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2998B1 - 스크린팩교환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린팩교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2998B1
KR100332998B1 KR1019950017530A KR19950017530A KR100332998B1 KR 100332998 B1 KR100332998 B1 KR 100332998B1 KR 1019950017530 A KR1019950017530 A KR 1019950017530A KR 19950017530 A KR19950017530 A KR 19950017530A KR 100332998 B1 KR100332998 B1 KR 100332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s
slide bar
main body
channel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7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0505A (ko
Inventor
오고시슌지
요시다미노루
무꾸다노부오
이시다야스히꼬
이마무라유끼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니혼 세이꼬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니혼 세이꼬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니혼 세이꼬쇼
Priority to KR1019950017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2998B1/ko
Publication of KR970000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2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2998B1/ko

Links

Landscapes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팩 교환장치는 최소 2개 또는 4개의 스크린팩 (3)(3a)(5)(5a)들을 가진 단일 슬라이드바(4)(6)가 실린더(20)상에 배치된 주몸체(1)내에 미끄럼 가능하게 구비되는 방법으로 배치된다. 슬라이드바(4)(6)가 이동됨에 따라, 전체윤곽은 콤팩트하게 만들어질 수 있으며 필터링 면적은 크게 만들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스크린팩 교환장치
본 발명은 스크린팩 교환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종래의 것보다 넓은 필터링 부분을 만들고 장치의 전체 형상을 콤팩트하게 만들기 위한 새로운 개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온 이와 같은 형식의 수지 압출 장치용 스크린팩 교환장치로서, 제14도 내지 제16도에 도시된 제1의 종래 실예와 제17도 내지 제21도에 도시된 제2의 종래 실예를 인용할 수 있다.
즉, 제14도 내지 제16도에서 참고번호(1)로 표시된 주몸체는 용융된 수지를 안내하기 위한 수지채널(2)을 가지고 있으며, 수재채널(2)은 주몸체(1) 내측에서 분기된 제1 및 제2채널부(2A)(2B)로 분기된다. 주몸체(1)에서 제1 채널부(2A)와 일치하는 곳에 형성된 제1 관통공(a)내에 배치된 제1스크린팩(3)을 가진 제1슬라이드바(4)와 제2채널부(2B)에 상당하는 곳에 형성된 제2 관통공(b)내에 배치된 제2슬라이드바(6)는 각각 작동기들에 의해 미끄러질 수 있는 방법으로 제1 및 제2채널부(2A),(2B)에 수직으로 구비된 제1 및 제2 관통홈(7)(8)들 내에 구비된다.
다음, 동작에 대한 설명이 주어질 것이다. 이물질 등이 압출장치의 동작중에 제1 및 제2스크린팩(3)(5)들에 의해 포착되기 때문에 제1 및 제2 스크린팩(3)(5)들은 연속 동작중에 자동적으로 그리고 주기적으로 교환되어야 한다. 이 경우에 제1채널부(2A) 또는 제2채널부(2B)중 하나는 수지채널(2)을 완전히 닫지 않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제1슬라이드바(4) 만이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기에 의해 이동된다면, 제1스크린팩(3)은 주몸체(1) 밖으로 유도되고, 그에 의해 도시되지 않은 교환장치에 의해 제1스크린팩(3)을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
제1스크린팩(3)의 교환 후에, 제1슬라이드바(4)는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고, 그때 제2슬라이드바(6)가 유사한 방법으로 제2스크린팩(5)을 교환하기 위해 이동한다.
또한, 제17도 내지 제21도에 도시된 또 다른 종래의 실예에서, 주몸체(1)에 형성된 수지채널(2)의 내부로서 X 형상으로 형성되는 4개의 제1, 제2, 제3, 제4 채널부(2A),(2B),(2C),(2D)는 한 쌍의 상부 및 하부 스테이지, 즉 각 스테이지에 대한 한 쌍의 채널부내에 배치된다. 각각 제1, 제2, 제3, 제4 관통공(a),(b),(c),(d)들 내에서 제1 및 제2스크린팩(3)(5)들 및 제3 및 제4스크린팩(3a),(5a)들을 가진 제1 및 제2슬라이드바(4)(5)들은 제1 및 제2 작동기(10),(11)들에 의해 미끄러질 수 있는 방법으로 제1, 제2, 제3, 제4 채널부(2A),(2B),(2C),(2D)들에 수직으로 구비된 제1 및 제2관통홈(7),(8)들 내에 구비된다.
다음, 동작의 설명이 주어진다. 먼저, 제2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드바(4)가 우측으로 이동된다면, 제1 및 제3 스크린팩(3)(3a)들은 각각의 제1 및제2 채널부(2A),(2B)로부터 분리된다. 제1슬라이드바(4)가 동일한 방향으로 더욱 이동됨에 따라, 제1스크린팩(3)은 제2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채널부(2B)에 일치하며, 제3스크린팩(3a)은 주몸체(1) 외측에 배치되고 새로운 것으로 교환될 수 있다.
또한, 만일 제1슬라이드바(4)가 제21도에 도시된 것과 반대방향으로 이동된다면, 제3스크린팩(3a)은 제1채널부(2A)에 일치하며, 제1스크린팩(3)은 주몸체(1) 외측에 배치되고 새로운 것으로 교환될 수 있다.
제2슬라이드바(6)가 유사하게 이동됨에 따라 제2 및 제4스크린팩(5)(5a)들이 교환된다.
또한, 제22도 내지 제28도에 도시된 또다른 종래의 실예에서 구비된 배열은 수지 채널(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지름을 가진 제1, 제3 및 제2, 제4 스크린팩(3)(3a),(5),(5a)들이 제1, 제2, 제3, 제4 관통공(a)(b)(c)(d)들 내에 구비되는 제1슬라이드바(4)가 제1작동기(10)에 의해 주몸체(1) 내에 구비된 한 개의수지채널(2)을 가로질러 형성된 제1관통홈(7) 내에서 미끄러지는 것과 같은 것이다. 제1, 제2, 제3, 제4 관통공(a)(b)(c)(d)들 및 제1, 제3 및 제2, 제4 스크린팩(3)(3a)(5)(5a)들은 제1슬라이드바(4)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다.
다음, 동작의 설명이 주어진다. 우선, 만일 제1슬라이드바(4)가 제1작동기(10)에 의해 제25도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된다면, 제1관통공(a)과 수지채널(2)사이의 일치는 약 1.5배로 된다. 제26도에서, 제1 및 제2관통공(a)(b)들과 수지채널(2)의 쌍은 서로 약 1.25배로 일치하며, 제27도에서 제2관통공(b)의 약 1.5배는 수재채널(2)에 일치한다. 제1슬라이드바(4)가 연속적으로 이와 같은 방법으로 이동되고 제28도에 도시된 위치에 배치된다면 제1관통공(a)내의 제15스크린팩(3)은 주몸체(1) 외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1스크린팩(3)은 새로운 것으로 교환될 수 있다.
제1슬라이드바(4)가 유사한 방법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더욱 이동됨에 따라 제3스크린팩(3a)은 교환될 수 있다.
만일 제2 및 제4스크린팩(5)(5a)들 또한 제1슬라이드바(4)_가 전술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된다면 유사한 방법으로 교환될 수 있다.
종래의 스크린팩 교환장치들은 전술된 바와 같이 배치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들이 있다.
즉, 제14도 내지 제16도에 도시된 종래의 배열에서 한 쌍의 슬라이드바가 스크린팩들을 이동시키기 위해 필요하기 때문에 상기 배열은 대형 압출장치에 적용하기 어렵다. 또한, 다수의 작동기들이 슬라이드바들을 구동하기 위해서 필요하기 때문에 구조를 단순화하고 가격을 낮추기 어려웠다.
또한, 제17도 내지 제21도에 도시된 종래의 배열에서, 용융된 수지의 통로가 슬라이드바가 제2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하는 동안 차단되는 위치에 있다. 용융된 수지를 일정하게 흐르게 하기 위하여 스크린팩들을 구성하는 구성부품들, 브레이커(breaker)판, 슬라이드바 및 작동기들을 상부 및 하부 스테이지들에 대한 한 쌍의 세트에 필요하고, 한 개의 슬라이드바에 의해 용융된 수지가 일정하게 흐르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22도 내지 제28도에 도시된 종래의 배열에서, 용융된 수지를 일정하게 흐르게 할 수 있더라도, 모두 원형인 수지채널(2)과 제1, 제2, 제3, 제4관통공(a)(b)(c)(d)들이 제25도, 제26도 및 제27도에 도시된 중간위치 등에서 서로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경우에 편향된 흐름이 발생하고, 따라서 실제적으로 작동하는 필터링 면적이 작게된다. 따라서 필터링 면적이 근본적으로 작기 때문에, 초기 압력 손실이 스크린팩의 교체빈도가 증가하는 결과로 크게 되고, 그에 의해 생산성의 감소를 야기한다.
따라서, 제1슬라이드바(4)는 비교적 긴 것이 필요하고, 따라서 장치는 그 크기가 크게된다.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서 제안되었으며,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것보다 넓은 필터링 면적을 만들고 장치의 전체 윤곽을 콤팩트하게 만들 수 있는 압출장치 내에 스크린팩 교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가지 관점에 따르면 용융된 수지용 수지채널과 수지채널을 가로지르는 관통홈을 구비한 주몸체 및 수지채널과 연통하는 관통공들이 구비되고 스크린팩들과 끼워진 슬라이드바로 구성된 스크린팩 교환장치가 구비되며, 슬라이드바는 주몸체내의 관통홈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한 쌍의 관통공이 슬라이드바 내에서 서로 인접하게 구비되고, 관통공들 각각은 유입포트와 비교하여 그 유입포트와 동심적으로 교축된 유출포트를 가지고 있는 반면에 유출포트는 수지채널 유입구의 채널 폭과 관통공들 사이의 최단거리와의차이의 1.5배인 작은 지름으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수지채널의 유출구가 유입구와 동심적으로 형성되고 관통공들의 유출포트들의 서로 가장 먼 외주부들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폭으로 구비되며, 관통공의 유입포트의 개구부 폭 보다 큰 길이를 가진 관통홈이 유입구의 양측면들을 가로질러 뻗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형성되는 주몸체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용융된 수지용 수지채널과 수지채널을 가로지른 관통홈을 구비한 주몸체와 수지채널과 연통하는 관통공이 구비되고 스크린팩들과 끼워지는 슬라이드바로 구성된 스크린팩 교환장치가 구비되며, 슬라이드바는 주몸체내의 관통공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여기에서 한 쌍의 3방향 관통공은 슬라이드바 내에서 서로 인접하여 구비되며, 한 쌍의 3방향 관통공 각각은 축선에 직각 방향으로 슬라이드바의 외주로부터 뻗고 3방향 관통공들 각각의 중심부에서 서로 연통하는 3개의 포트들을 가지고 있다.
또한, 슬라이드바는 3방향 관통공 각각의 3개 포트들 중 2개의 포트는 각각 스크린팩들과 합체하며 주몸체내의 수지채널의 유입구와 연통하고, 반면에 그 나머지 포트는 수지채널의 유출구와 연통하다.
또한 주몸체는 수지채널의 유입구 및 유출구가 2개의 3방향 관통공을 벌리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서로 동심적으로 형성되도록 배치되고, 3방향 관통공의 열린 폭보다 큰 길이를 가진 관통홈은 유입구와 유출구 각각의 양측면을 가로질러 뻗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관점에 따른 스크린팩 교환장치에서, 슬라이드바의 서로 인접하여 구비된 관통공의 유입포트들은 동일한 비율로 개방되도록 만들어지고 주몸체내의 수지채널의 유입측 채널부와 연통되게 배치되기 때문에 2개의 관통공의 유출포트들은 완전히 개방되도록 만들어지고 수지채널의 유출측 채널과 연통한다. 또한 각각의 유출포트가 주몸체내의 수지채널 유입구의 채널폭과 유입포트들 사이의 최단거리간의 차이의 1.5배인 지름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유입포트는 각각의 유출포트의 지름에 일치하는 부분에 의해 수지채널 유입구로 개방된다.
이 상태(정상상태)에서 용융된 수지는 동등한 양만큼 관통공 들의 안, 밖으로 흐르며, 용융된 수지는 각각 관통공들내에 통로를 구비한 스크린팩들에 의해 여과된다. 이 상태에서, 만일 슬라이드바가 한 방향으로 이동된다면 이동방향측의 관통공은 수지채널의 유입측 채널부 및 유출측 채널부에 대해 점차적으로 감소되는 유입포트와 유출포트의 열린 면적을 가지며, 유입포트와 유출포트는 마침내 닫힌다. 만일 슬라이드바가 동일한 방향으로 더욱 이동되면, 이동방향측의 관통공은 주몸체 외측에 노출되며, 그에 의해 관통공내에 구비된 스크린팩을 교환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다른 관통공은 수지채널과 연통하는 상태에 존재하기 때문에 용융된 수지의 필터링이 수행된다.
스크린팩이 교환 후에 만일 슬라이드바가 그 원래위치로 이동된다면, 관통공은 정상위치로 되돌아간다.
슬라이드바의 전술된 왕복운동에서 이동방향측의 관통공은 일시적으로 그 유입포트와 유출포트를 완전히 닫도록 하기 때문에 용융된 수지는 누설되지 않는다.
만일 슬라이드바가 정상위치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유사하게 왕복된다면, 다른 스크린팩은 교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관점에 따른 스크린팩 교환장치에서 주몸체내의 수지채널의 유입측 채널부와 유출측 채널부가 각각 벌리는 방법으로 동일한 비율로 개방되도록 만들어지고 서로 인접하게 구비된 2개 유출포트들과 유입포트들에 대해 연통하는 상태로 슬라이드바가 배치됨에 따라 관통공들은 주몸체내의 수지채널과 연통한다.
또한, 수지채널의 유입측 채널부는 각 관통공의 2개 포트들과 연통하고, 반면에 그 유출측 채널부는 각 관통공의 나머지 포트와 연통한다.
이 상태(정상상태)에서 용융된 수지는 동일한 양만큼 관통공들의 안팎으로 흐르고 용융된 수지는 각각 각 관통공의 2개 포트내에서 통로를 구비한 스크린팩들에 의해 여과된다.
이 상태에서 만일 슬라이드바가 한 방향으로 이동된다면, 이동방향측의 관통공은 수지채널의 유입측 채널부와 유출측 채널부에 대해 점차적으로 감소되는 유입포트들과 유출포트들의 열린 면적을 가지며, 유입포트들과 유출포트는 마침내 닫힌다. 만일 슬라이드바가 동일한 방향으로 더욱 이동된다면 이동방향측의 관통공은 주몸체 외측에 노출되며, 그에 의해 관통공 내에 구비된 스크린팩을 교환할 수 있도록 된다.
한편으로 다른 관통공은 수지채널과 연통하는 상태에 존재하기 때문에 용융된 수지의 필터링이 수행된다.
스크린팩의 교환 후에 만일 슬라이드바가 그 본래위치로 이동된다면, 관통공은 그 정상위치로 되돌아간다.
슬라이드바의 전술한 왕복운동에서 이동방향측의 관통공은 일시적으로 유입포트와 유출포트를 완전히 닫기 때문에 용융된 수지는 누설되지 않는다.
슬라이드바가 정상위치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유사하게 왕복된다면 다른 스크린팩은 교환될 수 있다.
이제 첨부도면들을 참고로 하여 상세한 설명이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팩 교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주어질 것이다. 상세한 설명은 종래 실예들의 것들과 동일하거나 동등한 부분들에 대한 동일한 참고번호를 사용하여 행해진다. 제1도 내지 제8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고, 제9도 내지 제13도는 제2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도 내지 제8도에서 수지를 혼합하고, 용융하며 압출하기 위한 압출장치의 실린더(20)를 구비한다. 단일 슬라이드바(4)를 갖는 주몸체(1)는 실린더(20)의 말단부에 연결되며, 다이(22)와 커터장치(23)는 결과적으로 주몸체(1)의 하류측에 연결된다. 수지의 흐름방향에 수직으로 뻗은 관통홈(7)은 주몸체(1)내에 구비된다.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축선에 수직인 방향으로 뻗은 한 쌍의 제1 및 제2관통공(a)(b)들을 가진 슬라이드바(4)는 유압실린더와 같은 작동기로드(10a)에 의해 관통홈(7)내로 그리고 밖으로 자유롭게 미끄러질 수 있는 방법으로 관통홈(7)내에 삽입된다. 주몸체(1)내에 구비되며 유입구(2a)와 유출구(2b)로 구성된 용융된 수지용 수지채널(2)은 슬라이드바(4)내의 제1 및 제2관통공(a)(b)들과 연통하도록배치된다. 제1 및 제3스크린팩(3)(3a)들은 각각 교환될 수 있는 방법으로 제1 및 제2관통공(a)(b)들 내에 구비된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선 방향으로 단일 슬라이드바(4)의 2개의 위치들에 배치된 제1 및 제3스크린팩(3)(3a)들에 대한 연속적인 동작중에 수지채널(2)을 차단하지 않는 구조를 구비하기 위하여, 용융된 수지용 유입구(2a)와 유출구(2b)는 2개 위치들에 배치된 제1 및 제3스크린팩(3)(3a)들을 벌리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배치된다. 슬라이드바(4)내에 배치된 제1 및 제3스크린팩(3)(3a)들의 형상들과 제1 및 제3스크린팩(3)(3a)들을 보호하기 위한 브레이커판(3A)들의 형상들은 그들 각각의 중심선(X)들에 대해 대칭적이며 유입구(2a)와 유출구(2b)는 주몸체(1)의 중심선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유입구(2a)의 폭 또는 지름(D)은 스크린팩들 각각의 폭 또는 지름보다 작게 그리고 제1 및 제2관통공(a)(b) 사이의 벽두께(H)보다 크게 설정된다.
또한, 제1 및 제2관통공(a)(b)들 각각의 유출포트의 폭 또는 지름(M)은 수지채널(2)의 유입구(2a)의 채널 폭(D)과 제1 및 제2관통공(a)(b)들 사이의 최단거리(H) 사이의 차이의 1.5배인 작은 지름이 되도록 형성된다.
더욱이, 수지채널(2)의 유출구(2b)는 제1 및 제2관통공(a)(b)들의 유출포트들의 상호 가장 먼 외주부분들 사이의 거리에 상당하는 크기의 폭을 형성된다. 제1 및 제2관통공(a)(b) 유입포트의 열린 폭보다 큰 길이를 가진 관통홈은 수지채널(2) 유입구(2a)의 양 측면들을 가로질러 뻗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형성된다.
제8도는 제3스크린팩(3a)의 교체시의 상태를 도시하며, 슬라이드바(4)와 주몸체(1)내의 제2관통공(b) 사이의 간격(d)은 제3 스크린팩(3a)과 브레이커판(3A)이 제거되도록 하는 최소크기가 되도록 설정된다. 슬라이드바(4)가 대칭적으로 대향한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제1 스크린팩(3) 교환시의 상태가 얻어진다.
다음에 동작설명이 주어진다. 우선, 만일 슬라이드바(4)가 제1도에 도시된 제1 및 제3 스크린팩(3)(3a)들이 동시에 사용되는 정상상태로 설정된다면 압출장치(11)의 나사(11a)에 의해 압출된 용융된 수지(도시되지 않음)는 슬라이드바(4)내의 제1 및 제2관통공(a)(b)들 내의 제1 및 제3스크린팩(3)(3a)들을 경유하여 주몸체(1)내의 수지채널(2)의 유입구(2a)로부터 유출구(2b)로 돌출 된다. 동시에 용융된 수지는 다이(22)의 다이노즐(22a)에 의해 돌출되며, 커터장치(23)에 의해 과립상으로 절단된다.
만일 용융된 수지의 돌출이 전술된 상태에서 계속된다면, 이물질 먼지 등은 여과되며, 제1 및 제3 스크린팩(3)(3a)들의 상류측 표면상에 침적되고, 흐름저항의 증가를 야기한다. 따라서,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슬라이드바는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상태들을 경유하여 제5도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제8도에 도시된 상태로 작동기(10)에 의해 미끄러진다.
제6도에서 제2관통공(b)의 유입포트와 유출포트는 수지채널(2)로부터 동시에 닫히며, 제2관통공(b)은 아직 주몸체(1) 밖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즉, 슬라이드바(4)의 운동중의 제6도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2관통공(b)은 관통홈(7) 내에서 밀폐되는 상태로 설정된다. 이 상태에서, 수지채널(2)을 통해 흐르는 용융된 수지는 주몸체(1) 밖으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스크린팩(3a)은 제2관통공(b)이 주몸체(1)내에서 수지채널(2)로부터 멀리 이동되며, 주몸체(1)의 외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교환된다. 이 상태에서 제1관통공(a)내의 제1스크린팩(3)이 주몸체(1)내의 수지채널(2)의 유입구(2a)와 유출구(2b)와 연통하기 때문에 용융된 수지의 흐름을 확보할 수 있다. 제3스크린팩(3a)의 교환 후에 만일 슬라이드바(4)가 되돌아오고 제8도에 도시된 위치에 대향한 위치로 더욱 이동된다면 제1스크린팩(3)의 교환은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제9도 내지 제13도에 도시된 배열은 본 발명의 제3실시에를 도시한다. 전술된 제1실시예의 것들과 동일한 부분들은 동일한 참고번호로 표시되고, 그 설명은 생략된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축선과 수직한 방향으로 단일 슬라이드바(4)의 외주면으로부터 뻗으며 각 3방향 관통공의 중심부에서 서로 연통하는 3개의 포트를 가진 제1 및 제2 3방향 관통공(이하 "관통공"이라 약칭한다 (a')(b')들은 주몸체(1)내의 관통홈(7)내에 구비된 슬라이드바(4) 내에서 서로 인접하게 구비된다.
제1 및 제2관통공(a')(b') 각각의 2개의 포트들이 유입포트들로서 설정된다.
제1 및 제2관통공(a')(b')들 각각에서 브레이커판(3A)은 그 단면이 실질적으로 갈매기 형상(V형상)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구비되며, 제1, 제3 및 제2, 제4스크린팩(3)(3a)(5)(5a)들은 그 외주면상에 고정적으로 배치된다. 제1 및 제2 관통공(a')(b')의 나머지 포트는 유출포트로서 설정된다.
제1 및 제2관통공(a')(b')들의 2개의 유입포트들은 주몸체(1) 내에서 수지채널(2)의 유입구(2a)와 연통하며, 그것의 나머지 유출포트는 유출구(2b)와 연통한다.
따라서 구비된 배열은 용융된 수지가 내측을 향해 제1, 제3 및 제2, 제4스크린팩(3)(3a)(5)(5a)의 외부면측으로부터 통과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더욱이 관통공의 열린 폭보다 큰 길이를 가진 관통홈(7)은 수지채널의 유입구(2a)와 유출구(2b)의 양측면을 가로 질러 뻗는 방법으로 형성된다.
주몸체내의 수지채널(2)의 유입구(2a)와 유출구(2b)는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상부 스테이지 및 하부 스테이지 내에 형성된다. 유입구(2a)와 유출구(2b)는 슬라이드바(4)내의 제1 및 제2 관통공(a')(b')내에 배치된 제1, 제3 및 제2, 제4 스크린팩(3)(3a)(5)(5a)들을 경유하여 서로 연통한다. 이와 같이 화살표(R)로 표시된 바와 같이 주몸체(1)의 배열은 다음과 같다 : 유입구(2a)를 통해 들어가는 용융된 수지는 제1, 제3 및 제2, 제4 스크린팩(3)(3a)(5)(5a)의 외표면 측면들로부터 내측으로 들어가는 경로를 따라 흐르고, 유출구(2b)로 방출된다. 따라서, 용융된 수지는 제1, 제3스크린팩((3)(3a)) 및 제2, 제4스크린팩((5)(5a)) 사이에 형성된 공간(40)을 통해 흐르고 제1 및 제2 관통공(a')(b')들의 유입구들에서 2개의 부분들로 분할되었고 개별적인 스크린팩들을 통해 흐르는 용융된 수지의 흐름은 공간(40)내에서 한 개의 흐름으로 통합되어야 한다.
다음에, 작동설명이 주어진다. 제10도는 주행의 정상상태를 도시한다. 용융된 수지는 제1, 제3 및 제2, 제4스크린팩(3)(3a)(5)(5a)들을 통해 일정하게 흐른다. 제12도에 도시된 상태에서 용융된 수지는 제1관통공(a')내의 제1 및 제2스크린팩(3)(5)들을 통해서만 흐르고, 제3 및 제4 스크린팩(3a)(5a)들을 받아들이는 제2관통공(b')은 수지채널(2)로부터 닫히며 아직 주몸체(1) 외측에 노출되지 않고 따라서 용융된 수지는 누설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이때에 용융된 수지는 제1, 제2 스크린팩(3)(5)들을 통해 흐르기 때문에 압출장치는 항상 연속적으로 흐를 수 있도록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바(4)가 제12도 및 제13도에 도시된 것에 대향한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1, 제2스크린팩(3)(5)들은 유사한 방법으로 교환된다. 그후에 만일 슬라이드바(4)가 제10도에 도시된 위치로 복귀된다면, 제1, 제3 및 제2, 제4 스크린팩(3)(3a)(5)(5a)들을 교환하는 일련의 동작이 완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팩 교환장치가 전술된 바와 같이 배치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장점들이 얻어질 수 있다.
즉, 한 쌍의 스크린팩들이 단일 슬라이드바 내에서 나란하기 때문에 한 개의 스크린팩은 스크린팩의 교환 중에 수지채널에 확실하게 일치하고, 종래의 실예들에서 보다 큰 필터링 면적을 얻을 수 있으며 장치의 전체윤곽을 콤팩트하게 만들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관통공 내의 2개의 스크린팩 들을 구비하는 것이 갈매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방법인 단일 슬라이드바인 것에 의해서 4개의 스크린팩들은 정상주행중에 필터링 동작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되며 2개의 스크린팩들은 교체중에 필터링 동작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종래의 배열보다 큰 필터링 면적을 얻을 수 있고, 콤팩트하고 초기 압력 손실을 낮추는 구조를 얻을 수 있으며, 작은 압력 증가를 가질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팩 교환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수직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정면도).
제4도는 제3도의 IV-IV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5도는 제3도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평면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동작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제7도는 제5도의 동작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제8도는 스크린팩이 교환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단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정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XI-X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12도는 제10도의 동작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제13도는 스크린팩이 교환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제14도는 종래의 스크린팩 교환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단면도.
제15도는 제14도의 정면단면도.
제16도는 제15도의 동작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제17도는 또 다른 종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단면도.
제18도는 제17도의 정면단면도.
제19도는 제18도의 측면단면도.
제20도는 제18도의 동작을 도시하는 개략도.
제21도는 제18도의 동작을 도시하는 개략도.
제22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종래의 실예를 도시하는 평면단면도.
제23도는 제22도의 정단면도.
제24도는 제23도의 측면단면도.
제25도는 제22도의 동작을 도시하는 개략도.
제26도는 제22도의 동작을 도시하는 개략도.
제27도는 제22도의 동작을 도시하는 개략도.
제28도는 제22도의 동작을 도시하는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주몸체 2 : 수지채널 2a : 유입구
2b : 유출구 2A : 제1채널부 2B : 제2채널부
3 : 제1스크린팩 4 : 제1슬라이드바 5 : 제2스크린팩
6 : 제2슬라이드바 7 : 제1관통홈 a,b,c,d : 제1,제2,제3,제4 관통공
10 : 작동기(actuator) 10a : 작동기로드 11 : 압출장치(extruding machine)
20 : 실린더 22 : 다이 22a : 다이노즐
23 : 커터장치 40 : 공간 a', b' : 제1, 제2, 3방향 관통공
3A : 브레이커판 X : 중심선
H : 관통공 사이의 최단거리 D : 채널폭

Claims (3)

  1. 용융된 수지용 수지채널(2)과 상기 수지채널을 가로지르는 관통홈(7)이 구비된 주몸체(1) ;
    상기 주몸체(1) 내의 상기 관통홈(7) 내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수지채널(2)과 연통하는 제1, 제2관통공(a)(b)들이 구비되고 제1, 제3스크린팩 (3)(3a)에 끼워지는 슬라이드바(4) ;
    상기 슬라이드바(4)에서 상호 인근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제2 관통공 (a)(b)을 ; 구비하고
    상기 관통공 각각은 상기 수지채널(2) 유입구(2a)의 채널 폭과 관통공들 사이의 최단 거리 사이의 차이의 1.5배인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는 유입포트와 비교하여 그 유입포트와 동심적으로 교축되고 ;
    상기 주몸체(1)는 상기 수지채널(2)의 유출구(2b)가 상기 유입구(2a)와 동심적으로 형성되는 것과 같이 배열되고 상기 관통공의 유출포트의 최단 외주부분들 사이의 거리에 상당하는 폭이 구비되며, 상기 관통공의 유입포트의 열린폭보다 큰 길이를 가진 상기 관통홈(7)이 상기 유입구의 양 측면들을 가로질러 뻗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팩 교환장치.
  2. 용융된 수지용 수지채널(2)과 상기 수지채널을 가로지르는 관통홈(7)이 구비된 주몸체(1) ;
    상기 주몸체(1) 내의 상기 관통홈(7) 내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수지채널(2)과 연통하는 관통공들이 구비되고 제1, 제3 및 제2, 제4스크린팩(3)(3a)(5)(5a)에 끼워지는 슬라이드바(4) ;
    상기 슬라이드바(4)에서 상호 인근하여 배치되는 제1,2,3방향 관통공(a')(b')를 ; 구비하고
    상기 3방향 관통공 각각은 축선에 직각인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드바의 외주면으로 뻗은 3개의 포트들을 가지고 제1 및 제2, 3방향 관통공(a')(b') 각각의 중심부분에서 서로 연통하며,
    상기 슬라이드바(4)는 상기 제1 및 제2, 3방향 관통공(a')(b')들 각각의 3개의 포트들 중 2개의 포트 각각이 상기 주몸체(1)내의 상기 수지채널(2)의 유입구(2a)와 연통하고, 상기 제1, 제3 및 제2, 제4 스크린팩(3)(3a)(5)(5a)을 포함하며, 반면에 나머지 포트는 상기 수지채널(2)의 유출구(2b)와 연통하고,
    상기 주몸체 에서 상기 수지채널의 유입구와 유출구는 상호동심으로 형성되어 제1 및 제2, 3방향 관통공을 걸치게 되고, 상기 관통홈(7)은 상기 제1 및 제2, 3방향 관통공(a')(b')의 열린 폭보다 큰 길이를 가지고 상기 유입구(2a) 및 유출구(2b) 양측을 걸쳐 뻗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팩 교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3 및 제2, 제4스크린팩(3)(3a)(5)(5a)이 V-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팩 교환장치.
KR1019950017530A 1995-06-26 1995-06-26 스크린팩교환장치 KR100332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7530A KR100332998B1 (ko) 1995-06-26 1995-06-26 스크린팩교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7530A KR100332998B1 (ko) 1995-06-26 1995-06-26 스크린팩교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505A KR970000505A (ko) 1997-01-21
KR100332998B1 true KR100332998B1 (ko) 2002-10-31

Family

ID=66524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7530A KR100332998B1 (ko) 1995-06-26 1995-06-26 스크린팩교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29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402Y1 (ko) 2014-02-04 2014-07-01 (주)영우케미칼 압출기용 스크린 체인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8957A (ko) * 1999-08-24 1999-11-05 김승길 압출기의 스크린 체인저
KR100372025B1 (ko) * 2000-08-04 2003-02-14 주식회사 한국야쿠르트 메밀 식혜음료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4186A (en) * 1988-02-29 1989-03-21 Beringer Co., Inc. Polymer filtration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4186A (en) * 1988-02-29 1989-03-21 Beringer Co., Inc. Polymer filtration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402Y1 (ko) 2014-02-04 2014-07-01 (주)영우케미칼 압출기용 스크린 체인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505A (ko) 1997-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1118A (en) Apparatus for filtering plasticized materials in extruders
US4814186A (en) Polymer filtration apparatus
US5578206A (en) Screen pack replacing apparatus
JP2855088B2 (ja) スクリーンチェンジャの瀘過方法及びスクリーンチェンジャ
JP2016209866A (ja) 高粘度流体のためのフィルタリング装置
JPS6129856B2 (ko)
KR100332998B1 (ko) 스크린팩교환장치
EP1125713B1 (en) Screen changer for use in resin extruder
US5417866A (en) Continuous flow polymer filtration apparatus and process
US7267234B2 (en) Backflushable filter device for molten material and distribution unit for a filter device of this type
KR960013065B1 (ko) 열가소성 물질용 필터
JPH06500278A (ja) フィルタ交換ユニット
JPH0890635A (ja) スクリーンチェンジャ
EP0750979A1 (en) Screen pack replacing apparatus
JP3604484B2 (ja) 流体用スクリーンチェンジャ
JP3626338B2 (ja) 樹脂成形機におけるスクリーン交換装置
JP2002320806A (ja) 流動物の濾過装置、特にポリマープラスチック溶融物の濾過装置
EP0919353B1 (de) Vorrichtung zum Filtrieren eines Fluidstromes sowie Filtermodul zur Verwendung in einer entsprechenden Vorrichtung
JPH07299310A (ja) 可塑性材料濾過装置
JP3583545B2 (ja) 溶融樹脂のスクリーン交換装置
JP2778914B2 (ja) 樹脂成形機におけるスクリーン交換装置
JPS60174627A (ja) スクリ−ンチエンジヤ
JP3509772B2 (ja) 濾過装置
JPH0857938A (ja) プラスチック押出機用スクリーン交換装置
JP3724677B2 (ja) 流体用スクリーンチェンジャ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