출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동작 제어장치에서 인가되는 플래시 구동신호(X)에 의해 크세논 방전관(XE)을 이온화시키므로 부족한 광량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주위의 광량이 피사체를 촬영하기에 부족함이 없을 경우, 도시되지 않는 동작 제어장치는 플래시 구동단자(X)로 구동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따라서 플래시 구동신호 출력부(3)의 트랜지스터(T31)가 턴오프상태를 유지하므로 트랜지스터(T32, T34)는 턴오프상태이고, 트랜지스터(T34)는 턴온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트랜지스터(T34)의 턴온동작으로 인해 플래시 발광부(5)의 IGBT(T51)의 베이스 단자로 인가되는 전원 공급부(2)의 커패시터(C21)의 충전전압이 턴온된 트랜지스터(T34)를 통해 흐른다.
그러므로 트리거부(4)의 커패시터(C41)에 충전되어 있던 전하의 방전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트랜스포머의 2차코일(L42)로 고전압이 유기되지 않는다.
따라서 플래시 발광부(5)의 크세논 방전관(XE)의 트리거 단자로 구동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므로 크세논 방전관(XE)을 통해 방전되는 고전압 충전부(6)의 커패시터(C61) 방전경로가 차단되어 크세논 방전관(XE)의 이온화현상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크세논 방전관(XE)을 통해 플래시 광이 발광되지 않으므로 주위의 적정 노출을 이용하여 우수한 사진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제3도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제3도에 도시된 것처럼 이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플래시 구동신호 출력부(30)의 구성을 제외하고 상기한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상기 플래시 구동신호 출력부(30)의 구성은 상기 플래시 구동신호 출력부(3)의 구성중에서 단지 트랜지스터(T33)가 삭제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신호 변환부(1)의 장착 스위치(S11)가 온되면, 전원 공급부(2)의 커패시터(C21)와 트리거부(4)의 커패시터(C41, C42) 및 고전압 충전부(6)의 커패시터(C61)에 해당하는 전압이 각각 충전된다.
따라서 주위 광량의 부족으로 플래시를 작동시키기 위해 도시되지 않은 제어장치에서 플래시 구동단자(X)로 고레벨인 "H"신호를 인가하면 플래시 구동신호 출력부(30)의 트랜지스터(T31)가 턴온된다.
상기 트랜지스터(T31)의 턴온동작으로 인해 트랜지스터(T32)가 턴온되고 트랜지스터(T34)는 턴오프된다.
그러므로 플래시 발광부(5)의 IGBT(T51)가 턴온되어 고전압 충전부(6)의 커패시터(C61)에 충전되어 있는 고전압이 크세논 방전관(XE)을 통해 방전하여 크세논 방전관(XE)을 이온화시키므로 플래시 광이 발광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플래시 구동단자(X)로 플래시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신호인 "H"신호가 인가되지 않을 경우엔, 플래시 구동신호 출력부(30)의 트랜지스터(T31)는 턴오프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므로 상기 트랜지스터(T31)의 턴오프상태로 인해 트랜지스터(T32)도 턴오프되므로 트랜지스터(T34)는 턴온되어 커패시터(C21)에 충전되는 전압이 트랜지스터(T34)를 통해 모두 방전된다.
따라서 플래시 발광부(5)의 IGBT(T51)가 턴오프되어 크세논 방전관(XE)의 방전하는 고전압 충전부(6)의 커패시터(C61)의 방전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플래시 광이 발광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이 발명의 효과는 고가인 다수개의 파워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지 않고 하나의 파워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여 플래시 광을 발광시키므로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플래시 광의 발광/소등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회로의 구성이 매우 간소화해지므로 동작의 신뢰성을 증대시키고, 회로 설계상의 어려움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5)

  1. 인가되는 직류 전원(B+)을 이용하여 플래시 동작에 필요한 고전압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신호 변환수단과; 상기 신호 변환수단에서 인가되는 고전압이 정류된 후, 충전되는 고전압 충전수단과; 상기 신호 변환수단에서 인가되는 전압을 해당값으로 클램프하여 플래시의 구동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수단과; 상기 전원 공급수단과 동작 제어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플래시 구동단자(X)에 연결되어, 플래시 구동단자(X)로 인가되는 신호의 상태에 따라 스위칭 동작이 가변되어 전원 공급수단에서 인가되는 전압의 공급형태를 가변시키는 플래시 구동신호 출력수단과; 정류되는 상기 신호 변환수단의 출력전압이 인가되어, 플래시 구동단자(X)로 구동신호가 인가되면 고전압이 유기되어 플래시 발광을 위한 트리거 신호를 출력하는 트리거 수단과; 상기 플래시 구동신호 출력수단과 트리거 수단에 연결되어, 플래시 구동신호 출력수단의 출력신호에 따라 동작상태가 가변되어, 상기 트리거 수단에서 인가되는 트리거 신호에 의해 상기 고전압 충전수단에 충전되어 있던 고전압이 방전하므로 크세논 방전관(XE)으로 방전시키는 플래시 발광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의 플래시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수단은, 상기 신호 변환 수단의 출력단자에 일측단부가 연결되는 저항(R21)과; 상기 저항(R21)의 타측단자에 캐소우드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애노드 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제너 다이오드(ZD21)와; 상기 저항(R21)의 타측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타측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저항(R22)과; 상기 저항(R21)의 타측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타측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커패시터(C21)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의 플래시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구동신호 출력수단은, 동작 제어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플래시 구동단자(X)의 신호상태에 따라 동작상태가 가변되는 제1스위칭 수단(T31)과; 상기 트랜지스터(T31)의 동작상태에 따라 저항(R31, R32)에 의해, 분압되어 인가되는 전원 공급수단의 출력신호위 상태가 가변되어 동작상태가 가변되는 제2스위칭 수단(T32)과; 상기 제2스위칭 수단(T32)의 동작상태에 따라 동작상태가 가변되는 제3스위칭 수단(T33)과; 상기 제2스위칭 수단(T32)의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저항(R34)과; 상기 저항(R34)와 연결되어 있고 제3스위칭 수단(T33)의 동작상태에 따라 동작상태가 가변되어 출력신호의 상태를 가변시키는 제4스위칭 수단(T34)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의 플래시 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구동신호 출력수단은, 동작 제어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플래시 구동단자(X)의 신호상태에 따라 동작상태가 가변되는 제1스위칭 수단(T31)과; 상기 트랜지스터(T31)의 동작상태에 따라 저항(R31, R32)에 의해, 분압되어 인가되는 전원 공급수단의 출력신호위 상태가 가변되어 동작상태가 가변되는 제2스위칭 수단(T32)과; 상기 제2스위칭 수단(T32)의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저항(R34)과; 상기 저항(R34)과 연결되어 있고 제2스위칭 수단(T32)의 동작상태에 따라 동작상태가 가변되어 출력신호의 상태를 가변시키는 제4스위칭 수단(T34)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의 플래시 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수단은, 상기 신호 변환수단의 출력신호를 정류하는 다이오드(D1)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저항(R41)과, 상기 저항(R41)과 연결되어 있는 제1커패시터(C41)과; 상기 저항(R41)과 연결되어 있는 제2커패시터(C42)와; 상기 제1커패시터(C41)에 연결되어 있는 트랜스포머(L41, L42)와; 상기 제2커패시터(C42)와 연결되어 있는 저항(R42)과, 상기 저항(R42)과 접지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저항(R43)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의 플래시 회로.
KR1019940017282A 1994-07-18 1994-07-18 촬영장치의 플래시 회로 KR100227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7282A KR100227680B1 (ko) 1994-07-18 1994-07-18 촬영장치의 플래시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7282A KR100227680B1 (ko) 1994-07-18 1994-07-18 촬영장치의 플래시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7680B1 true KR100227680B1 (ko) 1999-11-01

Family

ID=19388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7282A KR100227680B1 (ko) 1994-07-18 1994-07-18 촬영장치의 플래시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76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0870A (ko) * 2004-12-21 2006-06-26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소형화가 가능한 플래시 구동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0870A (ko) * 2004-12-21 2006-06-26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소형화가 가능한 플래시 구동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6278B1 (ko) 충전량에 따라 자동 발광하는 카메라 및 그 제어방법
KR100340942B1 (ko) 고속충전이가능한플래시장치
US5661372A (en) Stroboscopic instrument having a gate-controlled-switching element and a step-up power means therefor
KR100227680B1 (ko) 촬영장치의 플래시 회로
US4555648A (en) Electronic flash unit utilizing pre-flash illumination of flashtube
US6466744B1 (en) Strobe circuit, lens-fitted film unit, camera and printed-circuit board for strobe
JP2004165164A (ja) フラッシュ照明強度が調節可能なカメラフラッシュ回路
JP3947306B2 (ja) ストロボ装置
KR100229101B1 (ko) 카메라의 적목 발광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4246515A (en) Energy-regulating firing circuit for an electronic strobe flash unit
US6404989B2 (en) Flash device
JP4250351B2 (ja) ストロボ装置
KR0157518B1 (ko) 접속 관계가 용이해진 외부 장착용 플래시 제어 장치
US4375912A (en) Electric circuits for use in camera
KR920008985Y1 (ko) 광량 조절이 가능한 스트로보 플래쉬회로
KR200149625Y1 (ko) 스트로보 장치
KR920005567Y1 (ko) 스트로보 내장형 자동카메라
KR0157519B1 (ko) 자동 충전 완료 플래시 장치
JPS60146498A (ja) 直列制御型ストロボ装置
KR960009654Y1 (ko) 멀티 발광 스트로브 회로
JPS595853Y2 (ja) 自動調光電子閃光装置
JP3921840B2 (ja) カメラ
JPH06208897A (ja) ストロボ調光回路
JPS6136985Y2 (ko)
JPS634786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