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0499B1 - 코인류의 계수장치 - Google Patents

코인류의 계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0499B1
KR100330499B1 KR1020007001408A KR20007001408A KR100330499B1 KR 100330499 B1 KR100330499 B1 KR 100330499B1 KR 1020007001408 A KR1020007001408 A KR 1020007001408A KR 20007001408 A KR20007001408 A KR 20007001408A KR 100330499 B1 KR100330499 B1 KR 100330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coins
rotating disk
sensor
guid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1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2807A (ko
Inventor
스가이카쯔미
나카타니노부유키
나카무라마사나리
Original Assignee
스가이 카쯔미
유겐가이샤 스가이소교
나카다니 노부사치
유켄가이샤 윙 셋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가이 카쯔미, 유겐가이샤 스가이소교, 나카다니 노부사치, 유켄가이샤 윙 셋케이 filed Critical 스가이 카쯔미
Publication of KR20010022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2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0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04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3/00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 G07D3/16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in combination with coin-count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7D9/008Feeding coins from bul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7D9/04Hand- or motor-driven devices for counting coi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Coins (AREA)

Abstract

금종이 다른 코인류를 혼재시켜 상부 케이스(3)의 코인류 투입부(16)에서 공급하면, 배출되는 코인류의 금종마다의 매수나 총금액 등을 연산해서 표시한다.
본체 케이스(2)의 상면에 회전디스크(5)와 종동륜(6)을 배치하고, 이들의 외주에 벨트(12)를 감아, 핸들(14)로 회전구동한다. 본체 케이스(2)에 상부 케이스(3)를 개폐가능하게 장착하고, 상부 케이스(3)의 하면에 안내통로(19)를 형성한다. 상부 케이스(3)측 검지구멍(23)의 상측에 코인류의 직경과 통과 개수를 계측할 수 있는 코인센서를 배치하고, 본체 케이스(2)측에 설치한 광원에서의 투광은 코인센서에 조사한다. 공급된 코인류는 회전하는 회전디스크(5)의 외주에서 안내통로(19)내의 벨트(12)에 탑재되어 배출구(11)로 방출되는 도중, 코인센서로 계수되어, 컨트롤러에서 연산된 매수, 총금액 등의 계수결과는 상부 케이스(3)상면에 배치한 LED표시부에 표시된다.

Description

코인류의 계수장치{DEVICE FOR COUNTING COINS OR THE LIKE}
종래의 코인류 계수장치는, 종류나 직경이 다른 여러장의 코인류를 혼재시켜 계수기에 넣고, 게이트부를 통과한 코인류의 개수를 계수해서 배출하는 구성이었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부는 경화의 직경, 두께 등에 따라 특정한 단위의 코인류는 통과할 수 있지만, 그보다 큰 직경 혹은 두꺼운 코인류는 경화공급측의 저장부에 저장된다라는 것이고, 이 게이트부는 상기 경화의 직경 및 두께가 조절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여러 종류의 코인류를 혼재시켜 공급측에 넣은 경우, 상기 게이트부의 조정을, 예를 들면 직경이 작은 순서로 실행해서, 작은 직경의 코인류순으로 배출, 계수하지 않으면, 큰 직경의 코인류가 통과하는 게이트부에서 작은 직경의 코인이 섞여 배출되어 버려, 계수오류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게다가, 계수작업은, 게이트의 조정단위수(예를 들면, 일본 경화의 종류수)만큼 반복해서 실행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매우 번거롭고 시간도 걸린다라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 선행기술로서, 예를 들면, 특표평 9-500468호(국제출원번호: PCT2/US94/08036: 국제공개번호: WO95/049789)에서는, 탄성적인 상면을 갖는 회전디스크와, 상기 회전디스크의 상면에 대해서 평행하게 배치되고 또한 상기 상면에서 약간 떨어진 하면을 갖는 정지선별헤드와, 상기 회전디스크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정지선별헤드의 하면에는, 종류(직경)가 다른 코인류(경화)를 단일열 또한 단일층이 되도록 하면서 정렬시키는 게이지통로와, 상기 게이지통로에 연이어 통하고, 또한 정렬경화의 흐름의 하류측에서 소정의 종류(직경)의 코인류(경화)만을 수용해서 기기밖으로 배출할 수 있는 나선형 여러부분의 경화선별통로를 구비한 경화선별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 장치에서는, 종류(직경)가 다른 경화마다 선별할 수 있어도, 그 매수나 총계 등을 계수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통화로서의 경화나, 각종 게임기기에 사용하는 코인형 메달 등의 코인류의 종류와 합계를 계수하기 위한 코인류 계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상부 케이스를 연 상태에서 나타낸 코인류의 계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코인류의 계수장치의 상부 케이스를 닫은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코인류의 계수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상부 케이스를 연 상태에서 나타낸 본체 케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V-V선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6은 코인센서부분의 주요부분 확대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Ⅶ-Ⅶ선의 단면도이다.
도 8(a)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안내통로의 하면도이다.
도 8(b)는 측단면도이다.
도 9는 제어부의 기능블럭도이다.
도 10은 표시부의 평면도이다.
도 11(a)는 정회전시에 있어서의 회전방향센서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11(b)는 역회전시에 있어서의 회전방향센서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11(c)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여러 종류의 코인류(경화)를 혼재시킨 상태에서 공급해도, 장치에서 배출된 코인류전체의 금액총계가 표시되고, 또, 배출된 각 종류마다의 코인류(경화)의 개수 또는/ 및 금액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장치에서의 코인류의 배출작업(계수작업)도 한 번에 끝내도록 한 코인류 계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의 측면은, 상면에 코인류가 놓이도록 하고, 또한 수동 혹은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디스크와, 상기 회전디스크의 외주에 배치된 종동륜과, 상기 회전디스크와 종동륜의 외주에 걸쳐서 감긴 무단반송체와, 상기 회전디스크의 상면에 개구하는 코인류 투입부를 구비하고, 또한 회전디스크의 일측 외주에서 종동륜의 일측을 향해서 이행하는 무단반송체에 탑재된 코인류를 배출구를 향해 방출하도록 안내하는 안내통로가 형성된 가이드판과, 상기 안내통로내에서, 상기 반송되는 코인류의 직경 및 통과수를 계측하기 위한 코인센서와, 상기 코인센서에 의한 계측결과를 연산하는 제어부와, 상기 배출된 코인류의 금액 등의 계수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코인류 투입부에서 종류가 다른 다수의 코인류를 회전디스크상에 공급한 후, 회전디스크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디스크의 외주로부터 안내통로에 코인류가 하나씩 도입되고, 이 안내통로를 따라 이행하는 반송무단체에 코인류가 탑재되어 배출구방향으로 반송된다. 이 도중에, 코인센서에 의해, 상기 반송되는 한 개마다의 코인류의 직경 및 통과수를 계측하고, 그 계수결과를 제어부에서 연산해서, 계수결과가 자동적으로 표시된다.
또, 상기 구성에 의하면, 종류가 다른 다수의 코인류를 혼재시켜 공급해도, 상기 코인센서에 의해, 자동적으로 코인류의 종별과 그 개수를 판정해서 표시할 수 있으므로, 계수조작을 한 번에 마칠 수 있어 매우 능률적으로 코인류를 계수할 수 있다라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제2의 측면은, 코인류의 계수장치에 있어서의 본체 케이스의 상면에, 상기 회전디스크와, 종동륜과, 무단반송체를 배치하는 한편, 상기 회전디스크의 상면에 개구하는 코인류 투입부를 구비한 상부 케이스의 하면측에는, 상기 가이드판을 장착하고, 상기 가이드판의 하면측에는 하향으로 개방되도록 상기 안내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체 케이스측 상면측에 회전디스크, 종동륜 및반송무단체가 평면적으로 배치되고, 반송무단체가 회전디스크와 종동륜의 외주에 감겨 있기 때문에, 회전디스크상의 코인류가 반송무단체상에 원활하게 옮겨져서, 상부 케이스의 하면 가이드판에 형성된 안내통로를 따라 반출, 배출할 수 있다라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제3의 측면은, 코인류의 계수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면에 대해서 상부 케이스를 개폐가능하게 장착하는 한편, 상부 케이스측에는 상기 코인센서를 배치하고, 본체 케이스측에는, 코인센서에 대한 광원을 배치한 것이기 때문에, 본체 케이스에 대해서 상부 케이스를 여는 것만으로, 반송시 걸리는 코인류를 제거하거나, 반송무단체를 교환하고, 코인센서나 광원부분의 청소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보수관리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다라는 효과를 가진다.
또, 본 발명의 제4의 측면은, 코인류의 계수장치에 있어서, 통과하는 코인류의 종별과 개수와 상기 코인센서에서 판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코인류의 종별과 개수를 기억하는 동시에 연산해서 총계금액을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한 것이기 때문에, 공급되는 코인류의 종류(금종)가 여러 가지로 혼재하고 있어도, 계수된 코인류전체의 총계금액을 표시할 수 있고, 종별마다의 금액을 별도로 집계할 필요가 없고, 계수작업의 효율화를 꾀할 수 있다라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5의 측면은, 코인류의 계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총계금액 및 코인의 종류별의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전환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공급되는 코인류의 종류(금종)가 여러 가지로 혼재하고 있어도, 그 종류별의계수결과도 매우 용이하게 알 수 있고, 계수작업전체를 신속하게 할 수 있고, 한층 더 효율화할 수 있다라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제6의 측면은, 코인류의 계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디스크 또는 종동륜의 회전방향을 검지하는 회전방향센서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제어부는, 무단반송체상의 코인류의 역이송조작시에는, 상기 코인류의 종별 및 개수의 연산을 실행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어에 의해, 안내통로내에서 코인류가 걸리는 등의 고장시에 회전디스크를 일단 역회전시키면, 걸림이 해소되는 동시에, 역이송된 코인류를 다시 계수하거나, 배출되어 있지 않은 코인류를 계수결과에 첨가하는 일이 없고, 계수결과를 정확하게 할 수 있다라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제7의 측면은, 상기 코인류의 계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내통로에 있어서의 코인센서배치개소의 근방에는, 상기 무단반송체의 상면과 대치시켜 탄성펀을 배치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무단반송체에 탑재되어 반송되는 코인류의 두께가 각기 다르고, 특히 두꺼운 코인류사이에 얇은 코인류가 반송될 때, 상기 얇은 코인류가 탄성편과 무단반송체에서 탄력적으로 끼워지므로, 반송방향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흔들리는 일이 없고, 코인류의 직경의 계측결과가 부정확하게 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라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각종 변형예 및 대체예로 실시가능하지만, 도면에는 일예로서, 그 특별한 실시예가 나타나 있고, 이하에 그 상세를 설명한다. 그러나, 이것은 본 발명을 이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은 첨부한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에 속하는 모든 변형예 및 대체예를 포함하는 것이라고 이해해야 할 것이다.
도 1에 나타내듯이, 본 발명에 따른 계수장치(1)에 있어서의 합성수지제 본체 케이스(2)는, 하부 케이스(2a)와 그 상면측의 중앙 케이스(2b)로 이루어진다. 상부 케이스(3) 및 본체 케이스(2)의 후단끼리가 힌지(4)를 끼워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본체 케이스(2)에 대해서 상부 케이스(3)를 착탈가능하게 장착해도 좋다. 상기 중앙 케이스(2b)의 상면측에, 대경의 회전디스크(5)와 소경의 종동륜(6)이 각각의 종방향의 지축(7, 8) 및 축받이(9a, 9b)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종동륜(6)은, 본체 케이스(2)와 상부 케이스(3)의 힌지(4)로부터 떨어진 코인류(10) 배출구(11)에 가까운 측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코인류(10)란, 경화(예를 들면, 일본국의 통화단위 1엔, 5엔, 10엔, 50엔, 100엔, 500엔의 경화) 및 게임기기에서 사용하는 코인형 메달 등을 말하며, 금속제나 비금속제(예를 들면, 세라믹제, 합성수지제)인 것을 따지지 않는다.
회전디스크(5) 및 종동륜(6)의 양 외주가장자리는, 반송무단체로서의 단면이 원형인 벨트(12)를 탈락불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외향으로 개방된 대략 원호상의 오목홈(13)이 형성되고, 회전디스크(5) 및 종동륜(6)의 양 외주의 오목홈(13, 13)을 따라 벨트(12)가 감겨져 있다. 회전디스크(5)의 하면 외주근처부위는 복수의 지지롤러(15)로 수평을 유지하도록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회전디스크(5)의 표면(상면)중심에서 상향으로 연장하는 보스(boss)부(5a)의 상단에는, 상기 지축(7)의 상부를 돌출시키고, 상기 지축(7)에 핸들(14)이 핀(7a)을 매개로 기복되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손잡이부(14a)를 상향으로 한 상태에서는(도 5의 실시상태참조), 조작자가 손으로 손잡이부(14a)를 잡고 핸드(14)을 돌리면, 벨트(12)를 통해 회전디스크(5) 및 종동륜(6)을 일체적으로회전시킬 수 있고, 도 1, 도 2 및 도 4에 있어서 화살표A방향을 정회전으로 하고, 화살표B방향을 역회전으로 한다.
상기 상부 케이스(3)의 대략 중앙부에는, 상기 회전디스크(5)의 직경과 거의 같은 직경의 둥근 구멍형상의 상하로 관통된 코인류 투입부(16)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3)의 하면에는, 두께가 3㎜정도의 금속판제 가이드판(17)이 나사(도시생략) 등으로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판(17)에는, 상기 코인류 투입부(16)와 회전디스크(5)의 상면과 연이어 통하는, 회전디스크(5)의 직경과 거의 같은 직경의 둥근 구멍(18)이 뚫어져 있고, 회전디스크(5)와 코인류 투입부(16)는 동심원형이다.
상기 가이드판(17)에 하향 개방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안내통로(19)는, 도 1,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듯이, 상기 둥근 구멍(18)의 일측가장자리에서 회전디스크(5)가 정회전할 때 종동륜(6)을 향해서 진행하는(이행하는) 벨트(12)부분을 포함하고, 배출구(11)와 연이어 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안내통로(19)의 폭치수(W1)는, 회전디스크(5)상에 투입된 코인류(10) 중 최대 직경의 것(예를 들면, 일본국내에서는 유통되고 있는 500엔 경화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실시예에서는, W1=27㎜로 한다. 마찬가지로, 안내통로(19)의 천정면까지의 깊이는, 회전디스크(5)상에 투입된 코인류(10) 중 최대 두께의 것(예를 들면, 일본국 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500엔 경화)이 통과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상기 벨트(12)는 안내통로(19)의 폭방향의 대략 중앙부를 따라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디스크(5)의 중도부에는, 구상(球狀) 등의 교반촉진용 돌기체(20)를 위로 돌출시켜(단, 위로 탈락불능) 상기 돌기체(20)의 하면을 회전디스크(5)의 이면(하면)에 고정한 스프링판(21)으로 탄성적으로 지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회전디스크(5)상에 투입된 코인류(10)가 회전하는 회전디스크(5)의 표면에 부착된 상태가 되지 않도록 교반되고, 회전디스크(5)의 외주방향으로 밀어보내지는 작용이 촉진된다. 또, 상기 돌기체(20)의 상면에 단부가 올려져 기울어 있는 코인류(10)가 회전하면서 안내통로(19)의 입구측(회전디스크(5)의 외주가장자리의 일측근방)에 도입될 때, 상기 코인류(10)의 단부가 입구측의 안내통로(19)의 천정면 등에 걸리면, 탄성적인 스프링판(21)이 아래로 휘고, 돌기체(20)이 회전디스크(5)의 상면(표면)과 거의 같아질 때까지 내려가고, 코인류(10)의 평면이 회전디스크(5)의 상면과 거의 평행상태가 되므로, 코인류(10)가 안내통로(19)부분에서 걸리는 일도 방지할 수 있고, 회전디스크(5)의 회전을 저해하는 일없이, 원활한 배출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안내통로(19)안에는, 상기 정회전하는 회전디스크(5)에 의해 이행하는 벨트(12)에 탑재되어 반송되는 코인류(10)의 직경과 개수를 계측하기 위한 코인센서(22)를 배치한다. 실시예에서는, 코인센서(22)로서, 라인형 CCD센서(감광부의 화소수 2160, 화소사이즈 14㎛×14㎛(14㎛피치)를 사용하고,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듯이, 화소의 라인(나열)방향은 안내통로(19)의 폭방향으로 길게 하고, 코인센서(22)의 검지면이 가이드판(17)에 뚫어서 설치된 좌우 한 쌍의 검지구멍(23, 23)에 대면하도록, 가이드판(17)의 상면측에 검지면을 하향으로 해서, 비스(24)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코인센서(22)의 검지면과 대향하도록, 중앙 케이스(2b)측에는, 복수개(실시예에서는 3개를 일렬형으로 배치)의 LED(발광다이오드) 등의 광원(25)이 광통로(26)내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 케이스(2)(중앙 케이스(2b)측)에는, 상기 코인센서(22)(광원(25))의 배치부분보다 코인류(10)의 반송상류측에 압압롤러(27)가 배치되고, 상기 압압롤러(27)의 좌우 양측의 지축을 스프링(18)으로 힘을 가해서, 상기 벨트(12)를 탄성적으로 상향으로 누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벨트(12)의 상면에 놓여져 반송되는 코인류(10)가 상기 검지구멍(23, 23) 근방의 안내통로(19)의 천정면에 눌려진 상태로 안내통로(19)의 폭방향으로 흔들리지 않고 통과할 수 있고, 코인센서(22)의 검지면에 접근해서 통과하는 코인류(10)의 직경으로 금종과, 개수를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는 것이다. 코인류(10)의 폭치수(직경)의 계측은, 코인센서(22)로서의 라인형 CCD센서의 검지면을 코인류(10)가 통과할 때, 빛이 차단된 화소수에 의해 판단하고, 또, 코인류(10)의 통과수는, 직경부의 통과(차광의 화소수가 최대값을 계측한 후, 상기 차광의 화소수가 감소하는 상태)로 판단하고 있다.
또, 상기 좌우 한 쌍의 검지구멍(23, 23)사이의 판부의 아래쪽을 벨트(12)가 통과하도록 설정함으로써, 벨트(12)의 상면에 놓여져 반송되는 코인류(10)가 상기 검지구멍(23, 23)의 부분에서, 안내통로(19)의 천정면에 눌려진 평행상태를 유지해서 검지정밀도를 향상시키고 있다.
또, 두께가 다른 복수의 코인류(10)가 벨트(12)에 탑재되어 반송될 때, 예를들면, 두꺼운 코인류(10)가 좌우 한 쌍의 검지구멍(23, 23)부분을 통과해서 직경(금종), 개수를 계측한 후의 후속되는 코인류(10)가 얇은 것이면, 벨트(12) 및 압압롤러(27)에 의한 코인류)(10)의 안내통로(19)의 천정면이 판부(29)로의 압압이 불완전해지고, 벨트(12)에 탑재된 코인류(10)가 좌우로 흔들리면서 반송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코인센서(22)에 의한 코인류(10) 직경의 계측으로 금종과 개수의 계측결과가 부정확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내통로(19)속에, 상기 판부(29)를 끼워 코인류(10) 반송의 상류측과 하류측에 장착구멍(30, 31)을 뚫고, 반송 상류측 장착구멍(30)안에 PET(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필름 등의 탄력성을 가지고, 또한 마찰계수가 작은 재료로 이루어진 탄성편(32)의 기단을 비스(33) 등으로 고정하고, 탄성편(32)의 중간부를 상기 판부(29)의 하방측에 통과시키고, 또한 자유단을 반송 하류측 장착구멍(31)에서 가이드판(17)의 상면측으로 연장시켜 배치해 둔다.
이것에 의해, 벨트(12)에 탑재된 코인류(10)의 두께가 얇은 경우라도, 상기 코인류(10)의 상측을 상기 탄성편(32)으로 벨트(12)의 상면방향으로 압압할 수 있고, 반송되는 코인류(10)의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어, 계수정밀도를 향상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 도 3,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듯이, 중앙 케이스(2b)의 상면에 선단결합부(37b)를 돌출시킨 훅체(37)의 중간부를 횡축(38)을 통해 중앙 케이스(2b)에 회동가능하게 장착하고, 하부 케이스(2a)의 하면에 조작부(37a)를 노출시키는 한편,나사스프링(39)에 의해 훅체(37)의 선단결합부(37b)가, 본체 케이스(2)에 대해서 닫혀진 상태의 상부 케이스(3)의 하면을 덮는 부재로서의 가이드판(17)에 뚫어진 결합구멍(도시생략)에 결합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조작부(37a)를 상향으로 누르면, 선단결합부(37b)가 결합구멍에서 빠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부 케이스(3)를 닫았을 때, 가이드판(17)이 중앙 케이스(2b)의 상면에 충돌하지 않도록, 충격완화용 쿳션체(40)가 중앙케이스(2b)의 상면에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도 9∼도 11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코인류의 계수장치(1)에 있어서의 계수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제어계의 블록도를 나타내며, 전자식 제어부로서의 마이크로컴퓨터 등의 컨트롤러(50)에는, 후술하는 모드전환에 의한 합계금액이나 금종마다의 매수 혹은 금액을 표시하기 위한 각종 연산 및 제어를 실행하기 위한 CPU와, 상기 제어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억시킨 ROM(독출전용메모리)와, 상기 계수된 코인류(10)의 금종이나 금액 등의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RAM(수시 판독가능메모리)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 컨트롤러(50)에는, 상기 본체 케이스(2)하부에 설치된 전지수납부(51)에 수납된 건전지 등의 전원(52)과, 전원투입용 스위치(53)와, 투광용 LED로 이루어진 이루어진 광원(25)으로의 구동회로(54)와, 코인센서(22)에 대한 구동회로를 구비한 측장회로(55)와, 표시부(56)와 그 조작스위치(57)와, 후술하는 회전방향센서(58)가 접속되어 있다.
전원용 스위치(53), 표시부(56) 및 조작스위치(57)는 도 2 및 도 10에 나타내듯이, 상부 케이스(3)의 상면앞근방부위에 배치되어 있고, 표시부(56)는 확대해서 나타낸 도 10에서와 같이, 계수된 코인류(10)의 금액 또는 매수를 나타낸 수치표시부로서의 7세그먼트 LED(56a)와, 계수된 코인류(10)의 금종(일본국의 통화단위, 1엔, 5엔, 10엔, 50엔, 100엔, 500엔 별로)를 각각 나타내기 위한 금종표시용 LED(56b)를 구비한다. 또, 조작스위치로서는, 혼재된 코인류(10)의 계수된 결과를 그 금종마다 엔/매수로 따로 표시하고 싶을 때에 누르기 위한 모드전환스위치(57a)와, 그 금종별 계수결과표시모드를 취소하기 위한 크리어스위치(57b)로 이루어진다.
회전방향센서(58)는, 상기 종동륜(6), 나아가서는 벨트(12)에 탑재되어 반송되는 코인류(10)가 일단 코인센서(22)부분을 배출구(11)방향으로 통과한 후, 조작자의 조작으로 역반송된 것을 검지하고, 상기 코인센서(22)로 계수한 결과 중, 상기 역반송된 코인류(10)에 관한 데이터를 무시(크리어)하는 제어를 위해 이용하는 것이다. 포토인터램프 등의 광센서 등으로 이루어진 회전방향센서(58)는, 도 11(a), 도 11(b) 및 도 11(c)에 나타내듯이, 상기 종동륜(6)의 지축(8)하단부에서 함께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피검출체(60)를 검지하는지의 여부로, 정회전인지 역회전인지를 판단한다. 즉, 종동륜(6)(회전디스크(5))이 화살표 A방향으로 정회전 할 때에는(도 11(a)참조), 지축(8)과 함께 회전하는 피검출체(60)가 한 쪽 스토퍼부(59)(중앙 케이스(2b)의 소정부분)에서 정지하고, 피검출부(60a)가 회전방향센서(58)의 빛을 차단하는 것으로 소정신호를 내고, 코인센서(22)에 의한 계측결과로부터 후술하는 계수를 실행한다. 반대로, 종동륜(회전디스크(5))이 화살표 B방향으로 역회전할 때에는(도 11(b)참조), 마찬가지로 함께 회전하는 피검출체(60)가다른 쪽 스토퍼부(61)에서(하부 케이스(2a)의 내벽부분에 접촉해서) 정지하고, 피검출부(60a)가 회전방향센서(58)의 빛을 투과하는 것으로 소정신호를 내고, 코인센서(22)에 의한 계측결과를 무시하는 것이다.
다음에, 코인류(10)의 계수장치(1)의 기능 및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체 케이스(2)에 대해서 상부 케이스(3)를 닫은 상태에서, 핸들(14)의 손잡이부(14a)를 위로 향하게 하고, 상부 케이스(3)에 있어서의 코인류 투입부(16)에, 계수할 여러개의 코인류(10)를, 금종(1엔, 5엔, 10엔, 50엔, 100엔, 500엔의 경화)을 혼재시킨 상태에서 투입한다. 전원용 스위치(53)를 ON하면, 표시부(56)의 7세그먼트 LED(56a)부분이 「0」으로 점등한다. 이때, 금액램프(62)가 점등하도록 해도 좋다.
계속해서, 상기 핸들(14)을 도 2의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정회전)시키면, 회전디스크(5)가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디스크(5)에 탑재된 코인류(10)가 순차 안내통로(19)에 일렬로 도입되고, 이 안내통로(19)안에서는 벨트(12)상에 탑재되어 배출구(11)방향으로 코인류(10)가 정방향으로 반송된다. 코인센서(22)근방에서는 벨트(12)가 압압롤러(27)로 하측에서 압압되고 있으므로, 안내통로(19)의 청정면에 눌려진 상태에서 코인류(10)가 반송된다. 코인센서(22)부분에서는, 통과하는 코인류(10)가 하방의 광원(25)으로부터의 투광의 일부를 차단하게 되고, 이 통과하는 코인류(10)의 직경의 대소를 코인센서(22)에 의해 측장해서, 금종을 판별하고, 또, 직경부분이 통과하는 것을 코인센서(22)가 검지함으로써, 반출(배출)하는 코인류(10)의 개수를 계수한다. 금종의 데이터와 그 배출개수의 데이터를 1조로 하는 데이터와, 배출된 총수, 배출된 총금액의 각 데이터는, 측장회로를 포함하는 구동회로(55)에서 컨트롤러(50)에 보내어지고, 각각 RAM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상술하면, 예를 들면, 금종 1엔의 코인류(경화)(10) 5개, 금종 5엔의 코인류(경화)(10) 3개, 금종 100엔의 코인류(경화)(10) 7개를 혼재시켜 코인류 투입부(16)로 넣고 회전디스크(5)를 정회전시키면, 금종 1엔의 코인류(경화)(10) 1개가, 코인센서(22)부분을 통과할 때마다 상기 RAM에서는 금종 1엔의 메모리영역에 1개씩 가산되어 기억유지되므로, 5개가 통과하면, 금액은 5엔, 개수는 5개로 기억된다. 마찬가지로, 금종 5엔의 코인류(경화)(10) 1개가, 코인센서(22)부분을 통과할 때마다, 상기 RAM에서는 금종 5엔의 메모리영역에 1개씩 가산되어 기억유지되고, 3개가 통과하면, 금액은 15엔, 개수는 3개로 기억된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금종 100엔의 코인류(경화)(10) 1개가 코인센서(22)부분을 통과할 때마다, RAM에서는 금종 100엔의 메모리영역에 1개씩 가산되어 기억유지되므로, 7개가 통과하면 금액은 700엔, 개수는 7개로 기억된다. 그리고, 총금액의 메모리영역에는, 5엔+15엔+700엔=720엔으로 기억유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53)를 누르고 난 후의 코인류(10)의 배출조작에 따라, 표시부(56)의 7세그먼트 LED(56a)부분에는 배출된 코인류(10)의 총금액이 수치로 표시된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720이라는 수치가 7세그먼트 led(56a)부분에 표시되게 된다.
코인류(10)의 배출조작이 종료된 후, 상기 모드전환스위치(57a)를 한 번 누르면, 먼저, 도 10에 나타낸 금액램프(LED)(62)가 점등하고, 그 상태에서, 금액이높은 순으로 (500엔→1엔) 금종표시용 LED(56b)가 절적한 시간만큼 점등하고, 또한 배출된 대응하는 금종의 코인류(10)의 금액이 7세그먼트 LED(56a)에 표시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서는, 금종 100엔의 개소 표시용 LED(56a)가 적절한 시간만큼 점등하고, 또한 7세그먼트LED(56a)의 개소에는 「700」이라고 표시된다. 다음에, 금종 5엔의 표시용 LED(56b)가 적절한 시간만큼 점등하고, 또한 7세그먼트 LED(56a)의 개소에는 「15」라고 표시된다. 금종 1엔의 개소의 표시용 LED(56b)가 적절한 시간만큼 점등하고, 또한 7세그먼트 LED(56a)의 개소에는 「5」라고 표시된다.
상기 모드전환스위치(57a)를 다시 한 번 누르면, 도 10에 나타낸 매수램프(LED)(63)가 점등하고, 그 상태에서, 금액이 높은 순으로(500엔→1엔) 표시용 LED(56b)가 적절한 시간만큼 점등하고, 또한 배출된 대응하는 금종의 코인류(10)의 매수가 7세그먼트 LED(56a)에 표시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서는, 금종 100엔의 개소의 표시용 LED(56b)가 적절한 시간만큼 점등하고, 또한 7세그먼트 LED(56a)의 개소에는 「7」로 표시된다. 다음에, 금종 5엔의 개소의 표시용 LED(56b)가 적절한 시간만큼 점등하고, 또한 7세그먼트 LED(56a)의 개소에는 「3」이라고 표시되는 것이다. 금종 1엔의 개소의 표시용 LED(56b)가 적절한 시간만큼 점등하고, 또한 7세그먼트 LED(56a)의 개소에는 「5」라고 표시되는 것이다.
또, 코인류(10)의 배출조작이 종료된 후, 상기 모드전환스위치(57a)을 한 번 누를 때마다, 금종표시용 LED(56b)의 점등이 500엔→100엔→50엔→10엔→5엔→1엔의 순으로 전환되고, 계수한 금종의 금액 또는 매수가 표시되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크리어스위치(57b)를 누르면, 상기 금종별 계수결과표시모드가 종료하고, 총금액표시모드로 전환되는 것이다.
코인류(10)의 계수조작중에, 조작자가 핸들(14)을 역회전(도 2의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안내통로(19)속에서 벨트(12)에 탑재되어 있는 코인류(10)는 회전디스크(5)의 방향으로 역반송된다. 이것은, 안내통로(19)안에서 코인류(10)가 걸리는 등의 조작불량시 등에 실행된다. 정방향으로 통과한 코인류(10)의 개수를 코인센서(22)에서 일단 카운트하지만 배출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역회전조작(코인류(10)의 역이송조작)을 실행하면, 상기 일단 계수된 코인류(10)가 코인센서(22)의 개소를 반대로 통과하는 한편, 상기 회전방향센서(58)에 의한 역회전 검지신호가 출력되고, 이 신호가 있으면, 상기 정방향으로 통과했을 때의 마지막 계측데이터를 무시하는 제어를 실행하거나, 혹은 상기 금종별로 가산한 개수를 감산하는 제어와, 총금액에서의 대응하는 금액을 감산하는 제어를 실행한다.
또는, 상기 정방향으로 이동중인 코인류(10)가 코인센서(22)부분에서 정지하고 있는 일도 있을 수 있다. 이 때에는, 코인류(10)의 직경의 계측은 불완전한 동시에 코인류(10)의 통과 개수의 카운트는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상기 역회전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에러표시되고, 다시 처음부터의 코인류(10)의 계수조작을 재실행하도록 주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 케이스(2)에 대해서 상부 케이스(3)를 여는 것만으로, 반송이 걸리는 코인류(10)를 제거하거나, 벨트(12)를 교환하고, 코인센서(22)나 광원(25)부분의 청소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보수관리작업을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 코인센서(22)는, CCD센서대신에, 광량의 대소를 측정할 수 있는 광센서로 해도 좋다. 그리고, 상기 핸들(14)에 의한 회전디스크(5)의 수동회전대신에, 회전디스크(5)의 하면에, 기어부(41)를 형성하고(도 5참조), 도시하지 않은 정, 역회전 가능한 구동모터를 본체 케이스(2)내에 배치해서, 상기 기어부(41)에 동력전달하고, 회전디스크(5)를 회전구동시키도록 구성해도 좋다. 그리고, 코인류의 계수장치(1)를 사용하지 않을 때, 상부 케이스(3)의 상면, 특히 코인류 투입부(16)내에 먼지가 들어가지 않도록 커버로 덮도록 구성해도 좋다.
코인류(10)의 직경이 금종마다 다른 것이면, 다른 나라의 경화를 계수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간단하게 적용할 수 있고, 코인센서(22)부분에서의 코인류(10)의 직경의 계측에 따라, 상기 코인류(10)의 금종의 판별과 개수의 계수를 실행할 수 있다.

Claims (7)

  1. 상면에 코인류가 탑재되도록 하고, 또한 수동 혹은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디스크와,
    상기 회전디스크의 외주에 배치된 종동륜과,
    상기 회전디스크와 종동륜의 외주에 걸쳐서 감긴 무단반송체와,
    상기 회전디스크의 상면에 개구하는 코인류 투입부를 구비하고, 또한 회전디스크의 일측 외주에서 종동륜의 일측을 향해서 이행하는 무단반송체에 탑재된 코인류를 배출구를 향해 방출하도록 안내하는 안내통로가 형성된 가이드판과,
    상기 안내통로내에서, 상기 반송되는 코인류의 직경 및 통과수를 계측하기 위한 코인센서와,
    상기 코인센서에 의한 계측결과를 연산하는 제어부와, 상기 배출된 코인류의 금액 등의 계수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류의 계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본체 케이스의 상면에, 상기 회전디스크와, 종동륜과, 무단반송체를 배치하는 한편,
    상기 회전디스크의 상면에 개구하는 코인류 투입부를 구비한 상부 케이스의 하면측에는, 상기 가이드판을 장착하고, 상기 가이드판의 하면측에는 하향으로 개방되도록 상기 안내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류의 계수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면에 대해서 상부 케이스를 개폐가능하게 장착하는 한편, 상부 케이스측에는 상기 코인센서를 배치하고, 본체 케이스측에는, 코인센서에 대한 광원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류의 계수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통과하는 코인류의 종별과 개수를 상기 코인센서에서 판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코인류의 종별과 개수를 기억하는 동시에 연산해서 총계금액을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류의 계수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총계금액 및 코인의 종류별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전환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류의 계수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디스크 또는 종동륜의 회전방향을 검지하는 회전방향센서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제어부는, 무단반송체상의 코인류의 역이송조작시에는, 상기 코인류의 종별 및 개수의 연산을 실행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류의 계수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통로에 있어서의 코인센서배치개소의 근방에는, 상기 무단반송체의 상면과 대치시켜 탄성편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류의 계수장치.
KR1020007001408A 1998-06-15 1999-06-10 코인류의 계수장치 KR1003304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167057 1998-06-15
JP10167057A JP2926047B1 (ja) 1998-06-15 1998-06-15 コイン類の計数装置
PCT/JP1999/003139 WO1999066457A1 (en) 1998-06-15 1999-06-10 Device for counting coins or the lik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2807A KR20010022807A (ko) 2001-03-26
KR100330499B1 true KR100330499B1 (ko) 2002-04-03

Family

ID=15842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1408A KR100330499B1 (ko) 1998-06-15 1999-06-10 코인류의 계수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379239B1 (ko)
EP (1) EP1037174B1 (ko)
JP (1) JP2926047B1 (ko)
KR (1) KR100330499B1 (ko)
DE (1) DE69933006T2 (ko)
WO (1) WO19990664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99730B2 (ja) * 1999-08-20 2002-07-08 有限会社スガイ総業 コイン類の計数選別装置
EP2261866A3 (en) * 2000-09-18 2012-06-27 Glory Kogyo Kabushiki Kaisha Coin sorting apparatus and coin receiving system
KR100533342B1 (ko) * 2002-06-26 2005-12-06 주식회사 카스모아이티 동전 계수기
DE602004009342T2 (de) * 2003-12-02 2008-02-07 Scan Coin Industries Ab Münzhandhabungsvorrichtung mit gleitbar verschiebbaren gehäuseteilen
US20060154589A1 (en) * 2005-01-11 2006-07-13 String Gregory F High speed coin processing machine
US7658668B2 (en) 2005-09-17 2010-02-09 Scan Coin Ab Coin handling equipment
ES2377930T3 (es) 2005-09-17 2012-04-03 Scan Coin Ab Equipo de gestión de monedas
US20070187485A1 (en) 2006-02-10 2007-08-16 Aas Per C Cash handling
KR100818480B1 (ko) * 2007-03-05 2008-04-02 정경희 탄알 계수장치 및 방법
CN103578171B (zh) * 2012-12-25 2015-06-17 吴焕楠 一种硬币面值识别机构及硬币储蓄累加记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0295A (en) * 1974-01-07 1975-10-07 Rowe International Inc Bulk-loading coin hopper having endless pin chain pickup
US3998237A (en) * 1975-04-25 1976-12-21 Brandt, Inc. Coin sorter
FR2335006A1 (fr) * 1975-12-08 1977-07-08 Vandeputte Fils & Cie Machine a compter les pieces de monnaie et similaires
US4172462A (en) * 1976-12-09 1979-10-30 Laurel Bank Machine Co., Ltd. Coin selecting and counting machine
JPS5710082U (ko) * 1980-06-16 1982-01-19
DE3048561A1 (de) * 1980-12-22 1982-07-22 Standardwerk Eugen Reis Gmbh, 7520 Bruchsal Vorrichtung zum zaehlen von muenzen
JPS58132884A (ja) * 1982-01-30 1983-08-08 グローリー工業株式会社 円形物体の径判別装置
US4442850A (en) * 1982-02-26 1984-04-17 Aaccurate Counters Company Coin counter
DE3419589C1 (de) * 1984-05-22 1986-01-02 F. Zimmermann & Co, 1000 Berlin Vorrichtung zum Sortieren und Zaehlen von Muenzen eines Muenzenkollektives
US4966570A (en) * 1987-07-30 1990-10-30 Ristvedt Victor G Coin sorting apparatus for sorting coins of selected denominations
JPS6446894A (en) * 1987-08-17 1989-02-21 Ace Denken Kk Coin feeder
JPH0295470U (ko) 1989-01-11 1990-07-30
JP2523391B2 (ja) 1989-05-24 1996-08-07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硬貨判別計数装置
US5076414A (en) * 1989-05-24 1991-12-31 Laurel Bank Machines Co., Ltd. Coin discriminating and counting apparatus
JP2557270B2 (ja) * 1990-03-14 1996-11-27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硬貨処理機の硬貨導入装置
JPH0528340A (ja) * 1991-07-19 1993-02-05 Asahi Seiko Kk コイン送出装置
TW208747B (ko) * 1991-10-03 1993-07-01 Roreru Bank Machine Kk
US5401211A (en) 1993-08-05 1995-03-28 Cummins-Allison Corp. Disc coin sorter with positive guide wall between exit channels
US5607351A (en) * 1994-11-10 1997-03-04 Automated Currency Instruments, Inc. Coin counting machine
SE504813C2 (sv) * 1995-08-21 1997-04-28 Scan Coin Ab Maskin för räkning och sortering av my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003471A (ja) 2000-01-07
JP2926047B1 (ja) 1999-07-28
EP1037174A1 (en) 2000-09-20
DE69933006T2 (de) 2007-04-05
KR20010022807A (ko) 2001-03-26
EP1037174B1 (en) 2006-08-30
DE69933006D1 (de) 2006-10-12
US6379239B1 (en) 2002-04-30
WO1999066457A1 (en) 1999-12-23
EP1037174A4 (en) 2004-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0499B1 (ko) 코인류의 계수장치
USRE37662E1 (en) Coin receiving and dispensing apparatus
JP4340591B2 (ja) 台間機用遊技メダルの一括投入機構
WO2002067208A1 (fr) Dispositif de comptage-triage de pieces de monnaies
EP0613104A1 (en) Changing machine having function of judging wear of bill
US20090057423A1 (en) Cash processing machine
US6158565A (en) Bill processor
JP2005192608A (ja) 遊技システム
KR200215092Y1 (ko) 지폐계수기
JP2006000368A (ja) 台間機用遊技メダルの一括投入機構
JP4376547B2 (ja) 硬貨放出装置
JP5081873B2 (ja) 硬貨入出金装置
KR100424984B1 (ko) 코인류의 계수선별장치
JP2618056B2 (ja) 硬貨処理機
JP3792123B2 (ja) 硬貨送出装置
JP3016708U (ja) 景品読取装置
JP2011034142A (ja) 硬貨入出金装置
JP4608449B2 (ja) メダル貸出機
JP3831286B2 (ja) メダルの返却機構及びこのメダルの返却機構を備えたスロットマシン
JP4984572B2 (ja) 硬貨処理装置
JP4664962B2 (ja) 硬貨釣銭機
JP2023005003A (ja) 落ち口カバー閉鎖部材、及び、落ち口カバーの閉鎖方法
JPS647419Y2 (ko)
JPH0962888A (ja) 硬貨送出装置
JP2004005746A (ja) 硬貨類処理機の通路幅調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