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7245B1 - 데이터기록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기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7245B1
KR100337245B1 KR1019960700584A KR19960700584A KR100337245B1 KR 100337245 B1 KR100337245 B1 KR 100337245B1 KR 1019960700584 A KR1019960700584 A KR 1019960700584A KR 19960700584 A KR19960700584 A KR 19960700584A KR 100337245 B1 KR100337245 B1 KR 100337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data
sub
recording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0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4309A (ko
Inventor
오사무 오다가와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960704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4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7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72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6Monitoring, i.e. supervising the progress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04Arrangements for preventing, inhibiting, or warning against double recording on the same blank or against other recording or reproducing malfunc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1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distinguishing features of or on records, e.g. diameter end mar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16Tes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4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sensing features on the record carrier other than the transducing track ; sensing signals or marks recorded by another method than the main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11B27/3036Time code signa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11B27/3063Subcod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6Circuits, methods or arrangements for laser control or stabilisation
    • G11B7/1267Power calib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8Write-onc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45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36Auxiliary data, e.g. lead-in, lead-out, Power Calibration Area [PCA], Burst Cutting Area [BCA], control inform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1 회의 시험 기록시에 사용하는 프레임수를 광디스크(7) 상의 시험 기록 영역내 1 파티션을 구성하는 15 프레임 이하로 하고, 또한 APC 회로(31)에 설정하는 기록용 레이저 광출력 파워값을 1 프레임내라도 단계적으로 변화시켜 다수의 프레임에 데이타를 기록한다. 이들의 기록 신호를 판독했을 때의 RF 신호를 순차 어시메트리 검출 회로(46)에 전송하고 기록용 레이저광 출력 파워값의 복수 단계에 대응한 어시메트리값을 검출하여 CPU(24)에 전송하며 최적의 어시메트리값을 갖는 레이저광 출력 파워값을 구한다.

Description

데이터 기록 장치
종래, 광학적 기술 매체에 데이터 신호를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에는 디스크상의 기록 매체에 레이저광을 조사하고 순차 피트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정보를 기록할 수 있게 된 광디스크 장치가 있고, 이 광디스크 장치로선 예컨대 컴팩트 디스크 소위 CD(Compact Disc)의 규격에 준거한 CD-R (CD-Recrdable) 드라이브 장치가 있다.
본 CD-R 드라이브 장치에서 쓰이는 광디스크는 강한 레이저광이 조사되므로 서 미리 형성된 안내홈인 프리그룹간의 기록층의 광학적 성질이 변화되어서 1 회만 정보의 기록을 행할 수 있는 소위 추기형 광디스크이다.
본 CD-R 드라이브 장치에서 쓰이는 광디스크의 기록 포맷을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한다. 본 광디스크엔 음성 데이터등을 기록하는 프로그램 영역 PG 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프로그램 영역 PG 의 내주측엔 TOC(Table of Contents)를 포함하는 리드인 영역 LI 가 설치되며 또 프로그램 영역 PG 의 외주측엔 리드 아웃 영역 LO 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리드인 영역 LI 의 내주측엔 프로그램 영역 PG 의기록 상태를 기록하는 프로그램 기억 영역 PMA 와 레이저 구동 파워를 조정하기 위한 파워 제어 영역 PCA 가 설치되어 있다. 이 파워 제어 영역 PCA 에서 리드아웃 영역 LO 까지를 인포메이션 영역 IA 이라 한다.
이 광디스크의 중심을 C 라 하면 이 광디스크의 직경 R5 는 120mm, 리드아웃 영역 LO 의 최외주까지의 직경 R4는 118mm, 리드아웃 영역 LO 의 최내주까지의 직경 R3는 116mm 로 각각 규정되어 있다. 또, 프로그램 영역 RG 의 최내주까지의 직경 R2는 약 50mm, 리드인 영역 LI 의 최내주까지의 직경 R1은 약 46mm 로 각각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파워 제어 영역 PCA 의 최내주까지의 직경 R6은 약 44.87mm 로 되어 있다.
제 2 도에 도시하는 광디스크의 리드인 영역 LI 의 개시 시간 t3및 리드아웃 영역 LO 의 개시시간 t5는 ATID(Absolute Time In Pre-groove)로 불리우는 광디스크상에 미리 기록되어 있는 절대 번지 정보 신호에서 얻어지는 시간이다. 이 리드인 영역 LI 의 개시시간 t3을 기준으로서 리드인 영역 LI 의 종료시간 t4, 프로그램 기억 영역 PMA 의 개시시간 t2, 및 파워 제어 영역 PCA 의 개시시간 t1이 각각 결정되어 있다. 또, 리드인 영역 LI 의 개시시간 t3을 0 분 0 초 0 프레임으로서 00:00:00 으로 나타낸다고 하면 파워 제어 영역 PCA 의 개시시간 t1은 (t3-00:35:65), 프로그램 기억 영역 PMA 의 개시시간 t2는 (t3-00:13:65)로서 시계열로나타낼 수 있다. 또한, 리드인 영역 LI 의 종료시간 t4는 프로그램 영역 PG 의 개시 시간에서 1 서브 코드 프레임분의 시간을 뺀 시간이기도 하며 이 리드인 영역 LI 의 종료시간 t4는 99:59:74로 나타낼 수 있다.
또, 파워 제어 영역 PCA 는 제 3 도에 도시하듯이 시험 기록 영역 TA 와 카운트 영역 CA 로 이룬다. 이들 시험 기록 영역 TA 및 카운트 영역 CA 는 데이터의 기록에 앞서서 행하는 OPC(Optimum Power Control) 동작, 즉 레이저 구동 파워의 교정 동작에 사용되는 영역이다. 시험 기록 영역 TA 는 1500 서브 코드 프레임분의 크기이며 카운트 영역 CA 는 100 서브 코드 프레임분의 크기이다. 또한, 상기 서브코드 프레임은 동기 신호, 서브 코딩, 오디오 데이터, 및 패리티로 구성되는 기준의 선속도로 1/75 초분의 프레임이다.
이 시험 기록 영역 7A 은 100 영역으로 분할되고 있으며 각 분할 영역은 파티션이라고 불리운다. 즉, 시험 기록 영역 TA 의 1 파티션은 15 서브 코드 프레임으로 이룬다. 카운트 영역 CA 도 시험 기록 영역 TA 와 마찬가지로 100 영역으로 분할되며 각 분할 영역은 파티션이라 불리운다. 이 카운트 영역 CA 의 1 파티션은 1 서브 코드 프레임분의 영역으로 되어 있다. OPC 동작에선 상기 시험 기록 영역 TA 및 상기 카운트 영역 CA 의 각 파티션을 단위로서 행해진다.
다음에 OPC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OPC 동작에선 우선, 카운트 영역 CA 내의 파티션에 기록된 인식 데이터의 기록 상태를 검출한다. 즉, 전회의 OPC 동작에 의해서 식별 데이터가 기록된 파티션을 검출한다. 다음에 이 검출된 카운트 영역 CA 의 파티션에 대응하는 시험 기록 영역 TA 내의 파티션을 검출하므로서 금회의 OPC 동작으로 시험 기록 데이터를 기록하는 시험 기록 영역 TA 내의 파티션을 검출한다. 그리고 그 파티션 내의 각 서브 코드 프레임마다 제 4 도에 도시하듯이 기록용의 레이저 구동 파워의 출력을 순차 전환하면서 메모리에서 판독한 시험 기록 데이터를 기록한다.
또한, 상이한 레이저 구동 파워로 기록된 시험 기록 데이터를 각각 재생해서 얻은 각 RF 신호에서 어시메트리값을 각각 검출한다. 이 검출된 복수의 어시메트리값에서 최적 어시메트리값을 선택하고 이 최적 어시메트리값으로 되는 시험 기록 테이터를 기록했을때의 레이저 구동 파워를 기록용의 최적 레이저 구동 파워로서 결정한다. 이후, 상기 시험 기록 데이터를 기록한 시험 기록 영역 TA 내의 파티션에 대응하는 카운트 영역 CA 내의 파티션에 랜담 데이터를 식별 데이터로서 기록한다.
또한, 상기 시험 기록 영역 TA 및 카운트 영역 CA 내의 각 파티션에 대한 데이터의 기록에 있어선 광디스크의 내주측 에서 외주측으로 향해서 데이터가 기록된다.
이 OPC 동작에 의해서 예컨대 제 3 도에 도시하듯이 카운트 영역 CA 내의 3 번째의 파티션까지 식별 데이터가 기록되고 있는 경우엔 시험 기록 영역 TA 내의 3 번째의 파티션 까지 데스트 데이터, 즉 시험 기록 데이터가 기록되어서 사용 완료로 되어 있다는 것이 검출된다.
이때, 리드인 영역 LI 의 개시시간을 Ts1로 하고 (Ts1-00:00:00)로 나타낸다고 하면 카운트 영역 CA 는 (Ts1-00:13:25)∼(Ts1-00:15:05), 시험 기록 영역 TA 는 (Ts1-00:15:05)∼(Ts1-00:35:65)로 나타내어지며 카운트 영역 CA 의 1 번째의 파티션은 (Ts1-00:13:55), 카운트 영역 CA 의 3 번째의 파티션은 (Ts1-00:13:58), 시험 기록 영역 TA 의 1 번째의 파티션은 (Ts1-00:15:35), 시험 기록 영역 TA 의 3 번째의 파티션은 (Ts1-00:16:05)로 나타내어진다. 또한, 프로그램 기억 영역 PMA 는 (Ts1-00:00:00)∼(Ts1-00:13:25)로 나타내어지며 이 프로그램 기억 영역 PMA 에 있어서 시험 기록 영역 TA 및 카운트 영역 CA 가 상술한 기록 상태인 때의 프로그램 영역 PGM 의 데이터의 기록 완료 영역을 나타내는 영역은 (Ts1-00:12:50)∼(Ts1-00: 13:25)로 된다.
이같이 카운트 영역 CA 내의 각 파티션은 시험 기록 영역 TA 내의 각 파티션과 1 대 1 로 대응하고 있으며 1 회의 OPC 동작에 의해서 시험 기록 영역 TA 및 카운트 영역 CA 내의 1 파티션씩이 사용되며 카운트 영역 CA 내의 어떤 파티션에 데이터가 기록 완료이므로 이 파티션에 대응하는 시험 기록 영역 TA 내의 파티션도 사용 완료인 것을 나타낸다.
또, 데이터의 기록시 및 재생시의 구체적인 신호 생성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데이터 기록시엔 기록 데이터에 EFN(Eight to Fourteen Modulation)을 실시하므로서 제 5 도의 A 에 도시하는 것같은 논리 0 및 1 의 발생 확률이 동등하게 되게 한 변조 신호(B1)를 생성한다. 이 변조 신호(B1)를 기준으로 해서 레이저 다이오드 에서 레이저광이 출사되고 이 변조 신호 B1 의 논리 레벨에 대응해서 간헐적으로 레이저광이 광디스크상에 조사된다. 이것에 의해 프리그루브간의 기록층에 반사율이 낮은 영역, 즉 피트가 형성된다. 또한 이때 레이저 다이오드는 고출력으로 구동된다.
이 변조 신호 B1 은 기준 주기 T 를 기준으로 해서 주기 (3T-11T)의 범위에서 H 레벨 및 L 레벨이 연속되게 생성된다. 이것에 의해 제 5 도의 B 에 도시하듯이 순차 피트 P 가 형성되어서 데이터가 기록된다. 또한, 피트 P 의 형성되지 않았던 반사율이 높은 영역을 랜드라고 부른다.
또, 데이터 재생시엔 저출력으로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동하고 출사된 레이저광을 광디스크에 조사한다. 레이저광이 조사된 광디스크에서의 반사광은 광검출기에서 수광된다. 이 반사광의 광량에 따라서 제 5 도의 C 에 도시하듯이 신호 레벨이 변화하는 재생 신호, 즉 RF 신호가 얻어진다. 그리고 슬라이스 레벨 SL 을 기준으로 해서 RF 신호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므로서 제 5 도의 D 에 도시하는 재생 데이터(D1)가 검출된다.
이때 변조 신호(B1)가 EFM 에 의해서 생성되고 논리 0 및 1 의 발생 확률이 동등하므로 재생 데이터(D1)에 있어서도 논리 0 및 1 의 발생 확률이 동등하게 되게 슬라이스 레벨 SL 을 선정한다.
이것에 대해서 데이터 기록시엔 레이저 다이오드가 일정의 파워로 구동되어서 레이저광이 출사되었다고 해도 주위 온도의 변화 및 레이저 파장의 변화등에 따라서 피트의 크기가 변화한다.
이 때문에 데이터 기록시엔 상술한 바와 같이 OPC 동작에 있어서 레이저 다이오드의 구동 파워를 순차 전환해서 광디스크의 시험 기록 영역 TA 에 시험 기록 데이터를 기록하고 이 시험 기록 데이터를 재생하고 각 레이저 구동 파워에 있어서의 어시메트리 값 Asy 를 검출한다. 이 어시메트리값 Asy 는 어시메트리 검출 회로를 써서 간이하게 검출된다. 그리고 이것들의 검출한 어시메트리값 Asy 의 중심에서 미리 결정되어 있는 어시메트리값 Asy 에 가장 가까운 어시메트리값 Asy 를 선택한다. 이것에 의해 선택한 어시메트리값 Asy 를 얻었을 때의 구동 파워가 레이저 다이오드의 구동 파워의 최적값으로서 결정된다.
여기에서 어시메트리값이란 피트와 랜드와의 시간 평균의 비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광디스크에서 재생되는 RF 신호는 제 6 도에 도시하는 파형으로 되며 제 5 도의 D 에 도시하는 재생 데이터(D1)에 대해서 논리 0 및 1 의 발생율이 동등하게 되는 슬라이스 레벨 SL 과 재생 신호의 피크 레벨 및 보톰 레벨과의 관계에 의해서 나타내어진다. 즉, 어시메트리값 Asy 는 주기(11T)의 펄스폭의 신호의 피크 레벨 X, 및 보톰 레벨 X4와 주기(3T)의 펄스폭의 신호의 피크 레벨 X2및 보톰 레벨 X3을 써서 이하에 나타내는 (1)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광디스크에 대해서 데이터를 기록할 때엔 1 곡분의 음악 데이터, 즉 1 트랙분의 데이터를 단위로서 1 개의 광디스크에 대해서 복수 트랙분의 데이터를 1 회만 기록하는 동작(Disc at once)이나 1 트랙분의 데이터마다 기록을 행하는 트랙에 추기 동작이나 1 트랙분의 데이터를 몇개로 분할한 분할 데이터인 패킷 데이터를 기록하는 트랙내 추기 동작을 행한다.
상술같이 데이터 기록을 행할시엔 1 회의 OPC 동작을 행한다. 이 1 회의 OPC 동작에선 시험 기록 영역 TA 내의 1 개의 파티션을 사용한다. 시험 기록 영역 TA 내의 파티션의 수는 100 이므로 1 개의 광디스크상에서 행할 수 있는 OPC 동작은 최고 100 회까지다. 여기에서, 1 개의 광디스크에 기록할 수 있는 최대 트랙수는 99 트랙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1 회만의 기록 동작이나 트랙 주기 동작을 행하는 경우엔 데이터 기록 동작의 회수가 100 회 이상으로 되는 수는 없으므로 OPC 동작의 회수가 최고 100 회까지 밖에 할 수 없어도 데이터 기록 동작엔 문제가 없다.
그런데 트랙내 추기 동작에 있어선 1 개의 광디스크의 최대 트랙수는 99 트랙이므로 트랙내 추기 동작으로 데이터 기록을 행할 때는 데이터 기록 동작의 회수는 100 회 이상으로 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OPC 동작을 써선 100 회 이상의 OPC 동작을 행할 수 있으므로 100 회 이상의 데이터 기록 동작에선 OPC 동작을 행하지 않고 데이터 기록이 행해지게 되고 이 기록된 데이터의 품질은 OPC 동작을 행하고 기록된 데이터의 품질보다 떨어지고 만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이뤄진 것이며 1 개의 광디스크에 있어서 100 회 이상의 OPC 동작을 행할 수 있는 데이터 기록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이며 본 발명에 관한 데이터 기록 장치는 광학적 기록 매체에 대해서도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 수단과 상기 레이저 조사 수단을 구동하는 레이저 구동 수단과 상기 레이저 조사 수단을 상기 광학적 기록 매체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과 상기 레이저 조사 수단에 의해 상기 광학적 기록 매체내의 복수의 서브 코드 프레임으로 이루는 시험 기록 영역의 각 서브 코드 프레임내에서 상이한 복수의 레이저 구동 파워로 시험 기록 데이터가 기록되게 상기 레이저 구동 수단 및 상기 이동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시험 기록 영역은 복수의 서브 코드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파티션을 부수적으로 가지고 이루어지며 상기 광학적 기록 매체는 또한 상기 시험 기록 영역의 복수의 파티션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카운트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시험 기록 영역내의 어떤 파티션내에 조금이라도 시험 기록 데이터가 기록될 때는 상기 시험 기록 데이터가 기록되는 파티션에 대응하는 상기 카운트 영역내의 서브'영역에 상기 파티션이 사용 완료라는 것을 나타내는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게 상기 레이저 구동 수단 및 상기 이동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카운트 영역을 구성하는 각 서브 영역은 상기 1 서브 코드 프레임분의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광학적 기록 매체에서 반사된 레이저 빔을 수광하는 수광 수단과 상기 수광 수단에서의 출력에 따라서 상기 카운트 영역의 식별 데이터의 기록의 유무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또한 가지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에서의 검출 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시험 기록 영역의 미기록인 서브 영역에 시험 기록 데이터를 기록하게 상기 레이저 구동 수단 및 상기 이동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시험 기록 영역내의 어떤 서브 코드 프레임으로의 시험 기록 데이터의 기록에 앞서서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서 상기 서브 코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파티션에 대응하는 상기 카운트 영역내의 서브 영역에 식별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시키고 상기 서브 영역에 식별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을 때는 시험 기록 데이터가 기록되는 서브 코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파티션에 대응하는 카운트 영역 내의 서브 영역에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게 상기 레이저 구동 수단 및 상기 이동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시험 기록 영역의 파티션은 복수의 서브 파티션 으로 이루며 또한 상기 카운트 영역내의 서브 영역의 식별 데이터의 기록 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기록 상태에 의거해서 상기 시험 기록 영역의 파티션내의 서브 파티션의 사용 상황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서브 파티션의 사용 상황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어 수단은 어떤 서브 코드 프레임에 시험 기록 데이터가 기록된 후에 상기 서브 코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파티션에 대응하는 상기 카운트 영역내의서브 영역에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게 상기 레이저 구동 수단 및 이동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광학적 기록 매체에서 반사된 레이저 빔을 수광하는 수광 수단과 상기 수광 수단에서의 출력에 의거해서 상기 광학적 기록 매체에 소정 단위마다 기록되고 있는 동기 신호가 상기 광학적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을 또한 가지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재생 수단에서의 출력에 의거해서 연속하는 2 개의 동기 신호의 간격의 약 1/N(N 은 2 이상의 정수)의 간격으로 레이저 구동 파워가 단계적으로 변화하게 상기 레이저 구동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재생 수단에서 얻어지는 동기 신호는 상기 광학적 기록 매체상에 미리 기록된 절대 번지 정보 신호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재생 수단에서 얻어진 동기 신호의 타이밍에 따라서 레이저 구동 파워의 가변 타이밍을 리세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광학적 기록 매체에서 반사된 레이저 빔을 수광하는 수광 수단과 상기 수광 수단에서의 상기 시험 기록 영역에 기록된 시험 기록 데이터의 출력에 의거해서 상기 시험 기록 데이터의 어시메트리값을 검출하는 어시메트리 검출 수단을 또한 가지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광학적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할시에는 상기 어시메트리값 검출 수단에서의 출력에 의거해서 상기 레이저 구동 수단에 부여하는 레이저 구동 파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데이터 기록 장치는 복수의 서브 코드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파티션을 복수 갖고 이루는 시험 기록 영역을 갖는 광학적 기록 매체에 대해서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 수단과 상기 레이저 조사 수단을 구동하는 레이저 구동 수단과 상기 레이저 조사 수단을 상기 광학적 기록 매체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과 상기 레이저 조사 수단에 의해 상기 시험 기록 영역내의 복수의 서브 파티션으로 이루는 1 파티션의 각 서브 파티션내에서 각각 상이한 복수의 레이저 구동 파워로 시험 기록 데이터를 기록하게 상기 레이저 구동 수단 및 상기 이동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광학적 기록 매체는 또한, 상기 시험 기록 영역의 복수의 파티션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이루는 카운트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시험 기록 영역내의 어떤 파티션내에 조금이라도 시험 기록 데이터가 기록되는 시에는 상기 시험 기록 데이터가 기록되는 파티션에 대응하는 상기 카운트 영역내의 서브 영역에 상기 파티션이 사용 완료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게 상기 레이저 구동 수단 및 상기 이동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광학적 기록 매체에서 반사된 레이저 빔을 수광하는 수광 수단과 상기 수광 수단에서의 출력에 따라서 상기 카운트 영역의 식별 데이터의 기록의 유무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또한 가지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에서의 검출 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시험 기록 영역의 미기록인 서브 영역에 시험 기록 데이터를 기록하게 상기 레이저 구동 수단 및 상기 이동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시험 기록 영역내의 어떤 서브 코드 프레임으로의 시험 기록 데이터의 기록에 앞서서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서브 코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파티션에 대응하는 상기 카운트 영역내의 서브 영역에 식별 데이터가 기록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시키고 상기 서브 영역에 식별 데이터가 기록되고 있지 않는 시에는 시험 기록 데이터가 기록되는 서브 코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파티션에 대응하는 카운트 영역내의 서브 영역에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게 상기 레이저 구동 수단 및 상기 이동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카운트 영역내의 서브 영역의 식별 데이터의 기록 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기록 상태에 의거해서 상기 시험 기록 영역의 파티션내의 서브 파티션의 사용 상황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서브 파티션의 사용 상황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광학적 기록 매체에서 반사된 레이저 빔을 수광하는 수광 수단과 상기 수광 수단에서의 출력에 의거해서 상기 광학적 기록 매체에 소정 단위마다 기록되어 있는 동기 신호 및 상기 광학적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을 또한 가지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재생 수단에서의 출력에 의거해서 연속하는 2 개의 동기 신호의 간격의 약 1/N(N 은 2 이상의 정수)의 간격으로 레이저 구동 파워가 단계적으로 변화하게 상기 레이저 구동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광학적 기록 매체에서 반사된 레이저 빔을 수광하는 수광 수단과 상기 수광 수단에서의 상기 시험 기록 영역에 기록된 시험 기록 데이터의 출력에 의거해서 상기 시험 기록 데이터의 어시메트리값을 검출하는 어시메트리 검출 수단을 또한 가지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광학적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할시엔 상기 어시메트리값 검출 수단에서의 출력에 의거해서 상기 레이저 구동 수단에 부여하는 레이저 구동 파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데이터 기록 장치는 광학적 기록 매체에 대해서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 수단과 상기 레이저 조사 수단을 구동하는 레이저 구동 수단과 상기 레이저 조사 수단을 상기 광학적 기록 매체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과 상기 레이저 조사 수단에 의해 상기 광학적 기록 매체내의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이루는 시험 기록 영역의 각 서브 영역내에서 상이한 복수의 레이저 구동 파워로 시험 기록 데이터가 기록되게 상기 레이저 구동 수단 및 상기 이동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시험 기록 영역은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구성되는 분할 영역을 복수 가지고 이루며 상기 광학적 기록 매체는 또한 상기 시험 기록 영역의 복수의 분할 영역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카운트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시험 기록 영역내의 어떤 분할 영역내에 조금이라도 시험 기록 데이터가 기록될때는 상기 시험 기록 데이터가 기록되는 분할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카운트 영역 내의 서브 영역에 상기 분할 영역이 사용 완료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게 상기 레이저 구동 수단 및 상기 이동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카운트 영역을 구성하는 각 서브 영역은 상기 시험 기록 영역의 1 서브 영역분의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광학적 기록 매체에서 반사된 레이저 빔을 수광하는 수광 수단과 상기 수광 수단에서의 출력에 따라서 상기 카운트 영역의 식별 데이터의 기록의 유무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또한 가지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시험 기록 영역내의 어떤 서브 영역으로의 시험 기록 데이터의 기록에 앞서서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서브 영역을 포함하는 분할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카운트 영역내의 서브 영역에 식별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때는 시험 기록 데이터가 기록되는 서브 영역을 포함하는 분할 영역에 대응하는 카운트 영역내의 서브 영역에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게 상기 레이저 구동 수단 및 상기 이동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광학적 기록 매체에서 반전된 레이저 빔을 수광하는 수광 수단과 상기 수광 수단에서의 출력에 의거해서 상기 광학적 기록 매체에 소정 단위마다 기록되어 있는 동기 신호 및 상기 광학적 기록 매체에 기록되고 있는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을 또한 가지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재생 수단에서의 출력에 의거해서 연속하는 2 개의 동기 신호의 간격의 약 1/N(N 는 2 이상의 정수)의 간격으로 레이저 구동 파워가 단계적으로 변화하게 상기 레이저 구동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광학적 기록 매체에서 반사된 레이저 빔을 수광하는 수광 수단과 상기 수광 수단에서의 상기 시험 기록 영역에 기록된 시험 기록 데이터의 출력에 의거해서 상기 시험 기록 데이터의 어시메트리값을 검출하는 어시메트리 검출 수단을 또한 가지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광학적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할 때엔상기 어시메트리값 검출 수단에서의 출력에 의거해서 상기 레이저 구동 수단에 부여하는 레이저 구동 파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광학적 기록 매체에 데이터 신호를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 1 도는 광디스크의 기록 포맷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제 2 도는 광디스크의 기록 포맷을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제 3 도는 파워 제어 영역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 4 도는 종래의 OPC 동작시의 각 서브 코드 프레임에 대한 레이저 구동 파워의 출력을 도시하는 도면.
제 5 도는 데이터의 기록시 및 재생시의 각 신호 파형 등을 도시하는 도면.
제 6 도는 RF 신호의 어시메트리값을 도시하는 도면.
제 7 도는 본 발명에 관한 데이터 기록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제 8 도는 ATIP 프레임의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
제 9 도는 RF 검출 회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제 10 도는 RF 검출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차트.
제 11 도는 데이터 기록 동작의 수순의 플로차트.
제 12 도는 패킷 데이터의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
제 13 도는 준비 동작의 수순의 플로차트.
제 14 도는 OPC 동작의 수순의 플로차트.
제 15 도는 OPC 기록 입력 동작의 수순의 플로차트.
제 16 도는 OPC 동작시의 각 서브 코드 프레임에 대한 레이저 구동 파워의출력을 도시하는 도면.
제 17 도는 OPC 측정 동작의 수순의 플로차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데이터 기록 장치의 1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 7 도에는 데이터 기록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다. 이 데이터 기록 장치는 광학적 기록 매체인 광디스크 (7)에 데이터 신호를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이며 광디스크에 대해서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 수단인 레이저 다이오드(1)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1)를 구동하는 레이저 구동 수단인 레이저 변조 회로(29)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1)를 광디스크(7)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인 스레드 기구(44)와 상기 광디스크(7)에서 반사된 레이저 빔을 수광하는 수광 수단인 광검출기(9)와 상기 광검출기(9)에서의 출력에 따라서 카운트 영역의 식별 데이터의 기록의 유무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인 RF 검출 회로(46)와 상기 광검출기(9) 에서의 출력에 의거해서 상기 광디스크(7)에 소정 단위마다 기록되고 있는 동기 신호 및 상기 광디스크(7)에 기록되고 있는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과 상기 광검출기(9)에서의 시험 기록 영역에 기록된 시험 기록 데이터의 출력에 의거해서 상기 시험 기록 데이터의 어시메트리값을 검출하는 어시메트리 검출 수단인 어시메트리 검출 회로(46)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1)에 의해 상기 광디스크(7)내의 복수의 서브 코드 프레임으로 이루는 시험 기록 영역의 각 서브 코드 프레임내에서 상이한 복수의 레이저 구동 파워로 시험 기록 데이터가 기록되게 상기 레이저 변조 회로(29) 및 상기 스레드 기구(44)를 제어하는 CPU(24)를 구비하는 것이다.
제 7 도에 있어서 레이저 다이오드(1)에서 출사되는 레이저광은 콜리메이션 렌즈(2)를 평행광으로 되고 그레이팅(3) 및 빔스플리터(4)를 거쳐서 대물렌즈(6)에 유도되고 이 대물렌즈 (6)에 의해서 광디스크(7)상에 집광된다.
또, 상기 빔스플리터(4)에 입사된 광빔의 일부는 이 빔 스프리터(4)에 의해서 분리되어서 레이저 모니터(5)에 입사된다. 이 레이저 모니터(5)에 입사된 광빔은 광전변환되어서 광량에 따른 전류값이 얻어진다. 이 전류값은 모니터 헤드 앰프 (30)로 보내져서 전압값으로 변환되고 다시 자동 파워 제어(APC) 회로 (31)에 보내진다.
이 APC 회로(31)는 상기 모니터 헤드 앰프(30)에서의 신호를 써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1)에서의 레이저광의 출사광량이 온도등의 외인에 영향되지 않고 일정이 되게 제어를 행하는 것이다. 이 APC 회로(31)에서의 제어 신호가는 레이저 변조 회로(29)에 보내진다. 이 레이저 변조 회로(29)는 상기 APC 회로(31)에서의 제어 신호에 의거한 레이저 구동 파워이며 레이저 다이오드(1)를 구동한다.
상기 광디스크(7)상에 조사된 레이저 빔의 반사광은 대물렌즈(6)를 거쳐서 빔스프리터(4)에 입사된다. 이 빔스프리터(4)에선 상기 반사광을 멀티렌즈(8)로 유도한다. 이 멀티렌즈(8)는 원통렌즈 및 집광렌즈등으로 이루며 상기 반사광을 광검출기(9)상에 집광시킨다.
상기 광검출기(9)에서의 출력은 헤드 앰프(10)에 의해서 전압값으로 변환되고 매트릭스 회로(11)에 출력된다. 이 매트릭스 회로(11)에선 상기 헤드 앰프(16)에서의 출력의 가감산을 행하므로서 트래킹 에러 신호 TE, 포커스 에러 신호 FE, 및 푸시풀 신호 PP 가 생성된다. 상기 트래킹 에러 신호 TE 및 포커스 에러 신호 FE 는 위상 보상 회로(12), 13)에 각각 보내진다.
위상 보상 회로(12)에서 위상이 조정된 트래킹 에러 신호 TE 는 드라이브 회로(14)에 보내진다. 이 드라이브 회로(14)는 상기 위상 보상 회로(12)에서의 트래킹 에러 신호 TE 에 의거해서 트래킹 액튜에이터(16)를 동작시킨다. 이것으로 상기 대물렌즈(6)의 상기 광디스크(7)에 대한 트래킹 제어가 이뤄진다.
또, 위상 보상 회로(13)에서 위상이 조정된 포커스 에러 신호 FE 는 드라이브 회로(15)에 보내진다. 이 드라이브 회로 (15)는 상기 위상 보상 회로(13)에서의 포커스 에러 신호 FE 에 의거해서 포커스 액튜에이터(17)를 동작시킨다. 이것에 의해 상기 대물렌즈(6)의 상기 광디스크(7)에 대한 포커스 제어가 이뤄진다.
또, 상기 트래킹 에러 신호 TE 의 저역 성분은 스레드 위상 보상 회로(32)에 보내져서 위상 보상되며 드라이브 회로 (33)에 보내진다. 이 드라이브 회로(33)에선 상기 스레드 위상 보상 회로(32)에서의 신호를 써서 스레드 모터(34)를 구동시키므로서 스레드 기구(44)의 위치가 이동 제어된다.
상기 매트릭스 회로(11)에서 출력되는 푸시풀 신호 PP 는 워블 검출 회로 (21)에 출력된다. 이 워블 검출 회로(21)에선 광디스크(7)의 물리 트랙을 따라서 미리 형성되어 있는 워블 신호가 검출되고 ATIP 디모듈레이터(22)에 출력된다. 이 ATIP 디모듈레이터(22)에선 워블 신호에서 ATIP 정보 및 ATIP 판독 클록 신호가 검출된다.
이 ATIP 정보는 상술같이 광디스크(7)상에 미리 기록되고 있는 절대 번지 정보 신호에서 얻어지는 시간이며 기준의 선속도로 1/75 초분의 서브 코드 프레임과 동등한 길이의 프레임 단위로 구성되어 있다. 이 프레임은 ATIP 프레임이라고 불리우며 제 8 도에 도시하는 포맷을 갖는 것이다. 구체적 으로는 이 ATIP 프레임은 4 피트의 동기 신호, 소위 싱크 sync 와 각 8 피트의 분 MIN, 초 SEC, 프레임 번호 FM 과 14 피트의 오류 검출부호 CRC로 구성된다. 또, 상기 분 MIN, 초 SEC, 및 프레임 번호 FM 은 2 진수로 나타내어지며 각각의 최상위 피트(MSB), 즉 피트 5, 피트 13, 피트 21 의 조합으로 여러가지 정보를 나타낸다.
상기 ATIP 정보 및 ATIP 판독 클록 신호는 ATIP 디코더 (23)에 보내진다. 이 ATIP 디코더(23)에선 ATIP 정보 및 ATIP 판독 클록 신호를 써서 어드레스 정보가 재생된다. 이 어드레스 정보는 상기 CPU(24)에 공급된다.
상기 워블 검출 회로(21)에서 검출된 워블 신호가 ATIP 디모듈레이터(22)에서 검출된 ATIP 판독 클록 신호는 스핀들 서보 회로(25)에도 출력된다. 이 스핀들 서보 회로(25)는 상기 워블 신호가 ATIP 판독 클록 신호를 써서 모터 드라이버(26)를 거쳐서 스핀들 모터(27)를 구동한다. 이때, 스핀들 서브 회로 (25)는 상기 워블 검출 회로(21)에서 검출되는 워블 신호가 (22), 0.5KHz 의 일정 주파수로 되게 제어를 행하던가 또는 상기 ATIP 모듀레이터(22)에서 출력되는 ATIP 판독 클록 신호가 0.35KHz 의 일정 주파수로 되게 제어를 행한다.
상기 매트릭스 회로(11)에서 출력되는 RF 신호는 2 진화 회로(18)에 보내져서 2 진화되고 2 진화 신호로서 PLL 회로 (19)에 보내진다. 이 PLL 회로(19)에서는 상기 2 진화 신호에서 클락 신호가 생성되고 이 클락 신호는 2 진화 신호와 동시에 디코더 회로(20)에 보내진다. 이 디코더 회로(20)에선 상기 클록 신호에 의거해서 상기 2 진화 신호를 디코드한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 신호 및 서브 코드가 재생된다. 재생된 데이터 신호는 출력 단자(42)에서 출력된다. 또, 상기 서브 코드는 CPU(24)로 보내진다.
또, 상기 PLL 회로(19)에서 재생된 클럭 신호는 스핀들 서보 회로(25)에 입력되어서 기준 클록 신호와 비교된다. 그리고, 이 비교 출력은 회전 오차 신호로서 모터 드라이버 (26)로 보내진다. 이 모터 드라이버(26)에선 상기 회전 오차 신호에 의거해서 스핀들 모터(27)의 구동을 제어한다.
또한, 상술한 동작은 광디스크(7)에서의 데이터의 재생시 및 광디스크(7)로의 데이터의 기록시에 더불어 행해진다.
또, 광디스크(7)로의 데이터의 기록시엔 RF 검출 회로 (45)에서 광디스크(7) 상의 소정의 영역의 데이터를 재생하므로서 매트릭스 회로(11)에서 출력되는 RF 신호에 의거해서 광디스크 (7)에 데이터가 기록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고 이 검출 신호를 CPU(24)에 공급한다.
여기에서 RF 검출 회로(45)의 개략적인 구성의 1 실시예를 제 9 도에 도시하고 또, 이 RF 검출 회로(45)에 있어서의 각 신호의 타이밍 차트를 제 10 도에 도시하고 RF 검출 회로(45)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0 도의 (A)에 도시하듯이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 영역에서 재생된RF 신호는 신호 레벨이 변화되고 있으나 미기록 영역에서 재생된 RF 신호는 신호 레벨이 거의 일정하게 되어 있다. 이 RF 신호는 제 9 도에 도시하는 바이패스 필터 (HDF)(55)를 거치는 것에 의해서 0 레벨을 중심으로 하는 제 10 도의 B 에 도시하는 신호로 된다. 이 HPF(55)에서의 출력 신호는 비교기(56)에 입력된다.
이 비교기(56)에선 소정의 슬라이스 레벨로 상기 출력 신호를 슬라이스한다. 이것에 의해서 제 10 도의 C 에 도시하듯이 기록 영역에선 주기 3T-11T 의 펄스폭의 신호에 따른 '0' 및 '1'의 2 진화 신호로 되고 미기록 영역에선 펄스폭이 주기 (11T)보다 길어지며 항상 '1'로 되는 출력 신호가 얻어진다. 이 출력 신호는 펄스폭 검출 회로(57)에 입력된다.
이 펄스폭 검출 회로(57)에서는 상기 2 진화 신호의 펄스폭이 주기(11T)보다 짧을 때는 기록 영역에서의 재생 신호인 것을 나타내는 '1'로 되며 상기 2 진화 신호의 펄스폭이 주기 (11T)보다 길때는 미기록 영역에서의 재생 신호인 것을 나타내는 '0'이 되는 검출 신호가 출력된다. 이 검출 신호는 제 10 도의 D 로 나타내는 것이다.
이 데이터 기록 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 기록 동작에선 1 회의 OPC 동작에 대해서 시험 기록 영역 TA 내의 1 파티션을 복수분할해서 이루는 1 서브 파티션을 사용한다.
이 데이터 기록 동작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제 11 도에 도시하는 플로차트를 써서 이하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선 1 회의 OPC 동작에 대해서 시험 기록 영역의 16서브 코드 프레임으로 이루는 1 파티션을 3 분할했다. 5 서브 코드 프레임으로 이루는 서브 파티션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최대 300 회의 OPC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우선, 호스트 컴퓨터(도시 생략)에서의 커맨드나 이 데이터 기록 장치에 접속된 입력 장치등에서의 커맨드등에 의거해서 스텝(S1)에서 광디스크(7)에 데이터를 기록하는데 앞서서 후술하는 준비 동작을 행한다. 이후, 스텝(S2)에서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OPC 동작을 행하고 스텝(S3)에서 기록용의 최적 레이저 구동 파워가 구해졌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이 스텝(S3)에서 최적 레이저 구동 파워가 구해졌다고 판별 되었다면 스텝(S4)에서 CPU(24)는 최적 레이저 구동 파워로 되게 APC 회로(31)를 제어하고 데이터의 기록을 행한다.
이 데이터 기록시엔 스위치(35)는 단자 a 측으로 전환되어서 신호 입력 단자 (43)에 접속되고 있으며 이 신호 입력 단자(43)에서는 기록용의 데이터가 입력된다. 이 입력된 기록용의 데이터는 스위치(35)를 거쳐서 데이터 인코더(28)에서 인코드되고 레이저 변조 회로(29)에 보내진다. 레이저 변조 회로(29)에선 APC 회로 (31)에서의 제어 신호에 의거한 레이저 구동 파워로 레이저 다이오드(1)를 구동하므로서 데이터의 기록이 행해진다.
또한, 이 데이터 기록 장치에 있어서 트랙내 추기 동작, 패킷 레코딩에 의해서 기록되는 패킷 데이터의 포맷을 제 12 도에 도시한다. 이 제 12 도에 도시하는 1 패킷분의 데이터는 데이터의 중단 및 개시를 나타내는 서브 코드 프레임분의 링크 블록 LB, 데이터의 판독을 보상하기 위한 4 서브 코드 프레임분의 런인(Run-in)블록 RIB1, RIB2, RFB3, RIB4, 음악 데이터등이 기록되는 유저 데이터 블록 UDB, 및 유저 데이터 블록 UDB 의 영역에 저연 기록되는 데이터를 보상하기 위한 2 서브 코드 프레임분의 런아웃(Run-out) 블록 ROB1, ROB2에서 이루어진다.
또, 제 11 도의 스텝(S3)에서 기록용의 최적 레이저 구동 파워가 구해지고 있지 않다고 판별되면 스텝(S2)으로 되돌아가고 재차 OPC 동작을 행하고 스텝(S3)에서 기록용의 최적 레이저 구동 파워가 구해졌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스텝(S2) 및 스텝 (S3)의 동작은 최적 레이저 구동 파워가 구해지기까지 행한다.
다음에 준비 동작의 구체적인 수순의 플로차트를 제 13 도에 도시한다.
우선, 제 13 도의 스텝(S11)에서 CPU(24)는 광디스크 (7)에 기억되고 있는 추장 레이저 구동 파워의 값을 판독하고 메모리(47)에 기억한다. 즉, CPU(24)는 드라이브 회로(33)에 제어 신호를 보내므로서 스레드 모터(34)를 제어하고 스레드 기구(44)를 구동하고 광픽업(40)을 광디스크(7)의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으로 광픽업(40)은 리드인 영역 LI 로 이동된다. 또, CPU(24)는 APC 회로(31)에 제어 신호를 보내므로서 재생용의 레이저 구동 파워로 레이저 다이오드 (1)가 구동되고 광픽업(40)에 의해서 ATIP 프레임의 데이터가 재생된다. 데이터 기록시의 추장 레이저 구동 파워의 값은 ATIP 프레임의 분 MIN, 초 SEC, 및 프레임 번호 FM 의 MSB의 조합이 '1, 0, 1'인 때의 분 MIN 내의 피트 6-8 의 값에 의해서 나타내어지는 것이며 이 값을 판독해서 메모리(47)내에 기억한다.
그리고, 스텝(S12)에서 CPU(24)의 제어에 의해서 광픽업 (40)을 카운트 영역CA 로 이동하고 카운트 영역 CA 내의 각 서브 영역, 즉, 각 파티션의 식별 데이터의 기록 상태를 검출하므로서 상기 카운트 영역 CA 의 각 파티션에 대응하는 시험 기록 영역 TA 내의 각 파티션의 사용 상태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시험 기록 영역 TA 내의 전회 사용되어 시험 기록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파티션을 검출한다.
또한, 스텝(S13)에서 CPU(24)는 상기 검출한 시험 기록 영역 TA 의 파티션내의 서브 파티션의 사용 상황을 검출한다. 또한, 금회의 데이터 기록 동작이 최초의 데이터 기록 동작인 때는 카운트 영역 CA 에는 식별 데이터는 기록되고 있지 않으므로 시험 기록 영역 TA 내의 파티션의 사용 상태 및 서브 파티션의 사용 상황의 검출은 행해지지 않는다.
그리고, 스텝(S14)에서 CPU(24)는 상기 검출한 서브 파티션의 사용 상황을 메모리(47)에 기억하는 동시에 시험 기록 영역 TA 내의 서브 파티션의 사용 상황을 초기화한다.
이같이 해서 준비 동작을 행한 후에 OPC 동작을 행한다.
OPC 동작의 구체적인 동작의 수순의 플로차트를 제 14 도에 도시한다.
우선, 제 14 도의 스텝(S21)에서 CPU(24)는 메모리(47)에 기억되고 있는 서브 파티션의 사용 상황을 판독하고 OPC 동작에 쓰이는 서브 파티션을 결정한다.
다음에 스텝(S22)에서 메모리(47)에 기억되고 있는 추장 레이저 구동 파워와 전회의 데이터 기록시의 OPC 동작의 결과에 의해 OPC 동작에 쓰이는 각 단계의 기록용의 레이저 구동 파워를 결정한다. 또한, 최초의 데이터 기록 동작이라면 상기 추장 레이저 구동 파워만에 의해서 각 단계의 레이저 구동 파워를 결정한다.
여기에서 종래의 OPC 동작에 있어선 그 파티션내의 각 서브 코드 프레임마다 레이저 구동 파워를 변화시켜서 시험 기록 데이터의 시험 기록을 행하고 있으며, 15 단계의 기록 신호의 어시메트리값을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서브 파티션을 이용한 OPC 동작에 있어선 1 서브 파티션은 5 서브 코드 프레임으로 이루므로 1 서브 코드 프레임마다 레이저 구동 파워를 변화시킨 것으로는 5 단계의 기록 신호의 어시메트리값 밖에 측정할 수 없다. 그래서, 1 서브 코드 프레임내에 있어서도 레이저 구동 파워를 변화시키고 5 단계 이상의 레이저 구동 파워를 써서 시험 기록 데이터의 기록을 행하기로 한다. 즉, 예컨대 1 서브 코드 프레임에 대해서 레이저 구동 파워를 2 단계로 변화시켜서 시험 기록 데이터의 기록을 행하는 경우엔 10 단계의 기록용의 레이저 구동 파워를 결정하는 것으로 된다.
이같이 예컨대 10 단계의 기록용의 레이저 구동 파워가 결정된 후엔 스텝 (S23)에서 CPU(24)의 제어에 의해서 시험 기록을 행하기 위한 목적의 서브 파티션의 직전의 서브 코드 프레임에 광픽업(40)을 이동시킨다. 그리고 스텝(S2)에서 목적의 서브 파티션의 OPC 기록 입력 동작을 행한다.
이 OPC 기록 동작의 구체적인 수순의 플로차트를 제 15 도에 나타낸다.
이 제 15 도에 도시하는 OPC 기록 입력 동작에선 우선, 스텝(S31)에서 변수 n 에 1 을 대입한다. 그리고 스텝(S32)에서 CPU(24)는 ATIP 프레임의 싱크 SYNC, 소위 ATIP 싱크의 입력을 기다린다. ATIP 싱크의 입력을 검출하면 스텝(S33)에서 타이머를 기동한다. 그리고, 스텝(S34)에서 CPU(24)에서의 제어에 의해서 스위치 (35)를 단자 b 측으로 전환해서 메모리 (36)와 접속하고 메모리(36)에 기억되고 있는 시험 기록 데이터를 판독한다. 이 시험 기록 데이터는 데이터 인코더 (28)를 거쳐서 레이저 변조 회로(29)에 보내진다. 또, CPU (24)에서의 제어에 의해서 APC 회로(31)를 제어하고 1 단계째의 기록용의 레이저 구동 파워를 레이저 다이오드(1)에서 출사하게 구동한다. 이것으로 랜담 데이터인 시험 기록 데이터를 1 번째의 서브 코드 프레임의 최초의 1/2 서브 코드 프레임분의 영역분에 기록한다.
이후, 스텝(S35)에서 변수 n 에 1 을 가하여 2 로 하고 스텝(S36)에서 타이머가 1/2 서브 코드 프레임분의 시간을 나타낼 때까지 기다린다. 그리고, CPU(24)는 타이머가 1/2 서브 코드 프레임분의 시간의 경과를 나타낸 것을 검출하면 스텝 (S37)에서 메모리(36)에 기억되고 있는 시험 기록 데이터를 판독하고 레이저 변조 회로(29)에 보내고 APC 회로(31)를 제어해서 2 단계째의 기록용의 레이저 구동 파워를 레이저 다이오드(1)에서 출사하게 구동한다. 이것에 의해서 1 단계째의 레이저 구동 파워에 의해서 1/2 서브 코드 프레임분의 영역에 기록된 시험 기록 데이터에 계속해서 2 단계째의 레이저 구동 파워에 의해서 나머지의 1/2 서브 코드 프레임분의 영역에 시험 기록 데이터가 기록된다.
이후, 스텝(S39)에 있어서 변수 n 이 10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2 단계째의 레이저 구동 파워에 의한 시험 기록 데이터의 기록이 행해진 단계에선 변수 n 은 10 이상이 아니라고 판별되므로 스텝(S32)으로 되돌아가고 다음의 ATIP 프레임의 ATIP 싱크의 입력을 기다린다. ATIP 싱크는 서브 코드 프레임의 길이와 같은 1/75 초마다 출력되므로 다음의 ATIP 프레임의 ATIP 싱크를 검출하므로서 서브 코드 프레임의 종료를 검출할 수 있다. CPU(24)는 ATIP 싱크가 입력된 것을 검출하면2 단계째의 기록용의 레이저 구동 파워의 출사를 그치고 타이머를 리세트한다.
이후, 스텝(S33)에서 타이머를 다시 기동하고 스텝(S34) 에서 CPU(24)의 제어에 의해서 다음의 3 단계째의 기록용의 레이저 구동 파워가 출사되어서 2 번째의 서브 코드 프레임의 최초의 1/2 서브 코드 프레임분의 영역에 시험 기록 데이터를 기록한다.
이같이 스텝(S39)에서 변수 n 이 10 이상이라고 판별되기 까지 스텝(S32)-스텝(S37)까지의 처리를 행하고 기록용의 레이저 구동 파워를 순차 변화시킨 시험 기록 데이터의 기록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서 제 16 도에 도시하듯이 5 서브 코드 프레임에 대해서 1/2 서브 코드 프레임마다 기록용의 레이저 구동 파워를 변화시켜서 10 단계의 레이저 구동 파워에 의한 시험 기록 데이터의 기록을 행할 수 있다.
이후, 스텝(S40)에서 CPU(24)는 레이저 다이오드(1)에서 재생용의 레이저 구동 파워를 출사하게 제어를 행한다.
그리고, 제 14 도의 스텝(S25)에서 CPU(24)는 목적의 서브 파티션 직전의 서브 코드 프레임에 광픽업(40)을 이동시키고 스텝(S26)에서 목적의 서브 파티션의 OPC 측정 동작을 행한다.
이 OPC 측정 동작의 구체적인 수순의 플로차트를 제 17 도에 도시한다.
이 제 17 도에 도시하는 OPC 측정 동작에선 우선 스텝 (S41)에서 변수 n 에 1 을 대입한다. 다음에 스텝(S42)에서 CPU (24)는 ATIP 싱크의 입력을 기다린다. ATIP 싱크의 입력을 검출하면 스텝(S43)에서 타이머를 기동한다. 그리고 스텝 (S44)에서 1 단계째의 기록용의 레이저 구동 파워로 시험 기록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에 있어서 기록용의 레이저 구동 파워가 안정된 상태에서 시험 기록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에 광픽업 (40)이 이동하는 시간까지 기다린다. 이 실시예에 있어선 광픽업이 1/6 서브 코드 프레임분의 위치로 이동하기 까지의 시간이 경과하기까지 기다린다.
그리고, CPU(24)가 타이머가 1/6 서브 코드 프레임분의 시간의 경과를 나타낸 것을 검출하면 스텝(S45)에서 1 단계째의 기록용의 레이저 구동 파워로 기록된 시험 기록 데이터를 연속해서 6 회 판독하게 제어한다. 예컨대, 1 회의 데이터 판독에 150μ sec 의 시간이 걸리게 된다.
이 판독으로 매트릭스 회로(11)에서 6 회분의 판독 데이터의 RF 신호가 출력된다. 이들 Rf 신호는 어시메트리 검출 회로(46)에 출력된다. 이 어시메트리 검출 회로(46)에선 각각의 RF 신호의 어시메트리값을 검출하고 CPU(24)로 보낸다. CPU (24)에선 6 회분의 판독 데이터의 어시메트리값의 평균을 취하고 이 평균값은 1 단계째의 어시메트리값으로서 설정한다.
또한, 상기 어시메트리 검출 회로(46)로선 1/2 서브 코드 프레임마다 6 회 판독되는 데이터의 어시메트리값을 5 서브 코드 프레임분 순차 검출할 수 있는 고속인 것이 아니면 안된다.
그리고, 스텝(S46)에서 변수 n 에 1 을 가하고 2 로 하고 스텝(S47)에서 타이머가 1/2 + 1/6 서브 코드 프레임분의 시간의 경과를 나타낼 때까지 기다린다. CPU(24)는 타이머가 1/2 + 1/6 서브 코드 프레임분의 시간의 경과를 나타낸 것을 검출하면 광픽업(40)을 2 단계째의 기록용의 레이저 구동 파워로 시험 기록 데이터가 기록된 1/2 서브 코드 프레임분의 영역내의 1/6 서브 코드 프레임분의 위치까지 이동한다. 이후, 스텝(S48)에서 CPU(24)의 제어에 의해서 스텝(S45)과 마찬가지로 해서 시험 기록 데이터의 판독을 6 회 행하고 각각의 어시메트리값을 검출해서 평균을 취하고 이 평균값을 2 단계째의 어시메트리 값으로서 설정한다.
그리고, 스텝(S49)에서 변수 n 에 1 을 가하고 스텝 (S50)에서 변수 n 이 1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2 단계째의 어시메트리값이 설정된 단계에선 변수 n 이 10 이상이 아니라고 판별되므로 스텝(S42)으로 되돌아가고 다음의 ATIP 프레임의 ATIP 싱크를 기다린다. ATIP 싱크는 서브 코드 프레임의 길이와 같은 1/75 초마다 출력되므로 다음의 ATIP 프레임의 ATIP 싱크를 검출하므로서 서브 코드 프레임의 종료를 검출할 수 있다. CPU(24)는 ATIP 싱크가 입력된 것을 검출하면 타이머를 리세트한다.
이후, 스텝(S43)에서 다시 타이머를 기동하고 스텝(S44)- 스텝(S48)까지의 처리를 행하고 2 단계분의 어시메트리값을 설정한다.
이같이 스텝(S50)에서 변수 n 이 10 이상이라고 판별되기 까지 스텝(S42)-스텝(S48)까지의 처리를 행하고 10 단계분의 어시메트리값을 설정한다.
이후, 제 14 도의 스텝(S27)에서 CPU(24)는 10 단계분의 어시메트리값과 시험 기록 데이터의 기록시에 사용한 기록용의 레이저 구동 파워로 기록용의 최적 레이저 구동 파워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10 단계분의 어시메트리값을 써서 (+10∼-10%)이내의 어시메트리값과 기록용의 레이저 구동 파워와의 회귀직선을 구하고 이 회귀직선에서 최적 어시메트리 값, 예컨대, 0% 로 되는 어시메트리값을얻기 위한 기록용의 레이저 구동 파워를 최적 레이저 구동 파워로서 결정한다. 이같이 기록용의 레이저 구동 파워의 각 단계를 보간하므로서 OPC 동작의 정밀도를 높힐 수 있다.
그리고, 스텝(S28)에서 OPC 동작에 사용한 서브 파티션이 이 서브 파티션내에서 내주측에서 1 번째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상기 서브 파티션이 1 번째의 서브 파티션이 아니라고 판별되면 상기 OPC 동작에 사용한 서브 파티션을 포함하는 시험 기록 영역 TA 내의 파티션에 대응하는 카운트 영역 CA 내의 파티션, 즉, 1 서브 코드 프레임 분배는 시험 기록 영역 TA 내의 대응하는 파티션이 사용 완료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 데이터가 이미 기록되어 있으므로 스텝(S30)으로 나아가서 메모리(47)내의 서브 파티션의 사용 상황을 갱신하고 OPC 동작을 종료한다.
또, 스텝(S28)의 판별로 OPC 동작에 사용한 서브 파티션이 1 번째의 서브 파티션이 아니라고 판별되면 스텝 (S29)으로 나아가서 CPU(24)의 제어에 의해서 광픽업(40)을 상기 OPC 동작에 사용한 서브 파티션을 포함하는 시험 기록 영역 TA 내의 파티션에 대응하는 카운트 영역 CA 내의 파티션으로 이동하고 APC 회로(31)를 제어하고 기록용의 최적 레이저 구동 파워로 레이저 다이오드(1)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 랜담 데이터를 판별 데이터로서 기록한다.
이같이 시험 기록 영역 TA 내의 1 파티션에 있어서 1 개의 서브 파티션에 밖에 사용되고 있지 않는 경우에도 이 사용된 서브 파티션을 포함하는 시험 기록 영역 TA 내의 파티션에 대응하는 카운트 영역 CA 내의 파티션에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고 시험 기록 영역 TA 내의 파티션에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고 시험 기록 영역 TA 내의 파티션은 사용 완료인 것을 나타내게 한다. 이것에 의해서 종래의 OPC 동작에 의해서 데이터가 기록된 광디스크와 본 발명의 데이터 기록 장치에 의한 OPC 동작에 의해서 데이터가 기록된 광디스크와의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시험 기록 영역 TA 의 1 파티션을 3 분할하고 3 서브 코드 프레임으로 이루는 1 서브 파티션을 쓴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으나 1 파티션의 분할수는 3 분할로 한정되는 일은 없다. 또, 상기 실시예에선 1 서브 코드 프레임내에서 변화시키는 레이저 구동 파워의 단계수를 2 단계로서 설명하고 있는데 이 단계수도 2 단계에 한정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로서 예컨대 시험 기록 영역 TA 의 1 파티션을 5 분할하고 1 서브 파티션을 3 서브 코드 프레임으로 이루는 것으로 하고 또, 1 서브 코드 프레임내에서 변화되는 기록용의 레이저 구동 파워의 단계수를 3 단계로 하는 경우도 생각된다.
이밖의 실시예의 OPC 기록 입력 동작에 있어서는 1 서브 코드 프레임에 대해 서 3 단계의 상이한 기록용의 레이저 구동 파워로 각각 1/3 서브 코드 프레임분씩 시험 기록 데이터를 기록하게 되므로 타이머에 의해서 1/3 서브 코드 프레임분의 시간을 나타내기까지 대기하게 하고 또, 변수 n 에 대해선 9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또, OPC 측정 동작에 있어서는 각 1/3 서브 코드 프레임분의 영역내에서 1/6 서브 코드 프레임분의 위치에서 데이터의 판독을 행하게 한다. 즉, 1 서브 파티션내에 있어서 1 번째의 기록동의 레이저 구동 파워에 의한 시험 기록 데이터의판독은 1/18 서브 코드 프레임분의 위치에서 행하고 2 번째의 기록용의 레이저 구동 파워에 의한 시험 기록 데이터의 판독은 1/3 + 1/18 서브 코드 프레임분의 위치에서 행하고 3 번째의 기록용의 레이저 구동 파워에 의한 시험 기록 데이터의 판독은 2/3 + 1/18 서브 코드 프레임분의 위치에서 행하게 한다.
기타의 실시예에 있어선 최대 500 회의 OPC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 1 회의 OPC 동작에 있어선 9 단계의 상이한 기록용의 레이저 구동 파워로 시험 기록 데이터를 기록하므로 최적 어시메트리값을 얻기 위해서 필요한 어시메트리값의 수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같이 구성해서 광디스크상의 시험 기록 영역내의 파티션은 복수의 서브 파티션으로 분할하고 이 서브 파티션을 구성하는 각 서브 코드 프레임내에서 상이한 복수의 기록용의 레이저 구동 파워로 시험 기록 데이터를 기록하고 이 복수의 레이저 구동 파워로 기록된 각 데이터를 재생해서 얻어진 어시메트리값의 평균값에서 기록용의 최적 레이저 구동 파워를 구하는 것에 의해 종래의 OPC 동작의 최대 회수인 100 회 이상의 회수분의 OPC 동작을 행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데이터 기록 동작의 최대 회수, 즉 100 회 이상의 데이터 기록 동작을 행한 경우에도 기록 데이터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패킷 레코딩에 있어선 데이터 기록 동작의 회수가 100 회 이상으로 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때의 기록 데이터의 품질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으로 된다. 또, 정확한 기록용의 레이저 구동 파워를 구할 수 있다.

Claims (24)

  1. 광학적 기록 매체에 대해서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 수단과,
    상기 레이저 조사 수단을 구동하는 레이저 구동 수단과,
    상기 레이저 조사 수단을 상기 광학적 기록 매체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과,
    상기 레이저 조사 수단에 의해 상기 광학적 기록 매체 내의 복수의 서브 코드 프레임으로 이루는 시험 기록 영역의 각각의 서브 코드 프레임내에서 상이한 복수의 레이저 구동 파워로 시험 기록 데이터가 기록되게 상기 레이저 구동 수단 및 상기 이동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 기록 영역은 복수의 서브 코드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다수의 파티션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광학적 기록 매체는 또한 상기 시험 기록 영역의 복수의 파티션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카운트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시험 기록 영역내의 어떤 파티션 내에 조금이라도 시험 기록 데이터가 기록되는 때는 상기 시험 기록 데이터가 기록되는 파티션에 대응하는 상기 카운트 영역 내의 서브 영역에 상기 파티션의 사용 완료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게 상기 레이저 구동 수단 및 상기 이동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트 영역을 구성하는 각각의 서브 영역은 상기 1 서브 코드 프레임분의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적 기록 매체에서 반사된 레이저 빔을 수광하는 수광 수단과,
    상기 수광 수단에서의 출력에 따라서 상기 카운트 영역의 식별 데이터의 기록의 유무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또한 가지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에서의 검출 결과에 의해서 상기 시험 기록 영역의 미기록인 서브 영역에 시험 기록 데이터를 기록하게 상기 레이저 구동 수단 및 상기 이동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시험 기록 영역내의 어떤 서브 코드 프레임으로의 시험 기록 데이터의 기록에 앞서서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서브 코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파티션에 대응하는 상기 카운트 영역내의 서브 영역에 식별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시키고 상기 서브 영역에 식별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 시험 기록 데이터가 기록되는 서브 코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파티션에 대응하는 카운트 영역에의 서브 영역에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게 상기 레이저 구동 수단 및 상기 이동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 기록 영역의 파티션은 복수의 서브 파티션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카운트 영역내의 서브 영역의 식별 데이터의 기록 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기록 상태에 의거해서 상기 시험 기록 영역의 파티션내의 서브 파티션의 사용 상황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서브 파티션의 사용 상황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어떤 서브 코드 프레임에 시험 기록 데이터가 기록된 후에 상기 서브 코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파티션에 대응하는 상기 카운트 영역내의 서브 영역에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상기 레이저 구동 수단 및 이동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적 기록 매체에서 반사된 레이저 빔을 수광하는 수광 수단과,
    상기 수광 수단에서의 출력에 의거해서 상기 광학적 기록 매체에 소정 단위마다 기록되어 있는 동기 신호 및 상기 광학적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을 또한 가지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재생 수단에서의 출력에 의해서 연속하는 2 개의 동기 신호의 간격의 약 1/N(N 은 2 이상의 정수)의 간격으로 레이저 구동 파워가 단계적으로 변화하게 상기 레이저 구동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수단에서 얻어진 상기 동기 신호는 상기 광학적 기록 매체상에 미리 기록된 절대 번지 정보 신호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재생 수단에서 얻어진 상기 동기 신호의 타이밍에 따라서 레이저 구동 파워의 타이밍을 리세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적 기록 매체에서 반사된 레이저 빔을 수광하는 수광 수단과,
    상기 수광 수단에서의 상기 시험 기록 영역에 기록된 시험 기록 데이터의 출력에 의해서 상기 시험 기록 데이터의 어시메트리값을 검출하는 어시메트리 검출 수단을 또한 가지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광학적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할 때는 상기 어시메트리값 검출 수단에서의 출력에 의거해서 상기 레이저 구동 수단에 부여하는 레이저 구동 파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12. 복수의 서브 코드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파티션을 복수 갖고 이루는 시험 기록 영역을 갖는 광학적 기록 매체에 대해서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조사 수단과,
    상기 레이저 조사 수단을 구동하는 레이저 구동 수단과,
    상기 레이저 조사 수단을 상기 광학적 기록 매체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과,
    상기 레이저 조사 수단에 의해 상기 시험 기록 영역내의 복수의 서브 파티션으로 이루는 1 파티션의 각각의 서브 파티션 내에서 각각 상이한 복수의 레이저 구동 파워로 시험 기록 데이터를 기록하게 상기 레이저 구동 수단 및 상기 이동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적 기록 매체는 또한 상기 시험 기록 영역의 복수의 파티션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카운트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시험 기록 영역내의 어떤 파티션 내에 조금이라도 시험 기록 데이터가 기록될 때는 상기 시험 기록 데이터가 기록되는 파티션에 대응하는 상기 카운트 영역 내의 서브 영역에 상기 파티션이 사용완료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게 상기 레이저 구동 수단 및 상기 이동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적 기록 매체에서 반사된 레이저 빔을 수광하는 수광 수단과,
    상기 수광 수단에서의 출력에 따라서 상기 카운트 영역의 식별 데이터의 기록의 유무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또한 가지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에서의 검출 결과에 의해서 상기 시험 기록 영역의 미기록인 서브 영역에 시험 기록 데이터를 기록하게 상기 레이저 구동 수단 및 상기 이동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시험 기록 영역내의 어떤 서브 코드 프레임으로의 시험 기록 데이터의 기록에 앞서서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서브 코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파티션에 대응하는 상기 카운트 영역내의 서브 영역에 식별 데이터가 기록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시키고 상기 서브 영역에 식별 데이터가 기록되고 있지 않은 때는 시험 기록 데이터가 기록 되는 서브 코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파티션에 대응하는 카운트 영역내의 서브 영역에 식별 데이타를 기록하게 상기 레이저 구동 수단 및 상기 이동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트 영역내의 서브 영역의 식별 데이터의 기록 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기록 상태에 의해서 상기 시험 기록 영역의 파티션내의 서브 파티션의 사용 상황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서브 파티션의 사용 상황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적 기록 매체에서 반사된 레이저 빔을 수광하는 수광 수단과,
    상기 수광 수단에서의 출력에 의해서 상기 광학적 기록 매체에 소정 단위마다 기록되어 있는 동기 신호 및 상기 광학적 기록 매체에 기록되고 있는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을 또한 가지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재생 수단에서의 출력에 의거해서 연속하는 2 개의 동기 신호의 간격의 약 1/N(N 은 2 이상의 정수)의 간격에서 레이저 구동 파워가 단계적으로 변화하게 상기 레이저 구동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적 기록 매체에서 반사된 레이저 빔을 수광하는 수광 수단과,
    상기 수광 수단에서의 상기 시험 기록 영역에 기록된 시험 기록 데이터의 출력에 의해서 상기 시험 기록 데이터의 어시메트리값을 검출하는 어시메트리 검출 수단을 또한 가지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광학적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할 때는 상기 어시메트리값 검출 수단에서의 출력에 의거해서 상기 레이저 구동 수단에 부여하는 레이저 구동 파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19. 광학적 기록 매체에 대해서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 수단과,
    상기 레이저 조사 수단을 구동하는 레이저 구동 수단과,
    상기 레이저 조사 수단을 상기 광학적 기록 매체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과,
    상기 레이저 조사 수단에 의해 상기 광학적 기록 매체 내의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이루는 시험 기록 영역의 각각의 서브 영역내에서 상이한 복수의 레이저 구동 파워로 시험 기록 데이터가 기록되게 상기 레이저 구동 수단 및 상기 이동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 기록 영역은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구성되는 분할 영역을 복수 갖고 이루며 상기 광학적 기록 매체는 또한 상기 시험 기록 영역의 복수의 분할 영역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카운트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시험 기록 영역내의 어느 분할 영역내에 조금이라도 시험 기록 데이터가 기록될 경우에는 상기 시험 기록 데이터가 기록되는 분할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카운트 영역 내의 서브 영역에 상기 분할 영역이 사용 완료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게 상기 레이저 구동 수단 및 상기 이동 수단을 재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트 영역을 구성하는 상기 서브 영역은 상기 시험 기록 영역의 1 서브 영역분의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적 기록 매체에서 반사된 레이저 빔을 수광하는 수광 수단과,
    상기 수광 수단에서의 출력에 따라서 상기 카운트 영역의 식별 데이터의 기록의 유무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또한 가지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시험 기록 영역내의 어떤 서브 영역으로의 시험 기록 데이터의 기축에 앞서시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서 상기 서브 영역을 포함하는 분할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카운트 영역내의 서브 영역에 식별 데이터가 기록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시키고 상기 서브 영역에 식별 데이터가 기록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시험 기록 데이터가 기록되는 서브 영역을 포함하는 분할 영역에 대응하는 카운트 영역내의 서브 영역에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게 상기 레이저 구동 수단 및 상기 이동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적 기록 매체에서 반사된 레이저 빔을 수광하는 수광 수단과,
    상기 수광 수단에서의 출력에 의해서 상기 광학적 기록 매체에 소정 단위마다 기록되고 있는 동기 신호 및 상기 광학적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을 또한 가지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재생 수단에서의 출력에 의거해서 연속하는 2 개의 동기 신호의 간격의 약 1/N(N 은 2 이상의 정수)의 간격으로 레이저 구동 파워가 단계적으로 변화하게 상기 레이저 구동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2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적 기록 매체에서 반사된 레이저 빔을 수광하는 수광 수단과,
    상기 수광 수단에서의 상기 시험 기록 영역에 기록된 시험 기록 데이터의 출력에 의거해서 상기 시험 기록 데이터의 어시메트리값을 검출하는 어시메트리 검출 수단을 또한 가지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광학적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할 때엔 상기 어시메트리값 검출 수단에서의 출력에 의해서 상기 레이저 구동 수단에 부여하는 레이저 구동 파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KR1019960700584A 1994-05-31 1995-05-31 데이터기록장치 KR1003372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141109 1994-05-31
JP14110994 1994-05-31
PCT/JP1995/001067 WO1995033261A1 (fr) 1994-05-31 1995-05-31 Enregistreur de donne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4309A KR960704309A (ko) 1996-08-31
KR100337245B1 true KR100337245B1 (ko) 2002-11-13

Family

ID=15284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0584A KR100337245B1 (ko) 1994-05-31 1995-05-31 데이터기록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737289A (ko)
EP (2) EP1158500B1 (ko)
JP (1) JP3581368B2 (ko)
KR (1) KR100337245B1 (ko)
CN (1) CN1099665C (ko)
DE (2) DE69536089D1 (ko)
WO (1) WO19950332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6924A (en) * 1996-06-07 1999-08-10 Nikon Corporation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tion device
JPH09330519A (ja) * 1996-06-10 1997-12-22 Hitachi Ltd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3874211B2 (ja) * 1996-10-31 2007-01-3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記録方法及びその装置
US7123563B2 (en) * 1996-12-06 2006-10-1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Optical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is method
PL185917B1 (pl) * 1996-12-24 2003-08-29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Sposób i urządzenie do zapisu optycznego informacjSposób i urządzenie do zapisu optycznego informacjii
JP3708668B2 (ja) * 1997-04-09 2005-10-19 株式会社リコー Efm出力タイミング制御回路及び記録タイミング制御回路
JPH11120687A (ja) * 1997-10-15 1999-04-30 Mitsumi Electric Co Ltd 光ディスク装置
US6292448B1 (en) * 1998-07-27 2001-09-18 Pioneer Corporation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JP3076033B1 (ja) * 1998-09-14 2000-08-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学情報の記録再生装置および情報記録媒体
JP2000215453A (ja) * 1999-01-20 2000-08-04 Fujitsu Ltd 記録媒体への照射光のパワ―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並びにこれを用いた情報記録装置
US6744909B1 (en) 1999-08-19 2004-06-01 Physical Optics Corporation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JP3697962B2 (ja) * 1999-08-20 2005-09-21 ティアック株式会社 光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US6411574B1 (en) * 1999-09-14 2002-06-25 Ritek Corporation Coding method for high-capacity storage medium and the decoding means for the same
KR100339478B1 (ko) * 1999-09-18 2002-05-31 구자홍 광 기록매체의 최적 기록장치 및 기록방법
TW468162B (en) * 1999-10-13 2001-12-1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of hiding areas on a disc like recording of the optically rewritable type
EP1435609B1 (en) * 2000-01-14 2009-04-08 Panasonic Corporation Optical disc and optical disc address reading apparatus and method
JP4374698B2 (ja) * 2000-02-25 2009-12-02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
EP1128373A3 (en) * 2000-02-28 2003-05-21 Plasmon LMS, Inc. Write power calibration in write-once optical disk drives
JP2001266508A (ja) * 2000-03-24 2001-09-28 Sony Corp データ記録装置、データ再生装置並びに光ディスク
JP2002032922A (ja) 2000-05-12 2002-01-31 Sony Corp 光ディスク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3765223B2 (ja) * 2000-05-23 2006-04-12 ヤマハ株式会社 光ディスク記録方法および光ディスク記録装置
JP2002042339A (ja) * 2000-07-19 2002-02-08 Teac Corp 光ディスク記録装置
US7120097B1 (en) 2000-09-15 2006-10-10 Eastman Kodak Company System for making a photoresist master for a hybrid optical recording disc
JP4114767B2 (ja) * 2000-10-13 2008-07-0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
US6664526B2 (en) 2000-11-15 2003-12-16 Ricoh Company, Lt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employing improved recording power control scheme
US7023773B2 (en) * 2000-11-17 2006-04-04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of generating optimum recording power for optic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3833890B2 (ja) * 2000-11-30 2006-10-18 株式会社リコー 光ディスク装置、その記録動作制御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2002197653A (ja) * 2000-12-22 2002-07-12 Sharp Corp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のレーザパワー調整方法
TW522376B (en) * 2001-01-29 2003-03-01 Acer Labs Inc Control system for using stepping motor to control sled of optical disc driver and method thereof
CN100423092C (zh) * 2001-02-05 2008-10-01 雅马哈株式会社 调节记录速度和激光功率的光盘装置
JP3632617B2 (ja) * 2001-05-24 2005-03-23 ヤマハ株式会社 光ディスク記録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3203341A (ja) * 2001-11-02 2003-07-18 Victor Co Of Japan Ltd 光ディスク、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及び光ディスク記録再生方法
JP2003168216A (ja) * 2001-11-29 2003-06-13 Sony Corp 光記録媒体、並びに、光記録媒体に対する記録装置及び方法
CN101281769B (zh) 2002-01-22 2013-11-0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多层信息记录媒介,信息记录设备,和记录方法
JP4209694B2 (ja) * 2002-03-08 2009-01-14 株式会社リコー テストデータ記録方法とプログラム
JP3858772B2 (ja) * 2002-06-27 2006-12-20 ヤマハ株式会社 光ディスク記録装置
JP2004103208A (ja) * 2002-07-18 2004-04-02 Nec Corp 情報記録媒体、指標生成方法、情報記録媒体の製造方法、情報記録媒体の記録条件調整方法、情報記録媒体の記録方法及び情報記録装置
EP1638091A1 (en) * 2003-06-25 2006-03-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device and recording light intensity learning method
KR100545808B1 (ko) * 2003-11-04 2006-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록 장치에서의 최적 기록 파워 서치방법 및 이를 위한기록매체
KR100672048B1 (ko) * 2005-06-01 2007-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Opc기록과 opc측정 완료 후 광원구동특성 학습재수행을 통한 opc수행방법 및 이를 적용한 광기록장치
KR100667837B1 (ko) * 2005-11-21 2007-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디스크의 최적 기록 파워 결정 방법 및 광디스크 구동장치
JP2010503137A (ja) * 2006-09-07 2010-01-28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書込パワー較正を実施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09104424B (zh) * 2018-08-13 2021-03-23 浙江中控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opc通讯的安全防护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46325B1 (fr) * 1983-05-20 1988-07-08 Thomson Csf Procede et dispositif de calibration de la puissance optique appliquee a un disque optique pour l'enregistrement de donnees
NL9000328A (nl) * 1989-06-23 1991-01-16 Philips Nv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aanbrengen van informatiepatronen op een registratiedrager.
DE69014436T2 (de) * 1989-06-23 1995-06-14 Philips Electronics Nv Aufzeichnungsanordnung zum Anbringen eines Informationsmusters auf einem strahlungsempfindlichen Aufzeichnungsträger.
NL9000327A (nl) * 1990-02-12 1991-09-02 Philips Nv Informatieoptekeninrichting.
JPH0411325A (ja) * 1990-04-27 1992-01-16 Sony Corp 光ディスク記録装置
JP3050336B2 (ja) * 1991-07-05 2000-06-1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追記型光ディスクへの記録方法及び光ディスク記録装置
JPH05166190A (ja) * 1991-12-13 1993-07-02 Sony Corp 光ディスク装置
JP3176145B2 (ja) * 1992-09-08 2001-06-11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光学式情報記録再生装置
JPH0773471A (ja) * 1993-09-03 1995-03-17 Pioneer Electron Corp 追記型光ディスクの情報記録装置
US5563862A (en) * 1994-05-31 1996-10-08 Sony Corporation Write once optical disc recording apparatus with reduced data error rate because the value of asymmetry is equalized as additional data is recorded there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581368B2 (ja) 2004-10-27
CN1099665C (zh) 2003-01-22
CN1130953A (zh) 1996-09-11
EP0712120A4 (en) 1997-11-12
DE69526029D1 (de) 2002-05-02
DE69536089D1 (de) 2010-08-26
EP0712120A1 (en) 1996-05-15
EP1158500A1 (en) 2001-11-28
US5737289A (en) 1998-04-07
EP0712120B1 (en) 2002-03-27
EP1158500B1 (en) 2010-07-14
DE69526029T2 (de) 2002-07-18
KR960704309A (ko) 1996-08-31
WO1995033261A1 (fr) 1995-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7245B1 (ko) 데이터기록장치
US5706261A (en) Optical disc device capable of quick search for a boundary between recorded and unrecorded areas
US5289450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laying back recordable optical disc
US530529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information on a recordable optical disc utilizing unrecorded count area to determine available test area
KR0178763B1 (ko) 광학식 기록 매체와 정보 기록 재생 장치
US5563862A (en) Write once optical disc recording apparatus with reduced data error rate because the value of asymmetry is equalized as additional data is recorded thereon
EP1150291B1 (en) Optical disc drive, and recording/reproducing method
US6765851B2 (en) Optical disc, data-recording apparatus and data-recording method
US6266308B1 (en) Optical disc drive and method of detecting an end portion of recorded data recorded in an optical disc loaded in the optical disc drive
US6141306A (en) Optical disc drive and methods of examining the optical disc drive
JPH08329469A (ja) データ記録装置
JP3246271B2 (ja) データ記録装置
US6351441B1 (en) Regulatable optical disc driv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regulatable optical disc drive
KR100746071B1 (ko) 광 기록매체 기록 재생기의 최적 기록 파워 생성 방법
JP4067981B2 (ja) 光ディスク装置及び記録条件設定方法
JP3239569B2 (ja) 光ディスク装置
KR20020038301A (ko) 광 기록매체 기록 재생기의 최적 기록 파워 생성 방법 및장치
JPH07334918A (ja) 記録領域検出回路
JPH0536075A (ja) 追記型光デイスクの再生方法及び光デイスク再生装置
JPH05109073A (ja) 追記型光デイスク記録装置
JP2003263743A (ja) 光ディスク装置
JPH05166190A (ja) 光ディスク装置
JPH06259899A (ja) 絶対位置検出方法及び光ディスク装置
KR20050026633A (ko) 광 기록 재생 시스템
JPH0536076A (ja) 追記型光デイスクの再生方法及び光デイスク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