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1246B1 - 롤러 선별 분산장치 - Google Patents

롤러 선별 분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1246B1
KR100331246B1 KR1019990056686A KR19990056686A KR100331246B1 KR 100331246 B1 KR100331246 B1 KR 100331246B1 KR 1019990056686 A KR1019990056686 A KR 1019990056686A KR 19990056686 A KR19990056686 A KR 19990056686A KR 100331246 B1 KR100331246 B1 KR 100331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ring
sorting
tooth
dispers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6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2454A (ko
Inventor
게르하르트클라우스
가블리타베르너
Original Assignee
그렘 린
게, 쉼펠캄프 게엠바하 운트 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렘 린, 게, 쉼펠캄프 게엠바하 운트 코 filed Critical 그렘 린
Publication of KR20000052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2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1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12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8Moulding or pressing
    • B27N3/10Moulding of mats
    • B27N3/14Distributing or orienting the particles or fibres
    • B27N3/143Orienting the particles o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2Apparatus having only parallel elements
    • B07B1/14Roller screens
    • B07B1/15Roller screens using corrugated, grooved or ribbed roll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개의 롤러의 링융기부가 이웃한 롤러의 링그루브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롤러 베이스면의 상단에서 관찰할 경우 링융기부의 둘레상에서 최대한 폐쇄되며 롤러 베이스면의 수직으로 개방되는 칩 통과구멍이 형성될 수 있도록 서로 이웃한 롤러가 배열되고, 각각의 롤러는 롤러의 외측 커버면을 형성하는 링융기부에 의해 서로 분리되며 동일한 축간격으로 서로에 대해 일정하게 이격된 다수의 링그루브를 갖고 롤러 베이스면을 형성하는 상단면에서 배출부 끝부분으로 회전하며, 롤러에 대해 횡단으로 형성되고 선별물질 또는 분산물질을 위한 유입종말부와 큰 입자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종말부를 갖는 롤러층을 공동으로 형성하는 다수개의 병렬로 연결된 동일 회전방향의 롤러로 구성된 최소 1개의 롤러세트를 포함하는 톱밥, 섬유 또는 이의 동등물을 선별 또는 분산시키기 위한 롤러 선별 분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별효과 또는 분류효과를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다음과 같은 조치가 취해진다. 링그루브와 이를 경계짓는 링융기부는 각각 롤러 축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열되며 각 링융기부의 외측 커버면이 둘레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는 투스(tooth)에 의해 형성되어지되, 회전방향에서 선행되는 투스의 이뿌리면은 다음에 연결되어 이어지는 이뿌리면의 베이스까지 낮아지는 치후단면보다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축방향에서 관찰할 경우 롤러의 링융기부 투스에는 이웃한 롤러에 반대되지만 동일한 리드(lead)를 갖는 경사가 형성된다.

Description

롤러 선별 분산장치{Walzensieb-und-streumaschine}
본 발명은 1개의 롤러의 링융기부가 이웃한 롤러의 링그루브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롤러 베이스면의 상단에서 관찰할 경우 링융기부의 둘레상에서 최대한 폐쇄되며 롤러 베이스면의 수직으로 개방되는 칩 통과구멍이 형성될 수 있도록 서로 이웃한 롤러가 배열되고, 각각의 롤러는 롤러의 외측 커버면을 형성하는 링융기부에 의해 서로 분리되며 동일한 축간격으로 서로에 대해 일정하게 이격된 다수의 링그루브를 갖고 롤러 베이스면을 형성하는 상단면에서 배출부 끝부분으로 회전하며, 롤러에 대해 횡단으로 형성되고 선별물질 또는 분산물질을 위한 유입종말부와 큰 입자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종말부를 갖는 롤러층을 공동으로 형성하는 여러 개의 병렬로 연결된 동일 회전방향의 롤러로 구성된 최소 1개의 롤러세트를 포함하는 톱밥, 섬유 또는 이의 동등물을 선별 또는 분산시키기 위한 롤러 선별 분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류의 롤러 선별장치 또는 롤러 분산장치의 이용에 관한 것이다.
선별 또는 분류시 발생하는 문제점과 이와 관련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EP 0 328 067 B1에 기술되어 있다. 공고된 상기 특허 출원서에 따르면, 롤러는 끝부분으로 진행할수록 좁아지는 분리기에 의해 분리되는 테이퍼형 돌출부가 커버면에 장착된 커버에 의해 보호된다. 또한, 돌출부의 외측 끝부분이 서로 맞주보며 배출되는 칩의 두께를 결정하는 병렬형 틈새만큼 이격되도록 이웃한 롤러가 배열된다.
전술한 장치가 미국 특허 제 2.966.267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 발명에 따른 장치는 평평한 베이스로 형성된 링그루브와 평평한 커버면을 갖는 링융기부가 각각 롤러에 대해 사면으로 배열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별효과 또는 분류효과를 개선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다음과 같이 해결되었다. 즉, 링그루브와 이를 경계짓는 링융기부는 각각 롤러 축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열되며 각 링융기부의 외측 커버면이 둘레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는 투스에 의해 형성되어지되, 회전방향에서 선행되는 투스의 이뿌리면은 다음에 연결되어 이어지는 이뿌리면의 베이스까지 낮아지는 치후단면보다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축방향에서 관찰할 경우 롤러의 링융기부 투스에는 이웃한 롤러에 반대되지만 동일한 리드를 갖는 경사가 형성된다.
회전하는 투스의 선행하는 이뿌리면은 선별물질 또는 분산물질의 입자에 대해 방출효과를 나타냄으로 롤러세트의 막힘현상이 방지되고, 특히 큰 입자가 배출부의 종말부 방향로 신속하게 이송될 수 있다. 선행되는 이뿌리면에만 활성 임펄스가 제공되는 반면, 치후단면은 이 구간에 유입되는 입자를 이송하는 기능만을 갖는다. 칩 통과구멍에서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링융기부 투스는 상기 칩 통과구멍의 막힘을 억제한다. 선별효과는 주로 롤러 회전수의 변경에 따라 조절된다. 이를 위해 가변 구동장치가 장착된 다수개의 병렬로 연결된 롤러 세트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별효과는 이높이에 따라 좌우될 수 있기 때문에, 마지막 롤러는 이높이가 가장 큰 링융기부 투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원칙적으로, 각각의 링그루브 베이스를 평면으로 제작할 수 있다. 그러나, 특정 투입범위에 대해서는 각 링그루브의 베이스도 링융기부 투스의 윤곽에 상응하며, 둘레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는 투스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링그루브의 투스는 링융기부 투스에 대해 둘레 방향에서 투스 피치의 일부만큼 엇갈리게 배열되며 반경방향에서는 축방향으로 이웃한 링융기부 투스의 치후단면이 경미하게 돌출된다.
선별물질 또는 분산물질의 입자가 홈에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회전방향에서 링그루브의 투스를 링융기부 투스에 대해 투스 피치의 반 만큼 엇갈리게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방출효과는 선행하는 이뿌리면이 이뿌리원에 대해 45°의 각도를 가질 경우 가장 효과적으로 나타난다.
또한, 상단면에서 관찰할 경우 이웃한 2개의 롤러사이에 이높이에 약 0.2배에 해당하는 직선형 틈새가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결론은 투스 부하에 따라 틈새 치수가 결정되며 이 부하는 투스가 작을 때보다 투스가 클 경우 가중된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각각의 롤러가 개별적으로 미리 제작되고 1개의 롤러 몸체상에 형성된 링으로 이루어질 경우 롤러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데, 이때 롤러 몸체는 괴상의 봉이나 벽두께가 두꺼운 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링은 예를 들어 3mm의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으며 링그루브를 형성하는 링은 링융기부를 형성하는 링의 바깥지름에 비해 예를 들어 약 2mm정도 작은 바깥지름을 갖는다. 칩 통과구멍을 확장하기 위해서 2개 또는 그 이상의 동일한 링을 축방향에 대해 병렬로 배열할 수 있다.
롤러 세트 하단에 이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순환하는 주형 밴드가 설치될 경우, 칩흐름의 엉킴을 공압을 통해 추가적으로 풀기 위하여 상기 롤러 세트와 주형밴드 사이 공간에서 롤러 이송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장치를 설치함으로서 분산양상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롤러 선별 분산장치의 상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표시된 부분에 대한 도식적 상세도이며,
도 3은 각각의 롤러가 롤러 몸체에 장착된 링으로 구성되는 롤러 선별 분산장치의 롤러세트를 도시한 수평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롤러의 좌측 베어링에 대한 수평 단면도이며,
도 5는 괘선으로 지름이 큰 링을 나타내며 실선으로 지름이 작은 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부분 상세도이며,
도 7은 송풍실 상단에 설치된 롤러 스크린이 포함된 외곽층 분산장치에 대한 도식적 수직 단면도이고,
도 8은 송풍실 상단에 배열된 미터링 롤러가 포함된 도 7에 따른 분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칩흐름의 엉킴을 풀기 위한 추가적 장치가 포함된 분산장치이고,
도 10은 도 7에 따라 벙커 상단에 배열된 롤러 스크린이 포함된 중간층 분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배열위치가 변경된 롤러스크린이 포함된 도 10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a는 롤러분산장치로 얻을 수 있는 분산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12b는 외곽층 분산장치의 선단쪽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선별 분산장치의 구성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톱밥, 섬유 또는 이의 동등물의 선별 또는 분산을 위한 롤러 선별 분산장치를 나타낸다. 또한, 선별물질 또는 분산물질이 유입되는 유입종말부(A)와 크기가 큰 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종말부(B)를 갖고, 롤러(3)의 횡단 방향으로 롤러층을 형성하며, 서로 병렬로 배열(도 5 참조)된 다수의 롤러(3)로 이루어진 롤러세트(1)를 나타낸다. 각각의 롤러(3)는 롤러층의 상단면에서 배출종말부(B) 방향으로 회전하며 동일한 축간격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링그루브(4)를 갖되(도 2참조), 상기 링그루브는 롤러(3)의 외측 커버면을 형성하는 링융기부(5)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따라서, 링그루브(4)와 이를 분리하는 링융기부(5)는 롤러축(6)과 수직을 이루는 면에 위치하며,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3)의 링융기부(5)는 이웃한 롤러의 링그루브(4)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롤러층의 상단에서 관찰할 경우, 상기 링융기부는 링그루브를 통해 링융기부의 둘레상에서는 최대한 폐쇄되지만 롤러층의 수직면상에서는 개방된 칩 통과구멍(7)이 형성될 수 있도록 이웃한 롤러(3)가 배열된다. 링융기부(5)의 폭(b)은 링그루브(4)의 폭보다 같거나 적다. 또한, 도 2를 통해 상단면에서 관찰할 경우, 2개의 이웃한 롤러(3) 사이에는 직선형 틈새(8)가 형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롤러는 개별적으로 미리 제작되고 롤러 몸체(9)에 장착된 링(10,11)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롤러 몸체(9)는 괴상의 봉이나 두께가 두꺼운 파이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큰 지름의 링(10)은 도 2에 도식적으로 표시된 링융기부(5)를 형성하며, 이와 반대로 작은 지름의 링(11)은 2개의 링융기부 사이에 둘러싸인 링그루브(4)를 형성한다는 것을 도 3 및 도 4를 통해 알 수 있다.
각각의 링융기부(5) 외측 커버면은 각 링그루브(4)의 바닥에서와 같이 둘레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는 투스(12)에 의해 형성되는데, 회전방향(2)에서 각각 우선적으로 접촉하는 이뿌리면(12a)은 그 다음 이뿌리면(12a)의 치근까지 낮아져 이어지는 치후단면(12c)보다 더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먼저 진행되는 이뿌리면(12a)은 치근(12b)의 반경(r)에 대해 약 45°의 각도를 형성한다. 링융기부의 투스(12)의 각각의 치후단면(12c)은 링융기부 투스의 이끝원의 접선과 3°내지 6°의 각도(γ)를 형성한다.
링그루브(4)의 투스(12)는 링융기부(5)의 투스와 유사하게 형성되어 있는데, 링융기부의 투스와는 달리 피치(t)의 일부, 유리하게는 피치(t)의 반을 초과하지 않는 정도로 둘레방향에서 변위되어 있다. 상기 링그루브의 투스(12)는 반경방향에서 축방향으로 이웃한 링융기부의 투스(12)의 치후단면(12c) 보다 약간 돌출되어 있음을 도 5를 통해 알 수 있다.
축방향에서 관찰할 경우, 상기 링융기부 투스(12)는 도 3에서 도식적으로 표시된 경사(13)를 형성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롤러층의 폭에 대해 가능한한 균일한 칩분포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상기 경사(13)가 이웃한 롤러의 경사와 반대방향으로 그리고 동일한 리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10,11)은 축방향에서 정면의 우회전 너트(14a)와 좌회전 너트(14b)에 의해 서로 조여진다. 링(10,11)과 롤러 몸체(9)와의 안정적 회전연결을 위해 노우즈(15)(도 5 참조)가 포함된 링이 롤러 몸체(9)의 종단으로 형성된 그루브에 삽입될 수도 있다. 도면에는 상세히 도시되지 않는 바람직한 대안적 해결방안으로서, 경사를 갖는 롤러 몸체(9)의 커버면상에 돌기부가 설치될 수 있는데, 여기에 링(10,11)의 홈이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선별 분산장치의 분리효과는 롤러의 회전수를 변경함으로서 조절할 수 있다. 이외에도 칩 통과구멍(7)을 확장하기 위해 2개 또는 그 이상의 동일한 링(10,11)을 축방향을 기준으로 병렬로 배열할 수 있다. 이때 1개의링(10,11)의 폭(b)은 예를 들어 3mm일 수 있다. 바깥지름(D)이 약 60-70mm(외곽층 분산장치)일 경우, 각각의 링(10,11)은 예를 들어 16 내지 20개의 투스(12)를 가질 수 있으며, 바깥지름(D)이 약 70-80mm(중간층 분산장치)인 경우, 각각의 링은 예를 들어 14 내지 24의 투스를 가질 수 있다. 대형 분산장치의 경우, 바깥지름은 100mm에 달할 수 있다. 이 높이는 투입용도에 따라 좌우되며, 외곽층 분산장치의 경우 약 1-3mm, 중간층분산장치의 경우 약2-8mm이다. 링그루브 투스는 링융기부 투스에 비해 회전방향(2)에서 약 4°의 각도로 엇갈리게 배열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롤러(3) 양측 끝부분은 페데스탈 베어링(16)에 의해 지지된다. 롤러 표면은 내마모성으로서 유리하게는 크롬으로 도금될 수 있다.
도 7은 선별물질 또는 분산 물질(19)을 수용하기 위한 칩벙커(18)와, 선별물질(19)을 표시된 화살표 방향, 즉 배출구 쪽으로 이송하는 벙커 이송밴드(20) 및 칩벙커(18)내에 설치된 선별물질(19)를 위한 평형롤러(21)와 배출위치로 이송된 선별물질(19)를 배출시키는 스파이크 롤러(22)가 포함된 외곽층 분산장치(17)을 나타낸다. 배출구간의 하단에는 스크린(23)이 장착된 송풍실(24)가 설치되며, 여기에는 화살표로 표시된 수평공기흐름을 위해 공기송풍기(26)에 연결된 에어 레지스터(air register)(25)가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벙커 밴드(20)의 배출 위치 하단에는 롤러 스크린으로 작동하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세트(1)가 배열되어 있는데, 이는 롤러 세트(1)을 통해 유입부 종말부(A)에서부터 배출부 끝부분(B)로 이송되어 웜(28)으로 배출되는 큰 입자(27)를 분리하는 기능을 하며 동일 크기의 칩 통과구멍(7)을 갖는다.
도 8의 장치가 도 7에 따른 외곽층분산장치(17)와 다른점은 롤러 세트(1)가 미터링 장치, 즉 분산물질(19)의 선별장치로 사용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칩 통과구멍(7)의 크기는 A에서 B로 진행할수록 증가하게 된다. 여기에서도 큰 입자는 웜(28)을 통해 배출된다. 도 9에는 칩흐름의 엉킴이 기계적 및 공압적으로 풀리는 외곽층분산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칩벙커(18)의 구성요소(20,21,22)는 도 7에 따른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다. 선별물질 또는 분산물질(19)은 벙커 밴드(20)에서 평형롤러(21)에 의해 조절된 이송높이로 이송되며 벙커밴드(20)의 종말부에서는 회전성 브러시일 수도 있는 회전성 스파이크 롤러(22)에 의해 분산롤러로 이루어진 롤러 세트(1) 상으로 배출된다. 롤러 세트(1)의 바로 하단에는 화살표 방향, 즉 롤러세트(1)의 이송방향(33)의 역방향으로 순환하는 통상적인 주형 밴드(31)가 설치되며, 롤러 세트(1)의 후단에는 큰 입자의 배출을 위해 웜(28)이 설치된다. 칩흐름의 엉킴을 추가적으로 공압적으로 풀기 위하여 롤러 세트(1)와 주형밴드(31) 사이 공간에는 롤러 세트(1)의 이송방향(33)의 역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장치(34)가 설치된다. 따라서, 롤러 세트(1)의 개시부(A)와 도 9의 우측에 도시된 공기흡입장치(34) 사이의 주형밴드(31) 상단부분에는 흡입덕트(35)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흡입장치(34)에 의해 롤러 세트(1)의 하단 또는 주형 밴드(31) 상단에는 0.9 내지 1.7m/s의 공기흐름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롤러 세트(1)에 의해 이루어지는 칩흐름의 기계적 분리외에도 공압에 의한 추가적 분리가 가능하다.
도 10에는 중간층분산장치(29)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칩벙커(18)로 유입되는 선별물질 또는 분산물질(19)이 롤러스크린으로 작동하는 롤러 세트(1)에 우선적으로 공급되는데, 여기에서 큰 입자가 분리되고 웜(28)을 통해 배출된다. 선별된 물질은 이송 밴드(30)에 공급되고 칩벙커(18)로 유입된다. 벙커 밴드(20)에서 배출되는 선별물질 또는 분산물질(19)은 여기에서 상세히 언급될 필요가 없는 장치에 의해 2개의 부분 흐름으로 분할되며 도 7 내지 도 9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주형 밴드(31)로 공급된다.
도 11의 실시예가 도 10에 따른 실시예와 다른 점은 롤러스크린으로 작동하는 롤러 세트(1)를 통과하는 선별물질 또는 분산물질(19)이 직접 칩벙커(18)에 공급된다는 것이다.
도 12b는 칩흐름이 기계적 및 공압적으로 분리되는 도 9에 따른 장치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 상세히 도시되지 않는 선별물질 또는 분산물질은 벙커 밴드(20)로부터 이송되며 이것의 종말부에서는 회전성 브러시(32)에 의해 분산롤러로 이루어진 롤러 세트(1)상으로 배출된다. 롤러 세트(1)의 바로 하단에는 화살표 방향, 즉 롤러세트(1)의 이송방향(33)의 역방향으로 순환하는 통상적인 주형 밴드(31)가 설치되는데, 이는 도 12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칩분산 양상을 얻기 위해 정지된다. 롤러 세트(1)의 개시부(A)와 도 12b 우측에 도시된 공기흡입장치(34) 사이의 주형밴드(31) 상단부분에는 흡입덕트(35)가 형성되는데, 덕트의 길이는 최소한 롤러 세트(1)의 길이와 같다. 따라서 롤러 세트(1)에 의해 이루어지는 칩흐름의 기계적 분리외에도 도 12a의 칩분산 양상을 얻게 하는 공압에의한 칩흐름의 추가적 분리가 가능하다.
도시된 분산 양상은 분산 롤러가 325rpm으로 회전하고 공기흡입장치에 의해 공기의 속도가 1.1m/s으로 유지될 때 가능하다. 분산은 주형 밴드(31)가 정지된 상태에서 30초간 이루어진 것이다.
분산 다이어그램을 통해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다. 최고 분산 높이는 롤러 세트(1)의 첫 번째 분산 롤러보다 낮고 분산 최고치는 주형밴드상의 분산율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는 공기흡입장치가 없을 경우 더욱 현저히 낮아진다. 공기흡입으로 야기된 분산율의 증가는 벙커 밴드(20)의 하단에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선별 분산장치는 회전하는 투스의 선행하는 이뿌리면은 선별물질 또는 분산물질의 입자에 대해 방출효과를 나타냄으로 롤러세트의 막힘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큰 입자가 배출부의 종말부 방향로 신속하게 이송될 수 있으며, 선행되는 이뿌리면에만 활성 임펄스가 제공되는 반면, 치후단면은 이 구간에 유입되는 입자를 이송하는 기능만을 갖기 때문에 칩 통과구멍에서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링융기부 투스에 의해 상기 칩 통과구멍의 막힘을 억제할 수 있다.

Claims (27)

1개의 롤러(3)의 링융기부(5)가 이웃한 롤러의 링그루브(4)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롤러 베이스면의 상단에서 관찰할 경우 링융기부의 둘레상에서 최대한 폐쇄되며 롤러 베이스면의 수직으로 개방되는 칩 통과구멍(7)이 형성될 수 있도록 서로 이웃한 롤러(3)가 배열되고, 각각의 롤러(3)은 롤러(3)의 외측 커버면을 형성하는 링융기부(5)에 의해 서로 분리되며 동일한 축간격으로 서로에 대해 일정하게 이격된 다수의 링그루브(4)를 갖고 롤러 베이스면을 형성하는 상단면에서 배출부 끝부분(B)으로 회전하며, 롤러(3)에 대해 횡단으로 형성되고 선별물질 또는 분산물질(19)을 위한 유입종말부(A)와 큰 입자(27)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종말부(B)를 갖는 롤러층을 공동으로 형성하는 다수개의 병렬로 연결된 동일 회전방향(2)의 롤러(3)로 구성된 최소 1개의 롤러세트(1)을 포함하는 톱밥, 섬유 또는 이의 동등물을 선별 또는 분산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링그루브(4)와 이를 경계짓는 링융기부(5)는 각각 롤러 축(6)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열되며 각 링융기부(5)의 외측 커버면이 둘레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는 투스(12)에 의해 형성되어지되, 회전방향(2)에서 선행되는 투스의 이뿌리면(12a)은 다음에 연결되어 이어지는 이뿌리면(12a)의 베이스(12b)까지 낮아지는 치후단면(12c)보다 경사지게 형성되고, 이때 축방향에서 관찰할 경우 롤러(3)의 링융기부 투스(12)에는 이웃한 롤러(3)에 반대되지만 동일한 리드(lead)를 갖는 경사(1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선별 분산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융기부 투스(12)의 선행하는 이뿌리면(12a)은 이뿌리(12b)를 기준으로 한 반경(r)에 대해 약 45°의 각도(α)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선별 분산장치.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융기부의 투스(12)의 각각의 치후단면(12c)는 링융기부의 투스의 이끝원의 접선과 3°내지 6°의 각도(γ)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선별 분산장치.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링그루브(4)의 바닥에서와 같이 둘레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는, 링융기부 투스(12)의 윤곽에 상응하는 투스(12)에 의해 형성되며 링그루브(4) 투스(12)는 링융기부의 투스(12)에 대해 둘레방향에서는 피치(t)의 일부만큼 엇갈려 있고 반경방향에서는 축방향으로 이웃한 링융기부 투스(12)의 치후단면(12c)이 약간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선별 분산장치.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링그루브(4)의 투스(12)는 링융기부(5)의 투스(12)에 대해 피치(t)의 반을 초과하지 않는 정도로 둘레방향(2)에서 엇갈리게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선별 분산장치.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링융기부(5)의 최대 폭(b)은 링그루브(4)의 폭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선별 분산장치.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링융기부(5)의 폭(b)은 약 3 내지 9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선별 분산장치.
제4항에 있어서, 상단면에서 관찰할 경우 상기 이웃한 2개의 롤러(3) 사이에 이높이(h)에 약 0.2배에 해당하는 직선형 틈새(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선별 분산장치.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높이(h)가 약 1-8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선별 분산장치.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융기부(5)의 바깥지름(d)이 약 60-80mm일 경우 링융기부에는 각각 16 내지 24개의 투스(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선별 분산장치.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롤러(3)의 링융기부(5)와 링그루브(4)는 괴상의 봉이나 두꺼운 파이프 재질의 롤러 몸체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선별 분산장치.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롤러(3)는 공동으로 가공되며 축방향으로 함께 클램핑된 개별 링(10,11)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선별 분산장치.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롤러(3)는 롤러 몸체(9)상에 설치되며 개별적으로 제작된 링(10,11)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선별 분산장치.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링(10,11)은 축방향에서 정면의 좌회전 및 우회전 너트(14a,14b)에 의해 조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선별 분산장치.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링(10,11)과 롤러 몸체(9)와의 안정적 회전 연결을 위해 경사를 갖는 롤러 몸체(9)의 커버면상에 돌기부가 설치되며, 상기 돌기부에 링(10,11)의 홈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선별 분산장치.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칩 통과구멍(7)을 확장하기 위해서 2개 또는 그 이상의 동일한 링(10,11)이 축방향으로 병렬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선별 분산장치.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롤러(3)는 양측에서 페데스탈 베어링(16)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선별 분산장치.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표면은 내마모성 재질이며 유리하게는 크롬으로 도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선별 분산장치.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효과를 롤러 회전수를 조절함으로서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선별 분산장치.
제4항에 있어서, 최소한 2개의 롤러 세트(1)가 설치되며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두 번째 롤러 세트의 롤러(3)는 첫 번째 롤러 세트의 롤러(3)에 비해 더 넓은 링그루브(4)와 링융기부(5)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선별 분산장치.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롤러 세트에 비해 두 번째 롤러 세트가 낮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선별 분산장치.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세트(1) 하단에 롤러 세트(1)의 이송방향(33)과 반대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순환하는 주형 밴드(31)가 설치될 경우 칩흐름의 엉킴을 공압을 통해 추가적으로 풀기 위해 롤러 세트(1)와 주형밴드(31) 사이 공간에 롤러 세트(1) 이송방향(33)과 반대 방향으로 이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장치(3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선별 분산장치.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세트(1)의 개시부(A)와 주형밴드(31) 상단의 공기흡입장치(34) 사이에 흡입덕트(35)가 형성되며, 이의 길이는 최소한 롤러 세트(1)의 길이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선별 분산장치.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장치(34)에 의해 롤러 세트(1)의 하단 또는 주형 밴드(31) 상단에는 0.9 내지 1.7m/s의 공기흐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선별 분산장치.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층 분산장치(17)의 송풍실(24) 하단에서 롤러 스크린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선별 분산장치.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층 분산장치(17)의 송풍실(24) 또는 흡입덕트(35) 상단에서 미터링 롤러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선별 분산장치.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 분산장치(29)의 칩벙커(18) 상단에서 롤러 스크린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선별 분산장치.
KR1019990056686A 1998-12-14 1999-12-10 롤러 선별 분산장치 KR1003312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57498.3 1998-12-14
DE19857498A DE19857498C1 (de) 1998-12-14 1998-12-14 Walzensiebmaschine und deren Verwend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2454A KR20000052454A (ko) 2000-08-25
KR100331246B1 true KR100331246B1 (ko) 2002-04-06

Family

ID=7890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6686A KR100331246B1 (ko) 1998-12-14 1999-12-10 롤러 선별 분산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257414B1 (ko)
EP (1) EP1010508B1 (ko)
KR (1) KR100331246B1 (ko)
CN (1) CN1191133C (ko)
BR (1) BR9907482A (ko)
CA (1) CA2292173C (ko)
DE (2) DE19857498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20890A1 (de) * 2000-04-28 2001-10-31 Dieffenbacher Schenck Panel Vorrichtung zum Streuen von Streugut auf eine kontinuierlich bewegte Unterlage
FI111055B (fi) * 2001-11-23 2003-05-30 Raumaster Oy Rullaseula, laitteisto hakkeen seulomiseksi ja menetelmä rullaseulassa
DE10206595A1 (de) * 2002-02-15 2003-08-28 Dieffenbacher Gmbh Maschf Streustation zum homogenen Streuen von beleimten Streugütern insbesondere Holzspänen
DE10206594A1 (de) * 2002-02-15 2003-08-28 Dieffenbacher Gmbh Maschf Streustation zum Streuen von beleimten Streugütern insbesondere Holzspänen
DE502004003043D1 (de) * 2003-04-08 2007-04-12 Hmh Maschinenhandel Vorrichtung zum zuführen pharmazeutischer produkte zu blisterpackungen
US7117996B1 (en) * 2003-04-29 2006-10-10 Key Technology Inc. Adjustable object size grader
CN100441281C (zh) * 2003-08-05 2008-12-10 东丽株式会社 含有无机粉末的糊剂及其制造方法以及等离子显示板用构件的制造方法
DE202008011509U1 (de) * 2008-08-29 2008-10-30 Binos Gmbh Vorrichtung zur Streuung eines Vlieses
DE202009010983U1 (de) * 2009-05-07 2011-06-15 Doppstadt Familienholding GmbH, 42555 Siebmaschine, insbesondere Sternsiebmaschine
CN101596485B (zh) * 2009-06-29 2011-07-06 中冶长天国际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杂物分离装置及杂物分离方法
DE102011077514A1 (de) * 2011-06-14 2012-12-20 Dieffenbacher GmbH Maschinen- und Anlagenbau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leimung von Partikeln, die aus zur Herstellung von Werkstoffplatten geeigneten Fasern und/oder Spänen bestehen
KR101305130B1 (ko) * 2011-07-26 2013-09-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폐차 잔재물의 폴리우레탄 폼 및 섬유 선별 장치
CN103657509B (zh) * 2013-11-21 2015-08-26 山东赛特建材有限公司 玻璃纤维短丝分散机
CN104307730A (zh) * 2014-09-28 2015-01-28 扬州高扬机电制造有限公司 一种异形交错式拨轮筛分机
US9403193B1 (en) 2015-05-29 2016-08-02 Charles A. Picard, Jr. Roller apparatus
US10111385B2 (en) 2016-06-24 2018-10-30 Jackrabbit Nut harvester with separating disks
CN106914403B (zh) * 2017-03-12 2020-03-13 方都 一种滚动筛及其筛选方法
CN106914406A (zh) * 2017-03-17 2017-07-04 杭州金知科技有限公司 一种筛选设备
CN107812561A (zh) * 2017-12-12 2018-03-20 成都利君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高压辊打散分级闭路粉磨环保系统
DE102017011798B4 (de) * 2017-12-20 2020-09-03 Lig Gmbh Vorrichtung zum Trennen von Aufgabegut
WO2019197460A1 (de) 2018-04-10 2019-10-17 Georg Schons Sortiervorrichtung zum aussortieren von münzen
DE102018005187B3 (de) * 2018-07-02 2019-05-02 Doppstadt Familienholding Gmbh Trennvorrichtung
CN108636754B (zh) * 2018-07-27 2023-08-25 四川皇龙智能破碎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大筛面筛分机
CN109499835A (zh) * 2018-11-13 2019-03-22 新疆泰宇达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硅废料回收系统的后处理装置
CN109395821A (zh) * 2018-12-10 2019-03-01 徐州铭山路桥机械设备制造有限公司 路桥施工用破碎筛分装置
WO2020163619A1 (en) 2019-02-08 2020-08-13 Jackrabbit, Inc. A nut harvester with a removable assembly and a method of replacing a removable assembly of a nut harvester
DE202019002531U1 (de) * 2019-06-07 2019-06-27 Lpco Germany Gmbh Streuwalze für eine Verteilvorrichtung
CN112317293A (zh) * 2020-09-21 2021-02-05 江苏大学 一种多轴滚动式清选筛分装置及水稻联合收割机
CN113083707B (zh) * 2021-03-20 2022-07-22 珠海达明科技有限公司 一种芯片测试自动化产线的芯片等级分选装置及方法
CN113751302A (zh) * 2021-09-16 2021-12-07 图布新 一种机械加工用便于维修和更换的辊筛连接固定装置
CN115625130B (zh) * 2022-12-07 2023-04-07 黑龙江省农业科学院绥化分院 一种水稻种子分离筛选及分排装置
CN116849271B (zh) * 2023-07-14 2024-01-19 凤庆县三宁茶业有限责任公司 一种红茶发酵装置
CN117753510B (zh) * 2024-02-22 2024-04-30 新乡市亿龙养护设备有限公司 一种骨料筛分设备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90411B (de) * 1958-08-07 1965-04-08 James R Dunbar Klassierungsrost
US2966267A (en) * 1958-08-21 1960-12-27 James R Dunbar Apparatus for materials classification
US4871073A (en) * 1987-10-02 1989-10-03 National Ecology, Inc. Disc screen separator device
US5012933A (en) * 1988-02-12 1991-05-07 Acrowood Corporation Machine and method for sorting out over-thick wood chips
FI88118C (fi) * 1991-03-21 1993-04-13 Consilium Bulk Oy Valssikt foer siktning av bulkgodsmaterial, speciellt traehack
FI97113C (fi) * 1992-12-08 1996-10-25 Sunds Defibrator Loviisa Oy Tuulikammio
SE506921C2 (sv) * 1995-09-06 1998-03-02 Rotom Verkstaeder Ab Skivsållaxel
IT1290732B1 (it) * 1997-03-12 1998-12-10 Pal Srl Dispositivo a rulli per la separazione di chips e particelle a granulometria differenziata e macchina formatrice utilizzan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9907366D1 (de) 2003-11-20
KR20000052454A (ko) 2000-08-25
CN1256975A (zh) 2000-06-21
EP1010508B1 (de) 2003-10-15
CA2292173A1 (en) 2000-06-14
DE19857498C1 (de) 2000-06-15
CN1191133C (zh) 2005-03-02
US6257414B1 (en) 2001-07-10
BR9907482A (pt) 2000-08-15
EP1010508A1 (de) 2000-06-21
CA2292173C (en) 2003-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1246B1 (ko) 롤러 선별 분산장치
US5109988A (en) Machine and method for sorting out fines, pins, and over-thick wood chips
KR950000229A (ko) 선별기
JPH04153387A (ja) 繊維浮遊物選別のための圧力選別装置用ローター
FI93234C (fi) Laite kuitupitoisen selluloosamassan suspension jakamiseksi
CA1106335A (en) Liner in grinding mill
US5388704A (en) Relating to conveying and separation apparatus
US20060096606A1 (en) Device for processing tobacco during the production of cigarettes
US4129263A (en) Device for refining fibrous material
GB2144967A (en) Cigarette manufacture
JPH01254263A (ja) 堅軸型摩擦切削式精穀機
US6082550A (en) Cooling and sieve drum for tobacco material
US400693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distributing fibrous materials
US1457693A (en) Pulverizing machine
US3891543A (en) Centrifugal sifter apparatus
WO1988004020A1 (en) Drying device for granular material
EP0441093B1 (en) A rotor for spreading a particulate product
JP2001162230A (ja) 廃棄物の回転式風力選別装置
KR200169301Y1 (ko) 벼 선별기
JPH0711120U (ja) 処理胴付き脱穀機
EP1220599B1 (en) Rotary separation unit
RU222024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зования волокнистых шариков из удлиненных волокон, переносимых воздушным потоком
CA2036571C (en) Machine and method for separating out fines, pins and over-thick wood chips
SU34565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ФОРМИРОВАНИЯ КОВРА
US2727624A (en) Grad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