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9122B1 - 내연기관의기통유입공기량검출방법과장치및그방법과장치를사용하는내연기관의연료제어방법과장치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의기통유입공기량검출방법과장치및그방법과장치를사용하는내연기관의연료제어방법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9122B1
KR100339122B1 KR1019950009285A KR19950009285A KR100339122B1 KR 100339122 B1 KR100339122 B1 KR 100339122B1 KR 1019950009285 A KR1019950009285 A KR 1019950009285A KR 19950009285 A KR19950009285 A KR 19950009285A KR 100339122 B1 KR100339122 B1 KR 100339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nal combustion
combustion engine
intake pipe
throttle
pip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9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3015A (ko
Inventor
아사노세이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950033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3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9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91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8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by measuring intake air flow
    • F02D41/18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by measuring intake air flow for the control of a fuel injection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2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low pressure typ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68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thermal eff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9/00Measuring volume flow relative to another variable, e.g. of liquid fuel for an engine
    • G01F9/001Measuring volume flow relative to another variable, e.g. of liquid fuel for an engine with electric, electro-mechanic or 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9/00Measuring volume flow relative to another variable, e.g. of liquid fuel for an engine
    • G01F9/02Measuring volume flow relative to another variable, e.g. of liquid fuel for an engine wherein the other variable is the speed of a vehicle
    • G01F9/023Measuring volume flow relative to another variable, e.g. of liquid fuel for an engine wherein the other variable is the speed of a vehicle with electric, electro-mechanic or electron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04Engine intake system parameters
    • F02D2200/0402Engine intake system parameters the parameter being determined by using a model of the engine intake or its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내연기관의 기통유입공기량 검출방법과 장치로서, 내연기관의 회전수가 결정되고 내연기관의 흡기관압력이 결정되며, 회전수와 흡기관압력에 기초하여 내연기관의 기통에 유입하는 공기량(Qc)을 일차선형식 Qc=α ·P+β으로부터 계산하여 구한다. 여기서 α는 일차선 형식의 기울기를 나타내는 계수로 회전수에 따라 정해지고, β는 일차선 형식의 오프셋값을 나타내는 계수로 회전수에 따라 정해지며, P는 흡기관압력의 값이다. 내연기관의 연료제어방법과 제어장치는 상기 방법에 의하여 결정한 기통유입공기량에 따른 연료유량신호를 생성하고, 연료유량신호에 따른 유량의 연료를 내연기관에 공급한다.

Description

내연기관의 기통유입공기량 검출방법과 장치 및, 그 방법과 장치를 사용하는 내연기관의 연료제어방법과 장치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기통유입공기량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및 그기통유입공기량 검출방법을 이용하는 내연기관의 연료제어방법과 연료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내연기관의 흡기통로에 들어가는 공기량과 실제로 기통에 흡입되는 공기량과는 일치하지 않음이 알려져 있다. 그래서 정확한 공연비제어를 위해서는 내연기관에 대한 공급연료유량은, 실제로 기통에 유입되는 공기량의 값에 따라 정해야 한다.
기관의 회전수값과 흡기관내의 부압치(負壓値)로부터 정해지는 다수의 운전영역에 있어서의 보정치의 2차원맵이 준비되고, 각 운전영역의 흡기유량의 충전효율(charging efficiency)을 맵으로부터 읽은 보정치로 보정하고, 보정된 흡입공기 유량에 의하여 기본 연료분사량을 결정하도록 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예들들면 일본국에 출원된 특허출원의 공개공보인 JP-A-58-41230호에 개시된 발명에 있어서는, 기관의 회전수 값과 흡기관내의 부압치로부터 흡입공기량을 결정하고, 흡입공기량에 따라 연료분사량이 결정된다. 또, 기관의 용적효율(volumetric efficiency)을 흡기관부압치에 따른 보정치와 회전수에 따른 보정치와의 곱으로 보정하는 것이 나타나 있다.
또, 일본국에 출원된 특허출원의 공개공보인 JP-A-5-240104호에 개시된 발명에 있어서는, 흡기관압력의 추정치와 엔진회전수로부터 기통유입공기량을 계산에 의하여 구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내연기관의 연료분사장치에 있어서는, 기관의 용적효율의 보정치를 부압과 기관의 회전수의 축으로 기억시키기 때문에 메모리의 기억용량이 커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열식공기유량계로 검출한 내연기관의 흡입공기량으로부터 흡기관압력을 추정하고, 그 추정된 압력을 근거로 하여 흡입공기량을 계산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흡기관압력이 대기압에 근접한 경우에 있어서의 유량계출력치의 급등현상에 의한 오차의 영향이 고려되지 않아, 정확한 기통유입공기량을 구할 수가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맵에 나타난 각 운전영역의 보정으로부터, 맵에는 나타나 있지 않은 운전영역의 보정치를 구하기 위해서는 보간법(補間法)을 이용한다. 그 경우, 두개의 다른 운전영역간에서 구할 수 있는 운전영역은, 드문드문한 불연속의 영역으로 되기 때문에, 보간에 의하여 구한 보정치에는 오차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의 하나는 내연기관의 연료제어나 흡입공기량 검출장치에 사용되는 메모리의 용량을 감소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식공기유량계를 사용한 경우에, 그 출력특성의 영향에 의한 오차를 회피하는 일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연기관의 정확한 기통흡입공기량의 검출방법과 검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확한 연료유량을 결정할 수 있는 내연기관의 연료제어방법과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내연기관의 드로틀통과공기량을 검출하고, 드로틀통과공기량으로부터 추정된 흡기관압력과 내연기관의 회전수에 의하여 기통으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1차선 형식에 의하여 계산하여 구한다. 이 때, 추정된 흡기관압력을 기초로 드로틀통과공기량을 보정한다. 또는, 검출된 흡기관압력과 내연기관의 회전수에 의하여 기통으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일차선 형식에 의하여 계산하여 구한다. 이와 같이 내연기관의 흡기관압력과 회전수로부터 선형계산하기 때문에 계산에 필요한 정수는 일차선 형식의 기울기와 오프셋(offset)으로 되어, 2차원 맵의 경우에 비하여 메모리의 기억용량이 약간 작아진다. 또, 추정된 흡기관압력으로 드로틀통과공기량을 보정하기 때문에 열식공기유량계의 급등출력특성을 보정할 수가 있다.
이하,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계되는 제어블록도의 일례이고,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연료제어시스템의 전체구성도의 일례이다.
먼저 제2도에 있어서 내연기관(200)의 흡기계에는 내면기관(200)이 흡입하는 공기량을 조정하는 흡기관 드로틀밸브(209)의 개방도를 검출하는 흡기관 드로틀밸브개방도센서(203)가 설치되어 있다. 이 흡기관드로틀밸브개방도센서(203)의 상류에는, 흡입하는 공기량의 질량유량을 계측하는 열식공기유량계(이하, H/W(핫와이어)센서라고 한다)(202)가 설치되어 있다. 또, 서지탱크(210)에는 흡기관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센서(204)가 설치되어 있다.
내연기관(200)의 각 기통에 접속하는 각 흡기포트에는 내연기관이 요구하는 연료를 분사하는 연료분사밸브(205)가 설치되어 있다. 또, 각 기통의 상단에는 기통에 유입된 혼합기에 점화하는 점화마개(20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내연기관의 출력축 근방에는 내연기관의 크랭크각도를 검출하는 크랭크각도센서(207)가 설치되어 있다.
또, 내연기관(200)의 배기관에는 배기가스중의 산소농도를 검출하는 산소농도센서(이하, O2센서라고 한다)(20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술의 각 센서로부터의 신호로부터 내연기관(200)의 운전상태가 검지되고, 이들의 신호가 기억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순서로 계산처리하는 동시에, 그 데이터처리동작에 따라 상기 연료분사밸브(205)등의 액츄에이터등을 제어구동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내연기관의 제어장치(201)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1도에 있어서, 먼저 블록(101∼110)으로 구성되는 연료기관의 흡입공기유량 검출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시예의 제어블록에는 내연기관(200)의 크랭크각도센서(207)로부터 검출된 엔진회전수, 및 배기가스중의 산소농도를 검출하는 O2센서(208)의 출력이 블록(107)에 입력되어 있다. 블록(101)은 드로틀(209)을 통과하는 내연기관(200)의 흡입공기유량을 검출하는 드로틀통과공기량 검출장치(예를들면 상기 H/W센서(202))이다. 블록(102)은 상기 블록(101)에서 검출된 드로틀통과공기량을 보정하는 드로틀통과 공기량 보정유닛이다. 블록(103)은 드로틀통과공기량과 후술하는 기통유입공기량으로부터 흡기관압력을 추정하는 흡기관압력 추정유닛이다. 블록(104)은 블록(103)에서 추정된 흡기관압력 추정치와 엔진회전수로부터 기통유입공기량을 계산하는 기통유입공기량 계산유닛이다. 블록(105)은 블록(103)에서 추정된 흡기관압력 추정치와 엔진회전수로부터 드로틀통과공기량 보정치를 계산하는 드로틀통과 공기량 보정치 계산유닛이다.
다음으로 제1도에 있어서 블록(106∼110)으로 구성되는 연료계제어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블록(106)은 블록(104)에서 계산된 기통유입공기량과 엔진회전수로부터 내연기관이 요구하는 분사연료량을 계산하는 분사연료량 계산유닛이다. 블록(107)은 O2센서(208)의 출력으로부터 혼합기의 공연비를 이론공연비로 유지하기 위한 공연비귀환 보정계수를 계산하는 공연비 기관 제어유닛이다. 또, 블록(109)은 상기 블록(106)에서 계산된 분사연료량을 블록(107)에서 구해진 공연비 귀환 보정계수로 보정하는 분사연료량 보정유닛이다. 여기서 보정된 분사연료량은 블록(110)의 연료분사수단에 전기적인 신호등으로 전해지도록 되어 있다.
제3도는 제1도의 제어블록도에 대응한 상기 내연기관 제어장치(201)에 있어서의 제어의 일반적인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것이다. 스텝(B101)에서 드로틀통과공기량과 엔진회전수를 검출한다. 스텝(B102)에서는 상기 드로틀통과공기량의 보정을 행한다. 스텝(B103)에서는 흡기관내의 압력을 추정한다. 스텝(B104)에서 기통유입공기량을 계산한다. 스텝(B105)에서는 드로틀통과 공기량의 보정치를 계산한다. 다음으로 스텝(B106, B107, B109)에 있어서 상기 기통유입공기량으로 연료분사량을 계산하고, 공연비 귀환 제어량의 보정을 가한다.
제4도는 상술한 내연기관 제어장치(201)내부의 회로블록도이다. 제2도에 나타낸 각종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하는 동시에, 소신호(트랜지스터TT레벨)를 액츄에이터구동용의 대전압신호로 변환하는 드라이버회로(G2011), 입출력신호를 디지탈 연산처리를 행할 수 있도록 아날로그디지탈신호 변환을 행하는 입출력회로(인터페이스회로)(G2012), 디지탈연산처리를 행하는 마이크로컴퓨터, 또는 그것에 준하는 연산회로를 보유하는 연산회로(CPU)(G2013), 연산회로(G2013)의 연산처리에 이용하는 정수, 변수, 데이터맵, 데이터테이블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비휘발성의 ROM(G2014) 및 휘발성의 RAM(G2015)의 두종류의 메모리, 및 휘발성의 RAM(G2015)에 대한 공급전압(Vcc)을 백업하여 RAM(G2015)의 내용을 유지하는 Vcc백업회로(G2016)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입력신호로서 O2센서, 압력센서, 드로틀개방도센서, 크랭크각도센서, H/W센서의 신호를 입력하고, 점화신호, 연료분사신호가 출력되고 있다.
제5도는 제1도의 드로틀통과공기량 검출유닛(101)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낸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드로틀통과공기유량을 H/W센서(202)로 계측하는 것이다. 내연기관(200)의 흡기관에 설치된 H/W센서(G1011)의 전압신호는 저항기(G1012), 콘덴서(G1013)로 구성되는 필터회로에서 전기적노이즈가 제거되도록 되어 있다. 노이즈가 제거된 유량계 출력전압신호는 내연기관제어장치(201)내의 블록(G1014)에서 전압-유량신호(V-Q)변환을 행하여 드로틀통과공기량(Q)이 구해진다. 블록(G1014)에서의 전압-유량신호변환은 제5도의 V-Q특성이 나타난 맵을 참조하여도 좋고, V-Q 특성을 대표하는 계산식으로 계산하여도 구할 수도 있다.
제6도에 제5도의 드로틀통과공기량 검출동작을 컴퓨터에 의하여 실시하는 플로우챠트를 나타낸다. 스텝(B1011)에서 공기유량계(202)의 출력전압(V)을 읽는다. 스텝(B1012)에서 전압(V)을 유량신호(Q)로 변환한다.
제7도는 제1도의 드로틀통과공기량 검출수단(101)의 다른 구체예를 나타낸 것이다. 블록(G1016)에서는 내연기관 흡기관의 드로틀밸브(209)에 설치된 드로틀밸브개방도센서(203)의 전기적신호(TVO)와 내연기관 회전수(N)로부터 드로틀통과공기량(Q)을 맵검색한다. 제8도에 제7도의 드로틀통과공기량 검출의 플로우챠트를 나타낸다. 스텝(B1013)에서 드로틀개방도(TVO)를 읽는다. 스텝(B1014)에서 엔진 회전수(N)를 읽는다. 스텝(B1015)에서 맵(G1016)을 검색하고 N과 TVO값으로 정해지는 공기량(Q)을 구한다.
제9도는 제1도의 드로틀통과공기량 보정유닛(102)의 일 구체예를 나타낸 것이다. 블록(G1012)에서 상기 블록(101)에서 구해진 드로틀통과공기량(Q)으로부터 후술하는 드로틀통과공기량 보정치 계산유닛(105)으로 계산된 드로틀통과공기량 보정치를 감산하여 보정한다. 제10도에 제9도의 드로틀통과공기량 보정을 계산하는플로우챠트를 나타낸다. 스텝(B1021)에서 드로틀통과공기량(9)을 읽는다.
스텝(B1022)에서 보정치를 읽는다. 스텝(B1023)에서 드로틀통과공기량으로부터 보정치를 감산한다.
제11도는 제9도와 같이 드로틀통과공기량 보정치를 감산하는 대신에 이것을 곱하도록 하여 보정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12도에 그 플로우챠트를 나타낸다. 스텝(B1024)에서 드로틀통과공기량(Q)을 읽는다. 스텝(B1025)에서 보정치를 읽는다. 스텝(B1026)에서 승산기(G1022)로 드로틀통과공기량(Q)에 보정치를 곱한다.
제13도는 내연기관의 흡기관 시뮬레이션모델의 일례이다. 흡기관(800)내의 상태량으로서 드로틀통과공기량(Qt)(801), 기통에 유입하는 기통유입공기량(Qc)(802), 및 흡기관내압력(P)(803)이 있다. 이들 상태량은 이하의 식1 ∼ 식3의 관계로 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단, R:기체정수, T:흡기온도, M:공기평균분자량
V:흡기관용적, Δt:연산주기
n:1, 2, 3 ‥‥ n(샘플순서)로 한다.
식(1)은 드로틀통과공기량(Qt)과 기통유입공기량(Qc)의 차이분에 비례정수(K1)를 곱한 것이 흡기관 압력구배가 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식 1을 차분식으로 전개한 것이 식(2)이다. 이와 같이 기통유입공기량(Qc)과 흡기관압력[P(n)]은 선형식(일차식 함수)이 된다. 또한, 비례정수(K)는 식3과 같이 된다.
제14도는 내연기관제어장치(201)중 상기한 식2를 구체적으로 계산하는 흡기관압력 추정유닛(103)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G1031에서 드로틀통과공기량(Qt)과 기통유입공기량(Qc)의 차분(Qt-Qc)을 계산한다. G1032에서는 상기 차분에 비례정수(K)를 곱한다. G1033, G1034에서 Qt-Qc에 상기 비례정수(K)를 곱한 현재와 과거의 값을 적산하여 흡기관압력(P)을 계산한다. 또, 이와 같이 계산된 흡기관압력(P)은 압력센서(204)로 계측된 실측치에 대하여 흡기관압력추정치가 된다. 제15도에 제14도의 흡기관압력을 추정하는 동작을 컴퓨터에 의하여 실시하는 플로우챠트를 나타낸다. 스텝(B1031)에서 드로틀통과공기량(Qt)을 읽는다.
스텝(B1032)에서 기통유입공기량(Qc)을 읽는다. 기통유입공기량(Qc)를 구하는 방법은 후에 설명한다. 스텝(B1033)에서 Qt-Qc를 계산한다. 스텝(1034)에서 Qt-Qc에 정수(K)를 곱한다. 스텝(1035)에서 과거와 현재의 (Qt-Qc)K의 값을 더한다.
제16도는 흡기관압력(P)과 기통유입공기량(Qc)의 관계를 소정의 내연기관의 회전수N1~n마다 나타낸 것으로, 실측치데이터를 그대로 그래프화한 것이다. 제16도로부터 알 수 있듯이, 회전수가 일정하면 흡기관압력(P)과 기통유입공기량(Qc)은 비례한다. 단, 본 도면의 예는 H/W센서(202)로 공기유랑(Qc)을 계측하고 있기 때문에, 일정 흡기관압력(Pj)이상에서는 실제로 흡입되는 유량(점선)보다 많은 계측치가 출력되고 있다(이것을 '출력의 급등이 발생한다'라고 한다).
제17도는 제16도의 특성의 직선부분을 Pj이상에서 그대로 연장함으로서 소정의 내연기관의 회전수N1· · · Nm+1, Nm(m=1 2, 3 · · · )의 각각으로 흡기관압력(P)과 기통유입공기량(Qc)의 관계를 근사시키고, 그들 근사한 직선을 하기의 선형식(4)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들 근접식은 제17도로부터 알 수 있듯이, 각 회전수N1~m마다 1차직선으로 나타낼 수가 있다.
첨자인 m은 일정 회전수(Nm)에서의 값을 나타낸다. 식(4)는 일반적으로 Qc=α · P+β으로 나타내고, 기울기(α)에서 오프셋값(β)의 직선으로 기통유입공기량(Qc)이 나타난다.
제18도는 제17도의 식에 따라 내연기관 제어장치(201)가 기통유입공기량을 구체적으로 계산하는 기통유입공기량 계산유닛(104)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블록(G1041)에서는 내연기관(200)의 회전수(N)로부터 기울기(α)를 테이블검색하고, 블록(G1042)에서 기울기(α)를 상기 흡기관압력 추정치에 곱한다. 블록(G1043)에서는 블록(G1041)과 마찬가지로 회전수(N)로부터 오프셋(β)을 테이블검색하고, 블록(G1044)에서 상기한 승산치에 가산하여 기통유입공기량(Qc)을 계산한다. 제19도에 제18도의 기통유입공기량을 계산하는 처리를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하여 실시하는 플로우챠트를 나타낸다. 스텝(B1041)에서 회전수(N)를 읽는다. 스텝(B1042)에서 테이블(G1041)로부터 기울기(α)값을 읽는다. 스텝(B1043)에서 테이블(G1043)로부터 오프셋값(β)을 읽는다. 스텝(G1044)에서 흡기관압력 추정치(P)를 읽는다. 스텝(G1045와 G1046)에서 기통유입공기량(Qc)를 계산한다. 상기 기통유입공기유량 계산유닛(104)은 내연기관(200)의 기통으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선형계산한다.
블록(G1041와 G1043)은 회전수(N)의 값에 대한 기울기(α)와 오프셋(β)의 값을 각각 나타낸 테이블이다. 테이블은 예를들면 ROM (G2014)에 저장된다.
제20도, 제21도는 제17도에 나타낸 일차함수식으로 나타낸 기울기(α), 오프셋(β)과 내연기관의 회전수(N)의 관계를 나타낸 도이다. 제20도, 제21도로부터 알 수 있듯이, 기울기(α), 오프셋(β) 모두 하기의 식(5), 식(6)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내연기관의 회전수(N)에 비례한 1차직선으로 나타낸다. 이와같이 기울기(α)및 오프셋(β)은 내연기관의 회전수(N)가 부여되면 선형일차식에 의하여 구해진다.
여기서 α:기울기, γ:제1의 기울기, δ:제1의 오프셋
β:오프셋, ε:제2의 기울기, ξ:제2의 오프셋으로 한다.
제22도는 식(4), 식(5), 식(6)에 따라 내연기관제어장치(201)가 기통유입공기량을 구체적으로 계산하는 기통유입공기량 계산유닛(104)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블록(G1046)에서 내연기관(200)의 회전수( N)와 제1의 기울기의 값(γ)을 곱한다. 블록(G1048)에서 제1의 오프셋값(δ)을 G1046의 출력에 가산하고, 그 결과를 기통유입공기량(Qc)의 기울기(α)로 한다. 다음으로 블록(G10410)에서 내연기관의 회전수(N)와 제2의 기울기값(ε)을 엔진회전수(N)에 곱한다. 블록(G10412)에서 제2의 오프셋트값(ξ)을 G10410의 출력에 가산하고, 그 결과를 기통유입공기량(Qc)의 오프셋(β)으로 한다. 그리고 블록(G10413)에서는 계산된 기통유입공기량(Qc)의 기울기(α)와 상기 흡기관압력 추정치(P)를 곱한다. 블록(G10414)에서 이 곱한 값(α · P)과 계산된 기통유입공기량(Qc)의 오프셋(β)을 가산하여 기통유입공기량(Qc)을 계산한다. G1045, G1047, G1049, G10411은 각각 γ, δ, ε, ξ의 값을 나타내는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이다. 제23도에 제22도의 기통유입공기량을 계산하는 동작을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하여 처리하는 플로우챠트를 나타낸다.
스텝(B1047)에서 엔진회전수(N)를 읽는다. 스텝(B1048)에 있어서 회전수(N)에 테이블(G1045)로부터 판독한 제1의 기울기값(γ)을 곱한다. 스텝(B1049)에 있어서 γN에 테이블(G1047)로부터 판독한 제1의 오프셋값(δ)을 가산하여 기통유입공기량(Qc)을 나타내는 일차직선의 기울기(α)를 구한다. 스텝(B10410)에 있어서 회전수(N)에 테이블(G4049)로부터 판독한 제2의 기울기값(ε)을 곱한다. 스텝(B10411)에 있어서 εN에 테이블(G10411)로부터 판독한 제2의 오프셋값(ξ)울 가산하여 기통유입공기량(Qc)을 나타내는 일차직선의 오프셋(β)을 구한다. 스텝(B10412)에 있어서 기압간 압력추정치(P)를 읽는다. 스텝(B10413)에 있어서 기압간 압력추정치(P)에 기울기값(α)을 곱한다. 스텝(B10414)에 있어서 αP에 β를가산하여 기통유입공기량(Qc)를 구한다. 이 계산에 필요한 데이터의 메모리영역은 정수인 γ, δ, ε, ξ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이면 된다.
제24도는 제1도의 드로틀통과공기량 보정치 계산유닛(105)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낸다. 블록(G1051)은 흡기관압력치(P)와 회전수(N)에 대한 드로틀통과공기량 보정치(p)의 값을 나타낸 맵을 가진다. 이 맵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다. 제24도에 나타내는 맵에서 p=0의 영역은 HW센서(202)의 출력특성이 선형으로 보정할 필요가 없는 영역, 즉 제16도 특성의 P<Pj의 영역에 대응한다. 동 맵에서 p≠0의 빗금으로 나타낸 영역은 급등특성이 있는 제16도 특성의 P>Pj의 영역에 대응한다. 이 영역에서는 제9도 혹은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HW센서(202)로 측정한 드로틀통과공기량의 값으로부터 맵에 나타난 보정치(p)를 감산한다. 제11도 혹은 제12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HW센서(202)로 측정한 드로틀통과공기량의 값에 맵에 나타난 보정치(p)를 곱함으로써 보정하여도 좋다.
제25도는 제24도의 드로틀통과공기량 보정치(p)를 구하는 처리를 마이크로컴퓨터로 실시하는 경우의 플로우챠트를 나타낸다. 스텝(B1051)에서 회전수(N)를 읽는다. 스텝(B1052)에서 흡기관압력추정치(P)를 읽는다. 스텝(B1053)에서 회전수(N)와 흡기관압력(P)으로부터 맵을 검색하여 보정치(P)를 판독한다.
그런데 제20도와 제21도에 나타낸 기울기(α)와 오프셋(β)의 값은 정확하게는 일차직선이 아니라, 제26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정 회전수(N)의 값으로 변화한다. 따라서 보다 정확한 기통유입공기량을 구하기 위해서는, 이들 α, β의 값을 특정의 회전수에 있어서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α, β의 보정치방법으로서는 제2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정의 회전수영역에서 1이상의 보정치를 α, β에 곱하는 방법이 있다. 또, α, β로부터 보정치를 감산하는 방법을 채용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보정치는 메모리에 저장하여 놓는다. 또한, α, β를 직접보정하는 대신에 γ, δ, ε, ξ의 값을 특정의 회전수에 있어서 보정함으로써 결과적으로 α, β의 값을 회전수에 따라 보정할 수도 있다. 그 경우 보정치의 특성도 제27도와 같은 것으로 된다.
제28도A에 α, β를 제27도의 특성에 따라 보정하는 회로를 나타낸다. 이 회로는 기본적으로는 제22도의 회로와 같다. 단, 블록(G1048)의 출력과 G10412의 출력에는 승산회로(G10415)와 G10417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 G10416와 C10418은 각각 메모리에 저장된 회전수(N)에 따른 보정치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제28B도에 γ, δ, ε, ξ의 값을 제27도의 특성에 따라 보정하는 회로를 나타낸다. 이 회로도 기본적으로는 제22도의 회로와 같다. 단, 블록(G1045, G1047, G1049, G10411)의 출력에 승산회로(G10421과 G10422와 G10423과 G10424)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 G10425와 G10426과 G10427과 G10428은 각각 메모리에 저장된 회전수(N)에 따른 보정치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모두 흡입공기량을 HW에어플로우미터(202)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본 발명은 흡입공기량의 측정을 위한 드로틀통과공기량 검출장치에 다른 형식의 에어플로우미터를 사용하여도 된다. 그 경우에는 출력의 급등현상이 없으므로 제1도의 드로틀통과공기량 보정유닛(102)과 드로틀통과공기량 보정계산유닛(105)은 불필요하게 된다.
또, 흡기관압력을 계산에 의하여 추정하는 대신에 압력센서(204)를 사용하여 흡기관압력을 실측하고, 기통유입공기량의 계산에 실측한 흡기관압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드로틀통과공기량 검출장치(101)와, 드로틀통과공기량 보정 유닛(102)과, 드로틀통과공기량 보정계산유닛(103)은 불필요하게 된다. 제29도에 본 발명의 연료제어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제1도와 같은 참조번호의 블록은 동일 기능블록을 나타낸다. 흡기관압력측정장치(111)는 서지탱크(210)에 설치한 흡기관내의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이다. 압력센서(210)의 출력치에 따른 신호가 기통유입공기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흡기관압력추정치의 대신으로 이용된다. 다른 블록의 동작은 제1도와 같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제30도는 제29도의 실시예의 처리를 마이크로컴퓨터로 실시하는 경우의 플로우챠트를 나타낸다. 제30도에 있어서 제3도와 동일 참조번호의 스텝은 동일 처리를 행한다. 스텝(B111)에 있어서 압력센서(202)의 출력의 처리가 행하여져 흡기관압력치가 결정된다. 다른 스텝은 제3도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하였는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일탈하지 않는 다양한 설계변경을 행할 수가 있다.
예를들면 제3도의 실시예에서는 디지탈연산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나, 아날로그연산장치로 구성되어도 된다.
또, 제9도의 도시예에서는 드로틀통과공기량 보정치계산수단으로 계산된 드로틀통과공기량 보정치를 감산하여 보정하고 있는데, 가산에 의하여 보정하는 것도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내연기관의 기억용량을 감소시킬 수가 있고, 또 열식공기유량계의 급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정확한 기통유입공기량을 구할 수가 있다.
제 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연료제어장치의 일실시예에 관계되는 블록도.
제 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내연기관 주변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
제 3도는 제1도의 블록도에 대응한 본 발명의 내연기관의 연료제어장치에 있어서의 제어의 일반적인 플로우챠트.
제 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내연기관 제어장치의 내부블록도.
제 5도는 제1도의 드로틀통과공기량 검출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제 6도는 제5도 장치의 동작의 플로우챠트의 일례.
제 7도는 제1도의 드로틀통과공기량 검출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
제 8도는 제7도 장치의 동작의 플로우챠트의 일례.
제 9도는 제1도의 드로틀통과공기량 보정유닛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제 10도는 제9도 유닛의 동작플로우챠트의 일례.
제 11도는 제1도의 드로틀통과공기량 보정유닛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
제 12도는 제11도 유닛의 동작플로우챠트의 일례.
제 13도는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내연기관의 흡기관모델도.
제 14도는 제1도의 내연기관 제어장치에 있어서의 흡기관압력 추정유닛의 블록도.
제 15도는 제14도 유닛의 동작플로우챠트의 일례.
제 16도는 내연기관의 소정의 회전수마다 흡기관압력, 기통유입공기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
제 17도는 내연기관의 소정의 회전수마다 흡기관압력, 기통유입공기량의 관계를 나타낸 도.
제 18도는 제1도의 내연기관 제어장치에 있어서의 기통유입공기량을 계산하는 기통유입공기량 계산유닛의 제어블록도.
제 19도는 제18도 유닛의 동작플로우챠트의 일례.
제 20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내연기관의 회전수와 기통유입공기량의 1차곡선의 기울기와의 관계를 나타낸 도.
제 21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내연기관의 회전수와 기통유입공기량의 1차곡선의 오프셋과의 관계를 나타낸 도.
제 22도는 제1도의 기통유입공기량 계산유닛의 다른 예의 블록도.
제 23도는 제22도 유닛의 동작플로우챠트.
제 24도는 드로틀통과공기량 보정치 계산유닛의 블록도.
제 25도는 제24도 유닛의 동작플로우챠트.
제 26도는 엔진회전수에 대한 계수(α와 β)의 값의 특성을 나타내는 도.
제 27도는 회전수에 대한 계수(α와 β)의 보정치를 나타내는 도.
제 28A도와 제28B도는 제1도의 기통유입공기량 계산유닛의 다른 실시예의 블록도.
제 29도는 본 발명의 연료제어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블록도.
제 30도는 제29도의 실시예의 동작플로우챠트.

Claims (27)

  1. 내연기관의 기통유입공기량 검출방법에 있어서,
    내연기관의 회전수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내연기관의 흡기관압력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회전수와 상기 흡기관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내연기관의 기통에 유입하는 공기량(Qc)을 하기의 일차선형식에 의하여 계산하여 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여기서 α는 일차선형식의 기울기를 나타내는 계수로 상기 회전수에 따라 정해지고, β는 일차선형식의 오프셋치를 나타내는 계수로 상기 회전수에 따라 정해지며, P는 흡기관압력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기통유입공기량 검출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α와 β의 값은 기억장치에 저장된 회전수에 대한 α와 β의 값을 나타낸 맵을 참조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기통유입공기량 검출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α와 β의 값은 이하의 일차선형식에 의하여 계산하여 구하고,
    여기서 γ와 ε는 각각 일차선형식의 기울기를 나타내는 계수로 상기 회전수에 따라 정해지고, δ와 ξ는 각각 일차선형식의 오프셋값을 나타내는 계수로 상기 회전수에 따라 정해지며, N은 회전수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기통유입공기량검출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α와 β의 값을 각각 회전수의 값에 따른 보정계수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기통유입공기량 검출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γ와 ε와 δ와 ξ의 값을 각각 회전수의 값에 따른 조정계수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기통유입공기량 검출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연기관의 드로틀을 통과하는 공기유량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드로틀공기유량에 기초하여 상기 흡기관압력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기통유입공기량 검출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내연기관의 드로틀을 통과하는 공기유량은 열식공기유량계를 사용하여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기통유입공기량 검출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내연기관의 드로틀을 통과하는 공기유량을 상기 회전수와 상기 흡기관압력에 따른 보정계수로 보정하는 단계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기통유입공기량 검출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계수는 상기 기억장치에 저장된 회전수와 흡기관압력에 대한 상기 보정계수를 나타낸 맵을 참조하여 결정하고, 상기 보정계수를 측정한 드로틀통과공기유량의 값에 가산함으로써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기통유입공기량의 검출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계수는 기억장치에 저장된 회전수와 흡기관압력에 대한 상기 보정계수를 나타낸 맵을 참조하여 결정하고, 상기 보정계수를 측정한 드로틀통과공기유량의 값에 곱함으로써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기통유입공기량의검출방법.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내연기관의 드로틀을 통과하는 공기유량은 상기 드로틀의 개방도와 상기 회전수에 대한 드로틀통과공기유량을 나타낸 맵을 참조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기통유입공기량의 검출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관압력은 상기 내연기관의 흡기관에 설치한 압력센서에 의하여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기통유입공기량의 검출방법.
  13.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관압력을 상기 드로틀통과공기유량과 추정한 상기 기통유입공기량과의 차이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기통유입공기량의 검출방법.
  14. 내연기관의 연료제어방법에 있어서,
    내연기관의 회전수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내연기관의 흡기관압력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회전수와 상기 흡기관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내연기관의 기통에 유입하는 공기량(Qc)를 하기의 일차선형식에 의하여 계산하여 구하는 단계와,
    여기서 α는 일차선형식의 기울기를 나타내는 계수로 상기 회전수에 따라 정해지고, β는 일차선형식의 오프셋값을 나타내는 계수로 상기 회전수에 따라 정해지며, P는 흡기관압력의 값이며;
    상기 추정한 기통유입공기량에 따른 연료유량신호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연료유량신호에 따른 유량의 연료를 상기 내연기관에 공급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연료제어방법.
  15. 내연기관의 기통유입공기량 검출장치에 있어서,
    내연기관의 회전수를 결정하는 수단과;
    상기 내연기관의 흡기관압력을 결정하는 수단과;
    상기 회전수와 상기 흡기관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내연기관의 기통에 유입하는 공기량(Qc)를 하기의 일차선형식에 의하여 계산하여 구하는 계산수단을 포함하고,
    여기서 α는 일차선형식의 기울기를 나타내는 계수로 상기 회전수에 따라 정해지고, β는 일차선형식의 오프셋값을 나타내는 계수로 상기 회전수에 따라 정해 지며, P는 흡기관압력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기통유입공기유량 검출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기억장치를 가지고, 상기 기억장치는 기억장치에 저장된 회전수(N)에 대한 상기 α와 β의 값을 나타낸 맵을 저장하고 있고, 상기 계산수단은 상기 α와 β의 값을 상기 맵을 참조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기통유입공기유량 검출장치.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수단은 상기 α와 β의 값을 이하의 일차선형식에 의하여 계산하여 구하고,
    여기서 γ과 ε는 각각 일차선 형식의 기울기를 나타내는 계수로 상기 회전수에 따라 정해지고, δ와 ξ은 각각 일차선 형식의 오프셋값을 나타내는 계수로 상기 회전수에 따라 정해지며, N은 회전수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기통유입공기량 검출장치.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수단은 상기 α와 β의 값을 각각 회전수의 값에 따른 보정계수로 보정하는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기통유입공기량 검출장치.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산수단은 상기 γ과 ε와 δ와 ξ의 값을 각각 회전수의 값에 따른 보정계수로 보정하는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기통유입공기량 검출장치.
  20.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내연기관의 드로틀을 통과하는 공기유량을 측정하는 열식공기유량계를 가지고, 상기 흡기관압력을 결정하는 수단은 상기 드로틀공기유량에 기초하여 상기 흡기관압력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기통유입공기량 검출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내연기관의 드로틀을 통과하는 공기유량을 상기 회전수와 상기 흡기관압력에 따른 보정계수로 보정하는 수단을 더욱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기통유입공기량 검출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기억장치를 가지고, 상기 기억장치는 회전수와 흡기관압력에 대한 상기 보정계수를 나타낸 맵을 저장하고 있고, 상기 보정하는 수단은 회전수와 흡기관압력의 값이 부여되면 상기 맵을 참조하여 상기 보정계수를 결정하고, 상기 보정계수를 측정한 드로틀통과공기유량의 값에 가산함으로써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기통유입공기량 검출장치.
  23. 제 21항에 있어서,
    기억장치를 가지고, 상기 기억장치는 회전수와 흡기관압력에 대한 상기 보정 계수를 나타낸 맵을 저장하고 있고, 상기 보정하는 수단은 회전수와 흡기관압력의 값이 부여되면 상기 맵을 참조하여 상기 보정계수를 결정하고, 상기 보정계수를 측정한 드로틀통과공기유량의 값에 승산함으로써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기통유입공기량 검출장치.
  24.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내연기관의 드로틀을 통과하는 공기유량을 측정하는 수단과, 상기 드로틀공기유량에 기초하여 상기 흡기관압력을 추정하는 수단을 가지고, 상기 드로틀을 통과하는 공기유량을 측정하는 수단은 상기 드로틀의 개방도를 검출하는 드로틀센서와 기억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기억장치는 상기 회전수에 대한 드로틀통과공기유량을 나타낸 맵을 저장하고 있고, 상기 드로틀통과공기유량을 측정하는 수단은 드로틀개방도와 상기 회전수의 값이 부여되면 상기 맵을 참조하여 상기 드로틀통과공기유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기통유입공기량 검출장치.
  25.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내연기관의 흡기관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기통유입공기량 검출장치.
  26. 제 24항 또는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관압력을 결정하는 수단은 상기 드로틀통과공기량을 추정한 상기 기통유입공기량과의 차이에 의거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기통유입공기량 검출장치.
  27. 내연기관의 연료제어장치에 있어서,
    내연기관의 회전수를 결정하는 수단과;
    상기 내연기관의 흡기관압력을 결정하는 수단과;
    상기 회전수와 상기 흡기관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내연기관의 기통에 유입하는 공기량(Qc)을 하기의 일차선형식에 의하여 계산하여 구하는 계산수단과,
    여기서 α는 일차선형식의 기울기를 나타내는 계수로 상기 회전수에 따라 정해지고, β는 일차선 형식의 오프셋값을 나타내는 계수로 상기 회전수에 따라 정해지며, P는 흡기관압력의 값이고;
    상기 추정한 기통유입공기량에 따른 연료유량신호를 결정하는 수단과;
    상기 연료유량신호에 따른 유량의 연료를 상기 내연기관에 공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연료제어장치.
KR1019950009285A 1994-04-20 1995-04-20 내연기관의기통유입공기량검출방법과장치및그방법과장치를사용하는내연기관의연료제어방법과장치 KR1003391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081330 1994-04-20
JP6081330A JPH07293297A (ja) 1994-04-20 1994-04-20 内燃機関の燃料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それを用いた車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015A KR950033015A (ko) 1995-12-22
KR100339122B1 true KR100339122B1 (ko) 2002-10-11

Family

ID=13743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9285A KR100339122B1 (ko) 1994-04-20 1995-04-20 내연기관의기통유입공기량검출방법과장치및그방법과장치를사용하는내연기관의연료제어방법과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555870A (ko)
JP (1) JPH07293297A (ko)
KR (1) KR100339122B1 (ko)
DE (1) DE19514423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17676B4 (de) * 1995-05-13 2008-01-31 Robert Bosch Gmbh Drucksensor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mit einem Ansaugrohr
JP3594147B2 (ja) * 1995-10-31 2004-11-24 ヤマハマリン株式会社 船舶推進機のエンジン制御装置
DE19819445A1 (de) * 1998-04-30 1999-11-04 Volkswagen Ag Verfahren zur Bestimmung von Kennfelddaten zur Kennfeldsteuerung eines Verbrennungsmotors sowie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Verbrennungsmotors
US6089082A (en) * 1998-12-07 2000-07-18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Air estimation system and method
JP3760757B2 (ja) * 2000-11-08 2006-03-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吸入空気量算出装置及び吸気圧算出装置
US6636796B2 (en) * 2001-01-25 2003-10-21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engine air-charge estimation
FR2837923B1 (fr) * 2002-03-27 2004-06-18 Siemens Vdo Automotive Procede et calculateur pour determiner un reglage de bon fonctionnement d'un moteur a combustion interne
US6851304B2 (en) * 2003-01-28 2005-02-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ir estimation approach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ntrol
JP2004324426A (ja) * 2003-04-21 2004-11-18 Keihin Corp 内燃機関の吸気装置及び制御装置
JP2009150345A (ja) * 2007-12-21 2009-07-09 Hitachi Ltd 内燃機関の制御装置
DE102010027213A1 (de) 2010-07-15 2012-01-19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und Steuergerät zum Steuern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2010027214B4 (de) * 2010-07-15 2013-09-05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und Steuergerät zum Steuern einer Brennkraftmaschine
CN113279869B (zh) * 2020-02-19 2022-12-09 北京福田康明斯发动机有限公司 一种在车辆上修正发动机进气流量传感器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1230A (ja) * 1981-09-03 1983-03-10 Mitsubishi Electric Corp 内燃機関燃料噴射装置
JP2810039B2 (ja) * 1987-04-08 1998-10-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フィードフォワード型燃料供給方法
JPH0240054A (ja) * 1988-07-29 1990-02-08 Fuji Heavy Ind Ltd 車両用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装置
US4999781A (en) * 1989-07-17 1991-03-12 General Motors Corporation Closed loop mass airflow determination via throttle position
US4995258A (en) * 1990-04-26 1991-02-26 General Motors Corporation Method for determining air mass in a crankcase scavenged two-stroke engine
JP2693884B2 (ja) * 1991-07-31 1997-12-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内燃機関制御装置
JP2749226B2 (ja) * 1992-02-28 1998-05-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内燃機関の流入空気量検出装置及びこれを利用した燃料噴射量制御装置
DE4325902C2 (de) * 1993-08-02 1999-12-02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Berechnung der Luftfüllung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mit variabler Gaswechselsteuer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555870A (en) 1996-09-17
DE19514423C2 (de) 1999-04-01
KR950033015A (ko) 1995-12-22
DE19514423A1 (de) 1995-10-26
JPH07293297A (ja) 1995-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9122B1 (ko) 내연기관의기통유입공기량검출방법과장치및그방법과장치를사용하는내연기관의연료제어방법과장치
US6609058B1 (en) System and method for air flow and EGR flow estimation
JP2972217B2 (ja) エンジン制御方法
US4582031A (en) Electronic control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960000439B1 (ko) Ic 엔진 연료 분사용 자동 제어 시스템
KR910006558B1 (ko) 내연기관의 전자 제어 장치
US11274621B2 (en) Air flow measurement device
JP2901613B2 (ja) 自動車用エンジンの燃料噴射制御装置
US5889203A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load signal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having external exhaust-gas recirculation
JP2749226B2 (ja) 内燃機関の流入空気量検出装置及びこれを利用した燃料噴射量制御装置
JP2908924B2 (ja) エンジンの流入空気量検出方法、この方法を実行する装置、この装置を備えた燃料噴射量制御装置
CN108699980B (zh) 内燃机控制装置
JPS6214705B2 (ko)
JP3041025B2 (ja) 内燃機関制御装置
JPH09158762A (ja) 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2623732B2 (ja) 内燃機関の吸入空気量予測装置
JP2595148B2 (ja) 内燃機関制御装置
JP2847454B2 (ja) 内燃機関における空燃比検出装置
JP2551523B2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JPH04187842A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量制御装置
JPS6257931B2 (ko)
US5727526A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load signal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8326593A (ja) エンジンの空燃比制御装置、及び、該エンジン搭載の車両
JP2615773B2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量制御装置
JP3974209B2 (ja) 測定エラー補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