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9301Y1 - 벼 선별기 - Google Patents
벼 선별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69301Y1 KR200169301Y1 KR2019980003319U KR19980003319U KR200169301Y1 KR 200169301 Y1 KR200169301 Y1 KR 200169301Y1 KR 2019980003319 U KR2019980003319 U KR 2019980003319U KR 19980003319 U KR19980003319 U KR 19980003319U KR 200169301 Y1 KR200169301 Y1 KR 20016930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ce
- net
- sorting
- sand
- supply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9/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creening or sifting 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General arrangement of plant, e.g. flow sheets
- B07B9/02—Combinations of similar or different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탈곡된 벼에 혼합되어 있는 검불 및 먼지와 돌과 모래 등과 같은 이물을 선별하여 깨끗한 벼를 얻어내는 벼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 벼 공급부와, 풍선부, 정선부로 구성된 벼 선별기에 있어서, 균분기(113)에는 벼에 혼입되어 있는 검불 및 먼지가 효과적으로 선별되어질 수 있도록 벼를 고르게 분산시키는 가이드판(119)을 가지는 분동식 제한레버(118)가 설치되어 있고, 풍선부(120)에 의해 검불이 선별된 벼를 벼 정선부(130)로 정량 또는 확산공급할 수 있도록 다수의 날개편(117)을 가지는 회전 로울러식 공급밸브(116)가 설치되어서 된 벼 공급부(110)와 ; 벼가 벼 공급부(110)를 통과할 때 벼에 혼입되어 있는 검불 및 먼지를 바람을 이용하여 선별할 수 있도록 송풍팬(121)이 설치되어 있고, 송풍팬(121)에 의해 분리된 검불 및 먼지가 배출되어 지는 송풍담퍼(122)로 이루어진 풍선부(120)와 ; 상기 선별망체(135)에는 벼의 크기와 상응하는 크기의 구멍(132)들이 형성되어 있는 단위 망체에 의해 형성되어지는 선별망(131)이 설치되고, 벼 선별망(131)의 하부로 위치하여서 벼와 함께 벼 선별망(131)을 통과한 모래는 제거되고 벼만 선별되어질 수 있게 작은 구멍(134)들이 형성되어진 모래제거망(133) 하부로는 모래제거망(133)의 구멍막힘을 방지할 수 있는 볼부러쉬(136)가 설치되되, 상기 볼부러쉬(136)는 구획판(137)에 의해서 분획되어진 볼실(138)에 내설되어 있으며, 구동수단인 구동모터(150)의 축에 벨트연결된 캠축(151)과 연결되어서 좌, 우로 진동되어지는 벼 정선부(130)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벼 공급부에 분동식 제한레버를 설치하여 투입되는 벼를 고르게 분산 투입시켜 벼에 혼입되어 있는 검불 및 먼지(이하 이물이라함)등의 선별 효율을 높일 수 있고, 공급밸브를 고정식에서 회전식으로 개선하여 벼 정선부에 정량의 벼를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확산공급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벼 선별부의 선별망을 좌, 우로 진동되게 하여서 소음저감 및 언발란스(Unvalance) 발생을 해소할 수 있고, 벼 선별망을 분활 형성하여서 벼의 수분율, 이물혼입율에 따라 조건에 맞는 선별망을 교체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작업에 어려움을 해소하였을 뿐만 아니라, 벼 정선에 따른 생산성을 높였으며, 소요동력을 최소화할 수 있고, 모래제거망 저면에 진동에 의해 상하로 유동하는 볼 브러쉬를 설치하여서 모래제거망의 잔여 모래를 완전하게 털어낼 수 있게 하여서 모래제거망의 구멍 막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탈곡된 벼에 혼합되어 있는 검불 및 먼지와 돌과 모래 등과 같은 이물을 선별하여 깨끗한 벼를 얻어내는 벼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벼 선별기는 탈곡된 벼가 공급되어지는 벼공급부와, 벼에 혼입되어 있는 검불 및 먼지를 1차적으로 제거하는 풍선부와, 풍선부에 의해 제거되지 못한 나머지 검불 및 모래를 제거하고, 벼를 선별하는 벼 정선부로 이루어져 있다.
도1은 벼 선별기의 계통도이다.
도2는 도1의 주요부분을 발췌하여 나타낸 것으로, (a)는 벼 공급부를 발췌한 구성도이고, (b)는 벼 공급부의 공급밸브를 발췌한 구성도이며, (c)는 정선부를 발췌한 구성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벼 선별기는, 투입구(11)를 통해 투입된 벼가 원활하게 흐름을 수 있도록 내측면에 소정의 경사각을 이룬 균분판(12)이 길이방향으로 지그재그 배설되어진 균분기(13)를 가지고, 분산판(14)에 벼의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작동되는 분산조절밸브(15)가 설치되어 있으며, 검불이 선별된 벼를 벼 정선부로 이송하게 되는 고정 플레이트식 공급밸브(16)가 대응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며 설치되어진 벼 공급부(10)와 ; 벼가 벼 공급부(10)를 통과할 때 벼에 혼입되어 있는 검불 및 먼지를 바람을 이용하여 선별할 수 있도록 송풍팬(21)이 설치되어 있고, 송풍팬(21)에 의해 선별된 검불 및 먼지가 배출되어 지는 송풍담퍼(22)로 이루어진 풍선부(20)와; 상기 풍선부(20)에 의해 제거되지 못한 검불을 제거할 수 있도록 벼 선별망 상부로 구동수단에 의해 권회되어지도록 설치된 체인상에 잔여 검불을 선별할 수 있도록 스위퍼(40)가 등간격을 이루며 설치되어 있고, 전방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고 벼만을 선별할 수 있도록 벼의 크기와 상응하는 크기의 구멍들(32)이 형성되어 있는 벼 선별망(33)과, 벼 선별망(33)의 하부로 위치하여서 벼와 함께 벼 선별망(33)을 통과한 모래를 제거할 수 있게 벼 보다 작은 구멍들(34)이 형성되어진 모래제거망(35)이 소정간격 이격되어서 설치된 선별망체(36)가 구동수단에 의해 전, 후로 진동되어지는 벼 정선부(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의 벼 선별기는, 첫째, 벼 공급부에 투입되어진 벼가 고르게 분산되어 지지 않아 벼에 혼입되어 있는 검불 및 먼지 등과 같은 이물 선별능력이 떨어지고 ; 둘째, 벼 공급부의 공급밸브가 판형인 고정식이어서 벼 정선부에 벼를 정량 및 확산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하였으며; 셋째, 벼 정선부의 벼 선별망이 구동수단에 의해 전,후(길이방향)로 진동되어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할 경우 소음 및 언발란스(Unvalance)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벼의 균평확산이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을 가지고 있고 ; 넷째, 벼 선별망이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져 있어 벼의 수분율, 이물혼입율에 따라 그 조건에 맞는 벼 선별망을 교체하는데 많은 시간과 작업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정선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 다섯째, 소요동력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 여섯째, 모래 제거망의 구멍 막힘이 자주 발생하게 되어 벼 정선에 따른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첫째 벼 공급부에 분동식 제한레버를 설치하여 투입되는 벼를 고르게 분산 투입시켜 벼에 혼입되어 있는 검불 및 먼지(이하 이물이라함)등의 선별 효율을 높일 수 있고 ; 둘째, 공급밸브를 고정식에서 회전식으로 개선하여 벼 정선부에 정량의 벼를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확산공급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 셋째, 벼 선별부의 선별망을 좌,우로 진동되게 하여서 소음저감 및 언발란스(Unvalance) 발생을 해소할 수 있고 ; 넷째, 벼 선별망을 분활 형성하여서 벼의 수분율, 이물혼입율에 따라 조건에 맞는 선별망을 교체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작업에 어려움을 해소하였을 뿐만 아니라, 벼 정선에 따른 생산성을 높였으며 ; 다섯째, 소요동력을 최소화할 수 있고 ; 여섯째, 모래제거망 저면에 진동에 의해 상하로 유동하는 볼 부러쉬를 설치하여서 모래 제거망의 잔여 모래를 완전하게 털어낼 수 있게 하여서 모래 제거망의 구멍 막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벼 선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벼 선별기의 계통도.
도2는 도1의 주요부분을 발췌하여 나타낸 것으로,
(a)는 벼 공급부를 발췌한 구성도이고,
(b)는 벼 공급부의 공급밸브를 발췌한 구성도이며,
(c)는 정선부를 발췌한 구성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이 적용된 벼선별기의 계통도.
도4는 도3의 주요부분을 발췌하여 나타낸 것으로,
(a)는 벼 공급부를 발췌한 구성도이고,
(b)는 벼 공급부의 공급밸브를 발췌한 구성도이며,
(c)는 벼 정선부를 발췌한 구성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벼 공급부 111 : 투입구
112 : 균분판 113 : 균분기
114 : 분산판 115 : 분산조절밸브
116 : 회전 로울러식 공급밸브 117 : 날개편
118 : 분동식 제한레버 119 : 가이드판
120 : 풍선부 121 : 송풍팬
122 : 송풍담퍼 130 : 정선부
131 : 선별망 132, 134 : 구멍
133 : 모래제거망 135 : 선별망체
136 : 볼부러쉬 137 : 구획판
138 : 볼실 140 : 스위퍼
141 : 체인 150 : 구동모터
151 : 캠축 152 : 진동레버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투입구(111)를 통해 투입된 벼가 원활하게 흐름을 수 있도록 내측면에 소정의 경사각을 이룬 균분판(112)이 길이방향으로 지그재그 배설되어진 균분기(113)를 가지고, 분산판(114)에 벼의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작동되는 분산조절밸브(115)가 설치되어 있으며, 검불이 선별된 벼를 벼 정선부로 이송하게 되는 공급밸브(116)가 설치되어진 벼 공급부(110)와; 벼가 벼 공급부(110)를 통과할 때 벼에 혼입되어 있는 검불 및 먼지를 바람을 이용하여 선별할 수 있도록 송풍팬(121)이 설치되어 있고, 송풍팬(121)에 의해 선별된 검불 및 먼지가 배출되어 지는 송풍담퍼(122) 로 이루어진 풍선부(120)와; 상기 풍선부(120)에 의해 제거되지 못한 검불을 제거할 수 있도록 벼 선별망(131) 상부로 구동수단에 의해 권회되어지도록 설치된 체인(141)상에 잔여 검불을 선별하게 되는 스위퍼(140)가 등간격을 이루며 설치되어 있고, 전방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고 벼만을 선별할 수 있도록 벼의 크기와 상응하는 크기의 구멍들(132)이 형성되어 있는 벼 선별망(131)과, 벼 선별망(131)의 하부로 위치하여서 벼와 함께 벼 선별망(131)을 통과한 모래를 제거할 수 있게 벼 보다 작은 구멍들(134)이 형성되어진 모래제거망(133)이 소정간격 이격되어서 설치된 선별망체(135)가 구동수단에 의해 진동되어지는 벼 정선부(130)로 구성된 벼 선별기에 있어서, 상기 균분기(113)에는 혼입되어 있는 검불 및 먼지가 효과적으로 선별되어질 수 있도록 벼를 고르게 분산시키는 가이드판(119)을 가지는 분동식 제한레버(118)가 설치되어 있고, 풍선부(120)에 의해 검불이 선별된 벼를 벼 정선부(130)로 정량 또는 확산공급할 수 있도록 다수의 날개편(117)을 가지는 회전 로울러식 공급밸브(116)가 설치되어서 된 벼 공급부(110)와; 벼가 벼 공급부(110)를 통과할 때 벼에 혼입되어 있는 검불 및 먼지를 바람을 이용하여 선별할 수 있도록 송풍팬(121)이 설치되어 있고, 송풍팬(121)에 의해 분리된 검불 및 먼지가 배출되어 지는 송풍담퍼(122)로 이루어진 풍선부(120)와; 상기 선별망체(135)에는 벼의 크기와 상응하는 크기의 구멍(132)들이 형성되어 있는 단위망체에 의해 형성되어지는 선별망(131)이 설치되고, 벼 선별망(131)의 하부로 위치하여서 벼와 함께 선별망(131)을 통과한 모래는 제거되고 벼만 선별되어 질 수 있게 작은 구멍(134)들이 형성되어진 모래제거망(133) 하부로는 모래제거망(133)의 구멍막힘을 방지할 수 있는 볼부러쉬(136)가 설치되되, 상기 볼부러쉬(136)는 구획판(137)에 의해서 분획되어진 볼실(138)에 내설되어 있으며, 구동수단인 구동모터(540)의 축에 벨트연결된 캠축(151)과 연결되어서 좌,우로 진동되어지는 벼 정선부(130)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벼 정선부(130)의 벼 선별망(131)의 구멍은, 벼가 함습하고 있는 수분량에 따라 그에 알맞는 크기의 구멍들을 가지는 것이다.
상기 볼부러쉬(136)는 모래제거망(133)의 구멍(134) 막힘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하로 움직이면서 모래제거망(133)에 충격을 가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는 본 고안이 적용된 벼선별기의 계통도 이다.
도4는 도3의 주요부분을 발췌하여 나타낸 것으로, (a)는 풍선부를 발췌한 구성도이고, (b)는 벼 공급부를 발췌한 구성도 이며, (c)는 벼 정선부를 발췌한 구성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벼 선별기는, 먼저, 벼 공급부(110)의 투입구(111)에 탈곡된 벼를 투입 시킨다.
상기와 같이 투입되어진 벼는 균분기(113)의 내측으로 배설되어 있는 균분판(112에 안내를 받으면서 분산판(114)쪽으로 이송되어 진다.
이때, 분산판(114)에는 가이드판(119)을 가지는 분동식 제한레버(118)의 조절에 의하여 벼가 고르게 분산 공급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분동식 제한레버(118)에 의해 고르게 분산투입되어 지는 벼의 이물(검불 및 먼지)를 풍선부(120)에서 선별해 내게 되는데, 풍선부(120)에 설치된 송풍팬(121)이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면서 풍력을 발생하게 되고 이 풍력에 의해 이물이 풍선부(120)쪽으로 선별되어짐과 동시에 풍선부(120)의 송풍담퍼(122)를 통해 배출되어지는 것이다.
상기 벼 공급부(110)를 통과하면서 검불 및 먼지가 선별된 벼는 회전 로울러식 공급밸브(116)에 의해 벼 정선부(130)로 이송되어 지고, 상기 회전 로울러식 공급밸브(116)는 다수의 날개편(117)을 가지고 있어, 벼 정선부(130)의 선별망체(135) 상부로 설치된 벼 선별망(131)에 벼가 정량 또는 확산공급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벼가 공급되어진 선별망체(135)는 구동수단 즉 구동모터(150)의 회전축에 설치된 캠(151)에 연결된 진동레버(152)가 선별망체(135)와 연결되어 있어서 좌.우로 진동되어 지고, 상기 진동에 의해 벼가 벼 선별망(131)에서 균형있게 확산되면서 벼 선별망(131)에 형성된 구멍(132)들을 통해 벼는 선별되어지고, 풍선부(120)에서 선별되지 못한 잔여 검불은 스위퍼(140)에 의해 선별되어 이물배출구(160)로 수거 된다.
상기와 같이 선별된 벼는 모래제거망(133)위로 위치하게 되고, 호퍼(170)로 모아져 콘베이어밸트에 의해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검불이 완전하게 선별된 벼에는 모래와 같은 작은 입자의 이물들이 잔류하게 되는데, 이 이물은 모래제거망(133)의 구멍(134)을 통해 선별되어지고, 선별된 모래 및 작은 입자의 이물은 별도의 이물배출구(180)로 수거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모래를 선별하게 되는 모래제거망(133)의 구멍(134)은 지속되는 작업에 의해 구멍막힘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모래제거망(133) 하부에 볼부러쉬(136)이 설치되어 있다.
이 볼부러쉬(136)는 모래제거망(133)의 하부로 위치한 볼실(138)에 내설되어서 진동수단에 의해 진동되는 선별망체(135)의 진동으로 상.하로 움직이면서 모래제거망(133)에 충격을 가하여서 구멍(134)에 잔류하게 되는 잔여모래를 완전하게 털어내게 된다.
상기한 볼부러쉬(136)는 재질이 찰고무재 이어서 조그만한 진동에 의해서도 쉽게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상술한 특성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벼 선별기는, 벼 공급부에 분동식 제한레버를 설치하여 투입되는 벼를 고르게 분산 투입시켜 벼에 혼입되어 있는 검불 및 먼지(이하 이물질이라함)등의 선별 효율을 높일 수 있고, 공급밸브를 고정식에서 회전식으로 개선하여 벼 정선부에 정량의 벼를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확산공급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벼 선별부의 선별망을 좌.우로 진동되게 하여서 소음저감 및 언발란스(Unvalance) 발생을 해소할 수 있고, 벼 선별망을 분활 형성하여서 벼의 수분율, 이물혼입율에 따라 조건에 맞는 선별망을 교체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작업에 어려움을 해소하였을 뿐만 아니라, 벼 정선에 따른 생산성을 높였으며, 소요동력을 최소화할 수 있고, 모래제거망 저면에 진동에 의해 상하로 유동하는 볼 브러쉬를 설치하여서 모래제거망의 잔여 모래를 완전하게 털어낼 수 있게 하여서 모래제거망의 구멍 막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 투입구(11)를 통해 투입된 벼가 원활하게 흐름을 수 있도록 내측면에 소정의 경사각을 이룬 균분판(112)이 길이방향으로 지그재그 배설되어진 균분기(113)를 가지고, 분산판(114)에 벼의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작동되는 분산조절밸브(115)가 설치되어 있으며, 검불이 선별된 벼를 벼 정선부로 이송하게 되는 공급밸브(116)가 설치되어진 벼 공급부(110)와 ; 벼가 벼 공급부(110)를 통과할 때 벼에 혼입되어 있는 검불 및 먼지를 바람을 이용하여 선별할 수 있도록 송풍팬(121)이 설치되어 있고, 송풍팬(121)에 의해 선별된 검불 및 먼지가 배출되어 지는 송풍담퍼(122)로 이루어진 풍선부(120)와; 상기 풍선부(120)에 의해 제거되지 못한 검불을 제거할 수 있도록 벼 선별망(131) 상부로 구동수단에 의해 권회되어지도록 설치된 체인상(141)에 잔여 검불을 선별하게 되는 스위퍼(140)가 등간격을 이루며 설치되어 있고, 전방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고 벼만을 선별할 수 있도록 벼의 크기와 상응하는 크기의 구멍들(132)이 형성되어 있는 벼 선별망(133)과, 벼 선별망(131)의 하부로 위치하여서 벼와 함께 벼 선별망(131)을 통과한 모래를 제거할 수 있게 벼 보다 작은 구멍들(134)이 형성되어진 모래제거망(133)이 소정간격 이격되어서 설치된 선별망체(135)가 구동수단에 의해 진동되어지는 벼 정선부(130)로 구성된 벼 선별기에 있어서, 상기 균분기(113)에는 벼에 혼입되어 있는 검불 및 먼지가 효과적으로 선별되어질 수 있도록 벼를 고르게 분산시키는 가이드판(119)을 가지는 분동식 제한레버(118)가 설치되어 있고, 풍선부(120)에 의해 검불이 선별된 벼를 벼 정선부(130)로 정량 또는 확산공급할 수 있도록 다수의 날개편(117)을 가지는 회전 로울러식 공급밸브(116)가 설치되어서 된 벼 공급부(110)와 ; 벼가 벼 공급부(110)를 통과할 때 벼에 혼입되어 있는 검불 및 먼지를 바람을 이용하여 선별할 수 있도록 송풍팬(121)이 설치되어 있고, 송풍팬(121)에 의해 분리된 검불 및 먼지가 배출되어 지는 송풍담퍼(122)로 이루어진 풍선부(120)와 ; 상기 선별망체(135)에는 벼의 크기와 상응하는 크기의 구멍(132)들이 형성되어 있는 단위망체에 의해 형성되어지는 선별망(131)이 설치되고, 벼 선별망(131)의 하부로 위치하여서 벼와 함께 벼 선별망(131)을 통과한 모래는 제거되고 벼만 선별되어질 수 있게 작은 구멍(134)들이 형성되어진 모래제거망(133) 하부로 모래제거망 구멍막힘을 방지할 수 있는 볼부러쉬(136)가 설치되되, 상기 볼부러쉬(136)는 구획판(137)에 의해서 분획되어진 볼실(138)에 내설되어 있으며, 구동수단인 구동모터(150)의 축에 벨트연결된 캠축(151)과 연결되어서 좌, 우로 진동되어지는 벼 정선부(1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벼 선별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벼 정선부(130)의 벼 선별망(131)의 구멍은, 벼가 함습하고 있는 수분량에 따라 그에 알맞는 크기의 구멍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벼 선별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부러쉬(136)는 모래 제거망(133)의 구멍(134) 막힘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하로 움직이면서 모래 제거망(133)에 충격을 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벼 선별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03319U KR200169301Y1 (ko) | 1998-03-09 | 1998-03-09 | 벼 선별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03319U KR200169301Y1 (ko) | 1998-03-09 | 1998-03-09 | 벼 선별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37545U KR19990037545U (ko) | 1999-10-15 |
KR200169301Y1 true KR200169301Y1 (ko) | 2000-02-01 |
Family
ID=19532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80003319U KR200169301Y1 (ko) | 1998-03-09 | 1998-03-09 | 벼 선별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69301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06081A (ko) * | 2005-07-07 | 2007-01-11 | 황성구 | 진공식 왕겨풍구 석발기 |
KR100885059B1 (ko) | 2007-11-09 | 2009-02-25 | 안점섭 | 올벼쌀 건조장치 |
KR20180003147U (ko) * | 2017-04-26 | 2018-11-05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잡곡 내 이물질 정선장치 |
-
1998
- 1998-03-09 KR KR2019980003319U patent/KR20016930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06081A (ko) * | 2005-07-07 | 2007-01-11 | 황성구 | 진공식 왕겨풍구 석발기 |
KR100885059B1 (ko) | 2007-11-09 | 2009-02-25 | 안점섭 | 올벼쌀 건조장치 |
KR20180003147U (ko) * | 2017-04-26 | 2018-11-05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잡곡 내 이물질 정선장치 |
KR200488167Y1 (ko) * | 2017-04-26 | 2018-12-21 | 대한민국 | 잡곡 내 이물질 정선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37545U (ko) | 1999-10-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H09267076A (ja) | 粗選石抜装置 | |
KR101753010B1 (ko) | 고효율 곡물 정선기 | |
JP3197017U (ja) | 穀物用選別機 | |
CN105921411B (zh) | 一种环保粮食振动清理筛 | |
US6561445B2 (en) | Hulling apparatus | |
KR200169301Y1 (ko) | 벼 선별기 | |
KR100532854B1 (ko) | 콩 정선장치 | |
KR101676167B1 (ko) | 다중 정선수단을 구비한 콩 선별장치 | |
RU2231401C2 (ru) | Зерноочистительная машина | |
KR100670170B1 (ko) | 공기 송풍식 골재 분리장치 | |
CN109127431B (zh) | 一种分选机 | |
US2826205A (en) | Tobacco ripping and classifying apparatus | |
KR101053468B1 (ko) | 풍력을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류 선별장치 | |
JP3883178B2 (ja) | 高性能石抜き機 | |
EP1188489A2 (en) | Sieving apparatus for biomass | |
KR102458453B1 (ko) | 석발기가 구비된 곡물 정선장치 | |
SE508125C2 (sv) | Anordning för rening och sortering av spannmål med roterande sikttrummor | |
JPH08131957A (ja) | 石抜選別機 | |
KR200379775Y1 (ko) | 콩 탈곡기용 콩 선별망 | |
JP7039452B2 (ja) | 脱穀装置 | |
RU2283704C2 (ru) | Зерноочистительная машина | |
JP2003170067A (ja) | インペラ羽根型籾摺選別機 | |
JP3677919B2 (ja) | 脱穀装置 | |
RU35252U1 (ru) | Зерноочистительная машина | |
JP2002282795A (ja) | 形状選別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