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0767B1 - 에어백장치,에어백을접는방법및에어백을접는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백장치,에어백을접는방법및에어백을접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0767B1
KR100340767B1 KR1019970706636A KR19970706636A KR100340767B1 KR 100340767 B1 KR100340767 B1 KR 100340767B1 KR 1019970706636 A KR1019970706636 A KR 1019970706636A KR 19970706636 A KR19970706636 A KR 19970706636A KR 100340767 B1 KR100340767 B1 KR 100340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folding
shape
folded
inf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6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703232A (ko
Inventor
요시후미 가마노
가즈요시 니시지마
가즈히로 가네코
나오키 야마모토
나오키 호리카와
게이지 모치즈키
Original Assignee
니혼 플라스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PCT/JP1997/000900 external-priority patent/WO1997035366A1/ja
Application filed by 니혼 플라스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플라스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80703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3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0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0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 B60R2021/2375Fold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봉투형상의 에어백(12)을 원형상으로 펼친다. 이어서 인플레이터(16)의 바깥둘레쪽에 위치하여 에어백(12)을 사방에서 물결형상으로 접고, 인플레이터(16)를 따라 4개소의 변부(61)를 형성한다. 이어서 각 변부(61) 사이에 연속하여 바깥둘레쪽으로 비어져 나온 4개소의 잔여부(62)를 각각 각 변부(61)의 바깥둘레쪽에 접하도록 한다. 에어백(12)을 원활하게 전개할 수 있는 형상으로 용이하고 작게 접힌다.

Description

에어백 장치, 에어백을 접는방법 및 에어백을 접는장치
종래에는, 예를 들면 자동차의 스티어링 휘일에 구비된 에어백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에어백 장치는, 편평한 봉투형상으로 이루어진 에어백과, 이 에어백을 덮는 커버체와, 가스를 분사하는 인플레이터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에어백은, 평상시에는 작게 접혀져 커버체의 내측에 수납되어 있으며, 충돌의 충격을 진출한 상태에서 인플레이터로부터 가스가 분사되어 에어백을 팽창시키고, 이 팽창의 압력에 의해 커버체를 파단하여 에어백을 돌출시키며, 탑승자의 전방으로 팽창전개시켜 탑승자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7-137591 호 공보에 기재된 에어백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구성에서의 에어백은 대략 원주형상의 인플레이터를 중심으로 하여 대략 동심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원형고리형상의 접은선을 따라서 물결형상으로 접혀짐과 동시에 인플레이터를 향하여 가압되어 압축되고, 스터어링 휘일의 내측에 수납가능한 소정의 형상으로 접혀져 있다. 그리고, 이 구성에서는 낮은 가스의 압력으로 커버체를 신속하게 파단시켜 에어백을 원활하게 전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특개평 7-137591 호 공보의 구성에서는 에어백을 접을 때의 접는장치의 구성이 복잡함과 동시에 접는공정의 시간단축이 용이하지 않으며, 제조 코스트의 저감이 용이하지 않음과 동시에 물결형상으로 접은 에어백을 더욱 가압하여 압축할 때 에어백의 직경방향 등을 향하는 불규칙한 주름이 발생하기 쉽고, 작게 접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된 것으로, 에어백의 집힘이 용이하고 소형화할 수 있는 에어백 장치, 에어백을 용이하고 작게 접을 수 있고, 장치의 간략화 및 공정의 신속화가 가능하며 제조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원활하게 전개가능한 에어백을 접는 방법 및 에어백을 접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접은 에어백을 가스에 의해 팽창전개하는 에어백 장치, 에어백을 접는방법 및 에어백을 접는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에어백 장치의 일실시 형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에어백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에어백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에어백을 접는방법을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5는 에어백을 접는방법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에어백을 접는방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에어백의 접은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에어백의 접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를 나타낸 에어백을 접는방법의 설명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를 나타낸 에어백 장치의 일부 평면도이고, 도 11은 제 3 실시형태의 에어백을 접는방법의 설명도이고, 도 12는 제 3 실시 형태의 에어백 장치의 설명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의 에어백의 접은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형태의 에어백의 접은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 형태의 에어백의 접은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 형태의 에어백의 접은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 형태의 에어백을 접는방법을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 형태의 에어백의 접은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9는 제 9 실시 형태의 에어백을 접는방법을 나타낸 일부 사시도이고, 도 20은 제 9 실시 형태의 에어백을 접는방법을 나타낸 도 19의 A방향에서본 측면도이고, 도 21은 제 9 실시 형태의 에어백을 접어서 사용하는 장치의 설명도이고, 도 22는 제 9 실시 형태의 에어백을 접는공정을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23은 제 9 실시 형태의 에어백을 접는공정을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24는 제 9 실시 형태의 에어백을 접는 공정을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 형태의 에어백을 접는공정을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26은 제 9 실시 형태의 에어백을 접는공정을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27은 제 9 실시 형태의 에어백을 접는공정을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28은 제 9 실시 형태의 에어백을 접는공정을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29는 제 9 실시 형태의 에어백을 접는공정을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30은 제 9 실시 형태의 에어백을 접는공정을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31은 제 9 실시 형태의 에어백을 접는 공정을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32는 제 9 실시 형태의 에어백을 접는공정을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33은 제 9 실시 형태의 에어백을 접는공정을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34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 형태의 에어백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5는 제 11 실시 형태의 에어백 장치의 접는공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또한 도 36은 본 발명의 에어백을 접는방법 및 그의 장치의 제 12 실시 형태를 나타낸 작업공정의 설명도이고, 도 37은 에어백을 구비한 에어백 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8은 접는장치의 전체도이고, 도 39는 접는장치의 일부 사시도이고, 도 40은 접는장치를 사용한 작업공정을 설명하는 도 36의 I-I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이고, 도 41은 도 40에 이어서 작업공정을 설명하는 도 36의 I -I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이고, 도 42는 도 36의 II-II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이고, 도 43은 도 42에 이어서 작업공정을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44는 도 43에 이어서 작업공정을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45는 도 44에 이어서 작업공정을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46은 도 45에 이어서 작업공정을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47은 도 46에 이어서 작업공정을 설명하는 도 36의 I-I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이고, 도 48은 사시도이고, 도 49는 본 발명의 가압수단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0은 본 발명의 높이규제수단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1은 본 발명의 높이규제수단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2는 본 발명의 높이규제수단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3은 본 발명의 방사위치규제수단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4는 도 53의 III-III 단면도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1)은 에어백 장치이고, 이 에어백 장치(1)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휘일의 스티어링 휘일 본체의 중앙 보스부에 부착되고, 탑승자(운전자)를 충돌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도록 되어 있다. 스티어링 후일은 통상, 소정범위에서 경사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통상 경사진 상태에서 사용되어지는 것도 있지만, 이하에서는 에어백 장치(1)의 정면쪽인 탑승자쪽을 위쪽, 에어백 장치(1)의 바닥면쪽인 차체쪽을 아래쪽으로 하고, 통상 자동차의 앞쪽 위방향 즉 프론트 그라스쪽의부분을 앞쪽, 자동차의 뒤쪽 아래방향으로 되는 부분을 뒤쪽으로 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 에어백 장치(1)는, 스티어링 휘일 본체에 부착되어 지는 평면사각 형상으로 금속제의 베이스플레이트(11)와, 이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위쪽에 접은 상태로 배치되는 봉투형상의 에어백(12)과, 이 에어백(12)을 위쪽으로부터 덮어서 베이스 플레이트(11)에 부착되어지는 커버체(모듈 커버)(14)와, 이 베이스 플레이트(11)에 아래쪽으로부터 부착되어 에어백(12)에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16)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인플레이터(16)는, 대략 원주형상을 한 본체부(16a)를 구비하고, 이 본체부(16a)의 바깥둘레면에 플랜지부(16b)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플랜지부(16b)의 위쪽의 바깥둘레면에 위치하여 가스를 분사하는 가스분사구(16c)가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에어백(12)은 예를 들면 평면원형상의 2매의 바닥포(12a,12b)의 둘레 변부 끼리를 봉합하고, 펼친 상태에서 원판형상, 즉 팽팽해진 상태에서 편평한 구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에어백(12)의 하면 중앙부가 바닥면부(21)로 이루어지고, 이 바닥면부(21)는 원호형상의 가스유입구(22)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바닥면부(21)에 대향하는 상면이 정면부(23)로 되어 있다.
커버체(14)는 보스부 및 4개의 스포오크부의 일부를 덮는 피복부(26)와, 이 피복부(26)의 이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된 부착벽부(27)가, 예를 들면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커버체(14)에는 혼스위치기구(31)가 부착되어 있다. 이 혼스위치기구(31)는, 피복부(26)의 상면쪽에 형성된요홈부(26a)에 배치되는 멤브레인스위치(32), 센터패드(33) 및 상부링크(34)와, 피복부(26)의 하면쪽에 배치되는 하부링크(35)를 구비하고, 이들의 부재가 위쪽으로부터 삽입되어 각 부재를 관통하는 복수의 샤프트(37)와 하부링크(35)의 아래쪽에서 이들 샤프트(37)에 걸어멈춤하는 E형상 링(38)에 의해 피복부(26)에 고정되어 있다. 또 멤브레인스위치(32)에는 변형시에 접점이 닫혀지는 시트형상의 스위치본체(32a)와, 이 스위치본체(32a)로부터 연장되어 부착벽부(27)의 안쪽을 따라 배치되는 접속편부(32b)가 설치되어 있다. 센터패드(33), 상부링크(34) 및 샤프트(37)는, 소위 ID 마크 등을 디자인하는등 장식부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에어백 장치(1)에서는, 에어백(12)이 대략 사각형상의 외형을 갖는 고리형상의 리테이너(41) 및 도시하지 않은 리벳 등을 사용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인플레이터 부착구멍(11a)에 가스유입구(22)를 맞추어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위쪽에 배치된다. 또한 인플레이터(16)는, 본체부(16a)를 인플레이터 부착 구멍(11a)을 통하여 가스유입구(22)에 아래쪽으로부터 삽입하고, 리테이너(41)로부터 돌출한 볼트(41a)가 플랜지부(16b)에 관통한 상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각 볼트(41a)에 아래쪽으로부터 너트(43)를 나사맞춤하여 체결함으로써 리테이너(41)와 인플레이터(16)의 플랜지(16b)와의 사이에 에어백(12)과 베이스 플레이트(11)가 끼워져 지지되고, 이 베이스 플레이트(11)에 에어백(12)과 인플레이터(16)가 부착되어진다. 또한 에어백(12)을 소정의 형상으로 접고, 이 에어백(12)에 커버체(14)를 씌운 형태로 커버체(14)의 부착벽부(27)가 리벳(44)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측부에 고정되어 있다. 앞뒤의 부착벽부(27)에 고정되는리벳(44)은, 부착벽부(27)에 걸어 맞춤하는 어시스트 플레이트(45)를 통하여 고정되어 있다. 또 인플레이터(16)의 하측부에 인플레이터 커버(46)가 부착되어 에어백 장치(1)가 조립된다.
그리고, 이 에어백 장치(1)는 자동차가 충돌한 경우등에는 도시하지 않은 충돌진단 유니트등으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인플레이터(16)의 점화기가 작동되어 충진된 추진약을 반웅시킴으로써 둘레면에 형성한 가스분사구(16c)로부터 에어백(12)의 내부로 가스를 급속도로 분사한다. 그러면 에어백(12)은 급속도로 팽창전개하고, 이 팽창의 압력에 의해 커버체(14)에 다른부분보다 취약하게 형성한 소정의 테아라인에서 파단되어 에어백(12)의 돌출구가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에어백(12)은 돌출구로부터 탑승자쪽으로 돌출하여 탑승자의 전면에 팽창전개되고, 탑승자를 충돌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여 에어백(12)의 접는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는데 사용하는 접는장치(51)는 상호 접근, 이격하는 상부금형(52), 하부금형(53)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상부금형(52) 및 하부금형(53)은, 각각 피스톤(54,55)을 구비하고, 하측의 피스톤(55)에는 인플레이터(16)의 형상을 닮은 플러그(55a)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측의 피스톤(54)에는 하측 플러그(55a)의 상면에 가압되는 상측 플러그(54a)가 설치되어 있다. 상부금형(52) 및 하부금형(53)에는 상하의 플러그(54a,55a)를 둘러싸도록 하여 원통형상, 각진 통형상 등의 통형상 또는 복수의 판형상 등을 한 대략 동심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접는판(56)이 구비되고, 상하의 피스톤(54,55)과는 독립하여 각각 진퇴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접는판(56)은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금형(52)과 하부금형(53)이 접근한 상태에서 상하의 접는판(56)이 교호로 맞추어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금형(52)과 하부금형(53)을 이격시킨 상태에서 하부금형(53)의 피스톤(55) 위에 베이스 플레이트(11)에 부착되어진 에어백(12)을 평면원형상으로 펼쳐 올려놓는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상부금형(52)과 하부금형(53)을 서로 접근시켜 상하의 접는판(56)을 안둘레쪽으로부터 순차교호로 맞춘다. 그러면 펼쳐진 에어백(12)은 인플레이터(16)의 바깥둘레쪽으로 위치하여 가스유입구(22)를 형성한 바닥면부(21)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즉 바닥포(12a,l2b)의 면이 인플레이터(16)의 바깥면을 따라 수직을 이루어 상하의 끝단부에서 굴곡되도록 하여 가스유입구(22)를 중심으로 하는 고리형상의 물결형상으로 접혀진다. 또한 이 상태에서 인플레이터(16)의 위쪽에는 1매의 바닥포(12a)로 이루어지는 정면부(23)가 배치된다.
이어서, 상부금형(52)과 하부금형(53)을 이격시켜 필요에 따라 물결형상으로 접혀진 에어백(12)을 접는장치(51)로부터 꺼내고, 도시하지 않은 치구 또는 작업자의 손을 사용하여 바깥둘레쪽의 사방에서 가압하여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사각형 평판형상을 이루어 변부(61)를 4개소에 형성함과 동시에 이들 각 변부(61) 끼리를 연이어 접한 부분이 변부(61)의 바깥둘레쪽으로 비어져 나온 잔여부(귀부)(62)로 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잔여부(62)에 대하여 각각 도시하지 않은 치구또는 작업자의 손을 사용하여 일부를 인접하는 한쪽의 변부(61)의 바깥둘레쪽에 접하도록 하고, 다른 부분을 인접하는 다른쪽의 변부(61)의 바깥둘레쪽에 접하도록 하여 외형을 대략 정면사각형상으로 한다. 이 상태에서 도 1,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백(12)이 커버체(14)의 부착벽부(27) 등의 형상에 맞추어지는 소정의 형상, 본 실시 형태에서는 대략 평면사각형상으로 정면하게 접는다.
그리하여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에어백(12)을 물결형상으로 접은 부분인 복수의 변부(61)를 인플레이터(16)의 바깥둘레쪽을 따라 꽃잎형상으로 배치하고, 인플레이터(16)의 위쪽은 1매의 바닥포(12a)로 이루어지는 정면부(23)로 한 것이므로 인플레이터(16)로부터 가스를 분사할 때에는 정면부(23)의 안쪽으로 원활하게 가스를 도입하여 팽창의 초기단계에서 정면부(23)로부터 에어백(12)을 정면쪽을 향하여 원활하게 평창전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필요이상으로 가스의 분사압력을 높이지 않아도 커버체(14)의 테아라인을 원활하게 파단하여 에어백(12)을 원활하게 돌출시킬 수 있다.
또한 물결형상으로 접혀져 배치된 복수의 변부(61)를 잔여부(62)로 연속시켜 이들 잔여부(62)를 각 변부(61)의 바깥둘레 쪽을 따라서 배치함으로써 접을 때에 생기는 직경방향 등으로 향하는 불규칙한 주름발생을 억제하고, 접은선을 정연하게 배열하여 에어백(12)을 소망의 형상으로 형성하여 용이하고 작게 접을 수 있고, 에어백 장치(1)를 소형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에어백(12)이 커버체(14)로부터 돌출한 후에는 측방으로도 신속원활하게 전개시킬 수 있고, 내구성의 향상등도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에어백(12)을 접어서 대략 평면사각형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사각형상으로 한 바닥면부(21)의 가장자리 부를 따라서 에어백(12)을 용이하고 정연하게 접을 수 있고, 에어백(12)을 용이하고 작게 접을 수 있다.
또한 변부(61) 및 잔여부(62)를 3개이상으로 함으로써 평면다각 형상 또는 평면원형 형상을 이루는 공간에 수납하는데 적합한 형상으로 용이하게 접을 수 있음과 동시에 각 잔여부(62)에 원활신속하게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에어백(12)의 대부분을 인플레이터(16)의 측방으로 배치하고, 인플레이터(16)의 위쪽에는 1매의 바닥포(12a)로 이루어지는 정면부(23)로 한 것이므로 이 정면부(23)의 위쪽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이 공간부에 혼을 울리는 혼스위치기구(31)를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특별하게 박형화한 혼기구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스위치의 신뢰성 향상, 조립공정수의 삭감,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등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에어백 장치 전체를 혼스위치로 상하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 등에 비해서도 에어백 장치의 스티어링 휘일 본체로의 부착정밀도를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고,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각각 복수의 원통형상의 접는판(56)을 사용하였지만, 예를 들면 이들 상부금형(52) 및 하부금형(53)에는 에어백(12)을 각종의 평면형상을 한 물결형상으로 굴곡하기 위한 각종의 형상의 접는판을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부금형(52) 및 하부금형(53)에 각각 4매의 사각형 평판형상의 접는판을 설치할 수도 있고, 또는 이들 4매의 사각형 평판형상의 접는판에 부가하여 잔여부(62)를 동시에 형성하는 4매의 굴곡판형상의 접는판을 구비시킬 수도 있다. 또 이하의 각 실시 형태에서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의 각 실시 형태에서는 각 잔여부(62)를 변부(61)의 바깥둘레쪽에 접하는 경우에 각 잔여부(62)를 인접하는 두쪽의 변부(61)의 바깥둘레쪽에 접하도록 하였지만,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낸 제 2 실시 형태와 같이, 각 잔여부(62)를 각각 인접하는 한쪽의 변부(61)의 바깥둘레쪽만 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4개소에 변부(61)를 형성하여 최종형상을 대략 평면사각형상으로 하였지만, 커버체의 디자인 등에 맞추어서 각종의 형태로할수 있고, 변부(61)의 수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 내지 도 12 에 나타낸 제 3 실시 형태와 같이, 3개의 스포오크부를 형성한 스티어링 휘일 본체 등에 대하여 오각형의 베이스 플레이트(71)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각부를 앞뒤 및 양쪽을 향한 리테이너(41)에 의해 에어백(12)을 고정함과 동시에 에어백(12)은 치구를 사용하여 고리형상의 물결형상으로 접은 후,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깥둘레쪽으로부터 가압하여 베이스 플레이트(71)의 형상에 대응하는 5개소의 변부(61)와 잔여부(62)를 형성한다. 그리고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쪽의 2개소 및 뒤끝단의 잔여부(62)를 바깥둘레쪽에 접하도록 함과 동시에 측부의 2개소의 잔여부(62)는 상기 잔여부(62)의 안쪽둘레쪽에 밀어 넣어 변부(61)에 접하도록 하며, 앞쪽의 2개소의 잔여부(62)는 한쪽이 다른쪽의 바깥둘레쪽에 겹치도록 배치한다. 이 상태에서는, 도 1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71) 위로 넣어지도록 에어백(12)이 대략 오각형으로 접혀진다. 이실시 형태에서는, 도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부(61)를 형성하는 주름의 수는 4개, 주름의 높이치수(h1)는 35mm이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부(61)의 일부가 인플레이터(16)의 위쪽으로 올려지도록 배치되고, 이 부분에서는 주름의 높이치수(h2)는 50mm로 되어 있다.
변부(61)의 바깥둘레쪽에 접하는 잔여부(62)의 형상에 대하여도 단순히 감겨지도록 하여 접하는 형상 외에, 도 13에 나타낸 제 4 실시 형태와 같이 잔여부(62)의 끝단을 안쪽으로 1회 꺽은 상태로 변부(61)에 접하도록 하고, 도 14에 도시한 제 5 실시 형태와 같이 잔여부(62)의 끝단을 바깥쪽으로 1회 꺽은 상태로 변부(61)에 접하도록 하며, 도 15에 나타낸 제 6 실시 형태와 같이 잔여부(62)의 끝단을 바깥쪽으로 1회, 안쪽으로 1회 꺽은 형태로 변부(61)에 접하도록 하고, 도 16에 나타낸 제 7 실시 형태와 같이 잔여부(62)의 끝단을 바깥쪽으로 2회 즉 물결형상으로 꺽은 상태로 변부(61)에 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7에 나타낸 제 8 실시 형태와 같이, 에어백(12)을 대략 평면사각형상등으로 접는 경우에, 4개소의 잔여부(62)를 물결형상으로 굴곡시키고, 양쪽의 2개소의 변부(61)의 바깥둘레쪽에 접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의 각 실시 형태에서는, 원형상으로 펼친 에어백(12)을 접는 경우에는, 먼저 각 접은선이 인플레이터(16)의 주위를 감싸 연속한 고리형상의 접은선을 형성하고, 이 접은선을 수직한 접은선으로 분할하여 변부(61) 및 잔여부(62)를 형성하였지만, 이러한 접은선은 반드시 고리형상으로 연속시킬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도 18 내지 도 20에 나타낸 제 9 실시 형태와 같이, 접는공정 또는 접은 후의 형상에 있어서 각 접은선이 연속하지 않은 복수로 분할된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다음에 이 제 9 실시 형태의 접는고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는데 사용하는 접는장치(81)는, 상호 상하로 배치된 상측치구(82) 및 하측치구(83)와, 이들 상측치구(82) 및 하측치구(83)의 측방에 배치된 압축수단으로서의 가압치구(85) 및 도 33에 나타낸 감는수단으로서의 감는치구(86)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측치구(82) 및 하측치구(83)는 각각 피스톤(87,88)을 구비하고, 하측의 피스톤(88)에는 인플레이터(16)의 형상을 닮은 하측플러그(88a)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측의 피스톤(87)에는 하측플러그(88a)의 상면에 헐겁게 끼워맞춤하여 가압되는 상측플러그(87a)가 설치되어 있다. 상측치구(82)에는 상측의 플러그(87a)를 상측으로부터 덮도록 하여 접는 수단을 구성하는 4개의 접는기구(A1,A2,A3,A4)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하측치구(83)에는 하측플러그(88a)를 하측으로부터 덮도록 하여 접는수단을 구성하는 4개의 접는기구(B1,B2,B3,B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접는기구(A1~B4)는, 에어실린더등 도시하지 않은 구동장치에 의해 각각 독립하여 상하방향으로 구동되고,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으로 배치된 사각판형상의 바닥판부(A1a~B4a)를 구비함과 동시에 각 바닥판부(A1a~B4a)의 바깥쪽의 사방의 가장자리부로부터는 각각 수직형상으로 접는판(A1b~B4b)이 돌출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접는기구(A1~B4)가 서로 접근한 상태에서 상하의 접는판(A1b~B4b)이 교호로 조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접는판(A1b~B4b)은, 예를 들면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잔여부(62)가 변부(61)의 바깥둘레에 접할 때까지 접혀진 변부(61)의 형상을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하측치구(83)에는 적어도 하측의 접는판(B1b~B4b)에 대향하는 위치를 제외하고,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펼쳐진 에어백(12)이 놓여지는 에어백 재치부(91)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측지구(82)에는 각각 상하방향으로 구동되는 4개의 개방선 형성수단으로서의 개방선 형성기구(9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개방선 형성기구(93)에는 각 접는판(A1b~B4b)끼리의 사이에 위치하고, 즉 베이스 플레이트(11)의 대각선을 연장한 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는 개방선 형성판(93a)이 수직으로 설치되고, 이들 개방선 형성판(93a)의 하단부가 에어백 재치부(91)상에 미소한 간격을 통하여 대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가압치구(85)는, 사방으로 배치된 각 접는판(A1b~B4b) 각각에 대향하여 사방으로 배치되어 중심쪽, 즉 인플레이터(16)의 형상을 닮은 하측 플러그(88a)를 향하여 진퇴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가압기구(85)에는 에어백(12)을 가압하는 가압판(85a)이 베이스 플레이트(11)의 네변에 따라서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27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가압판(85a)에는 상측의 접는판(A1b~A4b)을 피하도록 절결되어 정면에서 볼 때 대략 E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감는치구(86)는,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베이스 플레이트(11)의 네면의 연장선을 따라 배치됨과 동시에 이들 연장선을 따라 진퇴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에어백(12)을 접는 경우에는, 먼저, 초기상태에 있어서는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치구(82)와 하측치구(83)를 이격시킴과 동시에 각 가압치구(85) 및 감는치구(85)는 바깥둘레쪽으로 이격시킨다. 이 상태에서 베이스플레이트(11)에 부착된 에어백(12)을 에어백 재치부(91)상에 원형상으로 펼침과 동시에 에어백(12)의 가스유입구(22), 즉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인플레이터 부착구멍(11a)에 하측플러그(88a)를 삽입하여 장착한다. 이어서, 도시하지 않은 펌프에 의해 에어백(12)내의 공기를 빼고, 에어백(12)의 체적을 감소시킨다.
이어서,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치구(82)의 상측플러그(87a)를 하강시켜 이 상측플러그(87a)와 하측플러그(88a)의 사이에서 에어백(12)의 상측의 바닥포(12a)의 정면부(23)를 끼워지지한다.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개방선 형성기구(93)를 하강시켜 개방선 형성판(93a)의 하단부를 에어백 재치부(91)상에 근소한 간격을 통하여 대향시킨다. 즉 이 상태에서 개방선 형성판(93a)과 에어백 재치부(91)에 끼워전 부분의 에어백(12)은 직선형상을 이룬 상태로 약간 이동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이어서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접는기구(A1~B4)를 서로 접근시켜 서로 조합시키고, 펼친 에어백(12)을 인플레이터(16)의 바깥둘레쪽으로 위치하여 가스유입구(22)를 형성한 바닥면부(21)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즉 바닥포(12a,12b)의 면이 인플레이터(16)의 바깥면을 따라 수직을 이루어 상하의 끝단부에서 굴곡되도록 하여 가스유입구(22)를 중심으로 하늘 물결형상으로 접는다.
그리고 이 경우, 각 접는기구(A1~B4)를 안둘레쪽으로부터 이동시키고, 즉(B1),(A1),(B2),(A2),(B3),(A3),(B4),(A4)의 순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각 접는판(A1b~B4b)이 순차적으로 바닥포(12a,12b)에 맞닿는다. 그러면 에어백(12)은 도 26a에 나타낸 원형상으로 펼쳐진 상태로부터 도 2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부(61)와 잔여부(62)를 구성하는 한겹의 접은선이 동시에 형성됨과 동시에 각 잔여부(62)의 앞끝단부에 접은선 정점(p1)이 형성되고, 접은선이 4개소에서 분할된다. 이어서 도 2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겹의 접은선의 바깥둘레쪽에 점하여 에어백(12)이 물결형상으로 접혀지고, 두겹의 접은선을 형성함과 동시에 각 잔여부(62)의 앞끝단부에 접은선 정점(p2)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접어서 도 26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삼중의 접은선이 형성됨과 동시에 각 잔여부(62)의 앞끝단부에 접은선 정점(p3)이 형성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에어백(12)의 바깥둘레의 가장자리부 근방을 꺽음으로써 접은선(p4,p5)이 형성되어 도 26e 및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부(61)와 잔여부(62)가 4개소씩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각 잔여부(62)는 접은선 정점(p1,p2,p3)을 지나는 선, 즉 바닥면의 중심을 통해 에어백(12)의 안둘레쪽으로부터 바깥 가장자리부까지 연통하는 개방선부(75)에 의해 분할되어 있다. 즉, 이 개방선부(75)에 의해 변부(61)와 잔여부(62)를 구성하는 접은선은 모두 분단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어서, 도 27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각 개방선 형성기구(93)을 상승하는등 후퇴시킨 상태에서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가압치구(85)를 상승시켜 더욱 안둘레쪽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먼저 각 가압치구(85)의 가압판(85a)은 가장 바깥둘레쪽에 위치하는 접는기구(A4)의접는판(A4b)에 조합됨과 동시에 에어백(12)의 각 변부(61)의 바깥둘레를 가압하여 형상을 유지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가장 바깥둘레쪽에 위치하는 상하의 접는기구(A4,B4)를 상하로 후퇴시킨다.
이어서, 접는기구(A3)의 접는판(A3b)에 조합될 때까지 각 가압치구(85)안둘레쪽으로 전진시켜 에어백(12)을 가압한 상태에서 바깥둘레쪽에 위치하는 상하의 접는기구(A3,B3)를 상하로 후퇴시킨다. 그리고 이러한 동작을 반복하여 각 가압치구(85)를 전진시키면서 도 29 및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남은 상하의 접는기구(A2,B2,A1,B1) 및 상측플러그(87a)를 빼낸다.
이어서,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의 접는기구(A1~A4)의 각 접는판(A1b~Aab)에서 접혀진 에어백(12)의 각 변부(61)의 바깥쪽을 밀어 형상을 유지하면서 각 가압치구(85)를 바깥둘레쪽으로 후퇴시킨다.
이 상태로부터 도 32 및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감는치구(86)를 전진시켜 모통이부로부터 4방향으로 돌출한 잔여부(62)를 각각 인접한 각 변부(61)에 접하도록 하고, 외형을 대략 평면사각형상으로 한다. 이 상태로부터 하강한 접는기구(A1~A4)를 다시 상승시킴과 동시에 각 감는치구(86)를 후회시킴으로써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백(12)이 커버체(14)의 부착벽부(27) 등의 형상에 맞는 소정의 형상, 본 실시 형태에서는 평면사각형상으로 정연하게 접혀진다.
그리고 제 9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의 각 실시 형태의 효과에 더하여 에어백(12)의 안둘레쪽으로부터 바깥 가장자리부까지 연통하는 개방선부(75)를 형성한 것이므로 에어백(12)에 가스가 유입된 경우에는, 먼저 에어백(12)의 정면부(23)에 가스가 원활하게 공급되어 커버체(14)를 찢으면서 열어 에어백(12)을 원활하게 돌출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에어백(12)이 커버체(14)의 외부로 돌출한 후에는 에어백(12)의 중앙부에 분사되는 가스를 바깥둘레쪽으로 원활하게 공급하여 에어백(12)을 바깥둘레쪽을 향하여 원활하게 전개시킬 수 있다.
이 제 9 실시 형태에서는, 변부(61)와 잔여부(62)를 구성하는 접은선을 안둘레쪽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형성하였지만, 수작업에 의해 또는 접는장치를 사용하는 등 적절한 순서 또는 동시에 각 접은선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개방선부(75)는 다른 실시 형태의 에어백(12)에 적용할 수도 있다.
도 2 등에 나타낸 실시 형태에서는 인플레이터(16)의 상측에 공간을 확보하여 혼스위치 기구(31)를 배치하였지만, 예를 들면 도 34에 나타낸 제 10 실시 형태와 같이 요홈부를 형성하지 않고 커버체(101)를 사용하여 가스분사구(102a)를 2열로 배치하는 등 높이치수를 크게하는 방법으로 직경치수를 작게한 인플레이터(102)를 사용하여 에어백 장치(1)의 평면형상을 작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에어백(12)을 접는 경우에는 각종의 접는장치를 사용하여 공정을 자동화하고, 또는 모두 수작업에 의해 접고, 또는 접는장치와 수작업을 조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백의 각 변부는, 에어백의 상하에 배치한 치구에 의해 일정의 형상이 정확하게 반복하는 대략 물결형상으로 접은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러한 구성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약간의 불규칙, 불균일한 형상인 대략 물결형상으로 접을 수도있다. 즉, 에어백은 예를 들면 각각의 접는선을 엄밀하게 규정한 위치로 배치함으로써 팽창전개시의 에어백의 거동을 보다 용이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것을 고려하였지만, 포제의 에어백에 있어서는 처음부터 접는선을 엄밀하게 규정한 위치에 배치하는 것은 곤란하고, 또한 약간의 불규칙, 불균일한 형상의 대략 물결형상으로 접어도 에어백의 거동을 충분하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백을 평면형상으로 펼치고, 상하의 범위를 규제한 상태에서 바깔둘레쪽으로부터 안둘레쪽을 향하여 에어백을 밀어넣어 복수의 대략 물결형상으로 접은 변부를 형성하는 구성에 의하여도 직경방향 등을 향한 불규칙한 주름발생을 억제하고, 에어백을 용이하고 작게 접을 수 있음과 동시에 에어백을 정면쪽을 향하여 원활하게 팽창전개 시킬 수 있다.
또한 에어백 장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휘일에만 구비되어지는 아니고, 예를 들면 조수석 앞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구비하는 조수석 탑승용(어시스트) 에어백 장치, 좌석의 측부나 도어패널에 구비하는(사이드)에어백 장치, 또는 앞좌석의 배면에 구비하는 뒷자석용 에어백 장치 등에 적용할 수도 있고, 자동차 등의 자량 이외의 이동체등, 충격으로부터의 보호가 필요한 곳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5에 나타낸 제 11 실시 형태와 같이, 조수석 탑승용의 에어백 장치(111)에 있어서, 전개시에 정면에서 볼 때 대략 사각형상을 한 에어백(112)을 정면에서 볼 때 사각형상을 한 개구를 구비한 케이스(114)에 수납하는 경우에는, 펼친 에어백(112)을 바깥둘레쪽으로부터 중심쪽으로 밀어넣는 등 대략 물결형상으로 접은 사방의 변부(115)와, 이들 변부(115)사이의 모서리부로부터 바깥둘레쪽에방사형상으로 돌출하는 4개소의 잔여부(116)를 형성하고, 각 잔여부(116)를 각각 길이쪽의 한쌍의 변부(115)의 바깥쪽에 접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케이스(114)에 수납가능한 형상으로 작업성 좋게 접을 수 있다.
도 36 내지 도 4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2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에어백(201)은 도 1에 나타낸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도 3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차의 스티어링 휘일의 보스부에 구비되어지는 에어백 장치(202)에 조립되는 것이므로 이 에어백 장치(202)는, 에어백(201)의 다른, 대략 원형상의 리테이터(203), 스티어링 휘일에 부착되어지는 베이스 프레이트(204), 합성수지등으로 이루어지는 파단가능한 커버체(205) 및 가스를 분사하는 인플레이터(201)의 돌출 중심방향, 즉 탑승자측을 상측(정면측), 차체쪽(스티어링 샤프트측)을 하측으로 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에어백(201)은, 2매의 거의 같은 원형상의 상하의 바닥포를 봉합하여 편평한 봉투형상으로 형성되고, 하측의 바닥포의 대략 중앙부에는 원호형상의 가스유입구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가스유입구의 주위에 배치되어 4개소에 볼트용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의 바닥포는, 소정의 강도, 유연성(허리의 세기), 기밀성 몇 내열성 등을 갖는 것이므로 예를 들면 나이론제의 포에 필요에 따라 고무 등의 코팅을 실시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는 코팅을 실시하지 않은, 소위 논코트의 나이론제로서 420데니르, 타입본수53본, 바닥포두께 0.30mm의 것을 사용하였지만, 이 외에도 예를 들면 420데니르, 타입본수 46본, 바닥포두께 0.30mm의 나이론제의 포에 실리콘(Si-) 고무의 코팅을 실시한것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리테이너(203)는 대략 원형고리형상을 한 리테이너 본체(203a)와, 이 리테이너 본체(203a)로부터 하측으로 돌출형성된 4개의 부착볼트(203b)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204)에는 대략 사각형 평판상의 기판부(204a)와, 이 기판부(204a)의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하방으로 절곡형성된 주판부(204b)가 형성되고, 기판부(204a)에는 인플레이터 부착구멍(204c)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체(205)에는 스티어링 휘일의 보스부 및 스포오크부의 일부를 덮는 피복부(205a)와, 대략 각이진 통형상을 한 부착편부(205b)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들 피복부(205a)와 부착편부(205b)를 둘러싸는 부분이 접혀진 에어백(201)을 수납하는 수납부이다. 그리고 인플레이터(206)는 대략 원주형상을 한 인플레이터 본체(206a)와, 이 인플레이터 본체(206a)의 바깥둘레쪽으로 돌출된 플랜지부(206b)를 갖고, 인플레이터 본체(205a)의 바깥둘레면에는 가스를 분사하는 가스분사구(206c)가 형성되어 있다.
에어백(201)은, 미리 리테이너(203)를 안쪽에 삽입하여 부착볼트(203b)를 볼트용 관통구멍으로부터 바같쪽으로 돌출형성한 상태로 후술하는 소정의 형상으로 접고, 커버체(205)의 수납부에 아래쪽으로부터 삽입하여 수납된다. 이 커버체(205)의 수납부에 아래쪽으로부터 베이스 플레이트(204)를 끼워맞춤하고, 부착편부(205b)와 주판부(204b)를 보강판(207)을 사용하여 리벳(R)으로 고정한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204)의 아래쪽으로부터 인플레이터 부착구멍(204c)을 통하여 에어백(201)의 가스유입구에 인플레이터 본체(206a)를 삽입하고, 부착볼트(203b)의 선단쪽에 너트(208)를 나사맞춤하여 체결함으로써 리테이너(203)와 너트(208)의 사이에 에어백(201)의 가스유입구 근방, 베이스 플레이트(204)의 기판부(204a), 인플레이터(206)의 플랜지부(206b)를 끼워넣어진 상태로 에어백 장치(202)가 조립되어진다.
그리고, 자동차의 충돌시등에는, 인플레이터(206)로부터 가스가 분사되어 접혀진 에어백(201)이 팽창전개되고, 이 팽창의 압력에 의해 커버체(205)를 소정의 테아라인에서 파단하여 돌출구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 돌출구로부터 에어백(201)이 정면쪽으로 돌출하고, 더욱 소정의 형상으로 팽창전개하여 탑승자를 충돌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도 38 및 도 39를 참조하여 에어백(201)을 접는 접는장치(211)를 설명한다. 이 접는장치(211)의 전체는 도시하지 않은 컴퓨터 등의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된다.
먼저, 이 접는장치(211)는 받침대(212)를 갖으며, 이 받침대(212)에 재치부로서의 수평한 판상의 하판(214)이 고정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하판(214)의 중앙부의 위쪽에 위치하여 공기압(에어) 등에 의해 동작하는 구동수단으로서의 상부실린더(215)가 고정되고, 이 상부실린더(215)에 의해 높이규제수단으로서의 수평한 판상의 상판(216)이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받침대(212) 또는 하판(214)에는 하판(214)의 중앙부를 향하여 공기압등에 의해 작동하는 구동수단으로서의 4개의 가압실린더(218)가 방사형상으로 배치되어 고정되고, 이들 가압실린더(218)에 의해 각각 하판(214)의 중앙부를 향하여 진퇴하는 가압수단(바깥둘레가장자리 가압수단)으로서의 가압체(221)가 지지되어있다. 그리고 이들 가압체(221)는 수직한 판형상을 한 중앙편부(221a)와, 이 중앙편부(221a)의 양끝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된 귀부형성편부(221b,221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중앙편부(221a)는 에어백(201)을 접은 최종형상의 외형형상에 가깝고, 중심각이 45도 이하의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각 귀부형성편부(221b)는, 각각 가압실린더(218)에 대하여 후방을 향하여 예를 들면 약45도의 각도로 커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가압체(221)끼리의 사이에 위치하여 각각 방사위치규제수단으로서의 귀부형성판(223)이 방사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귀부형성판(223)은 각각 수직한 대략 사각형판형상(리브형상)을 이루고, 도 4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축(224)을 통하여 구동수단으로서의 하부실린더(225)에 접속되며, 이 하부실린더(225)에 의해 상하방향(또는 방사방향)으로 진퇴구동되어 하판(214)의 상면으로부터 출몰가능하게 되어 있다.
하판(214)의 중앙부에는 감아넣는수단을 구성하는 에어백 장착부(23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에어백 장착부(231)에는 리테이너 고정부(232)와, 이 리테이너 고정부(232)에 연결된 로터리 액츄에이터(23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리테이너 고정부(232)에는 인플레이터(206)의 형상을 닮은 금형체(232a)와, 리테이너(203)의 부착볼트(203b)가 삽입되는 볼트 유지구멍(232b)등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로터리 엑츄에이터(233)는 공기압 등에 의해 구동되어 리테이터 고정부(232)를 하판(214)에 대하여 회전구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도 38 등에 나타낸낼 바와 같이, 금형체(232a)상면에는 필요에 따라 진공펌프 등의 흡인장치(234)에 접속된 흡인구가 개구되어 에어백(201)내의 공기를 흡인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에어백 장착부(231)는 삽입수단을 구성하는 구동수단으로서의 양쪽 한쌍의 밀어올리는 실린더(235)에 연결되어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밀어올리는 실린더(235)는 구동샤프트(235a)가 하판(214)의 하면에 고정되어 이 구동샤프트(235a)를 인입함으로써 위쪽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이 접는장치(211)를 사용한 접는동작(접는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판(216)을 위쪽으로 후퇴시켜 각 가압체(221)를 바깥둘레쪽으로 후퇴시킴과 동시에 각 귀부형성판(223)을 아래쪽으로 후퇴시킨 상태에서 하판(214) 상에 에어백(201)을 평면형상으로 펼치고, 즉 상하의 바닥포의 위치가 서로 거의 일치한 상태가 되게 한다. 이때 각 귀부성형판(223)을 위쪽으로 전진시킨 상태에서 하판(214)상에 에어백(201)을 평면형상으로 펄쳐도 좋다. 또한 이때 에어백(201)의 내측에는 미리 리데이터(203)를 삽입하여 부착볼트(203b)를 볼트용 관통구멍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시켜 둔다. 그리고 리테이터(203)를 에어백 장착부(231)의 리테이터 고정부(232)에 장착하고, 각 부착볼트(203b)를 볼트 유지구멍(232b)에 삽입함과 동시에 금형체(232a)를 가스유입구에 삽입하여 에어백(201)의 위치결정을 행한다.
이어서, 도 4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흡인장치(234)를 작동시켜 에어백(201)내의 공기를 흡인하고, 상하의 바닥포를 밀착시킨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판(216)을 아래쪽으로 전진시켜 에어백(201)을 접을 때의 높이규제를 행함과 동시에 도 4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귀부형성판(223)을 위쪽으로 전진시켜에어백(201)을 4개소에서 방사형상으로 들어올리고, 상판(216)의 하면에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억누른 상태가 되게 한다. 이 상태에서는 상판(216)과 하판(214) 사이의 간격치수는 에어백(201)의 최종 접은형상의 높이치수인 30mm~50mm로 한다.
이어서, 도 3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가압체(221)를 동시에 중심부를 향하여 전진시켜 에어백(201)을 바깥둘레 가장자리(201a)로부터 최종 접은형상이 되도록 가압한다. 그러면 에어백(201)은 상판(216)에 의해 높이가 규제되고, 특히 에어백(201)용의 바닥포는 소정의 유연성을 갖는 것이므로 밀리는 부분은 금형체(232a) 바깥둘레부를 따라서 거의 동심의 원호형상 또는 직선형상을 한 접는선에 의해 물결형상(주름형상)으로 접혀진다. 이 상태에서 각 귀부형성판(223)에 눌린부분은 물결형상으로 접혀지지 않고, 중심부로부터 바닥둘레 가장자리(201a)를 향하여 방사형상의 접는선을 갖는 바깥둘레쪽에 돌출한(남은) 귀부(236)가 형성된다. 또한 각 가압체(221)가 전진한계까지 이동한 상태에서 서로 인접하는 가압체(221)의 귀부형성편부(221b)끼리의 사이에 귀부형성판(223) 및 귀부(236)가 밀착하여 끼워넣어져 귀부(236)의 형상이 확실하게 형성된다.
이어서, 도 4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가압체(221)를 동시에 바깥둘레쪽으로 약간 후진시켜 서로 인접하는 가압체(221)의 귀부형성편부(221b)끼리의 사이 치수(d)를 확대하여 귀부(236)를 귀부형성편부(221b) 및 귀부형성판(223)에 대하여 미끄럼운동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각 귀부형성판(223)을 아래로 후퇴시킨다.
이 상태에서 도 4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터리 액츄에이터(233)를 작동시켜 에어백 장착부(231)의 리테이너 고정부(232)를 소정의 방향으로 소정의 속도로 회전시키고, 이 리테이너 고정부(232)에 유지된 에어백(201)의 중심부를 회전시켜 각 귀부(236)를 내측으로 감아 넣어 물결형상으로 접은 부분의 바깥둘레부에 감겨진다.
그리고 도 4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귀부(236)를 내측에 감아넣기를 마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각 가압체(221)를 동시에 안둘레쪽으로 약간 전진시켜 형태를 조정하고, 에어백(201)을 최종 접는 형상이 되게 한다. 이때, 각 귀부(236)를 안쪽으로 감아 넣기를 마친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각 귀부형성판(223)을 도 42에 나타낸 상태로 복귀하고, 그 후 동시에 안둘레방향으로 약간 전진시켜 형태를 조정하여 에어백(201)을 최종 접는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후술하는 커버체(205)로의 삽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에어백(201)의 평면형상은 커버체(205)의 수납부의 평면형상보다도 작게한다.
이어서, 상판(216)을 위쪽으로 후퇴시켜 도 4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은 에어백(201)의 상측의 소정의 위치에 커버체(205)를 올려놓는다. 그리고 작업자가 커버체(205)를 유지하여 위쪽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누른 상태에서 도 47 및 도 4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쪽의 밀어올리는 실린더(235)를 작동시켜 에어백 장착부(231)를 하판(214)에 대하여 소정의 치수만큼 위쪽으로 이동시키고, 최종 접은형상의 에어백(201)을 커버체(205)의 수납부내에 삽입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에어백(201)를 접는공정 및 커버체(205)로의 조립고정 공정을 완료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높이규제수단으로서의 상판(216)에 의해 에어백(201)의 높이를 규제한 상태에서 펼친 에어백(201)을 사방에서 가압체(221)에의해 중심쪽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에어백(201)의 중심부의 사방을 물결형상으로 접고, 이들 접은부분끼리의 사이로부터 방사형상으로 귀부(236)를 돌출한 형상으로 접을 수 있다. 그리고 이 상태로부터는 귀부(236)를 장치 또는 수작업에 의하여 접은부분의 바깥둘레쪽에 접하게 함으로써 용이하게 커버체(205)에 삽입되는 최종 접는형상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공정에서는 커버체(205)를 물결형상으로 접기 위해 서로 걸어 맞춤하는 복잡한 형상 또는 동작을 행하는 장치가 필요없고, 단순한 실린더의 이동으로 접는 것이 가능하므로 접는장치(211)의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고, 장치를 소형화(소규모화)하여 싼 가격으로 구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접는데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에어백(201)을 점는데 관한 코스트, 에어백장치(202)의 제조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각 가압체(221)의 사이에 위치하여 귀부형성판(223)을 설치한 것이므로 각 가압체(221)를 전진하여 에어백(201)을 접을 때 중심부로부터 바깥둘레쪽으로 방사형상으로 돌출하는 귀부(236)를 용이하고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감아넣는 수단으로 에어백(201)의 중심부를 회전시키는 로터리 액츄에이터(233)를 설치한 에어백 장착부(231)를 구비한 것이므로 형성한 귀부(236)를 접은부분의 바깥둘레쪽으로 감아넣어 접하게 하는 것에 의해 에어백(201)을 용이하게 최종 접은형상으로 접을 수 있다.
또한 접은 에어백(201)은 삽입수단으로서의 밀어올리는 실린더(235)에 의해 접은상태로부터 직접 커버체(205)의 수납부에 삽입할 수 있는 것이므로 접은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특별한 구성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접는공정을 신속하게 종료할 수도 있음과 동시에 에어백 장치(202)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공정에 의해 접혀진 에어백(201)은 가스유입구를 형성한 중심부의 바깥둘레쪽에 접하여 접혀지므로 인플레이터(206)로부터 가스가 공급되어 중심부로 유입할 때에는 정면쪽을 향하여 중심부로부터 신속원활하게 팽창전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커버체(205)를 파단할 때의 가스의 압력을 저감시킬 수 있고, 가스의 압력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에어백(201)을 신속원활하게 팽창전개시킬 수 있다. 에어백(201)을 지지하는 부착부에 작용하는 부하를 작게할 수 있고, 부착부를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제 12 실시 형태에서는, 도 36 및 도 43에 나타낸 공정에서 에어백(201)을 접을 때에, 일단 각 가압체(221)를 최종 접은형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전진시키고, 이어서 각 귀부(236)를 감아넣기 위한 각 가압체(221)를 후퇴시키도록 제어하였지만, 에어백(301)의 바닥포의 유연성 등의 특성에 의하여는 각 가압체(221)의 전진한계를 도 36보다도 자기앞쪽, 즉 뒤쪽으로 설정하여 귀부(236)를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하고, 도 43에 나타낸 각 가압체(221)가 후퇴하는 공정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46 내지 도 48에 나타낼 공정에서는, 삽입수단으로서는 밀어올리는 실린더(235)만을 설치하고, 접은 에어백(201)을 커버체(205)에 삽입하는 경우에는 커버체(205)를 작업자가 손으로 소정의 위치로 올려놓고 유지하였지만, 이러한 올려놓음 및 유지의 양쪽 또는 어느 한쪽은 공업용의 로봇을 사용하여 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감아넣는 수단으로서 로터리 액츄에이터(233)를 구비한 에어백 장착부(231)를 설치하였지만, 예를 들면 바깥둘레쪽으로부터 진퇴하여 방사형상으로 배치된 귀부(236)를 밀어이동시켜 접은 부분의 바깥둘레쪽에 접하도록 플레이트체를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이러한 구성을 설치하지 않고 작업자가 손으로 감아 고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도 36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압수단으로서의 가압체(221)는, 최종 접은형상의 한변에 대응하는 중앙편부(221a)를 바깥둘레쪽으로 부풀어 나온 평면원호형상으로 형성하고, 귀부형성판(223)에 대응하는 귀부형성편부(221b)는 평면직선형상으로 형성하였지만, 이들 가압체(221)는 각종의 형상을 취할수 있고, 예를 들면 도 4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편부(221a)를 평면직선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도 39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높이규제수단으로서의 상판(216)은 펼친 에어백(201)의 전체의 상측을 덮는 형상으로 하였지만, 반드시 펼친 에어백(201)의 전체의 상측을 덮을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도 5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귀부형성판(223)의 상측을 잘라 제거하여 에어백(201)을 접는 가압체(221)의 중앙편부(221a)의 진로상의 상측만을 덮도록 하여도 에어백(201)을 거의 물결형상으로 접는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높이규제수단은 반드시 1매의 플레이트상의 상판(216)에 의해 구성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도 5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압체(221)의 진로상의 상측이 잘려져 제거된 상판(216)과, 가압체(221)의 중앙편부(221a)의 상부로부터 앞쪽으로 대략사각형평판형상(플랜지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편(221d)에 의해 높이규제수단을 구성하여도 에어백(201)을 거의 물결형상으로 접는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돌출편(221d)의 형상은, 도 51에 나타낸 것에 한정하지 않고, 앞끝단쪽을 활 형상등으로 중심쪽으로 돌출형성하여도 좋고, 또한 도 52에 나라낸 바와 같이, 중앙편부(221a) 및 양쪽의 귀부형성편부(221b,221b)로부터 돌출 형성할 수도 있다. 돌출형성편(221d)의 형상 또는 에어백(201)의 바닥포의 유연성에 의하여는 상판(216)을 생략하고 돌출형성편(221d)만으로 높이규제수단을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귀부(236)를 형성하는 방사위치규제수단으로서 하판(214)쪽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진퇴하는 귀부형성판(223)을 사용하였지만, 이 귀부 형성판(223)은 상판(216)쪽에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이 귀부형성판(223)은 하판(214)쪽 또는 상판(216)쪽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진퇴하는 것 외에, 방사방향으로 진퇴시킬 수도 있고, 또는 하판(214)쪽 또는 상판(216)쪽에 고정적으로 설치할수도 있다.
또는 방사위치규제수단으로서는 반드시 플레이트형상의 부재를 사용할 필요는 없고, 각 가압체(221)에 의해 밀려 움직이지 않는 부분의 형상을 방사형상으로 유지하는 구성이면 좋고, 예를 들면 귀부형성판(223)에 대하여 도 53 및 도 54에 나타낸 클램프장치(241)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 클램프장치(241)는 각각 각 가압체(221)끼리의 사이에 방사형상으로 배치되고, 바깥 둘레쪽의 끝단부가 하판(214)등에 고정된 부세수단으로서의 탄성체인 코일스프링(242)과, 이 코일스프링(242)의 안둘레쪽의 끝단부에 부착된 클램프체(243)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구성에서는 각 클램프체(243)에 의해 에어백(201)의 바깥둘레 가장자리(201a)의 근방을 잡은 상태에서 각 가압체(221)을 전진시키는 것에 의해 소정의 형상의 귀부(236)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에서는 각 클램프체(243)는 코일스프링(242) 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것이므로 각 가압체(221)의 전진에 따라 에어백(201)의 직경치수가 작게 됨에 따라 바깥둘레쪽으로 향하여 적절한 부세력이 가해져 에어백(201)의 귀부(236)를 무리없이 정연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에어백(201)의 바닥포의 유연성 등의 특성에 의해서는, 이들 방사위치규제수단이 아니어도 각 가압체(221)끼리의 사이에 자연스럽게 귀부를 형성할 수도 있고, 방사위치규제수단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가압체(221)를 사용하여 귀부(236)를 4개소에 형성한 것이므로 대략 평면사각형상의 수납부를 구비한 커버체(205)에 적합한 접은 형상을 실현할 수 있지만, 이러한 귀부는 커버체의 수납부의 형상 등에 맞추어 2개소, 3개소 또는 5개소이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특히, 가압체(221) 및 귀부형성판(223)을 각각 3개이상 구비하고, 즉 귀부를 3개소이상 형성함으로써 에어백을 커버체(205)의 부착편(205b)에 둘러싸여 형성되는 대략 평면다각형상의 수납부에 원활하게 삽입가능한 형상으로 용이하게 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어백 장치는, 가스를 분사하는 인플레이터와, 이 인플레이터가 분사하는 가스를 유입하여 정면쪽으로 팽창전개하는 봉투형상의 에어백을 구비하고, 상기 에어백은 상기 인플레이터의 정면쪽으로 배치된 정면부와, 이 정면부의 바깥둘레쪽으로 연속하여 물결형상으로 구부러져 배치된 3개이상의 변부와, 이들 변부 사이에 연속하여 상기 각 변부의 바깥둘레에 접하여 배치된 3개이상의 잔여부를 구비한 것이다. 그리고 에어백을 물결형상으로 접은 부분인 복수의 변부를 인플레이터의 바깥쪽에 접하여 배치함으로써 가스를 분사할 때 인플레이터의 정면쪽을 향하여 원활하게 팽창전개시킬 수 있다. 또한 물결형상으로 접어 배치된 복수개의 변부를 잔여부에서 연속시키고, 이들 잔여부를 각 변부의 바깥둘레쪽에 접하여 배치함으로써 접을 때에 생기는 불규칙한 주름발생을 억제하며, 접은선을 정연하게배열하여 에어백을 작게 접을 수 있다. 또한 변부 및 잔여부를 3개이상으로 함으로써 평면다각 형상 또는 평면원형 형상인 공간에 수납하는 것에 적합한 형상으로 용이하게 접을 수 있음과 동시에 각 잔여부에 원활신속하게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잔여부에 정면부로부터 앞끝단부로 연속하여 개방선부를 형성함으로써 각 변부를 구성하는 접은선을 상호 분리하여 이 개방선부를 따라서 인플레이터의 바깥둘레쪽으로 가스를 원활하게 공급하고, 에어백을 바깥둘레쪽을 향하여 원활하게 팽창전개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잔여부는, 동일방향으로 감겨져 각 변부의 바깥둘레쪽에 접하여 배치함으로써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접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어백 장치는, 가스를 분사하는 인플레이터와, 이 인플레에터가 분사하는 가스를 유입하여 팽창하는 봉투형상의 에어백을 구비하고, 상기 에어백은 가스유입구를 형성한 바닥면부와, 이 바닥면부의 바깥둘레쪽에 연속하여 이 바닥면부와 직교하는 방향에 물결형상으로 접혀진 3개이상의 변부를 형성하며, 이들 변부는 둘레방향의 단부를 바깥둘레쪽에 접하여 배치한 것이다. 그리고 이 구성에서는 에어백을 소정의 형상으로 정연하게 접고, 에어백을 작게 접을 수 있다. 또한 변부를 3개이상으로 함으로써 평면다각 형상 또는 평면원형 형상인 공간에 수납하는 것에 적합한 형상으로 용이하게 접을 수 있음과 동시에 에어백내의 각부에 원활신속하게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바닥면부를 사각형상으로 함으로써 바닥면부의 변부를 따라서 에어백을 용이하게 정연하게 접을 수 있고, 에어백을 용이하게 작게 접을 수 있다.
그리고, 인접하는 변부 사이에 바닥면부로부터 앞끝단부로 연속하는 개방선부를 형성함으로써 각 변부를 구성하는 접은선을 상호 분리하여 이 개방선부를 따라서 인플레이터의 바깥둘레쪽으로 가스를 원활하게 공급하고, 에어백을 바깥둘레쪽을 향하여 원활하게 팽창전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어백 장치의 접는방법은, 가스를 유입하여 팽창전개하는 에어백을 접는방법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을 접어서 3개이상의 변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들 각 변부 사이에 남은 잔여부를 상기 각 변부의 바깥둘레쪽에 접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에어백을 접어서 복수의 변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들 각 변부 사이에 남은 부분을 상기 각 변부의 바깥둘레쪽에 접하도록 함으로써 에어백을 변부와 잔여부에 용이하고 정연하게 접어 에어백을 용이하고 작게 접을 수 있다. 또한 변부를 3개이상 형성함으로써 평면다각 형상 또는 평면원형 형상인 공간에 수납하는 것에 적합한 형상으로 용이하게 접을 수 있음과 동시에 에에백 내의 각부에 원활신속하게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잔여부에, 가스의 유입하는 부분으로부터 끝단부로 연속하는 개방선부를 형성함으로써 바깥둘레쪽을 따라 원활하게 팽창전개하는 에어백을 용이하게 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어백을 접는방법은, 에어백을 평면형상으로 펼치고, 높이를 규제하면서 바깥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접은 중심을 향하여 복수개소로 가압하여 접으며, 바깥둘레쪽으로 돌출한 부분은 접은부분의 바깥둘레쪽에 접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이 구성에서는, 에어백의 높이를 규제함으로써 펼친 에어백을 중심쪽으로밀어 넣고, 바깥둘레쪽으로 돌출한 부분을 따라 접하면서 소정의 형상으로 접을 수 있기 때문에 에어백의 접는 공정을 간략화하고 공정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함과 동시에 이 공정에 사용되는 장치도 간략화할 수 있으며, 접는데 필요한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에어백은 접은 중심부의 둘레주위로 접혀지기 때문에 가스가 중심부에 유입할 때에는 정면쪽을 향하여 중심부로부터 신속원활하게 팽창전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어백을 접는장치는, 가스의 유입부분으로부터 끝단부로 연속하는 개방선부를 에어백에 형성하는 개방선 형성수단과, 이 개방선 형성수단에 의해 상기 개방선부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에어백을 물결형상으로 접어 물결형상으로 접혀진 변부와, 상기 개방선부에 따른 잔여부를 형성하는 접는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그리고 이 구성에서는, 개방선 형성수단에 의해 가스의 유입부분으로부터 끝단부에 연속하는 개방선부를 에어백에 형성하여 이 개방선부를 유지한 상태에서 접는수단에 의해 에어백을 물결형상으로 접고 물결형상으로 접혀진 변부와, 개방선부에 따른 잔여부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개방선부가 형성되어 바깥둘레쪽을 향하여 원활하게 팽창전개하는 에어백을 변부의 바깥둘레쪽을 따라서 잔여부를 접하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접을 수 있다.
또한 물결형상으로 접은 변부를 압축하는 압축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이 압축수단에 의해 변부를 압축하여 에어백을 작게 접을 수 있다.
그리고 잔여부를 변부의 바깥둘레 족에 접하도록 하는 감는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에어백의 접는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어백을 접는장치는, 평면형상으로 펄쳐진 에어백이 놓여지는 재치부와, 이 에어백의 바깥둘레 가장자리를 접는 중심쪽을 향하여 가압하는 가압수단과, 상기 에어백의 상기 재치부로부터의 간격치수를 규제하는 높이규제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그리고 이 구성에서는, 펼친 에어백을 가압수단에 의해 중심쪽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높이규제수단에 의해 높이가 규제된 에어백을 중심부의 둘레주위로 물결형상으로 접고, 접혀지지 않아 바깔둘레쪽으로 돌출한 부분은 접혀진 부분의 바깥둘레쪽으로 감아서 접하도록 함으로써 에어백을 소정의 형상으로 접을 수 있다. 따라서 에어백의 접는 공정을 간략화하여 공정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 공정에 사용하는 장치도 간략화할 수 있고, 접는데 필요한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에어백은, 접는 중심부의 둘레주위로 접혀지기 때문에 가스가 중심부로 유입할 때에는 정면쪽을 향하여 중심부로부터 신속원활하게 팽창전개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가압수단과, 이들 가압수단 사이에 위치하는 에어백의 이동을 규제하여 귀부를 형성하는 방사위치규제수단을 구비함으로써 각 가압수단에 의해 에어백을 중심쪽으로 가압하는 경우, 방사위치규제수단에 의해 접혀진 부분 사이의 위치에서 중심부로부터 바깥둘레쪽으로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귀부를 형성하여 가압수단에 의해 가압된 부분을 정연하게 접을 수 있음과 동시에 귀부를 접은부분의 바깥둘레쪽으로 감아서 접하게 함으로써 에어백을 소경의 형상으로 용이하게 접을 수 있다.
그리고 바깥둘레쪽으로 돌출한 부분을 접은부분의 바깥둘레쪽으로 감아넣어접하도록 하는 감아넣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감아넣는 수단에 의해 접은부분의 바깥둘레쪽으로 돌출한 부분을 접은부분의 바깥둘레쪽으로 감아넣어 접하도록 함으로써 에어백을 용이하게 소경의 형상으로 접을 수 있다.
또한 접힌 에어백을 이 에어백이 수납되는 커버체에 삽입하는 삽입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접은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특별한 구성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접는공정을 신속하게 종료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 에어백을 사용하는 에어백 장치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자동차의 스티어링 휘일, 인스트루먼트 패널, 좌석, 도어패널 등에 구비되어 충돌의 충격으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는 에어백 장치, 이 에어백 장치에 구비되어지는 에어백을 접는방법, 및 그의 에어백을 접는장치에 이용된다.

Claims (16)

  1. 가스를 분사하는 인플레이터와, 이 인플레이터가 분사하는 가스를 유입하여 정면쪽으로 팽창전개하는 봉투형상의 에어백을 구비하고,
    상기 에어백은,
    상기 인플레이터의 정면쪽에 배치된 정면부와,
    이 정면부의 바깥둘레쪽으로 연속하여 물결형상으로 구부러져 배치된 3개 이상의 변부와,
    이들 변부 사이에 연속하여 상기 각 변부의 바깥둘레쪽에 접하여 배치된 3개이상의 잔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잔여부는, 정면부에서 앞끝단부로 연속하는 개방선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잔여부는, 동일방향으로 감겨져 각 변부의 바깥둘레쪽에 접하여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4. 가스를 분사하는 인플레이터와, 이 인플레이터가 분사하는 가스가 유입되어 팽창하는 봉투형상의 에어백을 구비하고,
    상기 에어백은,
    가스유입구를 형성한 바닥면부와,
    이 바닥면부의 바깥둘레쪽에 연속하여 이 바닥면부와 직교하는 방향에 물결형상으로 접혀진 3개이상의 변부를 형성하며,
    이들 변부는 둘레방향의 끝단부를 바깥둘레쪽에 접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부는, 사각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변부 사이에 바닥변부로부터 앞끝단부로 연속하는 개방선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7. 가스를 유입하여 팽창전개하는 에어백을 접는방법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을 접어서 3개이상의 변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들 각 변부사이에 남은 잔여부를 상기 각 변부의 바깥둘레쪽에 접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에어백을 접는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잔여부는, 가스의 유입하는 부분에서 끝단부로 연속하는 개방선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을 접는방법.
  9. 에어백을 평면형상으로 펼치고,
    높이를 규제하면서 바깥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접은 중심을 향하여 복수개소에서 가압하여 접으며,
    바깥둘레쪽으로 돌출한 부분은 접은부분의 바깥둘레쪽에 접하도록 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을 접는방법.
  10. 가스의 유입하는 부분에서 끝단부로 연속하는 개방선부를 에어백에 형성하는 개방선 형성수단과,
    이 개방선 형성수단에 의해 상기 개방선부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에어백을 물결형상으로 집어 물결형상으로 접혀진 변부와, 상기 개방선부에 따른 잔여부를 형성하는 접는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을 접는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물결형상으로 접은 변부를 압축하는 압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을 접는장치.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잔여부를 변부의 바깥둘레쪽에 접하도록 하는 감는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을 접는장치.
  13. 평면형상으로 펼쳐진 에어백이 놓여지는 재치부와,
    이 에어백의 바깥둘레 가장자리를 접어 중심쪽을 향하여 가압하는 가압수단과,
    상기 에어백의 상기 재치부로부터의 간격치수를 규제하는 높이규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을 접는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복수의 가압수단과,
    이들 가압수단 끼리의 사이에 위치하는 에어백의 이동을 규제하여 귀부를 형성하는 방사위치규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을 접는장치.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바깥둘레쪽으로 돌출한 부분을 접은 부분의 바깥둘레쪽으로 감아넣어 접하도록 하는 감아넣는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을 접는장치.
  16. 제 13 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접은 에어백을 이 에어백이 수납되는 커버체에 삽입하는 삽입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을 접는장치.
KR1019970706636A 1996-03-26 1997-03-25 에어백장치,에어백을접는방법및에어백을접는장치 KR1003407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0334 1996-03-26
JP7033496 1996-03-26
JP20078996 1996-07-30
JP200789 1996-07-30
JP32525896 1996-12-05
JP325258 1996-12-05
PCT/JP1997/000900 WO1997035366A1 (fr) 1996-03-21 1997-03-19 Connecte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3232A KR19980703232A (ko) 1998-10-15
KR100340767B1 true KR100340767B1 (ko) 2002-11-13

Family

ID=27300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6636A KR100340767B1 (ko) 1996-03-26 1997-03-25 에어백장치,에어백을접는방법및에어백을접는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829396B1 (ko)
KR (1) KR100340767B1 (ko)
DE (1) DE69731922T2 (ko)
WO (1) WO19970357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522155U1 (de) * 1995-09-12 2000-04-20 Petri Ag Vorrichtung zur Faltung eines Gassackes für ein Airbagmodul
DE19546232B4 (de) 1995-09-22 2004-05-19 Takata-Petri Ag Vorrichtung zur Faltung eines Gassackes für ein Airbagmodul
WO1997028024A1 (de) 1996-01-29 1997-08-07 Petri Ag Gassack für ein airbagmodul und verfahren zur faltung des gassackes
WO1997045296A1 (de) 1996-05-28 1997-12-04 Petri Ag Gassack, verfahren zu dessen faltung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DE19702799C2 (de) 1996-05-28 2000-06-08 Petri Ag Gassack, Verfahren zu dessen Faltung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DE19946480A1 (de) * 1999-09-28 2001-03-29 Takata Europ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Zusammenfalten eines aufblasbaren Luftsacks
JP4947761B2 (ja) 2005-10-21 2012-06-06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の折畳方法
JP5005234B2 (ja) * 2006-02-28 2012-08-22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の折畳方法
JP4822477B2 (ja) * 2007-01-09 2011-11-24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の折畳方法、エアバッグの折畳装置及びエアバッグ
DE102008052801B4 (de) * 2008-10-15 2014-12-18 TAKATA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Falten eines Gassacks eines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s
DE102013016054B4 (de) * 2013-09-27 2020-06-25 Autoliv Development Ab Verfahren zum Zusammenlegen eines Airbag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73935A (ko) * 1971-12-30 1973-10-05
JPS5125227A (en) * 1974-08-27 1976-03-01 Kohkoku Chem Ind Eaabatsuguno shunonotameno oritatamihoho
DE3544704A1 (de) * 1985-12-18 1987-06-25 Daimler Benz Ag Aufprallschutzeinrichtung fuer die insassen eines kraftfahrzeuges
JPH0667710B2 (ja) * 1989-08-25 1994-08-31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ツグのストラツプ検知装置
DE4422276C2 (de) * 1993-06-17 1996-07-11 Petri Ag Gassack, Verfahren zu seiner Faltung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Faltverfahrens
DE19502744C1 (de) * 1995-01-18 1996-03-21 Petri Ag Niederlassung Berlin Gassack für einen Airbagmodul und Verfahren zur Faltung des Gassack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29396B1 (en) 2004-12-15
JP3725554B2 (ja) 2005-12-14
DE69731922T2 (de) 2006-01-05
DE69731922D1 (de) 2005-01-20
EP0829396A4 (en) 1999-06-16
KR19980703232A (ko) 1998-10-15
WO1997035745A1 (fr) 1997-10-02
EP0829396A1 (en) 1998-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95012B2 (ja) 車輛のドライバーを拘束するための装置を備えたハンドルユニット
CN101193776B (zh) 安全气囊装置
JP3878220B2 (ja) エアバッグ装置
US6102435A (en) Vehicle headliner with inflatable side curtain
KR100340767B1 (ko) 에어백장치,에어백을접는방법및에어백을접는장치
US8015906B2 (en) Actuator with actuating pin
EP0787673B1 (en) Folded air bag and air bag folding method
CN101193775B (zh) 安全气囊装置的装配方法和安全气囊装置
CN101203407B (zh) 安全气囊装置
KR101301137B1 (ko) 에어백의 포개 접는 장치 및 포개 접는 방법
US20010028165A1 (en) Air bag and air bag apparatus
US6224100B1 (en) Air bag apparatus, air bag folding method, and air-bag folding device
US6595548B2 (en) Air bag system, method of folding air bag and air bag folding apparatus
JP3451197B2 (ja) エアバッグ装置の組立装置
US20040124613A1 (en) Air bag assembly with door support
JP3451198B2 (ja) エアバッグの折畳装置
JP3725554B6 (ja) エアバッグ装置、エアバッグの折畳方法、およびエアバッグの折畳装置
JP3451196B2 (ja) エアバッグの折畳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7192617B2 (ja) エアバッグ
JP7207091B2 (ja) エアバッグ
JPH10264754A (ja) エアバッグ装置
JPH09301103A (ja) エアバッグの折畳方法
JP3439349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H1159307A (ja) エアバッグの折畳方法およびエアバッグの折畳装置
JPH0752738A (ja) ベースプレートとエアバッグカバーの連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