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8280B1 - 태교장치 - Google Patents

태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8280B1
KR100338280B1 KR1019990008386A KR19990008386A KR100338280B1 KR 100338280 B1 KR100338280 B1 KR 100338280B1 KR 1019990008386 A KR1019990008386 A KR 1019990008386A KR 19990008386 A KR19990008386 A KR 19990008386A KR 100338280 B1 KR100338280 B1 KR 100338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recording
heart sound
fetal heart
brain 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8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0250A (ko
Inventor
이영득
Original Assignee
이준욱
주식회사 대양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욱, 주식회사 대양이앤씨 filed Critical 이준욱
Priority to KR1019990008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8280B1/ko
Priority to US09/433,237 priority patent/US6206821B1/en
Priority to JP32821699A priority patent/JP3352985B2/ja
Priority to CN99124396A priority patent/CN1266725A/zh
Publication of KR20000060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0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8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82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08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 A61B8/0866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involving foetal diagnosis; pre-natal or peri-natal diagnosis of the bab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372Analysis of electroencephalograms
    • A61B5/374Detecting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signals, e.g. detecting delta, theta, alpha, beta or gamma 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375Electroencephalography [EEG] using bio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377Electroencephalography [EEG] using evoked responses
    • A61B5/38Acoustic or auditory stimul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2Stethoscopes
    • A61B7/04Electric steth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hearing sen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태교 장치는 사람이 가장 안정되고 편안한 상태에서 발생되는 7 내지 11Hz의 주파수를 갖는 알파(α)파를 인위적으로 발생하고, 태아 심음 수집장치를 이용하여 태아의 심장 박동음과 움직임에 따른 소리를 포함하는 심음을 수집하여 상기 뇌파음과 함께 임산부에게 들려주도록 한 것이며, 또한 기록 및 재생장치를 부가하여 상기 발생된 뇌파음과 채집된 태아의 심음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녹음하였다가 녹음된 뇌파음과 태아의 심음을 필요에 따라 재생시켜 청취하도록 함으로써, 임산부의 심리적인 상태를 안정되고 편안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임산부의 심리적인 상태를 안정되고 편안한 상태로 유지시켜 태교에 도움이 되며, 정상인에 있어서도 정신적, 정서적 안정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태교 장치 {Fetal Educ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태교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체에서 발생되는 뇌파 중에서 심신을 가장 안정되고 편안하게 만드는 뇌파와 동일한 파를 인위적으로 발생하여 가청 주파수로 변조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를 들어서 심리적 안정을 유도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생명체에는 생체 파동의 일종으로 뇌파가 발생한다. 이러한 뇌파는 사람의 각성 상태나 심리적 안정의 정도에 따라 각각 다른 주파수를 나타내며, 이러한 주파수의 변동을 이용한 장치들이 개발되었다. 대표적인 것으로, 변화되는 뇌파의 주파수를 이용하는 의학적 진단기나 거짓말 탐지기가 실용화되어 있고, 특히 심리적 안정을 유도하여 학습 효과를 증진하는 장치도 개발되어 있다.
뇌파는 인체의 뇌 부위에서 발생되는 리드미컬한 일종의 전압 변화로써, 1 내지 60Hz의 주파수와 10 내지 100μV 정도의 전압을 갖는다. 이러한 뇌파는 주파수가 낮은 순으로 δ파, α파, β파 등의 각 뇌파를 구분하고 있다. 여러 종류의 뇌파 중에서 사람의 심신이 안정되고 편안한 상태에서는 7 내지 11Hz의 주파수에 해당하는 α파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미국 특허 제 4,898,179 호는 임산부 및 태아의 심장 박동을 검출, 모니터 및 디스플레이하고 기록하는 장치를 설명하고 있다. 이 장치에 의하면 검출된 심장 박동의 신호를 기록하여 후에 재생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폰과 스피커를 사용하여 태아에게 오디오 자극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 미국 특허문헌은 태아에게 오디오 자극을 주는 형태로 구성되며 특히 심장 박동의 신호에 의존하기 때문에, 임산부 자신의 정신적, 정서적 안정을통한 태교에 실패하고 있다. 특히, 태아기의 정신적, 정서적 발달을 위해서는 임신부의 정신적, 정서적 안정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점을 감안할 때, 태교를 보조한다는 점에서 볼 때 상기 미국 특허문헌의 기술은 매우 제한적이라는 점이 지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에서 발생되는 뇌파 중 사람의 심신을 안정되고 편안하게 만드는 뇌파와 동일한 파를 인위적으로 발생시켜 인체에서 발생되는 뇌파와 동조시킴으로서 사용자의 심리상태를 편안하고 안정된 상태로 유지시켜 주고, 특히 임신부의 심리적인 안정상태에 따른 태아의 인격형성에 커다란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태아 심음 발생장치가 부착된 태교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인위적으로 발생하여 임신부에게 제공하는 뇌파음과 태아의 박동소리 및 태아의 움직임 소리를 녹음하였다가 임신부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재생하여 들을 수 있도록 한 태아 심음 발생장치가 부착된 태교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임산부의 신체와 접촉되어 태아의 심장 박동소리와 태아가 움직임에 따라 발생되는 태아의 심음을 수신하고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태아 심음 수집 장치와; 사람의 뇌파 중 알파(α)파와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뇌파음을 발생시키는 뇌파음 발생부와, 가청 주파수 대역의 가청음을 발생하는 가청음 발생부와, 상기 뇌파음을 상기 가청음에 혼합하여 변조하는 변조부 및, 상기 태아 심음 수집 장치로부터 출력된 태아의 심음과 상기 변조된 뇌파음을 혼합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로 구성된 뇌파음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태교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발생된 뇌파음 및 수집된 태아 심음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 외부의 녹음 및 재생장치로 출력하는 단자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외부의 녹음/재생기로 뇌파음 및 태아 심음을 청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녹음/재생 기능을 내장하여 뇌파음 및 태아 심음을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하여 청취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태아 심음 발생장치가 부착된 태교 보조장치의 블록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태아 심음 발생장치가 부착된 태교 보조장치의 블록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뇌파음 발생장치 31, 32: 뇌파 발생부
33: 가청음 발생부 34, 35: 변조부
36, 37: 필터링부 38: 스테레오 증폭부
39: 오디오출력부 40: 태아 심음 수집장치
41: 집음부 42: 증폭부
43: 필터링부 50: 기록 및 재생장치
51: 제어부 52: 기록증폭부
53: 기록/재생부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태교 보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태아 심음 발생장치가 부착된 태교 보조장치의 블록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알파파(α)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인위적으로 발생시켜 이 뇌파를 사람이 들을 수 있는 가청주파수 오디오신호로 변조하는 뇌파음 발생장치(30)와, 태아의 심장 박동소리나 태아가 움직이는 소리를 채집하여 발생하는 태아 심음 수집장치(40)의 결합으로 구성된다.
뇌파음 발생장치(30)는 알파파를 인위적으로 발생시키는 제 1 뇌파 발생부(31)에서 7 내지 11㎐의 주파수가 발진되며, 뇌파 동조에 의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제 2 뇌파 발생부(32)를 제공하여 제 1 뇌파 발생부(31)에서 발생되는 뇌파와 동일한 위상을 갖거나 또는 서로 위상이 반대되는 뇌파를 발생하는 제 2 뇌파를 발생한다. 이렇게 발생된 제 1 및 제 2뇌파는 저주파로서 사람의 귀로는 이를 들을 수 없기 때문에, 가청음 발생부(33)에서 발생한 주파수와 변조한다.
따라서, 제 1뇌파 발생부(31)의 주파수와 가청음 발생부(33)의 주파수는 제1변조부(34)에서, 제 2뇌파 발생부(32)의 주파수와 가청음은 제 2변조부(35)에서 변조된다. 이렇게 변조된 변조음은 제 1 및 제 2필터링부(36, 37)를 통해 필터링한다. 제 1 및 제 2필터링부(36, 37)는 각각 1,000㎐ 이하의 음을 통과시키고 그 이상의 다른 주파수는 제거함으로써 잡음을 제거하는 저대역 필터(low level band pass filte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링된 오디오 신호는 미약하므로 오디오 장치에서 출력하기 이전에 증폭부(38)를 통해 신호를 증폭한다.
한편, 태아 심음(胎兒深音)은 태아의 심장 박동의 소리나 태아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하는 소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임신부의 신체 부위(예컨대, 복부)에 근접하여 집음부(41)를 통해 태아 심음을 채집하고 증폭부(42)에서 이를 증폭한 후 제 3필터링부(43)에서 이를 필터링하여 스테레오 증폭부(38)로 입력된다. 이 때 태아의 심음을 채집하여 필터링하는 과정에서 태아의 심장 박동 이상의 주파수는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제 3필터링부(43)는 120㎐ 이상의 잡음은 제거하고 그 이하의 신호만을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뇌파음과 태아의 심음은 증폭된 후 오디오 출력부(39)를 통해 소리로 출력된다. 오디오 출력을 위해서는 통상의 스테레오 스피커가 사용될 수 있으며, 잭과 같은 출력단자를 구비하여 헤드폰이나 이어폰으로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이렇게 발생된 뇌파음과 태아 심음의 합성음을 듣는 임신부는 뇌파의 동조와 함께 자신이 임신한 태아의 심음을 직접 듣게 되므로 따라 심리적, 정서적으로 편안한 상태가 유도되며 임신부의 상태에 크게 영향을 받는 태아의 심리적, 정서적안정에도 크게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가청음 발생부(33)는 100 내지 500Hz사이의 가청 주파수를 발생하므로 사용자가 스스로의 기호에 따라 원하는 음색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아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2의 설명에 있어서 도 1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 요소의 기능 및 작동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뇌파음 발생장치(30) 및 태아 심음 수집장치(40)는 도 1의 장치와 동일하되, 이렇게 구성된 알파파 주파수의 뇌파음과 태아 심음을 녹음 기능을 추가하여 이를 녹음하였다가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 언제라도 이를 청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태아의 심장 박동과 움직임에 따른 오디오 신호를 직접 듣는 도 1의 장치와는 달리, 태아가 수면 중에 있거나 움직임이 적은 상태에서도 움직임이 활발한 상태의 녹음된 소리를 재생하여 들을 수 있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는 움직임이 적은 상태에서 녹음된 소리를 반복 청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뇌파음 발생장치(30)와 태아 심음 수집장치(40)의 결합에 기록 재생부(53) 및 증폭부(52)와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51)로 구성된 기록/재생장치(50)가 추가로 결합된다.
그러므로, 녹음/재생장치(50)는 제공되는 녹음키 입력신호에 따라 제 1, 2 필터링부(36, 37)에서 출력되는 뇌파음과 제 3 필터링부(43)에서 출력되는 태아의심장 박동소리를 기록 증폭부(52)에서 일정 수준으로 증폭하고,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기록매체에 저장한다(기록재생부(53)).
기록 매체로는 통상의 자기테이프, 플래시 메모리, 램(RAM), EPROM, E2PROM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에도 기록을 유지할 수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메모리 수단의 종류에 따라 이를 구동하는 수단 및 제어 수단은 공지된 구성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어느 경우에도 사용자는 녹음의 시작 및 종료, 재생의 시작 및 종료를 지시할 수 있는 키(버튼)가 제공되며, 이러한 키 입력을 받은 제어부(51)가 태아 심음의 녹음이나 재생을 제어한다. 따라서, 태아 심음 수집장치(40)에서 태아 심음을 채집하여 증폭한 후 필터링된 신호는 스테레오 증폭부(30)와 기록증폭부(52)로 동시에 입력되며,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직접 심음을 듣거나 기록/재생부(53)를 통해 녹음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뇌파 발생부(31, 32)에서 발생하여 가청음과 변조된 후 필터링된 오디오 신호 역시 스테레오 증폭부(30)로 연결되어 오디오 출력될 수 있는 한편, 동시에 그 신호가 기록 증폭부(52)로 입력되어 사용자의 키 입력에 의해 녹음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이렇게 녹음된 오디오 신호는 사용자가 언제든지 재생하여 스피커나 헤드폰으로 들을 수 있다.
여기서 녹음/재생 장치는 본 발명의 장치에 내장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통상의 카세트플레이어 등과 통신할 수 있도록 신호를 전송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케이블을 통해 신호를 송신하여 외부의 독립적인 카세트플레이어나 녹음 기능을 갖춘 컴퓨터와 같은 녹음장치로 태아 심음을 녹음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본 발명의 장치는 태아 심음과 뇌파음이 녹음된 녹음 매체는 외부 녹음/재생장치로 재생할 수도 있고, 본 발명의 장치에 연결하여 오디오 출력될 수도 있는 것이다.
뇌파음 발생장치(30)과 태아 심음 수집장치(40) 및 기록/재생장치(50)가 부착된 태교 보조장치의 동작을 설명해 보기로 하자.
먼저, 뇌파음 발생장치(30)와, 태아 심음 수집장치(40)를 작동하여 발생되는 뇌파음과 채집된 태아 심장 박동소리를 임산부가 청취하고 있는 도중 임산부가 청취하고 있는 뇌파음과 태아 심장 박동소리를 기록하였다가 추후에 재생하고자 하여 기록 및 재생장치(50)의 일측에 부착된 키 입력부의 녹음키를 선택하게 되면, 제어부(51)는 녹음키 입력신호에 따라 기록증폭부(52)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제어신호를 제공하고, 또한 기록/재생부(53)에 녹음제어신호를 제공하여 기록/재생부(53)의 구동모드를 정지모드에서 기록모드로 전환시키게 된다. 따라서, 기록증폭부(52)는 뇌파음 발생장치(30)의 제 1, 2 필터링부(36)에서 출력되는 뇌파음과 태아 심음 수집장치(40)의 제 3 필터링부(43)에서 출력되는 태아 심장 박동소리를 기록/재생부(53)의 일 기록매체에 기록가능하도록 일정 레벨로 증폭하여 기록/재생부(53)로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기록/재생부(53)는 기록증폭부(52)에서 출력되는 증폭된 뇌파음과 태아의 심장 박동소리를 기록매체에 기록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기록매체에 뇌파음과 태아의 심장 박동소리를 녹음한 후, 기록/재생부(53)의 기록매체에 기록된 뇌파음과 태아의 심장 박동소리를 재생하여 청취하고자하여 사용자가 키 입력부의 재생키를 선택하게 되면, 제어부(51)는기록/재생부(53)에 재생제어신호를 제공하여 구동모드를 정지모드에서 재생모드로 전환시키게 된다.
이에, 기록/재생부(53)는 제어부(51)에서 제공되는 재생 제어신호에 따라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뇌파음과 태아의 심장 박동소리를 재생하여 뇌파음 발생장치(30)의 스테레오 증폭부(38)로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스테레오 증폭부(38)는 입력되는 재생 뇌파음과 태아 심음을 스테레오로 증폭한 후, 오디오 출력부(39) 즉, 스테레오 헤드폰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태아 심음 발생장치가 부착된 태교 보조장치는 사람이 가장 안정되고 편안한 상태에서 발생되는 7 내지 11Hz 정도의 주파수를 갖는 α파를 인위적으로 발생하여 가청 주파수의 오디오 신호와 변조하고, 태아의 심장 박동소리를 수집하여 상기 발생한 뇌파음과 함께 사용자, 특히 임산부로 하여금 청취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발생된 뇌파음과 채집된 태아의 심장 박동소리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녹음하였다가 녹음된 뇌파음과 태아의 심장박동소리를 필요에 따라 재생시켜 들을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알파파 및 태아의 심음을 듣는 사용자, 특히 임신부는 심리적 안정이 유도되어 태아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태아의 정상 발육 및 정서적 안정을 가져오는 등의 태교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주로 임신 중인 여성이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만, 임신부가 아닌 여성이나 유아에게도 효과가 있다. 또한, 성인 남성도 본 발명의 장치를 통해 정서적 안정을 도모할수 있으며, 정신 질환자에 있어 그 치료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7)

  1. 임산부의 신체와 접촉되어 태아의 심장 박동소리와 태아가 움직임에 따라 발생되는 태아의 심음을 수신하고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태아 심음 수집 장치;
    사람의 뇌파 중 알파(α)파와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뇌파음을 발생시키는 뇌파음 발생부와, 가청 주파수 대역의 가청음을 발생하는 가청음 발생부와, 상기 뇌파음을 상기 가청음에 혼합하여 변조하는 변조부 및, 상기 태아 심음 수집 장치로부터 출력된 태아의 심음과 상기 변조된 뇌파음을 혼합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로 구성된 뇌파음 발생 장치;
    를 포함하는 태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뇌파음 발생 장치는,
    상기 뇌파음 발생부가 상기 알파(α)파와 동일한 주파수의 제 1 뇌파음을 발생시키는 제 1 뇌파 발생부와 상기 제 1 뇌파음과 동일한 위상 또는 서로 반대되는 위상을 갖는 제 2 뇌파음을 발생시키는 제 2 뇌파 발생부로 구성되며,
    상기 변조부가 상기 제 1 뇌파음과 상기 가청음을 혼합하여 변조하는 제 1 변조부와 상기 제 2 뇌파음과 상기 가청음을 혼합하여 변조하는 제 2 변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아 심음 수집 장치는,
    태아의 심음을 집음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집음부와;
    상기 집음부에서 수집된 태아의 심음 신호를 일정 레벨 증폭하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된 신호 중에서 잡음 신호를 제거하여 출력하는 필터링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교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교 장치는,
    상기 뇌파음 발생장치에서 발생된 뇌파음과 태아 심음 수집 장치에서 수집된 태아의 심음을 녹음 및 재생하는 기록 및 재생장치를 부가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태아 심음 발생장치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교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및 재생장치는,
    녹음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뇌파음 발생장치에서 발생되는 뇌파음과 상기 태아 심음 수집장치에서 수집된 태아의 심음을 소정 레벨로 증폭하는 기록증폭부와;
    상기 기록증폭부에서 증폭된 뇌파음과 태아의 심음을 기록매체에 기록하고, 재생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기록된 뇌파음과 태아의 심음을 재생하는 기록/재생부; 및,
    사용자의 조작에 의거하여 상기 뇌파음 및 태아 심음의 기록 및 재생을 위한 상기 녹음 제어신호와 상기 재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태교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교 장치는,
    상기 뇌파음 및 상기 태아 심음을 외부의 녹음 및 재생장치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단자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교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뇌파음 발생장치는,
    상기 제 1 및 제 2 변조부에서 변조된 신호를 각각 필터링하여 잡음 신호를 제거하는 제 1 및 제 2 필터링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필터링부에서 각각 필터링된 신호에 상기 태아 심음 수집장치로부터 출력되는 태아의 심음 신호를 혼합하여 스테레오 신호로 증폭한 후 상기 오디오 출력부로 제공하는 스테레오 증폭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교 장치.
KR1019990008386A 1999-03-12 1999-03-12 태교장치 KR100338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8386A KR100338280B1 (ko) 1999-03-12 1999-03-12 태교장치
US09/433,237 US6206821B1 (en) 1999-03-12 1999-11-04 Device for generating, recording and reproducing brain wave sound and fetal vital sound for a woman and her fetus
JP32821699A JP3352985B2 (ja) 1999-03-12 1999-11-18 胎教装置
CN99124396A CN1266725A (zh) 1999-03-12 1999-11-25 孕妇用的产前教育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8386A KR100338280B1 (ko) 1999-03-12 1999-03-12 태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0250A KR20000060250A (ko) 2000-10-16
KR100338280B1 true KR100338280B1 (ko) 2002-05-27

Family

ID=19576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8386A KR100338280B1 (ko) 1999-03-12 1999-03-12 태교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206821B1 (ko)
JP (1) JP3352985B2 (ko)
KR (1) KR100338280B1 (ko)
CN (1) CN126672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9660A (ko) * 2001-10-05 2003-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태아 정서 인식을 이용한 태교 장치 및 방법
KR20040007907A (ko) * 2002-07-11 2004-01-28 임춘환 웹에서 인물 태교 서비스 방법
IL151029A0 (en) * 2002-08-01 2003-04-10 Art Medical Instr Ltd Bio-filter pad for facilitating the detection of an occurrence of a physiological action, and method therefor, and fetal activity monitoring apparatus
US6840775B2 (en) * 2003-03-14 2005-01-11 Dahlman Industries, Inc. Fetal educator strap
GR1004733B (el) * 2003-10-09 2004-11-26 Σεργκει Σαμπουτιν Δισκετα (cd) με ηχους του ανθρωπινου οργανισμου α) μεμονωμενους ή β) συνδυασμενους με μουσικη, που εξατομικευονται σ' αυτον
KR100691860B1 (ko) * 2003-12-08 2007-03-12 주식회사 대양이앤씨 산란계의 산란율을 증가시키는 음원 시스템
GB2410147A (en) * 2004-01-13 2005-07-20 Health & Life Co Ltd Electronic stethoscope with piezo-electrical film contact microphone
US8075500B2 (en) * 2007-07-17 2011-12-13 Biopad Ltd. Fetal wellbeing monitoring apparatus and pad therefor
CN102187379A (zh) 2008-09-25 2011-09-14 Cae医疗保健有限公司 医学成像模拟
CN102222428B (zh) * 2011-07-04 2015-06-24 孟奇志 一种促进胎儿大脑发育的方法
US10278635B2 (en) 2011-12-01 2019-05-07 Viewcare Technologies 1 Aps Multifactorial telehealth care pregnancy and birth monitoring
CN104507523A (zh) * 2012-04-06 2015-04-08 纽波特大脑研究实验室公司 频率特定的感官刺激
ITMI20130501A1 (it) * 2013-04-03 2014-10-04 Luca Gubert Finsterle Sistema di generazione sonora a due canali audio
JP6368073B2 (ja) 2013-05-23 2018-08-01 ヤマハ株式会社 音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9509261B2 (en) * 2013-12-02 2016-11-29 Crestron Electronics Inc. Reduced crosstalk and matched output power audio amplifier
CN104841056B (zh) * 2014-02-14 2018-10-16 周家祥 头部骨传导装置以及方法
CN104799643B (zh) * 2015-05-14 2016-08-24 奉化科创科技服务有限公司 使用助眠枕头进行助眠的方法
JP6389807B2 (ja) * 2015-06-30 2018-09-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妊婦支援のために用いられるプログラム、妊婦支援方法、及び妊婦支援システム
JP2017113263A (ja) * 2015-12-24 2017-06-29 ヤマハ株式会社 音源装置
US9737095B1 (en) * 2016-03-08 2017-08-22 Luke Kitelinger Multi-layered maternity band
CN106691445B (zh) * 2016-12-20 2020-09-04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自回归模型和小波变换的脑电放松度识别方法及系统
US10864347B1 (en) 2017-03-12 2020-12-15 Erfan Amidi Changing spoken language accent by presenting a training audio segment of a target accent while presenting a relaxing audio segm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4824A (ko) * 1980-01-16 1983-07-20 죤 웰쉬 특수뇌파 방식의 유도장치
JPH06154332A (ja) * 1992-04-15 1994-06-03 Akira Fuma 電磁波遮蔽式アルファ脳波発生装置
JPH08173415A (ja) * 1994-12-21 1996-07-09 Yasuto Takeuchi 双方向性胎児信号装置
JPH08339158A (ja) * 1995-06-13 1996-12-24 Kenji Kokama リラクセーション応用学習方法及びその学習装置
JPH09215751A (ja) * 1996-02-13 1997-08-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刺激の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8179A (en) * 1985-06-17 1990-02-06 Vladimir Sirota Device for detecting, monitoring, displaying and recording of material and fetal vital signs and permitting communication between a woman and her fetus
US4934998A (en) * 1986-07-10 1990-06-19 Thomas Jr W Shannon Prenatal audio apparatus
US5063912A (en) * 1990-07-16 1991-11-12 Hughes John S Sleep inducing device
US5109421A (en) * 1990-07-31 1992-04-28 Fox Douglas C Fetal speaker system and support belt for maternal wear
US5491756A (en) * 1993-11-04 1996-02-13 Francais; Caramia System for delivering sound to and monitoring effects on a fetus
US5913834A (en) * 1993-11-04 1999-06-22 Francais; Caramia System for imparting sensory effects across a mother's abdomen to a fetus and monitoring effects on the fetu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4824A (ko) * 1980-01-16 1983-07-20 죤 웰쉬 특수뇌파 방식의 유도장치
JPH06154332A (ja) * 1992-04-15 1994-06-03 Akira Fuma 電磁波遮蔽式アルファ脳波発生装置
JPH08173415A (ja) * 1994-12-21 1996-07-09 Yasuto Takeuchi 双方向性胎児信号装置
JPH08339158A (ja) * 1995-06-13 1996-12-24 Kenji Kokama リラクセーション応用学習方法及びその学習装置
JPH09215751A (ja) * 1996-02-13 1997-08-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刺激の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06821B1 (en) 2001-03-27
CN1266725A (zh) 2000-09-20
KR20000060250A (ko) 2000-10-16
JP2000262623A (ja) 2000-09-26
JP3352985B2 (ja) 2002-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8280B1 (ko) 태교장치
KR20070110025A (ko) 사운드 모니터
AU694610B2 (en) Auscultation apparatus
Dewar et al. Automatic triggering of auditory feedback masking in stammering and cluttering
JP2803374B2 (ja) 刺激呈示装置
EP0798009B1 (en) Installation for increasing cerebral blood flow by sound
JP3933565B2 (ja) 音発生装置及び音発生空間装置
JP3444632B2 (ja) Fmθを誘導する可聴音とその発生方法
KR100404595B1 (ko) 전자청진기
JP2018068962A (ja) 安眠装置
JPH09313610A (ja) 音発生装置、音発生空間及び音
KR100416966B1 (ko) 뇌파학습기
JPS6290175A (ja) 低周波治療器
CN2540192Y (zh) 胎教仪
JP7307929B1 (ja) 信号処理装置、認知機能改善システム、信号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3705525B2 (ja) Fmθを誘導する可聴音とその発生方法
WO2023074594A1 (ja) 信号処理装置、認知機能改善システム、信号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H10244003A (ja) 脳内活性化装置
RU229357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даптации, гармонизации физиологических процессов и эмоционального состояния человека к окружающей среде и способ его применения
JPH10328305A (ja) 脳波誘導装置
JPH0368391B2 (ko)
JP2023107248A (ja) 信号処理装置、認知機能改善システム、信号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473635A (zh) 胎教仪
JPH05192406A (ja) ステレオ音響装置
JPH05212117A (ja) 音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