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2023B1 - 정신 집중력을 이용한 경품 게임장치 및 그 게임 방법 - Google Patents

정신 집중력을 이용한 경품 게임장치 및 그 게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2023B1
KR100332023B1 KR1019990053422A KR19990053422A KR100332023B1 KR 100332023 B1 KR100332023 B1 KR 100332023B1 KR 1019990053422 A KR1019990053422 A KR 1019990053422A KR 19990053422 A KR19990053422 A KR 19990053422A KR 100332023 B1 KR100332023 B1 KR 100332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prize
user
transfer bar
e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3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8644A (ko
Inventor
김성식
Original Assignee
김성식
(주) 단비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식, (주) 단비시스템 filed Critical 김성식
Priority to KR1019990053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2023B1/ko
Publication of KR20010048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8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2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20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5Input arrangements based on nervous system activity detection, e.g. brain waves [EEG] detection, electromyograms [EMG] detection, electrodermal response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in-Freed Apparatuses For Hiring Article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간의 두피로부터 검출되는 뇌파의 세기에 따라서 경품을 제공하기 위한 정신 집중력을 이용한 경품 게임기 및 그 게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어서 뇌파를 검출하는 뇌파검출수단; 및 상기 뇌파검출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하고, 입력되는 신호가 미리 설정되는 크기 이상으로 되는 경우에 설정된 소정의 경품을 출력하는 경품출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서 정신력을 이용하여 게임을 수행하고, 정신 집중력이 큰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소정의 경품을 제공하게 되며, 사용자의 정신 집중력을 측정할 수 있으며, 버튼 또는 조이스틱을 사용하지 않고 정신 집중력만으로 게임을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정신 집중력을 이용한 경품 게임장치 및 그 게임 방법{Premium game device of using mental power and method threrof}
본 발명은 정신 집중력을 이용한 경품 게임기 및 그 게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간의 두피로부터 검출되는 뇌파의 세기에 따라서 경품을 제공하기 위한 정신 집중력을 이용한 경품 게임기 및 그 게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뇌파는 인간의 두피에서 측정되는 수십 마이크로 볼트의 전위차와 주로 30헤르츠 이하의 주파수를 지닌 파장으로서, 인간의 의식 상태를 반영하는 물리값이다. 뇌파에는 알파파(α), 베타파(β), 쎄타파(θ), 델타파(δ) 및 감마파(γ) 등 4가지 종류가 있다.
알파파는 8내지 13헤르츠의 주파수를 지닌 뇌파로서, 이완된 창조적 상태에 관련되어 있다. 베타파는 14 내지 30헤르츠 이상의 주파수를 지닌 뇌파로서, 보통 인간의 오감이 기능할 때의 일상활동에 관련되어 있다. 또한 쎄타파는 4내지 7헤르츠의 주파수를 지닌 뇌파로서, 학습장애를 지닌 청소년에게서 종종 발견된다.
참고적으로 델타파는 0 내지 4헤르츠의 주파수를 지닌 뇌파로서, 정상 수면 상태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뇌파이고, 감마파는 30 내지 50 헤르츠의 주파수를 지닌 뇌파이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경품게임기는 사용자의 순발력에 의해 게임의 결과가 좌우되어서 경품을 제공받는 방식으로서 크레인으로 게임기의 내부에 준비되는 경품을 집어 올림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하좌우로 이동되는 이동버튼을 직접 손으로 조작하여 크레인의 정확한 위치를 조정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기술에 따른 경품 게임기는 단조로운 조작방법에 비하여 고도의 정확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버튼 조작이 미숙한 사용자는 쉽게 흥미를 잃어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게임에 반응하는 사용자의 정신 집중력을 측정하여 그 결과에 따라서 경품을 제공하는 정신 집중력을 이용한 경품 게임기 및 그 게임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신 집중력을 이용한 경품 게임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정신 집중력을 이용한 경품 게임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헤드밴드 12.. 케이블
20.. 경품제어부 22.. 모터
24.. 이송바 26.. 경품
28.. 센서 30.. 모니터부
40.. 선택부 42.. 버튼
50.. 경품출력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정신 집중력을 이용한 경품 게임장치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어서 뇌파를 검출하는 뇌파검출수단; 및 상기 뇌파검출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하고, 입력되는 신호가 미리 설정되는 크기 이상으로 되는 경우에 설정된 소정의 경품을 출력하는 경품출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품출력수단은, 상기 사용자가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부재로 그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뇌파검출수단의 신호에 따라서 동작되어서 상기 경품을 제어하는 경품제어부; 화면상으로 상기 사용자가 즐길 수 있는 다른 게임이 출력되는 모니터부; 상기 게임들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부; 및 상기 경품제어부에서 선택된 경품이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경품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품제어부는, 상기 뇌파검출수단의 출력에 의하여 동작되는 모터; 나사산이 구비되면서 상기 모터의 회전축 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는 이송바; 및 상기 이송바에 걸린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되는 경품이 상기 이송바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나사산을 따라서 이동되고, 상기 경품이 상기 이송바를 벗어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정신 집중력을 이용한 경품 게임방법은, 사용자의 두피로부터 뇌파를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뇌파의 세기에 따라서 게임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의 결과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에게 경품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스페셜 게임이 선택되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스페셜 게임이 선택되면, 기구상의 게임이 제어되는 단계; 상기 스페셜 게임이 선택되지 않으면, 화면상의 게임이 제어되는 단계; 및 설정값 이상으로 제어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 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신 집중력을 이용한 경품 게임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신 집중력을 이용한 경품 게임장치는, 뇌파검출수단과 경품출력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뇌파검출수단은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어서 상기 사용자의 뇌파를 검출하는데, 바람직하기로는 신축성이 있는 머리밴드로서 뇌파검출밴드(10)가 사용된다.
상기 경품출력수단은 뇌파검출밴드(10)에 연결되는 케이블(12)을 통하여 뇌파검출밴드(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하고, 입력되는 신호가 미리 설정되는 크기 이상으로 되는 경우에 설정된 소정의 경품을 출력하는데, 일실시예로서 경품제어부(20), 모니터부(30), 선택부(40) 및 경품출력부(50)를 포함한다.
상기 경품제어부(20)는 상기 사용자가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부재로 그 외관을 형성하고, 뇌파검출밴드(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서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전자회로와 그에 상응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일실시예로서 모터(22), 이송바(24) 및 센서(28)를 포함한다.
이때, 뇌파검출밴드(10)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 상기 전자회로와 그에 상응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신호 인식을 위하여 전자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상세한 구성과 동작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모터(22)는 뇌파검출밴드(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동작되는데, 뇌파검출밴드(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시켜서 입력하는 증폭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바(24)는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되면서 모터(22)의 회전축 상으로 연장되고, 모터(22)의 화살표로 도시되는 회전에 의하여 회전된다.
상기 센서(28)는 이송바(24)에 걸린 경품(26)이 이송바(24)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나사산을 따라서 이동되면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는 경품(26)이 이송바(24)를 벗어나서 떨어지면 그 충격을 감지하여 스위칭되어서 모터(22)의 회전을 정지시키게 된다.
상기 모니터부(30)에서는 상기 사용자가 즐길 수 있도록 그래픽으로서 화면상으로 표현되는 게임이 문자 또는 도형으로서 출력되는 화면을 포함한다.
상기 선택부(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42)이 구비되며, 버튼(42)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경품출력수단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준비되는 게임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게임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경품출력부(50)는 경품제어부(20)에서 경품으로서 출력되는 경품이 사용자에게 토출되는 토출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경품출력수단은 게임을 하기 위한 동전이 투입되는 동전 투입구가 구비되며, 사용자에 의하여 투입되는 소정의 금액에 의하여 동작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정신 집중력을 이용한 경품 게임장치를 도 2의 경품 게임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를 참조하여 그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의 두피로부터 뇌파를 검출한다.(60)
즉, 선택부(40)에 구비되는 버튼(42)의 조작에 의하여 게임의 종류가 선택되고, 사용자의 머리에 헤드밴드(10)가 착용되어서 사용자의 두피를 통하여 뇌파를 검출하며, 검출된 뇌파 신호는 케이블(12)을 통하여 출력된다.
이때, 실시예로서 상기 버튼(42)은 네 개의 버튼이 구비된다. 예를 들면, 제1 내지 제3버튼은 모니터부(30)에서 출력되는 그래픽 게임으로서 쉬운 게임, 보통 게임 또는 어려운 게임 등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4버튼은 랜덤(random) 버튼으로서 제1 내지 제3 버튼에 의하여 선택되는 각각의 게임이 무작위로 선택되거나 또는 경품제어부(20)의 이송바(24)를 회전시켜서 경품(26)이 토출되도록 하는 기구상에서 제어되는 게임을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버튼(42) 대신에 모니터부(30)에서 출력되는 그래픽 중 원하는 게임을 선택하기 위하여 터치 스크린 방식의 화면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게임을 화면상에서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거나 또는 준비된 게임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각각의 게임을 순환하는 커저를 준비하고, 정신 집중력에 의하여 상기 커저가 소정의 게임에서 정지하게 함에 의하여 게임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헤드밴드(10)는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자신의 손을 이용하여 자신의 머리에 댈 수 있는 패치형 또는 헤드폰과 같이 일부분을 머리에 고정시킬 수 있는 헤드폰 형 등이 사용되어서 뇌파를 검출할 수 있다.
그러면, 게임을 하기 위한 동전이 투입되거나 또는 버튼(42) 조작에 의하여 게임이 시작되고,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된 헤드밴드(10)로부터 검출된 뇌파를 입력하여 상기 뇌파의 세기에 따라서 게임을 제어하게 된다.(62 내지 68)
먼저,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스페셜 게임이 선택되었는 지를 판단하게 된다.(62)
이때, 실시예로서 상기 스페셜 게임은 헤드밴드(10)로부터 입력되는 뇌파에 의하여 이송바(24)가 회전되고, 이에 따라서 경품(26)이 토출되는 게임일 수 있다.
즉, 스페셜 게임이 선택되면, 기구상의 게임이 제어된다.(66)
예를 들면, 기구상의 게임으로서 헤드밴드(10)로부터 검출된 뇌파의 세기에 의하여 모터(22)가 회전됨에 따라서 이송바(24)가 회전되고, 이에 따라서 경품(26)이 이송바(24)에 구비된 나사산을 따라서 이송바(24)의 끝부분으로 이동된다.
즉, 경품(26)이 이송바(24)에 걸려서 여러개가 준비되고, 경품(26)이 떨어지면, 이송바(24)에 걸린 끈이 센서(28)를 건드려서 감지된다.
이때, 사용자의 뇌파 신호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경품(26) 예컨대 뇌파 신호가 크게되면 여러 개의 경품(26)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나사산 대신에 다른 실시예로서 경품(26)의 이송이 용이하도록 철심에 의하여 형성되는 스프링 형상의 가이드 라인부재가 이송바(24)의 외면에 구비되면, 상기 가이드 라인부재를 따라서 경품(26)이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로서 3개의 이송바(24)와 5개의 경품(26)이 도시되었으나, 많은 경품(26)을 준비하기 위하여 더 많은 이송바(24)와 경품(26)이 준비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한편, 스페셜 게임이 선택되지 않으면, 화면상의 게임이 제어된다.(64)
예를 들면, 화면상의 게임으로서 모니터부(30)의 화면에 회전원판, 숟가락, 카드 또는 그에 상당하는 물건을 나타내고, 헤드밴드(10)로부터 검출된 뇌파의 세기에 의하여 복권추첨과 같이 회전원판상에 준비된 경품을 정지되는 위치에 의하여 선택하거나 또는 화면에 나타난 숟가락을 휘게 하거나 또는 검출되는 뇌파 신호에 따라서 카드 배면의 그림을 알아맞히거나 또는 상기 물건을 화면상에서 표현되는 상측 방향 예컨대 공중으로 부양시키는 등의 제어를 매 순간 사용자의 정신 집중 에 따라서 측정되는 뇌파 신호에 의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모니터부(30)의 화면상에서 사용자에게 '정신을 집중하세요' 또는 '조금 더 정신을 집중하면 움직일 수 있습니다.' 라는 등의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으며, 경품출력수단에 스피커를 구비하여 이를 오디오 신호로서 출력할 수도 있다.
그러면, 뇌파 신호가 프로그램에 의하여 설정된 값 이상으로 제어되는 지를 판단하게 된다.(68)
즉, 헤드밴드(10)로부터 입력되는 뇌파 신호가 프로그램에 의하여 설정되는 값 이상으로 되는 지를 판단하고, 모니터부(30)의 화면에 나타난 회전원판의 정지되는 시간을 조정하거나 또는 숟가락의 휘는 정도가 미리 설정되는 정도보다 크게 되거나 또는 소정의 물건을 공중으로 부양시키는 정도가 크게 되는 지를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설정된 값 이상으로 제어되면, 그에 상응하는 소정의 경품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70)
즉, 스페셜게임인 경우, 헤드밴드(10)로부터 입력되는 뇌파신호가 이송바(24)의 회전이 충분히 될 정도의 큰 신호이면, 이송바(24)가 계속 회전됨에 따라서 경품(26)이 이송바(24)로부터 떨어져서 경품출력부(50)로 출력되어 헤드밴드(10)를 머리에 장착한 사용자에게 공급되도록 동작된다.
또한, 스페셜 게임이 아닌 경우, 모니터부(30)의 화면에 나타난 회전원판의 정지위치, 숟가락의 휘는 정도, 카드 배면의 그림 또는 물건의 공중부양 등의 정도를 제어하는 사용자가 뇌파의 제어에 의하여 단순히 게임을 즐길 수 있거나 또는 제어 정도에 따라서 경품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프로그램이 설정될 수 있다.
실시예로서 모니터부(30)의 화면에 회전원판이 출력되는 경우, 상기 회전원판은 헤드밴드(10)로부터 입력되는 뇌파 신호에 따라 브레이크를 동작시켜서 그 회전이 정지되게 된다.
이때, 브레이크가 회전원판을 정지시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브레이크가 회전원판에 닿으면 불꽃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헤드밴드(10)로부터 입력되는 뇌파를 입력하여 브레이크가 회전원판에 가해지는 정지력을 제어하기 때문에 정지되는 시간이 조절된다.
또한, 상기 회전원판에는 여러 등급으로 설정되는 상품이 표기되고, 하나의 화살표시가 설정되어서 회전원판이 정지될 때, 상기 화살표시가 가르키는 상품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또, 경품출력부(50)에 스피커를 구비하면, 상기 회전원판이 정지될 때, 효과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경품(26)이 출력되거나 또는 화면상에서 제어되어서 게임이 종료되면, 그 제어된 정도와 측정된 사용자의 뇌파 수치를 모니터부(30)의 화면상에서 출력하게 된다.(72)
즉, 게임 중에 사용된 사용자의 정신집중력의 측정결과를 모니터부(30)의 화면상에서 사용자가 인식하기 용이한 문구 예컨대 '당신의 집중력은 74%입니다.', '당신은 집중력이 높은 상태입니다. 당신은 초능력자 소질이 있습니다.', '당신은 집중력이 보통입니다.', '당신은 좀 더 집중할 필요가 있습니다.' 등의 문구가 출력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신력을 이용하여 게임을 수행하고, 정신 집중력이 큰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소정의 경품을 제공하게 되며, 이에 따라서 사용자의 정신 집중력을 측정할 수 있으며, 버튼 또는 조이스틱을 사용하지 않고 정신 집중력만으로 게임을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어서 뇌파를 검출하는 뇌파검출수단;
    상기 뇌파검출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하고, 입력되는 신호가 미리 설정되는 크기 이상으로 되는 경우에 설정된 소정의 경품을 출력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가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부재로 그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뇌파검출수단의 신호에 따라 동작되어서 상기 경품을 제어하는 경품제어부;
    화면상으로 상기 사용자가 즐길 수 있는 다른 게임이 출력되는 모니터부;
    상기 게임들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부; 및
    상기 경품제어부에서 선택된 경품이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경품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 집중력을 이용한 경품 게임장치.
  2. 청구항2는 삭제 되었습니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품제어부는,
    상기 뇌파검출수단의 출력에 의하여 동작되는 모터;
    나사산이 구비되면서 상기 모터의 회전축 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는 이송바; 및
    상기 이송바에 걸린 경품이 상기 이송바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나사산을 따라서 이동되고, 상기 경품이 상기 이송바를 벗어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 집중력을 이용한 경품 게임장치.
  4. 사용자의 두피로부터 뇌파를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뇌파의 세기에 따라서 게임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스페셜 게임이 선택되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스페셜 게임이 선택되면, 기구상의 게임이 제어되는 단계;
    상기 스페셜 게임이 선택되지 않으면, 화면상의 게임이 제어되는 단계;
    설정값 이상으로 제어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측정된 뇌파의 수치를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의 결과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에게 경품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 집중력을 이용한 경품 게임방법.
  5. 청구항5는 삭제 되었습니다.
  6. 청구항6는 삭제 되었습니다.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상의 게임은,
    숟가락, 카드 또는 그에 상당하는 물건을 화면상에 나타내고,
    상기 사용자의 뇌파 세기에 따라서 상기 숟가락을 휘거나 또는 카드의 배면에 표기된 그림을 알아맞히거나 또는 상기 물건을 공중으로 부양시키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 집중력을 이용한 경품 게임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상의 게임은,
    상기 사용자의 뇌파에 의하여 동작되는 모터;
    나사산이 구비되면서 상기 모터의 회전축 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이송바; 및
    상기 이송바에 걸린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되는 경품이 상기 이송바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나사산을 따라서 이동되고, 상기 경품이 상기 이송바를 벗어나는 것을 감지하며, 감지된 출력에 의하여 상기 모터의 동작이 정지2되도록 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뇌파의 세기에 의하여 상기 이송바가 회전되고 이에 따라서 상기 경품이 소정 범위를 이동하여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 집중력을 이용한 경품 게임방법.
KR1019990053422A 1999-11-29 1999-11-29 정신 집중력을 이용한 경품 게임장치 및 그 게임 방법 KR100332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3422A KR100332023B1 (ko) 1999-11-29 1999-11-29 정신 집중력을 이용한 경품 게임장치 및 그 게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3422A KR100332023B1 (ko) 1999-11-29 1999-11-29 정신 집중력을 이용한 경품 게임장치 및 그 게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8644A KR20010048644A (ko) 2001-06-15
KR100332023B1 true KR100332023B1 (ko) 2002-04-10

Family

ID=19622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3422A KR100332023B1 (ko) 1999-11-29 1999-11-29 정신 집중력을 이용한 경품 게임장치 및 그 게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20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7133B1 (ko) * 2003-03-14 2005-06-28 주식회사 헬스피아 암기력 자가 증진 트레이닝 시스템
KR101044570B1 (ko) * 2009-07-27 2011-06-29 주식회사 소소 Smr 파를 이용한 경품 게임 장치 및 경품 게임 방법
KR101656186B1 (ko) * 2015-06-05 2016-09-08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Smr파를 이용한 상태표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8644A (ko) 200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51228B2 (ja) 遊技機及び遊技機用プログラム及び遊技機用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EP1291829A3 (en) Gaming apparatus having touch pad input
JP3600516B2 (ja) 遊技台
JP4052892B2 (ja) スロットマシン
JP2007325611A (ja) 遊技機
KR100332023B1 (ko) 정신 집중력을 이용한 경품 게임장치 및 그 게임 방법
JP2004097280A (ja) 遊技機
JP2005102748A (ja) スロットマシン
JP2007029759A (ja) パチンコ遊技機
JP3751234B2 (ja) 遊技機及び遊技機用プログラム及び遊技機用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3130466B2 (ja) スロットマシン
JP2000024172A (ja) 図柄組合せ遊技装置及び図柄組合せ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JP4675930B2 (ja) 遊技台
JP4434722B2 (ja) スロットマシン
JP4074740B2 (ja) パチンコ機
JPH0324875B2 (ko)
JP2006122590A (ja) 遊技機
JP2005103029A (ja) 遊技機
JP2007020910A (ja) 遊技機
JP2003038724A (ja) 遊技機
JP2006175259A (ja) 遊技機及び遊技機用プログラム及び遊技機用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3863453B2 (ja) 遊技機、遊技機用プログラム及び遊技機用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7174012B2 (ja) 遊技機
GB2236421A (en) Coin-freed amusement machines
JP2011078842A (ja) 遊技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