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4126B1 - 글꼴 표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글꼴 표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4126B1
KR100334126B1 KR1019990067798A KR19990067798A KR100334126B1 KR 100334126 B1 KR100334126 B1 KR 100334126B1 KR 1019990067798 A KR1019990067798 A KR 1019990067798A KR 19990067798 A KR19990067798 A KR 19990067798A KR 100334126 B1 KR100334126 B1 KR 100334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nt
notation
region
neutral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7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6209A (ko
Inventor
진용옥
박원영
Original Assignee
전창오
정보통신연구진흥원
김형순
주식회사 로커스
심판구
대한민국(한국무선통신연구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창오, 정보통신연구진흥원, 김형순, 주식회사 로커스, 심판구, 대한민국(한국무선통신연구조합) filed Critical 전창오
Priority to KR1019990067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4126B1/ko
Publication of KR20010066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6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4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41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글에 대한 초성, 중성 및 종성에 대한 위상(positioning)을 별도로 분할하여 표기하는 글꼴 표기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음소단위로 인가되는 글꼴의 자음과 모음의 배열 구조에 따라 상기 음소 단위로 인가되는 글꼴이 초성인지, 중성인지, 종성인지를 판별하는 판별부; 초성 글꼴용 전송라인을 통해 판별부로부터 초성 글꼴이 전송되면, 초성 위상에 표기하고, 중성 글꼴용 전송라인을 통해 상기 판별부로부터 중성 글꼴이 전송되면, 중성 위상에 표기하고, 종성 글꼴용 전송라인을 통해 상기 판별부로부터 종성 글꼴이 전송되면 종성 위상에 표기하는 표기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컴퓨터와 같은 정보처리시스템에서 내외부적으로 한글에 대해 음소단위 처리가 가능하여 아스키(ASCII)코드와의 일대일 대응으로 인터넷상에서 발생되는 한글의 호환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음소단위의 글자편집이 가능하여 빠른 편집을 기대할 수 있어 한글을 사용한 우리말 지식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글꼴 표기 장치 및 방법{Characters writing apparatus and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글꼴(Charaters) 표기(writing)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글에 대한 글꼴을 표기하는 글꼴 표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글꼴은 문서로서 표현 가능한 각 국의 글자를 일컫는 것으로, 컴퓨터와 같은 정보처리시스템에서는 글자의 인식형태에 따라 음절(소리마디) 단위로 표기하거나 음소단위로 표기한다. 한글은 음절단위로 표기되는 글자중 하나이다. 이는 한글이 음절단위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컴퓨터와 같은 정보처리시스템에 구비되어있는 한글에 대한 문자체계는 대부분 완성형 코드로 구현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학'자의 경우에 'ㅎ + ㅏ + ㄱ'를 결합한 형태로 인식하도록 문자체계가 구현되어 있다. 이로 인해 종성이 'ㄱ'인 글자만을 찾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학'이라는 글자에 '학=ㅎ+ㅏ+ㄱ'이라는 부가적인 정보를 할당하여야 한다.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내부적으로는 조합형 코드를 만들어 사용하고 외부적으로는 KS완성형 한글코드나 유니 코드와 같은 표준 코드를 사용하는 방식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 방식 역시 표준 코드와 내부적인 코드를 각각 만들어 사용하여야 하는 이중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이유들로, 컴퓨터와 같은 정보처리시스템에서 한글을 사용한 검색이나 정보처리 작업을 하려고 할 때, 아직까지 일정 수준이상으로 작업을 진행하기가 어려워 한글을 사용한 우리말 지식 산업의 경쟁력은 약화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한글을 사용한 우리말 지식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음소단위로 한글에 대한 글꼴을 표기하는 글꼴 표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글의 초성, 중성 및 종성에 대한 위상(positioning)을 별도로 분할하여 표기하는 글꼴 표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글꼴 표기장치의 기능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초중종성 판단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음소단위의 글자 배치 예시도이다.
도 3은 표기영역을 4분할한 경우의 글꼴 표기 예시도이다.
도 4는 가로표기영역을 3분할한 경우의 글꼴 표기 예시도이다.
도 5a, 도 5b는 ISO의 한글 자모 테이블도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음소단위로 인가되는 글꼴의 자음과 모음의 배열 구조에 따라 음소 단위로 인가되는 글꼴이 초성인지, 중성인지, 종성인지를 판별하는 판별부; 초성 글꼴용 전송라인을 통해 상기 판별부로부터 초성 글꼴이 전송되면, 초성 위상에 표기하고, 중성 글꼴용 전송라인을 통해 상기 판별부로부터 중성 글꼴이 전송되면, 중성 위상에 표기하고, 종성 글꼴용 전송라인을 통해 상기 판별부로부터 종성 글꼴이 전송되면 종성 위상에 표기하는 표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음소 단위로 인가되는 글꼴의 자음과 모음의 배열 구조에 따라 상기 음소 단위로 인가되는 글꼴이 초성인지, 중성인지, 종성인지를 판별하는 제 1 판별단계; 음소 단위로 인가되는 글꼴이 초성이면 초성 위상에, 중성이면 중성 위상에, 종성이면 종성 위상에 음소 단위로 순차적으로 표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글꼴 표기 장치의 기능 블록도로서, 음소단위로 인가되는 글꼴이 초성인지, 중성인지, 종성인지를 판별하는 초중종성 판별부(102), 초성과 중성 및 종성이 별도의 위상(positioning)에 각각 표기(writing)되도록 처리하는 표기부(110)로 구성된다. 따라서 표기부(110)는 초성 표기 영역(112), 중성 표기 영역(114) 및 종성 표기 영역(116)을 각각 분할하여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초중종성 판별부(10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소단위로 인가되는 글꼴에 대해 초성에 해당되는지, 중성에 해당되는지, 종성에 해당되는 지를 각각 판별한다.
즉,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소단위로 인가되는 글꼴이 '자음, 모음, 자음, 모음' 순으로 인가되면, 처음에 인가된 자음을 초성으로 인식하여 초성 글꼴용 전송라인을 통해 표기부(110)로 전송하고, 그 다음으로 인가된 모음은 중성으로 인식하여 중성 글꼴용 전송라인을 통해 표기부(110)로 전송하고, 그 다음으로 인가된 자음은 그 다음에 모음이 인가되는 관계로 초성으로 판별하여 초성 글꼴용 전송라인을 통해 표기부(110)로 전송하고, 그 다음으로 인가된 모음은 두 번째로 인가된 자음의 중성으로 인식하여 중성 글꼴용 전송라인을 통해 표기부(110)로 전송한다.
도 2(b)는 음소단위로 인가되는 글꼴이 '자음, 모음, 자음, 자음, 자음' 순으로 인가된 경우로, 처음에 인가된 자음은 초성으로 인식하여 초성 글꼴용 전송라인을 통해 표기부(110)로 전송하고, 그 다음에 인가된 모음은 중성으로 인식하여 중성 글꼴용 전송라인을 통해 표기부(110)로 전송하고, 그 다음에 인가된 2개의 자음은 종성(예를 들어 'ㄶ'같은 받침)으로 인식하여 종성 글꼴용 전송라인을 통해 순차적으로 표기부(110)로 전송한다. 그리고, 그 다음에 인가된 자음은 초성으로 인식하여 그에 따른 처리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자음이 연속되는 경우에, 연속되는 자음간의 관계가 합성 자음인지 여부를 도 5a 및 b에 도시되어 있는 한글 자모 테이블을 참조하여 결정한다. 즉, 도 2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자음중 앞에 연속되는 2개의 자음을 합성 자음으로 인식한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2개의 자음은 종성으로 처리하고 나머지 3번째로 인가되는 자음에 대해서는 초성으로 처리한다. 그러나, 도 5a 및 b에 도시되어 있는 한글 자모 테이블을 참조한 결과, 처음의 2개의 자음이 합성 자음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처음에 인가된 자음만 종성 처리가 된다. 그리고, 2번째 인가된 자음과 3번째 인가된 자음이 합성 자음인 지를 판단하고, 합성 자음인 경우에 도 2(b)에 도시된 바와 처리하지 않고 2번째 자음과 3번째 자음이 합성 자음으로 표기되도록 처리한다. 도 5에 도시된 한글 자모 테이블은 초중종성 판별부(102)내에 구비된다.
도 2(c)는 음소단위로 인가되는 글꼴이 '자음, 모음, 모음, 자음, 자음, 모음'순으로 인가된 경우로, 처음에 인가된 자음은 초성으로 인식하고, 그 다음에 연속해서 모음이 인가되므로, 이 연속되는 모음을 결합한 결과 얻어지는 글꼴이 합성 모음에 해당되는 지를 판별한다. 이러한 판별을 위하여, 초중종성 판별부(102)에는 사전에 합성 모음에 관한 정보를 보유하게 한다. 합성모음에 해당되는 것은, 'ㅢ, ㅘ, ㅙ, ㅟ, ㅚ, ㅝ, ㅞ' 등이다. 따라서, 2개의 모음을 합성한 결과가 초중종성 판별부(102)에서 보유하고 있는 합성 모음에 포함된 경우에는 합성모음으로 판단하여 순차적으로 중성 글꼴용 전송라인을 통해 표기부(110)로 전송하고, 그 다음으로 인가되는 자음은 그 다음에 자음이 연속해서 인가되므로 종성으로 인식하여 종성 글꼴용 전송라인을 통해 표기부(110)로 전송한다. 그리고, 그 다음으로 인가되는 자음을 초성으로 인식하고, 그 다음에 인가되는 모음은 중성으로 인식하여 각각 해당되는 전송라인을 통해 표기부(110)로 전송한다.
도 2(d)는 음소단위로 인가되는 글꼴이 '자음, 모음, 모음'순으로 인가되는 경우로서, 자음은 초성으로 인식하여 표기부(110)로 전송하고, 그 다음에 이어지는 모음은 중성으로 인식하나 그 다음에 인가되는 글꼴이 모음이므로 이 2개의 모음에 대해 상술한 도 2(c)에서와 같이 합성 모음에 해당되는 지를 판별한다. 판별한 결과, 합성모음이 아닌 경우에 2개의 모음은 각각 독립된 중성으로 표기되도록 표기부(110)로 전송한다.
도 2(e)는 음소단위로 인가되는 글꼴이 '모음'으로 이전에 인가된 자음이 없는 형태이다. 이와 같이 글꼴이 인가되는 경우에 상술한 모음은 독립된 중성으로 표기되도록 표기부(110)로 전송한다.
도 2(f)는 음소단위로 인가되는 글꼴이 '자음, 자음, 모음'순으로 인가되는 경우로서, 자음이 연속해서 인가되는 경우이다. 이와 같이 자음이 연속해서 인가되는 경우에 처음에 인가된 자음과 그 다음에 인가된 자음은 각각 독립된 초성으로 인식하여 표기부(110)로 전송하고, 그 다음에 인가되는 모음은 바로 이전에 인가된 자음의 중성으로 표기되도록 표기부(11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음소단위로 인가되는 글꼴에 대해 이전에 인가된 글꼴과 이후에 인가되는 글꼴과의 연관관계를 분석하여 초성인지 중성인지, 종성인지를 판별하고, 판별된 결과에 따라 해당되는 전송라인을 통해 표기부(110)로 전송한다. 초중종성 판별부(102)와 표기부(110)간에는 초성 글꼴용 전송라인, 중성 글꼴용 전송라인 및 종성 글꼴용 전송라인을 별도로 구비한다.
표기부(110)는 초성 글꼴용 전송라인을 통해 전송되는 글꼴은 초성 표기 영역(112)에 표기되도록 처리하고, 중성 글꼴용 전송라인을 통해 전송되는 글꼴은 중성 표기 영역(114)에 표기되도록 처리하고, 종성 글꼴용 전송라인을 통해 전송되는 글꼴은 종성 표기 영역(116)에 표기되도록 처리한다.
표기부(110)에 구비되는 초성, 중성 및 종성 표기 영역(112, 114, 116)은 도 3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모란 영역을 4분할한 구조를 기본 표기구조로 하여 운영된다. 즉, 초성에 해당되는 글꼴(합성 초성에 해당되는 글꼴 포함)은 빗금친 좌상측 영역에 표기하고, 세로 모음과 가로 모음으로 표기된 우상측 영역과 좌하측 영역에 중성에 해당되는 글꼴을 표기하고, 종성에 해당되는 글꼴은 우하측 영역에 표기하도록 운영된다. 도 3(a)에서 추가 영역 1은 연속적으로 인가되는 자음이 종성인 경우에, 뒤에 인가되는 자음을 표기하기 위한 영역이다. 예를 들어 해당되는 종성이 'ㄶ'인 경우에 추가 영역 1은 'ㅎ'을 표기하기 위한 영역이다. 그러나, 합성 종성의 경우에 추가 영역 1을 이용하지 않고 종성 영역에 모두 표기되도록 처리될 수도 있다. 상기 4분할된 영역과 상기 추가영역 1은 도 3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동일한 사이즈를 갖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3(a)와 같은 표기 구조는 컴퓨터와 같은 정보처리시스템 내부 또는 외부에서 모두 이용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표기 구조로 표기되는 예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도 3의 ①은 인가되는 글꼴이 '자음+세로 모음'으로 이루어진 경우로, 초성에 해당되는 자음 'ㅈ'는 4분할된 영역중 좌상측 영역에 표기되고, 중성에 해당되는 세로 모음 'ㅏ'는 4분할된 영역중 우상측 영역에 표기된다. 도 3의 ②는 인가되는 글꼴이 '자음+세로 모음+받침'으로 이루어진 경우로, 초성에 해당되는 자음 'ㅈ'은 4분할된 영역중 좌상측 영역에 표기되고, 중성에 해당되는 세로 모음 'ㅣ'는 4분할된 영영중 우상측 영역에 표기되고, 종성에 해당되는 받침 'ㄴ'은 4분할된 영역중 우하측 영역에 표기된다. 도 3의 ③은 인가되는 글꼴이 '자음+가로 모음+받침'으로 이루어진 경우로, 초성에 해당되는 자음 'ㅇ'은 좌상측 영역에 표기되고, 중성에 해당되는 가로 모음 'ㅛ'는 좌하측 영역에 표기되고, 종성에 해당되는 받침 'ㅇ'은 우하측 영역에 표기된다. 도 3의 ④는 인가되는 글꼴이 '자음+세로 모음+두개의 받침'으로 이루어진 경우로, 초성에 해당되는 자음 'ㅁ'은 좌상측 영역에 표기되고, 중성에 해당되는 세로 모음 'ㅏ'는 우상측 영역에 표기되고, 종성에 해당되는 'ㄴ'은 우하측 영역에 표기된다. 이 때, 받침'ㅎ'은 추가영역 1에 해당되는 우하측 영역의 우측으로 인접한 영역에 표기되도록 처리된다. 그러나 받침 'ㄶ'을 우하측 영역에 모두 표기되도록 처리할 수도 있다. 도 3의 ⑤는 인가되는 글꼴이 '자음+세로 모음+가로 모음'으로 이루어진 경우로, 초성에 해당되는 자음 'ㅇ'은 좌상측 영역에 표기되고, 세로 모음에 해당되는 'ㅐ'는 우상측 영역에 표기되고, 가로 모음에 해당되는 'ㅗ'는 좌하측 영역에 표기된다.
도 3의 ⑥은 예외의 경우로 인가되는 글꼴이 '자음+(ㅡ)모음+받침'으로 이루어진 경우이다. 이 경우에, 초성에 해당되는 자음 'ㅅ'은 좌상측 영역에 표기하고, 'ㅡ'모음은 표기를 삭제하고, 받침에 해당되는 'ㅂ'은 가로 모음이 표기되는 좌하측 영역에 표기한다. 'ㅡ'모음의 표기를 삭제한 것은 이의 표기 위치가 분할된 영역과 일치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ㅡ'모음의 삭제는 내부적으로 표기할 때만이고, 외부적으로 표기할 때에는 좌상측 영역과 좌하측 영역간의 분할영역상에 'ㅡ'가 표기되도록 처리한다. 이는 표기부(110)에서 현재 표기가 외부 표기인지 내부 표기인지에 따라 선택적으로 처리한다. 상술한 ⑥과 같이 내부 표기된 글꼴에 대해 외부적으로 표기하게 되는 경우는 표기부(110)에 의한 글꼴 분석에 의한다. 즉, 글꼴을 분석한 결과, 종성에 해당되는 자음이 가로 모음 위치에 표기된 경우이면, 상술한 예외인 경우로 판단하고, 해당되는 중성인 'ㅡ'를 초성과 종성이 표기된 영역의 경계선상에 표기한다.
도 4는 컴퓨터와 같은 정보처리시스템 외부에서만 이용되는 표기방법의 예시도로서, 좌 상측 영역에 초성이 표기되는 영역, 좌 하측 영역에 가로 모음이 표기되는 영역, 및 좌 하측 영역의 하측으로 인접하게 추가 영역 2가 설정되는 경우이다. 도 3과는 달리 도 4는 종성에 해당되는 글꼴을 가로 모음이 표기되는 좌하측 영역의 하측으로 인접한 추가 영역 2에 표기한다. 상기 초성이 표기되는 영역, 가로 모음이 표기되는 영역 및 추가 영역 2는 모두 동일한 사이즈를 갖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의 4분할 영역 및 추가영역 1과 도 4에 도시된 초성 표기 영역, 가로 모음 표기 영역 및 추가 영역 2는 도 3(b)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동일한 사이즈를 갖도록 구현할 수 있다.
즉, 도 4의 ①은 인가되는 글꼴이 도 3의 ①과 같은 글꼴로서, 도 3의 ①과 동일한 영역에 표기되고, 도 4의 ②에 제시된 글꼴 역시 도 3의 ②와 동일한 영역에 표기되고, 도 4의 ③에 제시된 글꼴은 도 3의 ③에서 제시된 글꼴과 동일하나 종성에 해당되는 자음 'ㅇ'을 추가 영역 2에 표기하고 있다. 도 4의 ④에 제시된 글꼴 및 도 4의 ⑤에 제시된 글꼴은 도 3의 ④에 제시된 글꼴 및 ⑤에 제시된 글꼴과 동일하게 표기된다. 도 4의 ⑥에 제시된 글꼴은 도 3과는 달리 가로 모음 영역에 'ㅡ'를 표기하고, 추가 영역 2에 받침에 해당되는 자음 'ㅂ'을 표기한다.
초중종성 판별부(102)의 판별결과에 따라 외부적으로 표기할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표기에 대한 위상영역을 2분할한 표기환경에서 운영할 것인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표기에 대한 위상영역을 3분할한 표기환경에서 운영할 것인지는 운영자에 의해 인가되는 표기정보에 의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글꼴을 표기하는데 있어서 각 음소는 7비트로 표현된 정보의 형태를 이용한다. 따라서 표기부(110)는 표기된 글꼴을 수정 또는 삭제와 같은 편집을 하고자 할 때, 커서의 이동단위를 도 3의 (a)에 빗금친 바와 같이 음소단위로 수행하여 음소단위의 편집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도 3 (b)의 ④에 대해 편집하고자 할 때, 커서는 'ㅎ'→'ㄴ'→'ㅏ'→'ㅁ'순으로 이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한글을 표기하는데 있어서, 음소단위로 초성, 중성, 종성을 판별하고, 각각 해당되는 위상에 순차적으로 표기토록 구현함으로써, 컴퓨터와 같은 정보처리시스템에서 내외부적으로 한글에 대해 음소단위 처리가 가능하여 아스키(ASCII)코드와의 일대일 대응으로 인터넷상에서 발생되는 한글의 호환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음소단위의 글자편집이 가능하여 빠른 편집을 기대할 수 있어 한글을 사용한 우리말 지식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Claims (19)

  1. 음소단위로 인가되는 글꼴의 자음과 모음의 배열 구조에 따라 상기 음소 단위로 인가되는 글꼴이 초성인지, 중성인지, 종성인지를 판별하는 판별부;
    초성 글꼴용 전송라인을 통해 상기 판별부로부터 초성 글꼴이 전송되면, 초성 위상에 표기하고, 중성 글꼴용 전송라인을 통해 상기 판별부로부터 중성 글꼴이 전송되면, 중성 위상에 표기하고, 종성 글꼴용 전송라인을 통해 상기 판별부로부터 종성 글꼴이 전송되면 종성 위상에 표기하는 표기부를 포함하는 글꼴 표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기부는 운영자에 의해 설정된 표기 정보에 따라 가로 표기에 대한 위상 영역을 2분할한 표기환경과 3분할한 표기환경중 하나를 선택하여 운영되는 글꼴 표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기부는 표기영역을 4등분하고, 상기 4등분된 영역중 좌상측 영역을 상기 초성의 위상으로 설정하고, 우상측 영역과 좌하측 영역을 중성의 위상으로 설정하고, 우하측 영역을 종성의 위상으로 설정하여 운영되는 글꼴 표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기부는 상기 종성에 해당되는 자음이 2개인 경우에, 뒤의 자음은 상기 우하측 영역의 우측으로 인접한 영역에 표기되도록 위상을 설정하는 글꼴 표기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기부는 상기 중성이 표기되는 영역중 우상측 영역에는 세로 모음을 표기하고, 상기 좌하측 영역에는 가로 모음을 표기하도록 위상을 설정하는 글꼴 표기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표기부는 상기 중성이 가로 모음이고, 연속해서 인가되는 글꼴이 종성에 해당되는 자음인 경우에, 상기 자음을 상기 좌하측 영역의 하측으로 인접한 영역에 상기 종성을 표기하는 글꼴 표기 장치.
  7. 제 4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4등분된 영역과 상기 우측으로 인접한 영역 및 상기 하측으로 인접한 영역은 모두 동일한 사이즈를 갖는 글꼴 표기 장치.
  8.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기부는 표기된 글꼴에 대한 편집시, 음소단위로 처리하는 글꼴 표기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음소단위로 인가되는 글꼴이 연속해서 모음이 인가되거나 연속해서 자음이 인가되는 경우에 연속되는 음소가 합성음인지를 판별한 결과에 따라 해당되는 위상에 표기될 수 있도록 상기 표기부로 전송하는 글꼴 표기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기부는 현재 표기가 해당되는 시스템의 내부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현재 인가되는 글꼴의 중성이 (ㅡ)모음인 경우에 상기 (ㅡ)모음의 표기를 삭제하고, 상기 인가되는 글꼴의 종성은 상기 중성이 표기되는 위상중 가로 모음이 표기되는 위상에 표기하는 글꼴 표기 장치.
  11. 음소 단위로 인가되는 글꼴의 자음과 모음의 배열 구조에 따라 상기 음소 단위로 인가되는 글꼴이 초성인지, 중성인지, 종성인지를 판별하는 제 1 판별단계;
    상기 음소 단위로 인가되는 글꼴이 초성이면 초성 위상에, 중성이면 중성 위상에, 종성이면 종성 위상에 음소 단위로 순차적으로 표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글꼴 표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위상은 4등분으로 분할하고, 상기 4등분한 영역중 좌상측 영역을 상기 초성의 위상영역으로 설정하고, 우상측 영역과 좌하측 영역을 상기 중성의 위상영역으로 설정하고, 우하측 영역을 종성의 위상영역으로 설정하는 글꼴 표기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판별단계는 상기 음소단위로 인가되는 글꼴이 연속해서 모음이 인가되거나 연속해서 자음이 인가되는 경우에 연속되는 음소가 합성 음인지를 판별하는 제 2 판별단계, 및 상기 제 2 판별단계에서 판별한 결과에 따라 해당되는 위상에 표기될 수 있도록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글꼴 표기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기 수행 단계는 상기 종성에 해당되는 자음이 2개인 경우에, 뒤의 자음을 상기 우하측 영역의 우측으로 인접한 영역에 표기되도록 처리하는 글꼴 표기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기 수행 단계는 상기 중성이 가로 모음이고, 연속해서 인가되는 글꼴이 종성에 해당되는 자음인 경우에, 상기 자음을 상기 최하측 영역의 하측으로 인접한 영역에 표기되도록 처리하는 글꼴 표기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기 수행 단계는 상기 글꼴이 이전에 인가된 모음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자음이 연속적으로 인가된 경우에, 상기 자음이 독립된 초성으로 표기되도록 처리하는 글꼴 표기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소단위의 글꼴은 7비트로 표현된 정보의 형태로 구성되는 글꼴 표기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기 수행단계는 현재의 표기수행이 해당되는 시스템의 내부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현재 인가되는 글꼴의 중성이 (ㅡ)모음인 경우에 상기 (ㅡ)모음의 표기를 삭제하고, 상기 인가되는 글꼴의 종성은 상기 중성이 표기되는 위상중 가로 모음이 표기되는 위상에 표기하는 글꼴 표기 방법.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기수행단계는 표기된 글꼴에 대한 편집시, 음소단위로 처리하는 글꼴 표기 방법.
KR1019990067798A 1999-12-31 1999-12-31 글꼴 표기 장치 및 방법 KR100334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7798A KR100334126B1 (ko) 1999-12-31 1999-12-31 글꼴 표기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7798A KR100334126B1 (ko) 1999-12-31 1999-12-31 글꼴 표기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6209A KR20010066209A (ko) 2001-07-11
KR100334126B1 true KR100334126B1 (ko) 2002-05-09

Family

ID=19634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7798A KR100334126B1 (ko) 1999-12-31 1999-12-31 글꼴 표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41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1624B1 (ko) * 2017-01-08 2022-09-07 윤경숙 글자를 성분 단위로 수정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6209A (ko) 2001-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7585A (en) Method for obtaining common mode information and common field attribute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card images
GB2227110A (en) Keyboard coding of Chinese
RU2223864C2 (ru) Способ скоростного набора на клавиатуре
KR100334126B1 (ko) 글꼴 표기 장치 및 방법
JPH08179789A (ja) 音声情報表示装置
US472736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RT display screen
KR0164405B1 (ko) 한/영 혼용문 자동구분방법
JPH0628396A (ja) 電子化辞書装置
JP2005284865A (ja) 広東語入力プログラム
KR200212381Y1 (ko) 정음 한글 입력장치
JPS6288050A (ja) 文字処理装置
JPH08263046A (ja) 文字表示方法および装置
JPS5814249A (ja) 罫線表示制御方式
JPH01290032A (ja) 音声認識表示装置
KR950012198A (ko) 한글워드프로세서에서의 영한자동변환장치
JP2573183B2 (ja) かな漢字変換装置
JPH0721189A (ja) 翻訳支援装置
JPS60196868A (ja) 仮名漢字変換装置
JPS62269263A (ja) 日本語文書処理装置における仮名漢字変換処理方式
JP2004355248A (ja) 電子辞書
JPH10187700A (ja) 文書処理装置
JPS58103029A (ja) 文章編集装置
JPH0520324A (ja) 文書処理装置
JPS62156770A (ja) 情報処理装置
JPH047902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