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7814B1 - 차량용 캐니스터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캐니스터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7814B1
KR100337814B1 KR1019960050865A KR19960050865A KR100337814B1 KR 100337814 B1 KR100337814 B1 KR 100337814B1 KR 1019960050865 A KR1019960050865 A KR 1019960050865A KR 19960050865 A KR19960050865 A KR 19960050865A KR 100337814 B1 KR100337814 B1 KR 100337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ister
floor panel
rear floor
strap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0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1316A (ko
Inventor
김태훈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50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7814B1/ko
Publication of KR19980031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1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7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78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6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within the vehicle body
    • B62D43/1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within the vehicle body and arrang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27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rear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캐니스터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페어타이어(T)가 설치되는 리어플로어패널(1)의 저면에 패드(P)가 설치되고 이 패드(P)의 양측에는 스트랩(3)과 연결 설치되는 브래킷(2)이 설치되어 이 스트랩(3)에 의해 캐니스터(4)를 고정시키는 차량용 캐니스터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페어타이어(T)가 안착되는 하측면이 평평하게 형성된 리어플로어패널(10)과; 상기 리어플로어패널(10)의 저면 중앙부에 설치한 패드(P)와; 이 패드(P)의 전후,양측에 고정 설치하며 양측부를 절곡 형성한 형상의 보강브래킷(20)과; 이 보강브래킷(20)과 체결구(C)로 연결 설치되어 상기 패드(P)와 접촉된 캐니스터(40)를 고정시키는 스트랩(30);으로 구비하여 이 보강브래킷에 스트랩과 캐니스터의 플랜지를 연결 설치하므로 강성이 증대된 보강브래킷에 의해 캐니스터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되며, 또한 평평한 형상의 리어플로어패널의 상부에는 스페어타이어의 림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뒤집어서 안착시킬 수 있으므로 운전자가 트렁크 내부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면서 차량의 접촉사고 등에도 캐니스터의 설치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캐니스터의 설치구조
본 발명은 차량용 캐니스터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평평한 형상의 리어플로어패널에 절곡 형성한 보강브래킷을 고정 설치하여 스트랩이 연결 설치되므로 캐니스터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키면서 리어플로어패널의 상부에 스페어타이어의 림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스페어타이어를 뒤집어서 안착시킬 수 있는 차량용 캐니스터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설치되는 캐니스터는 연료탱크의 연료가스를 활성탄에 흡착시켜 저장하였다가 외기와 함께 기화기로 보내는 것으로, 이와 같은 캐니스터는 리어플로어패널의 저면에 설치된다.
즉, 상기 캐니스터는 차체의 공간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스패어타이어가 설치되는 부분에 다수개의 브래킷과 볼트 등의 체결구로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차량용 캐니스터의 설치구조는 도 4,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페어타이어(T)가 안착되는 리어플로어패널(1)의 중앙부에는 캐니스터(4)를 설치하기 위해 상측으로 돌출한 안착홈(1a)이 형성되고, 이 안착홈(1a)의 전후,양측에는 브래킷(2)이 각각 용접 설치되며, 상기 안착홈(1a)의 상측면에는 패드(P)가 설치되고, 이 패드(P)의 저면에는 양측에 플랜지(4a)가 형성된 캐니스터(4)가 위치되며, 이 캐니스터(4)의 플랜지(4a)와 상기 스트랩(3)이 브래킷(2)과 볼트 등의 체결구(C)로 체결되어 상기 캐니스터(4)를 지지토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 캐니스터의 설치구조는 이 캐니스터(4)가 설치되기 위해 리어플로어패널(1)의 중앙부를 상측으로 절곡시켜 돌출 형성한 안착홈(1a)을 형성하므로 이 안착홈(1a)의 상부에 얹혀지는 스페어타이어(T)는 림(R)의 디스크(D) 부분이 상측을 향하도록 이 스페어타이어(T)를 똑바로 설치하게 되어 이 스페어타이어(T)를 뒤집어 설치할 경우 발생되는 림(R)의 여유공간을 활용할 수 없어 왔었다.
또한 도 6에서와 같이 캐니스터(4)를 지지하는 브래킷(2)이 굴곡없이 평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브래킷(2)이 용접된 부분에 캐니스터(4)의 하중이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이 캐니스터(4)를 감싸고 있는 스트랩(3)과 캐니스터(4)의 플랜지(4a)와의 연결 상태가 견고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작은 충격에도 캐니스터(4)가 리어플로어패널(1)에서 떨어지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캐니스터의 설치구조는 리어플로어패널의 중앙부에 상측으로 안착홈이 형성되고이 안착홈에 캐니스터가 삽입되어 스트랩에 의해 상기 안착홈의 양측에 용접 설치된 브래킷과 연결 설치되므로 평평한 플레이트 형상의 브래킷에 의해 상기 캐니스터가 견고하게 설치되지 못하면서 상기 안착홈으로 인해 스페어타이어가 뒤집어 설치되지 못하고 바로 설치되어 잭이나 연장상자 등을 놓을 수 있는 스페어타이어의 림 공간을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평평한 형상의 리어플로어패널의 저면에 절곡 형성한 보강브래킷을 고정 설치하여 스트랩을 연결 설치하므로 강성이 증대된 보강브래킷에 의해 캐니스터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키면서 리어플로어패널의 상부에 스페어타이어의 림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뒤집어서 안착시킬 수 있으므로 운전자가 트렁크 내부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보강브래킷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브래킷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리어플로어패널 20; 보강브래킷
30; 스트랩 40; 캐니스터
41; 플랜지 C ; 체결구
P ; 패드 T ; 스페어타이어
R ; 림 D ; 디스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캐니스터의 설치구조는스페어타이어(T)가 설치되는 리어플로어패널(1)의 저면에 패드(P)가 설치되고 이 패드(P)의 양측에는 스트랩(3)과 연결 설치되는 브래킷(2)이 설치되어 이 스트랩(3)에 의해 캐니스터(4)를 고정시키는 차량용 캐니스터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페어타이어(T)가 안착되는 하측면이 평평하게 형성된 리어플로어패널(10)과; 상기 리어플로어패널(10)의 저면 중앙부에 설치한 패드(P)와; 이 패드(P)의 전후,양측에 고정 설치하며 양측부를 절곡 형성한 형상의 보강브래킷(20)과; 이 보강브래킷(20)과 체결구(C)로 연결 설치되어 상기 패드(P)와 접촉된 캐니스터(40)를 고정시키는 스트랩(30);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보강브래킷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플로어패널(10)은 스페어타이어(T)가 안착되는 하측면을 단면형상이 일자형형으로 평형하게 형성하고, 상기 스페어타이어(T)가 안착되는 부분의 저면 중앙에는 패드(P)를 설치한다.
상기 패드(P)의 전후,양측부에는 각각의 보강브래킷(20)을 용접 등으로 고정 설치하며, 이 보강브래킷(20)은 양측부가 하향 절곡된 후 다시 양측방으로 절곡 형성한다.
상기 각각의 보강브래킷(20)은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구(C)로 캐니스터(40)의 플랜지(41) 및 스트랩(30)과 연결 설치하여 상기 패드(P)와 접촉된 캐니스터(40)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캐니스터(40)는 이 캐니스터(40)의 플랜지(41)와 스트랩(30)에 의해 리어플로어패널(10)의 저면 전후,양측에 고정 설치된 보강브래킷(20)과 연결 설치되므로 차량의 접촉사고 등에도 상기 캐니스터(40)가 리어플로어패널(10)에서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스트랩(30)과 캐니스터(40)의 플랜지(41)가 체결구(C)로 연결 설치된 보강브래킷(20)은 도 2에서와 같이 강성이 증대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체결구(C)에 의해 스트랩(30)과 플랜지(41)에 연결된 부분이 변형되지 않고, 또한 이 보강브래킷(20)은 전후,양측에 각각 용접 등으로 고정 설치되어 스트랩(30) 및 플랜지(41)와 연결 설치되므로 상기 캐니스터(40)를 고정시키는 스트랩(30)과 플랜지(41)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되어 차량의 충돌사고 등에도 상기 캐니스터(40)가 리어플로어패널(10)의 저면에서 견고하게 고정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평평한 형상의 리어플로어패널(10)의 상부에 얹혀지는 스페어타이어(T)는 도 1,3에서돠 같이 이 스페어타이어(T) 중심부의 림(R)에 형성된 디스크(D) 부분이 상기 리어플로어패널(10)에 접하도록 스페어타이어(T)를 뒤집어 안착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림(R)의 공간부에 연장박스나 잭 등을 보관시킬 수 있게 되어 트렁크부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평평한 형상의 리어플로어패널에 절곡 형성한 보강브래킷을 고정 설치하여 이 보강브래킷에 캐니스터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는 스트랩을 연결 설치하므로 강성이 증대된 보강브래킷에 의해 캐니스터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되며, 또한 평평한 형상의 리어플로어패널의 상부에는 스페어타이어의 림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뒤집어서 안착시킬 수 있으므로 운전자가 트렁크 내부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면서 차량의 접촉사고 등에도 캐니스터의 설치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스페어타이어(T)가 설치되는 리어플로어패널(1)의 저면에 패드(P)가 설치되고 이 패드(P)의 양측에는 스트랩(3)과 연결 설치되는 브래킷(2)이 설치되어 이 스트랩(3)에 의해 캐니스터(4)를 고정시키는 차량용 캐니스터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페어타이어(T)가 안착되는 하측면이 평평하게 형성된 리어플로어패널(10)과;
    상기 리어플로어패널(10)의 저면 중앙부에 설치한 패드(P)와;
    이 패드(P)의 전후,양측에 고정 설치하며 양측부를 절곡 형성한 형상의 보강브래킷(20)과;
    이 보강브래킷(20)과 체결구(C)로 연결 설치되어 상기 패드(P)와 접촉된 캐니스터(40)를 고정시키는 스트랩(30);
    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캐니스터의 설치구조.
KR1019960050865A 1996-10-31 1996-10-31 차량용 캐니스터의 설치구조 KR100337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0865A KR100337814B1 (ko) 1996-10-31 1996-10-31 차량용 캐니스터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0865A KR100337814B1 (ko) 1996-10-31 1996-10-31 차량용 캐니스터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316A KR19980031316A (ko) 1998-07-25
KR100337814B1 true KR100337814B1 (ko) 2002-08-22

Family

ID=37480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0865A KR100337814B1 (ko) 1996-10-31 1996-10-31 차량용 캐니스터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781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422670Y1 (ko) * 1965-02-27 1969-09-25
JPS6363571U (ko) * 1986-10-16 1988-04-26
JPS6396270U (ko) * 1986-12-15 1988-06-21
JPS63123321U (ko) * 1987-02-05 1988-08-11
KR960034345U (ko) * 1995-04-26 1996-11-19 승용차의 대형캐니스터 장착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422670Y1 (ko) * 1965-02-27 1969-09-25
JPS6363571U (ko) * 1986-10-16 1988-04-26
JPS6396270U (ko) * 1986-12-15 1988-06-21
JPS63123321U (ko) * 1987-02-05 1988-08-11
KR960034345U (ko) * 1995-04-26 1996-11-19 승용차의 대형캐니스터 장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316A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5076B2 (en) Drive motor mounting structure
JPH07186741A (ja) 自動車の燃料ボンベ取付構造
US6308987B1 (en) Canister attachment construction of a vehicle
KR100337814B1 (ko) 차량용 캐니스터의 설치구조
JP3031742B2 (ja) 車両の燃料タンク装置
KR100337813B1 (ko) 차량용 캐니스터의 설치구조
JP3759563B2 (ja) 燃料ボンベ付自動車の燃料ボンベ搭載構造
JP3567641B2 (ja) スペアタイヤの取り付け構造
JPH1178552A (ja) バス用燃料タンクの支持装置
JP2011079483A (ja) 自動車の燃料容器の固定構造
JP3885316B2 (ja) リヤシートバック固定用ブラケット配設構造
JP2565162Y2 (ja) サスペンションサポートタワーの補強構造
JPH0338021Y2 (ko)
JPH09328084A (ja) 自動車の車体構造
JPH1035541A (ja) 車両のラゲッジルーム構造
JPH0769260A (ja) 自動2輪車のリヤフェンダ取付構造
JPH0687470A (ja) 自動車の車体後部構造
JP3011901B2 (ja) 自動二輪車の車体フレーム
JP2001058520A (ja) 農用車両
JP2543198Y2 (ja) フューエルタンクの取付ブラケットの補強構造
KR100463406B1 (ko) 차량의 연료탱크와 파킹브레이크 케이블의 고정구조
JPH0123355B2 (ko)
JP2003267067A (ja) 燃料タンクの固定構造
JP3785858B2 (ja) 燃料ボンベ付自動車の燃料ボンベ取付構造
KR0130509B1 (ko) 차량의리어시트벨트버클브라켓트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