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1935B1 - 정보통신용 방수플러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정보통신용 방수플러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1935B1
KR100331935B1 KR1020000027809A KR20000027809A KR100331935B1 KR 100331935 B1 KR100331935 B1 KR 100331935B1 KR 1020000027809 A KR1020000027809 A KR 1020000027809A KR 20000027809 A KR20000027809 A KR 20000027809A KR 100331935 B1 KR100331935 B1 KR 100331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nch
dice
pin
die
waterproof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7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6830A (ko
Inventor
김홍근
Original Assignee
김홍근
주식회사 드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근, 주식회사 드림텍 filed Critical 김홍근
Priority to KR1020000027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1935B1/ko
Publication of KR20010106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6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1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19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05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king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onnection, coupling, or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Abstract

소재의 손실량을 최소화할 수 있고, 균일하고 치밀한 조직을 갖도록 하면서 대량생산이 가능한 정보통신용 방수플러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컷팅 다이스로 공급되는 원소재를 컷팅 나이프를 이용하여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소재를 마련하는 절단공정과; 절단된 소재를 제1다이스에 삽입한 후 제1펀치부의 펀치 핀으로 소재에 압력을 가하여 절단된 소재의 양쪽단면을 다져 균일한 두께와 치밀한 조직을 갖도록 하는 다지기 공정과; 상기 소재를 제2다이스에 삽입하고 제2펀치부의 펀치 핀으로 강압하여 일정한 깊이와 내경을 갖는 홀을 형성하는 제1홀 성형공정과; 상기 소재를 제3다이스에 삽입하고 제3펀치부의 펀치 핀으로 강압하여 다이스의 모양으로 소재를 성형하면서, 상기 공정에서 형성된 제1홀과 대응되는 부분에 홀을 성형하는 제2홀 성형공정을 포함하는 정보통신용 방수플러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1~3다이스부 및 이와 대응되는 상태로 설치된 제1~3펀치부들은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순차 이송다이로 이루어져 1행정마다 완전한 하나의 방수플러그가 제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보통신용 방수플러그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WATERPROOF PLUG FOR INFO- COMMUNICATIONS}
본 발명은 정보통신용 방수플러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송로를 통하여 전송되는 종합 유선방송용 신호를 분기하여 공급하는 필터내장형 분기기의 입,출력부에 사용되는 플러그로서, 소재의 손실량을 최소화할 수 있고, 균일하고 치밀한 조직을 갖도록 하면서, 대량생산이 가능한 정보통신용 방수플러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보통신용 방수플러그는, 광케이블 및 동축케이블과 같은 전송로를 이용하여 양방향으로 전송되는 유선방송용 신호를 분기하여 공급하는 필터내장형 분기기의 입력부나 출력부에 연결되어 상기 분기기 내부로 수분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정보통신용 부품인 방수플러그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직경을 갖는 환봉을 절단하여 소재를 마련하고, 상기 소재의 내경 및 외경을 절삭하는 방법으로 방수플러그를 제작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절삭가공에 의한 종래의 방수플러그 제작방법은,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소재의 외측면을 선반작업으로 절삭하여 종단기의 외형을 가공하고, 드릴링머신을 사용하여 소재의 길이방향으로 구멍을 뚫는 방식으로 방수플러그를 제작함으로, 절삭이나 드릴링에 의하여 제거되는 소재의 손실량이 많이 발생함은 물론이고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방수플러그를 제작하기 위한 소재의 절단은 일반적으로 컷터를 이용하여 절단하게 되는데, 컷터의 사용횟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컷터날의 마모에 의하여 소재의 절단면이 고르지 못하게되고, 이로 인하여 완성된 제품의 양측단면이 불규칙하여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재의 손실량을 최소화할 수 있고, 균일하고 치밀한 조직을 갖도록 하면서 대량생산이 가능한 정보통신용 방수플러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컷팅 다이스로 공급되는 원소재를 컷팅 나이프를 이용하여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소재를 마련하는 절단공정과;
절단된 소재를 제1다이스에 삽입한 후 제1펀치부의 펀치 핀으로 소재에 압력을 가하여 절단된 소재의 양쪽단면을 다져 균일한 두께와 치밀한 조직을 갖도록 하는 다지기 공정과;
상기 소재를 제2다이스에 삽입하고 제2펀치부의 펀치 핀으로 강압하여 일정한 깊이와 내경을 갖는 홀을 형성하는 제1홀 성형공정과;
상기 소재를 제3다이스에 삽입하고 제3펀치부의 펀치 핀으로 강압하여 다이스의 모양으로 소재를 성형하면서, 상기 공정에서 형성된 제1홀과 대응되는 부분에 홀을 성형하는 제2홀 성형공정을 포함하는 정보통신용 방수플러그 제조방법.
상기 제1~3다이스부 및 이와 대응되는 상태로 설치된 제1~3펀치부들은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순차 이송다이로 이루어져 1행정마다 완전한 하나의 방수플러그가 제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다지기 공정과, 제2홀 성형공정에서는 다이스 본체 일측에 탄성부재가 제공되어, 소재가 일정한 압력을 받으면 상기 다이스가 탄성부재의 탄력을 극복하고 하강할 수 있도록 하여 소재의 체적이 일정하게 변화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통신용 방수플러그 제조방법의 공정도.
도 2는 도 1의 공정에 따라서 방수플러그가 제조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제조되는 방수플러그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통신용 방수플러그 제조방법의 공정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공정에 따라서 방수플러그가 제조되는 것을 나타내는 평단면도로서, 먼저 방수플러그를 제작하기 위하여 컷팅 다이스(2)를 통하여 공급되는 원형단면의 원소재(4)를 컷팅 나이프(6)로 일정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방수플러그를 제조하기 위한 소재(M)를 마련하는 절단공정(P1)을 갖는다.
상기 원소재(4)는 일반적으로 열간 및 냉간압연을 통하여 제작된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제조하려는 방수플러그의 체적과 펀치의 작용으로 압축되는 비율을 정확히 계산하여 소재(M)의 절단길이가 결정된다.
이러한 원소재(4)의 절단은 피고정체에 고정된 컷팅 다이스(2)를 통하여 공급되는 원소재(4)가 컷팅 나이프(6)에 일정한 길이만큼 삽입되면, 도시되지 않은 구동부재의 구동력으로 컷팅 나이프(6)가 작동함으로서 이루어진다.
상기 컷팅 나이프(6)에 의해 절단된 소재(M)는 도시되지 않은 이송장치에 의하여 제1다이스부(8a), 제2다이스부(8b), 제3다이스부(8c)로 차례로 이동되면서 도 1에 나타낸 각각의 공정을 통하여 일정한 형상으로 제조된다.
상기 이송장치는 통상적으로 순차 이송다이스에서 널리 사용되는 집게가 사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다이스부(8a)는 소재(M)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추며 하부 외주면이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진 홈(10a)을 갖는 제1다이스 본체(12a)와, 상기 제1다이스 본체(12a)의 중앙부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한 상태로 삽입되며, 일측단부가 상기 홈(10a)의 저면에 위치하고 타측은 제1스페이서(14a)에 지지되는 제1다이스핀(16a)과, 상기 제1스페이서(14a)의 일측이 지지되는 제2스페이서(18a) 및 이 제2스페이서(18a)의 중앙부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제3스페이서(20a)와, 상기 제2스페이서(18a)와 면 접촉된 상태로 설치되는 넉아웃 핀 홀더(22a)와, 상기 제3스페이서(20a)와 동일한 축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넉아웃 핀 홀더(22a)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성형이 끝난 소재(M)를 다음공정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소재(M)를 제1다이스부(8a)에서 밀어내는 역할을 하는 넉아웃 핀(24a)을 갖는다.
상기 본체(12a)는 다이스 홀더(26a) 내부에 직선이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며, 이 다이스 홀더(26a)와 상기 제2스페이서(18a) 사이에는 내부공간을 갖는 제4스페이서(28a)가 위치한다.
상기 제4스페이서(28a)의 내부공간에는 제1다이스 본체(12a)와 제2스페이서(18a) 사이에 지지되는 탄성부재(30)가 설치되며, 상기 제1다이스본체(12a)가 소정의 압력을 받으면 탄성부재(30)가 압축되면서 하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제1다이스본체(12a)에 가해진 압력이 해제되면 압축되었던 탄성부재(30)의 탄력으로 상기 제1다이스본체(12a)가 원위치 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1다이스부(8a)와 대향되는 곳에는 상기 다이스부(8a)의 홈(10a)에 안착된 소재(M)를 강압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제1펀치부(32a)가 위치한다.
상기 제1펀치부(32a)는 제1펀치홀더(34a)에서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다이스부(8a)에 놓여진 소재를 강압하는 제1펀치핀(36a)과, 상기 펀치홀더(34a) 내부에 수용되어 펀치핀(36a)을 지지하는 스페이서(38a)를 갖는다.
상기 제2다이스부(8b)는 상부 직경이 하부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부가 육각형상의 모양을 이루는 홈(10b)을 갖는 제2다이스 본체(12b)와, 이 제2다이스본체(12b)의 중앙부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한 상태로 삽입되며, 일측단부가 상기 홈(10b)의 저면에 위치하고 타측은 제1스페이서(14b)에 지지되는 제2다이스핀(16b)과, 상기 제1스페이서(14b)의 일측이 지지되는 제2스페이서(18b) 및 이 제2스페이서(18b)의 중앙부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3스페이서(20b)와, 상기 제2스페이서(18b)와 면 접촉된 상태로 설치되는 넉아웃 핀 홀더(22b)와, 상기 제3스페이서(20b)와 동일한 축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넉아웃 핀 홀더(22b)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성형이 끝난 소재(M)를 다음공정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소재(M)를 제2다이스부(8b)에서 밀어내는 역할을 하는 넉아웃 핀(24b)을 갖는다.
이러한 제2다이스부(8b)와 대향되는 곳에는 상기 제2다이스부(8b)에 형성된 홈(10b)에 안착된 소재(M)를 강압하여 체적을 변화시켜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제2펀치부(32b)가 위치한다.
상기 제2펀치부(32b)는 제2펀치홀더(34b)에 고정 설치되어 제2다이스부(8b)의 홈(10b)에 놓여진 소재(M)를 강압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제2펀치핀(36b)과, 상기 제2펀치홀더(34b) 내부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어 제2펀치핀(36b)을 지지하는 스페이서(40)와, 상기 제2펀치홀더(34b)의 일측에 위치하고 내부공간을 갖는 또 다른 스페이서(42)와, 이 스페이서(42)의 내부공간에서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펀치 넉아웃 플레이트(44)를 갖는다.
상기 펀치 넉아웃 플레이트(44)의 외측면에는 이 펀치 넉아웃 플레이트(44)를 타격하여 성형이 끝난 소재(M)가 펀치핀(36b)에서 떨어질 수 있도록 하는핀(46)이 제공된다.
이러한 작용을 위하여 상기 펀치 넉아웃 플레이트(44)의 내측에는 이 넉아웃 플레이트(44)와 일측이 접촉된 상태로 펀치홀더(34b)의 내부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펀치 넉아웃 파이프(48)가 설치되고, 이 펀치 넉아웃 파이프(48)의 일측은 펀치홀더(34b)의 외측에 설치된 다른 넉아웃 플레이트(50)들이 끼워진 상태에서 볼트 및 너트로 이루어진 고정부재(52)로 결합하여 넉아웃 파이프(48)가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상기 펀치 넉아웃 파이프(48)는 이 파이프의 일측에 형성된 돌기와 펀치홀더(34b)사이에 배치된 탄성부재(54)의 탄력을 받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넉아웃 플레이트(50)에는 제2펀치핀(36b)의 외측면을 따라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펀치핀 슬리브(56)가 고정된다.
상기 제3다이스부(8c)는 소재(M)가 안착되는 홈(10c)을 갖추며 다이스 홀더(26c)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다이스 본체(12c)와, 상기 제3다이스 본체(12c)내부에 직선이동 가능한 상태로 일측이 상기 홈(10c)의 저면에 위치하고 타측은 제1스페이서(14c)에 지지되는 제3다이스핀(16c)과, 이 제3다이스핀(14e)의 외주면을 따라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이 넉아웃 플레이트(58)에 지지되는 슬리브(60)와, 상기 다이스 홀더(26c)와 제2스페이서(18c) 사이에 설치되며 그 중앙부 길이 방향으로 다이스 핀(16c)의 하단부 및 제1스페이서(14c)가 수용되는 다른 스페이서(62)와, 이 스페이서(62)와 제3다이스 본체(12c)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64)를 갖는다.
이 탄성부재(64)는 제3다이스부(8c)의 홈(10c)에 안착된 소재(M)를 성형할 때 일정한 세기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상기 다이스부(8c)가 탄력 이동하여 소재(M)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준다.
상기 제2스페이서(18c)의 일측에는 넉아웃 스페이서(66)가 위치하며, 이 넉아웃 스페이서(66)의 내측 길이방향으로는 넉아웃 핀(24c)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넉아웃 핀(24c)과 넉아웃 플레이트(58) 사이에는 제2스페이서(18c) 및 스페이서(62)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밀핀(68)이 위치한다.
상기 밀핀(68)은 넉아웃 핀(24c)의 작동에 의하여 넉아웃 플레이트(58)을 밀어 슬리브(60)를 이동시켜, 제3다이스부(8c)에서 성형이 끝난 소재(M)를 밖으로 밀어주기 위한 부재이다.
이러한 제3다이스부(8c)와 대향되는 곳에는 상기 다이스부(8c)의 홈(10c)에 안착된 소재(M)를 강압하여, 방수플러그를 최종적으로 성형하기 위한 제3펀치부(32c)가 위치한다.
상기 제3펀치부(32c)는 제3펀치홀더(34c) 내부에서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3다이스부(8c)에 놓여진 소재(M)를 강압하여 완제품의 모양으로 성형하는 제3펀치핀(36c)과, 상기 펀치홀더(34c) 내부에 수용되어 펀치핀(36c)을 지지하는 스페이서(38c)와, 이 스페이서(38c)가 수용된 상태로 지지되는 다른 스페이서(70)를 갖는다.
상기 스페이서(70)에는 홈이 형성되는데 이 홈에는 탄성부재(72)가 삽입되어스페이서(38c)에 지지되며, 이러한 스페이서(70)의 일측에는 펀치핀(36c)의 외측으로 삽입되는 다른 스페이서(74)(76)(78)들이 펀치홀더(34c)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위치된다.
또 상기 펀치핀(36c)의 외측에는 상기 스페이서(76)에 지지된 상태로 펀치홀더(34c)에 고정된 슬리브(80)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슬리브(80)는 소재(M)를 펀치핀(36c)으로 강압 한 후 펀치핀(36c)이 후퇴할 때, 상기 소재(M)가 펀치핀(36c)에 끼워져 함께 따라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제1다이스부(8a), 제2다이스부(8b), 제3다이스부(8c)와, 이와 대응되는 곳에 위치한 제1펀치부(32a), 제2펀치부(32b), 제3펀치부(32c)는 피고정체(82)(84)에 고정되어 나란히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단조기를 이용하여 방수플러그를 제작하려면, 먼저 컷팅 다이스(2)를 통하여 공급되는 원형단면의 원소재(4)를 컷팅 나이프(6)로 일정한 길이만큼 절단하는 절단공정(P1)을 통하여 소재(M)를 마련한 후, 도시되지 않은 이송장치를 통하여 제1다이스부(8a) 앞까지 소재(M)를 이송하여 대기한다.
그러면 제1펀치부(32a)의 작동으로 대기중인 소재(M)를 제1다이스부(8a)의 홈(10a)에 밀어 넣으면서 압입하여 다지기공정(P2)을 행한다.
이러한 작용시 다이스핀(16a)은 스페이서(14a)에 지지된 형태를 취하고 있음으로, 소재(M)는 펀치핀(36a)의 누름과 다이스핀(16a)의 받침에 의해 체적이 압축되면서 제1다이스부(8a)의 홈(10a)과 같은 형상으로 변한다.
이때 상기 소재(M)에 일정한 크기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제1다이스본체(12a)가 탄성부재(30)의 탄력을 극복하고 일정한 거리만큼 후퇴하게된다.
즉, 소재(M)는 제1다이스부(8a)가 제1펀치부(32a)의 가압에 의해 밀리면서 순간 타격이 아닌 압출형식으로 성형되며, 펀치핀(36a)을 누르던 힘을 제거하면 제1다이스부(8a)는 탄성부재(30)의 탄력으로 원위치로 되돌아온다.
이렇게 제1다이스(8a)의 하부에 탄성부재(30)가 제공된 유동 다이스방식은 소재(M) 체적을 다이스 형상에 맞게 골고루 분산시키므로, 종래의 고정 다이스에 의한 소재 성형시 소재 체적의 변화가 불규칙하게 굴절되거나 비틀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다지기공정(P2)시 소재(M)는 펀치핀(36a)의 압력과 제1다이스핀(16a)의 받침에 의해 체적이 압축되어 그 조직이 치밀해짐과 동시에 제1다이스부(8a)의 홈(10a)과 같은 형상으로 도 3a와 같이 저면 외주연부가 경사면(100)으로 성형된다.
상기와 같은 다지기공정(P2)을 마치면 다음성형을 위하여 제1펀치부(32a)가 후퇴함과 동시에 도시되지 않은 기계장치가 제1넉아웃핀(24a)을 밀어주고, 상기 넉아웃핀(24a)의 작동으로 이와 동일한 축선상에 배치된 제3스페이서(20a), 제1스페이서(14a)가 이동하여 제1다이스핀(16a)을 밀어 홈(10a)에 구속된 소재(M)를 제1다이스부(8a) 외측으로 밀어내며, 이때 제1다이스부(8a)의 외측에 있던 이송장치(미도시)가 소재(M)를 잡아 180°회전시켜 제2다이스부(8b)의 홈(10b) 앞에 대기시킨다.
상기와 같이 제2다이스부(8b)쪽으로 다지기 공정(P2)이 완료된 소재가 이송되면, 제2펀치부(32b)의 작동으로 제2펀치핀(36b)이 소재(M)를 홈(10b)에 밀어 넣으면서 강압하여, 도 3b에서와 같이 소재(M)의 상측 중앙부분에 홀(102)을 성형하는 제1홀 성형공정(P3)을 행한다.
이러한 성형시 펀치핀(36b)은 소재(M)에 일정한 깊이로 삽입된 형태를 취하고 있으므로 펀치부(32b)의 후퇴시 상기 펀치핀(36b)에는 소재(M)가 삽입된 상태로 따라 나오게 된다.
따라서 펀치핀(36b)에 삽입된 소재(M)를 빼내야 하는데, 이러한 것을 위하여 펀치부(20c)의 후퇴시 이 펀치부(36b)의 일측에 위치한 핀(46)이 펀치 넉아웃 플레이트(44)를 타격하면, 이와 접촉된 펀치 넉아웃 파이프(48)가 탄성부재(54)의 탄력을 극복하고 탄성부재(54)를 압축하면서 직선이동하고, 따라서 상기 펀치 넉아웃 파이프(48)이와 고정부재(52)로 연결된 넉아웃 플레이트(50)와, 이 넉아웃플레이트(50)에 고정된 펀치핀 슬리브(56)를 이동시켜 소재(M)를 펀치핀(36b)에서 빼내게되며, 이러한 작용이 끝나면 압축되었던 탄성부재(54)의 복원력에 의하여 펀치넉아웃파이프(48)가 원위치 됨과 동시에 이동되었던 상기 부재들도 모두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러한 작용이 완료되면 도시되지 않은 기계장치가 제2넉아웃핀(24b)을 밀어주고, 이 넉아웃핀(24b)의 작동에 의하여 이와 동일한 축선상에 배치된 제3스페이서(20b)와 제1스페이서(14b)가 이동하여 제2다이스핀(16b)을 직선 이동시켜 홈(10b)에 구속된 소재(M)를 제2다이스부(8b) 외측으로 밀어내며, 이때 제2다이스부(8b)의 외측에 있던 이송장치(미도시)가 소재(M)를 잡아 제3다이스부(8c)의홈(10c) 앞에 대기시킨다.
상기와 같이 제3다이스부(8c)쪽으로 제1홀 성형공정(P3)이 완료된 소재(M)가 이송되면, 제3펀치부(32c)의 작동으로 제3펀치핀(36c)이 소재(M)를 홈(10c)에 밀어 넣으면서 강압하여, 도 3c에서와 같이 소재(M)의 상측에 형성된 홀(102)의 반대편쪽으로 형성된 홀(104)과 외측면에 위치한 돌출부(106)를 형성하는 제2홀 성형공정(P4)을 행한다.
이러한 작용시 다이스핀(16c)은 스페이서(14c)에 지지된 형태를 취하고 있음으로, 소재(M)는 펀치핀(36c)의 누름과 다이스핀(16c)의 받침에 의해 체적이 변하면서 제3다이스부(8c)의 홈(10c)과 같은 형상으로 변한다.
이때 상기 소재(M)에 일정한 크기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제3다이스본체(12c)가 탄성부재(64)의 탄력을 극복하고 일정한 거리만큼 후퇴함과 동시에 제3펀치부(32c)도 탄성부재(72)가 압축되면서 제3다이스부(8c)의 반대방향으로 후퇴하게 된다.
즉, 소재(M)는 제3다이스부(8c)와 제3펀치부(32c)의 사이에서 일정한 압력을 받으며 성형되고, 이렇게 제3다이스부(8c)와 제3펀치부(32c)는 탄성부재(64)(72)가 각각 제공된 유동 다이스방식으로 이루어져 소재(M) 체적을 홈(10c)의 형상에 맞게 골고루 분산시키므로, 종래의 고정 다이스에 의한 소재 성형시 소재 체적의 변화가 불규칙하게 굴절되거나 비틀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소재(M)에 가해진 힘을 제거하면 제3다이스부(8c)와 제3펀치부(32c)는 탄성부재(64)(72)의 복원력으로 원위치로 되돌아오는데, 펀치핀(36c)에는 소재(M)가 일깊이로 삽입된 상태이므로 펀치부(32c)의 후퇴시 상기 펀치핀(36b)에는 소재(M)가 삽입된 상태로 따라 나오게 된다.
따라서 펀치핀(36c)에 삽입된 소재(M)를 빼내야 하는데, 이러한 것을 위하여 펀치부(32c)의 후퇴시 압축되었던 탄성부재(72)의 복원력에 의하여 스페이서(38c)와 펀치핀(36c)을 밀어줌과 동시에 슬리브(80)가 소재(M)를 따라나오는 것을 막아 펀치핀(36c)에서 소재(M)가 빠지게 된다.
이러한 작용이 완료되면 도시되지 않은 기계장치가 제3넉아웃핀(24c)을 밀어주고, 이 넉아웃핀(24c)의 작동에 의하여 밀핀(68) 및 넉아웃플레이트(58) 이동하여 슬리브(60)를 직선이동시켜 홈(10c)에 구속된 소재(M)를 제2다이스부(8c) 외측으로 밀어내면 완성된 방수플러그가 제작 완료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절단공정(P1), 다지기 공정(P2), 제1홀 성형공정(P3), 제2홀 성형공정(P4)은 피고정체(82)에 일정한 방향으로 설치된 제1~제3다이스부(8a)(8b)(8c)와, 상기 다이스부(8a)(8b)(8c)들과 대응되게 위치하고 다른 피고정체(84)에 일정한 방향으로 설치된 펀치부(32a)(32b)(32c)가 동시에 작동함으로서 모든 공정은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각각의 공정에서 소재(M)를 이동시키는 것은 순차이송 다이스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정보통신용 방수플러그 제조방법은, 소재를 강압하는 방식으로 제품을 성형하므로, 종래의 절삭가공에 의하여 제거되는재료의 손실량이 없어 원가가 대폭적으로 절감된다.
또한 방수플러그를 제작하기 위한 소재가 균일하게 컷팅되지 않아도 소재의 체적이 압축되면서 균일한 두께를 갖도록 되며, 이와 함께 소재에 높은 강도를 제공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제공한다.
그리고 모든 공정이 동시에 이루어져 빠른 시간에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Claims (3)

  1. 컷팅 다이스로 공급되는 원소재를 컷팅 나이프를 이용하여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소재를 마련하는 절단공정과;
    절단된 소재를 제1다이스에 삽입한 후 제1펀치부의 펀치 핀으로 소재에 압력을 가하여 절단된 소재의 양쪽단면을 다져 균일한 두께와 치밀한 조직을 갖도록 하는 다지기 공정과;
    상기 소재를 제2다이스에 삽입하고 제2펀치부의 펀치 핀으로 강압하여 일정한 깊이와 내경을 갖는 홀을 형성하는 제1홀 성형공정과;
    상기 소재를 제3다이스에 삽입하고 제3펀치부의 펀치 핀으로 강압하여 다이스의 모양으로 소재를 성형하면서, 상기 공정에서 형성된 제1홀과 대응되는 부분에 홀을 성형하는 제2홀 성형공정을 포함하는 정보통신용 방수플러그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3다이스부 및 이와 대응되는 상태로 설치된 제1~3펀치부들은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순차 이송다이로 이루어져 1행정마다 완전한 하나의 방수플러그가 제조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용 방수플러그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지기 공정과, 제2홀 성형공정에서는 다이스 본체 일측에 탄성부재가 제공되어, 소재가 일정한 압력을 받으면 상기 다이스가 탄성부재의 탄력을 극복하고 하강할 수 있도록 하여 소재의 체적이 일정하게 변화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용 방수플러그 제조방법.
KR1020000027809A 2000-05-23 2000-05-23 정보통신용 방수플러그 제조방법 KR100331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7809A KR100331935B1 (ko) 2000-05-23 2000-05-23 정보통신용 방수플러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7809A KR100331935B1 (ko) 2000-05-23 2000-05-23 정보통신용 방수플러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6830A KR20010106830A (ko) 2001-12-07
KR100331935B1 true KR100331935B1 (ko) 2002-04-09

Family

ID=19669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7809A KR100331935B1 (ko) 2000-05-23 2000-05-23 정보통신용 방수플러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19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4058A (ko) * 2003-07-29 2005-02-07 주식회사 드림텍 디젤 엔진용 예열플러그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4692A (ko) * 1980-12-30 1983-07-16 고마쓰 가이조 플러그 제조기용 코오드 장력장치
JPH08315905A (ja) * 1995-05-16 1996-11-29 Sumitomo Wiring Syst Ltd 防水コネクタ用ダミー栓
JPH10189129A (ja) * 1996-12-26 1998-07-21 Yazaki Corp 電線導出部の防水構造および製造方法
KR19980081476A (ko) * 1997-04-25 1998-11-25 오울플링프랭크에이. 전기 컨넥터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251055B1 (ko) * 1996-03-01 2000-04-15 야자키 야스히코 고무플러그 피팅장치, 고무플러그 공급방법 그리고고무플러그 피팅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4692A (ko) * 1980-12-30 1983-07-16 고마쓰 가이조 플러그 제조기용 코오드 장력장치
JPH08315905A (ja) * 1995-05-16 1996-11-29 Sumitomo Wiring Syst Ltd 防水コネクタ用ダミー栓
KR100251055B1 (ko) * 1996-03-01 2000-04-15 야자키 야스히코 고무플러그 피팅장치, 고무플러그 공급방법 그리고고무플러그 피팅방법
JPH10189129A (ja) * 1996-12-26 1998-07-21 Yazaki Corp 電線導出部の防水構造および製造方法
KR19980081476A (ko) * 1997-04-25 1998-11-25 오울플링프랭크에이. 전기 컨넥터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6830A (ko) 200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7095B2 (en)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ceramic ferrule blank
KR20070085546A (ko) 납축전지용 터미널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및 상기제조 방법 및 상기 제조 장치에 의하여 제조된 터미널
KR910007296B1 (ko) 중공품의 압조 방법
KR100331935B1 (ko) 정보통신용 방수플러그 제조방법
KR100365949B1 (ko) 종단기 제조방법
KR100454882B1 (ko) 볼 시트 제조방법
KR100319470B1 (ko) 로드 링 제조방법
KR102433882B1 (ko) 양면 돌출 광폭플랜지의 성형 파인블랭킹 프로그레시브 금형과 그 제조방법
CN108177120B (zh) 一种天线振子的压合成型装置
KR100579118B1 (ko) 오일압력스위치용 몸체 제조방법
CN211464536U (zh) 用于制作光模块电路板上不同屏蔽罩的模具
KR100661294B1 (ko) 가구용 연결볼트 성형방법
CN112387866A (zh) 一种铁套加工模具和铁套制作方法及铁套
CN110277319B (zh) 一种异型材的引线框架的制作方法
CN2384703Y (zh) 一种用于冲压设备的连续模具
KR100189567B1 (ko) 베이스 링의 성형 금형장치 및 성형방법
JP2002045998A (ja) プレス成形機
CN218310380U (zh) 一种矩形管收口冲孔整平冲压模具
CN220216603U (zh) 一种具有冲压模具的冷镦机模具组
CN216801296U (zh) 套圈预冲压设备
CN208976620U (zh) 一种冰箱钣金件的冲压模具
CN217860979U (zh) 用于弹性支承套装配的工装
KR100704241B1 (ko) 로커핀 제조용 분할금형
CN218252424U (zh) 一种五金模具内部快速更换冲孔位置的装置及五金模具
SU1722657A1 (ru) Штамп дл выт жки цилиндрических изделий без утонени стенки из лен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