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8907B1 - 저압주조장치 - Google Patents

저압주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8907B1
KR100338907B1 KR1019950006017A KR19950006017A KR100338907B1 KR 100338907 B1 KR100338907 B1 KR 100338907B1 KR 1019950006017 A KR1019950006017 A KR 1019950006017A KR 19950006017 A KR19950006017 A KR 19950006017A KR 100338907 B1 KR100338907 B1 KR 100338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ten metal
supply pipe
mold
metal supply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6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1323A (ko
Inventor
마쯔바야시노부유키
도미야고우지
Original Assignee
마쯔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50031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1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8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89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8/00Pressure casting; Vacuum casting
    • B22D18/04Low pressure casting, i.e. making use of pressures up to a few bars to fill the mou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Abstract

(목적) 용탕공급관을 유지로에 대하여 비고정상태로 지지하여 용탕공급관의 착탈을 쉽게한 저압주조장치를 제공한다.
(구성) 상형(9)와 하형(10)을 갖는 주형(8), 하형(10)을 고정하기 위한 하형플라펜(12), 주형(8)에 대해 옵셋하여 배치되어 주형(8)의 캐비티에 공급하는 용탕을 수용하는 유지로(3), 이 유지로(3)측을 개방단으로 하여 하형플라텐(12)에 형성된 절결부(12a), 유지로(3)에서 절결부(12a)내를 통하여 경사윗쪽으로 연장된 유지로(3)과 캐버티와를 연통하는 용탕공급관(7)을 비치하고 상기 용탕공급관(7)은 지지대(16)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유지로(3)과 주형(8)과의 사이를 접속하도록 구성되어서, 상기 지지대(16)에 용탕공급관(7)을 유지로(3)측으로 밀어이동시켜 용탕공급관(7)의 유지로(3)측의 끝부분을 유지로(3)에 접속하는 밀어부착시킴 기구가 설치된다.

Description

저압 주조 장치
본 발명은 저압 주조 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유지로내에 수용되어 있던 용탕을 가압하여, 용탕 공급관을 통해 주형의 캐비티로 압상시켜 공급하는 저압 주조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저압 주조 장치에서는, 유지로가 주형의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있어, 용탕 공급관이 유지로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주형의 위치가 높아져, 주조 제품의 인출 높이에 제약이 있는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고, 또한 주형 하부방향의 공간을 사용하지 못하는 불리함도 있었다.
그래서, 본 출원인은 먼저 일본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 1990-45061 호 명세서(일본 실용신안등록 공개 제 1992-6359 호 공보)에서, 유지로가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대차상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주형에 대해서 옵셋하게 배치되며, 상기 유지로에 고정된 용탕 공급관이 유지로측을 개방단으로 하여 하형 플래튼에 형성된 절결부 부분내를 통해 경사 상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주형에 접속되는 구성을 가진 저압 주조 장치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구성에서는 유지로로부터 경사 상부방향으로 용탕 공급관이 볼트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유지로측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용탕 공급관의 청소시 등에 있어서 용탕 공급관의 유지로에 대한 착탈에 시간이 많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용탕 공급관을 유지로에 대해 비고정 상태로 지지하고 용탕 공급관의 착탈을 용이하게 한 저압 주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압 주조 장치는, 상형 및 하형을 가진 주형과, 상기 하형을 고정하기 위한 하형 플래튼과, 상기 주형에 대해 옵셋하게 배치되어 상기 주형의 캐비티에 공급할 용탕을 수용하는 유지로와, 이 유지로측을 개방단으로 해서 상기 하형 플래튼에 형성된 절결부와, 상기 유지로로부터 절결부내를 통해 경사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유지로와 상기 캐비티를 연통시키는 용탕 공급관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저압 주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탕 공급관은 지지 수단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상기 유지로와 상기 주형 사이를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수단에, 상기 용탕 공급관을 상기 유지로측을 향해 가압하여, 이 용탕 공급관의 상기 유지로측의 단부를 착탈가능하게 이 유지로에 접속하는 가압 수단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저압 주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지로와 상기 용탕 공급관의 지지 수단이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공통의 이동대상에 설치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저압 주조 장치는, 용탕 공급관이 유지로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지지 수단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그리고 지지 수단에 설치되어 있는 압착 수단에 의해 상기 유지로측을 향하여 가압되어서 상기 유지로에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탕 공급관의 청소시 등에 있어서 용탕 공급관의 착탈이 용이해지고, 용탕 공급관의 청소작업 등을 신속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저압 주조 장치의 전체도이다.
이 저압 주조 장치(1)는 기대(2)위에 설치되어 있고, 용탕을 수용한 유지로(3)가 기대(2)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전동식 이동대(4)상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이동대(4)상에는 유압잭(6)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그리고 수평상태로 지지된 받침대(5)가 설치되어 있고, 유지로(3)가 이 받침대(5)상에 배치되는 것에 의해서 유지로(3)가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주형(8)은 상형(9)과 하형(10)으로 구성되어 있고, 하형(10)은 기대(2)상에 조립되어 있는 프레임 부재(11)에 장착된 하형 플래튼(12)에 고정되어 있다. 상형(9)은 실린더(13)의 피스톤 로드(14)의 하단부에 장착되어서 상하이동 가능한 상형 플래튼(15)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주형(8)에 대해 상기 유지로(3)가 옵셋하게 배치되어 있다.
유지로(3)와 주형(8) 사이에는 유지로(3)내에 수용된 용탕을 주형(8)의 캐비티(도시 생략)로 공급하기 위한 용탕 공급관(7)이 접속되어 있다. 이 용탕 공급관(7)은 유지로(3)와 공통의 받침대(5)상에 장착된 지지대(16)상에 지지되어 있으며 유지로(3)에는 고정되어 있지 않다. 이 용탕 공급관(7)은 하형 플래튼(12)에 유지로(3)측을 개방단으로 하여 형성된 절결부(12a)내를 통하여 유지로(3)로부터 경사상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유지로(3)와 상기 주형(8)의 캐비티를 서로 연통시키고 있다.
용탕 공급관(7)은 제 2 도 및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결합되어 있는 제 1 부분(17)과 제 2 부분(18)으로 되어 있고, 제 1 부분(17)은 하형(10)의하면에 가압에 의해서 접속되는 장방형의 상부 플랜지(17a)와, 제 2 부분(18)의 상부 플랜지(18b)에 볼트 결합되는 장방형의 하부 플랜지(17b)와, 주형(8)과 마주하는 복수의 용탕 공급구(17c)와, 지지대(16)상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는 스커트부(skirt portion)(17d)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 2 부분(18)은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로(3)의 경사진 용탕 공급구(3a)에 가압에 의해서 접속되는 원형의 하부 플랜지(18a)와, 제 1 부분(17)의 하부 플랜지(17b)에 볼트 결합되는 장방형의 상부 플랜지(18b)를 구비하고 있다. 유지로(3)의 용탕 공급구(3a) 주위에는 상기 제 2 부분(18)의 하부 플랜지(18a)와의 사이의 밀봉성을 높이기 위하여 밀봉 부재(19)가 배치되어 있다.
용탕 공급관(7)의 지지대(16)는 제 4 도 및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대(5)상에 고정된 제 1 기판(21)과, 이 제 1 기판(21)상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제 2 기판(22)과, 유지로(3)에 대하여 진퇴하는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제 2 기판(22)상에 설치된 제 3 기판(23)과, 제 2 기판(22)의 승강기구(24)와, 제 3 기판(23)의 미끄럼이동 기구(25)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기판(22)의 승강기구(24)는, 수나사를 외주면에 갖고 제 2 기판(22)의 저면으로부터 수직 설치된 나사봉(26)과, 수직방향으로 연장하는 축선을 갖고 제 1 기판(2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나사봉(26)에 나사결합하는 암나사를 내주면에 구비한 조작축(27)을 구비하여, 조작측(27)의 회전에 의해 제 2 기판(22)이 승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3 기판(23)의 미끄럼이동 기구(25)는 제 4 도에 있어서는 좌우방향으로연장하고 제 5 도에 있어서는 종이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축선을 갖고 있으며, 또한 수나사를 외주면에 갖고 제 2 기판(2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조작축(28)과, 이 조작축(28)의 수나사에 나사결합하는 암나사를 내주면에 갖는 나사 구멍을 갖고 제 3 기판(23)의 저면으로부터 수직 설치된 결합 부재(29)와, 제 2 기판(22)과 제 3 기판(23) 사이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30)을 갖고, 조작축(28)의 회전에 의해 제 3 기판(23)이 유지로(3)에 대해 진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3 기판(23)의 상면에는, 용탕 공급관(7)의 제 1 부분(17)의 스커트부(17d)의 저면에 형성된 위치결정 구멍(31)에 삽입되는 돌기(32)가 형성되어 있어, 용탕 공급관(7)이 제 3 기판(23)상의 소정 위치에 위치결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대(16)의 제 3 기판(23)상에 배치되어 있는 용탕 공급관(7)은 상기 조작축(27, 28)의 조작에 의해 제 4 도에 있어서의 경사 우측 하부방향으로 가압되고, 제 2 부분(18)의 하부 플랜지(18a)가 유지로(3)의 용탕 공급구(3a)로 가압되어, 용탕 공급관(7)이 유지로(3)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지지대(16)에 의해 용탕 공급관(7)이 유지로(3)에 접속된 후, 유지로(3) 및 용탕 공급관(7)은 이동대(4)의 이동에 의해서 주형(8)에 대하여 소정 위치에 위치결정된다. 그리고 유지로(3) 및 용탕 공급관(7)은 유압잭(6)에 의해 약간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려지고, 이것에 의해서 용탕 공급관(7)의 제 1 부분(17)의 상부 플랜지(17a)가 주형(8)의 하형(10)의 하면으로 가압되어, 용탕 공급관(7)이 주형(8)에 접속된다. 다음에, 상형(9)이 하형(10)상에 셋팅되어 캐비티가 형성된 후, 유지로(3)내에 수용되어 있는 용탕을 압축 공기 또는 불활성 가스등에 의해 가압하면, 용탕이 용탕 공급관(7)을 통해 캐비티내로 충전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밝힌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저압 주조 장치(1)는 용탕 공급관(7)이 유지로(3)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지지대(16)에 지지된 상태로 그리고 지지대(16)에 설치되어 있는 제 2 기판(22)의 승강기구(24) 및 제 3 기판(23)의 미끄럼이동 기구(25)로 이루어진 가압 수단에 의해서 유지로(3)측을 향하여 가압된 상태로 유지로(3)에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용탕 공급관(7)의 청소시 등에 있어서 용탕 공급관(7)의 착탈이 용이해지고 용탕 공급관(7)의 청소작업 등을 신속하게 실행할 수가 있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저압 주조 장치의 전체도,
제 2 도는 저압 주조 장치의 용탕 공급관의 평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III-III선 단면도,
제 4 도는 용탕 공급관이 유지로에 접속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 5 도는 지지대의 구성을 도시하는 부분적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조 장치 2 : 기대 3 : 유지로
4 : 이동대 5 : 받침대 6 : 유압잭
7 : 용탕 공급관 8 : 주형 9 : 상형
10 : 하형 12 : 하형 플래튼 16 : 지지대
17 : 용탕 공급관의 제 1 부분 18 : 용탕 공급관의 제 2 부분
21 : 지지대의 제 1 기판 22 : 지지대의 제 2 기판
23 : 지지대의 제 3 기판 24 : 제 2 기판의 승강기구
25 : 제 3 기판의 미끄럼이동 기구

Claims (2)

  1. 상형 및 하형을 가진 주형과, 상기 하형을 고정하기 위한 하형 플래튼과, 상기 주형에 대해 옵셋하게 배치되어 상기 주형의 캐비티에 공급할 용탕을 수용하는 유지로와, 이 유지로측을 개방단으로 해서 상기 하형 플래튼에 형성된 절결부와, 상기 유지로로부터 절결부내를 통해 경사 상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유지로와 상기 캐비티를 연통시키는 용탕 공급관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저압 주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탕 공급관은 지지 수단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상기 유지로와 상기 주형 사이를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 수단에, 상기 용탕 공급관을 상기 유지로측을 향해 가압하여, 이 용탕 공급관의 상기 유지로측의 단부를 착탈가능하게 상기 유지로에 접속하는 가압 수단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주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로와 상기 용탕 공급관의 지지 수단이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공통의 이동대상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주조 장치.
KR1019950006017A 1994-03-23 1995-03-22 저압주조장치 KR1003389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51497 1994-03-23
JP05149794A JP3354277B2 (ja) 1994-03-23 1994-03-23 低圧鋳造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1323A KR950031323A (ko) 1995-12-18
KR100338907B1 true KR100338907B1 (ko) 2002-11-23

Family

ID=12888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6017A KR100338907B1 (ko) 1994-03-23 1995-03-22 저압주조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513690A (ko)
JP (1) JP3354277B2 (ko)
KR (1) KR100338907B1 (ko)
DE (1) DE19510381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0797A (ko) 2020-06-04 2021-12-13 김환기 저압 주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7285B2 (ja) * 1995-07-07 2001-03-19 新東工業株式会社 低圧鋳造設備
IT1296351B1 (it) * 1997-11-18 1999-06-25 Imr Spa Impianto perfezionato di colata in conchiglia a bassa pressione
DE19845389A1 (de) 1998-10-02 2000-04-06 Georg Fischer Disa Ag Vorrichtung zum steigenden Niederdruck-Gießen von Metallschmelzen
DE19945545A1 (de) * 1999-09-23 2001-04-19 Daimler Chrysler Ag Vorrichtung zum wahlweisen Tiefziehen und/oder zum Druckgiessen, die Verwendung einer Tiefziehpresse als Druckgussmaschine sowie ein Druckgussverfahren
US7975652B2 (en) * 2006-07-05 2011-07-12 Boss Technology Systems, Inc. Livestock blow dryer with turbulator plate
JP6179477B2 (ja) * 2014-07-31 2017-08-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ダイカスト鋳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059966A1 (ko) * 1969-08-06 1971-06-11 Peugeot & Renault
US3880222A (en) * 1972-10-09 1975-04-29 Renault Low-pressure casting devices
FR2287294A1 (fr) * 1974-10-09 1976-05-07 Peugeot & Renault Perfectionnement a la coulee de pieces de fonderie en basse pression
FR2382298A1 (fr) * 1977-03-01 1978-09-29 Renault Dispositif de coulee de metal liquide a basse pression
JPS54115631A (en) * 1978-02-28 1979-09-08 Yamaha Motor Co Ltd Low pressure casting machine
SU1156839A1 (ru) * 1983-06-17 1985-05-23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технологии автомобильн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Установка дл лить под низким давлением
JPH02274363A (ja) * 1989-04-12 1990-11-08 Asahi Tec Corp 低圧鋳造装置
DE3939241C2 (de) * 1989-11-28 1994-09-01 Didier Werke Ag Schließ- und/oder Regelorgan
JPH046359A (ja) * 1990-04-25 1992-01-10 Hitachi Ltd 除湿装置
US5269364A (en) * 1992-03-06 1993-12-14 Sintokogio Ltd. Low pressure die casting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0797A (ko) 2020-06-04 2021-12-13 김환기 저압 주조 장치
KR20220002235A (ko) 2020-06-04 2022-01-06 김환기 저압 주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513690A (en) 1996-05-07
DE19510381A1 (de) 1995-10-19
JPH07256429A (ja) 1995-10-09
JP3354277B2 (ja) 2002-12-09
KR950031323A (ko) 1995-12-18
DE19510381B4 (de) 200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8907B1 (ko) 저압주조장치
US5351744A (en) Device in a press casting machine and method of using such device
CN204770585U (zh) 一种卧式低压铸造机
CN214814748U (zh) 用于铁型覆砂铸造浇注小车上的铁型液压锁箱装置
JPH11114700A (ja) ダイクッション上昇方法及び装置
JPS628260B2 (ko)
CN110202099A (zh) 一种垂直分型冷芯和覆膜砂热芯盒自动生产专用机床
CN219170121U (zh) 一种高柔性齿轮轴系拆卸装置
JPS63104770A (ja) 型締機構
JPH0929411A (ja) 横型、縦射出ダイカストマシーンの噴霧装置
HU207675B (en) Apparatus for connecting moulds used for low-pressure casting to casting apparatus
CN214927419U (zh) 一种模具快换小车
CN212144456U (zh) 一种低压铸造机
JP2011200875A (ja) 竪型鋳造機
JP2532086Y2 (ja) 低圧鋳造装置
JPH11129065A (ja) タンディッシュノズル装置
CN205165844U (zh) 一种基于小批量高效生产的浇注机
JPS63140756A (ja) 鋳造装置
JP2002254152A (ja) 金型鋳造装置
JPH0723093Y2 (ja) ホットチャンバダイカスト機における鋳込みピストンの交換装置
JPH04156316A (ja) 樹脂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JPH0661360U (ja) 低圧鋳造機におけるスト−ク構造体
JPH052916U (ja) 成形型のセツト用治具
JPH0669602B2 (ja) 水平連続鋳造設備におけるモールド振動装置
JPH0761664B2 (ja) 射出成形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