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567Y1 - 스트로보 내장형 자동카메라 - Google Patents

스트로보 내장형 자동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567Y1
KR920005567Y1 KR2019890017220U KR890017220U KR920005567Y1 KR 920005567 Y1 KR920005567 Y1 KR 920005567Y1 KR 2019890017220 U KR2019890017220 U KR 2019890017220U KR 890017220 U KR890017220 U KR 890017220U KR 920005567 Y1 KR920005567 Y1 KR 9200055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microprocessor
terminal
strobe
ne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72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9564U (ko
Inventor
구본정
이진기
Original Assignee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송세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송세창 filed Critical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172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5567Y1/ko
Publication of KR9100095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5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5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5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16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in accordance with both the intensity of the flash source and the distance of the flash source from the object, e.g. in accordance with the "guide number" of the flash bulb and the focusing of the camer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26Power supplies; Circuitry or arrangement to switch on the power source; Circuitry to check the power source volt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 Discharge-Lamp Control Circuits And Pulse- Feed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트로보 내장형 자동카메라
제1도는 종래의 회로도.
제2도는 본 안의 전체동작 설명을 위한 도면으로써. 제2도(a)는 스트로보 내장형 자동카메라의 기능불록도이고, 제2도(b)는 스위치조작에 따른 진리표.
제3도는 본 고안의 스트로보 회로의 상세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마이크로 프로세서 11 : 광센서
20 : 스트로보 회로 21 : 전원 제어부
22 : 충방전 제어회로 23 : 방전출력부
본 고안은 스트로보(Strobo)내장형 자동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이크로 프로세서(μ-processor)를 이용하여 방전관의 점등을 제어하도록된 다기능적인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스트로보에는 발광 광량에 따라서 대형과 소형 및 내장형과 외장형이 있다. 본 고안은 내장형 스트로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트로보 회로는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전원(B)의 전류가 콘덴서(C)에 충전되면 네온램프(N)가 붙어서 발광준비 완료를 알려준다. 이때 방전관(X)의 내부에는 크세논 가스가 충전되어 있고, 양극이 떨어져 있기 때문에 보통 상태에서는 방전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카메라의 셔터(P)를 누르면 트리거 코일이라고 불리는 트랜스(T)에 전류가 유기되어 이것이 변압기에 의해 승압되어 수천 수만볼트의 전압이 생겨 상기 방전관(X)에 작용한다. 그러면 방전관내의 크세논 가스가 이온화 되어서 내부저항이 감소하여 양극에 일순간의 방전이 일어나 발광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전관의 작동시간은 대개 0∼0.1 m/sec 정도로 매우 빠르다. 따라서 종래의 스트로보 내장형 카메라에서는 스트로보인 방전관의 발광여부에만 관심을 두었다. 즉, 저휘도시에는 발광하고 고휘도시는 발광하지 않도록 하거나 스트로보 스위치를 따로 설치하여 이 스위치를 온시키면 발광하고 오프시키면 발광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카메라 촬영시 보조광의 역할을 충분히 하지 못하는 결점이 있었고, 자동조절되는 스트로보 회로인 경우 그 회로구성이 너무 복잡하여 소형화 카메라에 적합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아니라 스트로보의 충전여부 확인상태도 촬영자가 직접 확인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스트로보 스위치를 필요없이 온시켜 놓은 경우 밧데리 소모가 많은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스트로보 회로를 컨트롤하고, 방전관 사용을 위한 다기능을 두어 보조광으로써의 역할을 충분히 하도록하며 스트로보회로의 상태도 필요시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스스로 체크하도록 하여 방전관이 점등될 수 있도록 준비시킴으로써 촬영자가 필요시 즉시 발광시킬 수 있게 스트로보 내장형 자동카메라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스트로보회로의 메인 콘텐서 에너지가 누설되는 방전관 쪽을 차단하는 조절장치를 내장함으로써 한번 충전된 에너지는 장시간 보존되도록 하였고,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스트로보 회로의 상태를 확인하여 충전에너지의 충전 및 장치를 스스로 조절함으로써 스트로보 스위치에 무관하게 충전전압이 유지되므로 필요없는 밧데리 소모를 극소화 시키는 스트로보 내장형 자동카메라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는 광센서에서 검지한 주변광신호를 입력으로 받아드려 주변의 밝기를 판별하고 또한 스트로보스위치의 접속조합에 따라 스트로보 작동모드를 선택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되는 발진제어신호(OSC)와 네온콘트롤신호(NEC) 및 트리거신호(TRIG)에 따라 방전관구동 전압의 충방전이 제어되고 또한 충방전 상태를 나타내는 네온신호(NEC)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출력하는 스트로보 회로로 구성된 스트로보 내장형 자동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보 회로는,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과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단의 접속점에 콘덴서(C5)를 동해 +전원단(VB)이 접속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단에는 트랜스(T1)의 일차코일이 접속되며,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단에는 저항(R3) 및 제너다이오드(ZD)가 병렬접속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에는 저항(R2)을 통해 상기 전원단(VB)이 접속됨과 동시에 저항(R1)을 통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의 제어신호단(OSC)이 접속된 전원제어부(21)와, 상기 트랜스(T1)의 2차코일 및 다이오드(D1)가 저항(R4)과 네온램프(NE)를 통해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단에 접속됨과 동시에 저항(R5)를 통해 다이리스터(SCR)에 접속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단에는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단이 접속되되 상기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단과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단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의 네온콘트롤신호단(NEC)과 네온신호단(NES)이 각각 접속되고, 상기 다이리스터(SCR)의 게이트단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의 트리거신호단(TRIG) 이 접속된 충방전제어부(22)와, 상기 충방전제어부(22)의 저항(R5)과 다이리스터(SCR)의 접속점에 콘덴서(C2)를 통해 제2트랜스(T2)가 접속되고, 상기 충방전제어부(22)의 다이오드(D1) 출력단에는 방전관(XE)과 충전용콘덴서(C1)가 병렬로 접속된 방전출력부(2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a)는 본 고안의 전반적인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제2도(b)는 스위치조작에 따른 진리표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광센서(11)의 입력에 의해 주변광의 밝기를 검지하여 주변이 저휘도인지 고휘도인지를 판별하고. 스트로보 스위치(SW1)(SW2)의 접속상태에 따라 스트로보 회로(20)의 다이리스터(SCR)에 인가되는 트리거신호(TRIG)를 제어하여 진리표에 도시된 바와같이 4가지의 스트로보 작도모드중 그 하나의 모드로 동작시키게 된다.
즉, 스트로보 스위치(SW1)(SW2)가 모두 온되면 스트로보 작동모드를 주변이 어두울때 방전관(XE)을 자동으로 발광시키는 자동발광모드가 되고, 상기 스위치(SW1)이 온되고 스위치(SW2)가 오프되면 주변의 밝기에 관계없이 발광을 금지시키는 모드가 되며, 상기 스위치(SW1)가 오프되고 스위치(SW2)가 온되면 주변의 밝기에 관계없이 강제 발광시키는 모드가 되고, 상기 스위치(SW1)(SW2)가 모두 오프되면 섹터(SECTOR)가 클로우즈(close)시 방전관(XE)을 발광시키는 모드가 된다.
여기서 저휘도 자동발광이란 일반적인 자동카메라에서와 같이 저휘도에서 발광하고 고휘도에서 발광하지 않는 상태를 뜻하고, 강제발광은 고휘도나 저휘도시 항상 방광하게 하는 상태이며, 섹터 클로우즈시 발광은 저휘도 노출을 하고 방전관의 보조발광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야간 촬영시 배경도 살리면서 피사체는 더욱 선명하게 촬영할때 사용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제3도는 스트로보 회로(20)의 내부 회로도로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0)로 부터 제어신호(OSC)를 받는 전원제어부(21)는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과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단의 접속점에 콘덴서(C5)를 통해 +전윈단(VB)이 접속되고 상기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단에는 트랜스(T1)의 일차코일이 접속되며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단에는 제너다이오드(ZD)가 병렬접속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에는 저항(R2)을 통해 상기 전원단(VB)이 접속됨과 더불어 저항(R1)을 통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신호단(OSC)이 접속된 구조를 이룬다.
트랜스(T1)를 통해 상기 전원제어부(21)에는 충방전제어부(22)가 연결되되, 상기 충방전제어부(22)는 트랜스(T1)의 2차코일 및 다이오드(D1)가 저항(R4)과 네온램프(NE)를 통해 트랜지터(Q3)의 에미터단에 접속됨과 동시에 저항(R5)를 통해 다이리스터(SCR)에 접속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단에는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단이 접속되되 상기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단과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단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의 네온콘트롤신호단(NEC)과 네온신호단(NES) 이 각각 접속되고, 상기 다이리스터(SCR)의 게이트단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의 트리거신호단(TRIG)이 접속된 구조를 이른다.
이와같이 구성된 충방전제어부(22)는 방전출력부(23)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방전출력부(23)는 상기 충방전제어부(22)의 저항(R5)과 다이리스터(SCR)의 접속점에 콘덴서(C2)를 통해 제2트랜스(T2)가 접속되고, 상기 충방전제어부(22)의 다이오드(D1) 출력단에는 방전관(XE)과 충전용콘덴서(C1)가 병렬로 접속된 구조를 이룬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회로에 마이크로프로세서(10)에서 로우레벨의 제어신호(OSC)와 하이레벨의 네온콘트롤신호(NEC)를 전원제어부(21)에 인가하면, 전원제어부(21)에 구성된 트랜지스터(Q2)(Q1)는 상기 제어신호(OSC)에 의해 온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1)가 온되면 전원(VB)이 트랜스(T1)의 일차코일에 인가되므로 상기트랜스(T1)는 발진을 하게된다. 따라서, 상기 트랜스(T1)의 이차코일에 전류가 유기되고 이 유기전류는 충방전제어부(22)의 다이오드(D1)를 통하여 반파 정류된 후방전 출력부(23)의 콘덴(C1)에 충전된다. 이때 상기 콘덴서(C1)의 전압상태가 일정전압(충전 완료전압) 이상이 되면 네온램프(NE)는 도통하며, 상기 네온램프(NE)의 도통에 따라 트랜지스터(Q3)를 통하여 하이레벨의 네온신호(NES)가 출력된다. 이 네온신호(NES)는 하이로마이크로프로세서(10)에 인가되어 추전완료 상태를 알려주게 되고, 이때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서는 제어신호(OSC)를 하이로 보내며, 동시에 네온 컨트롤신호(NEC)를 로우상태로 스트로보 회로(20)에 인가한다. 그러면 상기 전원제어부(21)의 트랜지스터(Q2)(Q1)와충방전 제어부(22)의 트랜지스터(Q4)(Q3)를 모두 오프시켜서 발진정지 및 네온램프(NE)에 흐르는 누설전류를 차단시켜서 콘덴서(C1)에 충전된 에너지를 장시간 보관하므로 손실이 없도록 한다.
이와같이 상기한 콘덴서(C1)의 충전이 완료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카메라의 셔터를 동작시키게 되면 스위치(SW1,SW2)의 접속 형태에 따라 제2도(B)에 나타낸 스트로보 작동모드중 그 하나의 모드가 동작하게 된다.
그 예로서 스위치(SW1,SW2)를 모두 스위치-온시켜 주위의 밝기가 저휘도일때 방전관(XE)이 자동으로 발광하는 모드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주변의 밝기가 어둡다는 조건하에서 사용자가 카메라의 셔터를 누르게 되면 광센서(11)로부터 검지신호를 받아드려 주변이 밝기가 저휘도임을 판별한 마이크로프로세서(10)는 하이레벨의 트리거신호(TRIG)를 출력하게 되고 이 신호를 게이트단으로부터 인가반은 다이리스터(SCR)는 신호입력과 동시에 온 되므로 콘덴서(C2)의 충전전압이 트랜스(T2)를 통해 증폭되어 방전관(XE)을 발광시키게 된다.
상기한 저휘도 자동발광모드 외에 사용자가 스위치(SW1)는 온, 그리고 다른 스위치(SW2)는 오프시켜 발광금지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광센서가 주변의 밝기를 검지한 결과에 관계없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로우레벨의 트리거 신호(TRIG)를 출력시켜 방전관(XE)의 발광을 금지시키게 된다.
사용자가 스위치(SW1)는 오프로, 그리고 다른 스위치(SW2)는 온 시켜 강제 발광모드를 선택 할때에는 광센서(11)의 주변광 검지에 관계없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카메라셔터의 동작과 함께 하이레벨의 트리거신호(TRIG)를 출력시켜 방전관(XE)을 발광시키게 된다.
마지막 모드로서 사용자가 스위치(SW1,SW2)모두를 오프 시켜 야간 촬영시 배경을 살리고 피사체를 더욱 선명하게 촬영하는 섹터클로우즈 발광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카메라셔터의 동작과 함께 하이레벨의 트리거신호(TRIG)를 출력시켜 방전관(XE)을 발광시키게 되는것으로 상기 강제 발광모드와 유사한 점이 있으나 셔터의 닫는 시간을 충분히 늦추면서 빛을 받아드리도록 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방전관을 이용한 보조광의 사용용도를 여러가지로 하여 촬영시 실수를 예방하고 어떠한 조건하에서도 스트로보작동 모드 즉, 자동발광모드, 스트로보 발광 금지모드, 역광촬영시 강재 발광모드와, 야경을 배경으로 한 배경 및 피사체의 분위기를 살릴 수 있는 섹터클로우즈 발광모드 등을 적절히 동작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광센서에서 검지한 주변광신호를 입력으로 받아드려 주변의 밝기를 판별하고 또한 스트로보 스위치의 접속조합에 따라 스트로보 모드를 선택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되는 발진제어신호(OSC)와 네온콘트롤신호(NEC) 및 트리거신호(TRIG)에 따라 방전관구동전압의 충방전이 제어되고 또한 충방전 상태를 나타내는 네온신호(NEC)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출력하는 스트로보 회로로 구성된 스트로보 내장형 자동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보회로는 트랜지스터(W1)의 베이스단과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단의 접속점에 콘덴서(C5)를 통해 +전원단(VB)이 접속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단에는 트랜스(T1)의 일차코일이 접속되며,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단에는 저항(R3) 및 제너다이오드(ZD)가 병렬접속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에는 저항(R2)을 통해 상기 전원단(VB)이 접속됨과 동시에 저항(R1)을 통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의 제어신호단(OSC)이 접속된 전원제어부(21)와, 트랜스(T1)의 2차코일 및 다이오드(D1)가 저항(R4)과 네온램프(NE)를 통해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단에 접속됨과 동시에 저항(R5)을 통해 다이리스터(SCR)에 접속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단에는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단이 접속되되 상기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단과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단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의 네온콘트롤신호단(NEC)과 네온신호단(NES)이 각각 접속되고, 상기 다이리스터(SCR)의 게이트단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의 트리거신호단(TRIG)이 접속된 충방전제어부(22)와, 상기 충방전제어부(22)의 저항(R5)과 다이리스터(SCR)의 접속점에 콘덴서(C2)를 통해 제2트랜스(T2)가 접속되고 상기 충방전제어부(22)의 다이오드(D1) 출력단에는 방전관(XE)과 충전용콘덴서(C1)가 병렬로 접속된 방전출력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보 내장형 카메라.
KR2019890017220U 1989-11-21 1989-11-21 스트로보 내장형 자동카메라 KR9200055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7220U KR920005567Y1 (ko) 1989-11-21 1989-11-21 스트로보 내장형 자동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7220U KR920005567Y1 (ko) 1989-11-21 1989-11-21 스트로보 내장형 자동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9564U KR910009564U (ko) 1991-06-28
KR920005567Y1 true KR920005567Y1 (ko) 1992-08-14

Family

ID=19292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7220U KR920005567Y1 (ko) 1989-11-21 1989-11-21 스트로보 내장형 자동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556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9564U (ko) 1991-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6278B1 (ko) 충전량에 따라 자동 발광하는 카메라 및 그 제어방법
US5264895A (en) Flash lighting circuit
JPH0219794Y2 (ko)
KR920005567Y1 (ko) 스트로보 내장형 자동카메라
US4384776A (en) Charge detection display type electronic flash
US4942340A (en) Arrangement for displaying operation of booster circuit for flash device camera
JPS633295B2 (ko)
US4394079A (en) Photographic flash device operatively responsive to the luminance of an object to be photographed to prevent overexposure
GB2111697A (en) Test flash device in flash discharger
KR100227680B1 (ko) 촬영장치의 플래시 회로
KR0157518B1 (ko) 접속 관계가 용이해진 외부 장착용 플래시 제어 장치
KR200149625Y1 (ko) 스트로보 장치
JPS589933B2 (ja) 電子閃光装置
JP4250351B2 (ja) ストロボ装置
KR100514130B1 (ko) 섬광 발생회로
JP4008702B2 (ja) 閃光発生回路
JPS631568B2 (ko)
KR0157519B1 (ko) 자동 충전 완료 플래시 장치
KR920008986Y1 (ko) 카메라의 스트로브 발진 제어회로
KR930002203Y1 (ko) 플래쉬 회로
JPH04133040A (ja) エレクトロニックフラッシュ装置
JP2641097B2 (ja) フラッシュ装置
JP2002139776A (ja) 閃光発生回路
JPS6347863Y2 (ko)
JPH052909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